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문학에서의 ‘고양이[猫]’ 명칭(名稱)과 별칭(別稱)에 대한 고찰(考察)

        김경 ( Kim Kyung ) 한국한문학회 2019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74

        본고는 한문학에서 고양이의 명칭과 별칭을 통해 선인들이 고양이를 어떻게 인식하였고, 고양이의 명칭과 별칭이 어떠한 방식으로 문학에 형상화되었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猫와 猫를 비교하여 고양이에 대한 명칭을 살펴보았다. 猫의 本字가 猫이기에 초기문헌에서 고양이는 猫로 기록되었다. 猫에서 부수에 해당하는 豸를 통해 선인들은 현재 고양이와 다른 살쾡이에 가까운 동물로 인식하였다. 게다가 猫라는 한자에 苗가 활용된 것은 고양이가 농작물인 싹을 보호하는 동물이라 여겼기에 그 명칭에 활용하였다는 점이다. 고양이의 별칭은 생김새[相], 타고난 기질이나 본성[性]에 따라 명명하였다. 烏圓, 蒙貴, 高伊는 고양이의 눈과 사냥능력에 주목한 것이다. 즉 고양이를 靈物로 대우하였기에, 敬稱의 의미가 담겨있다. 다만 오원은 경우 문학작품의 제명으로 활용되면서 경칭의 의미는 감쇄하였다. 銜蟬, 啣蝶, 狸奴라는 이 별칭들은 입과 생김새에 주목한 美稱으로 주로 문학작품에서 확인되었던 것들이다. 다만 狸奴는 미칭이면서도 고양이 특유의 야생본능이 발현될 때에는 卑稱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고양이의 야생성은 인간과 공생하면서도 보존하였는데, 인간은 이에 대해 신기함과 두려움, 혹은 미천함 등으로 인식하였기에 고양이의 별칭에는 인간이 고양이에게 느꼈던 감정과 인식의 多面性이 반영되어 있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 고양이와 인간의 관계를 이해하고, 고양이에 대한 인식을 일별 하였으며, 고양이를 소재로 한 작품에서 특정 별칭이 사용되는 경우, 별칭의 유래와 함의를 통해 작품에 대한 풍부한 이해가 가능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how the ancestors perceived cats through cat's names and nicknames in Korean Literature in Chinese Classics, and how they were expressed in the literature. For this purpose, firstly the paper examines cat's names by comparing 猫(Myo) and 猫(Myo). Since the original character of 猫(Myo) is 猫(Myo), a cat was recorded as 猫(Myo) in very early literature. Due to the fact that the radical of 猫(Myo) is 豸(Chi), it was confirmed that the ancestors recognized cats as animals similar to wildcats, different from the current cat. Furthermore, the fact that the 苗(Myo,seedling) were used in 猫(Myo), also proved that the ancestors recognized cats as animals protecting crops and applied such feature in their names. The nicknames of cats are named according to their appearances, natural temperaments and natures. 烏圓(O-won), 蒙貴(Mong-gwi), and 高伊(Go-i) were the nicknames focused on cat’s eyes and their hunting ability. In other words, since cats were treated as spiritual beings, those nicknames seem to include respectful attitudes towards cats. The nicknames such as 銜蟬(Ham-seon), 啣蝶(Ham-jeop), and 狸奴(Ri-no) are euphemistic terms focusing on muzzles and figures. and those nicknames were mainly appeared in literary works. In the case of 狸奴(Ri-no), even though it was an euphemistic term, when peculiar wild natures of cats were expressed, it was used as a vulgar term. The wild natures of cats were preserved despite their coexistences with human beings, and humans had feelings of creepiness, fearfulness and vulgarness towards cats and reflected those emotions in creating their nicknames. Through these facts, this paper identifies a relationship between cats and humans and a perception towards cats. It also made it possible to understand literary works better through origins and implications of those nicknames.

