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화학물질관리법 적용 범위 구체화를 통한 안전관리 개선방안 연구

        서양원,박정규,간순영,박하늘,이선우 한국환경연구원 2022 기본연구보고서 Vol.2022 No.-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배경] 「화학물질관리법」(이하, 화관법) 제3조 제1항은 「화관법」의 적용을 배제하는 14종의 화학물질을 규정하고 있음. 제1항의 제1호(「원자력안전법」에 따른 방사성물질)를 제외한 제2~14호까지의 화학물질은 해당 소관 법령에 화학물질의 관리 및 화학 사고 대응에 관한 조항이 없으면 제1항에도 불구하고 「화관법」 관련 조항을 적용하도록 규정(「화관법」 제3조 제3항)하고 있어 「화관법」 적용에 대한 다양한 해석의 여지가 존재하고 혼선이 따르는 상황임 □ [목적] 「화관법」 제3조 제1항 물질의 「화관법」 적용의 필요성을 분석하고 「화관법」 적용 제외 시 안전관리 방안을 제안하여 화학물질의 적용 대상과 규제 수준의 명확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마련함 Ⅱ. 화관법 제3조 제1항 물질 관리 현황 분석 1. 사업장 취급 형태별 화학물질 관리 현황 분석 □ 「화관법」 제3조 제1항 물질 관리 현황 파악을 위한 소관 부처 통계조사 제도 운영 여부 검토 ㅇ 「화관법」은 화학물질 통계조사 및 정보체계 구축·운영과 관련 정보 공개에 대한 근거 조항을 갖추고 있음 ㅇ 「화관법」 제3조 대상 화학물질의 소관 법령에서도 승인, 허가, 보고 및 안전관리 규정 등 관련 제도가 존재하지만 세부 절차와 정보 항목 등에서 차이가 존재함 ㅇ 「화관법」 제3조 제1항 물질의 경우 통계조사 관련 규정을 조사·분석한 결과 해당 소관법령에서 원료물질, 성분 등 등록에 관한 규정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며, 그 결과는 공개되지 않고 있는 상황임 ㅇ 일부 사업장에서는 적용 법에 따라 중복적으로 보고를 하고 있으며, 「화관법」 및 유관부처에서 관리하고 있는 물질 통계정보에 대한 정보공유 시스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2. 화학사고 사례 조사 및 유형 분석 □ 「화관법」 제3조 제1항 물질 취급 업체의 국내 화학사고 사례 조사 및 분석 ㅇ 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의 화학물질종합정보시스템 및 한국가스안전공사의 가스사고연감을 활용하여 「화관법」 제3조 제1항 물질 취급 업체의 화학사고 현황을 분석함 ㅇ 「화관법」 적용 제외 화학물질 취급 업체의 화학사고 현황을 분석한 결과 총 148건으로 집계되었으며, 독성 가스(110건) > 식품 관련 업종(20건) > 화장품 관련 업종(9건) >의약품 관련 업종(8건) 순으로 화학사고 발생이 많았음 ㅇ 분석 기간이 길지 않은 점을 감안할 필요가 있지만 전체 화학사고 발생은 감소 추세인 반면 「화관법」 제3조 제1항 물질의 사고 비율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 ㅇ 「화관법」 제3조 제1항 물질 취급 업체의 화학사고 원인 물질을 분석한 결과 다양한 화학물질로 인해 사고가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식료품 제조업의 경우 암모니아로 인한 화학사고 발생이 12건으로 나타남 □ 「화관법」 제3조 제1항 물질 취급 업체의 국외 화학사고 사례 조사 및 분석 ㅇ 「화관법」 제3조 제1항 물질 취급 업체의 화학사고의 국외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EU의 중대사고보고시스템(eMARS) 정보를 분석함 ㅇ 「화관법」 제3조 제1항 물질 취급 업체의 화학사고는 총 154건으로 분석되었으며, 독성 가스를 포함한 가스 관련 업종(70건) > 농약, 살생물, 살균 관련 생산 및 보관 업종(45건) > 식료품 및 음료 제조업(19건) 순으로 파악됨 ㅇ 단일물질로 인한 화학사고 중 암모니아로 인한 사고가 12건으로 가장 많았고, 메탄(7건), 톨루엔(6건) 순으로 나타남 3. 국내 화학물질 안전관리 조직 조사 및 분석 □ 「화관법」 제3조 제1항 물질의 국내 안전관리 조직 및 관련 업무수행 여부 조사 ㅇ 「화관법」 소관 부처인 환경부 산하 책임 연구기관인 화학물질안전원은 화학물질에 대한 안전관리와 화학사고 예방, 대응 등 화학물질 관리, 취급시설 및 화학사고 전반에 대한 업무를 총괄하여 담당하고 있음 ㅇ 식품의약품안전처,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 등은 「화관법」 제3조 해당 화학물질의 안전관리와 관련된 업무 기능이 존재하나 화학사고의 예방 및 대응을 위한 담당 조직과 기능은 미흡한 것으로 사료됨 ㅇ 반면, 원자력안전위원회, 국방부, 경찰청, 한국가스안전공사의 경우 「화관법」 제3조 해당 화학물질의 안전관리 및 화학사고의 예방과 대응을 위한 업무 수행과 담당 조직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ㅇ 해당 화학물질의 소관 부처에 따라 안전관리 및 화학사고의 예방과 대응 기능과 관련 인프라에 차이가 존재하며 「화관법」 적용 범위 조정 시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4. 화관법 제3조 제1항 물질에 대한 의견수렴 및 설문조사 □ 「화관법」 제3조 1항 화학물질에 대한 전문가 및 취급 업체 의견수렴 ㅇ 「화관법」 적용 범위의 적절성, 「화관법」 제3조 제1항 물질별 적용 범위 조정 필요성, 「화관법」 대비 안전관리 수준, 안전관리 현황 파악을 위한 통계조사 및 정보 구축 수준과 개선을 위한 조치에 대해 관련 분야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함 ㅇ 또한 「약사법」에 따른 의약품 및 의약외품,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마약류, 「식품위생법」에 따른 식품 등, 「고압가스 안전관리법」에 따른 독성 가스 등 「화관법」 제3조 해당 물질을 취급하는 업체 관계자에게 취급 화학물질 용도 등 관련 정보, 화학사고 인식도, 화학사고 발생 시 보고 기관, 인허가 등 안전관리 제도 및 규제 이행 현황을 파악하고 「화관법」 적용 범위에 대한 견해를 조사함 ㅇ 전문가 및 취급 업체 설문 및 의견 수렴을 통해 「화관법」 제3조 해당 물질에 따라 적용 범위의 차등화가 필요하며 물질별로 관리 개선 방향 또한 유형화를 통해 구분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파악함 Ⅲ. 화관법 제3조 제1항 물질 규제 분석 1. 국내 규제 수준 비교 분석 □ 「화관법」 제3조 제1항 물질별 소관 법령의 관리 현황 분석 ㅇ 화학사고 대응 측면에서 살펴보면 14개 「화관법」 제3조 제1항 물질 중 10개 물질은 소관법령에서 정보·관리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음 ㅇ 「화관법」 화학물질의 관리체계를 안전기준(사전 단계), 제조, 수입, 사용, 판매 등(취급 단계), 관리(사후 단계)로 구분하여 「화관법」 적용 제외 화학물질의 소관 법령과 단계별로 비교하면 의약품, 마약류, 화장품, 식품, 의료기기의 경우 대상의 차이가 있으나 사전, 취급, 사후의 단계별로 설정된 항목에서는 「화관법」의 규정과 유사함 ㅇ 전 단계에서는 품목별로 별도의 취급기준을 제시하여 관리하고 있고, 취급 단계에서는 허가, 등록, 관리자 등에 대한 규정을 통해 관리하며, 사후 단계에서는 보고, 실적 관리, 취소 등의 절차를 두고 있음 2. 국외 규제 현황 분석 □ 일본의 「화학물질의 심사 및 제조 등의 규제에 관한 법률」(이하, 화심법) 및 미국의 TSCA 적용 제외 화학물질 관련 현황 파악 및 비교·분석 ㅇ 일본의 「화심법」은 「화관법」과 유사하게 정의에 관한 조항에서 특정 물질군을 법적용 범위에서 제외하거나 해당 소관 법령에서 관리하도록 위임하고 있음 ㅇ 미국의 TSCA 또한 일부 물질에 대해 적용을 제외하고 있으며 해당 물질은 살충제, 담배 및 담배 관련 제품, 핵 원료물질, 특수핵물질 또는 부산물, 권총, 총기, 리볼버 및 카트리지, 식품, 식품첨가제, 의약품, 화장품 및 관련 기기로 「화관법」의 제외 대상에 포함되는 물질들임을 알 수 있음 3. 화관법 제3조 제1항 물질의 화관법 관리 필요성 분석 ㅇ ‘방사성물질’의 화학사고 정보 제공의 경우 「화관법」에 따라 운영하는 화학물질종합 정보시스템의 화학물질 사고현황 및 사례에서 제공하는 정보의 수준과 유사함 ㅇ 또한 사고 또는 위기와 관련하여 범정부 차원의 대응 매뉴얼을 공개하고 있는 항목을 분석한 결과, 방사성물질, 의약품, 화장품, 식품, 의료기기 등 5개 물질은 위기대응 매뉴얼을 통해 사고 대응을 위한 절차가 마련되어 있음 ㅇ 다만 가장 큰 차이는 주요 사례 현황 부분인데, 화학물질로 인한 직접적인 화학사고는 시설 단위 사례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그 외(식품, 화장품, 의료기기) 사고 대응에서는 단계별(생산, 유통, 사용 등) 사례 중심으로 제시하고 있어 그 대응 대상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함 Ⅳ. 화관법 적용 범위 구체화 및 개선 방향 1. 화관법 적용 범위 구체화 대상 검토 □ 전문가 의견수렴을 통한 적용 범위 조정 대상 검토 ㅇ 전문가 설문 결과 방사성물질은 대다수의 전문가가 현재와 동일하게 「화관법」 적용 범위에서 제외하는 것이 적합하다는 의견을 피력함 - 다만 특정 용도 및 과정에서 사용되는 방사성물질은 「화관법」의 안전관리 규정을 보완적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제기됨 ㅇ 과반수의 전문가가 「화관법」 적용 범위에서 제외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의견을 제시한 물질은 유기식품, 의료기기, 건강기능식품, 군수품, 화약류, 사료, 식품, 마약류, 의약품 및 의약외품이었음 - 고압가스, 비료, 농약과 원제의 경우는 절반 미만의 전문가가 해당 물질을 「화관법」 적용 범위에서 제외해야 한다고 응답함 ㅇ 「화관법」과 해당 물질 소관 법령의 안전관리 요구수준에 대한 설문 결과 독성 가스, 식품, 사료, 농약, 화장품 등은 소관 법령에서의 안전관리 수준이 미흡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음 - 반면 방사성물질, 의약품, 마약류, 군수품, 화약류 등은 소관법령의 안전관리 수준이 충분하다고 응답함 ㅇ 전문가 의견을 고려해 「화관법」 적용 범위 조정 대상 화학물질을 대별하면 다음과 같음 - 방사성물질의 경우 현행과 같이 「화관법」 적용 대상에서 제외하고 일부 안전관리 측면에서 이슈가 되는 물질에 대한 사례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음 - 의약품, 마약류, 의료기기, 화장품, 화약류, 식품, 식품첨가물, 기구 및 용기·포장에 사용되는 화학물질은 「화관법」 적용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을 전향적으로 검토할 수 있음 - 독성 가스, 비료, 농약 및 원제는 「화관법」 적용 필요성이 존재하며 향후 적용 범위 구체화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 - 군수품은 다수가 「화관법」 적용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에 동의하였으나 해당 취급 시설 및 관련 정보 등에 대한 접근에 한계가 존재하므로 추가 검토가 필요함 □ 국내외 화학물질 관리 현황 분석 결과 검토 ㅇ 「화관법」 제3조 해당 화학물질의 국내 관리 관련 인프라 측면에서는 화학물질 안전 및 사고 관련 정보 구축 여부, 안전관리 규정, 위기대응(관리) 매뉴얼, 화학물질 안전 관리 및 화학사고 예방·대응 조직 존재 여부를 고려함 ㅇ 또한 해당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업체의 화학사고 발생 건수를 파악함 - 화학사고 정보 항목의 구체성과 취합 범위 등의 한계로 인하여 해당 화학사고가 「화관법」 제3조에 해당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것인지 연관성을 확인하는 것은 제약이 존재함 ㅇ 국외 관리 관련 현황으로 일본 「화심법」과 미국 TSCA의 화학물질 적용 범위를 검토하였으며, EU eMARS의 중대 화학사고 DB 자료 분석을 통해 파악한 「화관법」 제3조에 해당하는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업체에서 발생한 화학사고 발생 현황을 고려함 ㅇ 국내외 안전관리 관련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화관법」 적용 여부에 대한 검토 방향을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음 - 방사성물질은 국내 안전관리 인프라를 갖추었고 국외 화학물질 관련 법령상에서는 적용 범위에서 제외되어 있어 현행처럼 「화관법」 적용 범위에서 제외하는 것이 타당함 - 향후 「화관법」 적용 범위에서 제외하는 방향으로 검토가 필요한 물질군은 의약품, 화장품, 식품 및 의료기기임 ㆍ해당 물질군은 일본 및 미국 등 국외 화학물질 관련 법령의 적용 범위에서 제외되거나 별도의 소관 법령으로 관리되고 있음 ㆍ또한 국내에 해당 물질의 정보(관리) 시스템, 안전관리 규정, 위기대응매뉴얼 및 화학물질 안전관리 기능이 있는 담당 조직을 갖추고 있음 ㆍ다만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기능이 미흡하고 일부 해당 물질 취급 업체에서 화학 사고 발생 사례가 보고되고 있어 이에 대한 보완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2. 