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한문 교과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의 '의미' 통일화 방안

        李東宰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4 漢字 漢文敎育 Vol.13 No.-

        본고는 7차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되어 검인정을 통과한 8종의 중학교 한문교과서를 중심으로 하여 중학교 교육용 기초한자 900자의 의미가 저자에 따라 ‘어떻게 풀이 되었는가’를 살펴보고, 그 ‘통일 방안’을 모색하는 장을 확대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고는 논의의 편의상 첫째, ‘字音으로 의미를 부여한 한자’, 둘째, ‘字音의 서술적 표현 한자’, 셋째, ‘관습에 의한 다양한 뜻풀이 한자’, 넷째, ‘난해한 의미의 한자’, 다섯째, ‘관습에 의한 과장?오류의 한자’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字音으로 의미를 부여한 잔자’를, ‘同音同義의 한자’와 ‘字音의 서술적 표현 한자’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同音同義의 한자’는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 가운데 15자가 있으나, 학습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한자는 ‘功’, ‘德’, ‘姓’, ‘城’ 등 5자이고, ‘字音의 서술적 표현 한자’는 29자이다. 둘째, ‘字音의 서술적 표현된 한자’이다. 전통적으로 한자의 뜻풀이는 ‘서술어’의 형태를 취하여 한자의 의미를 먼저 풀이하고, 뒤에 한자음을 붙여서 한자를 제시한다. 서술적 표현으로 ‘의미’의 통일이 안된 한자는 15자로 출판사에 따라 서술형으로 의미를 풀어하였거나, 명사형으로 의미를 풀이하였다. 셋째, ‘관습에 의한 다양한 뜻풀이 한자’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8종 교과서의 중학교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에 대한 뜻풀이는 저자의 관습에 의한 관용적 표현으로 준말로 풀이하거나, 저자의 주관에 의하여 다양하게 의미를 풀이한 한자는 118자 이상으로 교과서는 아직 인지발달이 미성숙한 학생을 상대로 하여 가장 정확한 의미를 전달하여야 하는 학습 도구이므로, 그 통일성과 정확성이 반드시 전제되어야 한다. 넷째, ‘난해한 의미의 한자’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다. 900자 가운데 그 의미가 난해한 한자는 21자이며, 학습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현대의 의미로 바꾸어야 한다. 다섯째, ‘관습에 의한 과장?오류의 한자’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7차 교육과정 한문교과서의 저자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중학교 교육용 900자 가운데 한자의 뜻풀이가 과장되거나 잘못 풀이된 한자는 20자이다. 교과서는 저자의 잘못된 오류나 편견, 나아가 시대에 동떨어진 지식이 학습자에게 전달되기 때문에 반드시 바로 잡아야 한다. 지금까지 제 7차 교육과정 중학교 한문교과서에 나와 있는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의 뜻풀이를 살펴보고, 나아가 오류의 시정과 그 통일방안을 모색을 시도해 보았다. 이는 한 개인의 노력에 의해서 이루어질 과제가 아니며, 국어 관련 단체들이 국어 맞춤법 통일안을 제정하듯이 한문과 관련이 있는 제 단체가 공동으로 연구하여 최소한 한문 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에 대한 의미를 통일하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how the 900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the edu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re interpreted according to author, focused on 8 kinds of authorized middle school Chinese textbooks, and to look for a plan to unify their meaning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nese characters, the meanings of which are given by their sound, were grouped into those with the same sound and same meaning(同音同義(the meaning is given by the sound) and those with descriptive expression of the sound. There were 15 characters with the same sound and same meaning among the 900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middle school education and 5 of them were difficult for learners to understand, and there were 29 characters with descriptive expression of the sound. Second, there were characters with descriptive expression of the meaning. Traditionally, a Chinese character was presented using ‘a descriptor’ indicating its meaning and the sound of the character. There were 15 characters, the meanings of which as descriptive expression were not standardized. According to publishing company, the meanings of these characters were presented by a descriptor or by a noun. Third, there were characters interpreted variously according to custom.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900 basic Chinese characters in the 8 kinds of textbooks for middle school education, more than 118 characters were interpreted with a shortened word as an idiomatic expression by the author's custom or interpreted variously by the author's subjective view. Because textbooks are tools for conveying most accurate meanings to students whose cognitive development has not been completed, their uniformity and accuracy are essential prerequisites. Fourth, there were characters with meaning hard to understand. Among the 900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middle school education, 21 had meanings hard to understand. Thus their meanings should be presented in the contemporary language for learners' easy understanding. Fifth, there were characters with exaggeration-error by custom. Although different according to the author of Chinese textbooks under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among the 900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middle school education, 20 had meanings exaggerated or wrongly interpreted. Authors' errors, prejudices and outdated knowledge in textbooks should be corrected for learners. As presented above,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interpretation of the 900 basic Chinese characters found in middle school Chinese textbooks under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and looked for a plan to correct errors and standardize the interpretation. This task cannot be carried out by a person's effort. It requires joint efforts among Chinese-related organizations to unify the meanings of the 1800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education like Korean-related organizations have established the unified Korean spelling system.

