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사교과서에 서술된 한군현 내용의 변화과정 검토

        위가야 동북아역사재단 2023 東北亞歷史論叢 Vol.- No.79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nge process of contents that describe Han Commanderies in history textbooks of Korean education field and summarizes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the change. The examination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contents of Han Commanderies in history textbooks show remarkable changes in both amount and content after the History textbook of third curriculum, when the publication system converted from authorized to government-designated system. This trend continued until the seventh curriculum textbook. It can be described in two major characteristics as follows. The first characteristic is that the contents of Han Commanderies reduced as the curriculum developed. The tendency to reduce is also confirmed in the Han Commanderies’ influence and meaning in Korean history. The next characteristic is the attitude of the author of the non-specific and ambiguous description. Such description causes learners’ confusion and violates the description principle of textbooks, which should lead to clear understanding with accurate description. External pressures, not internal changes within the history academia, have influenced this tendency. Problem-posing in the so-called pseudo-history based on the nationalistic perception of ancient history in the 1980s was relatively easy to exert influence on the description of contents of Han Commanderies under the background of government-designated system. Giving validity to this assumption is that the changes in the description of Han Commanderies, which were confirmed after the textbook publication system was converted to authorized system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7, returned to the tendency to reduce in the government-designated textbook published after the government-designated system was promoted again in 2015. 이 글은 한국의 교육현장에서 사용된 역사교과서의 한군현 관련 서술 내용의 변화과정을 검토하고 변화의 배경과 의미를 정리한 것이다. 검토한 내용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역사교과서의 한군현 관련 서술은 교과서 발행제도가 검인정에서 국정으로 전환된 3차 국사교과서부터 서술의 분량과 내용 면에서 큰 변화를 보였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의 경향성이 7차 교과서까지 지속되었다. 그 특징은 크게 다음의 두 가지이다. 먼저 차수가 진행될수록 한군현 관련 내용 서술이 축소되었다. 6차에서 이러한 추세가 역전되는 경향을 보이기도 했지만 대체적인 추세는 축소 일변도였다. 서술 분량뿐만 아니라 한군현이 한국사에서 가지는 영향력 및 의미에 대해서도 같은 경향성이 확인된다. 다음으로 구체적이지 않고 모호하게 서술하려는 집필자의 태도를 엿볼 수 있다. 그 결과 교과서의 본문 서술을 통해서 한군현의 존재를 발견하는 것이 불가능에 가깝다고 여겨지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서술이 초래할 결과는 학습자의 혼란이며, 이는 정확한 서술로 명확한 이해를 유도해야 하는 교과서의 서술 원칙에 위배되는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상의 경향성에 영향을 끼친 것은 역사학계 내부의 변화가 아닌 외부의 압력이었다. 1980년대 국수적 고대사 인식에 기반한 이른바 재야사학계의 문제 제기는 국정화라는 배경하에 국사교과서의 한군현 관련 서술에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영향력을 끼칠 수 있었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교과서 발행 제도가 검인정으로 전환된 이후 확인되는 한군현 관련 서술의 변화가 2015년 국정화가 재추진된 이후 발행된 국정교과서에서 다시 과거의 그것으로 회귀한 사실이 이러한 추정에 타당성을 부여한다.

      • KCI등재

        한군현(漢郡縣) 지배의 역사적 성격

        송호정(Song Ho-jung) 한국역사연구회 2010 역사와 현실 Vol.- No.78

        In 108 B.C., Han waged a war against Gojoseon so as to take away the interests Gojoseon was taking from relaying trades, and moreover, to sever the link between Gojoseon and the Huns. After destroying Gojoseon, Han established four provinces, in order to secure the economic benefits. The governors were dispatched from Han, but in a strict sense, the provinces were governed by native-born ruling powers. Among the four provinces, the Lerang Province in particular functioned as the capital of the region ruled by Wiman Joseon before it was destroyed by Han, and enabled the people to have trades with China s inland areas and surrounding countries including Dong Yi. The Lerang Province won over the native ruling powers and controlled them, but it could go only so far and no farther. The province governed people indirectly through the native ruling powers. The influence of such provinces lasted until the early 4th century, yet they were continuing to decline. The provinces were external factors that exerted pressure on the political growth of the Ye/Maek tribe and the Han tribe, but at the same time, the inflow of China s advanced civilization gave the two tribes a possibility for new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e Lerang Province was changed according to China s political situations. Lerang Province was under China s clout once, but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it has always been a part of the Korean history, even before it was existent.