화관법 적용 범위 관련 이슈 화학물질의 안전관리 개선 방향 □ 「화관법」 적용 범위 조정 대상 물질 및 보완사항 검토 ㅇ 방사성물질은 현행과 같이 「화관법」 적용 배제를 유지하지만 일부 위험성이 존재하는 용도에 대한 안전관리 방안을 추가 검토할 필요가 있음 ㅇ 의약품, 마약류, 화장품, 식품, 의료기기의 경우 기본적으로 「화관법」 적용을 배제하되 특정 용도에 대해서는 일정 기간 「화관법」의 관련 규정 적용을 유지할 수 있을 것임 - 또한 상대적으로 미흡한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기능을 보완하기 위하여 환경부 등 관련 기관과의 연계 체계를 마련하는 조건하에 「화관법」 적용 배제를 전향적으로 검토할 수 있음 ㅇ 군수품의 경우 시설 및 정보 접근의 한계점을 고려하여 추가 현황 파악 후 향후 「화관법」 적용 배제를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됨 ㅇ 반면 독성 가스의 경우 국내외에서 화학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화학물질군 중 하나로 현행과 같이 「화관법」 제3조 제1항과 제2항을 통해 일부 「화관법」 적용을 유지하고 추가로 적용할 사항이 없는지 검토할 필요가 있음 ㅇ 농약, 비료, 사료, 화약류, 건강기능식품, 유기식품 등의 경우 상대적으로 화학사고 발생 빈도는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화관법」 적용 필요성에 대한 전문가 의견 및 제도적 미비점을 고려하여 잠정적으로 현행과 같이 「화관법」 적용이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방향으로 제안함 □ 「화관법」 적용 범위 관련 이슈 물질의 범부처 거버넌스 구축방안 검토 ㅇ 앞서 제시한 의약품, 마약류, 화장품, 식품, 의료기기 등 「화관법」 적용 배제 대상 후보군을 포함한 일부 이슈 물질의 경우, 소관 부처의 화학사고 예방·대응 담당 조직이 미흡한 상황이므로 관련 조직 신설·보강 및 환경부 등 유관 부처와의 협력 체계 마련이 필요함 - 「화관법」 제7조에 근거해 운영되고 있는 화학물질관리위원회의 기능 강화를 목적으로 「화관법」 시행령 제3조의 개정안을 예시로 들면 다음과 같음 ㆍ해당 위원회의 심의사항에 「화관법」 제3조 적용 범위에 대한 안건을 포함시키고, 위원회 구성에 이슈 물질의 소관 부처인 농림축산식품부·식품의약품안전처·농촌 진흥청 관계자를 추가할 수 있도록 관련 근거 조항 마련이 필요함 ㅇ 유관 부처 협력을 통해 효과적인 화학물질 관리 및 화학사고 예방과 대응을 하기 위한 거버넌스 구축 방향의 예시는 다음과 같음 - 화학물질관리위원회, 환경부 및 화학물질안전원 등 소속 기관을 중심으로 「화관법」 제3조 대상 화학물질의 안전관리와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한 사안을 조율함 - 상대적으로 화학사고 관련 기능이 미흡한 식품의약품안전처, 농림축산식품부, 농촌 진흥청과 안전관리 이슈 및 화학사고 정보 등을 공유하고 화학사고 예방·대응 지원을 위한 긴밀한 협력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음 Ⅴ. 향후 고려사항 1. 화학물질 및 제품의 세부 여건에 대한 고려 □ 향후 화학제품 정의 구체화 및 취급 장소 등에 대한 고려 필요 ㅇ 재규정된 화학제품 정의에 따라 「화관법」 등 관련 규제 적용 범위 및 취급 장소를 고려한 차별화된 관리 방안에 대한 추가 검토 요망 2. 화학사고 통계조사 수행 및 관련 정보 구축 체계 보완 □ 기존 「화관법」에 근거한 통계조사 및 화학사고 DB 대상 확대와 구체화 ㅇ 각 해당물질별 소관부처의 관련 조사 체계와 사고 정보 DB를 신설·강화하고 해당 정보를 「화관법」 적용 여부 등 정책 의사결정에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마련 필요 3. 해당물질별 안전관리가 별도로 필요한 사례에 대한 대응 방안 검토 □ 「화관법」 적용 제외 물질군 중 관련 제도, 시설/공정 및 위험도 등에 따라 추가 안전관리가 필요한 사례 발굴 ㅇ 시험 가동 중인 시설 및 공정 등에서 활용되는 화학물질 및 방사성물질 등 4. 화학물질 취급 단계별 여건 및 특성을 고려한 안전관리 방안 검토 □ 원료의 제조, 보관, 이동 등 위험도가 높은 단계에서는 「화관법」 적용, 제품 완성 후 유통 등 상대적으로 위험도가 높은 단계에서는 소관 법령 적용 등으로 차등화 관리 방안 모색 ㅇ 법령 및 제도 개정이 필요한 경우 유해성 등을 고려한 유독물질 지정관리 체계 개편 방향 등을 고려해 연계 방안 검토 Ⅰ. Background and Purpose of Study □ [Background] Article 3 Paragraph 1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stipulates 14 chemical substances to be excluded from the Act. Except for Paragraph 1 No. 1 (radioactive substances under the Nuclear Safety Act), chemical substances referred to in Numbers 2 through 14 are stipulated to be subject to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Article 3, Paragraph 3) notwithstanding Paragraph 1, unless there are provisions on the management of chemicals and response measures for chemical accidents in the relevant statutes, such that there is room for various interpretations of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Act, resulting in confusion. □ [Purpose] To examine the need to apply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to the excluded chemical substances, propose safety management measures for cases excluded from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and prepare improvement measures to clarify the application targets and regulation levels for chemical substances excluded from the scope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Ⅱ. Analysis of the Management of Chemical Substances Excluded from the Scope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1. Analysis of the Management of Chemical Substances per Type Handled by Different Businesses □ Review of the operation of the statistical investigation system by the relevant ministries to identify the management status of chemical substances excluded from the scope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ㅇ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has provisions for the statistical investigation of chemical substances,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information systems, and disclosure of related information. ㅇ Although there are relevant systems such as approval, permission, reporting, and safety management regulations in the statutes for chemical substances subject to Article 3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concrete procedures and information items. ㅇ In the case of chemical substances excluded from the scope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an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regulations on statistical investigation found that there were regulations on the registration of raw materials, ingredients, etc. in the relevant statutes, and the results were not disclosed. ㅇ Some workplaces provide duplicate reports based on the applicable law, and it seems an information-sharing system is necessary for the substances statistics managed by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and related departments. 2. Case Study of Chemical Accidents and Analysis of Types □ Case study and analysis of domestic chemical accidents occurred in facilities handling chemical substances excluded from the scope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ㅇ Using the comprehensive chemical substances information system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 under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Korea Gas Safety Corporation's gas accident yearbook, chemical accidents at businesses handling chemical substances excluded from the scope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are analyzed. ㅇ Analysis of chemical accidents at businesses handling chemical substances excluded from the scope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showed that there were 148 cases, which occurred in the order as follows: toxic gases (110) > food-related industries (20) > cosmeticsrelated industries (9) > pharmaceutical-related industries (8). ㅇ Whil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at the analysis period is short, and the overall occurrence of chemical accidents is on the decline, the ratio of accidents involving chemical substances excluded from the