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희상금보』의 <진악해(進樂解)> 연구

        최선아 한국국악학회 2014 한국음악연구 Vol.55 No.-

        본 연구는『오희상금보(吳熹常琴譜)』의 <진악해(進樂解)>가 당나라 대문장가 한유(韓愈, 768~824)가 쓴 가상 인물 간의 문답내용으로 구성된 <진학해(進學解)>와 유사한 제목과 형식으로 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만약에 <진악해>도 <진학해>처럼 실제로는 가상의 인물을 내세운 거문고보 편찬자의 자문자답이라면, <진악해>에 등장하는 인물을 실재의 인물로 간주하여 편찬자와 간행인을 추정한 선행연구는 재고의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먼저 선행연구에서『오희상금보』의 편찬자와 간행인 그리고 편찬지역 등을 추정하는 근거로 사용된 <진악해>의 전반부와 아직까지 학계에 소개되지 않은 후반부 기록을 모두 검토해 보았다. <진악해>의 전반부는 ‘진악(進樂)’ 즉 ‘악(樂)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설명이 아니라, <진악해>의 저자 오희상이 거문고보를 편찬하게 된 동기와 편찬한 거문고보의 체제 및 구성에 대한 내용이다. <진악해>의 후반부는 손님과 오희상의 대화중에 오희상의 음악관이 구체적으로 드러나는데, 스토리텔링으로 자신의 음악에 대한 지식과 생각을 설득력 있게 전달한다. 오희상은 자신의 음악관이 옛 성현의 것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옛 문헌에서 증거를 찾아 고증하거나 문답에 의해 변증하는 등 음악에 대한 해박한 지식과 명확한 견해를 밝히고 있다. 그리고 거문고보 편찬의 근거 역시『시경(詩經)』에 있음을 강조한다. 오히려 옛날과 달라진 지금의 음악 현실을 직시하지 않고, 고루하고 치우친 시각으로 현실의 음악을 바라보는 손님을 위시한 일부 문인지식인들의 태도가 잘못된 것임을 지적한다. 다음으로 <진악해>의 형식․등장인물․제목과 내용의 조화 여부 등에 관해서 한유의 <진학해> 및 <진학해>가 패러디한 작품으로 알려진 동방삭(東方朔)의 <답객난(答客難)>, 양웅(揚雄)의 <해조(解嘲)>와 비교․대조하여 <진악해>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진악해>는 제목과 문답형식을 통해서 <진학해>를 패러디한 작품임을 의도적으로 드러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진악해>도 <진학해>와 유사하게 가상의 인물을 내세운 거문고보 편찬자의 자문자답이라 할 수 있는데, 다만 거문고보 편찬자의 형상이 <진악해>의 등장인물에 투영되어 있으며, 특히 허구의 인물인 손님을 통해서 스스로를 비판하는 동시에 세상을 질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끝으로 <진악해>는 제목에서 악(樂)의 원론적인 문제를 거론하지만 내용에서 음악현실을 대비시켜 놓음으로써, 이미 퇴색되어 버린 화두에 집중하기보다는 당시의 음악 현실을 제대로 진단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글쓴이의 의도가 담겨 있다고 하겠다. 결국 <진악해>는 패러디기법을 이용하여 문학적 유희를 추구하고, 스토리텔링을 통하여 이야기의 화자인 이경순과 손님 그리고 오희상의 음악관과 민간 풍류방에서의 음악적 경험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title and contents of <Jinakhae> of Ohheuisang Geumbo(吳熹常琴譜) are similar to those of <Jinhakhae(進學解)>, written by Han, Yu(韓愈, 768~824), master writer of Tang Dynasty, which is composed of questioning and answering among imaginary characters. If <Jinakhae> is a monologue of geomungobo compiler behind imaginary person as <Jinhakhae> is, there can be a room for reconsideration of existing studies assuming compiler and publisher of <Jinakhae> based on its characters taken as real people. First, both the first half of <Jinakhae>, used as an evidence assuming a compiler, a publisher and a publishing region of Ohheuisang Geumbo in existing studies and the second half which has not been introduced to the academic world are examined. The first half of <Jinakhae> is not an explanation for ‘Jinak(進樂)’, that is ‘what music is’, but it is about the motive of Oh, Heuisang for compiling of geomungobo and its system and structure. The second half of <Jinakhae> reveals a specific view of Oh, Heuisang on music through conversations with a guest and him. By storytelling, he conveys his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music. With historical evidences, questioning and answering, Oh, Heuisang explains that his view on music is not that different from the one of old saints. He also emphasizes that grounds for compilation of geomungobo are based on ones of Sigyeong(詩經), compiled by old saints. Rather, he criticizes attitudes of writers of the times, including a guest, who did not face reality of music different from the past and treated music of the time with old and biased views. Second, on harmony of form, characters, title and contents of <Jinakhae>, features of <Jinakhae> are examined in comparison and contrast with <Jinhakhae>, <Dabgaeknan(答客難)> and <Haejo(解嘲)>, which <Jinhakhae> parodied. It was verified that <Jinakhae> used its title and the questioning and answering form to reveal its intention to parody <Jinhakhae> on purpose. Similar to <Jinhakhae>, <Jinakhae> can be considered a compiler monologue of geomungobo behind imaginary person. However, a shape of the author Oh, Heuisang is reflected in characters of <Jinakhae>. Through a guest, who is a fictional person, in particular, he criticizes himself and the world at the same time. Last, <Jinakhae> addresses reality of music while it mentions a theoretical problem of music in its title. Therefore, it is identified that the writer intended to tell that it is more important to diagnose right reality of music of the time than to focus on already faded topics.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Jinakhae> sought for literary amusement using a parody and effectively delivered views on music of Lee, Gyeongsun, who is a narrator of the story, a guest and Oh, Heuisang and musical experiences in private pungryu room(風流房), using storytelling.

