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가족이 함께 하는 한국어 문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

        전한성(Jeon Han-sung),민정호(Min Jung-ho) 국어문학회 2016 국어문학 Vol.61 No.-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족 자녀들과 여성결혼이민자가 겪는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다문화가족 자녀와 여성결혼이민자가 함께 한국어를 공부하는 교육과정을 만들기 위함이다. 특히 본 연구는 학령 전기 자녀들을 학습자로 선정하고 여성결혼이민자를 교수자로 설정했다는 특징이 있다. 다문화가족 자녀와 여성결혼이민자는 한국어 능력이 부족하다. 다문화가족 자녀는 정체성의 혼란과 부모와의 갈등, 학업의 어려움과 대인관계결핍이라는 어려움을 겪는다. 따라서 여성결혼이민자들은 가정에서 한국어와 한국문화, 가정교육의 교수자로서의 위치를 잃고 양육 스트레스를 경험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문화가족이 함께 하는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이 프로그램의 특징은 엄마는 교수자로서의 능력을 갖추고 자녀는 놀이와 체험을 통해 한국어와 한국문화, 엄마의 모국을 체험하고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프로그램에서 엄마는 교수자로서의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상담법’, ‘훈육법’, ‘한국어 교수법’, ‘한국 문화’ 등과 관련된 교육을 받는다. 자녀는 엄마를 이해하고 가족 및 친구와 올바른 관계 형성을 위해서 ‘다문화 교육’, ‘예절 및 관계교육’, ‘한국어 화법 교육’, ‘한국어 자모 교육’을 받는다. 그리고 엄마와 자녀는 함께 한국어를 공부하면서 ‘한국어’, ‘한국문화’를 이해하고 서로를 ‘이해’한다. 물론 이때 진행되는 교육은 ‘놀이’와 ‘체험’에 기반을 둔 활동이고 건전한 ‘경쟁’과 ‘협력’도 함께 배울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that married female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 study Korean with and to resolve married female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 difficulties experienced by. In particular, this study is characterized that preschool children selected by the learner and married female immigrants was set up as a teacher. Married female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 lack proficiency in Korean. That’s why the children suffer from Identity confusion, interpersonal difficulties, conflicts with parents and the difficulty of learning. Married female immigrants lose their position as a teacher in Korea and Korean culture and home education at home and experience parenting stress. For solve this problem, it proposes ‘The korean learning program with a multicultural family’. Features of the program is that the mother has the ability as a teacher and that the children understand the culture of Korea, Korean and the country of mother. In this program, the mother receive training related to the Korea Culture, consultation process, discipline law, korean didactics to furnish abilities as a teach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mother and to make right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family, the children were educated in multicultural Education, manners and relationships education, Korean Speech education, education Korean alphabet. While studying the Korean language with mother and children, they can understand Korean culture, even understand each other. The training course is being conducted activity based on "play" and "experience" and the children can learn ‘healthy competition" and "cooperation" together.

