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한국 공직문화의 원형: 자리문화

        윤견수 ( Gyun Soo Yoon ) 한국행정학회 2015 韓國行政學報 Vol.49 No.4

        행정문화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행정에 대한 개념 정의 없이 행정문화를 연구했기 때문에 행정문화를 행정부의 문화로만 이해했다. 그리고 문화라는 개념을 주로 처방과 변화를 염두에 둔 조작 가능한 변수로 취급했기 때문에 행정문화가 갖고 있는 맥락적이고 역사적 특징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 이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이해와 해석의 관점에서 한국 행정문화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가 강조하는 내용은 크게4가지다. 첫째, 한국의 행정은 ‘공직체계’에 그 뿌리를 두고 있기 때문에, 한국의 행정문화에 대한 이해는 공직문화에 대한 이해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둘째, 공직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문화의 심층과 표층을 연결하는 상징과 은유를 해석해야 하는데, 한국에서 공직을 표현하는 대표적인 은유와 상징은 ‘자리’라는 개념이었다. 즉, 공직문화는 자리를 중심으로 형성된 문화인 것이다. 셋째, 자리는 상속이 가능한 재산으로 여겨지기도 하고, 선물로 해석되어 답례품이나 전리품으로 사용하기도 하고, 다른 사람들 간의 상대적 권력이나 서열을 의미하기도 하는데, 이 모든 현상의 근저에는 자리에 대한 경쟁이 자리잡고 있었다. 넷째, 자리문화는 한국의 행정문화를 구성하는 많은 항목들, 예컨대 서열과 권위주의, 명분과 형식주의, 정실과 연고주의, 파벌과 가족주의 등의 문화적 현상을 일목요연하게 설명하는 해석의 틀을 제시한다. 자리문화는 자신의 자리와 다른 자리들 간의 상대적 비교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더 좋은 자리로 이동하면서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해 나가는 삶의 방식과 연관된 문화다. 공직자의 태도와 가치관 및 행태 등은 이와 같은 자리문화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Previous studies on administrative culture have focused more on administrative organization rather than on the administration itself, and scholars have tended to favor survey methods, which deal with culture as an independent or dependent variable. The administrative culture can be seen as a manipulative variable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organization. This study breaks out of what those studies assume and takes an interpretive position to understand Korean administrative culture. Administrative culture is heavily rooted in characters and elements of the administration. There are four conclusions drawn from this study. First, administrative culture in Korea has its roots in and around the meaning of a “bureaucratic position” or a “public duty.” Second, a Korean word, “jari,” which literally means a place or a seat where one can usually sit or stand, is used figuratively to symbolize bureaucratic position and status. Third, the meaning of jari is not unified: it can be used as an inherited property, a gift in return for loyalty, a rank and a pecking order, or sometimes as a professional career or an occupation. Jari competition is a nerve-racking task incorporating all the other meanings. Last, jari culture encompasses administrative cultures of Korea such as rankism, authoritarianism, paternalism, familial and factional ties, nepotism, formalism, and more. Jari culture defines a way of life and the value of bureaucratic officials who want to identify or construct their self-image by comparing the relative value of their seats.

      • KCI등재

        가치적인 행정문화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윤은기 한국국정관리학회 2016 현대사회와 행정 Vol.26 No.4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행정학 60년의 기간 동안 한국 행정문화의 기존연구들의 검토와 행정문 화변동의 요인들의 논의와 함께 행정문화와 제도의 상호관계에서 가치적인 행정문화의 발전방 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1960년대 중반 이후부터 시작된 한국 행정문화에 관한 연구의 경향과 내용들은 (1) 유교식 행정문화의 병리적 형태와 긍정적 해석의 연구, (2) 근대화론에 근거한 행정문화의 변화방향을 분석한 연구, (3) 한국행정문화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들이 포함될 수있다. 이와 같이, 국내외 선행연구들에서 가치와 사실을 구분해서 가치를 배제한 행태주의적 연구를 통해 행정문화를 분석하고 있지만, 후기행태주의의 접근법에 근거해서 행정문화와 제도의 상호성과 연관성의 연구가 요구된다. 다원주의, 사회 조합주의, 국가 조합주의의 시스템들에서 저마다 다른 행정문화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는데, 행정문화의 연구는 가치와 사실의 이분법적인 행태주의 방법론에 의해 설명될 수 없고 가치주의 접근법이 필요하다. 또한, 행정문화의 분석에서 구조주의 분석(structural analysis)과 기능주의 분석(functional analysis)을 통한 행정 문화의 형성과 변동을 설명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행정문화의 연구에서 일반문화나 기업문화와 다른 속성의 행정문화에는 가치주의(valueism)가 포함되어야 한다. 행정에서 가치를 배제하는 것은 국가 정책의 공익성을 배제하는 것이다. 행정문화에서의 가치의 구현은 행정행태론 (administrative behavioralism)의 비판과 함께 규범성, 윤리성, 고객중심의 행정, 사회형평의 실현 등이다. 사실(fact)과 가치(value)연구가 포함되는 행정문화 분석의 방법으로 의무론적 접근법(deontological approach), 목적론적 접근법(teleological approach), 정신적 접근법 (spiritual approach)의 세 가지 접근 방식이 전체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는 점을 연구하였다.

