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1950~60년대 북한의 ‘저′대[大笒]’에 관한 고찰 -『조선음악』ㆍ『조선예술』 소재 기사를 중심으로-

        문주석 한국국악학회 2020 한국음악연구 Vol.68 No.-

        1950~60년대 북한에서 진행된 저′대에 관한 다양한 논의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하여 1950~60년대에 북한에서 발간된 음악전문 잡지 조선음악(朝鮮音樂)과 종합예술잡지 조선예술(朝鮮藝術)에 수록된 저′대 관련 기사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1950~60년대 북한 저′대 관련 기사에는 악기적 특성과 연주적 특성 그리고 저′대 개량에 관한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기사 내용을 통하여 저′대를 둘러싼 전통의 보존과 현대적 계승에 관한 북한 내부의 흐름을 읽을 수 있었다. 연구내용을 알기 쉽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저′대의 음향적 특성은 깊숙하고 은은하면서도 야무지게 둥그런 투명한 소리와 우아하고 부드러운 음색과 인간의 내면세계에 감응할 수 있는 심미적 효과까지 연결하였다. 둘째, 저′대 연주의 방향성은 조선의 음악적 정서와 주법을 중심으로 악기의 특성을 발현해야 하며, 양악식 표현 또는 맹목적 모방 주법은 지양해야 하는 의견을 파악하였다. 셋째, 저′대 개량은 탁성의 제거와 전조를 원활하기 위한 악기의 음량 및 구조 개량 그리고 악기의 재질도 나무 저′대 및 도자기 저′대의 변화사례도 확인하였다. 넷째, 고음 저′대의 개발과 현장 적용사례를 확인하였다. 1950~60년대 북한의 저′대는 민족 악기 개량 사업과 민족관현악 편성에 필요한 악기구성의 조건을 충족해야 했다. 전통의 보존과 현대적 계승의 관점이 공존하는 시대상황에 놓여있었다. 저′대 개량의 진행 과정에서 도출된 다양한 음악들과 예술가들의 의견과 주장 그리고 논리들은 현 시점에서도 되새겨볼 사항 이다. 본고는 선행연구에서 나타나는 외부적 시선에서 진행한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 북한 지역 내부자 관점에서 저′대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articles relevant to Jeodae[大笒] included in Joseon(朝鮮) Music, a music magazine and Joseon Art, a comprehensive art magazine published in North Korea from 1950s to 1960s, in order to figure out various discussions on Jeodae in North Korea in the period. The articles involve how this instrument had been modernized as well as its musical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properties. Through the investigation into these articles the study finds out arguments on the presevation and modern inheritance of Jeodae inside North Korea. The findings are as the following : Firstly, Jeodae, with elegant and soft timbre, acoustically features in its deep and soft, yet firm and clear sound making aesthetic effect that drives inner response of humans. Secondly, there are opinions on the performance of Jeodae that the players should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this instrument by focusing on the musical sentiment of North Koreans and its playing techniques, and that its expression in or blind following of the Western music style is to be sublated. Thirdly, Jeodae had been modified not only in its volume and structure to ease the modulation and to remove dull tones, but also in its materials as wood to ceramic. Fourthly, it is found that high pitched Jeodae were developped and applied in the field. From 1950s to 1960s, North Korea’s Jeodae had to meet the needs of the times during which the improvement project of national instruments and orchestration of national music required. North Korea was in the state of times that arguments coexisted that the tradition should be preserved and that it should be inherited in modernization. The various music produced in consequence of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Jeodae and the views and arguments of its artists are cogitable at this time. This study intends to help comprehend Jeodae from insiders’ point of view in North Korea while supplementing the precedent researches revealing limitations due to its conduction from the outsiders’ view points.