      • KCI등재

        가족 안으로 들어온 한국의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실험

        양현아(Hyunah Yang) 한국법학원 2013 저스티스 Vol.- No.134

        본 논문은 한국의 ‘다문화주의’를 결혼이주현상을 중심으로 고찰하여 한국의 다문화주의의 성격을 이론적으로 파악한 다음, 향후 정책에 대해 몇 가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법과 사회’ 연구의 시각 아래 법여성주의의 자원을 끌어오는 방법론을 취하고 있다. 먼저, 이 글은 다문화가족 현상에 대한 일반적 추이를 살펴본 후, ‘결혼중개업의 관리에 관한 법률,’ 국적법, 민법 중 혼인관련 규정 등을 중심으로 관련 정책과 실제 현실을 살펴본다. 여기서, 국제결혼의 형성에 대해서는 그 졸속과정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이에 대한 관련법의 실효성 확보 및 공적책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결혼 이후에 대해서는 한국인 배우자 및 그 가족에게 결혼이주민의 한국내 체류자격과 국적취득 여부가 크게 달려 있는 구조가 지닌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한국의 다문화 현상이 기존의 다문화주의와는 많이 다르다는 점을 지적하는데, 한국의 다문화 현상이 이민족집단의 형성이 아니라 혼인을 매개로 하여 사적 가족의 ‘내부로’ 진입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한다. 특히 결혼이민자의 70% 이상이 여성이라는 점에서 한국의 다문화현상은 민족적 현상일 뿐 아니라 강력한 성별적 현상이기도 하다. 이에 한국의 다문화정책의 성공은 사적 영역 그리고 여성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요청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기존의 결혼이주정책에서 볼 때, 혼인의 형성단계에서는 거의 무방비의 방임상태로 두었다가, 혼인이후 외국인(여성)배우자들에 대한 국내체류 자격 등 판단에 있어서는 대부분의 권한을 가족내에 준다는 점에서 한국의 정책은 ‘가부장적 가족주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진단한다. 사적 사안에 대해 공적으로 적절히 개입할 수 있는 기준이 부족하다는 점에서 기존 정책이 ‘공/사영역 이분법’을 채용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가족을 하나의 조화로운 단위로만 보는 법의 시각에서는 가족안의 권력관계에 대해 맹점이 생길 수밖에 없다. 이러한 분석에 기초해서 결론에서는 아래의 점들을 제안한다. 첫째, 국제결혼의 형성 단계에서 적절한 심사절차를 두는 것이 다문화 가족의 안정을 위해 무엇보다 중요하다. 비자 발급과 혼인신고에 있어서 심사절차를 실질화하여 사기나 인신매매성 혼인을 방지해야 한다. 둘째, 외국인 배우자가 국내에 이주한 다음, 국내의 합법적 체류를 위하여 한국인 배우자에게 배타적으로 의존하지 않아도 될 ‘제3의 시민영역’의 형성이 필요하다. 셋째, 가족 사안에 대해서도 인권법적 원리가 적용된다는 시각이 절실히 요청된다. 넷째, 성혼이나 이혼, 별거 등의 사항에 관해 국제결혼을 내국인 결혼과 마찬가지로 대할 것이 아니라 그 기반이 취약한 외국인 배우자 혹은 그의 자녀를 포함하는 국제결혼에 대해서는 ‘다른 대우’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다문화 가족의 정의와 인권의 문제는 ‘비다문화가족’의 문제이기도 하다. 가족을 통한 다문화주의의 안착은 한국사회에 차이의 공존과 존중의 가치를 전파해 주고, 기존의 가족정책을 보다 성숙하게 하는 계기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intends to critically review the ‘multiculturalism’ focusing on the ‘marriage-migration’ and tries to find some suggestions for the future. It will employ the ‘law and society’ approach and rely on insights of the legal feminism. The study firstly investigates the general trends in the international marriages and marriage migration in Korea. Then it examines the statutes such as ‘Act on the Regulation of Marriage Brokerage (Marriage Brokerage Law),’ ‘Nationality Law,’ and Family Law in Civil Code in relations with the social reality and practices. In the phase of marriage formation, the study notes the rapid and inhumane procedure of matchmaking, especially the one mediated by the commercial marriage brokerage, and thus emphasizes the necessity of full utilization of the related laws, particularly the recently revised articles of the ‘Marriage Brokerage Law.’ It also put great importance on setting the proper ‘public’ criteria in providing the visa and registrating the marriage. Regarding the post-marriage phase, it points out the problems in the structure of foreign spouses’ almost exclusive relying on the Korean spouse in order to renew the visa status and to get the Korean nationality. Based upon the analysis, the study delineates the uniqueness of the multiculturalism in Korea that is different from the one found in the West. Unlike constituting a discrete ethnic community, the multicultualism in Korea has mostly been realized or should be realized in the family - ‘the private arena.’ The fact that the spouse abroad get into the family in Korea, the family has been the very place of ‘multicultural experiment’ in process. Moreover, that fact that over 70% of international marriage has it been the woman to immigrate testifies the multicultural family in Korea is the phenomena to mostly require the proper understanding of the ethnic and gender discrimination, and deal with these discrimination. Nonetheless, the preexisting policy tends to remain the lesser-faire attitude in the phase of marriage-formation, and to provide strong power to Korean (mostly male) spouse to tell the truth about the state of foreign spouse in Korea. In this sense, the policy has never been free from the ‘patriarchal familism’ and the bias in the dichotomy of ‘the public/private sphere.’ In conclusion, the article provides several suggestions such as importance of public investigation and responsibility in permitting the international marriage in order to prevent the fraud and abuses in human rights. It also suggests ‘different treatment’ of the international marriage to compare the domestic marriage in deciding the divorce and fake marriage, etc. In treating the ‘multicultural family,’ the court and the state should be strictly bound to the Constitution and the Human Rights laws rather than the vague notions of ‘harmony in the family.’ The fruits from the experiment or the challenge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would not be limited in those families, but extend to the entire families in Korea.