      • KCI등재

        사노 요코 그림책에 나타난 고양이 캐릭터의 상징적 의미와 표현기법

        황순선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7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49

        Cats used to be long avoided in Korean culture due to prejudices on their negative implications, yet they are increasingly being favoured by domestic readers along with a growing number of cat lovers, picture books, essays and webtoons. In the case of Yoko Sano's work, half of her published books in Korea depicts cats. Among those is 'The Cat That Lived a Million Times' which is a worldwide million seller. The research analyses five picture books on cats published in Korea, focusing on finding out symbolic representation of cats other than merely being the protagonist of the book. Sano asserts that we respect our own free well and love ourselves just as cats do in her books. In conclusion, cats in Sano's work mostly represent the author herself, which are sometimes depicted as mother and son. The colours and thick outlines of her cats, unlike tender characteristics, describes self-righteous strong personality, while emphasising both static and dynamic movements. 한국은 오래전부터 '고양이 앙화'에 대한 선입견으로 고양이를 많이 꺼리는 문화였지만 근래 들어 반려동물로 고양이가 증가하고 고양이 소재로 그림책과 에세이, 웹툰 등이 국내 독자에게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사노 요코 그림책을 살펴보았을 때 국내 출판된 그림책의 약 50%가 고양이를 소재로 한 그림책이며 이중 '100만 번 산 고양이'는 전 세계적으로 밀리언셀러이다. 연구방법은 사노 요코 그림책에 표현된 고양이 캐릭터가 그림책 스토리 주인공 외에 다른 상징적 의미가 있는가? 를 중심으로 국내 번역 출판된 작가의 고양이 캐릭터 그림책 5권을 사례로 분석하였으며 결과로 도출된 그림책의 고양이 캐릭터 성격 및 상징적 의미와 표현기법을 이미지와 함께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로 사노는 고양이를 통해서 고양이가 고양이듯 우리 자신의 ‘자유의지’를 존중하며 사랑할 것을 그림책에 담고 있다. 결론으로 그림책에서 고양이 캐릭터의 상징적 의미는 대부분 작가 자신이고 때로는 아들과 엄마로 상징됨을 알 수 있었다. 공통으로 사용된 캐릭터 색과 유사한 짙은 윤곽선은 온유한 캐릭터와 때로는 독선적인 강한 성격 그리고 정적이거나 동적인 움직임을 극화시키고 있다.