      • KCI등재

        시조에 나타난 ‘笛’의 역할

        문주석 한국음악사학회 2008 한국음악사학보 Vol.40 No.-

        A Study on Chk Used in the Old Korean Poetry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the chŏk, 笛 (vertical or transverse flute) which was appeared in old Korean poetry, sijo 時調. First, the types and status of chŏk, which was used as the subjects for the old Korean poetry, and its relativity with the actual musical instruments. Second, musical and cultural symbolism which is intended in chŏk.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chŏk as a musical instrument, it was examined in the cases of musical instruments for Korean court and folk music. For musical instruments for Korean music, chŏk is a large transverse bamboo flute. With the musical instruments for court music, yongjŏk 龍笛 (lit. drangon flute), changjŏk 長笛 (long flute), kangjŏk 羌笛 and okchŏk 玉笛 (jade flute) were another names for chŏk of Chinese musical instrument. Second, mokchŏk 牧笛 (shepherd's flute), tanjŏk 短笛 (short flute), chŏkdong 笛童 (lit. flute boy) and ch'ojŏk 樵笛 symbolizes chŏk as the harmony with nature, and ŏjŏk 漁笛 (fish flute) is the chŏk which reveals the Korean hŭng 興 emotion. Third, the existing interpretation of chŏk has run through p'iri 觱篥 (cylindrical oboe). However this study has revealed that according to the meaning and symbol of chŏk, the name of musical instruments are used differently. Thus the interpretation of chŏk shall consider musical and literacy contents when interpreted. Based on the contents of this study, I am expecting a interdiciplinary researches on music and literature of chŏk, which is accommodated and expressed as various meanings. 본 논문은 시조(古時調)에 활용된 소재 중에서 ‘적(笛)’과 관련된 내용을 중심으로 첫째, 시조의 소재로 활용된 ‘적’의 종류와 현황과 실제 악기와의 상관성 여부를 파악하였다. 둘째, 시조 작품 속에 나타나는 ‘적’이 내포하는 음악적문학적 역할을 고찰하였다.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악기로서의 ‘적’은 향악기(鄕樂器)와 아악기(雅樂器)의 경우를 가정하여 살펴보았다. 향악기의 경우에 ‘적’은 ‘대금(大)’이다. 아악기의 경우에는 ‘용적(龍笛)’‘장적(長笛)’‘강적(羌笛)’‘옥적(玉笛)’ 등이 모두 중국악기 ‘적’의 또 다른 명칭임을 확인하였다.둘째, ‘적’이 상징하는 의미는 자연과의 조화를 표방하는 ‘목적(牧笛)’‘단적(短笛)’‘적동(笛童)’‘초적(樵笛)’ 등이 있으며, ‘흥(興)’의 감정을 발현하는 ‘적’으로서, ‘어적(漁笛)’이 있다. 셋째, 기존에 ‘적’에 관한 번역은 ‘피리’로 일관되고 있으나, 본 논문에서 ‘적’의 의미와 상징에 따라서 악기의 명칭이 다르게 명명되는 경우를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적’의 번역은 음악적인 사항과 문학적인 내용을 고려하여 번역이 이루어져야 한다.다양한 의미로 수용되고 표현되고 있는 ‘적’에 대하여 본 연구내용을 바탕으로 음악분야와 문학분야에서 통섭의 학문적 효과를 기대한다.

