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네트워크 외부성에 따른 소비자 유형화 연구: 인공지능 스피커를 중심으로

        김효정 ( Kim¸ Hyo-jung ),이진명 ( Lee¸ Jin-myong ) 한국소비자학회 2021 소비자학연구 Vol.32 No.2

        인공지능 스피커가 다양한 서비스를 연결하는 플랫폼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스피커에 대한 인지된 네트워크 외부성을 중심으로 소비자를 유형화 하고, 인공지능 스피커의 지속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네트워크 외부성을 이용자 수, 서비스 수, 양립성, 보완성이라는 네 가지 차원으로 세분화하였다. 현재 인공지능 스피커를 이용하고 있는 20-50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354명의 데이터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네트워크 외부성을 중심으로 ‘고(高) 네트워크 외부성 인식’, ‘중(中) 네트워크 외부성 인식’, ‘저(低) 네트워크 외부성 인식’이라는 세 가지 소비자 집단이 도출되었다. 둘째, 지능성이 모든 소비자 집단의 인공지능 스피커에 대한 지속 이용 의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오락성과 공감성이 고(高) 네트워크 외부성 인식 집단과 중(中) 네트워크 외부성 인식 집단의 인공지능 스피커의 지속 이용 의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프라이버시 위험이 중(中) 네트워크 외부성 인식과 저(低) 네트워크 외부성 인식 집단의 인공지능 스피커 지속 이용 의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기능적 위험이 고(高) 네트워크 외부성 인식과 저(低) 네트워크 외부성 인식 집단의 인공지능 스피커의 지속 이용 의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네트워크 외부성에 대한 이용자들의 인식에 차이가 있으며, 인공지능 스피커 이용자들이 다양한 소비자 집단으로 구분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공지능 스피커의 지속 이용 의도를 촉진하거나 감소시키는 요인들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s are voice-controlled and hands-free devices. It has become a platform for diversity service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re are differences among the four network externalities, that is, the number of users, the number of services, complementarity, and compatibil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ategorize the consumer group with four kinds of network externalities and explore the differences between three consumer groups: “high,” “medium” and “low.” Data were collected from 354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users aged from their 20s to their 50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three consumer groups. Second, intelligence significantly influenced continuous use intention of AI speaker in all consumer groups. Third, entertainment and sympathy significantly influenced continuous use intention of AI speaker in ‘high’ and ‘medium’ consumer groups. Fourth, privacy risk significantly influenced continuous use intention of AI speaker in ‘medium’ and ‘low’ consumer groups. Fifth, functional risk significantly influenced continuous use intention of AI speaker in ‘high’ and ‘low’ consumer groups. These findings would increase the understanding the diversity AI speaker users.

      • KCI등재

        SNS 네트워크 외부성이 심리적 웰빙과 사회적 고양감에 미치는 영향 : 매개역할

        박종철,정형식,김상훈,김영심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4 마케팅논집 Vol.22 No.1

        기존 연구들은 네트워크 외부성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즐거움, 지식공유 같은 매개효과를 고찰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 스 맥락에서 네트워크 외부성이 삶의 질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 하였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외부성이 심리적 웰빙과 사회적 고양감에 미치는 효과를 고찰 하였으며, 이들 관계에 있어 애착의 매개효과를 제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애착의 유 형을 두 가지(동일시기반 애착 vs. 유대기반 애착)로 구분하여 네트워크 외부성이 애착의 두 유형에 미치는 차별적 효과를 규명하였다. 분석결과, 네트워크 외부성은 유대기반 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 나, 동일시기반 애착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동일시기반 애착과 유대기반 애착은 심리적 웰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일시 기반 애착과 유대기반 애착은 사회적 고양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revious studies only investigated perceived usability and enjoyment as a psychological mechanism in the ‘network externalities-continuous use intention’ relation. Different from the past studies, in this study we postulates that the consumers’ attachment play an essen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twork externalities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social enhancement. So,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the attachment dimen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twork externalit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enhancement. Attachment is conceptualized into two different forms: identity-based attachment and bond-based attachment. A model integrating network externalities, two dimensions of attachmen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enhancement was tested using the data of 222 general consumers.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 network externalities positively influences on the bond-based attachment. But, the network externalities has a significant impact not on the identity-based attachment. Finally,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identity-based attachment and bond-based attachment both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on the social enhancement. Thu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bond-based attachment indeed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network externalities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social enhancement.