      • KCI등재

        梁漱溟의 이상적 인간상에 관한 연구

        이경남(Lee Kyung-Nam) 한국양명학회 2002 陽明學 Vol.- No.8

        이 논문은 梁漱溟의 大人意識을 통하여 오늘날 우리가 추구해야할 ‘바람직한 인간상’ 이 무엇인가를 고찰한 것이다. 양수명의 사상은 陽明哲學을 중심으로 두고 있으면서 서양철학을 수용하는 태도를 견지하고 있다. 따라서 그의 인간관은 바로 이론과 실천이 합치된 지행합일의 인간상이 바탕이 되며, 이는 狂者의 모습으로 묘사할 수 있다. 양수명은 이러한 바람직한 인간상을 염두에 두면서 그들이 함께 실현할 수 있는 공동사회에 대한 일정한 대안을 갖고 있었다. 그것은 ‘新社會’ 라고 규정되며, 새로운 사회의 구현을 위한 실천방안은 향촌건설운동으로 나타난다. 그가 현실을 직시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태도에서 우리는 바로 광자 곧 열의를 가진 실천인 그리고 참된 즐거움 곧 眞樂을 즐기는 大人의 모습을 찾을 수 있다. 그렇다면 대인의식의 내면적인 주체는 무엇인가? 양수명의 표현을 빌면 그것은 바로 直覺인데, 직각은 양지 또는 양심이라고도 할 수 있다. 보통사람들은 近道의 경지에 머물러 있지만 참된 인간 곧 대인은 완전한 직각을 지닌 경지에 있는 존재이다. 이러한 知行合一과 致良知가 투영된 양수명의 이상적인 인간관은 정보의 시대를 살아가는 삶 속에서 상실된 인간성을 회복하는데 한 지침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essence of the model man now and here under reviewing the Great Man(大人) spirit of Liang Shu-Ming(梁漱溟 1893~1988). Liang constructed his unique idea by filtering contemporary western ideas based on traditional Chinese Yang-Ming philosophy(陽明哲學). Basically, Yang-Ming philosophy emphasized on the conformity between knowing and doing(지행합일). Thus, Liang's model man idea came out of it. He coined his idea with the name of the Enthusiasm Man(狂者). He thought his New Society must be full of such model men. Actually, he, also one of his model men, tried to participate in the real world and establish new society by Home Town Reconstruction Movement(鄕村建設運動). Liang's Enthusiasm Man represents a man of doing with passion and a great man enjoying his life with Great Pleasure(眞樂). Such spirit is basically rooted in the insightful eye on the reality and active attitude toward the life itself. By the way, what is the substance of the Great Man spirit? Liang pointed out the Great Man spirit consisted of Intuition(直覺), which came from Yang-Ming's idea, primordial knowledge(良知) or conscience. Liang recognized ordinary people stayed at the stage of ordinary knowledge, while Great Man followed the imperatives of primordial knowledge by insightful intuition. In conclusion, Liang's model man spirit tells us the importance of recovering the natural human spirit at this Information Age. So, the pursuit of primordial knowledge by intuition will be recommended as a way of recovering the human nature and reinforcing desirable competencies our communities require at this moment.

