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흑사병(Black Death) 병인(病因)론 -흑사병은 페스트인가-

        이상동 ( Lee Sang Dong ) 한국서양사학회 2021 西洋史論 Vol.- No.149

        본 연구는 흑사병의 병인에 대해, 즉 흑사병이 페스트균(Yersinia pestis)이 야기한 페스트인가에 대해 검토한다. 20세기 초반 이래로 흑사병의 병인은 페스트균이라고 널리 믿어졌다. 그럼에도 연구자들 사이에 다른 의견이 개진되기도 했다. 흑사병이 페스트라는 것에 비판적이고 회의적인 연구자들은 1800년대 말 인도를 중심으로 창궐했던 페스트와 흑사병 간에 차이가 있다고 주장한다. 확산속도, 사망률, 증상, 면역력, 매개체(쥐-벼룩) 등의 면에서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흑사병은 선페스트, 폐페스트, 패혈페스트의 형태로 발병했으며 이는 선페스트 중심으로 창궐했던 19세기의 말 인도의 경우와는 다르다는 것을 지적한다. 이것이 회의론자들이 지적하는 차이를 발생하게 했음을 논증한다. 또한 본 연구는 체외기생충 설과 DNA 분석이라는 방법론적 접근을 통해 흑사병 병인에 대한 논의를 확장시키고자 한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of the etiology of the Black Death, that is, whether the Black Death was the disease caused by the bacterium Yersinia pestis or not. The Black Death has been widely believed to be the result of the bacterium Yersinia pestis. Some scholars, however, have different views. They have insist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Black Death and the third pandemic of plague begun in the late 1800s in India, from the points of view of the speed of transmission, rate of mortality, diagnosis, immunity, rat-flea. This article demonstrates that the critics’ arguments are less convincing. First of all, this article points out that the Black death had different forms of plague (there are three main forms, that is, bubonic plague, septicemic plague, and pneumonic plague) from the third plague pandemic. The later was a disease of mostly bubonic plague, while the first appeared in the forms of pneumonic plague as well as bubonic, which might have led the differences critics have argued. In addition, DNA analysis can identify that Black death was caused by the bacterium Yersinia pestis. A new approach can be also suggested that human-ectoparasite such as human fleas and lice were likely to be the main factor to transmit the plague, which probably made the differences between Black death and the third pandemic of plague. (SungKyunKwan University / lacadem@skku.edu)

