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거이론의 근거에 대한 음미

        이영철(李永喆) 한국정책과학학회 2014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8 No.1

        근거이론을 사용하는 연구가 늘어나고 있지만, 근거이론의 적절한 적용이 문제가 되고 있다. 가장 큰 이유는 근거이론에는 상이한 세 가지 흐름이 있고, 각 흐름에 따라 연구의 방법도 달라질 수 있는데, 이런 측면이 실제 연구에서는 체계적으로 검토되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 글은 근거이론을 둘러싼 논의를 활성화하고 근거이론의 적절한 적용을 위해서 두 가지 작업을 하였다. 첫째, 근거이론의 방법론과 방법에 관한 논의를 세 가지 흐름, 즉 Glaser의 실증적 근거이론, Strauss의 상징적 상호주의 근거이론, 구성주의 근거이론을 이론적으로 검토하여 정리하였다. 둘째, 이론적인 논의에 따라서 근거이론방법을 구체적으로 적용한 논문을 대상으로 삼아 근거이론방법과 절차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Despite of the growing popularity of grounded theory, its proper application has been subject to scrutiny. A major reason for the debate comes from the fact that there has not been a conscious effort to make distinctions between three different streams of grounded theory and to see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distinction for research. In this paper, we have two objectives: first, to analyze theoretical underpinnings of three streams, i.e., positivistic grounded theory(by Glaser), symbolic interactionism-based grounded theory(by Strauss) and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mainly by Charmaz); second, illustrate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our theoretical distinction by critically examining a study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 KCI등재

        청소년기에 아버지와 사별한 성인의 상실과 치유 : 구성주의 근거이론과 상황분석을 중심으로

        김경희(Kim Kyu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4

        목적 청소년기 아버지와 사별한 경험은 청소년기는 물론 성인기 삶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청소년기에 경험한 사별은 청소년기와 성인기를 포함하여 삶의 전체 과정에서 조망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청소년기에 아버지와 사별한 성인들의 상실과 치유 경험을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청소년기에 아버지와 사별한 성인 9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원자료를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harmaz(2014)의 구성주의 근거이론 연구방법(Constructing grounded theory)과 Clark(2005)의 상황분석(Situational analysis)을 융합하여 분석하였다. 이는 아버지의 죽음이라는 개인적 체험과 여기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담론, 문화적 규범, 한국 사회만의 독특한 상황적 지식을 포착하려는 연구방법의 설계이다. 결과 구성주의 근거이론에 입각하여 3단계의 코딩을 수행하였으며, 초기 코딩에서 42개의 범주, 초점 코딩에서 15개의 범주, 이론적 코딩에서 6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후 이론적 코딩에 근거하여 분석적 이야기를 기술하였다. 또 상황분석으로 접근하여 상황적 지도, 사회적 세계/무대 지도, 위치적 지도를 완성하여 청소년기 아버지와 사별한 성인들의 상실과 치유의 경험을 드러냈다. 구성주의 근거이론 방법으로 접근한 내용과 상황분석을 통합한 연구참여자들의 공통의 경험이자 핵심 범주는 ‘아버지 상실이라는 비극적 생애 사건으로 인해 고립과 침체의 늪에 빠졌으나, 실존적인 자각을 통해 상실의 고통을 극복하고 성장으로 나아가는 삶’으로 제시할 수 있다. 결론 상실의 자기치유와 성장에 대한 논의, 그리고 죽음교육에 대한 제언을 했다. 아버지와 사별은 불행한 사건이지만 이를 통해 죽음을 직면하게 되었고, 이후의 삶은 성장으로 이어졌다. 죽음이 빈번한 사회에서 성장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삶에 대한 적극적인 의미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죽음을 직면할 수 있는 용기와 삶과 죽음에 관해 통찰할 수 있는 죽음교육이 필요하다. Objectives Father s death in adolescence may have an impact on not only growing process but also the life as an adult. Therefore, father s death in adolescence should be examined through one’s whole life from adolescence to adulth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oss and restoration of adults who experienced father s death in adolescence.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from nine participants who had undergone father s death during adolescence. The data were analyzed based on Charmaz s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and Clark s situational analysis. This research design can capture the personal experience of father s death as well as social discourse, cultural norms, and unique situational knowledge of Korean society. Results Based on the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42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initial coding, 15 categories from focused coding, and 6 categories from theoretical coding. In addition, by using situational analysis, situational maps, social worlds/arena maps, and positional maps were completed to reveal the experience of loss and restoration of adults who experienced father s death in adolescence. The common experience and core category of participants which was revealed from the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and situational analysis was “a life in which one has fallen into the swamp of isolation and stagnation due to the tragic life event, a father s death, but overcomes the pain of loss and proceeds to growth through existential awarenes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ed the death education about self-restoration from loss and growth. The bereavement of one s father was an unfortunate event, but participants could face death through this event, and their lives could lead to growth. In a society where death is frequent, making the meaning of life is required to seek growth. In addi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anxiety and fear of death, death education is needed to encourage people to face death and have an insight into life and death.

