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외 교수학습센터의 프로그램 현황 비교 분석

        조형정(Cho, Hyung Jung),김명랑(Kim, Myounglang),엄미리(Eom, Miri) 한국비교교육학회 2009 比較敎育硏究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각 대학에서 운영되고 있는 교수학습센터의 프로그램과 국외의 사례들과 비교하여 우리나라 교수학습센터의 위상에 대한 재고 및 발전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이를 위해 국내 52개 대학과 국외 28개 대학(미국,캐나다,호주)의 홈페이지에 게시된 지원 프로그램을 조사하였고,국내 5개 대학의 교수학습센터에 대한 방문 조사를 실시하였다.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의하면,국내 교수학습센터에서 지원하는 프로그램은 교수,학습,이러닝, 교수매체 영역으로 구분되었고,국외는 교수,학습,측정평가 영역으로 구분되었다.프로그램 운영의 가장 큰 범주적 차이점으로는 국내의 경우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한 프로그램이 활성화 된 반면,국외의 경우 강의,교수자,프로그램 평가 등 측정 및 평가 부분을 중요한 교수학습 지원 프로그램으로 제공한다는 점이다. 이외에 국내외 프로그램의 공통점으로는 인적 자원의 질적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되는 다양한 주제로 교수법(학습법)워크숍 및 세미나를 실시함으로써 교수자와 학습자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과 강의촬영 및 컨설팅 서비스를 통해 교수법 개선 및 향상을 도모하는 공통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studyexaminestheimplicationstoimproveteachingand learning center’sprogram from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foreign country’s case. To analyze program of teaching and learning centers, 52 universities in Korea and 28 universities in foreign countries(USA, Canada,and Australia) were selected and their centers’Websites are reviewed. In addition, 5 teaching and learning centers in Korea were inspected directly. The results were found that main programs of teaching and learning centers in Korea were categorized by ‘teaching’, ‘learning’,‘e-Learning’,and ‘instructionalmedia’fields.Cases offoreign countries,main programs were categorized by ‘teaching’,‘learning’,and ‘measurement and evaluation’fields. The main differences of program between Korean and foreign country, cases of Korean focused on program toactualizeICT,howevercasesofforeign wereconcentrated on program to measure and evaluate professors,students,and courses.In addition,thereispresented thatboth ofKorean and offoreign countries offered program to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qualities such as ‘workshop fo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consulting and picture-takingon lecture’.

      • KCI등재

        대학 교수학습센터 학습프로그램 분석 및 발전 방안 연구

        김은영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2

        The present research was aimed at analyzing the current learning support programs of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CTL) in universities and seeking new approaches for the center development. The key research questions include: 1) What are the learning program topics and types of CTL? 2) What are the core competencies related to the CTL's learning programs? 3) What are the learning program topics and types of the materials from the symposiums, workshops, and researches organized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KCTL)? The research subjects were the CTL homepage learning programs of 160 KCTL member universities and the symposiums, workshop materials and research papers held by KCTL. The research methods used were content analysis and multiple response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revealed that, first, the most common learning program types of CTL are learning community, study counseling, and special lectures/workshops. The common topics of leaning programs were about studying college majors and study methods. Second, the core competencies related to the CTL learning programs were self-directed learning, knowledge and skills in one's academic area, communication competency, interpersonal relation ability, and community consciousness. Third, symposium and workshop material books, and research papers mainly had topics about the learning community and specific learner support, and case studies were mainly conducted. Based on these results, new approaches for the CTL learning program development was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수학습센터 학습프로그램을 분석하고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문제는 교수학습센터 학습프로그램의 유형과 주제, 학습프로그램과 관련된 핵심역량,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자료집에서 학습프로그램의 유형은 어떠한가 이다. 연구대상은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회원교 160개교의 홈페이지 상에 공시된 학습프로그램과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주최로 개최된 심포지엄 및 워크숍 자료집, 연구논문집이다. 연구방법은 수집한 자료를내용 분석하고 범주화하여 다중응답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수학습센터에서 가장 많이 진행되고 있는 학습프로그램의 유형은 학습공동체, 학습상담, 특강․워크숍이고, 학습프로그램의 주제는 전공학습, 공부방법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학습센터 학습프로그램과 관련된 핵심역량은 자기주도학습력, 전공지식,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등이높게 나타났다. 셋째, 심포지엄 및 워크숍 자료집, 연구논문집에서는 학습공동체, 특정학습자지원 주제가 많았고, 운영사례연구가 주로 진행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별 특성화된 학습프로그램, 다양한 핵심역량 강화프로그램 개발, 프로그램 운영진의 전문성 강화를 교수학습센터 학습프로그램 발전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또한 효과적인학습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실천으로 참여자 중심 지원체제 구축, 학습프로그램의 데이터분석과 평가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전문대학 비교과 프로그램 인식차이를 통한 방향성 탐색