      • KCI등재

        방역과 자유 사이에서 : 1721년 영국 방역법의 형성과 개정

        주의돈 ( Euidon Joo ) 호남사학회 2021 역사학연구 Vol.83 No.-

        본 논문은 1721년 제정된 영국의 방역법과 그것의 의학적 토대를 제공한 리처드 미드(Richard Mead)의 저술, 그리고 방역법의 핵심적인 조항을 둘러싼 논쟁과 그 조항의 폐지를 살펴본다. 1720-3년 마르세유를 시작으로 프랑스 남부 지역에서 흑사병이 유행했을 때 영국인들은 1665-6년의 런던 대역병(Great Plague of London)을 떠올리며 불안감에 사로잡혔다. 의회는 흑사병의 유입을 막기 위해 그리고 흑사병이 영국에 들어왔을 경우 그 확산을 막기 위해 1721년 1월에 새로운 방역법을 제정하였다. 당시 영국의 탁월한 의사 미드는 방역법의 이론적 토대와 실무적 지침을 제공하였다. 1721년 방역법의 특징은 영국 내로 흑사병이 유입되었을 경우 이전에 비해 매우 적극적인 조치 - 격리병원으로의 감염자 강제 이송, 방역선 설치를 통한 감염지역으로부터의 이동 제한 - 를 취하도록 규정했다는 점이다. 흥미로운 점은 1721년 방역법 중에서 위의 적극적인 조치를 규정한 조항들이 여전히 프랑스 남부에서 흑사병이 끝나지 않은 시점에 폐지되었다는 사실이다. 기존 연구에서 폐지의 주요한 이유로 간주되는 것은 흑사병 위협의 감소, 영국 상인들의 상업적 이해관계, 월폴(Robert Walpole) 내각과 반대파 사이의 정쟁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요소들이 방역법 일부 조항의 폐지에 미친 영향을 인정하지만 기존 연구가 간과해 온 요소에 주목한다. 그것은 방역법 반대파의 정치공세 이면에 존재했던 부유층의 특권의식이다. 반대파는 방역법의 일부 조항이 강압적이기 때문에 영국민의 자유를 침해한다고 주장하였다. 하지만 실상 그 자유를 실질적으로 누릴 수 있는 것은 소수의 부유한 사람들이었다. 예를 들어 생계에 대한 염려 없이 감염지역으로부터 안전하게 도피할 수 있는 사람들은 부유층뿐이었다. 따라서 국내 방역 대비책을 규정한 조항의 삭제에는 부유층의 특권의식을 대변한 의회 의원들이 영향력이 있었다. 결과적으로 흑사병이 영국으로 유입되지 않고 1720-3년의 위기가 지나갔지만, 만약 흑사병의 유입으로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했다면 1721년 방역법의 일부 조항 폐지는 특권 의식에서 비롯한 뻐아픈 실책으로 기억되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Quarantine Act enacted in 1721, Richard Mead’s writings which provided the basis for the act, the controversy over its major clauses of the act, and their abolition. When plague spread from Marseille to Southern France, the British panicked, being reminded of the Great Plague of London in 1665-6. Parliament passed a new act for quarantine in January 1721 to prevent plague from entering Britain and to stop the spread of plague in case of its arrival. A leading British doctor of the time, Mead provided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act as well as practical guidance to fight plague. The characteristic of the Quarantine Act 1721 was that it stipulated more vigorous measures than before: forced removal of the infected to the pesthouse and the regulation of travel from the infected area by drawing a cordon sanitaire. The interesting thing is that the clauses stipulating the vigorous measures were repealed at a point of time when plague was still active in Southern France. Existing studies argued that among major reasons for the abolition were the decrease of the threat from plague, the commercial interest of British merchants, and the political conflict between the Walpole ministry and its opposition party. This paper acknowledges that these factors played some roles in the abolition, but emphasise the factor overlooked by the existing studies. It was a sense of privilege behind the opposition party’s political attack. The opposition party argued that the clauses were oppressive and infringing on the British liberties. However, the liberties could be enjoyed only by a small number of rich people. For example, those who could flee from the infected area without worrying about maintaining their livelihood were the wealthy only. Thus the abolition of the clauses stipulating quarantine measures within the country was driven by the members of parliament who spoke for the sense of privilege of the rich. Fortunately for the British, the crisis of 1720-3 passed without plague entering Britain, but if plague had cost a large number of lives at the time, the repeal of the clauses of the Quarantine Act 1721 would have remembered as a painful mistake shaped by a sense of privilege.

      • KCI등재

        고난 중에 핀 꽃: 참된 그리스도인의 삶

        양신혜(Shin Hye Yang)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0 갱신과 부흥 Vol.25 No.-