      • KCI등재

        한국의 축(柷)에 관한 연구 - 조선시대 이후 현재까지 -

        문주석 한국국악학회 2016 한국음악연구 Vol.59 No.-

        본 연구는 음악을 시작할 때 연주하는 악기로 인식되고 있는 ‘축’에 내포된 음양오행과 악기의 상징성을 문헌 자료를 통하여 이해하고자하였으며, 각종 문헌자료와 의궤에 나타난 도상자료와 근대 사진자료를 활용하여 악기형태와 연주방법의 변화양상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내용을 알기 쉽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축(柷)의 글자에는 시작, 처음, 동쪽, 봄, 생명 등의 의미가 내포되어있으며, 지(止)에는 음악을 시작하되 절제를 잃지 않도록 주의를 환기시키는 경계의 의미가 있다. 둘째, 『악기』․『송사』․『악서』․『시악화성』․『증보문헌비고』 등의 자료와 박연의 상소문에 기재된 ‘축’의 수치와 『악학궤범』의 수치를 비교하여 차이점을 발견하였다. 셋째, ‘축’과 ‘지’의 시기별 변화양상을 살펴보았다. ‘축’의 외형은 옆면에 구멍이 있는 것과 윗면 가운데에 구멍이 있는 것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지’의 형상이 ‘⊥’에서 ‘∣’로 변화하였다. 현재 ‘지’의 외형은 짤막하고 단단한 몽둥이 형태이다. 넷째, ‘축’과 ‘지’의 악기외형 변화와 연주방법의 변화에 관한 상관성을 제시하였다. ‘축’ 옆면에 구멍이 있는 경우와 윗면에 구멍이 있는 경우 연주자의 연주자세 변화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지’가 ‘⊥’형상일 경우는 ‘축’의 밑바닥을 한번 내리치고, 좌우를 두 번 치는 것에서 일자형일 경우는 수직으로 바닥면을 세게 한번 내리치고 약하게 두 번 수직으로 내리치는 방법으로 변화하였다. 다섯째, ‘축’에 부착된 보호철판이 ‘축’의 문양으로 인식하는 사례와 ‘축’의 외면에 푸른색이 아닌 흰색, 민트색 등이 사용되는 오류 그리고 산수와 초목 대신에 꽃문양과 소나무를 그리는 사례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여섯째, ‘축’의 연주방법의 변화는 ‘응’이 북소리에 호응하여 바닥면을 치는 것과 ‘축’의 ‘고축삼성(鼓柷三聲)’ 연주형태와 비교하여 상호 연관성의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음악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기능과 역할을 담당하는 ‘축’의 의미와 중요성을 재인식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였으며, 악기의 실체적 모습과 의미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understand the philosophy of the Yin-yang and five elements of the universe(陰陽五行) inherent in ‘Chuk’(柷, a wooden box through with a wooden hammer), which is considered a musical instrument played to signal the beginning of music, and what it is symbolically used for. Utilizing various literature and images from royal protocol books to the modern photographic materials, I have examined the conformation of this instrument and the aspect of changes in its playing styles. To summarize what has been found from this study: First, the letter ‘Chuk’, which is its name, connotes the beginning, the first, the east, spring, life, while the letter ‘ji(止)’, which indicates the hammer to play with, connotes being on alert against losing of self-control once they begin playing music. Second, the numerical data relevant to the size of the instrument revealed in Akgi(樂記, Record of Music; a chapter of Book of Rites), Songsa(宋史, History of Song), Akseo(樂書, Book of Music), Siak hwaseong(詩樂和聲, A Comprehensive Book of Music), Jeungbo munheon bigo(增補文獻備考, The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of the Comparative Review of Records and Documents), and an appeal made by Park Yeon(朴堧, 1378~1458) are found to be different from those in Akhakqwebeom(樂學軌範, Musical Encyclopedia). Third, there were changes in the figures of ‘Chuk’, the wooden box and ‘ji’, the hammer in different times. There are two types of ‘Chuk’. One has a hole on one side while the other has in the middle. The figure of the hammer have gone through changes from the image of ‘⊥’ into the image of ‘∣’. It is in the shape of a short and hard club today. Fourth, the study found that there is corelation between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wooden box with the hammer and the changes in its playing styles. The idea that the different positions of its hole could have influenced the playing positions of the player led to a finding that the player struck the bottom of the wooden box once and the sides twice with the hammer when the wooden box was in the shape of ‘⊥’, while this playing style changed into which the player struck loudly the bottom of the wooden box once and gently twice with the hammer when the wooden box was in the shape of ‘∣’. Fifth, the study pointed out some issues related to erroneous recognition of the wooden box, such as the protective iron covers, the use of color, and the patterns used to decorate with. Sixth, it is found that the changes of its playing style is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the playing style of eung(應, a retangular cylinder-shaped wooden instrument) which was played in response to jingo(晉鼓, a big barrel-shaped drum).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a new understanding of the meanings and significance of ‘Chuk’ which is used to signal the musicians to begin playing music, in addition to implicit in its appearance.