      • KCI등재

        기초자치단체 행정역량 강화를 위한 행정문화 혁신에 관한 연구

        이환범(Hwan-Beom Lee) 한국정책과학학회 2008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2 No.1

        본 연구에서는 그간 통합적 시각에 초점을 두고 연구되어 왔던 행정조직문화의 연구 틀에서 벗어나서, 조직 내에는 고유의 특성을 지닌 다수의 하위문화가 존재한다는 분화적 시각에 역점을 두고 기초자치단체 행정역량 강화를 위한 행정문화 혁신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행정조직 문화유형을 그간 많은 학자들이 활용했던 합리문화, 집단문화, 위계문화, 발전문화로 구분하고, 분화적 조직문화 시각차원에서 행정조직의 하위조직으로는 업무특성별 기관분류를 토대로 정책기획부서, 사업집행부서, 그리고 지원부서로 분류하고자 한다. 행정조직문화에 대한 분화적 시각을 토대로 기초자치단체 하위조직별 행정문화 유형을 평가한 결과, 정책기획부서의 경우에는 합리문화 수준, 사업집행부서의 경우에는 위계문화 수준이, 그리고 지원부서의 경우에는 합리문화 수준이 다른 문화유형에 비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하위조직별 문화유형이 행정역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확인한 결과, 정책기획부서와 사업집행부서의 경우에는 발전문화가, 그리고 지원부서의 경우에는 집단문화가 다른 조직문화 유형에 비해 행정역량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그 동안 행정조직문화에 대한 통합적 시각에 초점을 둔 선행연구의 한계를 보완하는 실천적 노력이 될 뿐 아니라, 기초자치단체의 행정역량 강화를 위한 방안을 분화적 조직문화론 시각에 역점을 두고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administrative ability. Particularly this study focuses on the differentiation perspective among three perspectives for analyzing organizational culture. Based on the differentiation perspective, this study divides into four subculture types: rational culture, group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and developmental culture. This study also separates public organization into three department types: policy department, implementation department, and support department. As a result, this study shows that each of the culture levels differently represented in three departments: rational culture level is high in policy and support department. Hierarchical culture level is high in implementation department. This implies that the differentiation perspective provides considerable insight into the complexities of organizational culture. In addition, significant cultures for reinforcement of public organization's administrative ability reveal rational culture, group culture, and developmental culture. Specifically the administrative abilities of policy and implementation departments are strongly influenced by developmental culture, the administrative abilities of support department is strongly influenced by group culture. But the hierarchical culture doesn't have an effect on the public organization's administrative ability. The finding from this research indicates that to improve the public organization's administrative ability, local governments should try to find a solution to change each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s of the three departments based on the differentiation perspective.

