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사회적협동조합의 조직역량이 협력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 - 사회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

        민윤경(Min, YoonKyung),홍경준(Hong, Kyung-Zoon) 한국사회복지학회 2020 한국사회복지학 Vol.72 No.2

        이 연구는 사회적협동조합의 협력네트워크에 조직역량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사회적협동조합의 조직역량으로 거버넌스 역량, 기업가 역량, 미션 역량을 선정하였으며, 자원의존이론에서 주장한 대체자원 확보를 파악하기 위해 사회네트워크 분석지표 중 네트워크의 연결중심성(정보교환, 자원교류, 공동사업)을 활용하였다. 상기의 변인들을 정리하여 음이항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적협동조합의 거버넌스 역량은 모든 협력네트워크 연결중심성에 부(-)적으로 유의하였다. 기업가 역량의 경우, 모든 협력네트워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나타내지 못하였는데, 이는 현재 기업가 역량이 사회적협동조합의 협력네트워크에 특정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지 않음을 짐작케 한다. 미션 역량은 모든 협력네트워크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 요인이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사회적협동조합의 조직역량은 협력네트워크의 주요한 요인이었으므로, 사회적 협동조합은 협력파트너로서 조직역량들을 구축해야 할 필요성을 뒷받침하였다. This study empirically proves that social cooperative organizational capabilities a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cooperative network. Among the organizational capabilities, we choosed a governance capability, entrepreneurship capability, and mission capability of social cooperatives’s specific capabilities. And the centrality of the network(information exchange, resource exchange, and joint project) was considered among the social network analysis indicators to identify alternative resources proposed in the resource dependency. Following is a summary of analysis results. First, governance capabilities of social cooperatives were negatively(-) significant to connection centrality of all the cooperative networks. Second, in the case of entrepreneurs’ capabilities, they did not have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values at all the cooperative networks. Third, in the case of mission capabilities, they were significantly positive(+) factors to all the cooperative network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organizational capabilities of social cooperatives are not intangible resources simply for competitive advantage but a mechanism through which resources are procured. Organizational capabilities are factors enhancing or deteriorating the cooperative network in accordance with their nature.

      • KCI등재후보

        협동조합 종사자 역량모델 분석과 개발

        봉미란,이영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5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5 No.5

        In accordance with the enactment of the Fundamental Act on Cooperatives, the necessity of the HRD of the cooperative workers was enlarged owing to the Cooperatives expanding in size. On this article, Spencer & Spencer's "A Generic Cross-culturally Vaild Competency" was used as a basic framework, because almost all of the cooperative workers were composed of mainly representative director and directors.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4 steps applying Dubois's "Modified Jop Competency Assessment Method" and the panel of experts. 7 competency groups which includes 17 competencies of the cooperative workers were discovered by this study. Detailed 7 competency groups are as follows; Firstly, Accomplishment Competency Group are leadership, patience, data collection & analysis, and collective responsibility. Secondly, Crisis & Problem Solving Competency Group are planning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Thirdly, Individual Maturity Competency Group are self-confidence, professionalism, and self-development. Fourthly, Impact Competency Group is persuasion. Fifthly, Instruction & Control Competency Group is communication capability. Sixthly, Others-oriented Competency Group are faithfulness, trust, community spirit, teamwork,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Lastly, Other Competency Group is profit generation. Competency models developed by this study will be used as the HR utilization of the cooperative workers and the basic materials of their educational development. 협동조합 기본법 시행 이후 우리나라 협동조합의 양적확대에 따른 협동조합 종사자의 인적자원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현 협동조합의 종사자는 대부분 대표 및 이사로 구성되어 있어, 협동조합 역량 모델 이론의 기본 틀을 Spencer & Spencer(1993)가 개발한 “ 기업가의 일반 역량 모델”을 활용 하였다. 연구 절차는 Dubois의 변형된 직무역량 평가방법과 전문가 패널을 활용하여 4단계로 진행하였으며, 연구 결과로 협동조합 종사자의 역량모델은 7개 역량군에 17개 역량이 도출 되었다. 개발된 역량군 7개를 살펴보면 첫째, 성취 역량군의 역량은 주도성, 끈기, 정보수집 및 분석, 연대 책임감이며, 둘째, 사고 및 문제해결 역량군의 역량은 기획력 및 창의적 문제해결, 셋째, 개인적 성숙 역량군의 역량은 자신감, 전문성, 자기개발, 넷째, 영향력 역량군의 역량은 설득, 다섯째, 지시 및 통제 역량군의 역량은 의사소통능력, 여섯째, 타인지향성 역량군의 5개 역량으로 성실, 신뢰, 공동체 의식, 팀워크, 조직 헌신이며 마지막 기타 역량군은 이윤창출능력 역량이다. 이 연구의 결과로 개발된 역량모델은 협동조합 종사자의 인적자원관리 및 교육개발의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대학생의 다양성 수용도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협동학습역량과 폐기학습역량의 매개효과

