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경 신현리 고분군의 변천양상과 의미

        이성용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25 신라문화 Vol.66 No.-

        본 글은 문경지역에서 유일하게 고분들이 군을 이루고 있으며, 발굴조사된 문경 신현리 고분군의 출토유물에 대한 편년, 부장양상에 대하여 검토하고, 신현리 고분군에서 나타나는 특징적 요소를 통하여 고분군 조성 집단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문경 신현리 고분군의 조성은 고분에서 출토된 토기 중 형식의 속성변화를 통해 고분을 편년할 수 있는 기종을 통해 3단계로 구분되며, 5세기 후반경부터 6세기 중후반경까지 조영되었다. 고분군은 고분의 구조, 출토유물 양상에 따라 세 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고분군을 축조한 집단이 재지적, 신라적, 가야적인 성격 등 서로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스에키계 토기로 추정되는 유물을 통하여 문경 신현리 고분군을 조영한 집단이 남한강과 낙동강을 연결하는 교통의 요충지적인 성격을 가지고 낙동강과 영강 등의 수계를 활발하게 이용하였다는 자료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즉, 문경 신현리 고분군의 특징적인 구조, 묘역구분, 부장양상은 조영 집단이 신라 남한강 진출의 중요한 교두보적 역할을 하면서 삼국의 접경지대로서 다양한 문화를 수용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신현리 고분군의 조영은 고분군을 축조한 시기 및 배치양상과 이식 마구류 등의 위신재 등으로 보아 5세기 후반경 신라 석축산성 관방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던 고모산성을 축조하고 운영한 지배층 집단에 의하여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year and burial features of the excavated relics of the Mungyeong Sinhyeon-ri Ancient Tombs, and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nhyeon-ri Ancient Tombs Group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tombs and excavated relics. The construction of the Mungyeong Sinhyeon-ri Ancient Tombs is divided into three stages among the earthenware excavated from the ancient tomb through a model that can be compiled by changing the properties of the form, and was contrasted from the late 5th century to the mid-to-late 6th century. The ancient tombs can be divided into three regions based on the structure of the ancient tomb and the excavated relics. The group that built the ancient tomb is thought to have some differences, such as intellectual, Silla-like, and Gaya-like characteristics. Additionally, it can be seen that the group that contrasted the Mungyeong Sinhyeon-ri Ancient Tombs through relics believed to be Sueki-based earthenware actively utilized the water systems such as the Nakdonggang River and Yeonggang River due to their crucial transportation location connecting the Namhangang River. In other words, it is believed that the distinctive structure, graveyard classification, and burial pattern of the Shinhyeon-ri Ancient Tombs in Mungyeong are due to the fact that the Cho Young group served as an important bridgehead for the advancement of the Namhan River in Silla and accepted various cultures as the border area of the Three Kingdoms. Additionally, the group that built the ancient tomb appears to have been created by the ruling group that built and operated the Gomosanseong Fortress, which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Shilla Seokchuksanseong Fortress system in the late 5th century, based on the timing and layout of the ancient tomb.