      • KCI등재

        文化行政法과 행위형식으로서의 行政契約

        강수경(Kang Su-kyoung) 한국법학회 2008 법학연구 Vol.32 No.-

        문화행정은 문화의 진흥과 보급이라는 대상영역에 대하여 문화예술단체등에 대한 支援行政. 문화시설의 설치·관리행정을 중심으로 한다. 문화예술단체에 대한 지원행정의 중심은 助成金 交付이고, 문화시설의 설치·관리의 중심은 문화시설을 문화예술단체를 시작으로 하는 국민의 이용에 제공하는 것인데 이는 원칙적 행정상 계약의 성격을 가진다. 즉 문화예술단체에의 助成金 交付 등은 資金交付契約으로 나타난다. 문화시설의 국민에의 공여는 문화시설이용계약으로 나타나는데, 이와 같은 문화시설은 공공시설로 이의 이용에 대하여는 公平性, 平等性의 원칙을 기초로 한다. 그러나 공공시설도 특정 개인이나 단체에게 長期問·獨占的으로 이용하게 하여야 할 경우가 있을 수 있어, 특히 문화진흥회관 등 문화시설에 대하여는 문화예술 활동의 성격상 특정 문화예술단체 등에 장기·독점적으로 이용하게 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나아가 일본의 경우 지방자치단체가 지정한 법인 외 指定管理者에게 공공시설의 관리를 맡길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정관리자에 의한 관리는 지방공공단체의 주민에 대한 使用許可權을 포함한 관리위임계약으로서 체결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자금교부계약, 문화시설이용계약은 급부행정으로 일정 기간 계속하는 계속적 관계로서 성립하는 것이다. The cultural administration or the cultural policy is the synthetic administration. There are the regulation administration and the provision administration in the cultural administration. The cultual has the independence and the creation. Because of the independence and the creation in the cultural, the cultural administrative law or the cultural administration is adequate with the administrative contract in the provision administration.

      • KCI등재

        행정기본법에 의한 행정법의 일반원칙 成文化 쟁점 검토

        정연부(Youn Boo Joung) 한국국가법학회 2023 국가법연구 Vol.19 No.2

        행정기본법이 제정되기 전 행정법은 不文法源인 일반원칙이 이론과 판례에 의해 보완되며 발전되는 순환체계를 취하고 있었다. 이러한 체계에서 행정법의 일반원칙은 일반행정법 영역에서 중심적인 法源으로서 광범위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러한 不文法源인 행정법의 일반원칙의 일부가 행정기본법의 제정으로 成文化되었다. 不文法源으로 확립된 행정법의 일반원칙이 成文化된 예는 역사적으로 존재하여 왔다. 그러나 종래 행정법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던 不文法源인 행정법의 일반원칙이 기본법의 형식을 취하는 행정기본법을 통해 成文化되었다는 점에서 成文化의 의미가 이전과는 다르다. 이러한 점에서 행정기본법에 의한 행정법의 일반원칙 成文化로 인한 쟁점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는 실질적 관점에서 종래 一般法源 역할을 하던 不文法源과 새롭게 제정된 기본법으로 명명된 成文法源의 적용 및 효력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무엇보다도, 일선 실무에서는 행정기본법의 成文化된 조항만을 法源으로 인식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法源의 변화에 따른 不文法源의 의의-不文法源으로서의 지위·기능 등을 중심으로- 재점검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시론적 연구로서 행정기본법에 의한 행정법의 일반원칙 成文化 쟁점을 다양한 측면에서 단계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개별 사안에 成文法源인 행정기본법과 不文法源인 행정법의 일반원칙을 운용함에 있어, 그 유기적 활용에 필요한 법리적 점검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먼저 행정기본법에 의한 행정법의 成文化 쟁점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기본법 형식을 통한 成文化 의의가 기본법과 일반법 중 어느 형태의 의의를 지니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행정기본법의 내용에 따른 행정법의 成文化 유형과 의의를 살펴보았다. 이어서 不文法源인 행정법의 일반원칙 成文化의 쟁점을 분석하였다. 세부적으로는 우선 不文法源으로서 행정법의 일반원칙의 의의를 확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행정법의 일반원칙과 成文法源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는 종래 논의의 모호한 논지를 명확하게 해석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특히, 양자의 관계를 구성하는 요소를 法源의 존재, 法源의 성립, 法源의 적용, 法源의 효력 등으로 세분하여 종합적인 재해석을 시도하였다. 끝으로 선행된 연구를 기반으로 행정법의 일반원칙의 成文化 쟁점, 특히 不文法源으로서의 지위·기능 등을 도출하면서, 현실적·기능적 관점에서 法源으로서 적극적 개입의 타당성 및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Before the enactment of the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administrative law had a circular system. The general principles as an unwritten source of administrative law have played a wide role as a central source of law in that system. The general principles have recently been codified with the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enacted. There were already some examples that the general principles as an unwritten source of administrative law were codified. However, the meaning of this codification is different from the past in that the general principles of administrative law, which were a large part of the existing administrative law, have been changed into a written source of law by the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which takes the form of general law.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codifying the general principles of administrative law by enacting the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ignificance from various aspects. First, it analyzes the significance of codifying an unwritten source of administrative law by the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Subsequently, the significance of codifying the general principles of administrative law is analyzed. The significance derived from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the complementary operation of the general principles as an unwritten source of administrative law and the general principles under the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In addition, despite the fact that some general principles of the administrative law have been codified by the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the general principles as an unwritten source of the administrative law are still expected to be actively operated as laws.

