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崔世珍의 家系와 生涯

        황선엽 진단학회 2023 진단학보 Vol.- No.140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existing theories on Choe Sejin's family and life, and to integrate relevant discussions through the addition of recently discovered new materials and a reevaluation of existing materials. In Chapter 2, we reviewed contentious issues regarding Choe Se-jin's life, including his birth year, father, ancestral home, Chinese character representation of his name, and social status. In Chapter 3, we supplemented the discussion on Choe Sejin's ancestral home and origin, which had been a point of contention in previous research, based on five different sources of information. In Chapter 4, we examined records about Choe Sejin found in “Gukjomungwa-bangmok" and “Tongmun-gwanji," revealing significant discrepancies and errors due to the nature of these later sources, which vary from edition to edition. The ongoing discussions surrounding Choe Sejin's family and life reflect the diverse controversies surrounding the figure of Choe Sejin.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scarcity of contemporary sources or primary materials about Choe Sejin, leading researchers to rely on secondary materials produced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In this paper, we have supplemented the discussion on Choe Sejin's life by incorporating newly added materials that are closer to primary sources. 본고는 최세진의 가계와 생애에 관한 기존 논저를 살펴보고 근래에 발견된 새로운 자료의 추가, 기존 자료의 재검토를 통해 관련 논의를 종합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제2장에서는 최세진의 생애에 관한 쟁점으로 생년, 아버지, 본관, 이름의 한자 표기, 신분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제3장에서는 5종의 자료를 바탕으로 기존 연구에서 논쟁점으로 제기되었던 최세진의 본관과 출신에 대한 논의를 보충하였다. 제4장에서는 『국조문과방목』, 『通文館志』의 최세진에 관한 기록을 검토한 결과 후대 자료라는 특성으로 인하여 적지 않은 오류를 드러내고 있으며 이본마다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최세진의 가계와 생애에 관하여 여러 논의가 이어져 온 것은 최세진이라는 인물에 대한 논쟁점이 매우 다양함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최세진에 관한 당대 자료나 1차 사료가 부족하여 조선 후기에 만들어진 2차 자료를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보다 1차 자료에 가까운 자료를 새로이 추가하여 최세진의 생애에 관한 논의를 보충하였다.

      • KCI등재

        『번역박통사(飜譯朴通事)』 편찬자에 대한 재고(再考)

        장향실 ( Hyang Sil Jang ) 민족어문학회 2008 어문논집 Vol.- No.57

        본고는 1510년경에 최세진에 의해 편찬되었다고 알려진 『飜譯朴通事』가 최세진의 편찬으로 볼 때 야기되는 여러 문제점을 살폈다. 이를 바탕으로 현존 『飜譯朴通事』가 최세진이 언해한 것이 아닐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현존하는 『飜譯朴通事』에는 책의 간행 연대나 저자를 추정할 수 있는 어떤 기록도 없다. 『飜譯朴通事』가 최세진의 것이라고 단언할 근거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그간 학계에서는 오랫동안 최세진의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았다. 하지만 『飜譯朴通事』 6葉에 나오는 『老朴凡例』에 대한 내용, 『飜譯朴通事』의 번역과 『老朴集覽』 풀이의 불일치, 『四聲通解』에 실린 飜譯老乞大朴通事凡例의 설명과 맞지 않는 『飜譯朴通事』의 형식 및 書名, 『飜譯朴通事』의 서지적 정보 등을 고려해보면 최세진 편찬설을 준신하기 어렵다. 오히려 『飜譯朴通事』를 최세진이 편찬한 것이 아니라고 보았을 때 이러한 문제들은 적절히 이해될 수 있다. 현전하는 『飜譯朴通事』는 최세진의 것이 아닐 수 있다. 물론 본고에서 제기한 문제들이 『飜譯朴通事』가 최세진이 편찬한 것이 아님을 확증케 하는 결정적 증거가 될 수 있는가라고 의문을 제기할 수도 있다. 하지만 적어도 본고에서 제기한 문제들이 해결되지 않는 한 최세진 편찬설 또한 설득력을 가질 수 없는 것도 사실이다. This thesis studied on the Beonnyeok-Baktongsa which edited in 1510 or thereabouts. The editor of Beonnyeok-Baktongsa widely known as Choi, Se-jin. But it also raised several severe questions. So this researched questions and presented the possibility that the editor of Beonnyeok-Baktongsa existing is not Choi, Sejin. There is no proof which the Beonnyeok-Baktongsa existing edited by Choi, Se-jin. Even though this fact the editor of Beonnyeok-Baktongsa widely and firmly known as Choi. This thesis presented several questions concerning the editor of Beonnyeok-Baktongsa. These are the record of 6th page about Nobak-beomnye in Beonnyeok-Baktongsa and contradictions of explanations between Beonnyeok-Baktongsa and Nobakjimnam. And also there are some disconcord between the Beonnyeok-Baktongsa existing and records in Beonnyeok-nogeoldae -baktongsa-beomnye, especially the title and construction of the Beonnyeok-Baktongsa. These problems make it impossible that believe Choi as the editor of the Beonnyeok-Baktongsa. The editor of the Beonnyeok-Baktongsa existing is possibly not Choi. Of course, up to now it in not clear who is the editor of the Beonnyeok-Baktongsa existing. But at least, we have to wait until some questions this thesis presented are solved.