      • KCI등재

        카카오톡 네트워크 외부성 효과

        김해룡(Hae Ryong Kim),윤승재(Seung Jae Yun),김지영(Ji Young Kim),이문규(Moon Kyu Lee) 한국마케팅학회 2013 마케팅연구 Vol.28 No.2

        최근 들어 스마트폰 이용환경에서 카카오톡과 같은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이하 MIM 서비스)의 이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특히 MIM 서비스의 이용자 수의 효과에 주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용자수에 입각한 네트워크 효과인 네트워크 외부성과 재이용의사와의 관계를 살피면서,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네트워크 외부성의 긍정적·부정적 효과를 살피고 있다. 먼저 긍정적인 효과는 S-O-R 모형에 입각해서 네트워크 외부성이 지각된 상호작용성과 긍정감정을 통해 재이용의사의 증대로 연결되는 순차적인 매개모형을 제시하였다. 반면 네트워크 외부성의 부정적 효과는 지각된 위험의 매개과정을 통한 재이용의사의 감소로 설명하였다. 이 과정에서 상호작용성과 긍정감정이 지각된 위험을 일정부분 줄여줄 것이라는 가설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네트워크 외부성의 긍정적인 매개효과는 분명하게 입증하지 못하였다. 대신 대안모형과의 비교를 통한 분석에서 네트워크 외부성이 이용의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 과정에서 지각된 상호작용성을 통한 간접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지각된 위험을 통한 부정적인 매개효과는 확인하지 못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중심으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 및 향후 연구방향이 논의되고 있다. Mobile instant messaging(MIM) services, for example, KakaoTalk, have begun to grab worldwide attention of the mobile phone users.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way in which network externalities (i.e., number of users) influence their continuous usage intentions. It focus specifically on the potential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the network externalities. This study proposes a conceptual model, based on the S-O-R theory, that network external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usage intentions through the experience of perceived interactivity and positive emotions. Further,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network externalities would be negatively related with usage intentions via perceived risk. By comparison with an alternative model, the result shows that network externalities have a directly effect on usage intentions. Meanwhile, perceived interactivity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partial mediator. However, network externalities do not effect on the perceived risk. Bring these discussions together, it is believed that network externalities become a crucial factor to consider for the survival and growth of MIM services.

      • KCI등재

        네트워크외부성과 모바일 결제서비스 지속사용의사: 자아일치성과 기능일치성을 중심으로

        김해룡(Kim, Hae Ryong),주무(Zhou, Wu),윤승재(Yun, Seungjae)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연구 Vol.28 No.1

        모바일 결제서비스 시장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모바일 결제서비스가 가장 활성화된 중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네트워크외부성과 지속사용의사의 관계를 탐색하고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모바일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자아 및 기능일치성의 개념을 도입하여 이용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연구결과, 모바일 결제서비스의 네트워크외부성(이용자 수와 부가서비스)은 자아 및 기능일치성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정보시스템이나 모바일 연구들에서는 주로 효용관점에서 기능에만 주목하였는데, 이러한 연구결과는 모바일 결제서비스 이용자들에게 기능 뿐 아니라 자아표현적인 가치도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또한 자아 및 기능일치성은 이용자들의 만족과 전환비용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자아일치성은 만족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지만 기능일치성을 통해서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전환비용에는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반면 기능일치성은 만족에는 영향을 미쳤지만, 전환비용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만족과 간접네트워크외부성이 지속사용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mobile payment service market is growing rapidly.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network externality and continuance usage intention for Chinese consumers where mobile payment services are most active. In particular, this study describes the use process by introducing concepts of self and functional congruity that were not covered in conventional mobile research. Result shows that the network externality of mobile payment services (number of users and additional services) has a positive effect on both self and functional congruity. Existing studies on information systems and mobile have focused mainly on functions from a utility point of view, but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not only functions but also self-expressive values are very important to mobile payment service users. It was also confirmed that self and functional congruity has a different effect on users’ satisfaction and switching costs. Self congruity did not directly affect satisfaction, but indirectly affect satisfaction through functional congruity and was affecting switching costs. Functional congruity, on the other hand, affected satisfaction but did not affect switching costs. Finally, we were able to check the effect of satisfaction and indirect network externality on continuance usage intention.