      • KCI등재

        신라 對唐 조공품 속의 頭髮

        이보라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23 신라문화 Vol.63 No.-

        본 글에서는 신라의 對唐 조공품 속에 포함된 頭髮에 대해 살펴보았다. 기록상 확인되는 당에 대한 신라의 두발 조공 사례는 총 5건으로, 7세기부터 9세기까지 꾸준히 확인된다. 특히 후대로 갈수록 전달하는 두발의 양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신라의 두발이 당에서 가치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두발을 활용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첫 번째는 髢(체)로 활용하는 것이다. 문헌상 중국에서 체는 周代부터 사용되었다. 이후 점차 머리모양이 화려해짐에 따라 체는 더욱 적극적으로 사용되었다. 특히 당에서는 高髻(고계)가 유행하면서 체에 대한 수요가 높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신라에서는 체의 사용 여부를 명확하게 알 수 없으나, 용강동에서 출토된 토용과 흥덕왕 9년의 비녀 및 빗에 대한 禁令으로 미루어 보아 체를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두 번째는 약재이다. 여러 의학서에서 두발은 止血(지혈), 瘡(창), 疽(저), 癎疾(간질) 등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두발을 약재로 활용하는 기록은 漢代부터 나타나며, 唐代의 의학서에서도 두발을 활용한 처방전이 다수 확인된다. 조선시대 의학서에서도 두발은 약재로 기록되어 있다. 더욱이 조선시대 의학서에 나타나는 두발의 약재적 특성은 당 의학서의 내용과 일치하므로 두발을 약재로 사용하는 것이 오랜 기간 지속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신라는 당과 빈번히 교류하며 당으로부터 복식 및 의학적 영향을 받았다. 신라가 두발을 당에 바친 시기는 바로 그러한 영향을 받은 이후이다. 그러므로 당에서 두발을 두 가지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 역시 알고 있었을 것이다. 조공품으로써 기재된 두발의 양을 살펴보면, 때로는 체로 만들기에 그 양이 1개 정도에 불과한 경우도 있고, 체의 특징을 명확히 갖췄음에도 체가 아닌 ‘두발’로 전달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보아 신라가 당에 조공한 두발의 용도는 한 가지로 고정되지 않았을 것으로 추측된다. 즉 신라는 체와 약재라는 두발의 두 가지 용도를 고려하여 그를 원재료로써 당에 바쳤던 것이다.

      • KCI등재

        통일신라시대 울산의 사찰과 특성

        김재홍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18 신라문화 Vol.52 No.-

        이 글은 울산의 사찰이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신라 도성인 경주의 사찰과 어떠한 연관성을 갖고 있는 가라는 물음에서 출발하였다. 울산의 불교 문화는 신라 도성의 그것과 궤를 같이하면서 발전하였다. 6세기 전반에 사찰이 건립되기 이전에 불교 문화가 지역사회에 들어와 불교 의식을 통하여 촌락사회를 종교적으로 결속시키고 있었다. 울산의 대표적인 사찰인 영축사지에서는 신라 통일기의 전형적인 쌍탑일금당식의 가람 배치가 확인되었다. 이는 8세기 사천왕사지에서부터 시작된 사찰 구조로서 신라 도성인 경주지역의 사찰구조와 일치하고 있다. 울산지역의사찰은 구릉을 깎거나 낮은 지대를 메워 축조되었는데, 이는 제언의 축조와 관련을 가지고있었다. 울산의 불교문화가 신라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은 울산이라는 항구적인 입지와 도성의 주변이라는 특수성에 비롯되었다. 항구에 입지하여 새로운 문화가 일찍 들어오고, 도성의 주변에 위치하여 도성의 선진 문화가 울산의 고대문화를 풍부하게 하였던 것이다.

      • KCI등재

        신라 와적기단의 형식과 편년

        조원창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06 신라문화 Vol.28 No.-

        usive possesions of Baekje so far.However, in acordance with the increase in recent excavation surveys, we can identify that there were some ough the number is not much. I n t h i s r e g a r d , w e c a n f i n d t h e t r a c e o f t h e p l a t f o r m p i l e d up with roof tiles (Wajeok-gidan) from Cheongwansa Temple site in Gyeongju region, a building site in Inwang-dong, Jeongnimsa Temple site in Buyeo region and a building site in Bokdae-dong of Cheongju. At a glance they lok quite similar to the erms of their paterns such as flat piled pattern, vertically aligned pattern and piled pattern with slope. 60 新羅文化 第 28輯On the one hand, we can judge from the similarity of such patterns of platform that the construction technique of Baekje must have spread over to Shila. But in the case of piled patern with slope, it has never ben excavated from the native teritory of Baekje and therefore it was understood that the pattern was unique patern of platform piled up with rof tiles of Shilla. These platforms piled up with roof tiles seems to be built around from the 3rd quarter to 4th quarter of the 6th century to the 9t century based on the end roof tiles excavated from the pertinent building sites. And at the same time, based on the fact that the platforms piled up with rof tiles apeared in Gyeongju region without showing big diference in age compared with that of Baekje, we can make an inference that the propagation of technology between Baekje and Shila was very active. [주제어] 와적기단(瓦積基壇, Platform piled up with rof tiles[Wajeok-gidan]), 기와(瓦, Roof tiles), 와당(瓦當, Roof-end tiles), 백제(百濟, Baekje), 신라(新羅, Shilla)