scope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tends to increase. ㅇ Analysis of the substances that caused chemical accidents at businesses handling substances excluded from the scope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shows that different chemicals caused accidents, and in the food manufacturing industry in particular, 12 chemical accidents were caused by ammonia. □ Case study and analysis of overseas chemical accidents occurred in facilities handling chemical substances excluded from the scope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ㅇ The EU's eMARS information was analyzed to identify overseas chemical accidents at businesses handling chemical substances excluded from the scope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ㅇ Chemical accidents at businesses handling chemical substances excluded from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were 154, identified in the order as follows: gas-related industries including toxic gases (70) > production and storage of pesticides, biocides, and sterilizers (45) > food and beverage manufacturing (19). ㅇ Among chemical accidents caused by a single substance, ammonia was the most common cause with 12 cases, followed by methane (7) and toluene (6). 3.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Chemical Safety Management Organizations in Korea □ Investigation of safety management organizations and related business performances of chemical substances excluded from the scope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ㅇ The 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 a research institute under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verseeing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is in charge of overall control of chemical substances, handling facilities, and chemical accidents, such as the safety management of chemical substances, prevention of chemical accidents, and response measures. ㅇ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nd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have functions related to the safety management of chemical substances under Article 3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but the organization and its functions for preventing and responding to chemical accidents are considered insufficient. ㅇ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the Nuclear Safety and Security Commission,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the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and the Korea Gas Safety Corporation, were identified to have organizations in charge of performing duties for the safety management of chemical substances and preventing and responding to chemical accidents under Article 3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ㅇ There are differences in safety management, chemical accident prevention, response functions, and infrastructure among the relevant departments for chemical substances, and this needs to be considered when adjusting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4. Opinion Collecting and Survey on Chemical Substances Excluded from the Scope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 Collecting opinions from experts and handling businesses on chemical substances under Article 3 Paragraph 1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ㅇ Collect opinions from experts in related fields on the appropriateness of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need to adjust the scope of application of substances under Article 3 Paragraph 1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and level of safety management compared to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statistical surveys to identify the status of safety management, and measures for the level of information building and improvement ㅇ In addition, identify the status of safety management systems and compliance with regulations and investigate views on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such as drugs and non-drugs under the Pharmacist Act, narcotics under the Narcotics Control Act, food the Food Hygiene Act, toxic gases under the High Pressure Gas Safety Management Act, and related information, such as the use of chemical substances, awareness of chemical accidents, reporting agencies in case of chemical accidents, and licensing for persons in businesses handling the relevant substance under Article 3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ㅇ Through surveys and opinions from experts and handling companies, it was identified that the scope of application of Article 3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should be differentiated based on each substance and the direction of improving management for each substance should be approached separately through categorization. Ⅲ. Analysis of the Regulations on Chemical Substances Excluded from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1. Comparative Analysis of Domestic Regulation Levels □ Analysis of the management status of the relevant statutes for each chemical substance excluded from the scope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ㅇ In terms of responding to chemical accidents, 10 of the 14 substances subject to Article 3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operate an information and management system under the relevant statutes. ㅇ If we divide the chemical substances management system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into safety standard (pre-stage), manufacturing, import, use, sales (handling phase), and management (post-stage) and compare each level with the relevant statutes for chemical substances excluded from the scope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differences are observed in the targets for medicines, drugs, cosmetics, food, and medical devices. However, items decided in the stages of before, during, and after handling are similar to the provisions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ㅇ In the before stage, separate handling standards are presented and managed for each item; in the handling stage, it is managed through regulations on permission, registration, manager; and in the after stage, there are procedures such as reporting, performance management, and cancellation. 