      • KCI등재

        3~7차 교육과정 국정 국사교과서의 고조선, 한군현 관련 서술의 변화

        임기환(Lim, Ki Hwa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7 사회과교육 Vol.56 No.1

        고조선 역사는 한국 민족사의 기원으로 인식되어 역대 국정 교과서의 서술대로 민족의 자부심을 환기하는 역사주제이다. 그 결과 이른바‘고대사 파동’이 일어나 한국사 교과서 서술을 왜곡하는 사태가 벌어지곤 했다. 특히 국정발행체제의 교과서가 고대사 파동을 만나게 되면, 심각한 역사 왜곡이 일어날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에서 검토한 3~7차 교육과정의 국정교과서가 좋은 예이다.‘고대사 파동’의 결과 3~7차 교육과정의 국정 국사교과서 편찬 과정에서 여러 차례 편찬준거안 등이 마련되었고, 이에 따른 고조선 역사 서술에서 오류가 나타나거나 과장된 역사상이 만들어졌다. 단군신화는 고조선의 건국신화보다는 민족의 시조 신화로 기술되었으며, 고조선은 만주와 한반도를 아우르는 광대한 영토를 갖는 국가라는 이미지로 구성되었다. 또한 한군현에 대한 역사 서술은 점점 축소되어 갔고 그 지리적 위치는 은폐되었다. 이처럼 국정 국사교과서에서 고조선 역사 서술은 역사학계의 연구성과와 무관하게 편향된 인식이 작용하여 일부 왜곡된 역사상이 지속적으로 만들어져 왔다. 그런데 검정교과서에서도 이런 서술들이 충분히 극복되지 못하였다. 앞으로 한국사 교과서 편찬 과정에서 한국고대사학계와 역사교육학계가 깊은 성찰을 통해 고조선의 역사상을 바로잡아야함을 제언한다. The history of Gojoseon is recognized as the origin of Korean history and is a historical theme reminding the national pride as described in the textbooks of previous textbooks. As a result, the so-called "Crisis of Ancient History" will arise and the explanation of Korean history textbooks will be distorted. Especially, if the textbook of the central government system meets the crisis of ancient history, there is a possibility of serious distortion of history. In this study ,the example shows that the main textbook from the 3rd to 7th curriculum reviewed. As a result of "Crisis of Ancient History", there were many criticisms about criticism in the process of writing domestic and foreign history in the textbooks from 3rd to 7th national curriculum. The Dangun myth was depicted as a myth, not the birth myth of a nation of Gojoseon, and depicted the state of Gojoseon, which has vast territory covering Manchuria and the Korean Peninsula. Also, the historical narrative of Han Commanderies was gradually reduced and its geographical position was concealed. Therefore, in the history of Chosun Dynasty and History, Chosun Dynasty has been produced constantly in distorted history and has biased perception regardless of historical research result. In authorized textbooks, however, such explanations could not be overcome. In the process of compiling Korean textbooks in the future, this research suggests that Korea "s ancient historians and historical education scholars correct the history of distortions through a deep reflection.

