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확장된 계획행동이론(TPB)을 활용한 커피전문점 행동의도 연구

        조원섭 ( Won Seb Cho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4 觀光硏究 Vol.28 No.6

        계획행동이론은 행동의도를 설명하는 우수한 이론으로 주목 받고 있으나 낮은 설명력은 지속적으로 지적 받아와 다양한 분야의 실증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커피전문점 고객으로부터 획득한 354부의 설문을 이용하여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사전지식 그리고 지각된 위험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이론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태도는 행동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규범은 행동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각된 행동통제와 사전지식도 행동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각된 위험은 행동의도의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의 설명력은 58.1%(태도->행동의도), 65.5%(주관적 규범->행동의도), 66.7%(지각된 행동통제->행동의도), 58.9%(사전지식->행동의도), 57.4%(지각된 위험->행동의도)등으로 도출되어 그 동안 낮은 설명력으로 지적 받아 왔던 계획행동이론의 설명력이 강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커피전문점의 마케팅에 있어서 사전지식과 지각된 위험을 추가한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was aimed at inquiring into the effect of attitude,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prior knowledge and perceived risk on behavior intention of guest of coffee shop by carrying out an empirical survey on 354 peoples in Korea. Analysis showed that attitude has a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on the behavior intention, subjective norm has a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on the behavior intention,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has a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on the behavior intention, prior knowledge has a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on the behavior intention, perceived risk has a negetively significant effect on the behavior intention. Also explanation power of relationship show that 58.1%(attitude → behavior intention), 65.5%(subjective norm → behavior intention), 66.7%(perceived behavioral control → behavior intention), 58.9%(prior knowledge → behavior intention) and 57.4%(perceived risk → behavior intention) The consequences of this research is presented as follows: theory of extended planned behavior was important factor on marketing in coffee shop.

      •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이 주얼리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소라(Kim, So Ra),김귀옥(Kim, Gwi Ok),배채수(Bae, Chai Soo) 한국공공정책학회 2020 공공정책연구 Vol.2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주얼리 구매에 적용시켜 주얼리 구매 소비자들은 어떠한 의사결정과정을 통해서 구매하는지 실증적 검증을 실시하여 파악함으로써 주얼리 산업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근거자료를 생산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주얼리 산업이 확대되고 있는 현 상황을 반영해 주얼리 소비자들의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 통제감, 사전지식 그리고 구매의도간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4개의 독립변수가 주얼리 소비자들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지를 파악하고자 계획행동이론을 확장 및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을 위해 명확한 내용타당성을 확보하고자 경기도 권에 거주하는 20대 이상 주얼리 소비자 180명을 조사 대상으로 169부를 유효 표본으로 선정해 본 연구에 활용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한 분석방법으로 IBM SPSS Statistics 24를 사용해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영향관계에 대한 가설검증을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도는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관적 규범은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행동 통제감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전지식은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도가 구매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그 다음으로는 사전지식, 주관적 규범순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통하여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해보면 확장된 계획행동 이론은 구매의도에 부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의 태도요인은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주얼리 구매의도에 관한 영향 관계는 구매의도에 대한 개인의 태도와 의지가 중요하다는 결과이다. 둘째, 주관적 규범이 주얼리 구매의도에 대한 영향 관계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준거인인 가족, 친구, 회사 동료 등 주변 사람들을 의식하여 구매하는 의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지각된 행동 통제감은 주얼리 구매의도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지각된 행동 통제감이 본인의 구매의지와 경제력만으로 구매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주얼리 구매자들의 인식전환을 위해 목표이익을 낮추거나 인지도를 높이며 자연스럽게 접하게 한다면 긍정적인 인식전환에 도움을 줄 것이라 사료된다. 넷째, 사전지식이라는 변수를 추가하여 주얼리 구매 시 정확하고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며 접근한다면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점진적인 확대를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확장된 계획행동이론과 주얼리 소비자의 구매의도를 설명하는 주요지표로 설정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주얼리 시장의 성장에 비하여 구매의도와 행동을 예측한 연구가 저조하기에 앞으로 보다 많은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며, 다양한 확장요인을 추가하여 연구할 노력이 필요하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duce supporting data tha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by empirically identifying what kind of decision-making processes jewelry consumers went through by applying the expa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jewelry purchas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s among attitude, subjective norms, perceived behavior control, prior knowledge, and purchase intention by reflecting that the jewelry industry had been expanding. This study analyzed by expanding and apply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se four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jewelry consumers. This study handed out questionnaires to 180 subjects who were 20 years or older to secure content validity for empirical analyses. This study selected 169 copies as valid samples and used these copies for this study. This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to test the hypothesis and carried out regression analysis for testing the hypothesis about the influence relationship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ttitude positively affected purchase intention. Second, subjective norm positively influenced purchase intention. Third, perceived behavior control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Fourth, prior knowledge affected purchase intention positively. Attitude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followed by prior knowledge and subjective norm in the order of magnitude.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implied that the expa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partially. First, the attitude factor of the expandabl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ffected purchase intention positive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ttitude and will of an individual’s purchase intention were important in the influence relation about jewelry purchase intention. Second, subjective norm positively influenced purchase intention and many people intended to purchase goods by paying attention to family members, friends, coworkers, and acquaintances. Third, it was found that perceived behavior control did not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urchase intention, which indicated that it was too much to say that perceived behavior control directly affected purchase intention solely using willingness and economic power. It is believed that lowering the target profit or making purchasers access to it naturally with raising awareness would contribute to changing their perception positively. Fourth, if purchaser are accessed with receiving accurate and detailed information while purchasing jewelry by addind a new variable prior knowledge a gradual may be considered by giving a positive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expa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could be a key index explaining the purchase intention of jewelry consumers. Since there are not many studies predicting purchase intention and behavior compared to the growth of the jewelry market, more studies are needed. It is also needed to add and study more diverse expansion factors.