      • 북한의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고각(鼓角)’ 연구

        문주석 남북문화예술학회 2007 남북문화예술연구 Vol.0 No.1

        To study musical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times regarding ‘drums and bugles(鼓角)’ on the basis of the drums and bugles presented in the ancient tomb mural of Goguryeo Dynasty in North Korea,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y combining the process of recording and reviewing historical document with the analysis process of ‘drums and bugles’ displayed on the ancient tomb mural of Goguryeo Dynasty. Findings of the research have shown that historical document had indicated 6 kinds of ‘drum’ in Goguryeo Dynasty-‘drum, Yo drum, Je drum, Dam drum, Gudoo drum and Yongdoo drum’, while ancient tomb mural had included 7 kinds, totaling 47 units-‘erected drum, horse drum, carrying drum, shaking drum, hand drum, hanging drum and large drum’. However, the facts of ‘large drum’ was not identified. There is no historical document that had specified the titles of musical instruments concretely with respect to ‘bugle’ of Goguryeo Dynasty, but existence of ‘horn bugle’ was identified through 『Dongguk isangguk jib』(volume three) and 『Samguk Sagi』.In the meantime, mural paintings in the ancient tomb mural had turned out to display 3 kinds, totaling 24 units - ‘small-horn bugle, big-horn bugle and twin-horn bugle’. Various kinds of drums and horn bugles in the 4th through 7th century were the product of efforts that Goguryeo Dynasty had made to turn the musical instruments from foreign countries into Goguryeo thing, which has consequently brought in an international recognition as a world music since 7th century. ‘Drums and bugles’ recognized by Goguryeo people in the times of ancient country, based on its being recognized as a holy treasure, had been treated as a holy musical instrument beyond a simple instrument, and its beat had also been accepted as unusual. 북한의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고각’을 중심으로 ‘고각’의 악기적특징과 시대적 의미를 연구하기 위하여, 문헌사료의 기록검토 과정과 고구려의고분벽화에 나타난 ‘고각’의 분석과정을 병행하여 진행하였다. 그 결과 고구려의‘고’의 종류는 문헌자료에서는 ‘고․요고․제고․담고․구두고․용두고’ 등 6종류와 고분벽화에서는 ‘세운북․말북․메는북․흔들북․손북․매단북․큰북’ 등7종 47개가 있었다. 그러나 ‘큰북’의 실체는 확인할 수 없었다. 고구려의 ‘각’에관하여 악기명칭을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는 문헌자료는 없으나, 『동국이상국집』 권3과 『삼국사기』에 기록된 내용을 통하여 ‘뿔나발’의 존재를 확인하였으며, 고분벽화의 벽화그림에서는 ‘작은뿔나발․큰뿔나발․쌍뿔나발’ 등 3종 24개를 파악하였다. 4~7세기의 다양한 종류의 북과 뿔나발은 고구려가 외래에서 수입된 악기를 고구려화하기 위한 노력의 산물이었으며, 7세기 이후에는 대외적으로 국제적인 음악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고대 국가시기의 고구려인들이 인지하는 ‘고각’은국가신물 인식의 바탕아래 단순한 악기의 차원을 넘어선 신성한 악기로서 취급하였으며, 그 울림 또한 예사롭지 않게 받아들여졌다.