      • KCI등재

        이동전화 네트워크 외부성과 단말기 보조금 규제

        이종용 ( Jong Yong Lee ),이동희 ( Dong Hee Lee ),이덕희 ( Duk Hee Lee ) 정보통신정책학회 2011 정보통신정책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네트워크 외부성을 고려하여 이동전화 단말기 보조금 규제의 적절성을 평가하고, 이와 관련된 보편적 서비스 및 도·소매 요금규제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 이동전화서비스 시장을 대상으로 네트워크 외부성의 가치를 추정한 결과, 그 규모는 연간 최소 908억 원에서 최대 2,199억 원 수준이었다. 현실에서 이동통신사가 지급하는 단말기 보조금 총액은 이러한 추정치를 크게 초과한다는 점에서 보조금은 네트워크 외부성을 내부화하는 효율적 수단이기 보다는 가입자 유치를 위한 마케팅 수단으로서의 성격이 상당하다. 한편, 차별적인 단말기 보조금 지급에 대한 정부의 최근 규제는 네트워크 외부성을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네트워크 외부성의 내부화 및 보편적 서비스의 지원 측면에서 저소득층 및 장애인과 같은 한계가입자에 대한 단말기 보조금 지급은 일반가입자와 달리 판단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considers network externalities with the aim of examining the validity of regulating mobile handset subsidies, and provides useful policy implications relevant to universal services as well as wholesale and retail price regulation. For this purpose, we empirically estimate the value of network externalities in the Korean mobile telephone service market. As a result, the annual value is estimated to be between 90.8 billion won and 219.9 billion won. Since the total amount of handset subsidies paid in the real market would be much greater than these estimates, handset subsidies can be almost regarded as a competitive marketing tool rather than having a justifiable role of internalizing network externalities. Meanwhile, recent government regulation of discriminative handset subsidy offers is limited in that it does not consider network externalities. Handset subsidies for marginal subscribers such as low-income and disabled users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those for general subscribers in terms of internalization of network externalities and support for universal service.

      • KCI등재

        네크워크 외부성과 혁신 장벽이 모바일 지문 결제서비스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효정 ( Kim Hyo-jung ),이승신 ( Lee Seung Sin ) 한국소비자학회 2019 소비자학연구 Vol.30 No.4