      • KCI등재

        조직문화가 공무원의 적극행정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직공정성의 매개효과

        전설희 ( Jeon Seol-hee ),장재성 ( Jang Jae-seong ) 단국대학교 융합사회연구소 2023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17 No.1

        본 연구는 중앙행정기관 소속 국가공무원 247명을 대상으로 조직문화가 조직공정성을 매개하여 적극행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조직 간 문화 차이를 Cameron & Quinn(1999)의 경쟁가치모형을 토대로 집단문화, 위계문화, 발전문화, 합리문화로 분류하여 조직문화, 조직공정성, 적극행정 세 변수의 관계를 위계적 회귀분석 방법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합리문화, 발전문화는 적극행정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공정성은 적극행정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조직공정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합리문화와 적극행정의 관계에서는 부분매개 효과를, 집단문화와 적극행정의 관계에서는 완전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통제변수와 관련하여 연령이 높을수록 적극행정 인식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중앙행정기관 본부보다 소속기관에 근무하는 공무원의 적극행정 인식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조직문화와 조직공정성, 적극행정의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가 부족한 실정에서 이들 변수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연령, 기관 특성 등이 적극행정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여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와 더불어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외부지향적 문화의 강화와 조직공정성 개선을 위한 내부홍보 및 교육 등의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active administration by mediating organizational fairness, targeting 247 state public officials. Organizational culture classifies into hierarchical culture, collective culture, rational culture, and development culture based on the competitive value model of Cameron & Quinn (1999), and hierarchical reg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rational culture, and development culture,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ctive administration. Second, organizational fairness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ctive administration. Third, as a result of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fairness, a partial mediating effect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ational culture and active administration, an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ctive culture and active administration. Among the control variables, age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significantly impact on active administra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literature in that it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variables of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fairness, and active administration. Future research direction was also discussed. In addition, based on empirical evidences, policy alternatives such as internal public relations and education were presented to strengthen external-oriented culture and organizational fairness.

      • KCI등재

        문화행정조직의 역사적 변화과정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1공화국부터 이명박 정부까지를 대상으로 -

        주효진,장봉진 한국자치행정학회 2016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0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문화행정조직이 제1공화국 때부터 이명박 정부에 이르기까지 어떠한 변화과정을 통해 문화정책을 구현해오고 있는가를 살펴보고 “문화융성”을 위해서 문화행정조직에서 우선적으로 강화해야하는 부분에 대해 탐색적으로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우리나라의 문화행정조직의 발전과정을 해방이후부터(제1공화국) 이명박 정부까지 문화행정조직별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문화행정과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과 계층화분석(AHP)을 통해서 현재 문화행정조직의 문제점 및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문화행정조직의 발전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정부별 문화행정 조직의 변화과정을 살펴보면 문화환경 및 수요자 요구 중심으로 조직일 발전해온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심층면접 결과 크게 6개의 문제점 및 하위에 20개의 세부 강화방안이 도출되었다. 셋째, 심층면접 결과를 계층화하여 AHP 분석을 한 결과 문화예술 교육 및 복지 서비스 확대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행정 수요를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강화되어야 할 부분들에 대해 다음과 제시하였다. 첫째, 문화와 관련한 교육 및 복지 서비스의 확대, 둘째, 관광산업의 역량강화, 셋째, 산업의 통합 추진 및 시너지 효과 창출 기능 강화이다. This study reviews organizational changes of Korea cultural administration form the 1st republic to the Lee, Myung-Bak regime with reference to the transformation of cultural policy. It also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administration for “cultural enrichment”. Through the implications of the cultural administration’s historical change there was a depth interviews and AHP analysis to cultural administration experts. The analysis shows that the cultural administration changed by peoples demand and cultural environment. And the result of the depth interview shows that there are six majors problems and 20 sub issues for developing the cultural enrichment and the most important issues was enlargement the services of education and welfare in culture and arts. Therefore to develop the cultural administration they must focus more at education and welfare services, tourism industry and industry combines.