      • KCI등재

        최세진(崔世珍)이 제시(提示)한 상성연독변조(上聲連讀變調) 이론(理論)의 적용(適用) 양상(樣相)과 학술적(學術的) 의의(意義)

        배은한 한국중문학회 2020 中國文學硏究 Vol.0 No.79

        본고는 朝鮮時代 中宗朝에 崔世珍이 편찬한 中國語 會話 敎材 『飜譯老乞大』와 『飜譯朴通事』에 반영된 近代漢語의 音韻體系 분석을 기본 목표로 설정하고, 崔世珍이 제시한 上聲連讀變調 현상을 분석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連讀變調(Tone sandhi) 현상은 개별 글자(漢字)의 발음 제시에 중점을 둔 일반적인 韻書나 字書에서는 확인할 수 없는 語流音變(Sandhi, Phonetic changes)현상이다. 會話 敎材인 『飜譯老乞大』와 『飜譯朴通事』에서는 개별 글자(漢字)의 발음을 제시하는 기본적인 기능을 바탕으로, 會話 능력 제고의 효율성을 위해 語流音變으로 발생하는 실질적인 발음 변화까지 체계화하여 제시해야 하는 구조적인 당위성을 내포하고 있었다. 崔世珍이 中國語 敎學史에서 ‘最初’로 上聲連讀變調라는 語流音變 현상을 구체적으로 이론화하고, 그 이론적 구도를 『飜譯老乞大』와 『飜譯朴通事』에서 적용한 처리 방식은, 中國語 敎學의 역사에 있어서 획기적인 성과로 평가된다. 歷史言語學, 즉 通時言語學은 中國言語學史 연구에 있어서 연구 방법론의 토대를 형성하는 바탕이 된다. 이러한 연구 방법론에서 ‘最初’·‘最古’라는 평가를 받는 연구 자료는, 시기적인 의의와 후속 연구에 미치는 학술적 영향력으로 가치를 높이 인정받고 있다. 물론 후속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견해와 축적된 자료의 활용이 가능한 시기적 기회를 제공받음으로써, 선행 연구의 미비점을 수정·보완하여 완성도가 제고되는 것이 學術 發展史의 일반적인 양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정 영역에서 ‘最初’로 先覺 先驅 先導의 역할로 평가받는 선행 연구의 가치는, 단순히 시간적 개념으로서 先行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그러므로 中國言語學史에서는 部首 개념을 정립하여 字形 배열의 새로운 체계를 확립한 許愼의 『說文解字』가, 韻에 따라 字音의 기준으로 韻字를 배열하는 체계 확립의 선도적 가치를 인정받는 陸法言의 『切韻』이, 전통 韻書의 틀을 깨고 時音을 근거로 혁신을 이룬 周德淸의 『中原音韻』이, 그리고 中國語의 語法 體系를 학문 영역으로 개척한 馬建忠의 『文通』이 각각 해당 분야의 학술적 기반 구축이라는 높은 가치를 인정받으며 후속 연구에 지대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崔世珍의 上聲連讀變調 현상에 대한 인식과 『飜譯老乞大』·『飜譯朴通事』의 편찬에 투영된 활용 양상은, 上聲連讀變調라는 語流音變 현상을 ‘最初’로 적시하고 활용한 漢語音韻學史에서의 歷史的 價値가 높이 평가되어야 할 사안이다. ‘聲調’라는 中國語 고유의 발음 요소가 周顒과 沈約에 의해서 인식되고 ‘四聲’이라는 명칭과 분류 형식으로 體系化·理論化되는 과정이 있었기에 韻學이 학문 영역으로 정립될 수 있었던 것처럼, 世人은 인식하지 못했던 특정 현상에 대해서 면밀한 관찰과 인식 그리고 이론화하는 先覺的 안목은, 새로운 이론 정립과 체계화라는 결과로 후속 연구에 미치는 영향력이 지대하다. 崔世珍은 中國語를 母語로 하지 않는 외국인 입장이었기에, 母語가 아닌 敎學 소재로서의 中國語를 객관적인 시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안목이 확보될 수 있었고, 나아가 中國語에 대한 깊은 조예를 바탕으로 變調 현상을 理論化할 수 있었던 것으로 추론된다. 崔世珍이 정립한 上聲連讀變調 현상의 이론적 가치와 『飜譯老乞大』·『飜譯朴通事』에서의 적용 양상이 완벽한 수준일 수는 없다. 이는 시기적인 한계임을 인정해야 할 부분이다. 하지만 현존 문헌 중에서 ‘最初’로 제시된 이론적인 개념 정립과 활용이었다는 점은 漢語音韻學史의 측면에서 높이 평가해야 할 사실이다. 본고는 上聲連讀變調 현상의 적용과 활용 양상을 분석함에 있어서 『飜譯老乞大』·『飜譯朴通事』에 수록된 대표적인 예문을 대상으로 上聲連讀變調 현상의 적용상황을 유형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고의 분석 결과에서는 崔世珍이 제시한 上聲連讀變調 현상의 理論化 결과를 단지 ‘最初’라는 시간적인 價値에만 초점을 맞추지않고, 후속 연구와 교학 과정에 미친 영향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하여 종합적으로 漢語音韻學史上의 意義는 어떻게 규정할 수 있겠는지에 대하여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학술적 가치의 재조명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sis the Modern Chinese of reflected in the Chosun Dynasty era Beonyeok Nogeoldae and Beonyeok Baktongsa as the basic goal, and conducted an analysis on Shangsheng Tone Sandhi suggested by CHOE Sejin. Tone Sandhi is a phenomenon that cannot be seen in a typical Sandhi, focusing on the pronunciation of individual letters. Beonyeok Nogeoldae and Beonyeok Baktongsa