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 여성의 연령대에 따른 성폭력 범죄두려움에 관한 연구

        정의롬 한국공안행정학회 2022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31 No.1

        2020년에 발생한 범죄 중에서 강간범죄(유사강간 포함)와 강제추행 범죄에서 여성은 각각 97.6%, 90.2%로 피해를 겪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성의 성폭력 범죄는 2010년에 비해 50% 이상 급증하였다. 여성의 성폭력 범죄를 근절하고자 경찰뿐만 아니라 학계에서도 근절 정책과 연구는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다. 경찰에서는 전국 여성 안심구역 및 여성안심귀갓길, 여성안전기획관 신설, 여성폭력 전담체계 등을 구축하고 있으며, 학계에서는 여성의 성폭력 범죄두려움의 원인을 규명하고 이에 대한 대책방안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성인 여성의 연령대에 따른 성폭력 범죄두려움의 영향 요인을 규명하거나,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이를 규명한 연구는 전무하다. 이 연구에서는 성인 여성의 연령대에 따른 성폭력 범죄두려움의 원인을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형사정책연구원의 전국범죄피해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총 6,626명의 자료를 토대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20대 여성의 경우 개인적 요인으로는 범죄소식이, 환경적 요인으로는 물리적 무질서, 사회적 무질서 그리고 비공식 통제, 경찰활동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30대 여성의 경우, 개인적 요인으로는 범죄소식이, 환경적 요인으로는 물리적 무질서와 사회적 무질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40대 여성의 경우, 개인적 요인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환경적 요인으로는 물리적 무질서와 사회적 무질서 그리고 경찰활동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50대 여성의 경우, 개인적 요인으로는 지인의 범죄피해 경험, 범죄소식이 환경적 요인으로는 물리적 무질서, 사회적 무질서 그리고 경찰활동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60대 여성의 경우 개인적 요인으로는 범죄소식이 환경적 요인으로는 물리적 무질서와 사회적 무질서 그리고 경찰활동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70대 이상의 여성의 경우 개인적 요인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환경적 요인을 물리적 무질서와 사회적 무질서 그리고 비공식 통제, 경찰활동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여성의 성폭력 범죄두려움에 관한 근절 정책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지속가능한 해양관광 개발을 위한 환경적 조건과 요인의 상관적 관계

        조현근(Cho, Hyun Geun),김창현(Kim, Chang Hyu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5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0 No.-

        행복추구에 대한 욕구 증가로 관광활동은 확대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지형적 특성으로 해양관광자원이 풍부하지만 내륙관광에 비해 수요가 적고, 해양기반 지역경제는 낙후되어 있다. 따라서 환경적 측면이 우선적 고려대상이 되는 해양관광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해양관광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해양관광특성, 선행연구, 사례연구 등을 분석하여 조건과 요인을 연구하였다. 연구과정에서 경관 및 휴양, 해수욕, 음식 등이 해양관광 주요활동임을 파악하였으며, 생태적, 지역적, 생활환경적 특성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이에 따라 관광 주체의 환경의식이 고려된 지속가능한 개발 지표를 도출하고, 환경적 조건과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이에 적합한 환경적 유형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해양관광은 관광 유형이 아닌 환경적 유형을 중심으로 지속가능하며 환경적 요인이 변수가 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환경적 가치가 높고 자원이 풍부할수록, 환경적 조건과 요인의 상관적 관계는 시대적 중요성을 띈다. 환경적 조건이 서로 관련되고 파생된 환경적 요인은 환경적 유형의 필요조건이 된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해양관광 개발에 있어서 환경적 측면을 체계화하여 기본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Tourism activity has been expanded as increasing desire for promoting happiness. In korea, Marine tourism resources are rich due to the topography feature, but the economy based on marine is less than inland tourism, and that"s area is behind. For this reason, marine tourism development according to environmental aspects is required. The characteristic of the marine tourism, preceding and case research were analyzed, and conditions and factors were studied. In the research, that"s main activities were grasped landscape and rest, sea bathing, food. And the importance of the ecology, regionality, and living environment were stood out. Consequently, sustainable development indicators,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factors, environmental types were drawn. With this, the marine tourism is not focused on tourism types but focused on environmental types, and that is sustainable. And environmental factors are grasped as a variable. Environmental values are higher and that"s resources are more abundant, the correlation of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factors is more important. And environmental factors related and derived by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re the necessary condition of the environmental type. This study is to systematize the environmental aspect i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marine tourism and to provide a basic foundation.