        중세의 붕괴를 낳은 흑사병은 종교개혁을 이끌었던 종교개혁자들에게도 목회를 방해하는 장애물이자 공동체를 와해시키는 걸림돌이었다. 죽음에 대한 두려움으로 하나님의 부르심의 자리를 떠나 도망하는 목회자와 하나님의 진노인 흑사병을 피해 도망하는 것은 죄라고 주장하는 목회자들에 대항하여, 베자는 목회자로서의 어떻게 하나님의 사명을 감당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서를 남겼다. 그것이 『흑사병에 대하여 알아야 할 것』 (A Learned Treatize of the Plague, 1579)이다. 그래서 베자의 텍스트를 분석하여 종교개혁자들은 흑사병을 어떻게 이해하고 대처했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특히, 흑사병에 대한 잘못된 이해에 대항하여 어떻게 흑사병을 통한 고난을 이해해야 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스도인으로서 이 고난의 자리를 베자는 어떻게 이했는지, 슬픔과 절망에 빠진 그리스도인들을 어떻게 위로하였는지,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삶의 동력을 어디에서 찾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흑사병으로 인한 공동체의 와해라는 위기 앞에서 그리스도인이 해야만 하는 윤리적 판단 기준은 무엇이며, 그 기준에 따라서 어떻게 올바른 판단을 내릴 수 있는지를 다루었다. 그리고 고난 앞에서 그리스도인에게 주어진 최대의 난제인 하나님의 자비와 섭리를 어떻게 이해했는지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서 베자가 중세적 대응을 넘어서 인간이 어떻게 이성적 논리에 근거한 일반 원칙과 양심의 확신을 윤리적 판단의 척도로서 삼아 기독교 윤리의 기초로 삼았는지를 보여주었다. The Plague, which destroyed the Middle Ages, was a stumbling for the Reformers to obstruct ministry as well as an obstacle to break a community. Some ministers leave the church with fear of death or some pastors also claim that plague is God’s wrath and fleeing from the plague is not to believe God‘s providence. Against it, Beza wrote the article “A Learned Treatize of the Plague”(1579). Therefore, I investigated how Beza explained against the misunderstanding of the plague and how he responded to questions suggested from the plague. I found out what are the criteria of ethical judgement for the christian in the situation of collapsing of the community, and how to judge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Bible. Finally, I examined God’s mercy and providence in the suffering as the greatest challenge to Christians. In this I have shown how Beza goes beyond medieval reponses and uses rational principles and conscience as the basis of Christian ethics for ethical judgement.

      • KCI등재

        제1·2차 만주 폐페스트의 유행과 일제의 방역행정(1910-1921)

        신규환(SIHN Kyu-hwan) 대한의사학회 2012 醫史學 Vol.21 No.3

        During the first plague epidemic in Manchuria (1910-1911), Japanese Government-General in Korea had not reported a plague patient at all in official. This did not mean the preventive measure of colonial authorities was successful. Their prevention program and measure were operated inadequately. They focused on instigative and sometimes irrelevant aspects such as rat removal to restore order in the colony. The quarantine facility was insufficient so that some people could not be effectively isolated. The reason pneumonic plague did not spread from Manchuria to Korea was mostly because Chinese coolie did not enter Korea. The colonial government promulgated Jeonyeombyeong Yebangryeong (Preventive Regulation of Contagious Disease) in June 5, 1915. This regulation aimed at unitary control by police and was strengthened 10-day quarantine. After the March First Movement, the colonial government tried to change imperial policy to cultural policy. The military police and civilian police were bifurcated and governors took charge of health administration. However, sanitary police still played important role for preventive measure. The preventive policy of colonial government experienced important change from cholera epidemic between 1919 and 1920. The death toll of two years had exceeded 20,000 people. During the cholera outbreak of two years, quarantine and isolation were emerged as important tools to prevent disease transmission, and were well-appointed more now than before. To prevent cholera epidemic, the colonial government strengthened house-tohouse inspection as well as seaport quarantine, train quarantine, passenger quarantine. House-to-house inspection detected sixty percentage of cholera patients. When the second Manchurian plague spread in Korea in 1920-1921, this plague was known to Korean people as pneumonic plague. The colonial government propagated and educated pneumonic plague, and urged to wear a mask through Heuksabyeong Yebang Simdeuk (The Notandum for Plague Prevention). The colonial government did not focused on rat removal any more. They pointed out Chinese coolie as a source of infection. Though they did not know exact information and analysis on pneumonic plague, the preventive measure of the second plague in Manchuria was successful due to the well-equipped disinfection system such as house-to-house inspection and nationwide quarantine made by cholera prevention. While the first prevention of plague in Manchuria was successful despite rubbish preventive system, the second prevention of plague in Manchuria was successful due to the well-equipped disinfection system in spite of occurring plague patients.