should be based on the basic function of presenting the pronunciation of individual letters, and systemically present even the actual pronunciation changes that occur in order to improve one’s ability. The way in which the theoretical framework is applied by Beonyeok Nogeoldae and Beonyeok Baktongsa is regarded as a breakthrough in the history of ‘Chinese’. Historical linguistics is the basis for research methodology. In this research methodology, research materials that are evaluated as ‘The oldest’ and ‘The first’ are highly valued for their academic influence on timely significance and follow-up research. Of course, it is a general advantage of academic to improve completeness by correcting or supplementing the shortcomings of preceding research by providing a timely opportunity to utilize new views and accumulated data based on existing research achievements. Nevertheless, the value of the preceding study, which played the role of ‘The first’ in a particular area, is more than just a concept of time. Thus, History of Chinese language’s Seolmun Haeza that establishes a new system of arrangement by establishing the concept of Categories of character and Qieyun by setting up a system based on Rhyme’s perception. However, Shangsheng Tone Sandhi is not an issue that needs to be evaluated until Speech shift is addressed. As there was a process in which the inherent phonetic factors of ‘Tone’ were recognized by ZHOU Yong and SHEN Yue and the systematic process of ‘Four types of Tone’ and theoreticalization and Systematization peoples were established for a particular phenomenon that was not recognized. Since CHOE Sejin was a foreigner who did not use Chinese as a native language, one could have an objective view to analyze teaching as a material rather than Chinese Tone Sandhi. The theoretical value of Shangsheng Tone Sandhi phenomena established by CHOE Sejin and their application in Beonyeok Nogeoldae and Beonyeok Baktongsa cannot be perfect. This is a part of the time limit. However, it should be acknowledged from the perspective of Chinese Linguistics that it was the theoretical concept and use of the existing literature. This study analyzed the application of Shangsheng Tone Sandhi phenomena to the representative sentences listed in Beonyeok Nogeoldae and Beonyeok Baktongsa.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focused on the impact of Shangsheng Tone Sandhi’s research on subsequent research and teaching processes, rather than focusing only on the time frame of the ‘First’.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an objective analysis of how can be defined comprehensively and suggested the need for re-examination of academic values. Based on this study’s awareness of the need for such an analysis target, it is assumed that the Chinese Linguistics study was able to derive the combined study results from the teaching study.