      • KCI등재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성인 근로자의 경력관리행동 발현과정

        조영아(Youngah Cho) 한국진로교육학회 2017 진로교육연구 Vol.30 No.1

        이 연구는 성인근로자의 경력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인간 행동을 예측하는 데 적용되어 온 계획행동이론을 모델로 경력관리행동과 계획행동이론의 주요 변인인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및 의도 간의 구조적 모형을 설정하고 이들의 영향 관계를 확인하였다. 성인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64명의 설문이 최종분석에 활용되었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연구 모형의 적합도, 변인 간 직 간접효과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경력관리행동,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의도 간의 가설적 구조모형의 적합도가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설적 구조모형의 직접 경로계수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는 의도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며,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의도는 경력관리행동에 직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친다. 셋째, 경력관리행동과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의 관계에서 의도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즉,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는 의도를 매개로 경력관리행동에 간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성인 근로자의 경력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과 이들의 유기적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경력관리행동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장시키고, 개인 및 조직에게 경력관리행동을 촉진시키고 발현시키는 데 관련 요인들을 잘 관리하고 강화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structural relations among career management behavior, attitude,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intention of employee. The population of for this study was all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A total of 364 surveys was used for analysis. Windows SPSS 18.0 and AMOS 18.0 statistics program were used to verify descriptive analysi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research model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Inferential statistics result concluded the standard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at .05. From th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made. First, the goodness-of-fit of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of career management behavior, attitude,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intention of employee was satisfactory which confirm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the variables. Second, attitude had a direct effect on intention and an indirect effect on career management behavior with the mediation effect of intention. Third, subjective norm had a direct effect on intention, career management behavior and an indirect effect on career management behavior with the mediation effect of intention. Fourth,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had a direct effect on intention, career management behavior and an indirect effect on career management behavior with the mediation effect of intention. Fifth, intention had a direct effect on career management behavior. Especially, intention took a crucial role as a mediating variable when all variables affected career management behavior.

