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淨土經典의 往生思想과 鄕歌에 나타난 彌陀信仰 연구

        남태순(현송) 한국정토학회 2009 정토학연구 Vol.12 No.-

        본 논문에서는 정토경전의 왕생사상과 『삼국유사』의 향가에 나타난 미륵신앙을 살펴보았다. 『삼국유사』는 우리 민족 정토사상의 근원을 찾아낼 수 있는 자료의 보고이다. 우리는 민중신앙의 핵심인 정토신앙을 우리 전통불교의 주요한 맥락으로 이해하고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특히 『삼국유사』에 출현하는 설화와 향가는 삼국 당시 민중의 불교신앙 형태가 기복적이고 구복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는 『삼국유사』의 기록자인 일연 스님이 선불교에 밝은 선사임에도 불구하고 민중들에게 난행도인 자력적 수행법과 난해한 교리보다는 쉽고 신앙심을 자아내게 하는 이행도인 타력적 수행법을 널리 펴서 이를 통하여 민중들의 안온한 의지처를 마련해 주고자 했던 것이다. 한국인의 미타신앙관은 죽은 자를 위한 추선(追善), 언젠가는 찾아가야 하는 영원한 귀의처, 귀의처에 찾아가기 위한 선한 공덕 짓기, 선한 공덕을 지은 자에 대한 부처님의 복 내림으로 요약된다. 특히 『삼국유사』에 출현하는 향가인 「제망매가」는 미타정토의 왕생을 기원하는 월명사의 노래로 우리 민족의 정토신앙관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이 향가는 여인이 왕생한다는 것, 이것은 아미타불이 상하귀천남녀를 차별하지 않는다는 부처님의 근본사상인 인간평등사상을 보여주고 있다. 또 이 향가에는 한국인의 내세관이 뚜렷이 나타나는데, 이것은 시대적 관점으로 볼 때 신라사회의 귀족불교가 점차 하층의 민중불교로 바뀌어 간다는 것을 암시한다. 그리고 현세 구복적인 미륵신앙이 점차 내세적인 미타정토왕생신앙으로 바뀌어 간다는 것이다. 그리고 죽은 자가 산자에 의해 왕생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추선공덕을 보여준 것으로 미타신앙은 타력신앙임을 입증하는 것이다. 광덕 스님이 지은 「원왕생가」는 정토왕생신앙을 표면적으로 가장 잘 나타낸 것으로 아미타불에 대한 깊은 신앙심과 구도심이 가득 찬 서정적 발원문이다. 이 향가는 정토염불행자의 기본 마음가짐인 신과 원과 행이 그대로 표출된 정토염불의 본질이 나타나고 있다. 이 향가의 성격은 깊은 신앙심과 구도심이 가득 찬 서정적인 극락왕생발원가인 것이다. 이 향가의 신앙적 특징은 염불행도를 가르쳐 주는 것인데 상하, 빈부, 귀천, 남녀, 노소, 재가와 출가의 구별과 차별이 없이 누구든지 믿고, 원하고, 행하면 극락으로 갈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는 『삼국유사』 향가에 폭 넓게 습합 내지는 수용되어 있는 미타신앙 등 전통불교 사상을 연구하여 불교 홍포의 선방편적 전략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Sam-guk-yu-sa (三國遺事,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is the treasure-trove of the archives where the source of Korea’s Pure Land Faith can be traced. We need to understand and accept the Pure Land Faith as the main veins of Korea’s traditional Buddhism. The folktales and hyangga (鄕歌, old Korean folk song) contained in the [Sam-guk-yu-sa] is characteristic in a way that the type of the public’s Buddhist faith was undulating and brings fortune. Most notably, [Je-mang-mae-ga], one of hyangga included in the [Sam-guk-yu-sa], is the song of Wolmyeong Temple wishing for the Amitabha Pure Land to go to Nirvana, clearly displaying Koreans’ perspectives on the Pure Land Faith. This hyangga shows that the woman will be going to Nirvana, which shows the human equality idea that Amita Buddha refuses to discriminate gender or class, which consists of the cornerstone of Buddha’s ideolology. Likewise, this hyangga explicitly expresses Koreans’ perspectives on the life after death. This implies that, in consideration of the period, the aristocratic Buddhism is gradually transferring to the public Buddhism shared by the bottom rungs in Shilla society. In addition, the deceased revives by the living. This demonstrates the 'meritorious supplication for a deceased one,’ proving Amitabha Faith is realized by other power. [Won-wang-saeng-ga] written by Buddhist Monk Gwangdeok is the most representative in expressing the 'rebirth in the Pure Land’ on an explicit way, which is a literary prayer of wishes full of deep religious faith towards 'Buddha of Unhindered Light’ and an attitude looking for something truthful. This hyangga is where the essence of the Pure Land Buddha chanting which explicitly displays the faith, wishes, and action – the fundamental mindset of those practicing the Pure Land Buddha chanting.

