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사랑상품권과 지역주민의 소비 행태 변화

        윤상호 한국재정학회 2023 재정학연구 Vol.16 No.2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 in consumption behavior of local resident by the local gift certificate. I utilizes a simple economic model of subsidy to identify various conditions under which the discounted sales of local gift certificate induce the substitution effect, and apply a two-way fixed-effect model that controls individual and time effects to regress the change in consumption behavior against the discounted sales of local gift certificate. In doing so, I also construct a new set of data by combining the entire purchase records of local residents of InCheon and KyungKi Provinces who either used the credit card or the local gift certificate as the methods of pay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ccording to a simple economic model of subsidy, a significant change in consumption behavior is possible only when the change in relative price between stores from the discounted sales of local gift certificate induces the substitution effect. In additio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consumption behavior is observed under which local residents chooses the small/medium-sized stores over the large store as they use the local gift certificate as the method of payment. Yet, it is also found that the expenditure volume of local residents does not change much. Such changes of consumption behavior can be interpreted as the rational response to the discounted sale of local gift certificate by the local residents. 본 연구는 지역사랑상품권이 지역주민의 소비 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간단한 소비보조금 모형을 차용해 상품권의 할인 판매가 지역주민의 소비 행태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조건을 제시하고 개체별 효과와 시간 효과를 통제하는 이원고정효과 모형을 적용해 상품권의 할인 판매에 따른 지역주빈의 소비 행태 변화를 실증 분석한다. 또한 실증분석을 위해 인천시와 경기도의 지역주민이 2018년∼2020년에 BC카드 혹은 상품권을 결제수단으로 각종 물품 및 서비스를 구매한 내역을 전수조사하고 가명화한 건별 결제 자료를각기 확보해 개인별로 결합한 자료를 구축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소비보조금 모형에 따르면 상품권의 할인 판매에 따른 업종 간 상대가격 변화가 대체효과를 유발하는 조건을 충족할 시 소상공인․자영업자의 가격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는 유의미한 지역주민의 소비 행태 변화가 나타난다. 또한 실증분석에 따르면 상품권의 할인판매에 따라 지역주민이 대형유통업과 같은 상품권 비가맹점에서 소형유통업과 같은 가맹점으로 구매처를 변화하는 등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대체 구매 행태가 관찰된다. 반면 지역주민의 결제액 규모가 상품권 결제액 증가에 비탄력적으로 반응하는 등 상품권의 소비 진작 효과가 부재하거나 미미하다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관찰된다. 상품권의 할인 판매에 따른 지역주민의 소비 행태 변화는 지역주민이 합리적인 소비 주체로서 자신의 효용을 극대화하는 소비 바구니를 선택하며 나타나는 변화로 해석할 수 있다.

      • KCI등재

        통행행태와 거주이전 관계에 관한 연구

        서종국(Jong Gook Seo)(徐鍾國)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3 Crisisonomy Vol.9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통행행태와 거주이전과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통근행태와 입지선택인 거주이전과의 관계에 관한 다양한 이론과 실증적인 선행연구를 고찰하였고 이를 통하여 가설을 설정하고 우리나라 통근자들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규명하였다. 2000년과 2005년 인구주택센서스 자료를 이용하여 거주지 변화와 통행수단 선택에 대해 이항프로빗모형을 추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거주지변화와 통근수단선택에 있어서 개인별 사회경제적 변인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하면서 각기 정(+) 또는 부(-)의 일관성 있는 관계를 나타냈다. 거주지 변화 변수와 통근수단 변수는 각기 입지패턴과 통행행태의 대체로써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영향을 주고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들이 생활하는 도시의 특성에 대한 가치를 어떻게 평가하느냐에 따라서 교통수단의 선택은 달라진다는 것이다. 또한 교통수단의 선호도에 따라서 주거입지선택의 결과도 다르게 나타날 것이고 반대의 현상도 나타날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다. 통근자들은 통행행태와 거주지 변화를 동시에 고려하면서 자기강화적인 선택을 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ting behaviors and residential relocation. Theoretical and empirical research on the leading hypothesis concern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vel behaviors and residence location choice was investigated, and set the hypothesis to test by this empirical study. Using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Data for 2000 and 2005 binomial probit model was estimated for residential changes and travel mode.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model of changes in residence and commute mode choice, individual socio-economic variabl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each positive (+) or negative (-) showed a consistent relationship. Changes in residence and commuting mode choice interact with each other as replacement variables for location pattern and travel behavior. The travel mode choice are depending on how individuals rate the vale on characteristics in the city. In addition, residence choice are depending on the preference of commuting mode. Commuters have taken into account the changes in behavior and residential choice at the same time that self- reinforcing.