      • KCI등재

        미혼모들의 출산과 양육 경험에 대한 구성주의 근거이론 연구

        강라현 ( Kang Ra Hyeon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21 한국가족복지학 Vol.68 No.1

        본 연구는 미혼모들의 출산과 양육 경험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상호주관성 차원에서 미혼모들의 삶의 경험을 살펴보고 이에 근거한 사회복지 차원의 지지 서비스 방안 마련에 기여하고자함이다. 연구에는 8명의 미혼모들이 참여했다. 연구자는 심층면담을 수행하여 자료를 구성했다. 원자료는 Charmaz(2014)가 제안한 구성주의 근거이론으로 수행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초기코딩 129개의 코딩 범주를 바탕으로 초점코딩 27개, 이론적 코딩 10개를 구성했다. 이론적 코딩은 ‘선택의 미로’, ‘생존을 위한 삶의 투쟁’, ‘굳건한 지지 기반의 확보’, ‘주변부에서 중심부로’, ‘저주가 아닌 축복받은 생명’, ‘책임감 있는 주체의 재탄생’, ‘부정적인 사회적 기호’, ‘비합리적 자기 귀인으로 인한 심리적 동요’, ‘잠재 능력의 사장’, ‘미련과 미움의 양가성’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는 이론적 코딩을 중심으로 서술적 이야기를 구성했고 미혼모들의 자기 삶에 대한 고양 의지, 사회적 지지와 낙인의 혼재성, 자녀 친부에 대한 양가감정을 논의했다. This study is about the experience of giving birth and raising unmarried mother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look at the life experiences of unmarried mothers in terms of mutual subjectivity and contribute to the preparation of supporting services at the social welfare level. Eight unmarried mot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to organize the data. The raw data were carried out with the constructive grounded theory proposed by Charmaz(2014).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focus coding of 27 and finally theoretical coding of 10 categories were derived based on the initial coding of 129 categories. The theoretical coding issues under this research analysis were summarized as a ‘maze of choice’, ‘struggle for survival’, ‘solid foundation of support’, ‘from the periphery to the center’, ‘blessed life not a curse’, ‘rebirth of a responsible subject’, ‘negative social symbols’, ‘psychological disturbance due to irrational self-respect’, ‘death of potential ability’, and ‘ambivalence of regret and hate’. The researcher organized narrative stories centering on theoretical coding, suggesting that unmarried mothers’ willingness to live their lives, social support and the hybridity of stigma, and the ambivalence of biological father.

      • KCI등재

        유아교사들의 소진 경험과 정체성 형성: 구성주의 근거이론적 접근

        심지경(Ji Kyeong Sim),김미애(Miai Kim)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3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구성주의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유아교사들의 소진 경험과 인식을 탐색하고, 자료로부터 이론을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공립유치원에 근무하는 8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집중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참여자의 이야기를 정교화하고자 시도하였다. 자료 분석은 Charmaz(2014)의 구성주의 근거이론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참여자들의 응답을 녹음한 후 전사하여 초기코딩, 초점코딩, 이론적 코딩의 과정을 거쳤다. 이론적 코딩은 데이터에서 출현하는 주제에 따라 소진에 대응하는 교사들의 행위와 전략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졌으며, 결과는 1) 교사가 필연적으로 마주하는 소진 2) 교사가 대응하는 소진3) 교사를 변화시키는 소진으로 나타났다. 결과에서 나타난 범주 및 하위 범주는 유아교사들의 소진경험을 통해 나타나는 정체성 형성 이론으로 이론화되었다. 논의는 유아교사가 그들의 개인적, 전문적 정체성을 확인하고 전문성을 발달시키는 데 있어 소진 경험이 그들의 정체성 형성과 어떻게 연결되고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첫째, 자아를 확인하는 소진, 둘째, 교사로서의 전문적 정체성을 확인하는 소진, 셋째, 대응을 위한 의도적 행위를 생성해 내는 소진, 마지막으로 필연적인 전문성 생성으로의 소진을 중심으로 논의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burnout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Using the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method, this study developed a contextual theory from the data. Eight teachers working in public kindergartens were interviewed intensively, and their stories were elabora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harmaz's(2014)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including initial coding, focus coding, and theoretical coding. Theoretical coding focused on teachers' behaviors and strategies in response to their burnout with themes emerging from the data. The categories and subcategories identified in the results were theorized as identity formation through the burnout exper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discussion focused on how burnout is associated with early childhood teachers' identity formation, and how it is related to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Specifically, the discussion centered on four aspects of burnout: 1) burnout as a means of confirming self; 2) burnout as a means of confirming professional identity as a teacher; 3) burnout as a means of creating intentional actions for response; and 4) burnout as a means of inevitably creating professionalism.