      • KCI등재

        고양이의 야성(野性)에 내재된 공적 폭력의 사적 이전양상 연구

        권유리야 한중인문학회 2014 한중인문학연구 Vol.44 No.-

        본고는 고양이의 야성을 현대 대도시의 정치력의 공백을 메우는 비공식적 감정장치로 본다. 현대의 정치술은 모든 면에서 공식적인 제도를 완벽하게 구축하기보다 사적인 요소를 활용하여 정치력의 공백을 은폐하는 공 적 폭력의 사적 이전에서 성패가 좌우된다. 이에 본고는영화 5편, 소설 5편을 통해서 고양이가 대도시가 문제 를 확장한 후 다른 형태로 치환해 버린폭력적 상태라는 사실을 고찰하고자 한다. 첫째, 작품 속에서 고양이는 대도시의 공적 폭력이 사적으로 이전되는 비공식적인 감정 장치다. 이때 고양이 는 실체가 아닌 대도시에 관련된 환란의 기호이며, 파국의 공포를 도취적으로 감상하는 기호로 작용한다. 이 과정에서 공포에 휩싸인 개인들은 무기력하고 비합리적인대중으로 합치된다. 하지만 고양이에 의해 매개되는 대중적 일체감은 진지성이 결여된 파괴적쾌락의 부산물일 뿐이다. 둘째, 고양이에게 이전되는 폭력은 학대와 환대라는 극단적 이분법으로 구체화한다. 고양이를 범죄의 이미지 로 낙인 찍고 이를 징벌적 쾌락의 근거로 삼는 것이 학대의 오락이라면,고양이를 인간의 감성에 맞게 고양이 의 특성을 편집하는 친밀감은 환대의 오락이다. 외견상달라 보이는 두 가지 태도는 대도시의 살상의 본능을 고양이를 통해서 해소하는 오락적 폭력이라는 점에서 같다. 셋째, 이에 대한 대안으로 본고는 고양이 문제를 도시형동물이라는 범주로 확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1인가 구의 증가, 저출산과 고령화현상이 가속화하면서 이제 대도시에서 동물은법의 외부에서 내부로 이동하고 있 다. 이제 고양이는 단순히 인간의 정서를 보조해주는 비공식적 역할에서 독자적이고 공식적인 제도의 영역으 로 진입하고 있다. 도시형동물에 따르면 인간은 스스로 충족된 내부적 존재가 아니라, 도시 속 동물과의 관계 에 의해 결정되는 외부적 존재다. 그런 점에서 대도시는 인간과 동물의 경계를 나눌 수 없는 회색지대이며 반 휴머니즘의 공동체이다. 인간과 동물에게 선험적으로 주어진 정체성은 없으며, 대도시는 동물과의 관계에서 정체성이 형성되는 끊임없는 변화의 과정이 공간이다. This manuscript began from questions about phenomenon that asmetropolitan civilization progresses, wild nature of cats has become morepopular though cats are not domesticated. The reason why wild nature of catshave the limelight in civilized city in spite of long live with human beings isthat the wild nature functions as private transfer of public problems whichinformally fills up the blank of political power. In civilized society, wild natureis not being perfectly controlled, but it is just concealed into various privatedevices. Surge of exposure frequency of cats in the media is because catsfunction as a emotion device that privately resolves suppressed wild nature ofmetropolis. This way, the manuscript studied private transfer of public violence inherentin wild nature of cats, regarding cats more than simple biospecies. Image ofcats that function as collapse symbol not violating city’s regulation inmetropolis which does not permit violence can be identified in Cat’s eye, Catsdo not exist in cat novel, Mina, Reservoir, Seven cat’s eyes, Double life of cats,King of cats, Cabinet, Galapagos. In these works, cats are not alive organism. They are collapse symbols realizing violent states that metropolis magnifiedproblems and changed them into other forms. Private transfer of public violence specifies hospitality and abuse by extremedichotomy. Although entertainment hospitality and entertainment abuse seemsdifferent outwardly, the two are equal in that it is entertainment violencereleasing killing instinct through entertainment. If abuse is punishingpleasure, hospitality is just affinity pleasure. They are both sacrificing cats intoemotional politics in human society. These were considered through Brokedtown cats, Cat dance, Puss in Boots, Garfield, Witch delivery man Kiki, Thedog, the cat, Cats and Dogs. Everyday loneliness, emotional solution on metropolis which falls asdisposable consumables of system should be solved preferentially in order tosustain metropolis. Being aware of these aspects, this manuscript has toconsider alternatives to private transfer of public violence, expanding cats tourban animals. Hello, Thanks cat, Be cheerful, cats, Gugu is a cat, Catsborrowing, Cat’s repay suggests the gray zone coexisting human and animalsof the notion anti-humanism community as alternatives.

      • KCI등재

        韓國漢詩에서 ‘ 고양이 [ 猫 ]’ 意象의 체계와 의미

        김 경(Kim, kyung) 대동한문학회 2019 大東漢文學 Vol.59 No.-

        본고는 고양이 漢詩의 意象을 연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한국한시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고, 의상을 방법론으로 삼아 고찰하였다. 나아가 의상의 체계를 확인하기 위해서 고양이에 대한 접근시선에 주목하였 다. 고양이에 대한 시선은 관념적 시선, 필요에 의한 시선, 친근한 시선으로 구분되었다. 먼저 관념적 시선은 고양이의 의상체계에서 典範性의 위치를 차지하며 제사의 神, 仁慈, 표리부동의 의상으로 詩化되었다. 필요에 의한 시선에 이르러서는 작가의 시대상황과 결부되면서 고양이는 능력자와 무능력자, 약탈자의 의상으로 變奏되었다. 마지막으로 친근한 시선은 전범적 의상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양상이었기에 個性的인데, 고양이는 주로 작가의 처지와 심상을 대변하는 동물로 閑靜과 유대감의 의상으로 詩化되었다. 이처럼 한국한시에서 고양이의 의상은 관념적인 시선(전범)-필요에 의한 시선(변주)-친근한 시선(개성)으로 전환되며 확장되었다. 그러나 그 과정은 선형적이기보다는 무선형적이며 산발적이다. 이는 고양이에 대한 인식이 작가마다 다르고, 동일 작가라 하더라도 詩作에서의 고양이는 多面性을 지니기 때문이었다. This paper aimed to analyze images of cats in Korean poetry in classical Chinese. For this purpose, it researched Korean poetry in classical Chinese as a subject of study, and examined images as a methodology. Additionally, for identifying a system of images, the research paid attention to various perspectives about cats. The research found that various perspectives about cats were classified by ideality, necessity and intimacy. Firstly, the perspective classified by ideality took a leading place as a classic. And classic images of cats were expressed in poems as a god of ritual, benevolence and ambidexterity. Secondly, the perspective classified by necessity was varied as a competent or incompetent being and a plunderer in associating with a situation of the time of authors. Lastly, the perspective classified by intimacy was individual because it was relatively free from classical images of cats. And in this perspective, cats were expressed in poems as images of peacefulness and a sense of fellowship mainly representing situations and minds of authors. Thus, images of cats in Korean poetry in classical Chinese were changed and extended from an ideal perspective(ideality) into a perspective by necessity(variation) and an intimate perspective(individuality). However, this process was rather nonlinear and sporadic than linear. It was because perceptions about cats were different by authors. And it was also because cats had various facets when they were expressed in poems even if same author wrote poems about cats.