2. Analysis of Overseas Regulations □ Identification, comparison, and analysis of chemical substances excluded from the scope of Japan’s Chemical Substances Control Law and the US’s TSCA ㅇ Similar to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Japan's Chemical Substance Control Law excludes certain groups of substances from its scope in the articles on definitions or mandates them to be managed by the relevant statutes. ㅇ The US’s TSCA also excludes the application to certain substances, such as pesticides, tobacco and tobacco-related products, nuclear raw materials, special nuclear materials or by-products, pistols, guns, revolvers and cartridges, food, food additives, medicines, cosmetics, and related devices, which are excluded from the Chemical Substances ontrol Act. 3. Analysis of the Necessity of Managing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of Chemical Substances Excluded from the Scope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ㅇ Providing chemical accident information for “radioactive substances” is similar to the level of information provided in the chemical accident status and cases of the comprehensive chemical substance information system operated under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ㅇ In addition, an analysis of items that disclose government-level response manuals for accidents or crises shows that radioactive materials, medicines, cosmetics, food, and medical devices have procedures for responding to accidents based on crisis response manuals. ㅇ However,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is found in the status of prominent cases, and while direct chemical accidents caused by chemicals consist of facility-level cases, other (food, cosmetics, medical devices) accident responses are presented focusing on cases of each stage (production, distribution, use), which shows differences in the response targets. Ⅳ. Directions for Specifying and Improving the Scope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1. Review of Specifying the Scope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 Reviewing the target for adjusting the scope by gathering expert opinions ㅇ An expert survey showed that the majority opinion of experts is that it is appropriate to exclude radioactive materials from the scope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as is currently done. - However, some suggested that radioactive materials used in specific applications and processes need to be supplemented with the safety management regulations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ㅇ The majority of experts suggested that it is reasonable to exclude the following substances from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organic foods, medical devices, health foods, munitions, gunpowder, feed, food, narcotics, medicines, and non-medicines. ㆍ - In the case of high-pressure gases, fertilizers, pesticides, and raw materials, less than half of the experts responded that they should be excluded from the scope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ㅇ The results of survey on the safety management requirements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and the relevant statutes showed relatively high proportion of responses suggesting that the gases, food, feed, pesticides, and cosmetics have an insufficient safety management level under the relevant statutes. - They also responded that radioactive substances, medicines, narcotics, munitions, and gunpowder have a sufficient level of safety management under the relevant statutes. ㅇ Based on the opinions of experts, chemical substances subject to the adjustment of the scope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are as follows: - In the case of radioactive substances, it is necessary to exclude them from the scope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as is currently done and monitor cases of substances that raise an issue in terms of safety management. - Chemical substances used for medicines, narcotics, medical devices, cosmetics, gunpowder, food, food additives, appliances, and containers and packaging can be reviewed positively to be excluded from the scope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 Toxic gases, fertilizers, pesticides, and raw materials require the application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and their scope needs to be reviewed in the future. - Although many agreed to exclude munitions from the scope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further review is necessary because of the limited access to the relevant handling facilities and related information. □ Review of the analysis results of chemical substance management at home and abroad ㅇ In terms of infrastructure related to domestic management of the relevant chemical substances under Article 3 of the Chemicals Substances Control Act, the establishment of chemical safety and accident-related information, safety management regulations, risk response (management) manuals, chemical safety management, and chemical accident prevention and response organization are considered. ㅇ It also identifies the number of chemical accidents at businesses dealing with the chemical substances. - Identifying whether the chemical accident occurred while being used for the purposes falling under Article 3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is constrained due to limitations such as the specificity of chemical accident information items and the scope of collection. ㅇ As for overseas management, the scope of chemicals under Japan's Chemical Substance Control Law and the US's TSCA were reviewed and chemical accidents that occurred at companies handling chemical substances falling under Article 3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identified through the analysis of DB data of the critical chemical accident of EU eMARS, were considered. ㅇ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safety management at home and abroad, the direction for reviewing the scope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is as follows: - Radioactive materials have a domestic safety management infrastructure and are excluded from the scope under overseas chemical substances laws, and it is considered appropriate to exclude them from the scope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 Substance groups that need to be reviewed in the future as to whether they should be excluded from the scope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include medicines, cosmetics, food, and medical devices. ㆍ This substance group is either excluded from the scope of overseas chemical substances-related statutes, such as in Japan and the US, or is managed by a separate statute. ㆍ In addition, Korea has an organization in charge of th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safety management regulations, crisis response manuals, and chemical safety management functions. ㆍ However, as chemical accident prevention and response functions are insufficient and chemical accidents have been reported by some businesses handling the substances, it is necessary to prepare supplementary measures. 