      • KCI등재

        고려후기 불교 조영물의 발원 내용에 나타난 불교신앙의 경향

        정병삼(Jung, Byung Sam) 한국사학회 2017 史學硏究 Vol.0 No.128

        고려후기에 다양한 불교신앙이 전개되었고 여러 가지 공덕불사가 성행하였다. 신앙의 실천에는 염불과 독송 등의 실천과 함께 불사를 추진한 공덕 또한 중요하다. 고려후기에 시행된 많은 불사와 관련하여 그 발원내용을 알 수 있는 자료가 적지 않게 남아 있다. 이들의 분석을 통해 당시 신앙 경향의 실상을 파악할 수 있다. 불상이나 불화 또는 경전은 각각의 신앙을 담당하는 역할이 주어져 있다. 그러나 실제로 이들 불사를 추진하면서 신앙인들은 복합적인 바람을 여기에 담아냈다. 조영물 하나에 한 가지 신앙만을 발원하는 것보다는 두세 가지 바람을 함께 담아내는 경우가 더 일반적이었다. 신앙의 다양화와 동시에 신앙의 복합화가 고려 후기 불교 신앙의 구체적인 모습이다. 불교 신앙이 확대될수록 정토신앙 중심의 다양화가 일반적인 경향을 보임과 동시에 신앙의 복합화 또한 나타나지만, 고려후기의 다양한 불사 조영물을 통해 구체적인 신앙 사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고려후기에 조성한 불상은 아미타상이 가장 많다. 사람들은 아미타상을 조성하며 아미타불의 극락에 왕생하려는 바람 외에 수복과 풍년, 국가안녕 등의 현세이익을 빌었고, 현세이익을 대표하는 관음상을 조성하며 정토왕생을 기원하였다. 불화의 경우에도 조성 사례나 신앙 내용이 압도적으로 많은 아미타불도를 조성하며 정토왕생과 현세적 기원을 함께 발원하였다. 이와 같은 경향은 불서 간행에서도 마찬가지여서, 간행 경전의 본래 지향에 더하여 모두 함께 이익을 얻기를 기원하고 극락왕생하기를 빌었다. 사경은 발원문 또한 현세에서 전쟁이 그쳐 나라가 평안하고 풍년이 들고 복락을 누리고 장수하고, 내세에서는 극락정토에 태어나 즐거움을 누리는 것을 말하고 있어 경전 사이에 차이가 보이지 않는다. 금고나 향로 범종 등의 여러 불구는 일정한 신앙 지향이 있지 않아 조성자의 기원이 중요하다. 금고의 발원은 전쟁의 종식과 장수와 같은 현실에서의 복락 실현이 가장 많은 사례를 보여 불상 등과 차이가 있으며, 한 사례에 두세 가지의 복합적인 기원을 담고 있다. 향로 또한 두세 가지 기원을 함께 담아 조성했는데, 현세이익과 극락왕생 그리고 깨달음의 증득이 거의 비슷한 분포를 보인다. 범종은 현실기원이 절반의 경우에 나타나고 그 뒤를 이어 깨달음의 증득이 보이지만 왕생이 적은 것이 다르다. 석등과 정병 등 여러 가지 성격이 다른 불구들의 조성에는 정토왕생을 더 많이 기원한 것으로 나타난다. 고려후기의 불교 신앙은 내세의 정토왕생을 전면에 내세우고 여기에 현세의 안녕을 함께 기원하는 복합신앙이 가장 보편적인 신앙 경향이었다. 다만 불상 불화 불서의 경우에는 왕생 기원이 가장 두드러지지만, 금고 향로 범종 같은 불구의 경우에는 기원 내용이 골고루 비슷한 것이 다르며, 현세이익 비중이 더 크고 깨달음의 증득을 명시한 예가 적지 않다는 차이가 있다. In late Goryeo, there were various Buddhist faith and many Buddhist services were done. With Buddhist services which done in late Goryeo, quite many notes of prayers record was remained. I will analyze these notes to understand the tendency of Buddhist faith. Buddhist sculptures, paintings, sutras have their own role in faith. People made this Buddhistic objects and pray for complex faith. They did not pray one wish to one objects, generally pray two or three wishes. The diversity and complexation of faith was the characteristic of late Goryeo Buddhist faith. Among the Buddhist statues of late Goryeo, Amitabhas are most. The notes of prayers placed in the construction of Amitabha statues mainly wished for the rebirth in Pure Land, add to this they wish longevity and healthy life, rich harvest, peace of the nation. The notes of prayers placed in the construction of Avalokiteshvara are about prosperity in the secular world, and rebirth in Pure Land. The Majority of Buddhist painting Amitabha, the prayers wish to rebirth in the Pure Land and happiness and comfort in the secular world. This tendency is same as in publication of Buddhist sutras or transcribing sutras. The tendency to pray for the comfort of people in this life and rebirth in the Pure Land regardless of the types of Buddhist sutras. Like metal drum, incense burner and Buddhist bell, offering instruments are not fiwed to certain faith, so the notes of prayers are important. With the metal drums, people wish cease of the war and longevity. The majority of metal drums shows praying for the prosperity in the secular world. With the incense burners, people wish two or three wishes at same portion, prosperity in the secular world, rebirth in the Pure Land, attain enlightenment. With the Buddhist bells, people wish the prosperity in the secular world in half portion, and rebirth in the Pure Land portion is little. Various offering instruments, stone light and kundika, people mainly wish rebirth in the Pure Land. These various wishes of people depending on the object and subject but shares in common that they pursued happiness and comfort in the secular world. The tendency of Buddhist faith in late Goryeo, it was the complex trends which accompanied wishes for the benefits in the present world as well as the rebirth in Pure Land. Buddhist sculptures, paintings and sutras, the wish of the rebirth in Pure Land is remarkable, but the offering instruments like metal drums, incense burners and Buddhist bells, the wish shows similar cases of faith, and the benefits in the present world is frequent, in some case wish the attain of enlightenment.