      • KCI등재

        〈青猫>의 系譜와 詩趣 : 鴎外ㆍ白秋ㆍ竜之介ㆍ朔太郎 그리고 한국 근대시

        梁東国(Yang Dong-kook) 한국일본문화학회 2001 日本文化學報 Vol.11 No.-

        본고는 萩原朔太?의 가장 큰 시적 테마였던 〈푸른 고양이〉라는 이미지에 주목해, 그와 일본근대시단과의 횡적관계 및 한국근대시와의 영향관계를 고찰했다. 朔太?의 제 2시집 『?猫』의 출발은 근대문명에 대한 동경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곧 도회에 대한 동경으로 이어지며 그의 섬세한 감성과 은유에 의해 시어로서 승화된 것이 〈푸른 고양이〉이다. 또한 실생활에서 체험한 인생의 좌점감에 의해 〈푸른 고양이〉는 「우울한 고양이」로 그려진다. 그러나 근대문명에 대한 관심과 「푸른 고양이」의 시어는 森?外、北原白秋、芥川?之介、福士幸次、大手拓次 등 많은 일본근대시인들도 공유하고 있었다. 이는 사쿠타로가 동시대의 일본 근대시인으로부터 적지 않은 자극과 시적 교류를 주고받았으며 한편으로는 그들과 영향관계에 있었음을 알려주는 좋은 예라 할 것이다. 한편 이 〈푸른 고양이〉의 이미지는 황석우와 이장희 등의 한국 근대시에도 등장하는데 이는 한ㆍ일 근대시가 깊은 상관관계에 있음을 암시한다. 어쨌든 도회문명의 동경과 우울한 시적자아를 나타내는 〈푸른 고양이〉는 일본 근대시의 중심적 시어의 하나였음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한국 근대시와의 영향관계를 보여주는 상징적 시어였다. 朔太?가 〈푸른 고양이〉의 이미지를 보다 상징적으로 그릴 수 있었던 것은 동시대의 근대시인과 끊임없는 문학적 교유를 통하며 문학적 영향을 받았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한편으로 朔太? 특유의 정서와 음악성, 나아가 문학성을 지닌 이미지와 리듬을 재창조해 내적 심화를 기한 것이 그를 일본시단의 정점에 이르게 했으며 이는 적지 않은 한국 유학생이 그의 시에 매혹된 최대의 연유이기도 하다. The Aoneko (The blue cats), Sakutaro's second collection, consolidates the appearance of free style verse on the literary stage. The "blue cats" the main motif of this collection, as is indicated by the title, contains a symbolic and visionary meaning. An examination of the image of the "blue cats" in Sakutaro's collection, Aoneko, will prov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symbolism of modern Japanese poetry. This image gives expression to the anxiousness and nervousness of modern life. In other words , the author uses this image as an expression of self-pity and hanker after the gaiety of city life, a feeling common to many modern poets. The image of the "blue cat" was popular among many Japanese modern poets, appearing in the works of not only Sakutaro but also Hukushi Kojiro, Kitahara Hakushu, Oote Takuji and others. It evoked a certain empathy between man and animal as the author compared himself to a blue cat, and took root in the modern Japanese poetry. Sakutaro's very individual poetic sensibility became a dynamic force, inspiring epoch-making changes in modern poetry, not only in japan but also in korea. This thesis examines sakutaro's influence on Korean poetry and his images of a "blue cat", highlighting one aspect of the close connection between Japan and the establishment of modern Korean poetry and further, seeks to provide fresh insights into the role of sakutaro within the history of Japanese modern poetry.