      • KCI등재

        건강섭식행동과 이상섭식행동을 예측하는 요인들: 확장된 계획된 행동이론 모형과 원형/행동경향 모형의 비교

        장은영 한국건강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3 No.3

        This study was to apply augmented model of Ajzen's(1991)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Prototype/Willingness model to healthy and unhealthy eating behaviors and test the validities. For this purpose, the predictive powers of the precedents of each models were investigated at the sample of 183 females of University in Seoul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fitness of each theoretical models were moderately satisfactory, however those of P/W model were slightly better. Path coefficients showed that the predictive power of intention was stronger than willingness and two theoretical models were supported more in eating monitoring behavior than eating disorder behavior. In the case of eating monitoring behavior, attitude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predicted intention which was the only predictor influencing behavior. Also, prototype and prevalence predicted willingness which had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behavior through the effect of intention. In the case of eating disorder behavior, only attitude predicted intention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intention predicted behavior. Also, prototype predicted willingness and intention. In addition, willingness had only indirect effect on behavior through the effect of intention.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섭식점검행동과 이상섭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확장된 행동이론 모형과 원형/행동경향 모형을 비교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서울의 사립대학교의 여학생 183명을 대상으로 두 모형이 두 유형의 섭식행동들에 대한 예측력에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중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 모형의 부합도 수준은 모두 양호한 편이었지만, 원형/행동경향 모형의 부합도가 더 양호하였다. 경로계수들을 보면, 행동의도의 효과가 행동경향의 효과보다 더 강력하였고, 이상섭식행동보다 섭식점검행동에서 두 이론모형이 더 잘 지지되었다. 또한 섭식점검행동에 대한 태도와 지각된 행동통제력은 섭식점검행동의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고, 행동의도는 섭식점검행동을 유의하게 예측했지만, 지각된 행동통제력은 섭식점검행동을 유의하게 예측하지는 못하였다. 섭식점검행동을 하는 원형에 대한 호의도와 주위에 섭식점검행동을 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있는지는 행동경향을 유의하게 예측했고, 행동경향은 섭식점검행동을 직접 예측하기도 하고, 행동의도를 거쳐서 간접적으로 예측하였다. 이상섭식행동에 대한 태도가 이상섭식행동의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고, 지각된 행동통제력과 행동의도는 이상섭식행동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이상섭식행동을 하는 원형에 대한 호의도는 행동경향과 행동의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지만, 행동경향은 행동을 직접 예측하지 못하고, 행동의도를 거쳐서 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 KCI등재

        청각장애인의 계획행동, 운동지속의도, 건강증진행동의 관계

        장은진 ( Eun-jin Jang ),심영균 ( Young-kyun Sim ),이석준 ( Suk-jun Lee ) 한국특수체육학회 2020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8 No.1

        이 연구는 계획된 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을 적용하여 청각장애인의 계획행동, 운동지속의도, 건강증진행동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각 장애인복지관에 등록된 청각장애인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총 300명을 대상으로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이 중 응답의 일관성이 결여된 2부를 제외하고 298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인의 계획행동변수가 운동지속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계획행동변수(운동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통제력)는 운동지속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각장애인의 계획행동변수가 건강증진행동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계획행동변수의 하위요인인 주관적 규범은 건강증진행동의 하위요인인(건강관리, 대외적 관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계획행동변수의 하위요인인 지각된 통제력은 건강증진행동의 하위요인인 건강증진 활동, 건강관리, 대외적 관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각장애인의 운동지속의도는 건강증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운동지속의도가 건강증진행동의 모든 하위요인인 건강증진 활동, 건강관리, 대외적 관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각장애인의 건강증진행동을 유발하고 강화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planning behavior, exercise intention,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by applying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For this purpose, a sample of hearing-impaired persons registered in the welfare centers and sports facilities of the nation were selected as a population and a sample of a total of 300 people was extracted. Among the 300 subjects, two data sets were dismissed due to inconsistencies hence a total of 298 data sets were used for analysis. Based on th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s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the planning behavioral variables (exercise attitude, subjective norms, perceived control) of the hearing impaired were positively influenced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movement. Second, the planning behavioral variable of the hearing impaired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Specifically, planning behavioral variables (subjective norms) have a positive effect on sub-factor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health management, internal and external relations), and planning behavioral variables (perceived control) are health promotion. It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ll sub factors of behavior (health promotion activities, health care, internal and external relationships). Third, the exercise intention of the hearing impaire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Specifically, exercise inten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ll subfactor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health promotion activities, health care, internal and external relationships). These results can be found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induce and enhance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the hearing impaired.