      • KCI등재

        조선 후기 한성(漢城)의 풍류에 관한 고찰

        문주석 한국국악학회 2014 한국음악연구 Vol.56 No.-

        본 연구는 조선 후기 한성(漢城)을 중심으로 번성했던 풍류(風流)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첫째, 지리적 공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시회와 시사 등의 풍류가 전개된 한성의 지리적 공간을 파악하고자 한다. 둘째, 한성의 우대 지역을 중심으로 전개된 시회(詩會)․악회(樂會)․시사(詩社)․가단(歌壇) 등의 풍류활동에 참여한 다양한 구성원들이 풍류를 통하여 발현하고자 한 진시(眞詩)․진경(眞境)․진악(眞樂)에 대한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셋째, 조선 후기 풍류와 관련된 그림과 문헌자료의 내용을 통하여 조선 후기 한성에서 이루어진 풍류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들을 확인하고자 한다. 조선 후기 한성의 풍류에 대하여 논의한 내용을 정리하면, 첫째, 조선 후기 한성의 풍류는 북악산과 인왕산을 중심으로 전개되었으며, 한성의 우대와 인근지역을 중심으로 유행처럼 번져간 시사는 인왕산과 청계천 등지의 중인들을 중심으로 발달하였다. 둘째, 현실을 바탕으로 시인의 감흥을 여과 없이 진솔하게 표현하고자 한 진시운동은 진경(眞境)과 진악(眞樂)으로 확대되었으며, 풍류객의 흥과 흥취를 가감 없이 표현한 시(詩)를 노래로 부르기도 하였다. 나아가 실재적인 공간과 자연환경에 순응하며 즐기는 풍류의 모습이 그림과 음악으로 나타난다. 셋째, 풍류행위에는 풍류 참가자들의 자율적 의지와 실천이 동반되며, 정형화된 풍류의 틀은 없으나, 언제․어디서․어떻게․누구와 풍류를 할 것인가에 관한 사항은 고려 대상이었다. 최고의 풍류를 향유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마음을 나눌 수 있는 벗이다. 넷째, 풍류공간은 자연이 연출해줄 때 까지 상황을 기다리는 수동적 풍류에 머무르지 않고, 모임의 참가자들이 상황을 주도하는 적극적 풍류행위도 나타난다. 다섯째, 풍류 모임에서 연주되는 음악은 획일화된 음악이 아닌 악기구성의 다양성을 통하여 새로운 음악적 시도들이 있었다. 조선 후기 한성의 풍류는 개방성․다양성․자유로움을 바탕으로 마음을 나눌 수 있는 벗을 중시하였다. 자기만족과 닫힘의 풍류에서 공유와 소통의 풍류로 확대 발전한 것으로 평가된다. In order to examine the pungnyu(refined taste in arts) aspects prevailing in Hanseong(today’s Seoul) in the late Joseon Period, this study focuses on:First, the geographical space of Hanseong where various pungnyu activities including sihoe(poetry parties) and sisa(poets’ societies) developed in the late Joseon period. Second, the significance of jinsi(true poetry), jingyeong(true-view landscape painting), and jinak(true music) that the participants attempted to reveal through their various pungnyu activities such as sihoe(poetry parties), akhoe(music parties), sisa(poets’ societies), and gadan(singers’ societies). Third, the details of the pungnyu aspects presented in the pictures and literature materials in relation to those activities in the late Joseon period. To summarize what is discussed in this study, it is as in the following:First, the pungnyu activities developed mainly in Bukak mountain and Inwang mountain in Hanseong in the late Joseon period, and the poetry parties, which was an epidemic, particularly developed centering on the vicinity of Inwang mountain by the jungin people(the middle class) residing near Inwan mountain and Cheonggyecheon. Second, the True-Poetry Movement advocated to express the poets’ sentiments realistically extended to other genres leading true-view landscape paintings and true music, which was often composed of the tasteful poems by the pungnyu lovers depicting genuine sentiments. Such style of enjoying pungnyu also appears in arts and music, depicting the actual space and the pungnyu lovers who adapt themselves to the natural environment. Third, they considered when, where, how, and with whom to do such pungnyu activities, which were accompanied with the voluntary commitment and practice of the participants, though they didn’t have certain norm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 pungnyu enjoyment is a friend to share one’s heart with. Fourth, the space of the pungnyu activities is not of a natural result but of the participant-driven result. Fifth, the music played in the pungnyu parties was not uniform but in diversity by different orchestrations in new musical attempts. The pungnyu lovers in Hanseong in the late Joseon period highly regarded the friends who they could share the senses of openness, diversity and freeness. Therefore, it can be considered to have expanded and advanced to the pungnyu culture of sharing and communicating, from that of the closed and self-satisfaction.