      • KCI등재

        한국과 베트남의 띠 문화 비교 : 한국의 토끼 띠와 베트남의 고양이 띠를 중심으로

        To Minh Tung,구사회(Sa-Whae Gu) 한국문화융합학회 2019 문화와 융합 Vol.41 No.3

        본 논문에서는 한국인과 베트남인의 토끼와 고양이에 대한 관념을 중심적으로 분석하면서 비교함을 통해 왜 베트남에서 토끼가 고양이로 변하게 되었는지 설명하였다. 한국과 베트남은 같은 한자를 공유하며 사용했으나 각각 나라마다 자기 문화의 특수성을 지니는 것이 당연한 것이며 동물에 대한 관념과 태도 역시 각 나라와 민족마다 다를 수밖에 없다. 한국 경우는 12지 동물 구성을 중국에서 그대로 받아들였다. 다만 12지 동물이 언제 한국에 들어왔는지를 따지는 시기와 수용과정에 대한 문제들을 밝히는 것을 중요 과제로 삼을 수 있다. 반면에 베트남은 한국과 달리 중국의 것을 받아들였지만 조금 바꿔 사용해 오고 있다. 예를 들어서 소는 물소로, 토끼는 고양이로, 양은 염소로 대체했다. 베트남은 중국과 다른 생활환경의 차이나 지리적 기후적 차이 때문에 12지 동물 수용과정에서 12지 상징 동물이 저절로 바뀌게 되었다고 하거나 오역의 결과 때문이라고 설명된다. 다시 말하자면 토끼가 고양이로 대체된 경우는 토끼는 베트남에서 농작물에 해치는 동물뿐만 아니라 사람의 삶에 도움이 되지 않는 동물인 반면, 고양이는 벼를 먹는 쥐를 쫓아내주는 유익한 동물이라서 토끼를 고양이로 바꾸었다는 가설이 있다. 또 다른 설명은 卯(mǎo-토끼)는 중국어 발음에서 베트남어 ‘Mèo’(매우)와 가까운 음이 있기 때문에 베트남에 들어와 뜻도 달라졌다고 한다. 본 논문에서는 12지 동물 중 4번째 위치의 변화를 중국과 대조하면서 설명하도록 한 것이며, 동물에 대한 관념과 문화는 한국과 서로 비교했다. 따라서 속담, 옛 이야기, 민화 등을 통해서 한국의 토끼는 약한 사람을 상징하는 동물형인 반면에, 베트남의 고양이는 강한 사람의 상징하는 동물로 알려져 있다는 것 등을 밝혔다. 이 논문을 통해 12지 동물에서 4번째에 위치하는 한국의 토끼 띠와 베트남의 고양이 띠를 살펴보면서 양국의 토끼와 고양이에 대한 전통문화 요소를 보여줌으로써 양국의 12지에 4번째로 위치한 동물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This paper compares the perceptions of Koreans and Vietnamese regarding cats and rabbits to explain why “rabbits” in the Chinese and Korean zodiac was changed to “cat” in Vietnam. Korea and Vietnam both use the Chinese zodiac characters, but each country has its unique culture, and each nation has its own opinion and attitude about each animal. Korea’s 12-sign zodiac system has not changed any of China’s signs, so comparing its zodiac system with China’s is not necessary. However, it may be important to clarify the problems of acceptance when the 12-sign Chinese zodiac came to Korea. In contrast, Vietnam has received this part of the culture from China but changed it somewhat and uses it to this day. For example, in Vietnam, some zodiac symbols are changed: “cow” became “buffalo”, “rabbit” became “cat” and “sheep” became “goat”. Many people explain that it is due to differences in living conditions, geographical locations, and climate, so during the process of receiving the 12-sign Chinese zodiac system, it was naturally changed, or in some cases was caused by a wrong translation. In the case of “cat” replacing “rabbit”, in Vietnam rabbits are not only harmful to agricultural products but are also animals that are not useful in the lives of farmers. In contrast, cats are useful animals because they help kill harmful rats, so “rabbit” was replaced by “cat”. Another explanation, has it that the Chinese word 卯(“rabbit”) is pronounced roughly the same as the word “Mèo” (“cat”) in Vietnamese, so when the word 卯 enters Vietnam, it also changes its meaning. This study explains the change of position four in the 12-sign zodiac system through comparison with China, and makes comparisons with Korean culture in terms of concepts related to animals. Proverbs, folk tales, and folk paintings make it clear that Korea’s rabbit is a symbol for weakness, while in contrast, Vietnam’s cat is a symbol for strength. In this study, I examine the Korean rabbit and Vietnamese cat, which are located position four in the 12-sign zodiac system, by demonstrating traditional cultural elements of rabbits and cats in both countries.