      • KCI등재

        가야왕릉묘역 출토유물로 본 가야와 동아시아의 교류 -김해 대성동고분군, 함안 말이산고분군, 고령 지산동고분군을 중심으로-

        이영식 동아시아고대학회 2019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5

        가야왕릉묘역의 김해 대성동고분군, 함안 말이산고분군, 고령 지산동고분군 등에서 출토되는 외래계통의 유물들은 가야제국과 동아시아의 교류를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물적 증거이다. 본 논문은 이들 가야고분군에서 출토되는 외래계통의 유물들을 집성하여 <표>로 제시하고, 이러한 유물들이 부장될 수 있었던 역사적 배경을 한국․중국․일본의 문헌기록에서 찾고자 했던 시도이다. 가야제국의 국제적 교류는 중국의 한군현에서 시작하여 고구려․백제․신라의 삼국과 일본열도의 왜국들에 이르기까지 문헌적 고고학적 자료가 적극적으로 확인되고 있다. 가야제국은 성립부터 고조선 유민들의 남천에서 비롯되었다. 가야는 처음부터 국제적 교류에 익숙한 유전자를 가진 문명이었다. 전기가야에는 남부가야를 중심으로 한군현을 통한 중국과의 교류가 시작되었고, 일본열도의 왜인들은 가야제국을 최초의 ‘외국’으로 인식하였다. 금관가야 대성동고분군 출토의 후한경이나 칠기와 대성동고분군 주인공의 왕궁시설이었던 회현동패총 출토의 왕망전 등은 『삼국지』한전의 기록들과 대응하며, 동과․방제경․파형동기․수정제곡옥․석촉 등과 같은 왜계통의 유물들은 『삼국지』왜인전이나 『일본서기』의 기록들과 조응하며, 29호분의 동복과 금동관, 91호분의 로만글래스, 88호분의 진식대금구 등의 유입은 『진서』와 「칠지도명문」과 「광개토왕릉비」 등에서 그 역사적 배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라가야 말이산고분군 출토의 칠기와 삼각판혁철단갑과 마갑 등은 『삼국지』와 「광개토왕릉비문」의 기록들과 대응하며, 아라가야권이었던 의령 운곡리․경산리고분군 출토의 운주․재갈․등자와 창원 현동유적의 하지키 등은 『일본서기』의 이른바 ‘사비회의’와 ‘임나일본부’ 관련의 기사들이 참고로 되었다. 대가야 지산동고분군에서 출토되는 은장철모․봉황문환두대도․등자 같은 백제계통의 유물과 삼엽문환두대도와 심엽형행엽 등의 신라계통의 유물은 『삼국사기』와 『일본서기』에서 관련기사가 확인되는데, 대가야가 백제와 신라가 결성 유지했던 군사동맹과 결혼동맹의 사실들과 『일본서기』에 보이는 가야멸망기의 관련기사들에 대조해 보았다. 김해 대성동고분군, 함안 말이산고분군, 고령 지산동고분군은 가야왕릉묘역으로 인정되고 있으며, 출토유물 중에 다수의 위신재가 포함되고 있다는 특징이 있어 가야와 동아시아 제국 왕권 간의 수수관계가 확인되면서도, 왜 계통의 분묘형식이나 생활용기의 칠기나 토기 같은 유구와 유물도 확인된다는 것은 문헌기록에서 보여주는 인적교류의 일면을 웅변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The artifacts from the Gimhae Daeseongdong Tumuli, the Haman Malisan Tumuli, and the Koryong Jisandong Tumuli in the Gaya Royal Mausoleum are direct evidence of the exchange between the Gaya and East Asia. This paper attempts to collect foreign artifacts excavated from these Gaya Tumuli and presents them in <Table>, and to fin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se artifacts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records. Historical records and archaeological data are being actively confirmed from the Gaya to China Han colony county(漢郡縣), to Goguryeo, Baekje and Silla of Samguk(三國), and to the Wa(倭) Japanese islands. The Gaya countries originated from going