      • KCI등재

        노후준비상담서비스의 행태변화 효과 및 영향요인 분석

        신규수(Shin Kyusoo) 한국노인복지학회 2018 노인복지연구 Vol.73 No.3

        이 연구는 2016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어 오고 있는 노후준비상담서비스의 행태변화 효과와 그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2017년 서비스를 받은 고객 중, 상담 6개월 이후 인터넷 설문조사에 응답한 300명에 대한 조사 결과이다. 분석 결과, 재무의 경우 66.66%, 비재무의 경우 54.67%, 종합적으로는 63.34%가 노후준비를 위한 실천이 잘 이루어졌다고 응답하여 노후준비상담서비스의 높은 행태변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계획된 행동이론에 의하면 노후준비상담서비스는 노후준비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를 통해 노후준비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하게 하고 주관적 규범 수준을 높인다. 또한 노후준비에 관한 지식수준과 안정적이고 행복한 노후의 삶을 준비하는데 있어 자신감을 높여 지각된 행동통제를 증가시킴으로써 행태변화를 유도한다. 인구사회적 요인으로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기혼의 경우 기타(이혼, 사별, 별거)의 혼인지위보다 이러한 변화 효과는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행태변화의 측정에 있어 노후준비 영역별 주관적 중요도를 반영하고 노후준비상담 과정 시 상담사와 정한 세부적 구체적인 실천 항목에 대한 실천 정도를 조사, 반영하였다는 점에서 그 객관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Old Age Preparation Service and the factors affecting it that has been enacted since 2016. The analysis is based on a survey of 300 respondents who responded to the Internet survey after six months of counseling among those who received the service in 2017.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behavioral changes are 63.34% of the total, 66.66% of the financial, and 54.67% of the non - financial. According to the planned behavior theory, It can be said that the Old age preparation counseling service enhances the attitude and the subjective norm of the preparation through the recognition rate of the necessity of the old age preparation and increases the perceived behavior control through the raising the knowledge level and confidence for the old age preparation and these induce behavioral change. As for the social demographic factors, the age and increased, the effect of these changes was higher, and for the married was higher than the other marital status (divorce, bereavement, separ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the effect of behavior change by the evaluation of specific practice items set during the counseling process which make the problem of difficulty in securing objectivity in measuring the effects of the behavioral changes of old age preparations has been overcome in part.

      • KCI등재

        일반논문 : 북한의 행태변화에 관한 연구: 이명박 정부시기를 중심으로

        안득기 ( Duk Gee Ahn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10 글로벌정치연구 Vol.3 No.2

        2008년 이후, 북한의 행태변화는 2012년 강성대국 건설과 관련한 후계체제 구축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이 본 글의 기본적인 인식이다. 중요한 점은 북한의 태도변화가 강경적인 입장에서 유화적인 입장으로 변화하건, 또는 유화적인 입장에서 강경공세로 돌아서건 간에 북한 태도변화의 기본적인 방향은 결국 자신들의 체제를 유지하고 더욱 공고히 하는데 목적이 있다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2008년 이후, 북한은 약 4번의 태도변화를 보인 것으로 분석되며, 이것은 2012년에 자신들이 목표로 한 강성대국으로의 진입과 무관하지 않다. 북한은 그동안 벼랑끝외교행태, 과다한 요구의 반복 및 협상주도권, 대안의 확보와 협상칩의 활용, 강한 집착력과 내적 응집력 등의 협상형태를 보여 왔다. 북한은 미북, 남북관계가 동시에 개선되는 경우에만 그들의 실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향후에도 북한은 자신이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한 다양한 수단을 개발할 것이며, 이를 얻기 위한 과도한 요구를 제시하고 이를 계속 반복해서 주장하는 등, 자신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전개되도록 하는 치밀한 행태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 또한 북한은 협상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일관 되게 자신의 입장을 견지하고 요구사항에 대한 강한 집중력과 집착력을 과시할 것이다. This research is mainly about the North Korea`s behavior changes, since 2008. It is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the successor system of North Korea. It is not a important thing that North Korea`s attitude has been changed or not, but the logic which is that North Korea was dependent on its allies for economic survival and military action. North Korea, by following the path of Sino-dependence muddling through, looks like to overcome the dilemma created by the complexity of relationship between a regime survival and an economic reform and openness. However, it stands to reason that the contingency of drastic changes always remains there.