      • KCI등재

        여말선초 〈관음·지장병립도<SUP>觀音·地藏竝立圖</SUP>〉의 기원과 내포 의미 검토

        염중섭(廉仲燮)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40

        여말선초 〈관음·지장병립도〉는 고려 말기의 불화가 3종 4점, 그리고 조선 초인 15C의 불화가 1점 전해지고 있다. 그런데 이는 동시대 중국과 일본불화에서는 확인되지 않는 한국불화만의 특수한 측면이다. 관음과 지장의 병존竝存은 중국의 위진남북조시대부터 확인된다. 그러나 중국의 병존에서는 좌우에 위치하는 보살이 일정하지 않다. 또 두 보살이 모두 서 있지도 않으며, 좌상과 입상이 공존하기도 한다. 즉 병존과 관련된 다양한 양상이 확인되는 것이다. 그러나 한국의 〈관음‧지장병립도〉는 ‘좌-지장, 우-관음’과 ‘병립竝立’이라는 동일성이 확인된다. 먼저 좌-지장, 우-관음의 구도는 지장이 세지를 대체하면서 등장하는 〈아미타삼존도阿彌陀三尊圖〉나 〈아미타내영도阿彌陀來迎圖〉에서도 확인된다. 즉 이는 고려 후기 주자학의 전래에 따른 조상숭배의 강조와, 이로 인해 강력해지는 지장신앙의 대두 및 미타신앙과의 결합 속에서 발생하는 일관성인 것이다. 또 병립이라는 서 있는 자세 역시, 동시대의 <인로왕보살도> 등의 구제자적인 모습과 연관해서 이해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본다면, 〈관음·지장병립도〉는 중국불교적 요소가 한국적인 변형을 거친 결과라고 하겠다. 끝으로 관음과 지장의 병립은 ‘현세-관음, 사후-지장’이라는 당나라 중기 이후 동아시아 불교의 보편적 인식을 반영한 것이다. 그러므로 대승불교의 보살신앙 관점에서, 〈관음·지장병립도〉는 삶과 사후의 평안을 모두 원하는 시대적인 요청에 부응한, 여말불교의 한 해법이었다고 하겠다. 즉 중국불교에서 선행한 병존의 보편인식에 한국적인 시대적 요구가 반영되어 병립이라는 특수성이 완성되는 것이다. The Buddhist paintings named 〈Avalokiteśvara Kṣitigarbha Byeongnipdo〉 were created during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resently, there are 4 paintings of 3 types created in the Late Goryeo and 1 painting created in 15C or early Joseon Era. This type of painting is peculiar in that such pattern is not found in Chinese and Japanese Buddhism. The Byeongjon(竝存, coexistence) of Avalokiteśvara and Kṣitigarbha began to appear from the Wei, Jin, and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魏晋南北朝时期). However, in their coexistence of China, the positions of two Bodhisattvas were not constant. In addition, both the Bodhisattva did not stand up, but one of them stood up and the other sat down. By the way, 〈Avalokiteśvara Kṣitigarbha Byeongnipdos〉 in Korea have the consistent pattern that Kṣitigarbha stands on the left and Avalokiteśvara on the right at all times. First, the pattern of the left-Kṣitigarbha and the right-Avalokiteśvara can be confirmed in 〈Amita Samjondo(阿彌陀三尊圖)〉 or 〈Amita Naeyeongdo(阿彌陀來迎圖)〉, where Mahasthama-prapta is substituted by Kṣitigarbha. In other words, this shows the consistency that occurs in the emphasis of ancestor worship with the introduction of Jujahag in late Goryeo period and the rise of Kṣitigarbha faith due to it as well as its combination with the Mita faith. Furthermore, the posture of standing along(竝立) can also be understood in connection with their appearance as rescuers in the contemporary painting 〈Inrowang Bosaldo(引路王菩薩圖)〉. Finally, the Byeongnip of Avalokiteśvara and Kṣitigarbha can reflect the universal concept of East-Asian Buddhism as “present-Avalokiteśvara and afterdeath-Kṣitigarbha” that was in vogue since the middle of Tang Dynasty. Therefore, from the view point of Bodhisattva faith in Mahayanist Buddhism, 〈Avalokiteśvara Kṣitigarbha Byeongnipdo〉 can be considered as a solution of Late Goryeo Buddhism that responded to the time demands on the peace in both life and afterlife.