      • KCI등재

        일본 고양이 캐릭터에 관한 사회문화적 연구

        신희경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8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7 No.4

        Background: The design forming our everyday surroundings is generally distributed worldwide and favored by the general public. However, some designs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a specific country, derived from the unique cultural factors of that country. The national character designs fall under that example. Every country has a national character and in Japan, long lasting popular characters are cat characters, such as Doraemon or Hello Kitty. Presently in Japan, cat characters, including Hikonyang, are enjoying unprecedented popularity. Through these cat characters that Japanese favor,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depths of Japanes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Methods: Cats have two contrasting images: a wild image representing intelligence and strength of a predatory animal; then a domestic image representing warm and laid back character of a peacefully sleeping pet cat. Depending on which characteristic is emphasized, an entirely different character is made. This study examines the Japanese cat characters drawing upon the domestic images from a sociocultural point of view. Result: The results show that the unparalleled popularity of cats and the birth of ‘Yuru chara-ゆるキャラ’ character stem from these factors: sociological aspect of aging society of Japan, historical origin of Makineko, and Japanese unique sense of cultural aesthetic based on the traditional aesthetic of Japan [かわいい]. Influence from traditional Japanese animism also promotes the personification of characters, resulting in favoring of such characters. Conclusion: The preference for the Japanese cat character is reflection of the aging of population of Japan and the desire to be laid-back and freely express themselves. 연구배경: 우리 주변의 생활세계를 형성하는 디자인은 전 세계에서 유통되고 선호되는 디자인이 일반적이나, 그 나라만의 독특한 문화적 요인으로부터 유래하여 그 나라의 특징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경우도 있고, 그러한 캐릭터가 있다. 일본에서 가장 장수하며 인기 있는 캐릭터는 도라에몽, 키티처럼 고양이 캐릭터이다. 현재 일본 사회는 히코냥 등 새로 탄생한 고양이 캐릭터를 위시하여 공전의 고양이 붐을 이루고 있다. 그들이 선호하는 고양이 캐릭터를 통하여 일본 사회 문화의 심층적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고양이는 상반되는 이미지를 갖고 있다. 즉 맹수성을 간직한 야성, 명석하고 영리한 두뇌, 강한 힘을 상징하는 야성적 이미지와, 반려묘의 태평스럽게 오랫동안 잘 자는 모습에서 야기되는 푸근함, 온화함, 느긋한 이미지로, 어느 쪽을 강조하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캐릭터가 탄생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고양이 캐릭터 중 후자에 편중된 일본의 고양이 캐릭터를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바라보았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노령화 등 사회학적인 면, 마키네코 등 역사적 유래, 일본의 전통적 미의식에서 유래한 일본 특유의 [かわいい]문화 미의식에서 공전의 고양이 붐과 ‘유루 캬라-ゆるキャラ’캐릭터가 탄생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본의 애니미즘적 전통사상의 영향도 캐릭터의 의인화를 상승시켜, 캐릭터 선호를 강화하였다. 결론: 일본의 고양이 캐릭터에 대한 선호는 인구 노령화와 일본인들의 태평하고자, 또 자유롭게 자신을 표현하고자하는 이상적 상이 함께 반영된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제주 마라도에 서식하는 고양이(Felis catus)의 개체군 크기 및 행동권 추정

        김유진,이우신,최창용 한국환경생태학회 202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4 No.1