to south of Gojoseon citizens since its establishment. Gaya was, from the beginning, a civilization with a gene familiar with international exchange. In the Gaya former period, exchanges with China through Hangun County centered on southern Gaya, and the Wa ancient Japanese recognized the Gaya as the first ‘foreign country’. The Later Han bronze mirror(後漢鏡) and wooden lacquerwares(漆器) excavated from Daeseongdong Tumuli and China WangMang coin(王莽錢) excavated from Hoehyeon-dong Shell mound in Kumkhan Kaya palace which correspond to the records of the Samkukji. Wa(Japan) style bronze spear & mirror, Fan wing shaped bronze ornaments, cristal bent shaped jade and stone arrowhead was excavated from Daeseongdong Tumuli that the historical background can be obtained from the writings of Samgukji and Nihonshogi. Wa style bronze pot and gilt-bronze crowns(No.29), Roman Glass(No.91) and Jin(晋) style gilt-bronze buckle (No.88) its historical background can be confirmed in Jinseo(晋書), 7 branched spear with gold inscriptions((七支刀銘文) and King Kwanggaeto’s Tomb epitaph(廣開土王陵碑文). Lacquer, triangular plate iron armor and the armor of horses from the Aragaya Malisan tumuli can be inquire from the writings of Samgukji and King Kwanggaeto’s Tomb epitaph. The Hajiki in the hyoundong ruins and the harness in the Ungokuk and kyongsan ruins were referred to articles related to the so-called ‘Sabi Council’ and ‘Imna Japan agency’ in the Nihonshogi. Relics from the Baekje system such as Silver head taping iron spear, The hilt of oriental phoenix decoration, and stirrups from the Daegaya Jisandong tumuli, and Silla relics such as the hilt of trilobate decoration and leaf shape lobe are found in Samguksagi and the Nihonshogi. Daegaya contrasted the facts of the military alliance and marriage alliance that Baekje and Silla formed and the related articles of Gaya Destruction period in the Nihonshogi. Gimhae Daeseongdong Tumuli, Haman Malisan Tumuli, and Goryeong Jisandong Tumuli are recognized as the Gaya Royal Tombs. The identification of relics and artifacts, such as lacquerware and earthenware, as well as forms and everyday containers, seemed to eloquent one aspect of human exchange in the literature.