      • KCI등재

        신라시대 경주 북천의 수리에 관한 역사 및 고고학적 고찰

        강봉원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05 신라문화 Vol.25 No.-

        This paper examines the suces and failure of water management on Kyongju, once the~936 A.D.) in ancient Korea. Many serious flods tok place in the city over a long period of time. By combining documentary sources, epigraphic records, and ue physical environment of Kyongju that 2 新羅文化 第 25輯repeatedly caused floods in Kyongju. I argued that the rulers of Sila probably constructed a levee along the Buk Chun[North Stream], which flows from the east to the west in the northern part of Kyongju city, sometime betwen the fifth and sixth centuries A.D. Furthermore, this paper examines how sucessfully the Sila Kingdom dealt with the flood problem and why water management in the later time period failed. This paper wil provide a case study on suces and failure of water management from the protohistoric to historic time period in Kyongju, Korea.

      • KCI등재

        태주지구 나려 유적과 지명에 관한 고찰

        박현규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08 신라문화 Vol.31 No.-

        The area of Taizhou is located in the mid-coastal part of Zhejiang(浙江) province ofery early age and left so many ruins and place names. There are some record about Linhai(臨海) Xinluo(Silla) Mountain(新羅山) in Chicheng zhi(赤城志). The record of “Shan(山)” and the map of “zhoujing(州境)” are described diferently. Previous scholars had corected Linhai Xinluo Mountain as Hou Mountain at the backside of the city of Linhai. However, based on the map of “Zhoujing,” I asume that it would be Shiyantou(石岩頭) or Dagangtou(大崗頭) at the backside of Hou Mountain(後山) and, according to the record of “Shan,” it would be a mountain on the skirts of west of Fangxi(芳溪). The place name of Xianju(仙居) Xinluo described in Chicheng zhi indicates Xinluocun(新羅村) 新羅文化 第 31輯- 166 -located in Hengxi zhen(橫溪鎭) of Xianju xian. Xinluocun was the posession of the clan of Kim(金) f r o m g e n e r a t i o n s . C h i c h e n g z h i t e l s t h a t s a i l o r s t o k G a o l i tou Mountain(高麗頭山) as an in d i c a t o r w h e n t h e y w e n t t o w a r d s G o r y e o . G a o l i t o u M o u n t a i n , D o ngzhen Mountain(東鎭山) is Shangdachen Island(上大陳島) and Gaolitou Mountain is Gaolitou located in the shore of Shangdachen Island. Gaolitou(高梨頭) is phonetically changed form of Gaolitou(高麗頭).

      • KCI등재

        6~7세기 신라의 북한강 중상류지역 진출 양상

        심재연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08 신라문화 Vol.31 No.-

        신라의 북한강 중상류지역으로의 진출은 적어도 眞興王 12(551)년경에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많다고 생각된다 . 하지만 지금까지 이루어진 발굴 조사에서 확인된 고분자료로. 이에 비하여 생활유적인 홍천 역내리유적, 어유포리유적 등으로 볼 때 적어도 6세기 중반경에는 군사적인 거점 내지는 임시 주거지 등으로서 영위된 물질증거는 확인할 수 있다 . 이후 고구려와의 공략과정 속에 한때는 이 지역을 잃었을 가능성은 있으나 적어도 7세기 전반경에는 신라의 영역속에 완전히 편입되었으며 선덕왕 6년 우두주의 설치로 인하여 광역의 지방통치 체제에 편제되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고고학적인 물질자료가 춘천 분지내에서 광범위하게 확인되는 고분군, 홍천 지역의 고분군 , 춘천~홍천간 국도상의 발견매장문화재 신고지 등이 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으며 춘천 우두동 평야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발견되는 통일신라기의 취락유적과 생산유적이 이를 더욱 뒷받침하여 준다고 생각된다 .