      • KCI등재

        의상, 시대적 삶과 실천

        정병삼(Jung, Byung-Sam)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9 철학사상 Vol.31 No.-

        7세기 중반에 삼국을 통합한 통일신라는 확대된 영토와 민의 기반 위에서 새로운 사회를 열었다. 불교계 또한 큰 진전을 이룩하여 원효로 대표되는 불교철학의 정립과 미타신앙 등 신앙의 일반화가 이루어졌다. 장기간의 전쟁은 승려들에게도 현실 참여를 요구하였고, 불교계는 출가 윤리와 부딪히는 현실 상황 속에서 고민하였다. 이런 분위기에서 전쟁에 임할 수밖에 없는 세속인의 행동을 인정하는 현실적인 인식도 나타났다. 또 전쟁과 같은 국가적 상황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맡기도 하였다. 강력한 신분제 사회였던 신라에서 불교적 계율과 어긋나는 사회적 활동에 대해 승려들의 의식은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그러나 의상은 분명한 행적을 남겨 사회활동에 대한 명확한 관점을 보여주었다. 의상은 신라 화엄사상을 체계화하여 독자적인 사상 체계를 정립하였다. 그의 화엄사상은 개체의 독자성을 인정하면서 동시에 중층적으로 개체간의 융합을 지향하는 것이었다. 의상은 실천행에 치중하여 미타신앙을 진작시키고 구도적 관음신앙을 강조하였다. 의상은 융합적 사상을 바탕으로 그가 창도한 화엄 교단에서 기층민 출신의 제자들에게 활동의 기회를 열어주었다. 이는 강한 신분질서가 유지되던 시점에서 교단 내에서의 평등 보장은 일반민에게는 희망의 대상이었다. 철저한 수행자의 삶을 살았던 의상은 교단의 운영도 절제를 강조하여 국왕의 토지와 노비를 거절하였다. 국가의 시책에도 민생의 안정을 강조하여 관철시켰다. 기층민의 경제적 안정과 정신적 안정을 실천하고 행동으로 보였다는 점에서 7세기 중후반에 의상이 가졌던 사회 인식은 매우 의의가 크다. In the Late 7th Century the Unified Silla established a powerful kingdom system. In that period Silla Buddhism made prominent progress in the study of thought. In the long war, some monks were obliged to participate. They even carried out a positive role, being recognized for warlike behaviour in their work, which is opposed to Buddhist morals. Euisang, the founder of Hwaom School of Silla, established a high degree of philosophy which united the consciousness of the people. The major point of Euisang’s Hwaeom thought was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Dharmadhatu, which is composed of the mutual penetration and the mutual identity between the One and the All. Each individual holds an element of the All. All individual objects exist according to a mutual organic relationship. Euisang spent his life leading the activities of a religious order and strictly pure self?discipline. Euisang succeeded in spreading the Avalokitesvara and Amita beliefs as the appropriate religions of the Silla people. The propagation of these faiths propelled by Euisang, contributed to the new social stability of Silla society.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mutual penetration and mutual identity itself suggests the equality and harmony of all social constituents. Disciples of Euisang were commoners, but played a vital role in the religious association. He wanted to harmonize the people who were separated in social status, and.in his school this was accomplished restrictively. The Silla king admired Euisang for his pure attitude and granted him land and slaves, but Euisang did not accept them. He thought that Buddhist truth is equal to all regardless of one’s social position, everyone is to use it equally. He strongly requested to stop construction of the fortress. He asserted that if a king’s politics are bright, people would not trespass even if the borders are set by the grass and hills; on the other hand, if they are not bright, it will only bring the people pain.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hat Euisang practiced to bring economic and religious stability to the common people in the 7th Century.