      • KCI등재

        범죄 발생에 미치는 환경적 요인에 관한 연구 : 폭력, 가정폭력, 성폭력, 절도를 중심으로

        최재훈 ( Jaehun Choi ),박정선 ( Cheong Sun Park ) 대한범죄학회 2018 한국범죄학 Vol.12 No.2

        본 연구는 사회환경적 요인과 자연환경적 요인이 범죄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2016년 6월부터 2017년 5월까지 특정 광역지방자치단체 관할의 지방경찰청에 접수된 112신고내역을 이용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사회환경적 요인으로 빈곤, 주거의 이동성, 민족적 이질성, 인구밀도, 주거형태, 1인가구비율을 사용하고, 자연환경적 요인으로 시간, 요일, 계절, 기온, 강수량, 풍속 등의 변수를 이용하여 폭력, 가정폭력, 성폭력, 절도 발생을 설명하였다. 사회환경적 요인 중 빈곤, 주거형태는 모든 범죄유형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주거불안정성과 민족적 이질성은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아 사회해체이론의 핵심 세 변수 가운데 빈곤만이 유의미한 효과를 보이는 한계를 보였다. 또한 인구밀도와 1인가구비율의 영향력도 범죄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자연환경적 요인에서는 대부분의 범죄가 낮보다는 밤에, 평일보다는 휴일에 더 많이 발생하고 기온이 높을수록 발생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폭력과 절도 범죄는 여름과 같이 극도로 기온이 높아지는 경우에 오히려 줄어들어 온도와 공격성의 관계가 비선형관계임이 일부 확인되었다. 가정폭력의 경우에는 여름보다는 가을과 겨울에, 절도는 밤보다는 낮에 많이 발생하였다. 이는 자연환경적 요인 또한 모든 범죄에 획일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범죄의 양태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al-environmental factors and natural-environmental factors on the occurrence of crime by using the police call reports that are offered from a provincial police agency in Korea, from June 2016 to May 2017. To explain the occurrence of violence, domestic violence, sexual violence and theft, we classified variables into two types. First, we used poverty, residential mobility, ethnic heterogeneity, population density, residential type and proportion of single households as explanatory variables for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whereas time, day, season,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wind flow velocity are used as explanatory variables for natural environmental factors. Results showed that among social environment factors, poverty and household typ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ll types of crime, whereas there is no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ial mobility, ethnic heterogeneity and crimes. These findings show that overall generalization of the social disorganization theory cannot be fully supported. Meanwhile, we identified that the variables of population density and the proportion of single households have differential effects on the different forms of crimes. In the natural environment setting, most of the crimes occurred more at night than during the day, on holidays than on weekdays, and higher the temperatures, so does the incidence of crimes. However, in the crimes of sexual violence and theft, decline in the incidence of crimes were found which suggests that there is a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of temperature and aggression. On the other hand, domestic violence were more frequent in autumn and winter season than in summer, and theft was more frequent during the day than at night. This is because natural environmental factors also affect differently on different types of crimes rather than affect consistently on all forms of crimes. Based on these findings, we could derive policy implications and suggest policy alternatives for the mobilization and displacement of police resources over time, place and types of crimes.

      • KCI등재후보

        대학 산학협력단의 핵심역량요인, 네트워크 요인, 외부 환경적 요인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황광명(Kwang-Myoung Hwang)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16 경영경제연구 Vol.38 No.2