      • KCI등재

        한중 언어공동체간의 소통을 위한 노력과 공헌

        염재웅(Yum, Jae Ung)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통일인문학 Vol.62 No.-

        조선시대의 역관이자 역학자였던 최세진은 조선과 명이라는 언어공동체간의 소통을 위해 부단히 노력하였으며 많은 학문적 성과를 거두었다. 그는 뚜렷한 언어관을 가지고 있었기에 당시 통용되는 “정음”, “속음”과 더불어 “금속음”이라는 가장 최신의 음운 층위를 기록하였다. 그리고 최세진은 『訓蒙字會』에 조선한자음을 기록하면서도 문자(文字), 음운(音韻), 어휘(語彙)의 각 영역에서 고금(古今), 범위(範圍), 음의관계(音義關係)의 차이를 모두 상세하게 묘사하였는데, 이는 현대 역사언어학의 분석방법 가운데 ‘층위(層位)’ 개념과 매우 근접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최세진은 역관으로서 조선과 명 양국의 언어공동체를 잇는 핵심적인 임무를 수행하였으며, 역학자로서 언어학적 개념에 입각하여 학습자에게 필요한 사실들을 충실히 기록하여 후세에 귀중한 자료를 전수하였다. Choi Sejin, the interpreter and the interpretation scholar of Choseon, made a big effort for communication between Choseon and Ming dynasty, and he also obtained the great academic performances. As he had a clear point of view about standard language, he was be able to record “Jeong eum”, “Sok eum” and “Geumsok eum” which represent latest layer of pronunciation of Chinese words at that period. He described the distinctions of Chinese characters, pronunciations, words between the two countries. It is very similar to the theory of layers in modern linguistics. The interpreter performed an important mission to connect the two language communities, and wrote the chinese text books properly.

      • KCI등재

        『訓蒙字會』의 판본과 正音 - 조선 전기 운서 및 한학서와의 대조를 중심으로 -

        박철민 진단학회 2023 진단학보 Vol.- No.140

        Hunmong-jahoi(訓蒙字會) is a beginner’s textbook(童蒙學習書) edited by Choi Sejin, and various studies on it had been conducted after Bang Jong-hyeon(1954).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its block book(板本), before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952 and what is the Jeong-eum(正音) indicated by its annotation.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it introduced Korea University’s Mansong collection as a Korean block book published before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the edition of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which was transcribed from the block book published before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s a source text, and elucidated the textual characteristics of the data known as the edition transcribed from a book of posessed by Garam. In addition it introduced how figures of the Joseon dynasty perceived Hunmong-jahoi, after interpreting the full text of epilogue(後序) written by Sin-ho(申濩) in 1559, which is recorded in the Japanese Naikaku-collection. It finally abstracted the whole list of Jeong-eum(正音) introduced by the annotation of Hunmong-jahoi, contracted it with Hongmujeong-un(Yeokhun), Saseongtonghae, etc. and elucidated that Jeong-eum of Hunmong-jahoi is based on 31 initials(聲母) and 76 last syllables(韻母) of Hongmujeong-un(洪武正韻, the rhyme dictionary of the Ming dynasty, edited by order of Zhu Yuanzhang, the founding emperor of the Ming dynasty) by referencing to records including the explanatory notes of Saseongtonghae. It can be found that Choi Sejin might have a deep understanding of both Korean and Chinese pronunciation for the contemporary Chinese characters in examining the Jeong-eum in Hunmong-jahoi, and that the identity of the Jeong-eum in the Joseon dynasty is the sound of Hongmujeong-un. 『訓蒙字會』는 최세진이 편찬한 童蒙學習書로, 방종현(1954) 이후 다양한 연구가 전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壬亂以前 板本의 현황과 『훈몽자회』 주석에서 지칭하는 正音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소장 임란이전 판본으로 고려대학교 만송문고본을, 임란이전 판본을 저본으로 필사한 홍콩중문대학 소장본을 새로 소개하였으며, 가람등사본으로 알려진 자료의 텍스트 성격을 밝혔다. 이외에도 일본 내각문고본에 수록된 1559년 申濩의 後序 전문을 釋文한 뒤, 조선시대 인물이 『훈몽자회』를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지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훈몽자회』의 주석에서 소개된 正音의 전체 목록을 추출하고, 『東國正韻』, 『洪武正韻(譯訓)』, 『四聲通解』 등과 대조한 뒤, 『사성통해』 범례 등의 기록을 기반으로, 『훈몽자회』의 정음이 『洪武正韻』의 31聲母와 76韻母에 기초한 것임을 밝혔다. 『훈몽자회』의 정음을 파악하는 과정에서 최세진이 당시 한국과 중국의 한자음에 대한 높은 이해를 가졌음을 알 수 있으며, 『훈몽자회』의 정음을 밝힘으로써, 조선시대 정음의 정체가 『홍무정운』의 음임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선후대 문헌과의 비교를 통한 『훈몽자회』의 형성과 영향