      • KCI등재

        고대 진번의 변천 연구

        조원진(Cho Won-Chin) 한국고대학회 2021 先史와 古代 Vol.- No.66

        진번은 고조선과 흥망을 함께한 정치체로 고조선 다음으로 한국 고대에 등장한 국가였다. 진번 주민들은 韓 사회에도 적지않은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이해된다. 『史記』에 의하면 진번은 기원전 4~3세기 고조선과 함께 燕나라와 전쟁을 했으며 위만의 초기 거주지와도 관련된다. 고조선과 燕나라의 전쟁 기사에서 진번의 존재가 특별히 강조된 것은 당시 전쟁에서 진번의 위상이 그만큼 컸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진번은 당시 조선 주변의 유력한 정치체로 燕나라 및 주변 예맥계 집단과 활발히 교류했던 것으로 보인다. 진번의 위치에 대한 상이한 기록들은 진번이 이동했다는 관점에서 이해한다면 합리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진번은 본래 요동군 번한현과 관련되어 요동 북부에 위치했으나 燕나라의 공격을 받아 황해도 지역으로 이동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위만은 요동의 옛 진번지역을 기반으로 성장하여 고조선의 준왕을 몰아냈으며 漢나라의 지원을 받은 뒤에 황해도 지역의 진번을 복속시켰다. 이후 진번은 위만조선에 복속되었다가 漢나라에 멸망하게 된다. 漢나라는 진번 지역에 진번군을 설치하는데 진번군은 기원전 108년 설치되어 기원전 82년에 폐지되었다. 『茂陵書』의 진번군에 15현이 있었다는 기록은 받아들이기 어려우며 한군현의 남쪽 경계는 황해도 일대로 볼 수 있다. Jinbeon is a polity that shared its rise and fall with Old Joseon, and was a state that emerged following Old Joseon in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It seems that after the fall of Jinbeon, its inhabitants moved southwards, and influenced the society of Han(韓) as well. According to Shiji(史記), Jinbeon(眞蕃), together with Old Joseon(古朝鮮), waged war against Yan Kingdom(燕國) in the 4th-3rd century BC, and also has connection with Wiman’s initial habitation. The special emphasis on the existence of Jinbeon laid by the article on the war between Yan Kingdom and Old Joseon suggests such a great status of Jinbeon in the war. It appears that Jinbeon, which was an influential polity around Old Joseon at that time, actively interacted with Yan Kingdom and surrounding groups of Yemaek(濊貊) extraction as well as Old Joseon. Records of different descriptions about the location of Jinbeon may be reasonably understood from the fact that Jinbeon was moved. Jinbeon was originally related to Fanhan County(番汗縣) in Liaodong Commandery(遼東郡), and was located in the west of Quian Shan Mountains(千山山脈); however, it seems that it was moved to the region of Hwanghaedo due to the attack of Yan Kingdom. Wiman Joseon grew with the old Jinbeon region as its stronghold, and ousted the King Jun of Old Joseon, and subjugated Jinbeon in the region of Hwanghae-do after obtaining support from the Han(漢) dynasty. Jinbeon, which was subjugated by Wiman Joseon, was later conquered by the Han Dynasty. The Han Dynasty established Jinbeon Commandery in the region of Jinbeon; the Jinbeon Commandery was established in 108 BC and was abolished in 82 BC. However, it is unclear whether the Han Dynasty established a commandery or a county even in the region of Jinbeon amidst unstable circumstances during the early period of its establishing commanderies and counties.