2.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Safety Management of Chemical Substances that Raise Issues about the Scope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 Review of substances subject to the adjustment of the scope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and supplementary matters ㅇ Radioactive materials should be excluded from the scope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as it is currently done, bu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afety management measures for applications involving risks. ㅇ In the case of medicines, narcotics, cosmetics, food, and medical devices, the application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should be excluded, but the application of the relevant regulations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for particular applications can be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view by positively excluding the application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under the condition of establishing a linkage system with 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o supplement the relatively insufficient chemical accident prevention and response function. ㅇ In the case of munition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excluding them from the scope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in the future after identifying its status, given the limitations in accessing facilities and information. ㅇ On the contrary, toxic gases are one of the chemical groups that cause the most chemical accidents at home and abroad, and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partial scope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through Article 3 Paragraphs 1 and 2 and review whether there are any additional applications. ㅇ In the case of pesticides, fertilizers, feed, gunpowder, health foods, and organic foods, the frequency of chemical accidents was found to be relatively low, but considering the opinions of experts on the need to apply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and institutional deficiencies, it was proposed to maintain the Act for the time being. □ Review of measures to establish pan-ministry governance of substances that raise issues about the scope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ㅇ In the case of some controversial substances, including the candidate group to be excluded from the scope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such as the abovementioned medicines, narcotics, cosmetics, food, medical devices, because the relevant ministry's organization for preventing and responding to chemical accidents is insufficient, a cooperative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with related ministries such a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cluding setting up and reinforcing related organizations. - To strengthen the functions of the Chemical Substances Management Committee operated under Article 7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an amendment to Article 3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could be implemented as given below. ㆍ Relevant articles can be prepared to include an agenda for the scope of Article 3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in the deliberations of the relevant committee and to add officials from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nd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to the committee. ㅇ The following are the examples of governance development directions for effective chemical substance management and chemical accident prevention and response through cooperation with relevant ministries. - Coordinate matters for the safety management of chemicals subject to Article 3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and prevention of and response to chemical accidents, focusing on affiliated organizations such as the Chemical Substance Management Committe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 - It is necessary to share safety management issues and chemical accident information with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nd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the Rural Development Association, which have insufficient chemical accident-related functions, as well as establish a close cooperative system to support chemical accident prevention and response. Ⅴ. Future Considerations 1. Consideration of detailed conditions of chemicals and products □ It is necessary to specify the definition of chemical products and consider the place of handling chemicals and other conditions to clarify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ㅇ Additional review is requested on differentiated management measures in consideration of redefined chemical products and the places handling chemicals. 2. Conducting a Statistical Investigation of Chemical Accidents and Supplementing the Relevant Information Construction System □ Expansion and specification of statistical investigations and chemical accident DB targets based on the existing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ㅇ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strengthen the relevant investigation system and accident information database of the relevant departments for each relevant substance group, and to prepare a plan to practically utilize the information in policy decision-making, such as whether to apply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3. Review of Measures for Cases Requiring Separate Safety Management by the Relevant Substance Group □ Finding cases requiring additional safety management based on relevant systems, facilities/processes, and risks, among the substance groups excluded from the scope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ㅇ Chemical substances and radioactive substances used in facilities and processes under test operation 4. Review of Safety Management Measures Considering the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Stage of Chemical Handling □ Apply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at high-risk stages such as manufacturing,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raw materials, and seek differentiated management measures by applying the relevant statutes at relatively high-risk stages such as distribution after production ㅇ When the statutes and systems need to be revised, review linkage plans considering the direction for reorganizing the toxic substance designation and management system considering the toxicity.