        심경호 진단학회 2023 진단학보 Vol.- No.140

        Hunmongjahoe is a basic Chinese character textbook compiled by Ch'oe Sejin (1468-1542) in 1527. While it is not a specialized textbook on Chinese characters which analyzed a character's meaning and annotation based on the shape, it carefully selected character types and arranged them in a certain structure to make it easier for beginners to learn characters. In “Hunmongjahoe-in", Ch'oe Sechin pointed out that the character textbook of the time Ch'ŏnja “extracted historical tales an formed couplet to write a phrase," therefore it was very difficult for children to learn; and Yuhap arranged mainly with conceptual words and a few names of objects, therefore there was no way to correspond the shape and name of objects. He argued that children's learning of Chinese character should start with corresponding the 'substantiality of form and name in real things', so 'substantive' should be listed first, then followed by 'half substantive and half expletive characters' in Hunmongjahoe. In pre-modern Korea, character education did not only have the primary purpose of selecting certain types of characters and learning their respective shapes, sounds, and meanings, but it was also necessary to learn the rhymes and tonal patterns to use them in poetry composition, and to understand the rules of the written language and apply them immediately to reading classics and composing practical texts. Following the cultural practices of pre-modern Korea, which emphasized rhymes, Ch'oe compiled vocabulary of two-letter compound words, two-letter scattered words, and four-letter classification, but excluded the four-letter sentence structure. This method was followed by Yu Hŭich'un's Shinjŭng Yuhap and Chŏng Yakyong's Ahakp'yŏn. However, Hunmongjahoe had to set the category of taxonomy to be narrow, which resulted in a large number of uncommon characters had to be contained. This problem is overcome to some extent by Chŏng Yakyong's concept of word group. Ch'oe Sechin used side dots to indicate tonal pattern in Hunmongjahoe's Hangul pronunciation keys, and there are examples in the keys that do not match the tonal pattern of the Pingsui rhyme system. It is unclear whether this is simply due to the differences between editions, or other rhyme systems such as Hongmujŏngun, or a different view on the pitch of Korean pronunciation were responsible for. Hunmongjahoe's criteria for establishing the taxonomy and the principle of selecting the representative vocabulary of each taxonomy needs further research. In particular, while the ‘miscellaneous words' section in Hunmongjahoe included part-of-speech vocabulary such as adjectives and verbs, it is believed that it aimed for a ‘notional structure' starting from ‘creation from the chaos' and ending with ‘obliterated at the extreme' in general. However, it is difficult to identify a specific structure in the details. 『訓蒙字會』는 1527년(중종 22) 崔世珍(1468~1542)이 편찬한 한자 초학서이다. 글자의 형태를 기준으로 訓釋을 연찬한 字學 專門書는 아니지만, 초학자들에게 글자를 학습하기 편하도록 字種을 엄선하여 일정한 구조로 배열한 識字課本이다. 최세진은 「訓蒙字會引」에서, 당시의 識字課本인 『千字』가 ‘摘取故事, 排比爲文’의 특징을 지녀 아동이 익히기는 대단히 어렵다고 지적하고, 『類合』은 虛字[즉 개념어] 위주로 배열하고 實字[즉 물명]가 적어서 事物의 形과 名을 通諳할 길이 없다고 지적했다. 그리고 아동의 한자 학습은 ‘事物形名之實’을 通諳하는 일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훈몽자회』에 ‘全實之字’를 우선 등재하고 이후에 ‘半實半虛者’를 등재한다고 했다. 근대 이전 한국에서 識字 교육은 일정한 字種을 선정하여 각각의 形ㆍ音ㆍ義를 익혀야 한다는 제1차적 목적만 지닌 것이 아니라, 散對와 押韻平仄을 익혀 作詩 수업에 활용해야 했고, 行文의 규칙을 이해하고 典故를 익혀서 讀書(學書)와 屬文에 즉각 응용해야 했다. 최세진은 韻語를 중시하게 된 근대 이전 한국의 문화관습에 따라 2字複詞, 2-2散對, 四字類聚의 어휘들을 집성하되, 四字構文의 집성 구조를 배제했다. 이 점은 柳希春의 『新增類合』, 丁若鏞의 『兒學編』으로 이어졌다. 다만 『訓蒙字會』는 類聚의 범주를 협소하게 설정하여 상당수 僻字를 抄輯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것은 정약용의 族類 개념에 의해 어느 정도 극복된다. 한편, 최세진은 『훈몽자회』의 한글 注音에 傍點을 이용하여 聲調를 표기했는데, 『훈몽자회』의 注音에는 平水韻의 平仄과 부합하지 않는 예들이 있다. 판본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인지, 『홍무정운』 등 기타 운목체계를 고려한 것인지 확실하지 않다. 혹은 한국 한자음의 성조를 다르게 인식했던 것인지 모른다. 『훈몽자회』의 분류목의 설정 기준이나 각 분류목의 자종 선정 원리에 대해서는 고찰이 필요하다. 특히 『훈몽자회』는 下卷 ‘雜語’에 형용사·동사 등의 품사 어휘들도 수록하면서, 큰 틀에서는 ‘混沌開闢’에서 시작하여 ‘泯滅終極’으로 끝나는 ‘사유개념 구조’를 지향했다고 생각된다. 다만 세부에서는 특별한 체계를 고려했다고 보기 어렵다.