        섬에 유입된 고양이(Felis catus)는 외래 포식자로서 섬 고유종의 멸종이나 절멸, 생물 다양성 감소 등의 직접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제주도의 부속섬인 마라도(N 33° 07′, E 126° 16′)에 유입되어 서식하는 고양이의 개체군 현황과 행동권, 서식지 이용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2018년 3월부터 2018년 7월까지 직접관찰과 포획-재포획법을 통해 개체수 추정 결과, 번식 가능한 성체 총 20마리를 확인하였다. 이 중 10마리에 GPS 무선추적장치를 부착하여 추적한 결과 고양이의 행동권 크기는 12.05±6.99 ha (95% KDE: kernel density estimation), 핵심서식지 크기는 1.60±0.77 ha (50% KDE)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행동권과 핵심서식지의 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10마리 중 8마리가 먹이획득이 쉬운 인간 거주지역을 핵심서식지로 이용하였다. 또한 마라도에 번식하는 멸종위기종인 뿔쇠오리(Synthliboramphus wumizusume)의 번식지에 5마리, 섬개개비(Locustella pleskei)의 번식지에 6마리가 접근하는 것을 각각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마라도의 고양이 개체수와 행동권에 대한 정보를 최초로 파악하였으며, 특히 고양이 행동권 분석을 통해 철새와 멸종위기종에 대한 가해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철새와 멸종위기 조류의 서식지인 마라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고양이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향후 고양이의 포식압, 고양이와 멸종위기 조류 개체군의 변동에 대한 모니터링에 관한 연구와 함께, 필요시 고양이 개체군 관리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Domestic cats (Felis catus) introduced to insular environments can be invasive predators that often threaten endemic species and cause biodiversity loss or local extinction on the island.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to July 2018 to understand the population size, home range, and spatial use of cats introduced to Mara Islet (N 33° 07′, E 126° 16′) in Jeju Special Governing Province, the Republic of Korea. Observation records based on their natural marks revealed that there were 20 adult cats on Mara Islet. A capture-recapture method also estimated 20 adult individuals (95% confidence interval: 20-24 individuals). According to our telemetry study on ten adults deployed with GPS-based telemetry units, the home range size was 12.05±6.99 ha (95% KDE: kernel density estimation), and the core habitat size was 1.60±0.77 ha (50% KD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home range and core habitat sizes by sex. The home range of domestic cats overlapped with the human residential area, where they might secure easy foods. Five of ten tracked cats were active at potential breeding colonies for the Crested Murrlet (Synthliboramphus wumizusume), and six approached potential breeding areas of the Styan's Grasshopper Warbler (Locustella pleskei), suggesting the predation risk of the two endangered species by cats. This study provides novel information on the population size and home range of introduced cats on Mara Islet which is an important stopover site of migratory birds as well as a breeding habitat of the two endangered avian species. Reducing the potential negative impacts of the introduced cats on migratory birds and the endangered species on Mara Islet requires monitoring of the predation rate of birds by cats, the population trends of cats and endangered breeding birds as well as the effective cat population control and management.

      • KCI등재

        韓國 題畫詩에서 구현된 고양이[猫]와 그 의미

        김경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20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50 No.-

        This paper aims to research about painting poetries on cats. Subjects of study are Korean poetries written in Chinese. Through comparison and contrast with painting poetries of China, it examines methods of literary imagery and perceptions for cats of our ancestors. Cats in painting poetries are expressed in fixed images and diverse images. First, through superficial expression of a painting, a fixed image of cats nature is appeared. Painting poetries describing other animals also shows similar aspect. Second, diverse images are a way of describing various facets of a cat. Through interpretive expression of a painting with poet’s perspective, he reveals his likes and dislikes for a cat. In the process of expressing it, superficial expression of a painting is used as a means for describing a meaning of the painting. Various previous stories are utilized. Thus, since the positiveness and negativeness are intersected in the subject, and also superficial and interpretive expressions of a painting are intersected in the method of expression, painting poetries describing cat are able to capture multidimensional aspects of a cat. In conclusion, an aspect of painting poetries about cats is deviated from general characteristics of typical painting poetries. This is becaus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cats has a greater influence than the generic character of painting poetries in the process of writing. 이 논문은 고양이를 대상으로 한 題畫詩를 연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한국 제화시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고, 중국 제화시와 비교·대조를 통해 선인들의 고양이에 대한 인식과 문학적 형상화 방식을 고찰하였다. 제화시 속 고양이는 고정된 이미지와 다양한 이미지로 구현된다. 첫째, 고정된 이미지는 畫面을 통해 고양이의 본성을 구현하는 데 중점을 둔 것이다. 이는 다른 동물을 대상으로 한 제화시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양상이다. 둘째, 다양한 이미지는 고양이의 多面性을 묘사하는 방식이다. 주로 畫意를 통해 시인의 시선을 투영하여 고양이에 대한 好惡를 드러내었다. 이를 구현하는 과정에서 畫意를 위해 畫面을 동원하는 방식 및 다양한 전고를 활용하였다. 이처럼 주제양상에서도 긍정과 부정이 교차하고, 구현방식에서도 畫面과 畫意가 교차하기에 고양이가 상징하는 다면성을 담아낼 수 있었다. 결국, 고양이를 소재로 한 제화시의 경우 제화시의 전개와 관습에서 벗어난 양상인데, 그 주된 원인은 인간과 고양이의 關係性이 제화시의 속성보다 더 큰 영향력을 행사했기 때문이다.