      • KCI등재

        漢書 의 古朝鮮·漢郡縣·箕子 자료에 대한 검토

        조원진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3 東洋學 Vol.- No.92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Joseonjeon」, one of Old Joseon’s materials appearing in Hanshu and another 「Joseonjeon」 in Shiji . In an article on the origin of Holy King(滿王), 「Joseonjeon」 in Shiji describes him as ‘Old Yeon person’, while 「Joseonjeon」 in Hanshu records him as ‘Yeon person’ by removing the word ‘Old’, as if he was a person from Yeon, a vassal state of Han. This shows Hanshu’s limited historical recognition. In addition, 「Joseonjeon」 in Hanshu definitely records Jinbeon, a neighboring state as the ‘state Chin (辰國)’ and the specific name of Hansagun(漢四郡), probably because new materials were introduced after Shiji . In addition, the content about Changhae-gun was complemented in Hanshu and various spells of Ye Mek appeared, probably because a variety of materials were us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commanderies. The 「geography section(地理志)」 was newly added to Hanshu , which provides the basic data of Yoseo-gun, Yodong-gun, Hyeondo-gun and Nakrang-gun. Moreover, the content about the fall of Wiman Joseon and the establishment of Han Commanderies can be found in many articles, but the number of established commanderies is different among them, and there are no materials about Jindun-gun and Imdun-gun in the 「geography section(地理志)」, suggesting the need to closely examine the situation in which Hand Commanderies were established. It is doubtful whether the article about the theory that Kija came to Korea, shown by 「Songmijasega」 in Shiji was created in the Samacheon’s lifetime. The 「geography section(地理志)」 in Hanshu seems to be the first Chinese authentic history in which the theory that Kija came to Korea is surely found, in that the article about the fact that Kija came to Joseon and enlightened Joseon residents. It can be, therefore, found that the record of Hanshu is the intermediate phase of Sanguozhi which extends the ambiguous theory that Kija came to Korea into the theory of Kija Joseon by recording that the successive generations of kings in Old Joseon might be the descendants of Kija. In the Han dynasty, the Joseon was perceived as the East or the North. Hanseo (漢書), like Sagi (史記), organized only Old Joseon as a chapter(傳). It is, however, found that Hanseo (漢 書) partly looks out for the growth of Buyeo and Goguryeo. The oral tradition that Kija went to Joseon seems to appear in the late period of the former Han dynasty(前漢末), after the fall of Wiman Joseon. Hanseo (漢書) 「Jiriji」(地理志) added an article about inhabitants enlightened by Kija to the other article about the customs of Joseon, which was not related with Kija. In fact, it is possible to regard Hanseo as the first Chinese authentic historiography in which the theory that Kija came to Korea. Hanseo (漢書) made the theory more definite, embellished and extended in the Chinese authentic historiography. 漢書 에 나타난 고조선 자료 중 「朝鮮傳」은 史記 「朝鮮列傳」과 비교하여 몇군데 차이가 나타난다. 먼저 滿王의 출자와 관련된 기사에서 史記 「朝鮮列傳」은 ‘故燕人’이라 했는데 漢書 「朝鮮傳」은 ‘故’자를 제거한 ‘燕人’이라 하여 漢의 제후국인 燕나라 사람처럼 기록하였다. 이것은 漢書 의 역사인식의 한계를 보여주는 것 이다. 또한 漢書 「朝鮮傳」에서 진번 주변국을 ‘辰國’이라 분명히 기록하고 漢四郡의 명칭을 기록한 것은 史 記 이후 새로운 자료가 유입된 결과로 볼 수 있다. 또한 漢書 에 창해군에 대한 내용이 보완되고 예·맥에 대한 표기가 다양하게 나타난 것도 군현 설치 이후 입수된 다양한 자료를 활용했기 때문일 것이다 . 漢書 에는 「地理志」가 새롭게 편성되어 요서군, 요동군, 현도군, 낙랑군에 대한 기본 자료를 제공한다. 또 한 위만조선의 멸망과 한군현 설치에 대한 내용이 여러 기사에서 확인되는데 설치된 군현 수가 서로 다르고 진번군·임둔군에 대한 자료가 「地理志」에는 없다. 이것은 한군현 설치 당시 상황을 정밀히 검토해야 할 필요 성을 말해준다. 漢代에는 조선 지역을 동방으로 보는 인식과 북방으로 보는 인식이 혼재되어 나타난다. 漢書 는 史記 와 마찬가지로 고조선만을 하나의 傳으로 편성하였다. 그럼에도 漢書 에는 단편적이지만 부여와 고구려의 성장 을 경계하는 인식도 확인된다. 箕子가 朝鮮으로 갔다는 전승은 위만조선이 멸망한 후 前漢末에 등장한 것으로 보인다. 漢書 「地理志」는 본래 기자와 무관한 조선의 풍속 기사에 기자의 현지 주민 교화 기사를 추가하였다. 漢書 는 사실상 기자동 래설이 확실히 확인되는 첫 중국정사로 볼 수도 있다. 특히 漢書 를 계기로 이후 중국정사에서는 기자동래설 이 확고해지고 더욱 기자 전승이 윤색되어 확장된다.