      • KCI등재

        『訓蒙字會』의 시대 - 위로부터의 사회 更張 및 상호 문물을 향한 손짓 -

        신동훈 진단학회 2023 진단학보 Vol.- No.140

        Although Yeonsangun was dethroned and King Jungjong ascended the throne due to the rebellion, the social atmosphere that prioritized protection was not easily improved during the reign of Yeonsangun. To overcome this situation, the expansion of primary education and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 system focusing on 『So-hak(小學)』 education were discussed. However, the plan to expand elementary education was withdrawn due to the bizarre socialization, and social ethics education centered on campaigns was implemented. Choi Se-jin's 『Hunmongjahoe』 was published along with other books he translated and compiled as an extension of social ethics education.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osun and Ming in the 16th century developed into a comprehensive partnership with military cooperation and cultural exchange. The development of economic ties between the two countries has led to an increase in people-to-people contacts. These changes appeared socially as an increase in Chinese demand centered on practical conversation and a decrease in Chinese learning among high official politically. The contact between the people of the two countries was accompanied by the exchange of cultures between the two countries, especially in the Liaodong[遼東] area, the people of Joseon and the culture of Joseon were having an impact. The inclusion of content for learning Chinese in Choi Se-jin's 『Hunmongjahoe』 was a response to the demand for Chinese. 반정으로 연산군이 폐위되고 중종이 즉위했지만, 연산군 대에 조성된 보신 우선의 사회 분위기는 쉽게 개선되지 되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동몽까지의 교육 대상 확대 및 『소학』 교육을 중점으로 하는 교육 체계 개선이 논의되었다. 그러나 기묘사화로 인하여 동몽 교육 확대안은 철회되었고, 홍보(campaign) 위주의 사회 윤리 교육이 시행되었다. 최세진의 『훈몽자회』는 그가 번역⋅편찬한 다른 책들과 함께 사회 윤리 교육의 연장선에서 간행되었다. 한편, 16세기 조⋅명 관계는 군사 협력 및 문물 교류를 함께하는 포괄적 동반자 관계로 나아갔다. 양국 간 경제적 관계의 발달은 민간 접촉의 증가로 이어졌다. 이러한 변화는 사회적으로는 실용 회화 중심의 한어 수요 증가와 정치적으론 조신들의 한어 학습 감소 현상으로 나타났다. 양국 백성들의 접촉은 양국 문화 교류를 수반했는데, 특히 요동 지역을 중심으로 조선인과 조선 문화가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최세진의 『훈몽자회』에 한어 학습을 위한 내용이 포함된 것은 한어 수요에 대한 대응이었다.