      • KCI등재

        대학운동선수의 조직공정성이 선수포기의도에 미치는 영향

        하제현(Ha, Jaehyun)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18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23 No.6

        본 연구는 대학운동선수가 지각하는 조직공정성과 선수포기의도와의 영향관계에서 비과업행동과 혁신저항의 매개효과와 종목특성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경상남·북도에 위치한 6개 대학교의 대학운동선수를 대상으로 직접 방문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자료분석에 부적절한 설문지 11부를 제외한 284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Statistics 22.0과 AMOS 22.0을 사용하여 상관관계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배와 상호작용공정성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절차공정성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분배와 절차공정성은 반생산적 과업행동과 유미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상호작용공정성은 반생산적 과업행동에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분배와 절차공정성은 혁신저항과 유미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상호작용공정성은 혁신저항에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분배, 절차, 상호작용공정성은 선수포기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조직시민행동과 혁신저항은 선수포기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지만 반생산적 과업행동은 선수포기의도와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조직시민행동은 절차공정성과 선수포기의도와의 관계, 혁신저항은 분배 및 절차공정성과 선수포기의도와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절차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 분배공정성과 혁신저항, 상호작용공정성과 선수포기의도 간의 영향관계에서 종목특성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non-task behavior(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and innovation resista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haracteristic of spor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athlete dropout intention of college student-athlete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study, total 295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college student-athletes at six universities using a convenient sampling method. Among them, eleven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because they were not applicable. There were 284 usable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with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rough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SPSS Statistics 22.0 and AMOS 22.0.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first, distributive and interactional justice didn"t contribute to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hile procedural justice had a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econd, distributive justice and procedural justice negatively contributed to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while interactional justice did not have an impact on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Third, distributive justice and procedural justice negatively contributed to innovation resistance, while interactional justice did not have an impact on innovation resistance. Fourth, distributive,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justice did not have an impact on athlete dropout intention. Fifth,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innovation resistanc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athlete dropout intention, while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didn"t contribute to athlete dropout intention. Sixth,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ad a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edural justice and athlete dropout intention and innovation resistance had a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and athlete dropout intention. Last, there existe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sports characteristic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edur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between distributive justice and innovation resistance, and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and athlete dropout intention.

      • KCI등재

        의료관광 관련요인이 해외의료관광객의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온라인 리뷰를 중심으로-

        원종하,김민숙 국제e-비즈니스학회 2011 e-비즈니스 연구 Vol.12 No.5

        This study aims to predict medical tourists' behavioral intention by using Theory of Planned Behavior, added the interaction variable(online review). There are dozens of non-academic books and a similar number of academic articles on medical tourism. However, one of the accompanying problems of the medical tourism studies is the lack of scholarly research published on the topic based on empirical data collected past or prospective patients. Online customer review are increasingly available online for a wide range of products and services. Although traditional researchers demonstrated the benefits of the presence of customer reviews to an online retailer, there is a lack of focus on customer review effect on customer behavioral intention. This research relies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explore the attitudes and beliefs of potential Chinese medical tourists towards medical tourism to South Korea.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effect of online review between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For empirical test, total of 101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online review and potential medical tourists' behavioral intention was revealed. Even though both attitude and subjective norms positively affected the behavioral intention, attitude impacted more strongly on the intention than subjective norms and online review did. As a modulator, online review has an influence on the relationship of attitude-behavior intention. 한국의 의료관광산업은 블루오션이면서 경제활성화를 위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의료관광의 육성을 위해 정부는 본격적으로 외국인 환자유치를 위해 의료법을 개정하고 있으며 비자발급의 간소화 등 의료관광목적국으로 한국을 선택하게 하고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한국의 의료관광산업을 활성화시키는데 중요한 잠재적 의료관광객인 중국관광객을 대상으로 의료관광을 고려하는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계획행동이론을 중심으로 온라인 리뷰가 잠재적 의료관광객의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계획행동이론모형은 고객의 의사결정에 있어서 사회심리적인 접근법을 사용해서 고객들의 행동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의 타당성과 유용성이 입증되고 있지만 기존 변인에서 추가적으로 보완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어서 본 연구는 온라인리뷰의 영향력이 행동의도를 설명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고 있어 온라인 리뷰의 조절효과와 행동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조절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으로의 의료관광을 가려는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태도, 주관적 규범, 온라인 리뷰가 직접적으로 행동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태도가 주관적 규범이나 온라인 리뷰보다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온라인 리뷰가 태도에서 행동의도에서 조절효과가 확인됨에 따라 온라인 리뷰의 파급효과가 중국의 잠재적 관광객에게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운동 의도가 의도-행동 불일치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절능력 및 자기통제의 조절효과