        곽민지,정해수 한국미래교육학회 2020 미래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미래사회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전문대학의 학습자, 교수자의 관점에서 기초학습능력 지원 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비교과 프로그램의 체계적 지원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기초학습 역량의 중요도의 경우 교수자가 학습자보다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비교과 프로그램별 인식 차이 결 과, 기초학습지원 프로그램에서는 전공기초, 학습클리닉 프로그램, 외국어지원 프로그램에서 학습자보다 교수자가 더 중요하다고 인식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대학지원 생활 프로그램의 경우에도 교수자가 더 중요하다고 인식한 것으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경우 어깨동무튜터링, 생생멘토링, 전공으뜸이 프로그램 모두에서 교수자가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모든 프로그 램에서 교수자의 인식이 학습자의 인식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도출된 전문대학 학습자 의 기초학습역량 강화 및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기초학 습역량 인식 개선을 위한 지원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둘째, 기초학습역량 향상을 위한 대학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세부적으로 첫째, 기초학습향상을 지원하는 인력풀 확보 및 인센티브 제공 등 유인책이 제공되 어야 한다. 둘째, 대학 특성에 맞는 비교과 프로그램이 개설되어야 한다. 셋째, 비교과 프로그램은 전공별, 학습자 특성에 맞는 과정으로 체계화되어야 한다. 넷째, 학습자 중심형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개선될 필요 가 있다. 다섯째, 비교과 프로그램의 선순환 구조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needs of supporting on basic learning ability from the perspectives of learners and instructors of junior colleges, and to seek systematic support measures for extra curricular program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mportance of basic learning competencies was recognized as more important by instructors than by learners. As a result of checking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on extracurricular programs, it was revealed that the instructors perceived that the basic learning support program was more important than the learners in the basic basics, the learning clinic program, and the foreign language support program. In the case of university-sponsored living programs, the instructor also found it more important. Lastly, in the case of employment support programs, instructors perceived 'shoulder tutoring, live mentoring, and majoring majors programs' as more important than leaners did. In all programs, the teacher's perception was higher than the learner's perception. Therefore, first, Measures targeting learners should be sought to improve awareness of basic learning competencies.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university system to improve basic learning competencies. In detail, first, incentives should be provided, such as securing a pool of workers and providing incentives to support basic learning. Second, extracurricular programs suitable for university characteristics should be established. Third, extracurricular programs should be organized into processes that suit each major and learner's characteristics. Fourth, it should undergo improvement as learner-oriented extracurricular programs. Fifth, it is necessary to form a virtuous cycle of extracurricular programs.

      • KCI등재후보

        전문대학 교수학습센터의 발달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방안

        김성규 한국교원교육학회 200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1 No.2

        이 연구는 개별 전문대학에서 교수학습센터를 통하여 발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할 때에 참고로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구성 체계와 고려 사항을 탐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발달교육 프로그램은 ① 교과 학습영역: 전공기초, ② 비교과 학습영역: 전인적 생애발달로 구분하였다. 교수학습센터를 통하여 제공되는 발달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생애 능력 개발과 관련된 ① 신입생의 대학생활 성공 프로그램, ② 직업능력 개발 프로그램, ③ 학업능력 개발 워크숍, ④ 학업상담과 자문 프로그램에 초점을 두고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수학습센터를 통하여 발달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때에 고려하여 할 사항으로 기존의 관련 부서의 기능을 동 센터를 중심으로 통합하고, 전문적 인사를 배치하고 전문성을 개발하는 노력이 요구됨을 강조하였다. 결론적으로 전문대학의 학생들에게 직업 세계에서 성공적인 삶을 사는데 필요한 전인적 자질을 길러주는 것은 지식 정보화 사회에서 국가 경쟁력을 기르는 근간이 되며 고등교육 단계에서 비교적 약자의 위치에 있는 학생들에게 진정한 의미의 교육평등을 실현하는 교육 철학적 함의(含意)가 있음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 KCI등재

        교수학습센터 프로그램의 학습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 분석: 학생 대상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강은하,두민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3