      • KCI등재

        국내은행의 대출여건변화가 중소기업의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지용 한국산업경제학회 2009 산업경제연구 Vol.22 No.6

        본 연구는 경기 및 금융기관의 내부 건전성 수준에 기인한 대출행태변화와 동 변화가 중소기업의 규모별, 업종별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속벡터오차수정모형(Rolling VECM) 및 패널분석을 통해 분석했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은행들은 경기 및 부실여신의 변화에 따라 중소기업 대출규모를 조정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즉, 경기확장 및 은행의 건전성이 양호한 상황에서 주로 대출규모를 늘리고, 반면에 경기수축 및 건전성 하락상황에서는 대출규모를 오히려 줄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은행의 대출행태변화가 중소기업의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규모 기업들보다는 상대적으로 종업원수가 적은 소규모 중소제조업체의 수익성 및 유동성이 해당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반응을 보였다. 그리고, 중화학 부문의 기업들의 단기 유동성이 경공업 부분의 기업들보다 은행대출행태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analyzes on effect to financial performance of small & medium enterprises(SMEs) from the change of financing condition in Korean banks as the condition of economy and the financial soundness of banks is unstable by using the Rolling-Vector Error Correction Model(VECM) and panel analysis. The result is that Korean banks adjust the size of loan to SMEs as the condition of economy and the financial soundness of banks is changed. In other words, the banks increase or decrease the size of loan if the condition of economy and the financial soundness is getting better or getting worse. On the one hand, regarding the analysis on the effect to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SMEs from the change of financing behavior in Korean banks, the profitability and the liquidity of small scale companies, the small number of employees, respond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o it. Furthermore, the cash-flow on the short-term basis of the companies in the heavy chemical industry is more affected significantly than those of in the light industry from the change of financing behavior in Korean banks.

      • KCI등재
      • KCI등재

        제주 지역주민의 전통음식에 대한 인식과 외식 행태 변화

        조문수 ( Moon So Cho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5 탐라문화 Vol.0 No.48

        이 연구는 제주 지역주민의 전통음식에 대한 인식과 외식 행태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2001년과 2013년 제주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동일한 설문지로 실시한 2차례의 설문조사한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제주 지역주민들은 ‘흑돼지요리’와 ‘생선회’를 선호하며, 자주 먹는 음식은 ‘조림’과 ‘구이 종류’이다. 그리고 ‘흑돼지’와 ‘말고기 요리’를 발전가능한 음식으로 추천하였다. 2001년 조사와 비교할 때 2013년 조사에서는 ‘외식 횟수’와 ‘외식 비용’이 증가하였으며, ‘필요하다면 제주전통음식을 개발하는 것이 좋다’는 방향으로 인식이 변화하고 있다.‘ 갈치국’이나 ‘전복죽’의 경우 한국에서 일반화된 음식으로 변화하면서 제주전통음식으로서의 위상이 변화하고 있다. 제주전통음식이 지역주민과 관광객에게 호응받기 위해서는 전통음식에 대한 가치를 함양하고, 식재료의 보전을 위한 자료의 목록화와 실천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그리고 전통성이 부각되는 음식은 보전하고, 변화하는 입맛과 트랜드에 맞는 제주전통음식에 대한 재해석이 필요하다. 기후변화에 따른 제주지역 토종 식생의 분포와 변화 과정을 체계적으로 추적 조사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The study aims to comprehend the changes in Jeju local residents` awareness for traditional food and dine-out patterns. Two surveys in 2001 and 2013 with Jeju local residents have been analysed for the comparisons. Jeju local residents favor black pork and raw fish, and hard-boiled or roasted types are usual ways of having them. Jeju local residents recommend black pork and horse meat for the possible development. The number and budget for dine-out in 2013 has increased against the year 2001, and their perception has changed to ``If needed, developing Jeju traditional food should be considered``. The hairtail fish soup and abalone soup of Jeju now are being recognized as general Korean cuisine and are less valued as Jeju traditional food. The value of traditional food should be fostered, and ingredient data base and its road map are essential for successful appealing for both locals and visitors. The food with emerging traditionality should be conserved while a reinterpretation of Jeju traditional food with changing tastes and trends is needed. An immediate establishment of monitoring system for Jeju vegetation distributions according to climate change is needed.