        이효선,이희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6 평생학습사회 Vol.12 No.1

        이 연구는 국내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다양성 수용도가 협동학습역량, 폐기학습역량, 창의적 성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그것이 협동학습역량과 폐기학습역량을 매개로 하여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대학생의 다양성 수용도를 독립변인으로, 창의성을 종속변인으로 하고 협동학습역량과 폐기학습역량을 매개변인으로 하는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연구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대학생의 다양성 수용도는 협동학습역량, 폐기학습역량, 창의성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협동학습역량과 폐기학습역량은 창의성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다양성 수용도와 창의성의 관계에서 폐기학습역량과 협동학습역량은 모두 유의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해서는 학생들이 다양성을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이나 교육과정의 개발이 필요하며, 협동학습역량과 폐기학습역량이 주요 요인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 impact of university students’ openness to diversity on creativity, cooperative learning competency, and unlearning competenc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competency and unlearning competency. Therefore, this study set the openness to diversity as a dependant variable and creativity as a independent variable, then set two mediating variables which were cooperative learning competency and unlearning competency.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study are as follows: First, openness to diversity of university students has a positive effect on cooperative learning competency, unlearning competency, and creativity of university students. Second, cooperative learning competency and unlearning competency have positive effect on students’ creativity. This shows that the more students enhance their cooperative learning competency and unlearning competency, the more students develop their creativity. Third, cooperative learning competency and unlearning competency hav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penness to diversity and creativity.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to cultivate creative people in universitie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curricula and programs that help student to understand and embrace the diversity. Secondly, it is required to design the teaching method that can encourage students to develop various learning competencies. University students can build the core competencies to be a globally qualified person under the appropriate educational policy and system. Therefore, universities should prepare and provide proper learning environment and educational systematic support.

      • 사회적협동조합의 조직역량이 협력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

        민윤경 한국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7 No.10

        사회적경제 조직의 자립성과 지속가능성을 배양하는 것이기에 사회적협동조합의 생존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 필요한 상황이다. 협력네트워크 전략은 협동조합 7원칙에서도 명시된 주요 전략 중 하나이다. 사회적경제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전략으로 협력네트워크 구축은 강조되어 왔다. 대안경제의 주체인 사회적협동조합의 협력네트워크 영향 요인으로 조직역량을 고려하였다. 관련변인을 정리하여 사회적협동조합의 조직역량이 협력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사회적협동조합의 거버넌스역량은 모든 협력네트워크 연결중심성에서 부(-)적으로 유의하였다. 기업가 역량의 경우, 모든 협력네트워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나타내지 못하였는데, 이는 현재 기업가 역량이 사회적협동조합의 협력네트워크에 특정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지 않음을 짐작하게 하였다. 미션 역량은 모든 협력네트워크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 요인이었다. 사회적협동조합의 조직역량은 협력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적협동조합은 협력네트워크를 통해 협력파트너로서 조직역량을 구축해야 할 필요성을 뒷받침 한다.