      • KCI등재

        朝鲜朝“汉语质正官”崔世珍及其成就

        张 辉 중국인문학회 2022 中國人文科學 Vol.- No.82

        조선조시대(1391-1910)의 '질정관'은 중국어가 한반도에 전파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북-중 언어문화 교류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최세진은 '질정관(質正官)'으로 중국에 여러 차례 다녀온 '질정중국어'의 중요한 실천자로서 조선의 중국어 교육과 연구를 촉진하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했고, 그 영향도 컸다. 질정관'의 관점에서 본 최세진의 한학 성취 연구는 동아시아 한자 음운학사 연구와 역외 한학 관점에서 본 동아시아 역사 비교 언어 연구에 문헌 보완 가치가 있다. 조선반도 고대운서를 중국운서사 연구의 중요한 부분으로 분류하고, 국내의 조선반도 고대운서 정리 및 연구, '지역국별' 관점 동북아시아 지역 언어관계사 연구와 중화문화의 역외전파사 연구, 중국과 한반도 사이의 무형문화재 등 언어문화 방면의 관련 문제 연구를 위한 새로운 근거를 제공한다.위 『실록』에도 최세진이 조선 왕에게 중국 책을 헌정했다는 기록이 있다.'질(質)정관'을 돌파구로 삼으면 북·중 언어문화의 원류관계 연구에 새로운 버팀목이 될 수 있다는 얘기다.조선반도 고대운서는 중국과 조선반도운서사 연구의 중요한 부분으로 중국과 조선반도의 우수한 전통문화를 담고 있으며 언어, 문학, 문화, 사상, 교육 등 여러 분야의 오랜 변천을 반영하고 있다.질정관'은 위에서 언급한 분야의 보급과 수용에서 가교와 연결고리의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KCI등재

        순경음 ‘ㅱ’의 종성 표기에 대하여

        유효홍 국어사학회 2010 국어사연구 Vol.0 No.10

        훈민정음 의 규정에 따르면 ‘ㅱ’은 양순마찰비음 정도의 자음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중세 한자음 종성 표기에 쓰인 ‘ㅱ’은 실제로 운미음 [w]에 대한 표기로 쓰였다. 따라서 왜 자음에 쓰이는 글자로 반모음 [w]를 표기하였는지, 그리고 상향이중모음과 하향이중모음의 반모음 [w]에 대한 표기 방식이 왜 다른지 등 문제를 제기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명하기 위해서 이 글에서는 중세 문헌 자료에 나타난 ‘ㅱ’의 표기 용례를 정리하고 이에 대한 최세진의 증언을 고찰하여 몽고운의 표기와 비교하고 검토하였다. 그 결과 ‘ㅗ/ㅜ’를 쓰지 않고 ‘ㅱ’으로 운미음 [w]를 표기한 것은 두 가지 원인으로 해석하였다. 내적 원인은 한국어에서 [w]가 후행하는 음절구조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ㅗ/ㅜ’가 후행하는 중성 합용자 ‘ᅶ, ᅻ’ 등 표기 방안도 염두에 두지 않은 것이다. 외적 원인은 微母와 운미 [w]에 대하여 같은 표기 ‘’를 취한 몽고운의 방식에 근거를 두었기 때문이다. 한어의 微母는 원래 순경음 계열의 자음인데 근대 이후 [w]로 약화되기 시작하였기 때문에 그 변화를 중시하여 [w]의 음가를 갖는 파스파문자 ‘’로 변화된 微母를 표기한 몽고운의 방식은 큰 문제가 없었다. 이와 달리 훈민정음의 ‘ㅱ’은 원래부터 [w]의 음가를 갖는 문자가 아니라 순경음 계열의 자음자로서 微母의 정음을 표기하는 데 쓰인 글자였다. 이런 문자 체계상의 차이와 한어 微母에 대한 인식 차이로 인해 비록 겉으로는 몽고운 표기 방식과 일치하지만 훈민정음의 종성 ‘ㅱ’의 표기는 문제가 생기게 되었다. 그러나 여러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종성 ‘ㅱ’을 쓴 것은 몽고운의 표기 근거를 중시한 당시 학자의 태도라기보다는 한국어를 일차적 표기 언어로 목표한 훈민정음으로서 외국어를 표기할 때, 한국어의 음절 구조에서 벗어나는 표기 방식은 일차적으로 배제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Based on the regulation of the Hunmin-jǒng.ǔm Haerye(訓民正音解例), the light lip sound 'ㅱ' should be interpreted as a bilabial fricative nasal consonant. But, in the middle Sino-Korean, the syllable’s final 'ㅱ' was actually used as a transcription of Chinese ending [w]. Then, follow the questions why a semi-vowel is transcribed with a consonant character, and why different characters are used to transcribe on-glide [w] and off-glide [w]. To explain these questions, this study researches examples of Sino-Korean words with final 'ㅱ' in middle Korean literatrue, refers to the testimonies of Ch'oe Se-jin(崔世珍), and compares the transcription in Sino-Korean with that in Meng ku tzu yün(蒙古字韻). Consequently, there are two reasons for the orthography of final 'ㅱ'. The inner reason is that there were no vowel clusters like 'ao(ᅶ), ǒu(ᅻ)' in the Hunmin-jǒng.ǔm writing system because of the Korean syllable structure which has no off-glide [w]. And the external reason is reference to the transcriptional method of Meng ku yün(蒙古韻) which used a same character to transcribe Chinese wei-consonant(微母) and ending [w]. The sound of wei-consonant became reduced to semi-vowel [w] in the near ancient times, which had been a light lip consonant in ancient Chinese. So there is no problem about using a semi-vowel character to transcribe both wei-consonant and ending [w] in Meng ku yün . But the Korean character 'ㅱ' was not a semi-vowel character in the system of Hunmin-jǒng.ǔm. It was a light lip consonant. Therefore, even though superficially it looks the same with the Meng ku yün's transcription, the orthographic problems of final 'ㅱ' arose because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ir writing systems and the understandings of wei-consonant. And beside the attitude that considering Meng ku yün as important, the more basical reason for the orthography of final sound 'ㅱ' may be the exclusion of transcriptional method not in accord with Hunmin-jǒng.ǔm writing system that based on Korean syllable structrue.