      • KCI등재
      • KCI등재

        漢의 沃沮 지배와 토착 지배층의 동향

        李丞鎬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4 동국사학 Vol.57 No.-

        1958년 평양시 낙랑구역에서 발견된 정백동 1호분에서는 銀으로 주조 된 인장 하나가 출토되었는데, 그 印文에는 ?夫租?君?이라는 네 글자가 새겨져 있었다. 여기서 ‘夫租’는 곧 沃沮를 뜻하며, 이를 통해 이것이 기원 전 1세기 무렵 활동하였던 옥저 지역의 토착 거수 夫租?君의 무덤임을 알 수 있다. 본고는 이 夫租?君에 대한 분석을 실마리 삼아 기원전 1세기 무렵 漢의 지배 속에서 옥저의 토착 지배층이 어떻게 대응하여 나갔는지 그들의 동향을 살피고자 한 것이다. 부조예군이 활동하였던 시기는 기원전 1세기 전반기로 당시 옥저 지역 은 玄?郡의 관할 하에 놓여있었다. 부조예군은 이러한 현도군의 통치에 협조하면서 토착 지배층으로서 지역 사회에서의 사회적 지위를 이어나갈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그는 기원전 75년 무렵 현도군의 퇴축과 동부도위의 설치라는 옥저 지역의 격변기를 맞아 낙랑군으로 거주지를 옮 겨오게 된다. 그러나 부조예군의 무덤인 정백동 1호분에서 출토된 다량의 부장품들을 통해 볼 때 그는 생을 마감할 때까지도 낙랑군에서 매우 높은 사회적 지위를 향유하였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무덤에서 많은 양의 무기류 가 출토되었던 점을 통해 볼 때 생전의 정치적 위세는 대단하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그렇다면 부조예군은 무슨 연유로 낙랑 지역에 옮겨오게 된 것이며, 또 그가 새로 옮겨온 낙랑 사회에서도 지속적으로 높은 사회적 위치를 향 유할 수 있었던 배경은 무엇이었을까. 기원전 75년 무렵 夷貊의 침입 속에 현도군이 붕괴하자 漢은 당시 안정적으로 운영되던 樂浪郡에 옥저 지역을 편제시키고 한층 긴밀한 군현 지배를 실시하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 속에 서 토착 지배층 중심의 자치력이 작동하던 옥저의 재지 사회는 더 이상 설 자리를 잃게 되었지만, 부조예군을 비롯한 유력 토착 지배세력은 오히 려 이와 같은 郡縣 정책에 적극 편승하였다. 무덤에서 발견된 ?夫租?君? 銀印은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는 유물로서 낙랑군이 옥저 사회를 재편하는 과정에 협조한 옥저의 토착 지배층에게 내렸던 賞賜品이었던 것으로 분석 된다. 즉 옥저의 유력 토착 지배층들은 낙랑군 중심의 지배 체제 개편에 협조하면서 낙랑 사회 내에서도 자신들의 사회적 지위를 유지할 수 있었 다. 그리고 그 이후로도 낙랑군의 沃沮 지역 통치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 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新羅와 樂浪의 關係 : 新羅史에 보이는 '樂浪'의 實體와 그 歷史的 意味를 중심으로

        文昌魯 한국고대사학회 2004 韓國古代史硏究 Vol.34 No.-

        The starting point to see the relation with Lorang(樂浪) in the Silla history can be found through the migratory people's movements from northwestern Korea to Saro(斯盧) area including the migrants of Acient Chosun(古朝鮮). After founding of the Former Han(前漢) Dynasty, migratory people moved to Saro had a potent influence on the establishment and growth of Saro state(斯盧國) in potitical fluctuations, e.g. the fall of Wiman-Chosun(衛滿朝鮮) and the foundation of Chinese commanderies(漢郡縣), because they had already known advanced culture and political system. The estahlishment of Sara state, which became the mother- body of Silla(新羅), means the unitive process of six villages(6村) with Hyeokgeose(赫居世)'s rise. Park's tribe(朴氏勢力) got a majority of the migratory people's group advanced southwards and the iron civilization(鐵器文化) of Wiman-Chosun. Lorang in Samguksagi(三國史記) Sillabongi(新羅本紀) was a menacing power in the north border advanced southwards along the east coast since early time comparatively, its substance was different with Lorang- Kun(樂浪郡) in Pyeongyang(平壤) area. That is to say, Lorang was the native power(土着勢力) related to Dongye(東濊)' Okjeo(沃沮) area. In the middle 2nd century, the migratory people's motions from Lorang area to Sara had a huge effect on the changing process of Silla's political power related to the beginning of Suk's Kingdom(昔氏王室). According to Samgukji(三國志) Hanjun(韓傳), the people of Jin - Han(辰韓) called themselves 'Ajan(阿殘) because they bad thought the people of Lorang their group left. Which means that Silla people of the Chinese history books in the late 3rd century had a strong relationship to Lorang and tells us that Silla had migratory people from Lorang side throughout the growth process of Saro state. The matter of migratory people from northwestern Korea to Silla, which had maintained since Chinese established Lorang- Kun, one of their commanderies, was stopped for the moment in the early 4th century. That was why Koguryo(高句麗) had turned Lorang - Kun out in the end. After that, the title of the investiture(冊封號) named King of Lorang - Kun (樂浪郡公), which King of Silla was given by China through direct negotiation between two countries, became a opportunity to think that Silla had close relation with Lorang firmly. As a result, a few Sillajuns(新羅傳) of Chinese history books, e.g. Buksa(北史), Suseo(隋書), Gudangseo(舊唐書), Sindangseo(新唐書), have said that Silla was just Lorang in the period of Han(漢) Dynasty. Also, it could be stressed the unusual reation between Silla and Lorang through the Royal order(誥命) which the last King Kyeongsun(敬順王) of Silla named Kimbu(金傅) was given by Koryo(考慮) Dynasty to invest with the titles of Sangbo(尙父). Because there was a title of the investiture named the King of Lorang(樂浪王). To sum up, there are more obvious traces of Lorang than Paekje(百濟) or Koguryo in the Sill. history, Which let us know that Silla had a familiar relationship to Lorang.