      • KCI등재

        2010년대 이후 중화권 문언문 교육의 변화와 시사

        허철,송준영,종우겸,김혜린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21 漢字 漢文敎育 Vol.51 No.-

        본 논문은 2010년대 이후 중화권의 문언문(한문) 교육의 변화를 통해 한국의 한문과 교육과의 차이를 비교하여 한자문화권의 同而不同을 이해하고자 한다. 근대 시기 한국의 갑오개혁, 일본의 메이지유신, 중국의 5.4운동은 각 나라의 근대화에 분수령이 되는 사건이었으며, 그 역사적 사건 안에 포함된 여러 변화 중 우리의 언어 생활과 밀접한 연관이 되는 문자개혁 운동과 언문일치 운동, 그리고 문언문(한문) 교육의 변화가 포함되어 있었다. 3국의 언문일치 운동에서의 공통점은 모두가 자국의 구어에 맞게 문어 생활을 변화시켜 새로운 근대 지식의 보급과 확대를 통한 새로운 지식 사회 건설에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의 문언문(한문)은 정전 언어로서의 기능을 상실하여 사어(死語)화 되었으나 교육의 관점에서는 다르게 취급되었다. 중화권의 어문개혁 운동과 문자개혁 그리고 문언문(한문)의 사회적 위상 변화와 교육의 가치 변화는 한국의 한자 교육이나 한문 교육, 그리고 어문정책에 관련된 논쟁과 정책 결정 등과 비교해 볼 때 공간적ㆍ시간적 배경만 다를 뿐 상당히 유사한 전개와 결말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문언문(한문) 교육의 위상 변화는 정치 권력과 매우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정치권력의 변화에 따른 문언문(한문)교육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정치와 교육이 어떤 관계 속에서 어떻게 변화되었는가를 살핌으로써 향후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의 문언문(한문)굥교육이 변화할 모습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런 예측 속에서 한국의 한문과 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발견하고 미래의 한문과 교육의 성격과 위상을 설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Korea’s Gabo Reform, Japan’s Meiji Restoration, and China’s 5.4 Movement were watershed events in the modernization of each country, and among the changes included in the historical event were the language matching movement closely related to our language life. What the three countries have in common is that they were all in the construction of a new knowledge society through the dissemination and expansion of new modern knowledge by changing octopus life to suit their own spoken language. This study focused on examining the impact of controversies and decisions on language policy that have been developed since China’s modern and contemporary era on language education. In many ways, such as Chinese character education, Chinese language education, and debate and policy decisions related to language policy in Korea,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quite similar developments and endings, with only different spatial and temporal backgrounds. The dual structure, which has both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can identify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different form from the pre-modern dual structure.

      • 漢文敎育學의 槪念과 硏究 領域

        尹在敏(Yoon Jae-min)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09 동아한학연구 Vol.- No.5

        한문교육학의 개념은 ‘漢文敎育學’이란 용어를 구성하는 ‘漢文’, ‘敎育’, ‘漢文敎育’, ‘學’ 등의 요소에 대한 바른 분석으로부터 제대로 정립될 수 있다. ‘한문’은 한문교육의 대상을 지칭하는 요소이다. 한문교육의 대상은 漢字, 漢字 語彙, 漢文과 관련된, 텍스트와 비텍스트를 아우르는 모든 언어활동을 아우르는 것이다. 이를 한문 활동이라고 부를 수 있다. ‘교육’은 학습자가 가진 모종의 능력을 신장시키는 활동이다. 그러나 신장시키고자 하는 그 능력이 한문 능력이라는 점에서 한문교육은 여타 分科 교육과 구별되는 나름의 독자성을 갖는다. 한문교육은 漢文과 敎育과 漢文敎育이 총체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특수한 교육의 한분과인 것이다. ‘학’은 한문교육학이 나름의 독자적인 목적과 대상 및 방법을 갖는 체계적 학문임을 나타내는 요소이다. 곧 한문교육학은 한문교육 활동 그 자체가 아니라 한문교육 활동과 관련된 諸般 理論을 연구하는 학문인 것이다. 한문교육학의 연구 영역은 漢文科 敎育課程의 체제에 따른 연구 영역을 먼저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한문교육이 처한 교육 환경에 따른 연구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위의 두 영역에 대한 메타 이론적 연구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한문과 교육과정의 체제에 따른 연구 영역은 다시 4개의 하위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목표 영역, 내용 영역, 교수ㆍ학습 방법 영역, 평가 영역이 그것이다. 이 가운데 내용 영역은 다시 이해와 표현 교육 영역, 문화 교육 영역, 문학 교육 영역, 문법 교육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문교육이 처한 교육 환경에 따른 연구 영역에는 漢文敎育 政策論 연구 영역, 漢文敎育 敎師論 연구영역, 漢文敎育 現場敎育論 연구 영역 등이 있다. 한문교육과 인접 학문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문교육 활동 및 현상에 대한 인접 학문적 관점의 연구 또한 여기에 포함시킬 수 있다. 메타 이론적 연구 영역은 한문교육의 이론에 대한 이론을 연구하는 영역이다. 漢文科 敎育課程論 영역 이외에도 漢文敎育學槪論, 漢文敎育史, 漢文敎育學史 등의 연구영역을 여기에 포함시킬 수 있다. Korean Classical Chinese pedagogy is the science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e concept of Korean Classical Chinese pedagogy can be defined from the proper analysis of elements such as 'Classical Chinese', 'Education',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Science' that constitutes 'Korean Classical Chinese pedagogy'. 'Classical Chinese' is the elements referring to the subject of a target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e target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covers all the language activities related to Chinese characters, Chinese character words, and Chinese writings whether they are text or non-text. This can be said to be Korean Classical Chinese activities. 'Education' means activities for increasing some kind of ability of a learner. But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has its own peculiarity differentiated from other subject matters education in that the ability it intends to increase is Classical Chinese ability. That is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s a branch of special education which requires totally consideration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nd Classical Chinese education. 'Science' is an element indicating a systematic science having it own inherent goal, subject and method. So to speak, Korean Classical Chinese pedagogy is a science studying not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ctivities themselves but various theories related to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ctivities. In research categories of Korean classical Chinese pedagogy, the research categories according to the system of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can be established. Next, the research categories according to educational environment surrounding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can be established. Lastly, meta theoretical research categories for the above two categories can be established. The research categories according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can be again divided into 4 subordinate categories: a goal category, a contents category, a teachingㆍlearning category and an evaluation category. Among them, a contents category can again be classified into an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education category, a literature education category, and a grammar education category. The research categories according to educational environment surrounding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ncludes a Korean classical Chinese policy theory research sphere, a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eacher theory research one, a Korean classical Chinese site education theory research one, etc. Also, this categories can include research on relation between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nd an adjacent science, research on Korean Classical Chinese activities and phenomena from the standpoint of an adjacent science. Meta theoretical research categories are the one studying theories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n addition to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eory sphere, the research sphere such as a Korean Classical Chinese pedagogy outline, a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history, a Korean Classical Chinese pedagogy history, etc. can be included in this.