      • KCI등재

        8~9世紀 新羅의 北方經營과 築城事業

        조이옥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09 신라문화 Vol.34 No.-

        신문왕대를 거치면서 신라는 내부적으로 왕권의 기틀을 다지고 대외적으로 당의 위협이 소멸됨에 따라 북방영토에 대한 축성사업을 본격적으로 단행하였다. 통일 이래 신라의 축성사업은 크게 지역적 특성에 따라 패강일대와 동북면 방향으로 나누어 살펴 볼 수 있다. 패강일대 축성사업은 지방통치체제의 정비선상에서 이루어졌다. 패강일대는 일찍이 신라의 영토로 편입된 지역이었기 때문에 군현제적 지배체제가 어느 정도 관철되고 있었다. 더욱이 평안도 지역은 무주지 상태에 있었기 때문에 신라가 영토개척을 통한 영역화 작업이 비교적 용이하였던 것이다. 동북면일대의 경우 외적인 말갈의 존재와 관련해 경영이 용이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외적인 말갈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한 방어책으로 축성이 단행되었다. 또한 삭정군, 하슬라일대의 축성을 통하여 신라 영역의 변동을 예상할 수 있으며, 정천군내 탄항관문의 존재는 신라의 동북경이 획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정천군내 탄항관문은 발해와의 국경지대의 관문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하대 들어 신라의 영토는 다시 위축되었다. 북진에서 올린 표에서 나타나듯이 신라의 지배력은 실직(삼척)이북까지 미치지 못하였던 것이다.