      • KCI등재

        조선음악 소재(所載) 안기옥의 장단론 고찰

        문주석 국립국악원 2018 국악원논문집 Vol.37 No.-

        This study explores 12 pieces by An Gi-ok (安基玉) included in the North Korean journal, Joseon Music (朝鮮音樂), which are relevant to South Korean jangdan, literally “long and short,” or Korean rhythmic modes or patterns. In order to understand An’s view on rhythm patterns, this study analyzes Korean janggo (hour-glass drum) playing styles, and the classification methods of the rhythm patterns that An Gi-ok suggested, and compares them to other rhythm pattern-related materials provided by Kim Su-cheon (1939), The National Gugak Center (1969, 1982), Jang Sa-hun (1982), Kim Cheong-man and Kim Gwang-seop (2002), and Jeong Hwa-yeong and Kim Gwang-seop (2017), as well as the basic types of Korean rhythm patterns.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distinct features of the basic types of jangdan An Gi-ok talked about, identifying three categories: minsogak-jangdan (folk music rhythm patterns), jeongak-jangdan (court music rhythm patterns), and mudang-jangdan (shamanic rhythm patterns). The study concludes, first, that An Gi-ok’s terms for playing styles of gungpyeon (left hand technique) and chaepyeon (right hand technique) involve playing methods and dynamics. However, oral sounds for janggo presented by Kim Su-cheon (1939), Jang Sa-hun (1982), and Kim Cheong-man and Kim Gwang-seop (2017) present a weaker sense of dynamics. An Gi-ok put emphasis on using janggo rhythms for musical effects rather than opulence. Second, the folk-type jungmori rhythm pattern has three eighths (a dotted quarter) as its basic unit, creating a leisurely mood resulting from rests. The gutgeori rhythm pattern comprising 12-beats per cycle presents an adjustment of dynamics through “big” hand and mallet strikes (daegung/daechae) in the first half and “small” hand and mallet strikes (sogung/sochae) in the later part of the cycle. The taryeong rhythm pattern, which drives the music to its climax, features strong strikes using mak mallet (makchae) technique to give strength to the pattern while at the same time avoiding the use of short ornaments. A strong right hand technique and soft left hand technique are arranged distinctively in the slow jinyangjo rhythm pattern, in which a sense of emptiness is found through rests. Third, the pyeon rhythm pattern from the court music repertoire features an accent arranged on the ninth beat alone while proceeding mostly on the beat while at the same time avoiding short ornaments in order to comply with the songs and emotions. The janyeongsan rhythm pattern features right hand gung accents on the fourth and the eighth beats of the cycle with while ddeolchae (“trembling mallet”: deo-reo-reo-reo-reo) technique is applied to the ninth and the tenth beats. The yeombul rhythm pattern uses (in part) a variable rhythm pattern, and the dodeuri rhythm pattern uses only the basic type of rhythm pattern. Fourth, the salpuri rhythm pattern of shamanic music promotes dynamism through an adjustment of elements, simultaneously striking on the first beats of the 3-2-3 structured measures with the left and right hands. An Gi-ok emphasized the utilization of the basic types of rhythm patterns and sublated overuse of short ornaments. He expressed his opinion that it is the rhythm pattern played on the janggo that should play the role of maximizing musical effects. He contributed to the systematic transmission of rhythm patterns by classifying and organizing the diverse rhythmic modes of Korean music in Joseon Music, which we should hold in high esteem, given the turbulent period in which he was working. 본 연구는 『조선음악』에 수록된 내용 중 안기옥이 기술한 장단 관련 12편의 자료를 중심으로 남한의 장단론에 의거하여 안기옥의 장단론을 살펴보았다. 안기옥의 장단론을 파악하기 위하여 안기옥이 제시한 장고의 연주법 및 장단의 분류방법을 분석하였으며, 김수천(1939), 국립국악원(1969, 1982), 장사훈(1982), 김청만ㆍ김광섭(2002), 정화영ㆍ김광섭(2017) 등의 장단 관련 자료와 기본형 장단을 안기옥이 제시한 장고 관련 자료와 비교하였다. 또한 안기옥이 제시한 종류별 기본형 장단의 특징을 민속악 장단ㆍ정악 장단ㆍ무당 장단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되는 결론을 알기 쉽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안기옥이 제시한 장고연주법 관련 궁편과 채편 주법용어에는 연주방법과 강약의 의미가 내재되었다. 그러나 김수천(1939), 장사훈(1982), 김청만ㆍ김광섭(2002), 정화영ㆍ김광섭(2017)이 제시한 장고용어 관련 구음에는 강약의 의미가 약하다. 안기옥은 장고의 화려한 주법을 강조하기보다는 음악적 효과를 위해 장고주법을 사용하는 것을 강조하였다. 둘째, 민속악 장단 중 중모리장단은 8분음표 3개가 모인 점4분음표를 하나의 단위로 진행되며, 소리의 여백을 추구하는 장단의 여유로움이 특징이다. 12박(6+6박)의 굿거리 장단은 전반부를 대궁과 대채 주법을 사용하며, 후반부는 소궁과 소채 주법의 사용과 강약의 조절이 나타났다. 타령 장단은 곡의 절정을 연출하는 효과가 있는 장단으로 잔가락을 지양하고 박력있게 치기위하여 막채 주법을 활용하여 강하게 치는 특징이 있다. 진양조 장단은 강한 채편과 부드러운 궁편 주법의 역할분담이 명확하게 구분되고, 쉼표를 통한 비움의 의미가 진양조 장단에 내재되어있음을 파악하였다. 셋째, 정악 장단 중 편 장단은 노래와 감정을 고려하여, 장고의 잔가락을 배제하고 정박 위주의 진행을 하면서 제9박에서만 강세를 주는 특징이 있었다. 잔영산 장단은 제4박과 제8박에서 채편을 강하게 쳐주는 주법과 제9박과 제10박에서 채편을 떨채 주법을 사용하여 장고채를 떨어주는 특징이 나타났다. 염불 장단은 일부 변화형 장단을 사용하지만, 도드리 장단은 반드시 기본 장단으로 연주하는 특징이 있다. 넷째, 무당 장단 중 살푸리 장단은 3-2-3의 첫 박을 강하게 쳐주는 궁편과 채편을 동시에 이용하는 주법을 사용하여, 강약의 조절을 통한 장단의 역동성을 도모하였다. 안기옥은 장단은 기본형 장단에 충실해야하며, 과도하게 잔가락을 사용하는 것은 지양하였다. 음악의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한 역할을 장고 장단이 수행해야한다고 피력하였다. 안기옥이 『조선음악』을 통하여 역사의 격동기에 한국의 장단을 분류하고 정리함으로써 체계적으로 전승하는데 기여한 점은 매우 높게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현행 중학교 음악교과서 소재(所載) <아리랑> 고찰