      • KCI등재

        漢文 敎育을 通한 人性 敎育의 可能性과 方向-2009 改定 中學校 漢文科 敎育課程을 中心으로-

        백광호 청람어문교육학회 2013 청람어문교육 Vol.47 No.-

        This paper aims to look into the possibility and direction of character education of Chinese Classics which can be considered as one of affective subject areas. For that, study results of Chinese Classics and character education were examined and elements related to character education in Revised 2009 Chinese Classics education curriculum were extracted.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aspects in which writing materials were included in Middle school Chinese Classics textbook according to the revised 2009 Chinese Classics education curriculum, it could be known that most textbooks widely dealt with various virtues involved in personality. In Chapter V proposed teaching guidelines about how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designed and in what method such education should be taught. 본고는 漢文科에서 할 수 있는 인성 교육의 가능성과 방향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문과 인성 교육의 연구 성과를 살펴보고, 2007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과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의 인성 교육 관련 요소를 추출해 보았다. 또한 한문 교과서에서의 인성 교육 구현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한문 교과서를 대상으로 인성 교육 관련 글감 수록 양상을 살펴보았다.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人性과 관련된 다양한 내용을 폭넓게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인성 교육과 관련된 본문 학습 활동이나 본문 관련 제시 자료는 글감이 가진 소재의 풍부함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빈약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제 한문과에서 인성 교육을 어떻게 설계하고 어떤 방식으로 가르쳐야 하는지에 관하여 ‘선인들의 삶과 지혜, 전통문화를 통한 가치관과 인성 함양’에 맞는 교수 단위를 제시해 보았다. 인성 교육에 대한 사회의 요구는 앞으로 더욱 증가하리라 예상되지만, 한문과에서는 아직 인성 교육에 관한 이론적 탐색이나 방향 제시 등이 구체화되지 못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학교 현장에서 한문 수업 시간에 학생들에게 어떻게 인성 교육을 할 것인지에 관한 구체적 수행 양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한문교육학의 성격에 대한 몇 가지 쟁점