      • KCI등재

        흑사병과 종파 갈등 ‒1665년 런던 대역병 시기 잉글랜드 국교회-비국교도 논쟁‒

        주의돈 역사교육연구회 2023 역사교육 Vol.166 No.-

        본 논문은 1665-6년 런던 대역병 시기에 나타난 종파 갈등을 다룬다. 이 시기 흑사병은 영국에서의 흑사병 중 ‘마지막’ 유행으로 기억된다. 하지만 1665년 흑사병은 마지막이었기 때문에 기억될 만한 것 이상의 독특한 역사적 맥락을 가지고 있다. 17세기 중반의 청교도 혁명기와 뒤이은 크롬웰(Oliver Cromwell)의 통치기에는 잉글랜드 국교회의 독점적인 지위가 무너지고 청교도가 득세하였다. 하지만 1660년 왕정복고와 함께 국교회 역시 귀환했다. 1662년의 통일법(Act of Uniformity)은 국교회의 의식과 기도서를 따르지 않는 종교활동을 금지했고, 통일법을 따르지 않는 성직자들은 직을 박탈당했다. 이제 청교도는 국교회를 따르지 않는 자들이라는 의미를 가진 비국교도(Nonconformists)라는 새로운 이름을 얻게 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은 1665년부터 런던을 휩쓴 흑사병에 대한 독특한 맥락을 제공한다. 종교적 세계관이 아직 지배적이었던 17세기 유럽인들에게 전염병의 대유행과 같은 재난은 신의 처벌을 의미했고, 사람들은 특별히 누구의, 어떤 죄 때문에 신의 처벌이 내려졌는지 찾고 싶어했다. 그 죄를 제거하면 신의 처벌 역시 물러갈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국교회와 비국교도 양측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재난을 해석했다. 국교회 성직자들은 청교도 혁명기의 의회파 청교도를 반란자로 간주했고, 그들이 찰스 1세를 비롯하여 무고한 사람들을 죽였기 때문에 신이 흑사병의 재앙을 보냈다고 주장했다. 또한 잉글랜드의 국가적인 죄악으로서 비국교도가 국교회로부터 갈라져나간 분열의 죄가 심각하다고 지적하면서 비국교도를 비난하였다. 반면 비국교도의 인식은 이와는 딴판이었다. 그들의 눈에 흑사병이라는 신의 처벌은 통치 세력의 잘못으로 인한 것이었다. 그들에 의하면 순전한 신앙을 추구하는 비국교도의 종교활동을 금지하는 법령은 신의 분노를 일으키는 것이었다. 비국교도 논객들은 흑사병의 빠른 종식을 위해서 비국교도에 대한 부당한 박해가 중단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 KCI등재

        푸치우스의 “흑사병에 대한 영적 해독제”

        권경철 ( Gwon Gyeongcheol )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2021 역사신학 논총 Vol.38 No.-

        전세계적인 코로나 바이러스 대유행 속에서, 흑사병과 그 외 전염병에 대한 신앙위인들의 가르침을 참고함으로써 교회가 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관한 교훈을 얻고자 하는 움직임이 이전보다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초대교회의 키프리아누스로부터 종교 개혁자들에 이르기까지 많은 신학자들이 언급되고 있으나, 종교개혁을 계승한 17세기 정통주의 신학자들도 종교개혁자들 못지않게 흑사병에 대해서 자주 언급했다는 사실은 크게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푸치우스의 『신학논제선집』에 수록된 “흑사병에 대한 영적 해독제”라는 잘 알려지지 않은 글을 그 역사적 문맥을 바탕으로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학문적 공백을 채우려고 한다. 푸치우스에 따르면, 17세기에도 끝날 줄 모르고 수시로 되돌아오곤 했던 흑사병이란 인간의 죄악을 벌하고 신자들을 각성시키기 위해 하나님으로부터 직접 오는 것이다. 따라서 흑사병을 만났을 때 신자들은 도망을 가기보다, 병을 경건훈련의 계기로 선용해야 한다. 비록 “흑사병에 대한 영적 해독제”에 독창적인 내용이 담겨있지는 않지만, 그 글을 통해 흑사병에 대한 기존의 학문적 성과들과 17세기 개혁파 정통주의의 입장을 일목 요연하게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그것은 역사적인 가치를 지닌 작품이다. In the midst of the COVID-19 pandemic, more people want to get a lesson from historically well-known Christians’ take on the black death and other kinds of plague. It is against this backcloth that a number of theologians in history were mentioned, ranging from Cyprianus, the church father, to the Reformers. Little attention has been given, however, to the fact that the Reformed orthodox theologians in the seventeenth century, who succeeded the Reformers, wrote on the bubonic plague as much as the Reformers did. In this article, I will remedy this scholarly gap by analyzing the forgotten work of Voetiusm titled, “The Spiritual Antidote to the Bubonic Plague,” in its own historical context. In this work, Voetius argues that the black death is given by God for the purpose of punishment for the unbelief and of spiritual training for Christians. Thus, when facing the black death, the faithful should take advantage of the plague, rather than fleeing. Although there is nothing new in Voetius’s work, it still has its own value in that it organizes scholarly insights on the plague from the perspective of Reformed orthodoxy.

