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죄는 유전되는가?: 진화와 원죄에 대한 프레드릭 테넌트의 논의

        주의돈 한국교회사학회 2021 韓國敎會史學會誌 Vol.60 No.-

        진화론의 등장은 아담의 역사성과 타락 그리고 원죄 교리에 대한 의문을 불러일으켰다. 프레드릭 테넌트는 자연과학의 연구결과를 수용하면서 죄의 기원에 대한 새로운 설명을 시도한 선구적인 신학자였다. 그는 진화의 결과로 인간이 타고나는 동물적 본성에 도덕적 판단을 내리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본다. 그에 의하면 인간이 죄를 짓는 것은 타고난 악한 본성의 필연적인 결과가 아니라 인간 내면에서 서서히 등장하는 도덕적 의식이 동물적 본능을 제어하지 못하는 데서 기인한다. 테넌트가 추구한 것은 기독교 신앙의 파괴가 아니라 현대의 학문적 성과에 비추어 기독교 지식 체계를 재정비하는 것이었다. 그는 자신의 이론이 기독교 신앙의 본질적 내용과는 관계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죄의 기원과 무관하게, 자범죄의 보편성은 구원의 복음의 충분한 근거가 되기 때문이다. 테넌트의 관점은 세계에 대한 지식이 진보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계시에 대한 인간의 지식 또한 전진한다는 점을 상기시켜 준다. Evolutionary theory questioned Adam’s historicity, his Fall, and the doctrine of original sin. Frederick Tennant was a pioneering theologian who, accepting the achievement of natural science, sought to provide a new explanation for the origin of sin. He found it inappropriate to give a moral judgement on the animal nature of human beings which was the result of the evolutionary process. According to him, committing sin is not the necessary consequence of the corrupted human nature, but sin happens becuase the moral consciousness, which gradually appears in human experience, fails to animal instincts. What Tennant sought was not the destruction of the Christian faith, but the rebuilding of the Christian knowledge in accordance with the modern academic achievement. He emphasised that his theory was not connected with the fundamental contents of the Christian faith, because apart from the question of sin’s origin, the universality of actual sin is the sufficient basis of the gospel of redemption. Tennant’s view reminds that human knowledge of the revelation progresses as that of the world does.

      • KCI등재

        흑사병과 종파 갈등 ‒1665년 런던 대역병 시기 잉글랜드 국교회-비국교도 논쟁‒

        주의돈 역사교육연구회 2023 역사교육 Vol.166 No.-

        본 논문은 1665-6년 런던 대역병 시기에 나타난 종파 갈등을 다룬다. 이 시기 흑사병은 영국에서의 흑사병 중 ‘마지막’ 유행으로 기억된다. 하지만 1665년 흑사병은 마지막이었기 때문에 기억될 만한 것 이상의 독특한 역사적 맥락을 가지고 있다. 17세기 중반의 청교도 혁명기와 뒤이은 크롬웰(Oliver Cromwell)의 통치기에는 잉글랜드 국교회의 독점적인 지위가 무너지고 청교도가 득세하였다. 하지만 1660년 왕정복고와 함께 국교회 역시 귀환했다. 1662년의 통일법(Act of Uniformity)은 국교회의 의식과 기도서를 따르지 않는 종교활동을 금지했고, 통일법을 따르지 않는 성직자들은 직을 박탈당했다. 이제 청교도는 국교회를 따르지 않는 자들이라는 의미를 가진 비국교도(Nonconformists)라는 새로운 이름을 얻게 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은 1665년부터 런던을 휩쓴 흑사병에 대한 독특한 맥락을 제공한다. 종교적 세계관이 아직 지배적이었던 17세기 유럽인들에게 전염병의 대유행과 같은 재난은 신의 처벌을 의미했고, 사람들은 특별히 누구의, 어떤 죄 때문에 신의 처벌이 내려졌는지 찾고 싶어했다. 그 죄를 제거하면 신의 처벌 역시 물러갈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국교회와 비국교도 양측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재난을 해석했다. 국교회 성직자들은 청교도 혁명기의 의회파 청교도를 반란자로 간주했고, 그들이 찰스 1세를 비롯하여 무고한 사람들을 죽였기 때문에 신이 흑사병의 재앙을 보냈다고 주장했다. 또한 잉글랜드의 국가적인 죄악으로서 비국교도가 국교회로부터 갈라져나간 분열의 죄가 심각하다고 지적하면서 비국교도를 비난하였다. 반면 비국교도의 인식은 이와는 딴판이었다. 그들의 눈에 흑사병이라는 신의 처벌은 통치 세력의 잘못으로 인한 것이었다. 그들에 의하면 순전한 신앙을 추구하는 비국교도의 종교활동을 금지하는 법령은 신의 분노를 일으키는 것이었다. 비국교도 논객들은 흑사병의 빠른 종식을 위해서 비국교도에 대한 부당한 박해가 중단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대저택과 식민주의: 영국 내셔널트러스트를 통해서 본 공공역사가의 역할