        김왕규 ( Wang Gyu Kim ) 한국한문교육학회 2007 한문교육논집 Vol.29 No.-

        이 연구는 한문교육학의 성격에 대한 몇 가지 쟁점을 한문교육학의 개념과 성격, 교과교육학에 대한 관점, 한문교육학과 한문학, 그리고 교과 교육으로서의 한문과 교육 등의 측면에서 기술, 의론(議論)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몇 가지 문제에 대한 연구의 요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한문에 대한 교육을 탐색하는 학문"으로 한문교육학을 규정할 때, 한문교육학의 학문적 성격은 교육적 보편성과 교과적 특수성을 지향한다. 교과교육학으로서 한문교육학의 학문적 정립은 풍부한 한문학 자료의 선정과 소개, 정확한 해석에 기초한다. 한문교육학의 학문적 특수성이 강조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교과교육학의 하나인 한문교육학은, 텍스트 외에 각급 학교의 현장 한문 교사와 한문을 학습하는 학생들이 교수·학습의 주요 변인이라는 점에서 교육적 보편성을 지닌다. 필자는, 한문교육학을 한문학과 교육학의 산술적 합으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총체적(總體的)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한다. 한문교육학에 대한 총체적 관점은 교과 교육의 하나인 한문과의 내용을 무엇으로 설정할 것인가에 대한 탐색 곧, ``교과내용론``과 한문과의 내용을 어떻게 지도할 것인가에 대한 담론 즉, ``교과지도론`` 각 영역이 유기적(有機的) 관련을 맺고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하며, 교과내용론과 교과지도론이 한문교육학이라는 총체적 맥락 속에서 상호작용과 상호조율을 한다는 관점이다. 한문학과 한문교육학은 ``한문``이라는 언어 재료를 일차적으로 공유하지만, 한문교육학의 연구 대상은 무엇을, 누가,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관한 문제 곧, ``한문``과 인간(교수자와 학습자), 교수·학습 이론, 교재, 교육 환경 등이 총체적 맥락 안에서 상호작용하는 한문 교수·학습 과정과 그 현상이다. 거듭 강조하지만, 한문교육학은 한문학을 내적으로 함섭(含攝)하지만, 그 지향은 한문 교수자와 한문 학습자 및 한문 교수·학습 과정에 있다. 한문교육학은 학습자가 실제로 한문 학습이 일어나도록 하는 데 관심이 있으며, 이를 위한 교사의 교수 전략, 교재 내용의 선정과 조직, 학습자의 한문 능력 신장을 가능케 하기 위한 학습 조건과 절차, 과정 등을 탐색한다. 끝으로, 과거 동아시아 공통적 표기 문자로서의 한자와 고전 문언문인 한문의 언어적 특성을 언어 교육 차원에서 규명하고, 범교과 학습의 도구 교과로서의 기능을 강조하며, 한문 독해를 통한 민족 고전 문화의 계승, 발전을 꾀하는 한편, 거시적으로 한자문화권의 상호 이해와 교류의 교두보를 구축하는 교과로 그 위상을 확보하기 위해 우리는, 앞으로 학교 교육에서의 교과교육의 하나인, 한문과 교육의 학문적 정체성 규명에 분명한 논리와 근거를 연구, 제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한문교육학의 성격은 그 논리와 근거를 초석으로 정립됨은 물론이다. This study aims to describe and discuss major features and its identity of Chinese education in terms of definition and features of Chinese education, view towards curriculum education, Chinese education and Chinese literature, Chinese and education as curriculum education. The summari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case Chinese education is defined as "learning to seek for Chinese education", it focuses on academic universality and subject specialty. Rather than considering Chinese education as the one combining Chinese literature and Chinese education arithmetically, this study tries to understand the overall point-of-view. Chinese literature and Chinese education share ``Chinese`` as language material with each other. However, Chinese education targets the issue: whom to be educated, how to teach, what to teach. That is, it deals with ``Chinese language`` and human(teachers and learners), teaching-learning theory, teaching materials, educational environment in a systematical and unified manner. Importantly, Chinese education accommodates Chinese literature, but it pursues for teachers and learners as well as Chinese teaching curriculum. Finally, it is necessary to define linguistic features of Chinese language as a common transcription character and as a written language, focus on functions of general curriculum education as teaching tools, and take over and develop traditional Chinese cultures through Chinese reading. In addition, broadly, in order to strengthen the position of Chinese education as a core element of paving the way for mutual understanding and exchange of Chinese cultural area, clear logic and basis should be studied and presented for defining academic identity of Chinese education. Moreover,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of Chinese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the clear logic and basis.