      • KCI등재

        독립근로자의 포트폴리오 경력개발과정 탐색

        신경주,유기웅 한국인력개발학회 2022 HRD연구 Vol.2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heoretical model that can systematically understand the portfolio career development process of independent workers. The career development process of independent workers who voluntarily left an organization and joined the field of independent work to develop and expand their portfolio careers were analyzed in-depth for this purpose. Nine independent workers who have successfully built portfolio careers were chosen for this study using theoretical sampling,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one-on-one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three steps, phenomenon understanding analysis, category relationship analysis, and theoretical integration analysis, using the systematic grounded theory method. As a result, the analysis of phenomenon understanding was used to extract 21 categories related to the portfolio career development of independent workers. The categories were reconstructed using a specific frame in the category relationship analysis, and the connection among them was identified; the causal relationship analysis, the procedural relationship analysis, micro-macro relationship analysis. The core category, ‘the expansion of dig-synchronize with works’ was derived through theoretical integration analysis, and other categories were integrated and refined, finally, a theoretical model was created regarding the structure and relationship in which the portfolio career development process was deepened and completed. 본 연구의 목적은 독립근로자의 포트폴리오 경력개발과정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이론적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자발적으로 조직을 퇴사하고 독립근로 영역으로 진입하여 포트폴리오 경력을 개발 확장한 독립근로자의 경력개발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9명의 연구 참여자를 이론적 표집에 의하여 선정하고 심층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체계적 근거이론 방법에 기초하여 현상 이해 분석, 범주 관계성 분석, 이론 통합 분석을 단계적으로 실시하였다. 현상 이해 분석을 통해 다수의 개념과 21개의 범주들이 추출되었다. 범주 관계성 분석에서는 범주들을 특정한 틀에 따라 재구성하여 인과적 관계 분석, 과정적 관계 분석, 미시적-거시적 관계 분석을 통해 범주들간의 관계성을 파악하였다. 이론 통합 분석에서 핵심 범주인 ‘덕업일치의 확장’을 도출하고 모든 분석 결과들을 통합하고 정교화함으로써 독립근로자의 포트폴리오 경력개발과정에 관한 이론을 모형으로 제시하였다. 이론 모형을 통해 나타난 연구 참여자들의 포트폴리오 경력개발과정은 전 생애에 걸쳐 자신의 가치에 따라 자신의 경험 속에서 주도적으로 끊임없이 재구성, 확장되는 것이었다. 이는 연구의 이론적 프레임인 구성주의 경력이론의 핵심적인 개념으로, 포트폴리오 경력은 자신의 관심과 전문성을 탐색하여 자신만의 고유한 업무 포트폴리오를 개발, 구성함으로써 다변적인 경력 환경에 능동적으로 적응하는 경력 모델임을 확인하였다.

      • 부모-교사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협력에 대한 교사의 이해: 구성주의 근거이론적 접근

        곽희선,김미애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2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22 No.10

        본 연구에서는 현장의 교사들이 부모-교사의 협력에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참여자들의 목소리를 통해 탐색함으로써 교사가 바라보는 협력의 의미와 실천 노력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참여자는 공립유치원에 근무하는 10명의 교사를 선정하였으며 집중면접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의 이야기를 정교화 하고자 했다. 자료 분석은 Charmaz(2013)의 구성주의 근거이론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들의 응답을 녹음 후 전사하여 초기코딩, 초점코딩, 이론적 코딩의 과정을 거쳤다. 이론적 코딩은 데이터에서 출현하는 주제에 따라 협력에서의 교사의 노력과 교사가 인지하는 부모의 협력반응으로 개념화하였다. 결과는 1)전제조건이 필요한 협력, 2)부모의 인정으로서의 협력, 3)부모의 행위로 나타나는 협력으로 나타났다. 구성주의 근거이론에 근거하여 이들 범주를 개념화하고 개념들 간의 관계를 구성한 결과, 전체적으로 유치원교사들은 부모-교사 협력이 교사의 선행된 노력에서부터 시작되는 것으로 의미화하고 있었으며, 교사-부모 간 협력이 이루어지는 관계의 방향은 교사-부모 간에 형성되는 신뢰의 방향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다음 4가지 측면에서 논의되었다. 첫째, 교사가 시작하고 부모가 반응하는 것으로서의 협력 이해하기, 둘째, 다양한 부모의 반응에 의미 두기를 통해 교사가 획득하는 협력적 관계, 셋째, 유치원 교사들의 전문성을 인정받기 위한 정서적, 지적 노력으로 얻게 되는 협력, 넷째, 유치원 교사들의 모순적인 전문성이 반영된 것으로서의 협력이다.