      • KCI등재후보

        진락당(眞樂堂) 김취성(金就成)의 시에 나타난 지향의식(志向意識)

        이구의 ( Lee Ku-eui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7 韓國思想과 文化 Vol.87 No.-

        이 논문은 조선 중기에 살다간 진락당(眞樂堂) 김취성(金就成: 1492∼1550)의 시에 나타난 지향의식을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그가 생존하던 시대에는 우리나라에 성리학이 무르익어 갈 때였다. 그가 일선학맥(一善學脈)의 가운데 심학(心學)을 계승하였다. 그가 벼슬을 하지 않았지만, 마음이 넓었으며, 학문이 깊고, 욕심이 없어 학자로서 갖추어야 할 덕목을 두루 지녔다. . 그가 남긴 시는 모두 철리적(哲理的)인 것이다. 그가 시에서 감정보다는 이성을 중시하였다. 순수 문학 면에서 보면 그의 시가 다소 부족한 점이 있다. 그가 남긴 시를 통하여 그가 지향의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락당이라는 당호를 통하여 그가 참 즐거움의 이치를 추구하였다. 그가 추구한 추구한 진락(眞樂)의 의미는 자연의 이치에 따라 순리대로 살아가는 것이다. 둘째 맑은 거울을 통하여 자신의 욕심 없이 맑은 마음을 굳게 지키고자 하였다. 자신의 마음속의 때, 곧 욕심을 버려 맹자가 말하였던 호연지기(浩然之氣)를 추구하였다. 셋째 그가 사사로운 욕심을 막아 천리를 보존하고 자신의 겸손(謙遜)을 통하여 지행합일(知行合一)을 추구하였다. 넷째 그가 정명(正名)을 바탕으로 하여 그가 실천 행동과 학문에 있어서 체용겸비(體用兼備)를 지향하였다. 지금까지 진락당 김취성에 대한 연구가 전혀 없었다. 본고를 통하여 그의 삶과 문학이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그가 무엇을 지향하였는가를 알 수 있었다. 또 그가 태어나 자란 일선(一善: 善山)의 학풍이 어떠하였는가를 알 수 있었다. 그가 작품을 많이 남기지는 않았지만, 우리 한문학사에 있어서 그의 존재를 무시할 수 없다. 이 점이 한문학사에 있어 그의 위상(位相)이다. This article focused on discussing JinRakDang Kim Chuiseong`s life and the inclination of consciousness which appeared in his poems. He lived on middle era of Choseon Dynasty. He had leaved 6 pieces poems. In his living days the philosophy which based on the principle of human nature was become popular. He had succeeded to the vein of prosecution of studies of Seonsan district. It`s called the principle of practical or popularized ethics. The works which he leaved were the philosophical principles. The consciousness of inclination in his poems was appeared 4 aspects. Firstly, He pursued the principle of real pleasure. The name of his house was the House of real delight. Secondly, through the clean or bright mirror, he protected his mind from avariciousness. Thirdly, with blocking up his own covetousness, he pursued the inseparability of knowledge and practice. Fourthly, he also pursued combine of the thing and its functions or a principle and its application which based on justification of his moral duty. He did not leave many piece of poems but he had succeeded to the vein of prosecution of studies of Seonsan district. Further more, he had become popular the principle of controling mind. At this point he should not be disregarded.