      • KCI등재

        日帝時代 朝鮮總督府發行 韓國兒童用語學讀本에 나타난 漢字語와 漢文

        심경호 한국한문교육학회 2009 한문교육논집 Vol.33 No.-

        일제의 강점 시기에는 민족주의 지식인들이 아동들을 위한 조선어 교육에 부심하는 한편, 일제의 朝鮮總督府는 아동들에게 ‘국어’를 교육하고 부수적으로 조선어와 한문을 가르쳤다. 조선총독부의 조선어 및 한문 교육은 ‘국어’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방편이었지, 조선어 자체의 발전이나 한문 지식의 확대를 위한 것이 아니었다. 또한 국어, 조선어, 한문 교육은 모두 식민지의 아동을 ‘忠良한 國民’으로 形成시키는데 주된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언어 교육은 조선총독부가 修身書를 편찬하여 아동의 정신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한 것과 상호 연관이 있었다고 생각된다. 본고는 조선총독부가 조선어 혹은 ‘국어’를 교육하기 위해 편찬한 普通學校 語學讀本에서 한자어와 한문을 어떻게 활용했는지 일별하였다. 朝鮮總督府發行 韓國兒童用語學讀本이 韓國人의 韓國語와 漢文에 끼친 영향은 다음과 같다고 개괄할 수 있다. (1) 朝鮮總督府發行 韓國兒童用語學讀本은 한국어와 한자, 한자어, 한문의 관련성에 주목하고 식민지 아동에게 민족어인 한국어를 일정한 정도로 교육하기 위해 한자, 한자어, 한문의 교육을 병행했다. 이 점은 한국어 형성의 역사를 고찰하고 한국어 발전의 방향을 가늠하고자 할 때 한 가지 주요한 관점을 제시했다고 할 수 있다. (2) 하지만 朝鮮總督府發行 韓國兒童用語學讀本은 한자와 한문에 대해 素養을 지니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삼기라도 한 듯, 어려운 漢字와 漢字語를 지나치게 많이 사용했다. 또한 朝鮮語讀本은 ‘卽하야, 因하야, ∼하는 樣이’ 등 「漢字+한글어미」의 語法이나 ‘如何, 勿論, 可謂’ 등 한문어투의 표현을 溫存시키고 敎範으로 삼음으로써 韓國語의 自己醇化의 기회를 빼앗았다. (3) 開化期以後 日帝時代에 걸쳐 急造되거나 輸入된 한자어들을 사실상 標準語로 公認하고 널리 교육시킴으로써 韓國語 語彙의 구성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었다. (4) 漢文의 교육은 개인의 修身(孝, 交友 등 포함)과 사회적 同和를 강조하는 원문들을 주로 선별함으로써, 학습자들이 민족주의의 저항 의식과 반봉건의 진취적 정신을 고양시킬 여지를 남기지 않았다. 朝鮮總督府發行 韓國兒童用語學讀本의 한자, 한자어, 한문의 응용이 이후 한국의 한문 소양 형성과 한문 교육 방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서는 향후 고찰이 필요하다. 또한 朝鮮總督府의 한문 교육 방향이나 내용이 臺灣總督府의 한문 교육정책이나 일본 文部省의 교육 방침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에 대해서도 종합적인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on the one hand nationalistic intellectuals endeavored to teach children Korean language, but on the other hand Joseon Government-general mainly taught children ‘the national language’ and secondarily taught Korean language and Chinese writing.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Chinese writing executed by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was aimed at reinvigorating the education of ‘the national language’, not at advancing Korean language. Their most important purpose of teaching Korean language was to make children loyal to Japanese Imperialism. Then, these language educational policy of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was related to the organized moral education through publishing the ‘Sooshinseo(修身書)’. This study is on how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used sino-Korean and Chinese writing in the elementary school Language textbooks. The language textbooks for children published by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have some effect on Korean language and sino-Korean as follows. (1) The language textbooks for children published by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emphasized the relations between Chinese character, Chinese writing, sino-Korean and Korean language. And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taught children both Chinese writing and sino-Korean, to advanced their Korean language proficiency. On the basis of these points, we can watch the formation processes an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2) However, the language textbooks for children published by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mentioned very difficult sino-Korean vocabulary, as if it had been written for intellectual people. In additional, classical Chinese usage - ‘卽하야, 因하야, ~하는 樣이, 如何, 勿論, 可謂’ - remained in the Korean textbook[朝鮮語讀本]. So, we lost the chance to purify Korean language. (3)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officially recognized the sino-Korean vocabulary that had been hastily made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 and widely taught children it. So, the organization of Korean language vocabulary was very complicated. (4)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selected some Chinese writings as the text, those were mostly about loyalty, filial piety, moral training and social assimilation. So Korean student couldn’t enhance their nationalism and their will to revolt gainst authority. Hereafter, it requires that we research how sino-Korean Vocabulary and Chinese Writing in the Language Textbooks for Children published by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affected the formation of sino-Korean and the education of classical Chinese in Korea. And it need to research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Korean education of classical Chinese, the policy of the Japanes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policy of the Taiwan Government-general.