      • KCI등재

        통합적 화학물질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입법론

        박종원 한국법정책학회 2022 법과 정책연구 Vol.22 No.4

        In response to the Gumi hydrofluoric acid leakage accident and the humidifier disinfectant incident, Korea has established three major laws against chemical risks. These are the Act on Registration and Evaluation of Chemical Substances, the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and the Consumer Chemical Products and Biocides Safety Control Act. However, laws and regulations on chemical substances or products are implemented by several ministries and administrations that are not operating organically linked to each other. This seems to be the main reason why our society has yet to shake off chemical anxiety. This article presents legislative solutions to introduce an integrated chemical risks control system. To achieve this, this article examined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under the current legal system to assess and manage chemical risks. It also looked at some laws on the integrated chemical substances control systems in the United States, the European Union and Japan, aiming to obtain some lessons from them. Based on these analyses, this article suggests the enactment of the “Framework Act on Chemical Safety” and the revision of related laws as the Act on Registration and Evaluation of Chemical Substances. The Framework Act is necessary to establish basic principles appropriate for chemical risk control, allow provisions to develop department-integrated administrative plans on chemical risks, and ensure inter-departmental cooperation. All problems and limitations cannot be solved only by the enactment of the Framework Act. The scope of the Act on Registration and Evaluation of Chemical Substances should be expanded, and the chemical risk information under the Act should be communicated to laws on controlling risk from various types of chemical products. In other words, it is also necessary to revise individual laws related to chemical risks. 리나라는 구미 불산누출 사고와 가습기 살균제 사건 이후 화학 3법 체계를 갖추었으나, 여전히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관련 법령이 부처별로 분산된 채로 서로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운영되고 있지 못하고 있으며, 이는 우리 사회가 아직까지도 화학물질로 인한 불안을 떨쳐버리지 못하고 있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현행 화학물질 관리체계의 문제점을 재점검하고, 미국이나 EU 등의 화학물질 통합관리체계가 주는 교훈을 보태어 그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기본적인 구상을 제시하는 한편, 이를 제도화하기 위한 입법론을 펼치고 있다. 그 입법대안으로 가칭 ‘화학안전기본법’의 제정, 그리고 화평법 등 관련 법령의 개정을 제안하고 있다. 먼저, 통합적인 화학물질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법제 개선을 이루어내기 위해서는 (i) 여러 관계부처가 얽혀 있는 화학물질 관리의 특성상 기본이념이나 기본원칙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는 점, (ii) 부처 통합적인 행정계획이나 시책 수립 등과 같은 규정을 두고 그에 기반하여 각각의 개별법령으로 환류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는 점, (iii) 화학안전이라는 과제는 국가적 과제로서 범부처적으로 협력하여 추진할 것이 요구되고, 이를 위하여 부처횡단적 추진기구를 둘 필요가 적지 않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기본법 제정의 필요성이 인정된다. 또한, 기본법의 제정만으로 모든 문제가 해결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화평법이 그야말로 물질 관리라는 목적을 제대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화평법 그 자체를 개정하여 적용제외대상을 정비하는 등의 입법조치가 필요할 것이며, 그 밖의 노출 관리를 규율하는 법령이 화평법에 따라 생산・관리되는 화학물질의 유해성・위해성 등의 정보를 그에 따른 안전기준 설정이나 개별적인 노출 평가 단계 등에 있어서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개별 법령의 개정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산업안전보건법상 제조 등의 허가대상물질 정비방안 연구

        김홍관,김치년,박철희,김성진,김기연 한국위험물학회 2019 한국위험물학회지 Vol.7 No.2

        This research aims to suggest efficient, reasonable management plans of the permission substances in response to reinforcement of the domestic and foreign management systems against chemical substances. Based on the chemicals control act, it is necessary to review equity of the control levels of toxic substances and restricted materials in comparison with the other permission substances. It also needs to reinforce management level of substances having high exposure level and partly modify in consideration of the equity of management. The priorities of escalating to prohibited substances were given high scores in the possibility of substitutes, which consistently requires further studies.

      • KCI등재

        화학물질 관리 법제에 관한 연구

        정호경(Jung, Ho-kyoung),마정근(Ma, Jong-kun)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16 행정법연구 Vol.- No.44

        국내의 화학물질 관리에 대한 법제도의 틀이 2015년을 기점으로 크게 바뀌었음에도 아직까지 이에 대한 상세하고 일목요연한 설명이 제시되지 못한 실정에 있다. 이에 현 시점에서 우리나라의 화학물질 관리 정책과 법제도에 대해 통시적 고찰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어 화학물질 관리 법제 전반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아울러 종래 구 유해화학물질 관리법의 일원적 체제로 유지된 화학물질 관리체제가 현행의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및 「화학물질관리법」이라는 이원적 체제로 바뀌게된 배경을 이해하고, 이러한 두 체제간의 비교를 통해 현 제도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과거 유해화학물질 관련 법제 및 정책의 변천사를 살펴보는 것으로 시작하여, 현행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 및 「화학물질관리법」의 체계와 주요 내용을 탐구한다. 이에 먼저 국내 화학물질 관리제도의 도입과 변화의 배경 및 발전과정과 내용을 제시하고 이러한 관점에서 구 유해화학물질 관리법에 관해 상세하게 검토한다. 그리고 화학물질 관리에 있어서 일원체계에서 이원체계로 변화된 배경과 두 체제의 차이점과 장 · 단점을 비교 ·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현행 화학물질 관리의 두 축에 해당하는 기본법인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과 「화학물질관리법」에 대하여, 두 법의 관계 및 문제점과 향후 나아갈 방향을 모색해 본다. 연구결과 유럽의 선진적 제도를 모델로 하여 도입된 새로운 법체제에 미흡한 점이 많이 발견되었다. 먼저, 화평법과 관련하여, 하나가 해당 기업의 영업비밀을 보호할 수 없을 정도로 화평법상 물질의 보고 · 등록 범위가 지나치게 넓은 것과, 제조 · 판매 · 수입업자에게 광범위한 자료의 제출이나 정보제공의 의무를 지운 것이다. 그리고 새로 도입된 법제도가 온전히 기능하기 위해서는 세부적 기준의 마련과 추가적인 논의가 뒷받침되었어야만 했었다. 하나의 예가 유해성심사 및 위해성평가 체계나 유해화학물질 지정에 있어서의 세부적 기준 마련이고, 다른 하나는 면제물질에 대한 정책의 조율이다. 즉, 기존 유해법에서 면제되는 물질은 산업안전보건법에서도 면제를 인정해 주었는데 화평법 제정 이후 면제물질이 없어지면 산업안전보건법에서 면제를 인정받지 못하는 점 등의 문제를 지적하고 있다. 한편, 화관법도 보다 정밀한 조율이 있었어야 했다. 즉, 영업정지에 갈음하는 과징금의 적정수준과 유해화학물질 취급기준이나 시설기준, 취급시설 설치 · 배치기준, 장외영향평가제도의 세부적 내용 등에 대해서는 보다 심도 깊은 논의를 거쳤어야 했었다. Paradigm of the regulation systems to control chemicals is changed in Korea from January 01, 2015. Toxic chemicals regulatory policies have responded to domestic toxic accidents and international regulatory regimes for toxic substances. Recently toxic chemicals accidents have taken place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which resulted in risk and injury toward people and their environment as well. The unitary system of control or manage chemicals used prior to change the paradigm. However, new system of controlling chemicals adopted to dualised that is 「Chemicals Control Act」 and 「Act on regulation,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chemical substances」 as an alternative of previous the system. The former is focused on management and regulation of chemicals, while the latter concentrate to register and evaluate the chemicals. This new system is called Korean REACH. This paper trace the history of legal systems and politics to control chemicals in the past legal systems and politics of control chemicals. Also, we tried a legal analysis on now Korean REACH. And, this paper explores how Korea’s legal policies evolve focusing on a variety of chemical substances. Particularly this paper investigates what factors develope the legal system of the chemicals regulation and what improvement point has been implemented in this area. 「Act on regulation,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chemical substances」 has a lot of problems presently. One of the representative problem is the resistant of industrial circles in connection with that chemicals. Because the range of the report and registration is broad excessively. And because the corporation’s secret of treating the chemicals caused by imposing to manufacturers, sellers and importers the submitting duty of the widespread data and information of the treating chemicals is not kept. Also, the following problems indicated. One is to need some time to additory discussion to establish the detailed standard of registering a harmful chemical substance. The writers of this paper hope that this study helps to make Korean REACH better law. And we wish that this study contributes to developing a model of legislative environmental law.