        목적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분석 연구를 통해 국내 대학의 교수학습센터에서 운영하는 학생 대상 프로그램의 현황 및 학습효과를분석하였다. 방법 문헌분석 준거에 따라 2018년부터 2023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관련 논문을 PRISMA를 활용하여 수집 및 검증하였고, 최종 연구 대상물 53편을 선정하였다. 연구문제인 학습자 대상, 프로그램 목적, 교수 접근법, 그리고 학습효과 변인의 분석 틀을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구성하고, 코딩 작업을 통해 추출한 연구 결과에 대해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프로그램의 목적은 학점 상승 및 학업성취 증진이 가장 많았고, 프로그램 대상은 일반 학부생과 학업저성취자 및 학사경고자가많았다. 교수-학습 접근법으로는 학습공동체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으며, 주요 학습효과는 학점 상승 및 학업성취 증진, 그리고 자기주도학습 역량 향상으로 나타났다. 결론 교수학습센터의 프로그램은 학업성취 증진 목적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가 반영될 필요가있다. 또한, 가장 많이 활용된 교수-학습 접근법인 학습공동체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의 제공 및 공동체활동이 학습결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관리 및 지원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CTL programs for 4-year university students in terms of program purposes, target audiences, instructional approaches, and learning outcomes. Methods This study adopted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to analyze the research findings related the CTL programs published between the year 2018 and June 2023. We searched KCI indexed journal articles using sing inclusion criteria and narrowed down to 53 journal articles for analysis. Results ‘Achieving good grades and improving learning achievement’ was a predominant purpose of the CTL programs followed by ‘Strengthening core competencies’ and ‘Enhancing self-directed learning’. The majority of the program target audiences were undergraduates without any restriction followed by low learning achievers including those who received academic probation. A learning community was the most popular instructional approach of CTL programs followed by a mixed approach, workshops, and tutoring. The primary learning outcomes of the CTL programs included ‘Improving learning achievement’, ‘Enhancing self-directed learning’, and ‘Strengthening core competencies’. Conclusions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the CTL programs predominantly focus on improving learning achievement and enhancing GPA.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CTL programs to satisfy the needs of diverse students other than academic accomplishment. Also, the Centers for Teaching and Learning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underrepresented target audiences of the CT programs, including international students, transfer students, or freshmen. Finally, the CTL programs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specific guidelines on how to operate learning communities to maximize learning achievement.

      • KCI등재

        비대면 원격수업에서 D-PBL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집단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김선연(Kim, Sun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3

        목적 본 연구는 디자인 씽킹 공감 활동과 문제중심학습을 접목한 새로운 D-PBL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집단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2020학년도 1학기에 실제 교직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2개의 분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설정하고 실험집단에 디자인 씽킹 공감 활동을 처지한 후, 집단창의성 설문조사와 초점 집단 면담을 진행하였다. 코로나 19로 인하여 2020학년도 1학기는 비대면 원격수업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토론, 발표, 평가, 설문조사, 면담 등 모든 과정이 온라인으로 진행되었다. 결과 첫째, D-PBL의 구체적인 수업 절차는 집단이해, 사용자 공감, 문제 탐색, 학습과제 결정, 역할 분담, 협력적 문제해결, 발표 및 피드백이며, 각 절차를 토대로 7차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D-PBL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공감 단계 집단창의성 사고과정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온라인 면담에서 공감활동이 집단 구성원 간 공감 능력 향상, 핵심적 가치 발견, 문제 정의 그리고 최종 결과물에 반영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D-PBL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집단창의성 결과물에 유위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D-PBL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집단창의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를 통해 수업의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D-PBL instructional program that integrated design thinking empathy activities into PBL and to analyze the effects on group creativity. Methods For doing so, the study assigned college students, who attended teacher-training course, into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that treated empathy activities, and conducted survey research and focus group interview for group creativity in the 2020 first semester. Every data collection work including discussion, presentation, assessment, survey, and interview was conducted on online due to COVID 19. Results First, the study identified the concrete steps of D-PBL and developed 7-session instructional program using the D-PBL the steps of which were group comprehension, user empathy, problem exploration, decision of learning issues, role division,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nd presentation & feedback. Second, the study foun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user empathy step of the D-PBL instructional program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one. Empathy activities were reflected on the improvement of empathy ability among group members, discovery of essential value, problem definition, and final product. Third, the study foun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group creativity product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one. Conclusions D-PBL instructional model positively affected group creativity, with these findings the study offered instruction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ollowing studies.