      • KCI등재

        韓國 初ㆍ中ㆍ高等學校의 漢字ㆍ漢文 敎育 現況

        윤재민 한국한문교육학회 2009 한문교육논집 Vol.33 No.-

        한국의 初等學校에서 漢字, 漢文 교육은 1945년 이후 1969년까지만 하더라도 여러 가지 방식으로 줄곧 시행되어 왔다. 초등학교에서 漢字 교육이 폐지된 것은 1969년 9월 개정되어 1970년 1학기부터 시행된 교육과정 부분 개정에서부터이다. 이후 현재에 이르도록 초등학교에서의 漢字, 漢文 교육은 정규 교과로는 더 이상 시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만 1992년 고시되고 1995년부터 시행된 제6차 교육과정은 초등학교에 ‘학교 裁量 시간’을 신설하면서, 이 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교육 활동으로 ‘漢字, 컴퓨터, 勞作 등의 활동’을 예시함으로써 제한적이나마 漢字, 漢文 교육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1997년 고시되고 2001년부터 시행된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이 예시 조항을 다시 삭제함으로써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초등학교에서의 漢字, 漢文 교육은 교육과정 상의 어떠한 근거도 없이 일부 지역 교육청이나 학교장의 재량에 따라 파행적으로 시행되거나 私敎育 市場에 맡겨지고 있는 형편이다. 한국의 中學校에서 漢文이 독립 교과로 교수되기 시작한 것은 1972년 2학기부터이다. 그 이전에는, 漢文이 국어 교육의 일부로서 부분적으로 교수되거나 아예 교수되지 못하기도 하였다. 처음으로 ‘漢字 지도 要綱’이 제시된 것은 1951년 2월에 발표된 文敎部의 ‘戰時 學習 指導 要領’이다. 여기서 문교부는 일상생활에 긴요하다고 인정되는 漢字 1,000자를 골라서 國民學校 4ㆍ5학년 각 300자, 6학년 400자로 配當하여 가르치도록 하고, 이 1,000자의 制限 漢字를 中學校에도 적용하도록 하였다. 이후 1955년 8월 고시된 제1차 교육과정에서는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속에 ‘중학교의 漢字 및 漢字語 학습’ 사항을 포함시켜 漢字, 漢文 교육을 국어과 교육과정의 하위 內容 領域 가운데 하나로 기술하였다. 1963년 2월 15일에 고시된 제2차 교육과정에서도 漢文은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속에 포함되어 중학교 국어과 內容 領域의 하나로 기술되었다. 그러나 1969년의 교육과정 부분 개정에서는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漢字 및 漢文 指導’ 조항을 삭제하여 중학교 한문 교육을 아예 폐지하고 말았다. 그러다가 1972년 2월 고시된 교육법 施行令에 의하여 漢文 교과가 독립 新設되어, 이 해 2학기부터 漢文이 독립 교과로서 공식적으로 교수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1973년 8월 고시된 제3차 교육과정에서부터 제5차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중학교 漢文은 1, 2, 3학년 각기 주당 1시간씩의 必修 科目으로서 교수되어 왔다. 그러나 1992년 6월 고시되고 1995년부터 시행된 제6차 교육과정에서는 중학교 漢文이 선택 과목으로 되었고, 이후 이러한 사정은 크게 변하지 않은 채 오늘날에까지 이르고 있다. 한국의 高等學校에서 漢文이 독립 교과로 교수되기 시작한 것은 중학교 漢文과 마찬가지로 1972년 2학기부터이다. 그 이전에는 國語 교육의 일부로서 고등학교 漢文이 교수되어 왔다.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漢字, 漢文 교육을 폐지한 1969년의 교육과정 부분 개정 때에도 고등학교 漢文은, ‘國語Ⅰ’에서 漢字 교육 부분을 삭제하는 대신 인문계 고등학교 ‘國語Ⅱ’에 있는 漢文을 6單位에서 8單位로 증가시켰는바, 역시 國語 교육의 일부로서 漢文을 敎授하였던 것이다. 이후 1972년 敎育法 施行令에 의하여 漢文 교과가 독립 신설되고, 1973년 고시된 제3차 교육과정에서부터 제5차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고등학교 ... Since 1945, in the Korean elementary schools, Chinese characters & Classical Chinese education had been performed through the various methods till 1969. In the elementary schools, abolition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resulted from the partial revision of the curriculum which revised on Sep.,1969 & executed from the 1st semester in 1970. Since then, Chinese characters & Classical Chinese education hasn’t been performed till now as the regular course in the elementary schools. However, ‘School Discretionary Activities’ was newly established in the elementary schools through the 6th curriculum, notified in 1992 & executed from 1995, and ‘Activities including Chinese Characters, Computer & Elaboration’ were exemplified as the educational activities to be used. So, though restrictively, Chinese characters & Classical Chinese education came to be possible. But. in the 7th curriculum, notified in 1997 & executed from 2001, such exemplification provision was again deleted. So, till now, in the elementary schools, it’s the situation that Chinese characters &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s being executed creepingly at the regional office of education or a schoolmaster’s discretion without any base on the curriculum or being put on the markets of private education. In the Korean middle schools, Korean Classical Chinese began to be instructed as the independent subject from the 2nd semester in 1972. Before then, Korean Classical Chinese had been instructed partially as the part of Korean Language or never instructed. Firstly, ‘Korean Classical Chinese Guidance Principle’ was presented from ‘Learning Guidance Principle in the Wartime’ of The Ministry of Culture & Education', announced on Feb. 1951. And then, The Ministry of Culture & Education selected 1,000 Chinese Characters recognized as necessary in the everyday life, allotted 300 Characters for the 4th․5th grade in the Elementary each, 400 Characters for the 6th grade, and made such restrictive Chinese Characters of 1,000 letters apply to the middle schools. And then, in the 1st curriculum notified on Aug., 1955, ‘Chinese Characters & Chinese Character Words Learning in the middle school’ was contained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the middle schools, and Chinese characters & Classical Chinese education was described as one of the sub contents areas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also in the 2nd curriculum notified on 15th, Feb., 1963, Korean Classical Chinese was contained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the middle school, and described as one of the contents areas of Korean Language. However, in the partial revision of curriculum in 1969, provision of ‘Chinese Characters & Classical Chinese Guidance’ was deleted from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the middle school, so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was abolished completely in the middle schools. And then, by the Enforcement Ordinance of the Educational Act notified on Feb.,1972, a course of Korean Classical Chinese was newly & independently established, so it began to be instructed officially as the independent course from the 2nd semester of the year. Since that, from the 3rd curriculum notified on Aug., 1973 to the 5th, in the middle schools, Korean Classical Chinese was instructed as the required subject for 1 hour a week in the 1st, 2nd, & 3rd grade each. However, in the 6th curriculum notified on June, 1992 & executed from 1995, in the middle schools, Korean Classical Chinese became an optional course, and such a situation has continued till now without great changes. In the Korean high schools, Korean Classical Chinese began to be instructed as the independent course from the 2nd semester in 1972 as the same as in the middle schools. Before then, high school Korean Classical Chinese was instructed as the par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Even in the partial revision of curriculum in 1969 which abolished Chinese characters &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