      • KCI등재

        바깥놀이터에서의 유아 놀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실천 -구성주의 근거이론적 접근-

        최유리,김미애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2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children’s play in outdoor playgrounds. Seven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willing to share their awareness and practices of children’s play in the outdoor playground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nsive interviews and analyzed using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developed by Charmaz(2013). The data analysis included three steps of initial, focused, and theoretical coding processes. Themes and categories that emerged from focused coding were conceptualized as ‘freedom’, ‘child-initiative’, and ‘child-respect’ through theoretical coding. The finding of this study were categorized into four themes. First, the teachers perceived that children’s play in the outdoor playground is a play led by children themselves in the freedom of the outdoor space. Second, the teachers recognized that children’s play in the outdoor playground is a play with limitations and variations. Third, the teachers, with the children together, were making the outdoor playground into a space with a difference. Fourth, the teachers were making efforts to strike a balance between play and safety. The results were discussed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s outdoor play is a medium through which children’s freedom and initiative are expressed while the teachers’ respect for child is practiced. Second, the children’s outdoor playground is a space that contains children’s freedom and initiative, breaking away from the space that restricts their freedom and play. 본 연구는 구성주의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바깥놀이터에서의 유아 놀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실천을 탐색하고, 자료로부터 이론을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21년 2월부터 10월까지 7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집중면접을 진행하였고, 바깥놀이 사진과 동영상, 교사의 놀이기록 등 참여자의 맥락을 다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기타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Charmaz (2013)의 구성주의 근거이론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교사들은 바깥놀이터에서의 유아 놀이에 대해 바깥 공간의 자유로움 속에서 유아가 주도하는 놀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바깥놀이터에서의 유아 놀이에 대해 제한과 변주가 있는 놀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바깥놀이터에서의 유아 놀이를 위해 교사들은 유아와 함께 바깥놀이터를 차이가 있는 공간으로 만들어가는 실천을 하고 있었다. 넷째, 바깥놀이터에서의 유아 놀이를 위해 교사들은 놀이와 안전 사이에서 균형점을 잡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자유’와 ‘주도성’이 발현됨과 동시에 교사의 ‘유아 존중’을 실천하는 장으로서의 바깥놀이, 유아의 놀이를 제한하는 모순에서 탈피하여 자유와 주도성을 담는 공간으로서의 바깥놀이터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 KCI등재