      • KCI등재

        예비과학교사의 온라인 기반 실천적 교수역량의 향상을 위한 학습조력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이지원(Jiwon Lee),문수진(Sujin Moon),김중복(Jung Bog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5

        목적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에서 수행되는 과학 수업을 위해 예비과학교사의 온라인 기반 실천적 교수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조력(Learning assistant: LA)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온라인 기반 교수 역량을 수업 설계, 자료 개발, 수업 실행, 수업 성찰 역량으로 규정하고, 이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LA 양성과정을 교수이론, 계획, 수행, 평가의 네 단계로 구성하였다. LA 참여과정은 학습조력자가 학습조력을 연습하는 과학 교양 수업으로, 개념 도입, 개념 이해, 개념 심화의 단계로 구성하였다. LA 양성과정의 ‘수행’ 단계와 LA 참여과정의 ‘개념 심화’ 단계는 서로 교차되는데, 학습조력자는 학습자의 개념 이해와 심화를 돕고, 학습자는 학습조력자가 교수역량을 향상시키도록 돕는다. 학습조력자는 물리교육과 환경교육을 전공하는 2-4학년 13명이 참여하였고, 학습자는 다양한 전공의 1-3학년 24명이 참여하였다. 학습조력자들은 온라인 기반으로 수정된 RTOP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프로그램 적용 전후 온라인 기반 실천적 교수역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한 학기동안 LA 양성과정 및 LA 참여과정 모두 전 차시 온라인으로 수행되었다. 학습조력자는 온라인 실험 제작, 온라인 평가, 온라인 토의토론의 지도 등 온라인 수업의 맥락에서 교수학습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교육학적 전략에 대하여 학습하고, 이를 적용할 구체적인 계획을 세운 후 실제로 학습 조력을 수행하였다. 수정된 RTOP을 이용하여 학습조력자의 조력 수행을 상호평가한 결과, 학습조력 경험이 누적됨에 따라 온라인 기반 실천적 교수 역량이 향상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교원 양성을 위한 사범대학 교육과정에서 온라인 교수역량을 기르는 방안에 있어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Objectives Learning Assistant (LA) program was developed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o improve their online-based practical teaching competency to conduct online science classes. Methods The online-based teaching competency is defined as instructional design, material development, instructional execution and instructional reflection competency, in order to improve it, LA training course consists of four stages: PCK, planning, practice, and reflection. LA supported course is a science liberal arts class in which learning assistants practice teaching, and consists of the stages of concept introduction, concept understanding, and concept development. The ‘practice’ stage of the LA training course and the ‘concept development’ stage of the LA supported course intersect. 13 students from 2nd-4th grades majoring in physics education and environment education participated as learning assistants, and 24 students from 1st-3rd graders from various majors participated as learners. LA conducted a modified RTOP test based on online. After that, the change in online- based practical teaching capabilities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the program was analyzed through the corresponding sample t-test. Results Since both courses were conducted online for one semester, learning assistants can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at online teaching context such as online experiment, online evaluation, and online discussion guidance, after learning about PCK and making plans to apply them, they actually helped with learning. As a result of evaluation of the learning assistant's performance using RTOP, it was confirmed that the online-based practical teaching competency improved as the learning assistance experience was accumulated. Conclusions This result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s a new direction in the way of nurturing online teaching competency in the college curriculum for teacher training.

      • KCI등재

        대학 교수 멘토링 프로그램의 교수자 인식 및 요구 분석

        남민우,김민정,송윤희,엄미리 한국교원교육학회 201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2 No.2

        본 연구는 교수 멘토링 프로그램이 대학의 교원 교육 프로그램으로서 효과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참여 주체인 교수들의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하여 프로그램 운영에 실천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24개 대학에 재직하고 있는 100명의 교수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교수 멘토링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프로그램 운영 단계에서의 교수 요구사항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수들의 교수 멘토링 프로그램 인식과 중요도,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참여 의도는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수들은 교수 멘토링 프로그램 준비 단계에서는 충분한 경력을 보유한 멘토교수와 한 학기 정도의 운영 기간을, 실행 단계에서는 교수법 향상 및 학생지도 방법에 대한 조언을, 관리 및 지원 단계에서는 업적평가 반영 및 멘토링 경험의 공유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교수 멘토링 프로그램의 활성화와 효과적 운영을 위한 학내 분위기 형성과 교수학습센터의 교수법 향상 유관 프로그램 연계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and needs of faculty members on faculty mentoring program. 100 faculty members of 24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 results showed high awareness, importance and usefulness of faculty mentoring program. Faculty members required experienced mentors and the term of 1 semester for mentoring program, coaching service for enhancing teaching skills and student guidance, policy considering the participation of mentoring program to the faculty evaluation and sharing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This study suggested to establish the acceptable environment of the university to adopt and operate faculty mentoring program. Efforts of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were also needed to link relative teaching empowering programs to the faculty mentoring.