      • KCI등재

        정보통신기술 발전에 따른 상업용 부동산의 이용행태 변화와 기계학습을 활용한 지역별 미래전망 연구

        최진도,장요한,이태리 국토연구원 2022 국토연구 Vol.114 No.-

        정보통신과학기술 발전의 영향에 따른 사회·경제 전반의 여건변화는 도시 생활공간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는 주거뿐만 아니라 상업용 부동산 시장에 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인터넷시장의 활성화, 소비 트렌드의 변화 등으로 상업용 시장은 도시의 공간변화와 더불어 큰 변화를 맞이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다시 사회·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적 환경변화가 상업용 부동산 수요와 이용행태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향후 상업용 부동산 수요 및 변화를 전국 및 지역별로 전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도시공간의 변화와 함께 상업용 부동산 시장의 수요와 행태도 지역별로 차별화되고 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제1, 2종 근린생활시설의 경우, 강원, 충북, 제주 등의 지역에서 거래 감소가 전망되었으며, 판매시설의 경우, 수도권을 중심으로 거래 증가가 전망되었고, 업무시설은 경상권, 대전, 세종, 울산지역에서 거래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본 연구는 상업용 부동산의 향후 지역별 거래 전망을 통해 신도시 계획 및 도시 내 상업용 부동산 공급계획에 적정 상업용 부동산 비율과 수요에 따른 적정공급량을 산출할 수 있는 정책적 참고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Advanc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timulates several changes in our lives, including social economics and living environments. Especially in urban areas, those changes stretch to commercial properties such as the emerging needs of e-commerce and spending behaviors of customers. Now, our commercial properties face several big movements which may affect our ecosystems in social economics in several ways.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such ecosystems operate in diverse fashions and to present how our ecosystems would be changed in the near future with jurisdictional level. This study found several significant clues that the future demands of commercial properties may differ and vary across jurisdictions with changes in urban spatial. To be specific, our results found that the demand forecasting of the facility groups for the first- and second-category will have negative trends across Gangwon-si, Choong-chung-do, and Jeju-si in the near future. Also, sales facilities show positive trends in the central business district (CBD) area and similar trends can be found for office facilities in Daejeon-si, Sejong-si, and Ulsan-si. This study expects that the developed framework in this study can play a meaningful role as a policy decision supporting tool since estimated demands in commercial properties can prove useful in urban planning, such as in identifying the appropriate supply that meets certain demands.

      • KCI등재후보

        코로나19 전후 서울시민 여가활동 변화의 집단별 차이 - 청년층(20대)과 노인층(60대 이상)의 여가활동 변화 비교 -

        백선혜,이정현 서울연구원 2022 서울도시연구 Vol.23 No.4

        2020년 이후 코로나19 팬데믹은 서울시민의 여가활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변화 중 일부는 뉴노멀 사회에도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코로나19에 따른 여가활동 변화는 사회계층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여가정책 수립 과정에서 이와 같은 차이를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의 목표는 코로나19 이후 서울시민의 여가행태가 어떻게 변화하였고, 집단별로는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분석함으로써 뉴노멀 시대 서울시 여가정책의 방향에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여가활동 행태 및 여가인식을 중심으로 청년층과 노인층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코로나19 이후 서울시민의 개인적, 소극적 여가활동이 증가한 반면 여가생활의 질은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가활동과 인식 변화 전반에 걸쳐 청년층은 보다 적극적이고 새로운 활동을 시도한 반면 노인층은 수동적으로 대응하였음이 확인되었다. 향후 더욱 다양한 계층별 여가행태 변화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며, 공공 차원에서는 다양한 계층의 욕구를 반영한 맞춤형 정책 수립이 요구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