      • KCI등재

        월정교 ․ 춘양교로 본 신라 왕경의 교량과 월성 이남 개발 양상

        김경열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24 신라문화 Vol.64 No.-

        본고는 신라 왕경 내의 교량과 그 속에 포함된 월정교 ․ 춘양교의 의미와 역할, 더 나아가 월성이남지역의 대지개발 양상에 대한 시론적인 고찰이다. 먼저 문헌자료 및 고지도를 통해 신라 왕경 내 교량(금교, 귀교 등)의 위치를 간략하게 추정하였다. 또한 현재 왕경 내에서 확인되는 교량은대부분 남천변에 집중되어 있음을 주목해 보았다. 이러한 현상이 확인되는 이유는 북천이 하상계수가 높은 하천이기 때문으로 보았다. 즉 유량이 안정적으로 흐르는 남천과 달리 북천은 임시로 사용되는 섶다리나 부교, 징검다리와 같은 다리만 존재한 것으로 보았다. 다음으로 유이하게 교량의 위치가 확인된 월정교 ․ 춘양교의 축조 기술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여기에서 확인된 특징은 동 시기에 축조된 교량에서 기술적인 차이가 보인다는 점이다. 이러한 차이는 두 교량 간에 위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교량의 위계 차이는 왕과 태자를상징하는 것으로 이해되는데, 두 교량이 축조된 경덕왕대는 태자를 위한 여러 사업들이 활발히진행되었으며, 월정교 ․ 춘양교가 건립된 직후 태자가 책봉되었다. 특히 각 교량의 명칭 또한 왕과 태자를 상징하는 의미가 담겨 있는 점도 유의된다. 따라서 월정교는 왕, 춘양교는 태자를 위한 교량으로 추정하였으며, 월정교와 춘양교는 왕궁역의 구획 및 구조 완성의 의미로 판단하고자 하였다. 두 교량의 축조 시점을 전후로 월성 이남 지역의 재개발 현상이 발굴조사를 통해서 확인되고있다. 예를 들어 인왕동 사지의 완성과 천관사지의 건립, 주변의 여러 도시유적도 이러한 특징이확인되고 있다. 더욱이 탑동의 경우는 무덤군이 파괴되면서 도시가 재개발된 양상이 확인된다. 따라서 월정교 ․ 춘양교 건립시기를 즈음하여 월성 이남 지역은 도시의 확장과 더불어 가로 구획이 정비된 도시가 들어섰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신라 왕경의 도시발전 도식을 정리하자면 6세기 중 ․ 후엽에 황룡사를 중심으로 하는월성 동북편과 초기 사찰 건립이 중심된 서천변 개발, 남산신성을 위시한 월성 이남 개발 등이 1 단계가 될 것이다. 이후 7세기 후~8세기 초엽에 걸쳐 동궁과 월지, 사천왕사, 전랑지와 더불어 북천 이북까지의 도시계획이 진행되는 2단계, 8세기 중 ․ 후엽 이후 월정교 ․ 춘양교와 월성 이남지역이 재개발되는 3단계로 왕경 발전 단계를 설정하였다. This study is a preliminary analysis of the royal capital of Silla Bridges and the urban development aspects of the southern Wolseong area. This paper is described the meanings and roles of Silla bridges from Woljeonggyo and Chunyanggyo Bridges Sites. First, It is assumed that the locations of bridges (Geumgyo Bridge, Gwigyo Bridge, etc) in the Silla capital by the literature and old maps. It is a noticeable feature which most of Silla capital bridges are located on along the Namcheon River. Because, the Bukcheon River had a high coefficient of flow fluctuation it is assumed that Bukcheon River had led to only simpler crossings such as the temporary bridge or stepping stones, in contrast to the Namcheon River's case. Next, this study looks into the construction technology by Woljeonggyo and Chunyanggyo Bridge Sites where the locations are confirmed bridges. There is a noticeable feature, different construction technologies are found among the same period bridges. This is understood that the two bridges have a different hierarchy. This gap is thought to symbolize the king and the crown prince. During the reign of King Gyeongdeok, were carried out various projects for the crown prince and the crown prince was appointed to set after the completion of Woljeonggyo and Chunyanggyo Bridge. Especially, it is noticeable feature each bridge's name also contains symbolic meaning of the king and the crown prince.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Woljeonggyo Bridge is for the king and Chunyanggyo Bridge is for the crown prince. The construction of two bridges is understood that were completed the sections and structures of the royal palace. It is found that the redevelopment aspect of the southern Wolseong area was around the time of the two bridges' construction. For example, it appeared this feature that the completion of the Inwang-dong temple site, the Cheongwansa temple construction and several urban sites excavation. Moreover, in the case of Tap-dong is surveyed which the tomb group was destroyed before the urban redevelopment by the excavation of this area. It could be understood that the street organization and the urban expansion in the southern Wolseong area,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Woljeong Bridge and Chunyang Bridge. To summarize the urban development in the Silla capital, the first stage centres on the three place developments in the mid to late 6th century, the Hwangnyongsa Temple construction in the northeastern area of Wolseong, the early temples in the Seocheon riverside and the southern Wolseong with Namsansinseong Fortress. The second stage is the urban expansion until the north side of Bukcheon River in the late 7th century to the early 8th century with the places of Sacheonwangsa Temple, Seongdong-dong Jeolangji and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At last, the third stage of the Silla capital could be the redevelopment in the southern Wolseong area with Woljeong Bridge, and Chunyang Bridge construction.

      • KCI등재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신라 <수구즉득다라니>의 金剛神像, 그리고 <금동방형경합>