      • KCI등재

        韓國佛敎의 信行 개념에 관한 硏究

        柳好宣 한국불교학회 2008 韓國佛敎學 Vol.50 No.-

        Present-days various religions coexist and they used the same term 'Sin-Haeng(信行)'. If they mean it themselves separately or not, it will be a very important work to understand its own concept and it historical meaning within the sphere of the Buddhism. After considering the origin of the word 'Sin-Haeng(信行)' and its usages in the Buddhist sutra, this article develops its meaning in the modern Korean Buddhism. Such study will reveal the general appearance of Sin-Haeng(信行) naturally. In the early Sutras, they separate the religious belief and practice, then they regard that the prajna[般若] is more important than the religious belief. As example in the Dīrghāgamasūtra(長阿含經) only said “getting the religious belief by oneself and then telling it to others for them”. However, Mahāyānaśraddhotpādaśāstra(大乘起信論) divides four religious beliefs and five practices, moreover many Mahāyāna sutras emphasizes the religious belief unlike the early Sutra. The Avatamska Sutra(華嚴經) classifies the four steps such as belief the first, understanding the second, practice the third and enlightenment the last(信解行證).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Saddharmapuṇḍarīkasūtra(法華經) placed the firm belief of Il-Seung(一乘) and real facts(實相) first of all, and said such belief is the power to approach to the real facts. 'Sin-Haeng(信行)'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is as follows. Sin-Haeng(信行) practices of Gwaneum faith(觀音信仰), Yaksa faith(藥師信仰), Amita faith(彌陀信仰), Buddhist invocation(念佛) etc. are the principal axis in the Silla dynasty. The Buddhism of Go Ryeo dynasty was based on the defense its country and its characteristic point is the Buddhist invocation association(信行結社). This article described that Joseon Dynasty's Sin-Haeng(信行) combined the actions of Zen practice, theoertical research and private prayer. Finally this article refers that the meaning of Sin-Haeng(信行) in the modern Korean Buddhism. The Buddhist organization as superstructure should offer the keys that solves many branches of the modern problems and prepare Sin-Haeng(信行) construction as a center of a religious sphere. In brief, this historical understanding of Sin-Haeng(信行) system, offer the theoretical basement and right intention for modern society ; in other words, that has none other than the direction to contact the religious belief and practice from ancient times. 현대에 다양한 종교들이 공존하면서 각각의 종교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신행’이란 용어에 대하여, 종교 나름대로의 의미 규정이 존재한다. 그것이 현대의 제 종교에서 동일한 개념으로 인식되고 사용되는지의 여하는 차치하더라도, 불교 권내에서의 ‘신행’ 용어의 사적인 고찰과 이해의 과정은 의미 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본고에서는 신행의 어원(語源)과 경전에서의 쓰임을 살펴본 뒤, 한국불교사에서의 사적(史的) 전개와 현대불교에서의 의미 고찰을 통하여 ‘신행’의 전체 모습이 노정되는 방향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초기경전에서는 신과 행을 분리하고 있으며 믿음보다는 지혜를 중시하여 깨달음으로 나아가고 있다. 『장아함경』에서는 신(信)을 “스스로 믿음을 얻고 남을 위해서도 이야기해주다”로 정의하였고 초기경전에서처럼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에서도 사신(四信)과 오행(五行)을 구분하였다. 대승 경전인 『화엄경』에서는 ‘믿음[信]’, ‘이해[解]’, ‘실행[行]’ ‘증득[證]’이라는 4가지 수행체계 안에 신(信)과 행(行)을 배속하여 초기경전보다 신(信)을 강조하게 되었다. 아울러 『법화경』에서도 일승(一乘)과 실상(實相)에 대한 확고한 믿음을 우선시하면서 이러한 믿음이 실상에 접근하는 원동력임을 역설하고 있다. 한국불교사에서의 신행의 고찰은 통일신라의 관음, 약사, 지장, 미타신앙 이 화엄사상과 함께 신라불교 신행의 주축이 되는 사실과, 고려시대 호국불교적 특징과 신행결사를 서술하였다. 또한 조선시대에는 선(禪)과 교학을 아우르는 신행과 민간의 기복적인 신행 행위가 공존했음을 살펴보았다. 끝으로 현대 한국불교의 신행 의미에서는 현대사회의 다기한 문제를 해결할 열쇠는 불교신행이라는 점과 그를 위해 불교권내에서는 구심점이 있는 신행 구조를 마련해야 함을 언급하였다 요컨대 이러한 신행의 본질적이고 사적(史的)인 맥락의 이해는 현대 한국불교의 신행 활동에 지적 토대를 제공하고 올바른 지향점을 제시한다는 의의를 지닌다. 그러한 지향점은 다름이 아닌, 불교 고래(古來)의 그리고 불교 본연의 자각(自覺) 지향적인 교리를 구현하는 자발적인 믿음과 수행을 촉발시키는 방향인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욱면비면불서승(郁面婢念佛西昇)」의 불교문화적 담론 연구