        단편적 활동을 넘어 시적 경험을 나눌 수 있었던 유아교사의 동시 교육 경험 연구 - Charmaz의 구성주의 근거이론 접근 -

        김민화(Kim, Min-Hwa)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20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어떻게 하면 유아 동시 교육이 단편적인 활동에서 벗어나 시적 경험을 나눌 수 있는 활동으로 구현될 수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동시 활동의 전형적 방식의 내용과 영향요인, 맥락, 결과 등을 분석하여 실체이론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참여자는 15명의 경력교사였으며 개인적 희망에 따라 2-4회까지의 면담에 참여하였다. 면담을 통해 수집한 구술 자료를 Charmaz(2014)의 구성주의 근거이론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초기코딩에서 54개의 범주와 초점코딩에서 14개의 범주를 구성했다. 최종적으로 이론적 코딩에서는 5개의 범주로 스토리라인을 구성했다. 즉, 유아 교사들의 동시 교육 경험은 즐거움이 사라지고 의무감만 남아있었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은 교사의 능력부족이 아닌 경험부족 때문이었다. 여기에는 한계를 앞세우게 만드는 교육환경의 맥락도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유아교사는 관심과 나눔, 지지를 통해 힘을 얻을 수 있었으며 결국 유아에 대한 믿음과 스스로에 대한 확신으로 유아와 교사 모두가 시적 경험의 즐거움을 공유할 수 있는 동시 교육을 수행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양질의 동시 교육 활동을 위해 지원해야하는 것은 지식과 기술적인 측면이기보다 관계적인 측면에 있음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how poetry education can be implemented beyond fragmentary activities in activities that can share poetic experiences with young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substantive theory by analyzing the contents, influence factors, context, and results of experiences of preschool teacher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15 experienced teachers. They participated in 2-4 interviews based on personal wish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oral data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using Charmaz"s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method, 54 categories in the initial coding stage and 14 categories in the focused coding stage were composed. Finally, in the theoretical coding, the storyline was composed of 5 categories. That is, the main phenomenon in poetry education experience of preschool teachers was an activity in which the joy disappeared and only the obligation remained. Even so, the cause of this phenomenon was not because of the teacher"s low abilities, but because of the lack of their experiences; there were influenced by the context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hich puts the limits first. However, the teachers were able to gain strength through concern, sharing and support, and in the end, they were able to carry out poetry education that both children and teachers could share the pleasure of poetic experiences with faith in the children and confidence in themselv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necessity of applying for high-quality poetry education activities was discussed in terms of relations, not knowledge and skills.

      • KCI우수등재

        트라우마 센터에서 근무한 사회복지사의 소진과 이차적 외상 스트레스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소정(Han, So Jeo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사회복지학 Vol.69 No.2

        본 연구는 트라우마 센터에 근무한 사회복지사들의 소진과 이차적 외상 스트레스 경험을 이해하기 위한 실체 이론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근거이론을 통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초기코딩을 통해서 159 개의 의미단위, 47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2개의 범주를 구성하였다. 초점 코딩에서 중심현상을 ‘상처 받은 존재성’으로 보고 ‘사회복지사로서의 자리 찾기’를 핵심범주로 정하였으며 이를 중심으로 연관된 범주들을 연결하였다. 이론적 코딩 결과 트라우마 센터에서 근무한 사회복지사의 소진과 이차적 외상 스트레스 경험 과정은 사명기, 갈등기, 침체기, 해체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재난 복지실천에 대한 준비, 트라우마 치유 관점에 대한 논의 및 합의, 그리고 소진과 이차적 외상 스트레 스 예방과 대처를 위한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ubstantive theory that understand the burnout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experience of social workers who worked in the trauma center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y Grounded Theory. The result is as follow: In the initial coding, 159 units of mean, 47 subcategories, and 12 main categories. The central phenomenon of the initial coding was ‘the wounded existence.’ In the focused coding, the core category was ‘seeking to recover professional identity as a social worker.’ In the theoretical coding, the burnout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experience of social workers who worked in the trauma centers were classified as four phases;‘Commitment to the mission’, ‘Conflict’, ‘Stagnant’ and ‘Disruption’. Based on the findings, the preparation for the disaster social work practice, the perspective on “social healing” of trauma, and the necessity of the mandatory policy or intervention for social workers self-care were discussed.

      • KCI등재

        학업중단 위기를 겪은 대학생들의 학업지속 결정 과정 탐색

        황수영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구성주의 근거이론에 기반해 학업중단을 고려하였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중단을 고려하게 된 원인과학업 지속을 선택하게 된 결정 과정을 탐색하여 학업중단을 고려하는 학생들에게 필요한 대학 서비스 마련에 실증적근거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경기도에 소재한 D 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시행하였다. 연구참여자는 7명(남학생 3명, 여학생 4명)으로 학년별 구성비율이 유사하였다. 연구결과 학업중단에 영향을 미치는요인으로 총 73개의 개념이 추출되었고, 유사 개념의 범주화를 통해 22개의 하위범주를 도출하였으며, 더 추상적인속성으로 범주화 작업을 통해 총 9개의 상위범주를 도출하였다. 상위범주와 하위범주의 관계를 파악하여 최종적으로학업중단과 학업지속의 결정 과정을 도식화한 모형을 제시하고 각 단계에 해당하는 사례를 기술하였다. 학업중단을고려하게 되는 원인은 진로 및 취업 고민, 대학생활 적응의 어려움, 경제적 독립 욕구였으며, 학업지속 결정에 학업의유용성 및 졸업장의 효용성 인식, 그리고 계획 없는 학업중단 후 발생할 심리적 환경적 부담감이 영향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본 연구는 학업중단을 고려했던 학생들의 학업지속을 결정과정을 탐색함으로써 그 이면의 현상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교육수요자 중심의 대학서비스를 위한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근거를 마련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