        주의돈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4 인문학연구 Vol.- No.67

        This paper examines the National Trust’s recent activities which looked at the relations between the country houses managed by the Trust and the history of colonialism. The National Trust acquired country houses mostly from 1930s to 1960s, and the houses have been presented as a place characterised by past architectural styles and aristocratic life. In the twenty first century, the National Trust began to see the old heritages from a new perspective which associate the houses with the British Empire. Two historical projects - Colonial Countryside and Colonialism and Historic Slavery Report – revealed how the owners of the stately homes related to colonialism and slavery in many ways. The reaction of the British society was mixed. Some saw the projects positively as enhancing the historical understanding related to the country houses while others criticised them because they damaged national honour by highlighting negative aspects national heroes such as Winston Churchill. The Trust argued that its projects did not force a certain historical interpretation but help people have their own interpretations by providing factual information. This position could be a good model when a public body deals with history in a pluralist society. It is the role for public historians to study new historical contexts and share with public, but it is also necessary for them to be open-minded and interact with the public in terms of historical interpretations.

      • KCI우수등재

        17세기 후반 잉글랜드 광교파와 자연종교

        주의돈 한국서양사학회 2020 西洋史論 Vol.0 No.144

        본 논문은 존 윌킨스와 존 틸럿슨의 저작을 통해 17세기 후반 잉글랜드 광교파가 자연종교에 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었는지 살펴본다. 광교파가 사용한 자연종교의 관념은 인간 이성에 기초한 것이며 근대적인 합리주의의 발전과 세속화에 기여한 것으로 간주되곤 했다. 하지만 윌킨스와 틸럿슨이 생각한 자연종교의 내용과 근거, 그리고 그들이 자연종교의 관념을 활용한 방식을 살펴본다면 새로운 해석이 가능하다. 윌킨스와 틸럿슨은 인간 본성에 자연종교의 원리가 새겨져 있다고 주장했는데, 그 내용은 신에 대한 예배의 의무, 타인에게 정의를 행할 의무, 내세의 심판을 포함하는 것이었다. 그들은 타종교와 비교했을 때 기독교가 인간 본성에 기초한 자연종교의 원리와 가장 잘 부합하기 때문에 탁월한 종교라고 주장했다. 또한 기독교는 자연종교보다도 뛰어난 것이었는데, 그 이유는 기독교가 신적계시를 통해 초월적 진리를 더 명확하게 알려주고, 신으로부터 오는 특별한 은총을 통해 종교적 의무의 실천을 돕기 때문이었다. 결국 광교파의 자연종교는 계시종교인 기독교를 옹호하기 위한 도구의 성격을 가졌다는 사실이 드러난다. 이러한 점에서 광교파는 지적인 영역의 세속화를 주도했다기 보다는 전통적 계시종교의 수호자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nature of natural religion of English Latitudinarians in the late 17th century through the writings of John Wilkins and John Tillotson. The notion of natural religion used by Latitudinarians has been sometimes considered to be based on human reason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rationalism and secularization. However, we may have a new perspective when we examine the contents and grounds of natural religion of Wilkins and Tillotson and the way they used the notion of natural religion. They argued that the principles of natural religion were inscribed on human nature, and the principles included the duty to worship God and to do justice to others and the existence of divine judgment after death. They said Christianity was an excellent religion because it agreed best with the principles of natural religion. Also, Christianity was better than natural religion because Christianity showed transcendent truths more clearly through divine revelation and because it enabled practicing religious duty through the special grace of God. Thus, Latitudinarians’ natural religion was a tool to support Christianity. In this respect, Latitudinarians were advocates for traditional revealed religion rather than promoters of intellectual secularization.