        본 연구는 대학 산학협력단의 핵심역량요인, 네트워크 요인, 외부 환경적 요인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전국 71개 대학의 산학협력단 직원 294명으로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ⅰ)네트워크(지원과 협력) 요인은 해외특허등록건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ⅱ)외부 환경적 요인 중 지역의 경제 환경과 BK사업의 부합정도가 잘 이루어질수록 산학협력 수익, 기술이전 건수, 국내특허 등록 건수, 해외특허 등록 건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ⅲ)외부 환경적 요인 중 지역의 경제 환경과 LINC사업의 부합정도가 잘 이루어질수록 기술이전 건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 ⅰ)외부환경적 요인이 산학협력단의 경영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지역의 산업여건과 지역 경제와 BK사업의 부합 정도가 높을수록 모든 성과를 높였다. ⅱ)산학협력단의 지원사업에서 ‘연구’분야뿐만 아니라 ‘교육’분야에 대한 재정지원사업이 지속되어야 한다.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influence of the factors of core competence, Network (support and cooperation),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of the University and Industry Collaboration Foundation (UICF) on Management Performance. For this study, 71 Universities and 294 employees at the UICF were surveyed. The important findings were as followings. I) The factor of Network(support and cooperation) affect positive influence to the number of Oversea Patent registrations. II) The concordance or discordance of the economy and the BK industry affect positive influence to the Management Performance(profit of the University and Industry Collaboration, the number of technology transfers, the number of domestic Patent registrations, the number of Oversea Patent registrations). III) The concordance or discordance of the economy and the LINC industry affect positive influence to the number of technology. As implied in this study: I) The factor of the external environment (the concordance or discordance of the economy and the BK industry) affect positive influence to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the University and Industry Collaboration Foundation (UICF). II) Financial support programs should be continue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as well as education from the University and Industry Collaboration Foundation"s support project.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심리내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양미진,이은경,이희우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06 청소년상담연구 Vol.14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environmental variables and mental health variables depending on grade and gender of adolescents. 1,733 adolescents(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students) completed questionnaires regarding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environmental variables and mental health variables. The results revealed that being in a higher grade in school, they scored higher in mental health variables and they had more positive perception of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variables. Also, female adolescents perceived more positively on their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variables than male adolescents did. This result suggested that female adolescents are more sensitive and active in finding, understanding, and solving their problems. In addition,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 self-esteem, and life orient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심리내적 · 환경적 요인과 정신건강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정신건강을 예측하는 중요 한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1,733명의 초 · 중 · 고등학생들이 우울, 불안, 적대감, 정신증 등 정신병 리 요인을 측정하는 척도와 함께 심리내적 요인(자아존중감, 낙관성, 충동성, 자기조절, 창의성, 자기효능감, 자 신과 환경에 대한 만족도, 자기내적 변인 총 7개변인)과 환경적 요인(가족관계의 질, 교사의 사회적 지지, 친구 의 사회적 지지 총 3개 변인)을 알아보는 척도에 응답하였다. 연구결과, 학년이 올라갈수록 우울, 불안, 정신증 등 정신병리 요인의 점수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심리내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에 대한 긍정적 지각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심리내적 요인(낙관성, 창의성, 주변의 지지 등)과 환경적 요인에 대한 긍정적 지각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여학생이 정신건강 관련 문제를 쉽게 발견하고 그 해결을 위한 노 력 또한 적극적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있어서 가족관계의 질, 자기존중 감, 낙관성이 우울, 불안, 적대감, 정신증 정도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청소년의 정신건강 관련 요인과 본 연구가 가지고 있는 제한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KCI등재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뇌졸중 장애인 건강상태의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지역사회 참여에 미치는 영향

        조예지,유두한 대한작업치료학회 2018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6 No.2

        목적 : 본 연구는 장애인의 포괄적인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개인의 건강상태 요인에 따라 지역사회 참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뇌졸중 장애인 10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 였다. 설문은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장애평가조사표를 사용하여 건강상태의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을 조사하였고, 한국판 지역사회 참여 지표를 사용하여 지역사회 참여도를 조사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지역사회 참여를 비교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으며, 건강상태 요 인과 지역사회 참여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피어슨 상관분석을 시행하여 분석하였다. 건강상태 요인이 지역사회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지역사회 참여는 경제수준이 높고, 유병기간이 1~5년과 10년 이상인 경우, 이 동 보조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대상자에게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건강상태와 지역사회 참여와의 상관 성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환경적 요인이 지역사회 참여에 유의한 영향 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고, 28%의 설명력을 보였다. 결론 : 지역사회 장애인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참여에 미치는 영향은 장애인 건강상태의 개인적 요인과 환경 적 요인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환경적 요인이 주요 변인으로 분석되었다. 뇌졸중 환자들의 사 회참여를 높이기 위해 장애인의 환경적 요인들을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과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mprehensive health status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effect of factors related to individual health status on community participation. Methods: Data from 102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had stroke and living in the local community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used the Korean vers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Disability Assessment to investigate the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health status, and the Korean version of community participation indicators were used to investigate level of community participation. In order to compare community participation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sed. in addition, this study use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health status factors and community participation. For the effect of health status factors on community particip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was used. Results: In terms of community participation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significant difference was identified in study participants with high income, duration of disease of 1-5 years and more than 10 years, and without mobility equipment. For correlation between health status and community participation, significant correlation was identified. Hierarchal regression showed environmental factors as the variable having a significant effect on community participation with 28% explanatory power. Conclus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community, both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health status all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ommunity participation,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were analyzed as the major variable. In order to increase community participation of stroke patients, development of programs considering environmental factor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additional studies are needed.