        문주석 국립국악원 2013 국악원논문집 Vol.27 No.-

        Arirang, with its implicit diversity for the most significant value, was listed in UNESCO'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in the 7th conference by World Heritage Committee held in France, December 6th, 2012. This study began from a question on how well the implicit diversity of Arirang is reflected in music education in schools. In order to investigate what is being taught in schools in regard to the subject, I have analysed the Arirang songs included in the music textbooks of middle school of 18 kinds. Mainly focusing on how well the implicit diversity of Arirang is reflected in the music textbooks, I intended to propose some effective methods for teaching the diversity of Arirang by finding out the merits and demerits of school education on Arirra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18 music textbooks focusing mainly on its learning area, melodies, music scores and ornaments, I have found that the textbooks consist mainly of how to understand the melody of the Arirang songs and how to sing. Particularly, it leans too much towards on singing part, which is found to be less effective in educating the diversity of Arirang. In this paper, I have raised a question on educating the diversity of Arirang and claimed to reflect its comprehensive elements such as how to understand, sing, play and appreciate, including how to compose new Arirang songs. In addition, I have also proposed that the music textbooks of middle school should include contents that reflect such diversity of Arirang in a more cohesive and comprehensive manner in the future. Such approach to the diversity of Arirang in music education i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difference of the Arirang songs from different regions and learn to harmonize them. More over, music education need to be angled towards the students to help them create new Arirang songs on their own in consequence. <아리랑>은 2012년 12월 6일 프랑스 세계유네스코 제7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등재된 이유에는 <아리랑>에 내포된 다양성이 중요사항으로 작용하였다. 본 연구는 <아리랑>에 수반되는 다양성이 학교현장에서 어떻게 교육 내용으로 반영되어 있는가에 관한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학교에서 실시되는 <아리랑> 음악교육 내용을 고찰하기 위하여 중학교 음악교과서 18종에 수록된 <아리랑>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아리랑>의 다양성을 표출할 수 있는 교육내용이 음악교과서에 반영되어 있는가를 파악하는 부분이 본 연구의 주된 관점이며, 분석내용을 바탕으로 학교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아리랑> 교육내용의 장단점을 파악하여 <아리랑>의 다양성을 효율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중학교 음악교과서 18종의 분석은 학습영역․악곡․악보․시김새 등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아리랑>은 악곡의 이해와 노래 부르기 중심으로 구성되어있었다. 특히, 가창영역을 중심으로 <아리랑> 교육이 편중되어있어 다양성을 교육하는 측면에서는 학습 효율성이 떨어진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아리랑> 다양성 교육에 관한 문제의식을 제기하였으며, 복합적인 교육내용이 반영되어야함을 주장하였다. 복합적 교육내용에는 이해․가창․기악․감상과 더불어 창작영역도 추가로 제시하였다. 또한 향후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아리랑>의 다양성을 교육할 수 있는 내용이 복합적으로 반영될 것도 주문하였다. <아리랑> 다양성 교육에 관한 접근은 지역별 <아리랑>의 차이점과 특징 등을 교육을 통하여 다름이 아닌 차이를 이해하고 조화를 학습하는 것이다. 수업시간 학생들의 눈높이를 반영하여 학습자 스스로 새로운 <아리랑>을 만들어 부를 수 있는 방향으로 음악교육이 진행되어야할 것이다.