      • KCI등재

        방역과 자유 사이에서 : 1721년 영국 방역법의 형성과 개정

        주의돈 ( Euidon Joo ) 호남사학회 2021 역사학연구 Vol.83 No.-

        본 논문은 1721년 제정된 영국의 방역법과 그것의 의학적 토대를 제공한 리처드 미드(Richard Mead)의 저술, 그리고 방역법의 핵심적인 조항을 둘러싼 논쟁과 그 조항의 폐지를 살펴본다. 1720-3년 마르세유를 시작으로 프랑스 남부 지역에서 흑사병이 유행했을 때 영국인들은 1665-6년의 런던 대역병(Great Plague of London)을 떠올리며 불안감에 사로잡혔다. 의회는 흑사병의 유입을 막기 위해 그리고 흑사병이 영국에 들어왔을 경우 그 확산을 막기 위해 1721년 1월에 새로운 방역법을 제정하였다. 당시 영국의 탁월한 의사 미드는 방역법의 이론적 토대와 실무적 지침을 제공하였다. 1721년 방역법의 특징은 영국 내로 흑사병이 유입되었을 경우 이전에 비해 매우 적극적인 조치 - 격리병원으로의 감염자 강제 이송, 방역선 설치를 통한 감염지역으로부터의 이동 제한 - 를 취하도록 규정했다는 점이다. 흥미로운 점은 1721년 방역법 중에서 위의 적극적인 조치를 규정한 조항들이 여전히 프랑스 남부에서 흑사병이 끝나지 않은 시점에 폐지되었다는 사실이다. 기존 연구에서 폐지의 주요한 이유로 간주되는 것은 흑사병 위협의 감소, 영국 상인들의 상업적 이해관계, 월폴(Robert Walpole) 내각과 반대파 사이의 정쟁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요소들이 방역법 일부 조항의 폐지에 미친 영향을 인정하지만 기존 연구가 간과해 온 요소에 주목한다. 그것은 방역법 반대파의 정치공세 이면에 존재했던 부유층의 특권의식이다. 반대파는 방역법의 일부 조항이 강압적이기 때문에 영국민의 자유를 침해한다고 주장하였다. 하지만 실상 그 자유를 실질적으로 누릴 수 있는 것은 소수의 부유한 사람들이었다. 예를 들어 생계에 대한 염려 없이 감염지역으로부터 안전하게 도피할 수 있는 사람들은 부유층뿐이었다. 따라서 국내 방역 대비책을 규정한 조항의 삭제에는 부유층의 특권의식을 대변한 의회 의원들이 영향력이 있었다. 결과적으로 흑사병이 영국으로 유입되지 않고 1720-3년의 위기가 지나갔지만, 만약 흑사병의 유입으로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했다면 1721년 방역법의 일부 조항 폐지는 특권 의식에서 비롯한 뻐아픈 실책으로 기억되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Quarantine Act enacted in 1721, Richard Mead’s writings which provided the basis for the act, the controversy over its major clauses of the act, and their abolition. When plague spread from Marseille to Southern France, the British panicked, being reminded of the Great Plague of London in 1665-6. Parliament passed a new act for quarantine in January 1721 to prevent plague from entering Britain and to stop the spread of plague in case of its arrival. A leading British doctor of the time, Mead provided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act as well as practical guidance to fight plague. The characteristic of the Quarantine Act 1721 was that it stipulated more vigorous measures than before: forced removal of the infected to the pesthouse and the regulation of travel from the infected area by drawing a cordon sanitaire. The interesting thing is that the clauses stipulating the vigorous measures were repealed at a point of time when plague was still active in Southern France. Existing studies argued that among major reasons for the abolition were the decrease of the threat from plague, the commercial interest of British merchants, and the political conflict between the Walpole ministry and its opposition party. This paper acknowledges that these factors played some roles in the abolition, but emphasise the factor overlooked by the existing studies. It was a sense of privilege behind the opposition party’s political attack. The opposition party argued that the clauses were oppressive and infringing on the British liberties. However, the liberties could be enjoyed only by a small number of rich people. For example, those who could flee from the infected area without worrying about maintaining their livelihood were the wealthy only. Thus the abolition of the clauses stipulating quarantine measures within the country was driven by the members of parliament who spoke for the sense of privilege of the rich. Fortunately for the British, the crisis of 1720-3 passed without plague entering Britain, but if plague had cost a large number of lives at the time, the repeal of the clauses of the Quarantine Act 1721 would have remembered as a painful mistake shaped by a sense of privilege.