        본 연구는 최근 확산되고 있는 모바일 지문 결제서비스 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S(자극)-O(유기체)-R(반응) 모델을 기반으로 자극 요인에는 인지된 네트워크 외부성(직접/간접 효과)을 유기체 요인에는 인지된 혁신 장벽(사용/가치/위험/전통/이미지)을 반응 요인에는 모바일 지문 결제서비스 이용 의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현재 실물카드를 이용하고 있는 소비자들 중에서 모바일 지문 결제서비스에 대한 이용 의도를 가지고 있는 20-60대 33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데이터 분석을 실시하였다. SPSS 23.0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23.0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 모형 분석, 그리고 다중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된 이용자 수(직접 네트워크 외부성)가 인지된 사용 장벽, 인지된 가치 장벽, 그리고 인지된 이미지 장벽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된 호환성(간접 네트워크 외부성)이 인지된 가치 장벽, 인지된 위험 장벽, 그리고 인지된 전통 장벽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지된 사용 장벽, 인지된 가치 장벽, 인지된 위험 장벽, 인지된 전통 장벽, 그리고 인지된 이미지 장벽이 모바일 지문 결제서비스 이용 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지된 가치장벽이 인지된 이용자 수(직접 네트워크 외부성)가 모바일 지문 결제서비스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인지된 전통 장벽이 인지된 호환성(간접 네트워크 외부성)이 모바일 지문 결제서비스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With the growth and popularity of mobile payment services, only a few studies have examined postponers’ intentions to adopt mobile payment services. This study examines network externalities’ effects on innovation barriers and adoption intention of mobile payment services. The current study adopts a Stimuli-Organism-Response model to explore the antecedents and mediator variables of mobile payment adoption intentions. Direct and indirect network externalities were taken as stimuli factors, and innovation barriers such as functional barriers (of usage, value, or risk) and psychological barriers (tradition barriers and image barriers) were taken as organism factors. The participants were 336 individuals, aged 20-60 years, who had postponed their innovation behavior decis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SPSS 23.0 was used to analyze frequency, descriptive, and correlation analyses and AMOS 23.0 were used to examin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and multi-mediate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numbers of users (direct network externality) significantly decreased perceived usage, value, and perceived image barriers of mobile payment services. Second, perceived compatibility (indirect network externality) significantly decreased perceived value, risk, and perceived tradition barriers. Third, perceived usage, value, risk, tradition, and image barriers significantly decreased mobile payment adoption intentions. Fourth, perceived value barriers mediate the effect of perceived numbers of users (direct network externality) on mobile payment adoption intentions. Lastly, perceived tradition barriers mediate the effect of perceived compatibility (indirect network externality) on mobile payment adoption intentions.

      • 사용자 고착을 위한 네트워크 외부성과 전환비용의 측정 요인: 1인 미디어와 소셜 네트워킹 시장을 중심으로

        최재원 ( Jae-won Choi )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10 기업경영리뷰 Vol.1 No.2

        최근 다양한 기기의 발달과 네트워크 이용자들의 활동을 통하여 다양한 소셜 네트워크를 통한 협업이 발달하고 있다. 이는 기존의 온라인 커뮤니티와 블로그 서비스로부터 발전하여 현재의 트위터, 페이스북과 같은 1인 미디어를 통해 더욱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현재 웹에서 발전하고 있는 소셜 네트워크 미디어는 일반적으로 특정 업체에 편중된 수확체증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웹 소셜 미디어의 이용자가 고착되기 위한 새로운 미디어 기업들의 전략적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네트워크 외부성과 전환비용의 역할은 매우 중요한 영향을 가지고 있다. 그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경제학적 측면에서 시장구조에 대해 다루어져 온 네트워크 외부성을 경영학적 측면에서 시사하고 전환비용과의 상호연관성을 통하여 웹 1인 미디어 사용자들의 고착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네트워크 외부성과 전환비용을 제시하고 이와 관련하여 측정 가능한 변수들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rapid development of web device and technology has enabled users of social media to be active in variously ways. Various social media have evolved through various forms such as blog, twitter and face book. As current social media is experiencing an increasing return to scale, the role of network externality and switching cost has important effects on various strategic activities for lock-in effects of social media users. This study focused on network externality and switching cost which mainly relate with managerial aspects in market structure on the managerial aspect. The related factors that affect the lock-in effect of social media were also suggested by conducting the conceptual study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network externality and switching cost.