      • KCI등재

        碧梧 李文樑의 삶과 시세계

        권진호(Kwon, Jinho) 대동한문학회 2021 大東漢文學 Vol.69 No.-

        본 논문은 碧梧 李文樑(1498~1581)의 삶과 시세계를 조명하였다. 고려 말 軍器寺 少尹을 지낸 李軒이 예안 汾川에 정착한 이후, 영천이씨 집안은 대대로 벼슬과 문한이 끊이지 않고 문인학자들을 배출하였다. 聾巖 李賢輔 (1467~1555) 형제와 그의 아들대에 이르게 되면 안동 지역의 명망있는 가문으로 성장하게 된다. 특히 선대로부터 내려온 부모에 대한 효성과 형제간의 우애는 家風의 특징이 되어 후손들에게 전해졌다. 이문량은 이같은 家學的 배경 하에 出仕보다는 退處의 삶을 택하여 대부분 향촌에 기거하면서 부친과 아우들을 대신하여 집안의 대소사를 도맡아 경영하였다. 그러나 60세 때 잠시 관동지역의 平陵道 察訪직을 수행하면서 33수의 시를 지어 ‘平陵紀行’이라고 하였다. ‘평릉기행’의 시적 내용은 직책을 수행하면서 느끼는 즐거움보다는 낯설은 지역에서 느끼는 외로움과 客愁를 달래는 내용이 대부분이었다. 더 이상 관직생활은 그에게 무의미한 것이며, 궁극적으로 그가 원하는 삶은 고향으로 돌아가 아름다운 산수간을 노닐며 그 속에서 ‘참다운 즐거움[眞樂]’을 찾는 것이며, 부친인 농암의 九老會의 전통을 이어받아 孝養을 실천하는 것이었다. 특히 효양의 실천은 예안 영천 이씨의 가풍적 특징이며, 나아가 16세기 이 지역의 지성사와 풍속사의 한 특출한 면모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life and poetry world of Munryang Lee(1498~1581) known by his pen name Byeogo. His family of Lee which originated from Yeongcheon turned out literary scholars with successive government positions and literary arts after Heon Lee settled at Buncheon, Yean. Hyeon Lee worked as Soyun, an official position to Gungisi in charge of defense acquisition. His family of Lee came to be prestigious in the Andong region with the appearance of Munryang’s father Hyeonbo Lee(1467~1555) known by his pen name Nongam, his uncle and himself. His family was characterized by filial devotion and affection between siblings which were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Under such influence of his familial learning, Munryang Lee preferred secluded life to a public position. He mostly resided in his hometown and took care of all sorts of family matters for his father and younger brothers. However, at the age of sixty, he worked as Chalbang, a traffic official in Pyeongreungdo of the Gwandong area. At that time, he wrote thirty three poems, naming them ‘Traveling in Pyeongreung’. This anthology mostly expressed his loneliness and weary heart felt in a strange place rather than his delight at the performance of his public duties. He found it meaningless to lead a life of a public official. What he really wanted was to find ‘true pleasure’ in returning home and roaming amid beautiful mountains and streams, and to inherit the tradition of Gurohoe(a group of nine elderly men) and discharge filial duties. Above all, his family of Lee which originated from Yeongcheon was characterized by such filial devotion, which was remarkable in the intellectual and folkloristic history of the Andong region.