      • KCI등재

        왕립학회에 관한 논쟁을 통해서 본 17세기 후반 잉글랜드에서의 과학과 종교의 관계

        주의돈 ( Joo Eui-don ) 영국사학회 2019 영국연구 Vol.41 No.-

        본 논문은 1660년 잉글랜드에 설립된 왕립학회를 둘러싼 논쟁을 살펴본다. 왕립학회는 형이상학적인 주제를 배제하고 감각으로 인식 가능한 자연의 사물을 탐구의 대상으로 삼았으며 그것을 토대로 유용한 기술과 장치를 고안하고 향상시키고자 했다. 왕립학회의 회원들은 자신들의 연구가 하나님의 능력과 지혜를 드러내는 한편, 발전된 기술을 통해 사회에 유익을 줄 것이라고 믿었다. 하지만 왕립학회를 부정적으로 바라본 사람들도 있었는데, 그들은 왕립학회의 신학문이 기존의 학문체계와 기독교 신앙 체계를 위협한다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논쟁은 당시 사람들이 종교와 과학 사이의 관계에 대해 일치된 의견을 갖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왕립학회는 종교적 사안을 논의의 대상으로 삼지 않았으며 과학연구에 관심을 둔 사람들을 종파에 상관없이 받아들였다. 이는 왕립학회의 과학활동과 특정한 기독교 종파를 연관 짓기 어려움을 보여준다. 한편 왕립학회의 활동을 부정적으로 바라본 저자들은 물질 연구에 집중하는 과학이 득세한다면, 기독교 신앙을 뒷받침해온 전통적인 형이상학적 토대가 약화될 것을 우려하였다. 따라서 당시 새로운 활력을 띠기 시작했던 자연과학연구에 대해서 당대인들이 가졌던 입장을 깊이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시기에 이미 자리매김하고 있었던 전통적 학문에 대한 그들의 태도와 연관지어 생각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debate over the Royal Society established in England in 1660. The Royal Society did not enquire into metaphysical problems, but explored the perceptible natural world and sought to develop useful skills and machines. The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believed that their works would illustrate God’s power and wisdom and prove beneficial to their society. However, the critics of the Royal Society thought that the new philosophy supported by the society would destroy the existing system of learning and the Christian faith. This controversy shows that there were disagreements among the people of the day 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natural science. The Royal Society did not discuss religious issues and accepted as fellows those who were interested in scientific researches regardless of their religious denomination. This militates against a close connection between the scientific exploration of the Royal Society and any certain denomination. The critics were worried that the new philosophy focusing on the material objects would undermine the traditional metaphysics which had been propping up the Christian faith. Thus, to fully understand the attitude of the contemporaries towards natural philosophy, we might also need to take their views of the traditional learning into consideration.