        김연진 ( Yeon-jin Kim ),박승하 ( Seung-Ha Park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21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32 No.3

        목적: 본 연구는 건강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시간적 자기조절 이론에 대한 부분적인 검증으로, 운동 참여 정도에 따라 운동의 이득과 비용을 인지하는 시점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의도와 의도-행동 불일치에 있어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변인을 검증하는 것에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단계적 변화모형의 운동 행동 변화 단계(Prochaska & Marcus, 1994)를 기준으로 계획, 준비, 행동, 유지 단계에 해당하는 20대 여성을 단계별로 25명씩 모집하여 총 100명을 대상으로 3가지 인지테스트를 실시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일원배치 분산 분석, 단순 회귀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운동행동 단계와 관계없이 모든 집단에서 운동에 대한 비용을 이득 보다 먼저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계획단계보다 유지단계에서 운동에 대한 이득을 인지하는 시점이 빨랐고, 이득과 비용을 인지하는 시간적 격차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운동의도가 의도-행동 불일치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의도가 높아질수록 의도-행동 불일치는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의도가 의도-행동 불일치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Stroop test의 불일치 조건 반응시간, Tower of London의 total move score 및 initial time이 조절 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의도가 의도-행동 불일치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자기통제의 하위요인인 자제력과 집중력은 조절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는 시간적 자기조절 이론의 바탕이 되는 시간적 특성을 운동 단계에 따라 살펴보고, 자기 조절능력을 자기 통제의 개념과 구분하여 검증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시간적 자기 조절이론이 건강 행동에 대한 설명력을 높이고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유용성을 확장해 나가기 위해선 추후 이론을 구성하는 변인들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가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timing of recognition of benefits and costs for exercise depending on the level of exercise behavior. Also the second purpose is to ensure the self regulatory capacity and self control have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intention and intention-behavior gap. Methods: 100 women whose age are 20s were recruited for the research participants. The group of contemplation, preparation, action, maintenance were formed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with 25 participants per group. Data were collected from 3 cognitive tests, questionnaires and text messages. Result: First, it has been shown that all groups are aware of the costs for exercise before the benefits. However, the recognition of benefits for exercise in the maintenance group was faster than in the preparation group. The temporal disjunction between benefits and costs was shown to be small in the maintenance group. Second, the exercise intention h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intention- behavior gap. That is, the higher the intention, the lower the intention-behavior gap. Third, the reaction time on incongruent condition of the Stroop test, total move score and initial time of the Tower of London have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intention and intention-behavior gap. Fourth, sub-factors of self control did not show any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intention and intention-behavior gap. Conclusion: Temporal Self-Regulation Theory was partially validated through this pap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 individual’s executive function could be a significant variable to predict exercise intention - behavior gap on exercise.