      • KCI등재

        흑사병 예방법— 14세기 후반~15세기 전반기 서유럽 의학계 관점에서 —

        이상동 수선사학회 2023 史林 Vol.- No.83

        Medieval plague doctors applied the theory of six non-naturals, which is based on the Galenic tradition, to prevent the spread of diseases. When the so-called Black Death broke out in 1348, plague doctors considered this theory as an effective preventative means against the plague. The Black Death, however, was different from previous epidemics in speed, frequency, ferocity, etc., and thus could not be understood using the traditional humoral-miasma theory. Instead, the ‘poison theory’ came to be seen more applicable for examining the Black Death in comparison with other epidemics. The ‘poison theory’ as a means of understanding the Black Death led to the progression of the field of prevention research, adding the application of medicine to the traditional six non-naturals theory. In this context, this paper discusses further on how medieval plague doctors attempted to prevent the Black Death when it broke out. .

      • KCI등재

        흑사병과 성인 공경: 성 로쿠스 현상을 중심으로

        박흥식 ( Heungsik Park ) 한국서양사연구회(구 서울대학교 서양사연구회) 2019 서양사연구 Vol.0 No.61

        This thesis observed aspects of the veneration of saints during the period of the Black Death centered on St. Roch. The veneration of saints stood out most in the Roman Catholic culture of the 15th and 16th centuries because the plague caused unprecedented disaster. Believers appealed to saints to appease the anger of God as they had no other way to overcome the epidemic. When the Black Death first occurred, Europeans depended greatly on St. Sebastian and St. Maria. St. Sebastian survived even after being shot by arrows so they expected him to help them avoid sudden death. Also, Mary of Mercy was believed to be the most effective saint in persuading the Son of flesh, Jesus. However, as they could not receive enough protection even so, Roch was also added to the group of patron saints against the plague in the late 15th century. Even though Roch did not receive an official canonization from the Vatican, he became very popular in a short amount of time because of legends stating that he overcame the Black Death physically. The Roch syndrome was an exceptional phenomenon created by feelings of threat due to the plague. St. Roch, who was a pilgrim, not only treated patients of the Black Death during his lifetime but also had experience being cured of the Black Death himself so he was held in high esteem as “a true acting saint” who can share emotional communion with the people who were in pain. St. Roch is the case of a saint discovered voluntarily and autonomously by the people in their need. Like this, the life force of the veneration of saints was not made possible due to pressure from church agencies or donations from men of power. It displayed the characteristics of self-salvation measures for the people who tried to solve problems of faith and life by depending on the power of saints.