      • KCI우수등재

        청소년활동이 협동역량에 미치는 영향: 창의성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유림,정혜원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youth activities, creativity, self-esteem, and cooperative competence, and to verify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creativity and self-esteem. For this purpose,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applied to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data set (9th grade). The results are as follows. Youth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cooperative competence. In addition, youth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creativity and self-esteem. Creativity did not directl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operative competency, but it indirectly had a positive effect on cooperative competence by mediating self-esteem. On the other hand, self-esteem had a direct effect on cooperative competence. In terms of the effect of youth activities on cooperative competence, the mediating effect of creativity was not significant, but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was. Besides, the effect of youth activities on cooperative competence was further strengthened by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creativity and self-esteem.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developing cooperative competence are presented. 본 연구는 청소년활동과 창의성, 자아존중감, 협동역량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 청소년활동과 협동역량의 관계에서 창의성과 자아존중감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의 3차년도 중1 코호트(중학교 3학년) 패널 자료를 활용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변인 간 구조적 관계와 매개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청소년활동이 협동역량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뿐만 아니라 청소년활동이 내적 인지·정서 요인인 창의성과 자아존중감에도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성은 협동역량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진 않지만, 자아존중감을 매개하여 협동역량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아존중감은 협동역량에 직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활동이 협동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창의성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자아존중감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더하여 청소년활동이 협동역량에 미치는 영향이 창의성과 자아존중감의 이중매개효과로 더욱 강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활동과 창의성, 자아존중감, 협동역량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협동역량 함양을 위한 시사점과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다양성 수용도와 협동학습 역량이 진로 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정은이(Jeong Eun I) 한국교육방법학회 2016 교육방법연구 Vol.28 No.2

        오늘날 대학생들이 진로 적응성을 갖춘 전문 인력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주변의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 환경을 이해하고 수용하며 다른 사람들과 협동하여 성과를 낼 수 있는 역량을 키워야 한다. 이러한 대학생 시기의 중요한 발달 과업인 진로 적응성과 다양성 수용도 및 협동학습 역량은 한국과 미국의 다른 문화적 배경에 따라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일 것이므로 국가 간 비교 연구를 통해 그 차이점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 의거 한국과 미국 대학생 들이 다양성 수용도와 협동학습 역량 및 진로 적응성에 있어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 그리고 다양성 수용도와 협동학습 역량이 진로 적응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한국의 경우 충남 대전의 C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112명을, 미국의 경우 워싱턴주 시애틀 W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대학생 9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t 검증, 상관 및 회귀분석 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한국과 미국 대학생들의 다양성 수용도, 협동학습 역량 그리고 진로 적응성에 차이를 비 교해 본 결과 모두 미국 대학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양성 수용도와 협동학습 역량 및 진로 적응성과의 상관을 알아본 결과 한국과 미국 대학생 모두 다양성 수용도와 협동학습 역량이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진로 적응성은 다양성 수용도 및 협동학습역량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었다. 셋째,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진로 적응성이 다양성 수용도와 협동학습 역량에 의해 얼마나 설명되고 예언될 수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한국 대학생의 경우 협동학습역량과 다양성 수용 도가 정적 영향력이 있었고, 미국 대학생의 경우 협동학습역량만이 정적 영향력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가 한국의 대학 교육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 among diversity acceptability, cooperative learning competency and career adaptability of Korean and American college students. Also, the study explored the differences in those variables between the students of two countries and pursued their implications. Data were collected from 112 Korean students in a college located in D city in Chungcheongnamdo, Korea and 97 American students in a college located in S city in Washington State, USA. Results from t-test,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arisons of mean differences indicated that American college students had higher scores on diversity acceptability, cooperative learning competency and career adaptability than Korean students. Second, for both Korean and American college students, diversity acceptability correlated positively with cooperative learning competency. In addition, career adaptability correlated positively with diversity acceptability as well as with cooperative learning competency. Third, in case of Korean college students, diversity acceptability and cooperative learning competency were the positive predictors of career adaptability, while in case of American college students only diversity acceptability was the positive predictor of career adaptability. These results have significant implication for education programs to promote career adaptability for Korean college students.