      • KCI우수등재

        계획된 행동이론에서 자기통제와 사후결정의도가 의도행동 불일치에 미치는 영향

        신명진(ShinMyoung-jin),김인우(KimIn-woo),안효연(AhnHyo-yeon) 한국체육학회 2018 한국체육학회지 Vol.5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통제와 사후결정의도가 계획된 행동이론의 문제점 중 하나인 의도-행동 불일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대학생 231명을 3개 집단(일반의도 집단, 성공가정의도 집단, 실패가정의도 집단)으로 무작위로 할당한 후, 운동참여 정도, 태도, 행동통제지각 그리고 자기통제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실패가정의도 집단에서 자기통제 자원이 낮은 참여자는 행동통제지각이 운동참여에 미치는 영향력이 약화되었다. 즉, 운동참여를 통해 자신이 설정한 목표를 성취하지 못할 것이라고 가정한 참여자는 자기통제 자원이 낮을수록 행동통제지각이 운동참여에 미치는 영향력이 약화되어 의도가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는 현상이 존재하였다. 종합해보면, 실패가정 의도를 가진 참여자 중 자기통제자원이 낮은 경우에는 의도-행동 불일치 현상이 존재할 수 있는 반면, 성공가정 의도를 가진 참여자에게는 자기통제가 의도-행동 불일치 현상에 미치는 영향력이 낮았다.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self-control and post-decision intention on intention-behavior discrepancy existing i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 total 231 college stude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on different types of intention to exercise (general intention, intention with the assumption of success, intention with the assumption of failure). They participated in the survey measuring the degree of exercise participati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self-control. The impact of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on exercise participation was strengthened with high self-control in participants belong to intention with the assumption of failure group. It means that exercise behavior was mostly explained by the perception of behavioral control, and the impact of total effect on the behavior was weak in low self-control group. Thus, it is identified that the intention-behavior discrepancy existed in low self-control and fail continuation intentions condition. The intention-behavior discrepancy existed in the cases of that people fail to reach their goals by participating in exercise or fail to regular exercise. However, there was no impact of self-control on the intention-behavior discrepancy in the cases of that people achieve their goals with regular exercise.

      • KCI등재

        소비자의 부적절한 불평행동에 대한 태도 및 의도에 관한 연구

        류미현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6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2 No.3

        소비자의 불평행동은 소비자권익 보호 뿐 아니라 기업에게도 여러 순기능을 하는데, 최근 일부 소비자의 부적절한 불평행동이 증가하면서 기업은 물론 소비자 및 사회경제에 미치는 많은 문제를 유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 성인 소비자를 대상으로 부절적한 불평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부절적한 불평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친 변수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대상별로 차별화 된 소비자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것이다. 주요 결과를 보면 첫째, 부적절한 불평행동에 대한 태도 및 의도는 보통보다 약간 낮은 정도의 수준으로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본 연구가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현재 수준에 대한 심각한 고려가 필요하다. 둘째, 부적절한 불평행동에 대한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총인과적 효과의 크기를 비교하면 부적절한 불평행동에 대한 태도가 가장 크고 그 다음은 부적절한 불평행동 필요성, 공격성, 부적절한 불평행동 성공가능성, 사회적책임 행동 순이었다. 부적절한 불평행동에 대한 태도가 부적절한 불평행동에 대한 의도에 가장 큰 총인과적 효과를 보였으며, 부적절한 불평행동에 대한 태도가 높을수록 부적절한 불평행동에 대한 의도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책임 행동은 부적절한 불평행동에 대한 태도를 통해 간접적으로 부적절한 불평행동에 대한 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사회적책임 행동은 부적절한 태도를 낮추어 결국 부적절한 불평행동에 대한 의도를 낮추는 효과를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내용을 반영한 소비자교육의 필요성이 더욱 요구된다. The consumer complaint behavior have not only protected the rights and interests of consumers but also made various positive functions to the companies. However, with the recent increase of inappropriate consumer complaint behavior, it has started causing considerable problems to companies, consumers and in other socioeconomic areas. Accordingly, the present research has sought to understan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inappropriate complaint behavior intention by focusing on average adult consumers. By determining the specific factors that influence the inappropriate complaint behavior intention, the present study is intended to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differentiated consumer education based on different target group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appropriate complaint behavior attitude and intention were nearly identical with the level slightly lower than normal. However,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present research has focused on average consumers, this indicates to the seriousness of the current level. Second, by comparing the magnitude of total relative effect of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inappropriate complaint behavior intention, the inappropriate complaint behavior attitude showed the biggest effect, followed by in the order of need for inappropriate complaint behavior, aggressive nature, likelihood of success for inappropriate complaint behavior and social responsibility behavior. The inappropriate complaint behavior attitude has by far shown the highest total relative effect in relation to the inappropriate complaint behavior intention, with higher the inappropriate complaint behavior attitude showing higher inappropriate complaint behavior intention. Furthermore, the social responsibility behavior was shown to influence inappropriate complaint behavior intention indirectly through inappropriate complaint behavior attitude, and social responsibility behavior lowered the inappropriate attitude thereby lowering the inappropriate complaint behavior intention. As such, the consumer education which reflects of these findings are thus more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