      • KCI등재

        성별에 따른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정의롬 한국치안행정학회 2024 한국치안행정논집 Vol.21 No.1

        최근 10년 동안 범죄발생 건수는 감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은 범죄피해를 당할 수 있다는범죄두려움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범죄두려움에 관한 연구는 국내뿐 아니라 국외에서도 꾸준히 연구가 되고 있다. 범죄두려움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는 것은 수많은 연구결과가 상이하기 때문이다. 특히 남성이 여성보다 더 많은 범죄피해를 경험함에도 불구하고 여성이 더욱 높은 범죄두려움을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남성과 여성이 가지는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의 전국범죄피해조사 2차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남성은 일반적인 상황에서 느끼는 범죄두려움의 요인은 개인적 요인인 직접적인 범죄피해를 제외하고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조사되었으며, 여성은 일반적인 상황에서 느끼는 범죄두려움의 요인은 환경적 요인의 지역유대와 비공식통제를 제외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범죄유형에 따른 구체적 범죄두려움의 결과, 남성은 일반적 범죄두려움과 같은 결과로 조사되었으며, 여성은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모든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조사 되었다. 마지막으로 일반적 범죄두려움과 구체적 범죄두려움을 통합한 전체 범죄두려움의 결과에서는 남성은 개인적 요인인 직접적인 범죄피해가 제외되었으며, 여성은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모든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조사되었다. 즉, 남성과 여성의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남성과 여성의 범죄두려움을 감소시킬 수 있는 치안정책의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Even though crime has decreased over the past 10 years, it has been found that people have a high fear of crime and that they may become victims of crime. Research on fear of crime is being conducted consistently not only domestically but also abroad. The reason that research on fear of crime is continuously conducted is because the results of numerous studies are different. In particular, although men experience more crime damage than women, women are found to have a higher fear of crime. Accordingly, this study sought to empirically verify the factors influencing men's and women's fear of crime by dividing them into personal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secondary data from the National Crime Victimization Survey of the Korea Institute of Criminology and Justice were utilized. As a result of the study, all factors related to the fear of crime felt by men in general situation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for direct crime damage, which is a personal factor, while the factors contributing to fear of crime felt by women in general situations were environmental factors, local ties and informality. It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for the control. And as a result of the specific fear of crime according to crime type, men's results were the same as the general fear of crime, and women's factors, both personal and environmental,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ally, in the results of overall fear of crime, which combines general and specific fear of crime, direct crime damage, which is a personal factor, was excluded for men, and all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women.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factors affecting the fear of crime between men and wome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we would like to make policy recommendations that can reduce men and women's fear of crime.

      • KCI등재

        청소년 비행 관련 요인의 성별 및 발달적 비교 연구

        김원경 ( Kim Wonkyung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7 학교사회복지 Vol.0 No.39

        청소년 비행 경험의 영향요인을 개인의 심리적, 사회환경적 요인으로 구분하고 청소년의 성별 및 초기, 중기, 후기 청소년기의 발달시기별로 영향요인이 어떻게 달리 나타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실시한 2013 한국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에서 사용한 전국 16개 시·도의 초(4~6학년), 중, 고등학생 총 9,755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독립변인으로 심리적 요인(우울, 불안, 게임중독, 스트레스, 생활만족도,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정서조절, 낙관주의적 성격요인)과 사회환경적 요인(부모지원, 가족유대감, 사회적지지, 교사와의 유대감, 친구관계)을 투입하고 청소년의 비행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심리적 변인이 사회환경적 변인보다 비행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과 스트레스는 남녀 청소년의 모든 청소년기에 걸쳐 비행을 설명하는 중요한 변인이었다. 초기와 중기 여자 청소년의 경우 생활만족도와 자존감의 긍정적 심리요인이 비행을 설명하는 유의미한 영향요인이었으며 초기 남자 청소년은 게임중독이 비행에 대한 가장 유의미한 심리적 영향요인이었다. 사회환경적 요인 중 가족유대는 남녀 청소년 모두에게 전체 청소년기에 걸쳐 비행에 대한 매우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진 변인이며 비행의 보호요인으로 중요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성별과 발달시기별로 심리적, 사회환경적 변인이 청소년 비행의 설명에 각각 달리 적용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에 따른 비행의 예방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대안을 마련함에 있어서 청소년의 성별과 발달시기별로 달리 적용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how psychological and ecological factors affect juvenile delinquency in early-, mid-, and late-adolescence, according to gender. The data used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came from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survey administered to a sample of 9,755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Both psychological factors (depression, anxiety, stress, life-satisfaction, self-esteem, self-efficacy, emotion-regulation, and optimism) and ecological factors (family relations, peer relations,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social support) were entered as independent variables, while a total score of delinquency was entered as a dependent variabl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psychological factors were relatively more effective predictors than ecological factors on juvenile delinquency. Specifically, anxiety and stress were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s of delinquency across the gender and the developmental stages of Korean youth. Among psychological factors,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were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delinquency in female youth of early- and mid- stages, while game addiction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in male youth of early stage. Among ecological factors, family relationship was a crucial predictor of delinquency across the gender and all the developmental stages of Korean youth. Results implied the existence of gender differences in predictors of juvenile delinquency. Future directions for further studies into this area and the implications for the practice of delinquency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주가변동성에 대한 인지행위론적 분석