      • KCI등재

        “길냥이를 부탁해”: 포스트휴먼 공동체의 생정치

        전의령 ( Jun Euyryung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7 韓國文化人類學 Vol.50 No.3

        ‘도둑고양이’에서 ‘길고양이’로의 급격한 명칭의 변화에서도 보듯이, 지금의 생정치적 맥락에서 동네와 골목이라는 도시 공간에 서식하는 고양이라는 동물은 손쉽게 죽일 수 있는 존재이기보다는 가능한 한 살게 해둘 또는 살려야 할 존재가 되었다. 이는 물론 20여 년 전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등장한 ‘반려동물’ 문화(즉, 네 가구 중 하나 꼴로 존재하는 반려동물의 증가), 그것에 의해 추동되는 반려동물 산업의 성장 및 동물 관련 각종 TV프로그램들의 등장과 가시적으로 연결된다. 이 논문은 길고양이를 바라보는 이 같은 시선의 변화를 단순히 동물권의 확장 또는 생명 존엄성과 생명 감수성의 증대라는 진보의 프레임이 아닌, 동물, 동물-인간 관계, 더 나아가 ‘인간’을 인식하고 관리하고, 더 나아가 통제하는 방식의 변화라는 차원에서 접근해보고자 한다. 길고양이가 ‘생의 주체’이자 돌봄의 대상으로 점차 가시화되는 현상은 생권력(biopower)에 관한 푸코의 논의가 인간을 넘어서 비인간으로 확장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길고양이 관리의 최적화를 목표로 한 서울시의 “길냥이를 부탁해” 사업에서 생명관리의 대상으로서의 길고양이라는 새로운 정의는 길고양이와 인간에게 각각 다른 방식의 (재)주체화를 요구한다. 이 논문은 그와 같이 거시적이고 가시적 차원에서의 변화가 사실상 현장에서 상충하는 돌봄 모델들, 그 안에서 생산되는 길고양이에 관한 이질적 정의 및 개입 방식들에 의해 유보되고 있음을 서술하고 궁극적으로 그 과정에서 동물복지가 규정하는 포스트휴먼 공동체가 어떤 모습으로 구체화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In the present biopolitical moment, feral cats that roam around in the edges of urban spaces in South Korea have become beings that should be allowed to live or to be rescued, and are no longer killable as they were before. The emergence of the unprecedented prevalence of pet ownership (i.e., one in every four households), growth of the pet industry, and increased popularity of related TV programs serve as a point of departure for understanding the new situation of feral cats. In this article, I address this shift, not in terms of the growth in animal rights or the progress in the sanctity of life, but in terms of a shift in the way of seeing and governing the animal-human relation. The social recognition of cats as the subject of life and the object of care allows for Foucauldian discussion of biopower to be extended to the study of the non-human animal. “Take care of street cats,” which aims at the optimization of Seoul city government’s feral cat control, redefines feral cats as the object of biopolitical care, which in turn demands the (re)-subjectifications of both cats and humans. In this article, I discuss how this shift in the animal-human relation is being heterogeneously constituted by models of care and meanings of “life” that are conflicting in the field and explain that, in the process, the concrete face of the posthuman community of animal welfare is rendered vis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