      • KCI등재

        퇴계(退溪)의 문학(文學)에서 유인(幽人)의 생활(生活) 담론(談論) 연구(硏究)

        金秉權 ( Kim¸ Byeong-kweon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0 퇴계학논총 Vol.36 No.-

        退溪의 聖學은 마음과 대화하며 사물의 이치를 知覺[깨달음]하는 마음공부이다. 마음의 구조는 虛靈하며, 그 기능은 대상의 이치를 知覺하는 것이다. 마음이 이치를 탐구하여 통달하고 그것을 익혀서 실천하는 사람은 무엇을 하든 어디로 가든 걸림이 없는 자유인이 된다. 따라서 마음공부의 목적은 자아의 맑고 깨끗한 本性을 발견하고 修養함으로써 自由自在한 聖人의 경지에 이르는 것이다. 退溪의 詩는 자연과 대화하며 山水가 마음에 저절로 준 즐거움을 말하지 않을 수 없어서 쓴 문학이다. 이때의 즐거움은 억지로 구하여 얻은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억지로 구한 즐거움은 마음의 집착이 되므로 無欲의 청정한 마음에서 일어난 즐거움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청정한 마음의 自由自在한 즐거움이 참된 즐거움[眞樂]이며, 이는 말로써 형언할 수 없으나 말하지 않으면 즐거움을 전할 수가 없으므로 비유의 형식인 詩로 지은 것이다. 退溪의 生活은 사람과 대화하며 道理를 지키는 德行의 실천이다. 그는 자기를 버리고 남을 따르지 못하는 것이 큰 病이라고 제자들에게 가르쳤고, 제자들은 退溪에게서 이것이니 저것이니 구분하는 境界가 없었다고 전한다. 구분은 공동체가 분열하는 원인이 된다. 남을 따르지 못하는 病은 구성원이 대립하는 원인이다. 따라서 퇴계의 생활은 분열하고 대립하는 현실에서 사회적 統合과 구성원의 和樂을 가르치고 실천한 의미가 있다. 이치에 통달하는 마음공부, 이치가 마음에 준 즐거움을 표현한 문학, 도리를 지키고 덕행을 실천한 생활은, 공동체의 화합과 즐거움을 지향한 인간의 本性的 價値를 合理化한 談論이다. 이러한 退溪의 談論은 인욕에 집착함으로써 인간성을 상실한 시대에 自我를 完成하고 他人과 調和를 이루며 살아가는 道理와 德行을 과거에도 안내해 왔으며 현재와 미래에도 안내할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退溪의 心學에 근거하여 그의 詩 가운데 幽人이 등장하는 「天淵翫月」에 표현한 즐거움의 본질을 분석함으로써 공동체의 和合을 지향한 談論을 도출하는 데 있다. This article draws a discourse of value rationality to pursue a cohesive community by reviewing Teogye’s poem, titled 天淵翫月(Cheonyeonwanwol) and analyzing it based on his theory of mind. In his poem, a metaphor is used to compare the clear moon symbolizing Toegye’s theory of mind and the moon blocked by the cloud describing any personal avarice such as obsession and greed. The theory of mind is based on two concepts: a structure of innocent mind and perception regarding how people perceive this structure as a matter of principle. These two essential concepts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behavioral ethics of studying a structure of mind and perceiving a principle. The behavioral ethics suggested by Toegye should be continuously exercised to prevent any personal avarice from differentiating between the two ideological hegemony. Then the innocent mind can be upheld by these efforts. Like the clear moon shining on the land, people following these behavioral ethics can enjoy an essential pleasure without worrying about personal avarice and ideological conflicts. Toegye’s life and pursuit of purpose can be inferred in his poem. Toegye, in his life, actually pursued his behavioral ethics, studying a structure of mind and perceiving a matter of principle by communicating with members of his community. He also had efforts to keep a lookout for personal avarice and to avoid differentiating between ideological conflicts. The poem, titled 天淵翫月 (Cheonyeonwanwol), reflecting an essential pleasure caused by his exercising behavioral ethics, implies how the transitional stage to transforming mechanized and digitalized society overcomes ideological conflicts and establishes a cohesive community.