      • KCI등재

        시조(時調)에 함의(含意)된 거문고 연구

        문주석 한국음악사학회 2012 한국음악사학보 Vol.49 No.-

        In order to examine the implicit meaning of kŏmun'go also called hyŏn'gŭm 玄琴which was considered the best instrument among Korean musical instruments, I have investigated the poetic diction used in sijo 時調. The result of the study on the meaning and representation of kŏmun'go revealed in sijo is summarized below:First, there are various by-names for the instrument other than kŏmun'go or hyŏngŭm as a result of the wide interests and affection by the Confucian scholars in the Chosŏn 朝鮮period. Second, the lyrics depict the specific actions of tuning kŏmun'go or playing music,which implies that the instrument was meant not for appreciation or possession but for the practical use of playing music in daily life. Third, being paired with chrysanthemum, wind, moon and wine in addition to cranes, kŏmun'go appears with various objects in the lyrics.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kŏmun'go and a friend forms a positive image that is interdependent and complementary. Through this study, I have recognized that kŏmun'go was not considered something to be awed or a numinous instrument that belonged to the unapproachable realm,but was considered as a friend that was easily accessible by the Confucian scholars and the men of refined taste in the Chosŏn period. 시조 속에 나타나는 한국의 악기 가운데 거문고를 중심으로 의미와 상징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시조에 기록된 시어(詩語)들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시조를 통하여 발현된 거문고에 관한 의미와 상징성을 알기 쉽게 정리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조에 나타나는 거문고와 관련된 시어에는 거문고를 즐기고 애호하던 풍류객들이 부여한 거문고, 현금 이외에 다양한 명칭이 등장한다. 둘째, 거문고를 조율하거나 음악을 연주하는 구체적인 행위가 표현되어있다. 감상용이거나 소장용으로 곁에 두고 바라보는 박제화된 악기가 아닌 실제 연주용으로 풍류 활동 속에서 호흡한 악기였다. 셋째, 거문고와 짝을 이루는 대상으로 학 이외에도 국화ㆍ바람ㆍ달ㆍ술 등이 등장하여 거문고와 연관된 다양한 매개체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거문고와 벗의 관계는 상호의존적 또는 보완적 관계의 긍정적 이미지를 구현하고 있다. 이상의 내용을 통하여 시조를 통하여 조선시대 풍류객들이 생각하는 거문고는 경외의 대상이거나 범접할 수 없는 영역에 속한 신기(神器)가 아닌 주변에서 친근하게 접할 수 있는 벗과 같은 존재이자 풍류와 여유로움을 대변하는 악기였음을 인지하게 되었다.