      • KCI등재

        다문화 시대의 행정법제의 역할과 기본원리

        강지은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2019 행정법연구 Vol.- No.58

        The context of multicultural times is linked to the fundamental notions such as politics, administration, economy, society, culture, law and human rights. The reasons for multiculturalism are not only based on employment or marriage, but also are being diversified by the recognition of refugee status in connection with the current political situations of the world. Existing discussions and studies on multiculturalism have mainly focused on sociological approaches in terms of policy. In the field of law, the research has focused on individual laws and legislations such as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Refugee Law and Immigration Control Law. This is because the scope of multiculturalism itself is vast and the details of the subjects are diverse.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gislations are more complex than general theories. Most of all the concept of multiculturalism has emphasized as a kind of party line. So the normative definition of actual phenomena and the structure of legal system were not organically arranged. As the administrative demands of people vary, it is not easy to define the legal concept and measures for multicultural situations. Beyond the limited target and policy objectives of government-centered support for families, it is now required to establish a legal framework and set up administrative principles for multiculturalism problems. The ​police administration should establish legal stability in connection with rule of law and sovereignty, the welfare administration should ensure a balanced operation between discretion of administration and equality. It should also define the means to secure its effectiveness with constitutional values.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view and organically manage the content and specificity of individual laws about multiculturalism from the angles of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administrative actions and administrative remedies. 다문화의 시대적 상황은 정치, 행정, 경제, 사회, 문화, 법과 인권 등의 기본권 관념과도 모두 연결된다. 다문화사회의 원인은 취업이나 결혼을 이유로 한 이민만이 아니라, 오늘날의 세계정세의 흐름과도 연결되어 난민 문제 등으로 다변화되고 있다. 다문화에 관한 기존의 논의와 연구는 정책이나 제도적인 측면에서 사회학적 접근이 주를 이루었고, 법학 분야에서는 다문화가족지원법, 난민법, 출입국관리법 등 개별 법률이나 제도에 관한 연구가 중심이 되었다. 이는 다문화라는 용어 자체의 범주가 광대하여 대상 영역이 다양하고, 관련 법제의 특징이 총론보다는 세부적인 각론의 성격이 강하기 때문이다. 또한, 다문화 관념이 일종의 정치적 노선이나 정책적 방향으로 강조되며 당면한 행정 현실에 대응이 급급하여 실제 현상에 대한 규범적 정의가 미흡하였고, 법제의 체계가 긴밀하고 밀도 있게 정비되지 않았던 까닭이다. 국민의 행정수요가 상황별로 천차만별이듯이, 다문화 상황에 대한 대응과 필요책 등을 일의적으로 정의하고 규정하기는 쉽지 않다. 그럴수록 행정 주도의 ‘가족에 대한 지원’이라는 다소 한정적인 대상자 범주와 정책 목적에서 벗어나, 유동적인 다문화사회 현상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장기적이고 거시적인 안목으로 공동체 전체의 합의와 조화를 이루기 위해 법규범과 행정 원리의 총론적 틀을 구축하여야 한다. 다문화관련 법률 가운데 질서행정영역은 법적 안정성의 확보 및 법치주의와 주권의 관계를 설정하여야 하고, 급부행정영역은 행정의 재량과 법 적용의 평등 사이의 균형 잡힌 운용이 담보되어야 한다. 헌법적 가치를 산재한 개별 법률에 담아 이를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그 실효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단을 규정하되, 각 영역의 내용과 특수성을 파악하여 행정조직, 행정작용, 행정구제의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조망하여 법제를 개선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과학기술 공공연구조직(출연연)의 연구행정문화 개념화: 임무 내 책임 문화와 위계 및 체계 문화