      • KCI등재

        大學의 漢文敎育科 敎育課程의 分析- 中·高等學校 漢文科 敎育과의 連繫性을 중심으로-

        송병렬 한국한문교육학회 2008 한문교육논집 Vol.30 No.-

        The ultimate goal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s to train Classical Chinese teachers for middle and high schools. In order for this goal to correspond to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n middle / high schools, curricula of these two should match. The contents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n middle / high schools include Chinese characters, phrases, short sentences(including grammar), proses, poems, and practical words in Chinese characters. Currently departments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establish lectures such as 'Chinese Character Science' and 'History of Chinese Characters' for further understanding of Chinese characters. Other factors have their necessary lectures. Most lectures conducted in departments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meet the level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n middle / high schools. It appears that 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ere is a very close correspondence between middle / high schools and universities. Lectures for subject matter and pedagogy are mostly the same as lectures for the subject matter and lectures for pedagogy. The only thing that is different is the title of the lecture. For instance, lectures have additional 'teaching method', 'education' or 'instruction' at their titles. These lectures simply apply education technology or teaching method to lectures of Classical Chinese. Consequently, these lectures do not have independent fields of study and contents. This is due to lack of pedagogy in Classical Chinese. Classical Chinese education has been recently attracting people's notice. The study, however, is mostly focused on grammar and education procedure, and failed to specify various fields of subject matter. Therefore, researchers of Classical Chinese pedagogy should avoid imitating general pedagogy; they need to develop educational subjects and methods independently, based on Classical Chinese itself. 한문교육과의 궁극적인 교육목표는 ‘중등학교 한문과 교사의 양성’이다. 이러한 한문교육과의 목표가 중·고등학교 한문 교육과 연계되기 위해서는 중·고등학교의 학습 내용과 한문교육과 교육과정이 일치하여야 한다. 중·고등학교에서 필요한 漢文科 知識의 內容은 주로 漢字, 成語, 短文(文法 포함), 散文, 漢詩, 言語生活의 漢字語로 집약된다. 현행 한문교육과의 교육과정에서 한자의 지식과 관련된 교과목으로 ‘漢字學’ 및 ‘漢字의歷史’를 개설하였다. 성어, 단문, 한시, 산문, 소설 등에도 각각의 필요한 교과목을 개설하였다. 대학의 한문교육과 교육과정에 개설된 다수의 교과목은 중·고등학교 한문과에서 요구되는 수준의 교육내용에 충분히 도달되어 있다. 따라서 중·고등학교와 대학의 한문교육과의 연계성은 매우 밀접한 것으로 드러나 보인다. 교과교육학 영역으로 개설된 과목들은 대부분 교과 관련 과목과 교육 관련 과목을 제목만 바꾸어 교과교육학이라는 새로운 영역으로 옮긴 것이다. 그 예로 교과 관련 과목들은 서예, 한자, 한문 영역에 ‘교육방법’이나 ‘지도’를 추가하거나, 한문문법, 한시, 산문, 한문소설, 한문비평, 경학 등의 전공 영역에 ‘지도’나 ‘교육’을 덧붙였다. 이들 과목은 한문학의 교과목에 교육공학이나 교육방법을 단순하게 적용시킨 것이다. 따라서 이들 교과교육 영역의 교과목은 아직 독자적인 자기 연구 영역과 내용을 갖추지 못했다. 이는 한문과 교과교육학의 부진에서 비롯한다고 볼 수 있다. 한문과 교과교육은 최근에 들어서 관심의 대상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대부분 교육과정이나 문법 등에 그 연구가 치우쳐 있고, 다양한 교과교육 영역을 특성화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교과교육학의 연구자들은 일반 교육학의 연구 내용을 맹목적으로 따르기 보다는 한문과에 입각해서 독자적으로 교육적 주제와 방법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중등학교 한문과 교육의 실태 -한문과 교원수 변동양상을 중심으로-

        류준경 ( Ryu Jun-kyung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8 한문교육논집 Vol.50 No.-