      • KCI등재

        한국 고대 피리의 연원(淵源)에 관한 소고(小考) - 문헌기록을 중심으로 -

        문주석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0 민족문화논총 Vol.45 No.-

        ‘Piri(Korean Pipe)’ is written as Pillyul in Chinese character. It is categorized into a vertical instrument with Gyeobseo(Double reed) and an important wind instrument which leads the main melody in Korean traditional music plays. In this study, I have not only figured out the concepts and the shapes of different types of Piri, which was widely used over the ancient Central Asia, but also examined how the ancient Korean Piri was introduced from the countries bordering on Western China. In addition, I have mainly examined the relevant literature to ascertain parts of the fact on how the ancient Korean Piri was introduced and the process of its being introduced in accordance with domestic circumstances of music field. Focusing on the ancient and modern literature, I have studied on its names and structures including the channels of its dissemination. The following demystifies the result. 1. ‘Piri’ means ‘Pillyul’ and is written 觱篥, 篳篥 in Chinese character. It was also called ‘Biyul(悲篥)’, or ‘Gagwan(笳管)’, or ‘Duguan(頭管)’. 2. The Piri introduced to Goguryeo is a vertical instrument. 3. Piri is conjectured to have been introduced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to Goguryeo by the countries on the Silk Road such as Anguk, Soreuk, Guja, Gochang, Seoryang, Yeonak, etc.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Piri is a vertical wind instrument from the countries bordering on Western China. 4. In Goguryeo, there were Dae-Piri(large Piri) and So-Piri(small Piri) which were different in the length of the instruments, as well as Dopi-Piri, which was made of a peach skin, as a unique instrument of the time. 5. There is no literature proving that Pillyul and Ssang-Pillyul existed in Goguryeo, however, there is high possibility that they existed in the time, considering Piri playing image, carved on Jeokjoham stupa of Great Master Jizeung in Bongam-Sa and Ssang-Piri which has been transmitted in Ganghwa-Do. ‘피리’는 한자어로 필률(觱篥・篳篥)으로 표기된다. 한국 전통악기 분류방법 중에서 겹서(Double reed)를 가진 종적악기(縱笛樂器)로 분류되며, 한국 전통음악 연주시 주선율을 이끌어가는 중심역할을 수행하는 중요한 관악기이다. 본 연구는 고대 중앙아시아에 다양한 모습으로 산재했던 피리의 개념과 종류, 그리고 형태를 파악하고 한국고대 피리가 서역으로부터 어떻게 유입되었는가를 고찰하고자하였다. 또한 피리가 국내의 음악적 상황에 적응하며 수용되어가는 편린들을 문헌자료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피리가 어떻게 국내에 수용되었는가를 파악하기위하여 피리에 관한 내용이 기술되어있는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고대와 현대의 문헌기록을 중심으로 한국 고대 피리에 관한 명칭, 악기구조, 전파경로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상의 내용을 알기 쉽게 정리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피리’는 ‘필률’를 의미하며, 한자로는 觱篥, 篳篥으로 표기된다. ‘필률’ 이외에 ‘비율(悲篥)’, ‘가관(笳管)’ 또는 ‘두관(頭管)’의 악기명칭도 사용되었다. 둘째, 고구려에 유입된 피리는 갈대서와 관대를 가진 종적악기이다. 셋째, 피리는 안국・소륵・구자・고창・서량・연악 등의 실크로드 상의 국가들을 거치면서 직・간접적인 유입경로를 통하여 고구려에 전파되었을 것이다. 그러므로 피리는 서역계 종적관악기이다. 넷째, 고구려에는 관대의 길이를 달리하는 대피리와 소피리가 있으며, 복숭아 껍질을 이용한 도피피리도 고구려의 독자적인 악기로 사용되었다. 다섯째, 문헌기록에 나타나는 필률과 쌍필률이 고구려에도 있다는 기록은 발견할 수 없으나,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함에 조각된 피리 주악상과 현재 강화도에 전승되는 쌍피리 등을 고려하면, 고구려에서도 이 두 가지 악기가 존재하였을 개연성이 충분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