      • 기독영어교사교육에서협동학습의적용사례

        김영숙 總神大學校 2006 總神大論叢 Vol.38 No.-

        최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미래인재에 필요한 핵심 역량을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고, 이러한 역량들이 교과수업과 교사교육 과정에서도 강조되어야 함을 요구하고 있다. 그중 공동체 역량은 영어과 핵심 역량 중 하나로서 이는 협동과 배려심이라는 인성 덕목과도 긴밀히 연관된다. 영어교육에서 학습자들의 인성 교육에 대한 요구는 영어교육에 대한 기독교적 접근과도 일맥상통하는 점이 있다고 볼 수 있는데, 기독교적 영어교육은 영어학습을 통해 단지 영어기능만 습득하는게 아니라 학습과정을 통해 학생들 개개인의 인격 성장과 발달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독교적 영어교육의 관점에서 영어교수 방법에 부합하고 학습자들의 인성을 함양하기에 적합한 교수방법으로 협동학습에 초점을 맞추어 이를 실제 기독영어교사교육에 적용한 사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협동학습은 교실을 배움의 공동체로 세우고 학습자들간의 긍정적인 상호의존과 신뢰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므로 학습자들의 공동체 역량 함양에 적합한 교육방법으로 간주된다. 영어교육에서도 학습자들의 인성 함양과 정의적인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적합한 방법으로 협동학습의 적용이 활발하게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독영어교사교육에 있어서예비영어교사들의 공동체 역량 함양과 인성 중심의 영어수업을 도모하고자 전공교과목에서 협동학습을 적용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협동학습의 원리와 특성, 협동학습에 대한 기독교적 조명, 협동학습과 영어학습간의 관계 등을 고찰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Kagan의 협동학습 원리와 구조를 활용하여 이를 기독영어교사교육 전공교과목인‘영어음성학이론과 실제’수업을 통해 구현하고자 하였다. 협동학습의 팀 구성방법, 팀 공동체 세우기 활동, 직소 협동학습, 협동학습의 개별평가 및 보상, 그리고 협동학습 적용에 대한 학생들의 피드백을 살펴보았다. 피드백 결과, 학생들은 협동학습을 통해 개인적인 책임감과 구성원들의 동등한 참여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과제 준비에도 더 성실히 임함으로써 학습과정에 능동적 으로 참여하는 기회가 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아직도 교수강의 중심의 대학수업에서 협동학습을 활용한 교육방법은 학생들의 책임감과 자기주도성을 부여하고 학습과정에서 학생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유익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본 연구 사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협동학습 활동자료들은 학습자들의 공동체 역량을 함양하고자 하는 기독교사교육자들에게 적절한 안내지침을 제공할 것이라 사료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협동학습이 전공 학업성취도나 공동체 인성함양에 얼마나 교육적 효과가 있었는지 밝히는 것도 필요하리라 본다.