      • KCI등재

        묘지 및 묘비음기를 통해 본 최세진과 槐山崔氏 가문

        황철균 한국고전번역원 2023 民族文化 Vol.65 No.-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historical materials and data on the life of the Korean scholar and linguist Gongseo Choi Sejin (崔世珍: 1468~1542) who lived betwee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in Joseon, who has been little studied so far. This research focuses on examining the historic records of his family lineage, as well as the Goesan Choi clan(槐山崔氏). The Korean language Academia and the Korean History Academia have studied the life of Choi Sejin for the past decades, but found it extremely hard to explore his life because the information available on his life was sparse. Although there is no tombstone with the record of Choi Sejin’s life, a cultural heritage material with the record of the years of his birth and death, a burial plate, remains. In the early 1980s, a ceramic burial tablet, which contains the data on the years of birth and death of Choi and his wife from the Yongcheon Lee clan(永川李氏), was excavate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new apartment complex in Gwacheon City,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Through this burial tablet, it was identified that Choi Sejin was born in the year of Muja(1468). Based on this finding, It is presumed that Choi Sejin's tombstone was erected at the very site where his burial tablet was found. There are some other detailed record on the life of Choi Sejin’s life, which no academia has investigated so far. The Josoen scholar Iam Song In(頤菴 宋寅: 1517~1584) left A Collection of Post Humous Works Compiled By Iam( 頤庵遺稿 ), a noticeable historical data. Although this collection does not contain a comprehensive record of Choi Sejin’s life, it includes ‘Eumgi(陰記)’, the record of his life inscribed on the back of the tombstone that reads under the following title, ‘DongjijungchuBusaChoiGongmyobi-Eumgi(同知中樞府事崔公墓碑陰記)’, where ‘Choi Gong’ refers to ‘Choi Sejin.’ By deciphering the content of Song In's tombstone inscription, it was possible to discover the previously unknown facts about Choi Sejin, such as the fact that his son Choi Gam made a request to Seong Sechang a eulogy for his father’s tombstone. The inscription also provides the details about Choi Sejin's descendants and relatives. It is significantly meaningful because the descendants’ activities and history of his family, the Goesan Choi clan, can be discovered in detail. In addition to Song In’s tombstone inscription, there is another material, titled “The Goesan Choi Clan Genealogy(槐山崔氏世譜),” which organizes and records the lineage of the main clan, the Goesan Choi clan. This genealogy designates Choi Sejin as the first-generation central ancestor(中始祖) and provides a lineage for his children and descendants, thus complementing the existing written historical materials. By cross-examining the content of the genealogy and the ‘DongjijungchuBusaChoigongmyobi-Eumgi(同知中樞府事崔公墓碑陰記)’of Iamyugo, the history of Choi Sejin and the Goesan Choi clan can be identifi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y that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for the content of the tombstone inscription written by Seong Sechang which has not been discovered y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