      • KCI등재
      • KCI등재

        眞樂堂 金就成의 시에 나타난 志向意識

        이구의 한국사상문화학회 2017 韓國思想과 文化 Vol.87 No.-

        이 논문은 조선 중기에 살다간 진락당(眞樂堂) 김취성(金就成: 1492∼1550)의 시에 나타난 지향의식을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그가 생존하던 시대에는 우리나라에 성리학이 무르익어 갈 때였다. 그가 일선학맥(一善學脈)의 가운데 심학(心學)을 계승하였다. 그가 벼슬을 하지 않았지만, 마음이 넓었으며, 학문이 깊고, 욕심이 없어 학자로서 갖추어야 할 덕목을 두루 지녔다. . 그가 남긴 시는 모두 철리적(哲理的)인 것이다. 그가 시에서 감정보다는 이성을 중시하였다. 순수 문학 면에서 보면 그의 시가 다소 부족한 점이 있다. 그가 남긴 시를 통하여 그가 지향의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락당이라는 당호를 통하여 그가 참 즐거움의 이치를 추구하였다. 그가 추구한 추구한 진락(眞樂)의 의미는 자연의 이치에 따라 순리대로 살아가는 것이다. 둘째 맑은 거울을 통하여 자신의 욕심 없이 맑은 마음을 굳게 지키고자 하였다. 자신의 마음속의 때, 곧 욕심을 버려 맹자가 말하였던 호연지기(浩然之氣)를 추구하였다. 셋째 그가 사사로운 욕심을 막아 천리를 보존하고 자신의 겸손(謙遜)을 통하여 지행합일(知行合一)을 추구하였다. 넷째 그가 정명(正名)을 바탕으로 하여 그가 실천 행동과 학문에 있어서 체용겸비(體用兼備)를 지향하였다. 지금까지 진락당 김취성에 대한 연구가 전혀 없었다. 본고를 통하여 그의 삶과 문학이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그가 무엇을 지향하였는가를 알 수 있었다. 또 그가 태어나 자란 일선(一善: 善山)의 학풍이 어떠하였는가를 알 수 있었다. 그가 작품을 많이 남기지는 않았지만, 우리 한문학사에 있어서 그의 존재를 무시할 수 없다. 이 점이 한문학사에 있어 그의 위상(位相)이다. This article focused on discussing JinRakDang Kim Chuiseong’s life and the inclination of consciousness which appeared in his poems. He lived on middle era of Choseon Dynasty. He had leaved 6 pieces poems. In his living days the philosophy which based on the principle of human nature was become popular. He had succeeded to the vein of prosecution of studies of Seonsan district. It’s called the principle of practical or popularized ethics. The works which he leaved were the philosophical principles. The consciousness of inclination in his poems was appeared 4 aspects. Firstly, He pursued the principle of real pleasure. The name of his house was the House of real delight. Secondly, through the clean or bright mirror, he protected his mind from avariciousness. Thirdly, with blocking up his own covetousness, he pursued the inseparability of knowledge and practice. Fourthly, he also pursued combine of the thing and its functions or a principle and its application which based on justification of his moral duty. He did not leave many piece of poems but he had succeeded to the vein of prosecution of studies of Seonsan district. Further more, he had become popular the principle of controling mind. At this point he should not be disregarded.