        김병권 ( Kim Byeong-kweon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19 퇴계학논총 Vol.34 No.-

        삼국시대에 佛敎가 전래된 이후 그 가르침은 위로는 왕실에서 아래로는 일반 백성들에게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전파되었다. 불교의 전국적 전파과정에서 형성되었던 불교 說話를 『三國遺事』에서 읽을 수 있다. 특히 「郁面婢念佛西昇」, 「廣德 嚴莊」, 「南白月二聖 努肹夫得 怛怛朴朴」 등은 衆生의 極樂往生을 소재로 한 작품이다. 이 작품들은 불교의 民衆敎化와 중생의 死後에 대한 期待를 살피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본 연구의 대상 작품은 불교의 彌陀信仰을 반영하여 형성되었던 「郁面婢念佛西昇」이며, 鄕傳과 僧傳으로 구성되어 있다. 향전은 修行을 돕는 일을 하던사람[知事者]이 戒를 받지 못해 축생도에 떨어져 부석사의 소로 환생하고, 소는 등에 실어 나르던 佛經의 힘을 입어 다시 인간세계에 여자 종으로 태어나며, 이 여자의 이름이 郁面이라고 전한다. 그리고 향전은 郁面이 주인의 천대와 멸시를 견디며 자기 신분의 한계와 몸의 고통을 잊고 염불하여 마침내 極樂往生하였음을 전하는 이야기다. 본 연구에서는 인과론적인 생사윤회와 彌陀信仰의 極樂往生에 대한 불교문화적 담론을 살펴보았다. 郁面의 생사윤회와 極樂往生談은 신비체험을 통해 중생들을 교화하기 위한 假說 方便이다. 한편 불교 수행을 통하여 멸시와 천대를 견디는 忍辱과 몸을 잊어버린 無我를 통해 自性의 청정함을 깨달아 진정한 自由와 영원한 幸福을 이룬다는 가르침은 불교 교리의 實談이다. 현실세계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너와 나 사이에 갈등하고 대립하는 모순의 세계이다. 이 세계에서 자유와 행복을 얻기 위해서는 천대와 멸시를 견디며 몸을 잊어야 한다. 또한 나와 너, 있음과 없음, 옳음과 그름의 분별로 인한 집착과 相을 초월하여야 한다. 「郁面婢念佛西昇」의 불교문화적 담론은 무절제한 소유욕과 분별로 인한 갈등과 대립이 만연한 오늘날의 현실에 시사해주는 바가 크다. The Samguk Yusa includes Buddhist folk tales that were delivered by word of mouth in the Silla era. These folk tales are important data for analyzing how Buddhism’s popularization and cultural imagination were related to the Silla people’s expectations for the future. The current study focuses on Wukmyenbiyembwulsesung(one of the folk tales in Samguk Yusa), which was created on ground of Buddhism's Mita faith. The protagonist is a female servant named Wukmyen. In her past life, she was a cow in Buseoksa which carried Buddhist texts. Thanks to carrying Buddhist texts, she was reborn as a servant In the human world. By enduring her master's contempt and practicing Buddha-chanting, Wukmyen was able to reach the Buddha Land. From a Buddhist perspective, this study analyzed meanings of cultural discourses of Wukmyenbiyembwulsesung, focusing on the process of reincarnation (birth, death and rebirth) and the Silla people’s aspiration to go to the Buddha Land. Wukmyen’s story is a hypothetical one that was mainly used to enlighten the people about reincarnation and the Buddha Land. It also reflects the Buddhist doctrine that true freedom and eternal happiness can be achieved by realizing the purity of one’s self, enduring contempt, and practicing selflessness. The real world consists of conflict between the other and the self across time and space. To have freedom and happiness in the world, one should endure contempt and practice selflessness. Thus, the meanings of cultural discourses of Wukmyenbiyembwulsesung have important implications to the contemporary world.