      • KCI등재

        공개SW 활성화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전영서(Jeon Young Seo),김태열(Kim Tae Yeol) 한국경제연구원 2008 규제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최근 들어와 공개소프트웨어인 Linux 수요가 활성화되면서 급증한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수요가 네트워크 외부성과 정책변수 등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여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연구결과에 따르면 서버 소프트웨어는 자신의 네트워크 외부성에 대해서는 수요촉진변수로, 다른 서버들의 네트워크 외부성은 수요억제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Linux수요가 최근 급증한 이유는 전용 소프트웨어가 갖고 있는 네트워크 외부성을 압도하는 공개소프트웨어 활성화 정책변수가 그 효과를 나타낸 것이라고 사료된다. 이 같은 결과는 네트워크 효과로 형성된 전용 소프트웨어의 독점시장은 특허법과 같은 지적재산권법으로 보호해 주어야 하는 필요가 없으므로 정부는 일차적으로 전용소프트웨어가 불법복사를 당하지 않도록 홍보와 더불어 행정 단속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특허법에 제한을 받고 있지 않는 공개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부의 지원정책은 독점으로 인한 시장실패를 해결하는 법적 타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공개소프트웨어 활성화 정책은 소프트웨어 시장에서 공정경쟁 확보차원에서 유효한 정책으로 평가된다.   In this research we tried to attempted to explain why the demand for Linux server software had been dramatically increased in recent years using the determinant factors such as network externality as well as demand promoting polic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the demand for server softwares such as Linux as well as Unix, Window and others was not only affected by its own network externality positively, but also by other network externality negatively. In particular, the recent demand for Linux software was increased dramatically by government demand promoting polices, which overwhelmed network externality of proprietary software. From the empirical result we can derive that the monopoly power formulated by network effect of propraetor software were protected not by patent law, but by copy right instead.

      • KCI등재

        직․간접 네트워크 외부성하에서 인터넷포털 기업의 시장력 분석

        진양수 한국개발연구원 2009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KDI JEP) Vol.31 No.2

        In the internet portal industry, the indirect network externality from portal visitors to advertisers and the direct network externality among portal visitor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anti-trust policies. This paper examines the existence and the magnitude of the direct/indirect network externality in the Korean internet portal industry and measures its effect on the market power of the internet portals. The results show that the direct/indirect network externality is substantive in the industry hence the market share of a portal in the visitors' side has the ‘leverage’ effect on its market power in the advertisers’ side. 인터넷포털 산업에서 최종사용자시장으로부터 광고주시장으로 작용하는 간접 네트워크 외부성과 최종사용자시장 내의 직접 네트워크 외부성의 크기는 인터넷포털 기업 간 경쟁에 있어서 중요한 경쟁정책적 의미를 가진다. 본 연구는 국내 인터넷포털 산업에서 직․간접 네트워크 외부성의 실재와 크기, 인터넷포털 기업들의 시장력을 실증구조모형을 통해 분석하고 경쟁정책에의 시사점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산업 내에 이러한 직․간접 네트워크 외부성이 실재하며, 이로 인해 최종사용자시장 점유율과 광고주시장의 시장력 사이에 '레버리지' 효과가 존재함을 보여준다.

      • KCI등재

        네트워크 외부성과 지각된 피드백이 블로그 사용자의 동기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강희택 ( Hee Taek Kang ) (주)엘지씨엔에스(구 LGCNS 엔트루정보기술연구소) 2012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1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동기이론과 사회적 영향 관련 이론들을 토대로 블로그의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세부적으로는 사회적 영향으로써 네트워크 외부성(지각된 네트워크 규모, 지각된 보완성)과 지각된 피드백에 초점을 두고 이러한 요인들과 사용자 동기(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용이성, 지각된 즐거움), 지속사용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살펴 보고자 했다.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는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설문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지속사용의도에 대한 영향요인은 지각된 피드백,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즐거움, 지각된 네트워크 규모로 나타났다. 지각된 네트워크 규모, 지각된 보완성 및 지각된 피드백은 블로그 사용자의 동기의 형성에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피드백은 지각된 네트워크 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Based on motivation theory and social influence related theorie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a blog.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s on network externalities (perceived network size, perceived complementarity) and perceived feedback as social influences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s among those social factors, user motivatio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of-use, perceived enjoyment), and the blog continuance intention. Using da-ta collected from blog users, this study finds that the factors affecting the blog continuance intention are perceived feedback,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njoyment, and perceived network size. Perceived network size, perceived complementarity and perceived feedback are of importance on the formation of a user`s motivation to use a blog, and perceived feedback has found to be a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perceived network siz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