      • KCI등재

        왕양명 치양지론 분석 - 감정과 욕구와 경지 체험의 관점에서 -

        김준승(金俊承) 한국양명학회 2020 陽明學 Vol.0 No.56

        왕양명 사상의 핵심은 실천 철학으로서, 논리적 규명에 의한 지(知)가 아니라 체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이 세계는 각자 체험과 체득을 기반으로 한 ‘나’에 의해 재해석 되고 의미가 부여되는 것이다. 따라서 그의 양지론에서 양지의 발현은 지식적인 앎으로만 지속할 수 없으며, 각자가 직접 경지를 느끼고 체험을 통한 자각으로 지속할 수 있다. 이런 체험과 체득의 공부는 지금 자신 앞에 주어진 일을 통해 양지를 발현하며 연마해가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곧 각자에게 직면한 모든 사태(事態)에 대한 반응에서 사심 없이 양지의 덕성을 발현해가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 요구되는 것이 중화(中和)이며, 이것은 자신의 덕성지를 통한 마음의 공부와 연결된다. 왕양명의 치양지론에서 지속적인 양지의 실현을 방법론적으로 분석하면 먼저 양지를 실현하겠다는 의지를 내고, 그 의지를 지속적으로 밀고 나가며 자신의 감정과 욕구에 대해 관조하며 중절을 지키고, 그 중절을 잃지 않는 마음의 상태를 가지고 접한 사태 속에서 조리에 맞는 바른 실천을 행한다. 물론 이 모든 과정은 이론상의 단계 구분이며 실제의 사태에서는 거의 동시적으로 일어난다. 왕양명의 사상에서 치양지를 한다는 것은 결국 각자의 역량에 맞게 이루어지는데, 이것이 안정되기 위해서는 평시에 자신의 마음의 역량 구현 정도의 질을 높여야 한다. 양명학에서 가장 확실한 것은 바로 자신의 양지를 실현했을 때 갖는 체득이다. 이것은 단순 경험이 아닌 체득으로 이어지는 경험을 말하며, 그것을 통해 자겸(自慊)과 진실된 즐거움[眞樂]의 체험은 지속적인 양지 발현에 도움을 준다. The heart of Wang Yang Ming theory is practical philosophy, which consists not only of the knowledge(知) acquired through logical investigation, but also of the experience; that is, the world is reinterpreted and given its meaning through “oneself”, with individual experiences and learning as the basis. As such, the occurrence of “YangJi(良知)” in his “YangJi” theory can be continued only through the self-consciousness gained by direct individual experiences, not through the knowledge only. Such study of experiences and learning indicates the cultivation of oneself with the revelation of “YangJi” through the tasks given to each individual. This, in other words, refers to the revelation of the virtue of “YangJi” with no ulterior motive, in the response towards every state(事態) being faced by each individual. Neutralization(中和) is what is required to achieve such ends, which can be connected with the study of one’s mind through one’s moral character. To methodologically analyze the continuous realization of “YangJi(良知)” in the theory of “ChiYangJi(致良知)” of Wang Yang Ming, one should first produce the will to realize “YangJi”, keep carrying on the will while observing the discontinuance of one’s feelings and desire through contemplation, then act on the righteous behaviors according to one’s logic with the state of mind that keeps the spirit of discontinuance. Such processes are of course divided theoretically, and occur almost simultaneously in actual situations. Practicing “ChiYangJi(致良知)” in Wang Yang Ming’s theory is eventually accomplished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apacity, and as such, one should heighten the quality of the realization of one’s capacity of mind to stabilize one’s accomplishment. What is the most definite in the study of Wang Yang Ming is the learning experience acquired when having accomplished one’s “YangJi(良知)”. This refers to not just simple experiences but to the experiences that lead to learning, and the experience of JaGyeonm(自慊) and true pleasure(眞樂) gained through such learning shall help with the continuous occurrence of “YangJ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