        본 논문은 교육과정의 개편이 논의되고 있는 현재의 시점에서 새로운 한문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중등학교에서의 한문과 교육의 실태를, 한문 교원수의 변동을 중심으로 검토한 것이다. 3차 교육과정 시기 한문과가 독립교과로 편제된 이후 7차 교육과정 시기까지 한문 교원의 수는 전체 교원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다. 교과 성립 후 한문 자격증 소지 교원을 지속적으로 충원하였기에 나타난 결과였다. 그런데 2009 개정 교육과정 적용된 2011년부터 중등학교 한문과 교원의 수가 급격히 줄기 시작하였다. 이는 교육과정 운영 방식의 변경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다. 중학교의 경우 창의적 체험활동의 시간을 확대하면서 선택 교과의 시수 감소가 유발되어, 대표적인 선택교과인 한문의 수업시수가 크게 감소하였고, 그에 따라 한문교과 담당 교원수가 급감하였다. 고등학교의 경우, 입시위주의 교육이 여전한 가운데 “체육ㆍ예술” 영역의 단위수 확대와 집중이수제의 실시 등으로 생활ㆍ교양 영역의 대표적인 교과인 한문과 제2외국어 교과의 시수가 크게 감소하였고 그에 따라 한문담당 교원수가 급감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2018년부터는 자유학기제의 전국적 실시와 의무적으로 136시간을 실시해야 하는 학교스포츠클럽활동 등으로 학교 현장에서 비주요과목인 한문의 시수 감소는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문과 교육의 새로운 방향 모색은 교육과정 편제와 운영 방식 변경에 따라 크게 요동치는 한문과의 실태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바탕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Chinese Classics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and changes in the number of Chinese Classics teachers in order to find new directions in the current time when the curriculum is being revised.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subject of Chinese Classics during the third curriculum to the seventh curriculum, the number of Chinese Classics teachers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the increase of total teachers. It was the result of the continuous recruitment of teachers with Chinese Classics certificates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curriculum. However, from 2011, when the revised education course was applied, the number of Chinese Classics teachers in middle school started to drop sharply. This is due to changes in how the curriculum operates. In middle school, the number of students in charge of Chinese Classics education dropped sharply amid the decrease in number of classes in Chinese Classics education programs and the decrease in class hours in Chinese Classics, which is a representative subject of intensive experience. Beginning in 2018, when the revised education course will be applied, the reduction in the number of non-prescription Chinese Classics will be further strengthened at school sites due to the nationwide implementation of the free school semester system and the compulsory implementation of 136 hours of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The search for new directions in Chinese Classics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ituation with Chinese Classics, which is highly volatile due to the structure of education courses and changes in operation.

      • KCI등재

        忠淸南道 中學校 漢文敎育의 實態 分析

        崔瓘鎭 청람어문교육학회 2004 청람어문교육 Vol.28 No.-

        제7차 교육과정이 시행된 지 3년이 지난 현재 바람직한 한문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교육현장에서 한문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였다. 이에 중학교교육과정에서 재량활동 중의 선택교과인 한문을 가르치는 한문담당교사들은 한문과 교육과정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고 있으며, 교육현장에서 한문 담당교사들의 구성은 어떻게 짜여져서 운영되고 있는지, 학생들의 주당 한문수업시수는 어느 정도인지, 한문수업의 문제점은 무엇이며 그 대책은 무엇이 있는지 등을 조사하였다. 7차 교육과정에서 중학교 재량활동은 크게 교과 재량 활동, 창의적 재량 활동의 2개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교과 재량 활동은 국민 공통 기본 교과의 심화·보충 학습과 선택 과목 학습을 위한 것이며, 한문은 선택과목으로 교과재량 활동 시간에 지도하게 되어 있다. 각 학교에서는 교육과정을 편성하면서 교과재량활동 시간에 선택 과목을 설치하기보다는 국민공통교과의 심화 학습에 대한 비중을 높이거나, 학교의 교사 구성 등 학교형편에 따라 적당히 편성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한문교과는 각 학교에서 선택에 따라 운영할 수도 있고 운영하지 않을 수도 있는 교과가 되었다. 더구나 학생의 중학 기간 동안의 내신성적에도 반영되지 못함에 따라 평가에 있어서도 부담이 없는 교과로 전락하였다. 따라서 실제의 교육현장에서 한문교과는 소외 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한문과 교육과정에서는 한문과의 성격과 교육용 기초한자 지도 등을 내세워 한문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한문담당교사들도 한문교육의 필요성에 강한 긍정을 보이고 있으며, 현재의 한문교육에 많은 문제가 있음을 인정하고, 앞으로의 한문교육은 현재보다 강화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Three years have passed since the seventh education course was enforced. For seeking the method of a desirabl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t is deemed necessary to verify that how students are educated in a Chinese character education. A subject of a Chinese character was organized as a selection subject which belongs to discretion activities in the seventh education course. This study inquired into what idea the teachers in charge of a Chinese character have about a Chinese character and a education course, how are the teachers in charge of a Chinese character composed and how they teach a Chinese character, how many hours the students get a Chinese character education per week, problems with a Chinese character education and a method for solving such problems, etc. The teachers who take charge of a Chinese character strongly stress the necessity of a Chinese character education, acknowldedging that a present Chinese character education has many problems, contending that a Chinese character education must be strengthened m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