      • KCI등재

        화학물질 관련법에 대한 입법평론

        홍완식 한국입법학회 2018 입법학연구 Vol.15 No.1

        2012년 구미 불산사고 등 대형 화학사고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우리나라에서는 아직도 「화학물질관리법」과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에 관한 법」 등에 대한 법령개선 혹은 법령정비는 이루어지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화학물질에 대한 안전관리는 이미 국가 내적인 문제가 아니라 국가 간의 문제로 확대되었으며, 이제는 화학물질의 통제와 교역은 인류가 공동으로 대처하여야 하는 국제적인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국가는 국민의 안전에 더욱 많은 정책적 배려를 하여야 한다. 국회는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하게 법령을 개선하여야 하며 이러한 법령은 집행부에 의하여 엄격히 집행되어야 하고, 화학물질로부터의 안전을 위한 법령의 해석과 적용에 있어서도 법원은 국민의 안전권 확보에 비중을 두어야 한다. 제조업자는 제조물의 안전성을 철저히 검증하고 조사・연구를 통하여 발생 가능성 있는 위험을 제거・최소화하여야 하며, 안전성이 충분히 확보될 정도로 그 위험이 제거・최소화되었다고 확인되기 전에는 그 화학제품을 유통시키지 말아야 한다. 입법・집행・사법 전반을 포함하여 국가의 최우선적 의무는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지키는 일이다. 국내의 화학물질 규제강화에 따른 산업계의 비용증가와 경쟁력 약화 등에 대한 우려가 있다. 그러나 도처에 존재하고 사용되는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하기 위해서는, 법규위반에 대한 처벌이 낮고 사업장의 안전관리가 미흡하다는 점이 지속적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화학물질관련 국제기준이 화학물질 관련 국제시장의 진입 등에 중요한 관건이 되고 있는 현실에 비추어 규제비용은 국제경쟁력을 위한 투자라고 인식할 필요가 있다. 화학물질의 관리와 규제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화학물질의 위험과 사고로부터 생명을 지키고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엄격한 관리 및 규제가 필요하다. 그러나 지나친 관리 및 규제는 산업계의 생산력과 경쟁력을 위축시킬 우려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화학물질 관련 입법정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The chemicals means any element, compound, and chemicals obtained as a result of an artificial reaction therewith, and any chemicals chemically transformed, extracted, or refined from chemicals existing in nature. The restricted chemicals means chemicals recognized as having a high risk if they are used for specific purposes, which are publicly notified by the Minister of Environment following consultations with the heads of relevant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and deliberations by the Chemicals Assessment Committee on Registration, Evaluation, etc. of Chemicals to prohibit the manufacture, importation, sale, keeping, storage, transport, or use of such chemicals for such purposes. The prohibited chemicals means chemicals recognized as having a high risk if they are used for specific purposes, which is designated and publicly notified by the Minister of Environment following consultations with the heads of relevant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and deliberations by the Chemicals Assessment Committee on Registration, Evaluation, etc. of Chemicals to prohibit the manufacture, importation, sale, keeping, storage, transport or use of such chemicals for all purposes. The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means any of the toxic substances, substances subject to permission, restricted substances, prohibited substances, and other chemical substances that pose or are likely to pose hazards or risks. The purpose of the Chemicals Control Act is to prevent risks posed by chemicals to people's health and the environment and protect the lives and property of the people or the environment from chemicals by properly controlling chemicals and promptly responding to accidents that occur due to chemicals. The purpose of the Act on regislation, evaluation of chemicals is to protect public health and the environment by providing for matters concerning the registration of chemical substances, the review and assessment of the hazards and risks of chemical substances and products containing hazardous chemical substances, and the designation of hazardous chemical substances and by producing and utilizing information on chemical substances.

      • KCI등재후보

        압력용기시험방법에 따른 제5류 위험물의 지정수량 판정방법의 개선에 관한 연구

        김인범(In-Beom Kim),현성호(Seong-Ho Hyun),이용재(Yong-Jae Lee) 한국위험물학회 2021 한국위험물학회지 Vol.9 No.1

        In this study, a test i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roperties of pressure vessels for 10 types of hazardous substances on the market under Article 21 of the Detailed Standards on Hazardous Substance Safety Management (Hydrolysis Criteria, etc.) and examine the appropriateness of the current quantity judgment based on the results. A thermal decomposition test was conducted on 10 types of hazardous substances of Class-5 used and distributed at industrial sites and compared with the designated quantity according to the nomenclature. According to the result, the designated quantity according to the nomenclature and the specified quantity by the pressure vessel test results did not align for some substances. This confirms the current method of determining the designated quantity for Class 5 hazardous substances under the Safety Control of Dangerous Substances Act according to the nomenclature is inadequate.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appropriate to determine the designated quantity and riskiness for Class 5 hazardous substan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test conducted according to the pressure vessel test method, etc., rather than the basis the nomenclature.

      • KCI등재

        유해화학물질 취급 중소사업장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이효은,김민규,이봉우 한국산업융합학회 2022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Vol.25 No.6

        Chemical accidents are increasing day by day as the industry develops. To prevent such chemical accidents, Korea enacted the Chemicals Control Act. Through these laws, systematic management of chemical substances began. There are various positions in the companies. hazardous chemical supervisors, equipment and technical human, operators and employees. Chemicals-related education for each position should be provided. As a result of the survey, hazardous chemical supervisors and equipment and technical human liked the overall content of the Chemicals Control Act and the education subject on safety management standards for facilities. Conversely, the operators liked the course on how to wear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The employees preferred subjects such as classification of chemical substances and prevention of chemical accidents. Currently, various modular textbooks are widely available. Rather than gener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elect and provide customized subjects that are preferred and interes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Then it will be more effective in understanding harzardous chemical substances and in preventing chemical accidents.

      • KCI등재

        화학물질관리법 내 사고대비물질 호흡보호구 선정기준 개선을 위한 연구

        최민제,신우균,한진우,조규선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8

        The guidelines for the correct selection, provision, and wearing of personal respirators are provided to prevent health damage to workers. However, despite the risk of chemical accidents, there is a gap between workers' understanding of wear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with complex wearing standards, and the interpretation of management and regulations. This can increase the worker's non-wearing behavior, which can increase the risk of accidents. This study examined the actual wearing of a personal respirator at the work site to suggest reasonable wearing selection criteria.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site managers related to chemical substances, and the current state of wearing protective equipment and problems were derive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and the concepts of US NIOSH and UK HSE respirator selection steps, and UK COSHH Essentials in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the selection stage for suitable respirators was presented. In the field, it was difficult to recognize the guideline differences between the Chemicals Control Act and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Therefore, a plan was considered to protect field workers by reducing the gap between regulations and implementation and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the guidelines.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근로자 건강장해 예방을 위하여 호흡보호구의 올바른 선정과 지급, 착용 관련 지침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화학물질 사고의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개인보호구의 착용 용이성, 복잡한 착용 기준 등에 대한 현장 근로자의 이해와 관리 및 규제상의 해석에서는 괴리가 발생한다. 이는 근로자의 미착용 행동을 높여 사고위험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개선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작업 현장에서의 개인 호흡보호구 착용 실태를 파악하고, 호흡보호구 선택 및 착용에 있어 합리적인 선정기준을 제시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화학물질 관련 현장 관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보호구 착용 현황과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미국의 NIOSH와 영국의 HSE 호흡보호구 선정단계 및 영국의 COSHH Essentials 노출 농도 저감을 통한 작업환경개선의 개념을 토대로 현장 적합형 호흡보호구 선정단계를 제시하였다. 화학물질관리법과 산업안전보건법 간 차이 인식에 어려움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현장 적합형의 효율적인 보호구 착용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함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법령과 이행 간 간극을 줄여 근로자를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위험물 안전관리 제도의 개선에 관한 연구