        황광선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2023 국정관리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과학기술 분야 공공연구조직(출연연구기관)의 연구행정 문화를 “임무 내 책임 문화”와 “위계 및 체계 문화”로 개념화하였다. 임무 내 책임 문화는 수동 문화, 방어 행정, 현상유지 문화, 규정 지킴 문화 등으로도 다르게 명명하여 이해할 수도 있다. 출연연 연구행정 문화의 주요 이슈로 업무 분담 문제(행정에서 연구자를 어느 선까지 도와주느냐의 문제(연구-행정) 와 행정 내 업무 영역 구분 문제(행정-행정)), 세대 간 갈등 문제, 연구자 신뢰 문제(연구자에대한 신뢰에 따른 연구자 통제 관리 문제)를 짚어 보았다. 연구행정 문화는 적극적인 모습으로의 진화의 가능성 혹은 연구지원 중심으로의 변화에 대해 출연연 종사자들은 대체로 긍정성을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적극적 형태의 연구행정 문화의 가능성과 관련하여 기관운영과연구지원행정이 균형을 이루어 나가는 것이 대체적인 현장의 시각이다. 연구몰입을 돕는 연구행정을 지향하는 문화는 “연구자의 성과를 향한 행정 문화”로 정리해 볼 수 있었다. This study conceptualized the research administration culture of public research organizations (funded research institute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as “responsibility culture within mission” and “hierarchy and system culture.” The responsibility culture within the mission can be understood by different names such as passive culture, defensive administration, status quo culture, and rule-abiding culture. The main issues in the research administration culture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include the division of work (the extent to which the administration helps researchers (research-administration) and the division of work areas within the administration (administration-administration)), conflict between generations, and trust in researchers. (Issues of researcher control and management based on trust in the researcher) were addressed. It is believed that government-funded researchers are generally positive about the possibility of the research administration culture evolving into a more active form or a change to focus on research support. Regarding the possibility of an active research administration culture, the general view in the field is that institutional management and research support administration should be balanced. The culture that aims for research administration that helps people focus on research could be summarized as “administrative culture that aims for researchers’ performance.”

      • KCI등재후보

        직무특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 있어서 행정조직문화의 조절효과 분석 : 경상북도 시․군을 중심으로

        이수창,이환범 대한지방자치학회 2008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직무특성과 조직몰입 간에 행정조직문화의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기능 다양성, 과업 정체성, 과업 중요성, 자율성, 환류를 정부조직의 직무특성으로 분류하였으며, 조직몰입은 정서적 몰입, 지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을 측정변수로 활용하였다. 그리고 행정조직문화는 위계문화, 집단문화, 합리문화, 그리고 발전문화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부조직의 직무특성과 조직몰입 간에 행정조직문화의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행정조직문화가 정부조직의 직무특성과 공무원의 조직몰입 간에 조절변수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조직문화 유형 중에서 위계문화는 직무특성과 상호작용 시 조직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합리문화, 집단문화, 발전문화는 긍정적인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발전문화는 다른 행정조직문화 유형에 비해 조절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직무특성 중에서 자율성은 모든 본 연구는 직무특성과 조직몰입 간에 행정조직문화의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기능 다양성, 과업 정체성, 과업 중요성, 자율성, 환류를 정부조직의 직무특성으로 분류하였으며, 조직몰입은 정서적 몰입, 지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을 측정 변수로 활용하였다. 그리고 행정조직문화는 위계문화, 집단문화, 합리문화, 그리고 발전문화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부조직의 직무특성과 조직몰입 간에 행정조직문화의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행정조직문화가 정부조직의 직무특성과 공무원의 조직몰입 간에 조절변수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조직문화 유형 중에서 위계문화는 직무특성과 상호작용 시 조직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합리문화, 집단문화, 발전문화는 긍정적인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발전문화는 다른 행정조직문화 유형에 비해 조절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직무특성 중에서 자율성은 모든 행정조직 문화와 상호작용하여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administ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mploys a survey questionnaire to evaluate administ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 40-item survey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2300 public employees in Gyeongbuk province. The research data are analyzed using three statistical method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oderating regression analysi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administ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plays a role as moderating variable influen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ational culture, group culture, and developmental culture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ierarchical culture, however, has a nega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