      • KCI등재

        왕립학회의 생명연장 논의: 수혈을 중심으로, 1665-1669

        주의돈 ( Joo¸ Eui-don ) 영국사학회 2020 영국연구 Vol.43 No.-

        본 논문은 1660년대 왕립학회에서 수혈과 관련하여 이루어진 논의를 살펴본다. 당시 수혈은 인간생명의 연장을 가져다줄 잠재적인 가능성을 가진 새로운 기술이었다. 잉글랜드에서 활동한 왕립학회 회원들은 동물의 신체적, 정신적 특징이 피에 흐른다고 생각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수혈이 심신의 변화를 낳을 수 있을것인지의 문제에 관심을 가졌다. 그들은 젊고 건강한 동물의 피를 나이 든 동물이나 사람에게 수혈하여 기력을 회복시켜 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희망을 갖기도 했다. 한 실험에서 왕립학회 회원들은 유순한 양의 피가 사람의 정신병을 완화시켜 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고 양의 피를 사람에게 수혈했다. 한편 왕립학회가 출간하는 『과학회보』에 수혈과 관련하여 활발하게 투고했던 프랑스의 의사 드니는 수혈에 대해 잉글랜드의 회원들과는 다른 접근을 취했다. 그는 수혈을 통해 주입하는 피를 혈관에 주사하는 약의 일종으로 간주하였다. 그는 수혈이 오염된 피로 인해 발생하는 여러 질병을 치료함으로써 인간생명의 연장에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하였다. 드니는 잉글랜드인들과 마찬가지로 수혈이 정신병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잉글랜드인이 피와 정신상태를 직접적으로 연관시키는 경향을 보였던 반면, 드니는 정신이상이 피의 과도한 열기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하며 수혈을 생리학적 치료의 방법으로 간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Royal Society’s debate about blood transfusion in 1660s.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in England tended to think that blood transfusion could transfer physical and mental characteristics from one animal to another. This approach included the idea that a young animal’s blood could rejuvenate an old animal or person. In an experiment, they transfused a lamb’s blood into a man with a mild mental disability, with the expectation that the gentle lamb’s blood would calm the man’s spirit. On the other hand, a French physician Denis, who actively contributed to Philosophical Transactions published by the Royal Society, took a more medical approach to blood transfusion. He hoped that transfusion would prolong human life by curing many diseases, which were considered at the time to be caused by unhealthy blood. Denis, too, tried to cure a mad man but with a different but with a different assumption. He thought that madness was caused by the excessive heat of blood, so he meant to cool down the heat in order to cure him. It shows that Denis looked upon transfusion as a physiological treatment.

      • KCI등재후보

        존 포넷의 개혁사상

        주의돈(Eudon Joo) 한국서양사연구회 2013 서양사연구 Vol.0 No.49

        This article is an inquiry into the reformist thought of an English Reformer, John Ponet(1516-1556) through his two major works, A Defence for Clerical Mariage of Priestes and A Short Treatise of Politike Power. In A Defence for Clerical Mariage, Ponet asserted that clerical celibacy of Catholic Church was contrary to God’s law. Ponet also noted that forced celibacy did not help religious mission of priests, but rather caused sexual corruptions among them. For Ponet, a vow of clerical chastity was only an ordinance of Popes in the Middle Ages and a practice deviated from the example of Primitive Church. The concept of God’s law which Ponet used to defend clerical marriage developed into a Natural Law theory in A Short Treatise of Politike Power. Ponet thought that Natural Law was a touchstone for all other laws and that monarchs were subordinate to the Natural Law. Ponet insisted that rulers who abused their power against the Natural Law had to be disobeyed. Furthermore, he affirmed that it was lawful to kill a tyrant who destroy the people. Facing the situation that political power was hostile to the Reformation, Ponet realised that political power itself had to be reformed. As a common ground of religious and political reforms, Ponet envisioned the concept of Natural Law. Ponet was convinced that both clerical celibacy which was Pope"s doctrine and absolute power that the monarch sought were contrary to the Natural Law which God instituted. Ponet was a pioneering reformer who hoped to transform not only Church but also political realm according to God’s wi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