        박경진,신수경,이봉우 한국산업융합학회 2020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Vol.23 No.3

        In this study, I analyzed problems of safety management system of hazardous substances and proposed improvement measures. By statistics of Korea National Fire Agency it shows that hazardous substances of not less than a designated quantity were 2,180 factorys, 24,732 handling places and 85,218 storing places in 2018. also It has been conformed that Fire accidents break out year after year in factory, etc. so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safety controllers of hazardous substances of the present law and fire statistics. therefore I has been found out the problems that the first, safety controllers’ status. the second, There is no laws related design, installation, installation supervision. the third, fire safety inspection. This study will be used a basic data for preventing of extensive hazazardous substances-related accident that is very difficult handling.

      • KCI등재

        최근 미국 TSCA의 개정과 그 시사점

        김성배 ( Kim Sung-bae ) 한국환경법학회 2016 環境法 硏究 Vol.38 No.3

        세계 2차대전 이후, 수천 개의 새로운 화학물질이 제조되었고 적어도 1만개 이상의 화학물질이 판매되었으며 이것들 중 대부분은 지금도 유통되고 있다. 1976년 입법된 TSCA는 기존의 연방환경법의 공백을 채우고 기존 법률들이 직접적인 규제대상으로 삼지 않는 모든 화학물질을 포섭하고 있지만, TSCA의 법률내용과 집행현실 그리고 TSCA 관련 판례들로 인한 EPA의 권한축소 등으로 인하여 환경보호론자의 비난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산업계의 비난도 받았다. 하지만 화학물질관리에 대한 주요한 개정은 40년 동안 없었다. TSCA 제정 목적은 미국 국민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화학제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그런 물질이 함유된 제품을 사용하는 것 때문에 암이 발생하거나 사산아가 출생하거나 생식능력에 문제가 생기는 것 등을 막기 위함이었다. 하지만 실제로 6만2천여 개의 화학물질 중 TSCA법이 적용되어 제조사용이 금지된 물질은 5개에 불과 하였듯이, 본래의 제정취지와 달리TSCA는 그 입법목적을 달하지 못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40년만의 주요한 TSCA의 개정을 통해서 EPA는 현존하는 각 화학물질에 대해서 개별 기한 내에 각 화학물질에 대한 평가를 완료해야 하며, 개정법은 실제 거래대상이 되는 화학물질에 대한 안전성검사(safety reviews)를 의무화하였으며, 신규화학물질이 시장에서 거래되기 이전에 판매자 등은 안전하다는 판단을 먼저 EPA로부터 받도록 하였다. 또한 기존화학물질과 기존화학물질에 대한 EPA의 검사요구권한을 강화하였다. 개정 전의 TSCA는 화학물규제권 발동의 요건인 불합리한 위험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함에 있어서 비용효과분석이 필요하였으며, 산업체에 가장 피해가 적은 방법을 채택해야 했었는데, 개정된 TSCA에는 법 전체에서 사용되는 “불합리한 위험”판단에서 비용요소를 고려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비용고려함 없이라는 문구를 삽입하여 비위험요소를 고려하지 않도록 하였다. 우리법제의 개선에 시사점을 주는 것은 과도한 영업비밀의 보호의 폐단을 막기 위해, 주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정보접근권을 인정하고 보건전문가나 환경전문가의 경우 비밀유지서약을 체결한 후 영업비밀에 대한 접근권을 보장하고 있으며, 화학물누출사고의 경우에는 초기대응자나 보건전문가의 치료나 진단을 위해서 화학물정보등 영업비밀에 대한 접근권을 인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영업비밀과 공개의 이익형량이 필요한 다양한 법분야에 이런 입법태도는 참작할 만하다. 화학물질의 평가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기 위한 연구와 연구방법에 대한 확정기한을 장기적으로 3년 또는 5년 이상을 잡은 미국의 사례는 법률개정을 통해서 일거에 문제를 해결하려는 우리의 법률문화에는 생소한 것이기는 하지만, 현실을 감안하여 천천히 살리고 확실히 집고 가려는 의도가 반영된 결과라는 것을 숙고해야 할 것이다. 다른 법률과 연방기관과의 관계에 있어서, 타기관의 소관사무라고 하더라도 타 연방기관이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는 경우에는 최후의 안전보루로서 EPA가 조치를 취하도록 한 이번 개정은 가습기살균제사건에서 중앙행정기관의 업무혼선이 있었던 우리에게는 시사점이 존재한다. the Toxic Substances Control Act(TSCA) was first passed in 1976 to help keep dangerous chemicals off the market and avoid making people sick. In fact, out of those original 62,000 chemicals, only five have been banned. Only a tiny percentage have even been reviewed for health and safety. The system was so complex, it was so burdensome that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EPA) hasn`t even been able to uphold a ban on asbestos. It became clear that without major changes to the law, EPA couldn`t take the actions necessary to protect people from toxic chemicals. EPA and the Obama Administration lent a big helping hand at several key points. Their 2009 Essential Principles for TSCA Reform set important benchmarks for reform. The reform of TSCA gives EPA important new authorities to tackle the problem of toxic chemicals. For the first time, there are also enforceable deadlines and schedules for EPA work on chemicals as well as dedicated funding from fees paid by industry. Under new law EPA must establish a risk-based process to determine which chemicals it will prioritize for assessment, identifying them as either “high” or low” priority substances. The most important reforms in the law are in Section 6, which governs chemicals that are already on the market. The mechanism for EPA to choose a chemical to review is to propose it as a High Priority chemical. Within 12 months of proposal the EPA must finalize the prioritization or change its mind citing new information. Under the new law, EPA can share information with state and local governments, first responders, and health providers as long as the confidentiality is maintained. New guidelines are created to provide greater clarity about what information can and cannot be claimed as confidential. Confidentiality claims relating to the very identity of a chemical (its actual, technical name) have been among the most controversial in current law. The new law requires that manufacturers substantiate the basis for claiming chemical identity as confidential and creates a deadline for EPA review of CBI clai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