      • KCI등재

        뜻밖의 위로: 서유럽의 흑사병과 14-16세기 신체적·심리적 고통의 시각화

        한유나 ( Yu Na Han ) 한국미학예술학회 2023 美學·藝術學硏究 Vol.69 No.-

        14세기 흑사병이 서유럽에 상륙하면서 해당 병증을 드러내며 고통스러워하는 환자들의 모습이 동시대 미술에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특히 15세기 말에서 16세기 초에 다양한 작품이 제작되었다. 이러한 이미지들은 기존 연구에서 감염되었을 당시의 상태나 병증의 치료와 같은 대처 방식을 기록한 의학사적 사료로서만 관심을 받아 왔다. 최근 근세미술사학계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고통 받는 몸’에 대한 일반적 논의를 적용하면, 흑사병의 고통을 시각화한 작품들을 공포감 조성을 통한 윤리적 계도의 수단으로 해석할 여지가 있다. 당대인들이 전염병을 인간의 죄에 대한 신의 형벌로 이해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이 그림들이 감상자들에게 비판적 메시지보다는 위안을 전달하는 ‘뜻밖의 역할’을 수행했음을 고찰한다. 이 그림들은 감염된 자들에게는 자신들의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비감염자들에게는 자신들에게도 닥쳐올지 모를 고통에 대한 두려움을 가시화하는 역할을 했다. 이는 일레인 스캐리(Elaine Scarry)가 주장했던 것처럼 고통의 표현불가성으로 인한 외부와의 단절을 “대상화된 형태”로 변환하여 그 괴로움을 일부 경감하는 행위로 이해된다. 또한, 문학치료(bibliotherapy)의 핵심 치유 기제인 “너 혼자만이 겪는 고통이 아니다”라는 공감적 체험을 제공했던 것으로도 해석 가능하다. 아비 바르부르크(Aby Warburg)의 논의를 적용할 경우, 불가해한 고통과 공포를 승화시키고 카오스적인 세계 안에서 정위하려는 서유럽인들의 절박한 노력을 담은 일종의 파토스 형식으로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14-16세기 흑사병 환자들의 고통을 재현한 작품들의 조형 언어와 문화사 및 종교사적 맥락이 실제로 이러한 현대이론의 틀과 서로 공명함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이 그림들이 인간의 고통과 치유에 대한 보편적 속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때문에 그 감상에 있어 ‘뜻밖’이지만 또한 친숙한 위로의 기제가 작동함을 밝힌다. After the outbreak of the Black Death, pictorial representations of the pain caused by the plague became increasingly popular, the zenith of which was between the late fifteenth and early sixteenth centuries. These images have attracted scholarly attention mainly as historical records describing the symptoms of the disease and its medical treatments.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however, is to demonstrate that they played an “unexpected” role in comforting contemporary viewers: for those who were already contaminated, the images gave shape to their current pain, while for the noninfected, they materialized the fear of possible infection and the following pain. Here, the images can be understood as “objectified pain” in Elaine Scarry’s term, allowing an otherwise inexpressible inner state to be communicated to the external world, and thereby offering emotional catharsis. In the images of pain, the viewers also discovered the fact that they were not alone in suffering ― a crucial mechanic of consolation particularly emphasized by modern practices of bibliotherapy. Lastly, adopting Aby Warburg’s ideas, these images are to be considered as a kind of Pathosformel embodying Europeans’ efforts in the age of the bubonic plague to sublimate the inexplicable crisis as well as to orient themselves in that chaotic world.

      • KCI등재

        14세기 위기와 元帝國의 疫病, 그리고 무역 네트워크-중국의 역사적 문헌에 나타난 전염병의 전파와 대응양상-

        한지선 중국사학회 2022 中國史硏究 Vol.- No.141

        13세기 긴밀하게 연결되었던 세계는 14세기 유럽, 중앙아시아 아랍 등에서 발생한 흑사병으로 위기를 맞게 되었다. 본 논문은 이 무렵 중국에서 발생한 대규모 역병 발발 사례와 흑사병의 사례에서 공통적 특징을 찾고 유라시아의 교역 네트워크의 연결 문제를 검토했다. 유럽의 경우 선폐스트와 폐폐스트의 복합적 성격을 띠는데 이러한 증상은 四川 일대의 역병 증상에서도 나타나는 특징이었다. 이에 흑사병의 발원지로 알려진 중앙아시아 등지에서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상품들을 추적하여 중앙아시아와 남인도, 남인도와 운남-티벳으로 연결되는 말무역과 초원과 도시를 연결하는 가죽 무역 등에 의해 당시 페스트가 복합적 형태로 발전할 가능성을 확인했다. 14세기 중엽 전유라시아는 판데믹 상태였지만 교역 네트워크가 장기간에 걸쳐 위축된 상태였다고 보기 어렵다. 오히려 유라시아의 각 지역에서는 흑사병의 예방과 퇴치의 다양한 방법을 공유하며 공통된 상품들을 소비했다. 또한 역병에 대한 두려움은 치료 방법뿐 아니라 사기를 몰아내고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각종 미신적 처방까지 더해지면서 향료, 향수, 보석 종류들에 대한 소비까지 불러왔다.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이국적인 상품의 수요는 교역로가 유지되는 단서라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