      • KCI등재

        고고학 발굴성과를 통해 본 고대 한반도 남해안지역의 대외교류

        방민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12 한국전통문화연구 Vol.10 No.-

        늑도 유적에서의 각종 한대화폐와 낙랑계 및 야요이식 토기 등의 각종유물 출토 양상과 지정학적인 요건으로 살 펴볼 때 중국(漢군현)↔倭(일본)와의 해상교류상과 중간 교역로의 거점 역할 또는 그이상의 역할을 담당하였던 것으 로 보인다. 또한 확인된 평면 원형의 주거지는 그 형태뿐만 아니라 내부 온돌시설 등을 참고하면 현재 단계에서는 두만강 유역(연해주)에서 동해안의 해로를 이용하여 늑도에 직접 전파된 것으로 추측된다. 이들 철기문화 집단이 해 로를 통하여 늑도까지 도착하였으며 , 정착 후에는 인접한 일본, 낙랑 등지와도 접촉을 시도, 야요기식 토기와 낙랑 계토기, 화폐 등 새로운 문화에도 적응하게 되었다고 생각된다. 늑도 유적은 엄청난 양의 폐기된 토기, 사슴의 반입, 복골, 수많은 수혈 유구, 산중턱에 형성된 패총, 조밀하게 밀 집되고 중복된 주거지 등 일반적인 취락에서 볼 수 없는 특수한 요소들이 많아 단순한 거점취락이나 중간기착지 정 도로 보기 어렵다. 또한 배모양토기, 닫돌 등 항해와 직접 관련되는 유물도 출토되어 늑도 유적의 제의적 성격을 더 욱 짙게 하고 있다. 치아인류학적연구와 mtDNA의 연구결과로 2000년 전 국제적 무역항으로서의 역할을 하던 늑도를 중심으로 한 해상세력집단들은 근거리 항해집단이라기보다는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 연해주에 이르기까지 원거리 항해를 할 정도로 활발하게 대외교류를 하였으며 이를 통해 북방계통의 주민뿐만 아니라 동남아계열을 비롯한 남방계도 유입 되어 정착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Neukdo island have been existed between Southern island and Sacheon. Relics of the Neukdo island is a large-scale remain in Protothree kingdom Era. Since ancient, a sea area near the Neukdo island has been used as an ocean route. Potteries and bronge, iorn, bone instruments, human bones from shell mounds, Oracle bones have excavated in the Neukdo island. Many elements of Chinese culture spread by sea route were transmitted to Korea and Japan. Especially, Han-style relics and Yayoistyle pottery in the Neukdo island is from 1 B.C. to 1 A.D. and there was a sudden decline after 2 A.D. Oracle bone and coin excavated is important materials suggesting the active foreign exchange of ancient people. With these kind of archaeological materials, it was known that the ancient people at south coastregions had the active foreign excaange with merchants of Han’s colony and had monetary system and incantatory ritul like Chinese. When their shapes and ondol system are considered, plain, round house found at Neukdo remains are thought to be directly introduced from the Duman River valley to Neukdo through routes. Near ar hand, there are KraunopkaCulture remains where clay-stripe pottery is excavated. Based on the distribution pattern of dental traits, people of south coast, the Korean Peninsula posses lineages from both a high proportion of north-east Asian population as well as southpredominent groups of east Asian populations. The phylogenetic tree showed that mtDNA sequences od Neukdo bones relative to west Siberian and Indones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