      • 전문대학 교수학습센터 학습지원 프로그램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재학생 요구도 분석

        표창우(Pyo, Changwoo),엄우용(Eom, Wooyong)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4 학습과학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전문대학 교수학습센터에서 제공하는 학습지원 프로그램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전문대학생들이 프로그램에 참여할 때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ㆍ경북 지역의 전문대학생을 대상으로 교수학습센터 프로그램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요구도를 조사한 후 다중응답교차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전문대학생에게 교수학습센터 학습지원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해서는 개별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홍보방법으로는 교수의 안내와 문자를 활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제공되는 혜택은 대다수 학생들이 장학금을 희망하였다. 선호하는 학습지원 프로그램의 주제는 전반적으로 시간관리방법이었으며 고려해야 할 점은 저학년일 경우 준비하는 단계, 고학년일 경우 취업에 관심을 가진다는 점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고려할 때 전문대학생을 위한 교수학습센터의 학습지원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개별맞춤형 프로그램, 상세하고 지속적인 정보제공 및 공유, 다수의 학생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학금, 학년별 맞춤형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various factors which make college students participate in learning assistance programs supported by centers for teaching and learning for their effective management of the programs. Based on the factors, surveys on the needs from college students in Daegu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for effective management of the programs was conducted and multiple response crosstabulation analysis was followed. According to the result, junior college students need to be provided with personalized programs for activating the learning assistance programs of teaching and learning centers. For an advertisement, utilizing notice from professors and text message are expected to help activate the programs. Additionally, most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s preferred scholarship to the other compensations. ‘Time management skill’ ranks the top in the topics of learning assistance programs. It has to be considered that lower grade students are interested in the preparation stages while upper grade students are more interested in getting a job.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personalized programs, information sharing in specific and continuous ways, scholarships for more students and programs customized for each grade should be considered and operated for activating learning assistance programs of teaching and learning centers.

      • KCI등재

        대학 교수자 이러닝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방안 연구

        김은희 ( Eun Hee Kim ),변호승 ( Ho Seung Byu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5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요구분석을 통하여 대학에서 필요한 교수자들의 이러닝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전국 대학 교수학습지원센터에서 운영되고 있는 교수자 중심의 이러닝 지원 프로그램 및 문헌 분석을 통하여 4가지 영역을 도출하였다. 4가지 영역은 교수자의 이러닝 교수-학습 방법, ICT 및 테크놀로지 인식, 교수 철학, 교수 능력이다. 도출된 4가지 영역을 중심으로 요구분석 설문문항을 개발하였으며, 요구분석을 통하여 대학 이러닝 역량강화프로그램 개발 시 고려되어야 할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미흡했던 교수자의 요구를 반영한 이러닝 역량강화프로그램 개발 방안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프로그램에 대한 개선요구도 도출을 위해 보리치(Borich) 공식을 활용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교수자를 위한 실질적인 이러닝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이러닝 콘텐츠 개발과 LMS 구축을 위해서 ‘이러닝 교수-학습 방법’이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둘째, 교수매체 제작과 교수-학습 인프라 구축을 위해서는 교수자의 ‘ICT 및 테크놀로지 인식’을 기반으로 한 요구분석이 선행되어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e-티칭포트폴리오와 강의공개 지원을 위해서는 교수자의 ‘교수 철학’을 배경으로 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넷째, 이러닝 교수법 개발과 교수 워크숍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 교수자들이 향상되기를 원하는 ‘교수 능력’이 반영되어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guidelines to develop training programs to increase university faculty’s e-learning competencies through needs assessment. To achieve the goal, e-learning programs in 14 Teaching and Learning Centers (CTLs) as well as literature were analyzed. Four areas were identified; e-learning teaching & learning, ICT & technology perception, teaching philosophy, and teaching ability. Needs assessment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the four areas, thus guidelines to develop training program was suggested. Borich formula was used in extracting improvement needs for the e-learning competencies program. Suggestions for successful management of training program was proposed as following: First, training programs that effectively apply e-learn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ology should be developed. Second, needs assessment based on instructors’ ‘ICT & technology perception’ should be conducted to help instructional media development and construct teaching & learning infrastructure. Third, program development should be based on instructors’ ‘teaching philosophy’ to support e-teaching portfolio and open lecture, Fourth, e-learning instructional methods and instructional workshops should be developed after reflecting instructors’ ‘teaching 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