      • KCI등재

        징월정훈(澄月正訓)의 문학세계에 대하여

        김종진 한국선학회 2013 한국선학 Vol.35 No.-

        澄月正訓(1751~1823)은 경상북도 의성에서 태어나 팔공산 주위의 여러 사찰에서 주석한 승려 작가다. 대사는 주위의 승려 및 여러 유명한 문사들과 詩 談을 즐기며 수행생활의 여유를 느끼게 하는 많은 시를 남겨 당시 팔공산 권역에서는 詩名이 높았던 것으로 파악된다. 대사의 선시는 선기가 뛰어나거나 독특한 표현을 보여주지는 않는다. 대신 모나지 않은 품성의 반영인 듯 자연의 풍광 속에서 안온한 수도인의 삶과 표정을 보여주는 영물시와, 주변 지역의 관리와 고명한 문사들과의 교유시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대사의 문학작품은 시가 대부분인 가운데 네 편의 記文 역시 이 시기 팔공산 은해사 주변 사찰의 내력을 잘 소개하고 있고, 미타 신앙이 흥성한 사상적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다. 그가 교류한 인물은 주로 의성 주변의 수령들, 관찰사, 그리고 당시 세도가로 이름을 떨쳤던 여러 문사들이 있다. 이는 조선후기 유불의 교류가 문학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 양상을 잘 보여준다. 문집에는 특히 그의 고향인 의성에서 멀지 않은 팔공산 권역에서 여러 관리들과 시를 통해 交遊하고 있음이 잘 드러나 있다. 운수납자라 하여 승려작가의 문학 연구에서 특정한 지역의 지역성에 대한 탐구가 불가하다고 보는 관점이 있지만, 대사의 경우 특정한 지역의 공간성을 탐구해 볼 만한 여지가 있다. 이처럼 대사의 시와 기문은 이 지역의 지역성과 문화성을 드러내는 성과를 보여주고 있어 앞으로 불가 문집을 지역별, 권역별로 나누어 검토할 때 소중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Jingwol Junghun (1751~1823) was a monk born in Euiseong in Kyeonsangbuk do. He had wandered various temples around Palgongsan from late 18th century to early 19th century. He left many poems showing life of abstinence as he enjoyed conversations through poetry with monks and various famous contemporary writers. It seemed that he had been famous for poetry in Kyeonsang do. His collection showed his friendship with various officials in Palgongsan area through poems as a monk having hometown in Kyeongbuk Euiseong. Four verses which are relatively rare comparing the number of poems he left show the history of temples near Eunhaesa in Palgongsan, and reflect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ime such as prosperity of Amita Buddha faith. His poetry and verses show the locality and culture of this area so it is expected that they will be utilized as precious materials when Buddhist literature collections are reviewed by area and by region.

      • KCI우수등재

        의상의 화엄사상과 통일기 신라사회

        정병삼(Jung Byung-Sam),해주, 정순일 불교학연구회 2000 불교학연구 Vol.1 No.-

          Uisang, the founder of Hwaom School of Silla, spent his life leading the activities of a religious order and strictly pure self-discipline during the changing times in Unified Silla society.<BR>  Uisang"s Hwaom thought that appears in il-seung-bob-gye-do(一乘法界圖) succeeded the new thought structure that Zhiyan had systemized. Uisang arranged the heart of Hwaom thought into symbolic diagrams in half-poem formats. Among Uisang"s il-seung-bob-gye-do thought, the core is the text of dependent origination of dharmadhatu(法界緣起) of One Vehicle Round Doctrine(一乘圓敎), which is classified into 4 categories which are composed of the mutual penetration and the mutual identity(相入相卽) between the One and the All etc. Each individual holds an element of the All. It is because they exist upon the foundations of conditioned origination, and therefore the One and the All embrace each other with no obstacles in between. In a world that is formed upon conditioned origination, there cannot be a fixed individual with an independent identity. All individual objects exist according to a mutual organic relationship.<BR>  There were many active disciples who were of commoner origin among Uisang"s pupils like Jinjong and Jitong, It is meaningful to see that pupils of commoner origin could play a central role in a central religious order of a time when strict social classes were emphasized.<BR>  Uisang succeeded in settling Avalokitesvara living in this world belief as the appropriate religion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needs of the Silla people. And Uisang opened Busok-sa(浮石寺), the main temple of Hwaom School, with Amita belief. Uisang established Amita belief as the central religion of Hwaom School. The propagation of the Buddhist land religion of the belief of Avalokitesvara living in this world and reality-based Suhkavati belief that Uisang had propelled, contributed to the new social stability that the Silla society had been yearning for.<BR>  The role of Buddhism in the "jungdae" period Silla was to form a composite background with politics, which were heading for Confucian ideas. And Uisang formed an important axis of the sovereign powers along with the institutional role of Confucianism, through establishing a high degree of philosophy and uniting the consciousness of the people.