        임영애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24 신라문화 Vol.65 No.-

        <수구즉득다라니(隨求卽得陀羅尼, Skt. Mahāpratisarā-dhāraṇī)> 필사본 두 장이 세상에 드러났다. <금동방형경합>안에 납입되어 있었다. 고려시대 <수구즉득다라니>는 많이 남아있지만, 신라로 추정되는 예는 처음이다. 두 장의 다라니 가운데 한 장은 범자(梵字, Skt. Siddhamātṛkā)로, 다른 한 장은 한자로 썼다. 두 장 모두 재료가 닥종이로 밝혀졌기 때문에 신라에서 만든 것은 틀림없겠지만, 아쉽게도 언제 제작되었는지 알 수 있는 단서가 없다. 이 글은 범자 다라니 중앙에 그려진 금강신, 그리고 <금동방형경합>의 특징을 살펴 국립경주박물관의 <수구즉득다라니>가 9세기 후반 혹은 그 이후 언젠가 제작되었음을 밝힌 글이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립경주박물관의 <수구즉득다라니> 중앙에 그려진 금강역사상과 금강저, 금동경합의 뚜껑 식물 문양과 네 면에 새겨진 신장상의 특징을 고려한 것이다. 둘째, 다라니를 법식에 맞게 경합에 넣어 보관하기 시작한 시기이다. 잘 알려진 것처럼 706년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 8세기 전반 <나원리 오층석탑>, 8세기 중엽 <불국사 삼층석탑> 등에서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발견되었지만, 모두 별도의 경합에 넣지 않은 채로 사리외함에 넣었다. 반면, 대략 9세기 후반 이후부터는 탑 안에 경전을 넣기 위한 금동방형합이 마련된다. 모두 방형이며, 사리기와는 별도로 납입되었다. 셋째, 문자 자료에 등장하는 『수구다라니』를 비롯한 다라니의 유행시기를 고려한 것이다. 『삼국유사』 속 보천의 이야기, <해인사 묘길상탑지>를 고려하면 『수구다라니』의 유행은 신라말 혹은 그 이후라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해서 8세기 신라에 <수구다라니>가 유통되었을 가능성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신라에서 『수구다라니경』의 본격적인 유행 시기는 9세기 후반 이후를 가리킨다는 것이다. Two paper sheets from the manuscript of the Incantation of Wish‑Fulfillment (隨求卽得陀羅尼, Skt. Mahāpratisarā-dhāraṇī) were recently made known to the world. Originally kept in a gilt-bronze box, the paper sheets are a significant find. There are already several known extant examples of objects or amulets created to embody dhāraṇīs from the Incantation of Wish-Fulfillment dating to the Goryeo period. However, the paper sheets discussed in this article are the first discoveries of material dhāraṇīs to be tentatively dated to the Silla period. Analyses of the two paper sheets, one written in Chinese and the other in Indic script (梵字, Siddhamātṛkā), show that they were made using Dakpaper (Korean Paper). This provides strong evidence that the paper amulets were made in the Silla Kingdom. Unfortunately, there is no other evidence that definitively establishes when the two paper sheets were created. This article presents an argument for dating the newly rediscovered Incantation of Wish-Fulfillment manuscript sheets from the collection of the Gyeongju National Museum to the latter half of the ninth century or periods subsequent. This premise is mainly based on an examination of the Vajra deity (jingang shen) pictured in the center of the sheet written in Siddhamātṛkā script as well as on an analysis of the gilt-bronze box originally containing the manuscript pages. There are several key considerations that support this claim. First, is a matter of the decoration and ornamentation of the gilt-bronze box, which includes the figures of Vajra-pani and Vajra portrayed at the center of the Incantation of Wish-Fulfillment paper sheets as well as the plant designs on the cover and images of generals featured on the four sides of the gilt-bronze box. Second, it is also important to recognize the period during which dhāraṇīs began to be stored in boxes in accordance with Buddhist rituals during the mid to late ninth century. As is well known, amulets containing the Wugou jingguang datuoluonijing (無垢淨光大陀羅尼經, Great spell of unsullied pure light) were discovered in various sites such as the Three-story Stone Pagoda of 706 at Hwangboksa Temple Site, the Five-story Stone Pagoda constructed sometime during the early to mid-eighth century in Nawon-ri, and the Three-story Stone Pagoda of Bulguksa Temple erected in the mid-eighth century. In these examples, the Wugou jingguang datuoluonijing was never stored in a separate container but rather placed in a reliquary alongside sarira without exception. Contrary to this tradition, Buddhist scriptures started to be placed in their own designated containers such as the gilt-bronze box after the latter half of the ninth century. These boxes were always rectangular and constructed separately from the sarira reliquaries. The third and last consideration, is the fact that the Incantation of Wish-Fulfillment was one of many texts that were recorded onto physical amulets during a period when dhāraṇīs were widely popular. According to the story of Bocheon, Haeinsamyogilsangt'apki (Myogilsang Pagoda Document of Haeinsa Temple) from Samguk Yusa (三國遺事,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the Incantation of Wish-Fulfillment was most prevalent towards the late Silla period and afterwards. This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 Incantation of Wish-Fulfillment was never circulated throughout the Silla Kingdom during the eighth century. Rather, it is a persuasive indication which reinforces the idea that the Incantation of Wish-Fulfillment was most popular after the ninth century, further solidifying this timeframe as the most probable production period for the two paper sheets discussed throughout this artic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