      • KCI등재후보

        농협의 핵심역량과 시사점

        김한종 ( Kim Han Chong ) 농협대학교 협동조합경영연구소 2016 협동조합경영연구 Vol.45 No.-

        본고는 농협의 핵심역량을 살펴보고, 핵심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본 것이다. 농협의 핵심역량은 높은 사회적 공신력과 지역기반의 전국적 판매망과 금융망, `협동의 조직문화`, 원가경영과 공동행동으로 대변되는 협동조합의 차별화된 경영전략, 협동조합 고유의 고객관리 방식인 조합원제도와 이용고배당 등이다. 이러한 농협의 핵심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협동조합의 정체성 회복을 통한 `협동의 문화 확산`과 사회적 공신력과 네트워크 강화를 통한 사업경쟁력 제고, 지역사회 기여 강화를 통한 `국민의 농협` 실현 등이 필요하다. 최근 농업·농촌은 미래 성장산업 분야로 새롭게 조명받고 있으며, 농업·농촌을 사업기반으로 하는 농협은 이들 자원을 보다 새롭게 창조적으로 활용할 경우 농가소득 증대는 물론 농협의 또 다른 핵심역량을 발굴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NACF and examines them in order to strengthen their core competencies.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NACF include high social credibility, nationwide sales network and financial network, coope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cost management and joint action.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NACF, it is necessary to realize a “cooperative culture” through restoring the identity of the cooperative, enhance business competitiveness through strengthening social credibility and network, and strengthening the contribution of the community to the “NACF”. Recently, agriculture and rural areas are newly emerging as future growth industries. The NACF, which is based on this business, will be able to discover other core competencies when they use these resources more creatively.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역량, 협동역량,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 문제해결 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길효정(Gil, HyoJeong),유선영(Yu, Sun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역량, 협동역량,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와 문제해결역량의 매개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예비유아교사의 역량과 대학생활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 전북 지역 4곳의 유아교육과 학생 360명을 대상으로 2020년 1월 3일부터 30일까지 4주간 설문조사를 하였고 최종 168부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주요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역량, 협동역량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자기주도역량과 협동역량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역량과 대학생활 적응간의 관계에서 문제해결역량은 부분매개변수로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협동역량과 대학생활 적응 간의 관계에서 문제해결역량의 매개 효과를 살펴본 결과, 협동역량은 문제해결역량을 완전매개로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향후 유아교사양성과정의 교육과정에서 대학생활 적응 및 미래 유아교사로서 요구되는 자기주도역량, 협동역량, 문제해결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 방법과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속적으로 실행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cooperative competencie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and to examine whether the problem-solving competence would mediate the correlation between self-directed, cooperative competencie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e hundred sixty eight students major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4 universities in Gyeonggi and Jeonbuk area. Th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who has higher self-directed competence and cooperative competence has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college life adaptation. Seco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roblem-solving competence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competence and college life adaptation. Also,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roblem-solving competence tot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competence and college life adaptation. This study determined the importance of self-directed, cooperative, and problem-solving competencies for college life adapt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se competencies required as future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changes in the curriculum.

      • KCI등재

        협동학습 학습자 역량에 대한 비서학과 학생들의 중요도와 수행도 차이 분석

        김미영(Kim, Mi-Young),송연주(Song, Yeon Joo) 한국비서학회 2017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비서학과 전공수업에서 협동학습을 수행하는 학생들이 중요하게 인식하는 학습자 역량과 실제 수행하는 협동학습 역량을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B대학교 비서학과 재학생을 126명을 대상으로 학년별 협동학습 중요도와 수행도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교육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명확한 지도방안을 파악하기 위하여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4개의 협동학습 역량군인 프로젝트 관리 역량, 지식구성 역량, 협력적 과제해결 역량 및 학습지향성 역량의 중요도와 수행도에서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둘째, 프로젝트 관리 역량의 하위 역량에 대한 성별 및 학년별 비교·분석결과 과제산출물 질 관리 과제일정관리 및 팀 모임관리 역량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지식역량 군에서는 아이디어 발상, 지식표현 역량에서 성별과 학년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협력적 과제해결 역량 군에서는 갈등조정과 의사소통에서 성별과 학년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학습지향성 역량 군에서는 주도성과 과제지향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IPA 분석결과를 통해 아이디어 발상 역량, 과제지향성 역량을 개발하고 과제일정관리 역량, 자료관리 역량, 팀 모임관리 역량, 지식표현 역량 및 주도성 역량에 대한 교수자의 지도와 수업 중 피드백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 gap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learner competence of cooperative learning in Secretarial Studies students, comparing what do students think was the most important in cooperative learning competency and how students evaluate their cooperative learning competency. A total of 126 students majoring in Secretarial Studies at B university was surveyed and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was employed to examine the hypothe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four clusters of learner competence of cooperative learning, which were project management, knowledge construction, cooperative project solving, and learner centered competence. Second, in terms of gender and grade, in the project management compete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management of product, schedule, and team meeting. In knowledge construction compete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generation of idea and explanation of knowledge. Significant differences appeared in conflict control and communication of cooperative project solving competence, and in independence and task orientation of learner centered competence. Third, the results of analysis for the IPA difference showed that we needed to help students to develop students" competence of generation of idea and task orientation and to support students in managing the schedule, data and team meeting, explaining knowledge and independence. The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then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