        이의경 한국경영교육학회 2009 경영교육연구 Vol.53 No.-

        Former studies used the econometric approach to the stock volatility. But this study uses a behavioral approach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ormer studies. There are three factors being considered in this study ; the first one is a rational factor, the second one is an emotional factor, and the third one is environmental factor. The empirical tes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GDP per one person which is the proxy variable of rational factor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tock volatility significantly. Regarding to the emotional factor, the proxy variable(the number of prisoners)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tock volatility, which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takes into account two environmental factors ; fundamental factor, and informational factor. The empirical result of fundamental factor is consistent with the former studies. And the empirical result of informational factor is effective for explanation that the information asymmetry of the stock market is the cause of the stock volatility. 본 연구는 주가변동성을 인지행위론적 관점에서 분석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투자자의 인지행위론적 요인들을 이성적 요인과 감정적 요인으로 분류하고 이들 요인이 주가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24개의 세계 주요 국가들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투자자들의 이성적 요인이 주가변동성에 음(-)의 영향을 주는 반면에 감정적 요인은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추가하여 환경적 요인을 실물환경적 요인과 정보환경적 요인으로 분류해서 주가변동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실물환경적 요인분석에서는 주가변동성이 호황기보다 불황기에서 더 큰 값을 보였고 정보환경적 요인분석에서는 정보전달시스템의 발달로 최근의 주가변동성이 과거에 비해서 더 작게 나타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연구와는 차별적인 시각에서 주가변동성을 분석함으로써 좀 더 다양한 관점의 접근가능성을 제시하였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골프 라운드의 형태에 따른 환경적⋅생리학적 요인 차이 분석을 통한 스크린골프장 라운드의 운동효과

        문병일,정홍용,박익열 한국골프학회 2014 골프연구 Vol.8 No.4

        본 연구는 16명을 대상으로 스크린골프장 라운드와 골프장 라운드에 따른 환경적 · 생리적 요인의 차이를 분석하여 스크린골프장 라운드의 운동효과를 알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스크린골프장 라운드는 환경적 요인인 온도(M=15.14℃), 습도(M=42.60%), 총시간(M=156.47min), 이동거리(M=0.49km)에서 골프장 라운드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며, 습도, 총시간, 이동거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스크린골프장 라운드는 생리적 요인인 평균심박수(M=92.66bpm), 최대심박수(M=130.00bpm), 에너지소비량(M=457.33kcal)에서 골프장라운드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며, 평균심박수, 최대심박수, 에너지소비량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환경적요인과 생리적 요인의 상관관계의 분석결과 스크린골프장 라운드에서는 변수 간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지만,골프장 라운드에서는 온도와 평균심박수, 최대심박수 그리고 총시간과 이동거리는 에너지소비량과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스크린골프장 라운드는 경제성과 접근성이 있어 흥미와 여가 목적으로 적합하지만, 신체적인 효과를 미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and physiological factors between golfcourse round and screen golf round. Sixteen subjects were selected and each subject played 1 round of golf. Extracted data was analyzed using a SPSS Ver. 20.0 statistics package program and this study results are shownas follows. First, environmental elements such as temperature(M=15.14℃), humidity (M=42.60%), totaltime(M=156.47min), and travel distance(M=0.49km) were lower in a screen golf round than a golf course round. Second, physiological factors such as average heart rate (M=92.66bpm), maximum heart rate(M=130.00 bpm), andenergy consumption(M=457.33kcal) were lower in a screen golf round than a golf course round and there was a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physiological factors. Third, for the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and physiological factors, while a screen golf round had no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But golf courseround showed that temperature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average heart rate and maximumheart rate, total time and distance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energy consumption. In conclusion,although a screen golf round is good for economic feasibility, accessibility, interest, and leisure, it seems that ascreen golf round would not be good for evoking exercise eff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