      • KCI등재

        羅ㆍ唐 동해 관음도량, 낙산과 보타산 - 동아시아 해양불교 교류의 역사 현장

        조영록 한국정토학회 2012 정토학연구 Vol.17 No.-

        관음ㆍ정취보살을 主尊으로 하는 낙산 동해관음도량은 義湘과 梵日이 입당구법하고 귀국하여 創 重創한 것이다. 이 연구는 韓中 東海觀音道場 형성의 비교사적 고찰이라는 점을 念頭에 두고 진행하였다. 의상대사가 창건한 낙산사는 중국 보타산에 비하여 건립된 시기가 빠르고 그 경관이 흡사하다. 그것은 대사가 7세기 후반에 입당유학하여 玄裝法師의 『大唐西域記』에 소개된 관음보살의 住處, 포달락가산(布呾落迦山)을 본국에 再現한 것이다. 그때까지 관념적으로 존재하던 관음주처의 신앙이 동아시아 최초의 관음 기도도량으로 출현한 것이다. 일연은 ‘낙산이대성’조에서 華嚴敎學의 雙璧 元曉를 함께 등장시켜 의상에게만 觀音親見을 허용하여 차별화시켰다. 『송고승전』 ‘의상전’의 선묘설화에서도 중국 관음설화의 주인공 妙善의 이름자를 倒置시키는가 하면 설화의 배경도 9세기 전반 張保皐 당시에 맞추어 선묘관음설화로 꾸며 의상의 沙門像을 찬미하고 있다. 낙산사의 중건은 858년 浙江지역에서 유학하고 온 梵日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이는 明州 普陀山의 開山과 같은 해이니, 결코 우연이라고만 할 수 없다. 보타산은 일본승 慧萼과 신라상인 그리고 현지 주민들에 의한 합작품이다. 이 보타산 개산의 주역들은 범일이 浙江 沿海지역에서 구법할 당시 인연을 가진 사람들로 추측되어 진다. 범일은 청소년기에 ‘入道 淨行’의 수행과정을 거쳤으며, 일찍부터 관음신앙이 성행한 浙東연해지역에서 구법하고, 귀국 후에는 낙산사를 중창하였다. 따라서 그를 선종의 祖師로서 만이 아니라 禪淨雙修的 수행승으로서의 본래면목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해야 할 것이다. In 『Samgukyusa(Remoniscence of Three Kingdoms: Silla, Goguryeo, and Beckje)』, Naksan temple which has GwaneumㆍJeongchuibosal as main Buddha and is Gwaneum dojang(sacred place of the Boddhisattva) in East Sea was founded by Uisang, a monk who went abroad Dang to seek for the truth, and constructed by Beomil. Priest Uisang entered Buddhism by the end of the 7th century, returned to Korea after seeing Podalnakgasan, the main shelter of Gwaneumbosal recorded in 『Daedangseoyeokgi』 of Hyunjangbeopsa, and built it in Silla. This became the first Gwaneum studio in East Asia. By mid-9th century, Beomil seonsa returned to his country after studying in Jeolgang area in China and constructed Naksan temple. Coincidently, this was the same year that Gwaneum studio in Putuoshan in the East Sea of China was founded. Also Putuoshan was a mutual work of Egaku, the Japanese monk, merchants from Silla and local residents. It is believed that Beomil practised on Jungto(Pure land) in his youth period. In the prime of life, he sought for the Buddha's truth in the area near Jeoldong coast where Gwaneum doctrine was prevalent, and reconstructed Naksan temple, the Gwaneum dojang after returning to Korea. In this aspect, he can be regarded as an ancestor of Namjongseon(The southern school of Ch'an(Zen) and a monk who combined practicing Jungto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