      • KCI등재

        가족치료의 한국적 적용에 대한 문헌분석

        박우철,김수지 한국가족치료학회 2015 가족과 가족치료 Vol.23 No.4

        Objectives: This study reviewed the literature on the application of western-developed family therapy in Korea. Methods: The review identified three large categories of studies: theoretical studies of Korean family and culture, clinical recommendations, and research on family therapy models. The theoretical studies of Korean family and culture were categorized into four subjects: (1) pioneer studies, (2) studies of Korean traditional problem-solving methods, (3) application of sociocultural concepts to Korean culture, and (4) empirical studies of Korean culture and family. Results: Although the reviewed studies have contributed to the knowledge of Korean culture and family, most studies have depended primarily on the authors’ subjective, and thus arbitrary, interpretation and judgments. This reveals a need for more objective, systematic studies in the future. Conclusions: The authors proposed several types of future studies to help ensure continual improvement of culturally-tailored family therapy in Korea. 본 논문은 서구에서 개발된 가족치료의 한국적 적용을 위한 한국가족치료학계의 연구적 노력을 고찰하기 위해 가족치료관련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중에서 가족치료의 한국적 적용을 다룬 29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연구주제에 따라 문헌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분석대상 연구들은 크게 1. 가족치료의 한국적 적용을 위한 기초연구 2. 한국문화를 고려한 일반적 임상제언 3. 개별가족치료모델의 한국적 적용을 위한 연구라는 대주제로 분류되었다. ‘가족치료의 한국적 적용을 위한 기초연구’의 대주제는 다시 (1) 문제의식의 태동 (2) 전통적 문제해결방식에 대한 고찰 (3) 비교문화 개념을 중심으로 한 연구 (4) 실증적 접근의 소주제로 분류되었다. ‘개별가족치료모델의 한국적 적용을 위한 연구’의 대주제는 개별모델들이 가지는 강점과 제한점을 중심으로 상세하게 논의되었다. 고찰된 연구들은 주로 문헌연구를 통해 한국가족의 문화적 특성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임상적 제언들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남겼다고 평가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고찰을 토대로 문화이해와 임상실천과 관련한 이슈들을 논의한 후, 한국적 가족치료의 계속된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고 사료되는 향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가족 안으로 들어온 한국의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실험

        양현아 한국법학원 2013 저스티스 Vol.134 No.2

        This article intends to critically review the ‘multiculturalism’ focusing on the ‘marriage-migration’ and tries to find some suggestions for the future. It will employ the ‘law and society’ approach and rely on insights of the legal feminism. The study firstly investigates the general trends in the international marriages and marriage migration in Korea. Then it examines the statutes such as ‘Act on the Regulation of Marriage Brokerage (Marriage Brokerage Law),’ ‘Nationality Law,’ and Family Law in Civil Code in relations with the social reality and practices. In the phase of marriage formation, the study notes the rapid and inhumane procedure of matchmaking, especially the one mediated by the commercial marriage brokerage, and thus emphasizes the necessity of full utilization of the related laws, particularly the recently revised articles of the ‘Marriage Brokerage Law.’ It also put great importance on setting the proper ‘public’ criteria in providing the visa and registrating the marriage. Regarding the post-marriage phase, it points out the problems in the structure of foreign spouses’ almost exclusive relying on the Korean spouse in order to renew the visa status and to get the Korean nationality. Based upon the analysis, the study delineates the uniqueness of the multiculturalism in Korea that is different from the one found in the West. Unlike constituting a discrete ethnic community, the multicultualism in Korea has mostly been realized or should be realized in the family - ‘the private arena.’ The fact that the spouse abroad get into the family in Korea, the family has been the very place of ‘multicultural experiment’ in process. Moreover, that fact that over 70% of international marriage has it been the woman to immigrate testifies the multicultural family in Korea is the phenomena to mostly require the proper understanding of the ethnic and gender discrimination, and deal with these discrimination. Nonetheless, the preexisting policy tends to remain the lesser-faire attitude in the phase of marriage-formation, and to provide strong power to Korean (mostly male) spouse to tell the truth about the state of foreign spouse in Korea. In this sense, the policy has never been free from the ‘patriarchal familism’ and the bias in the dichotomy of ‘the public/private sphere.’In conclusion, the article provides several suggestions such as importance of public investigation and responsibility in permitting the international marriage in order to prevent the fraud and abuses in human rights. It also suggests ‘different treatment’ of the international marriage to compare the domestic marriage in deciding the divorce and fake marriage, etc. In treating the ‘multicultural family,’ the court and the state should be strictly bound to the Constitution and the Human Rights laws rather than the vague notions of ‘harmony in the family.’ The fruits from the experiment or the challenge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would not be limited in those families, but extend to the entire families in Korea. 본 논문은 한국의 ‘다문화주의’를 결혼이주현상을 중심으로 고찰하여 한국의 다문화주의의 성격을 이론적으로 파악한 다음, 향후 정책에 대해 몇 가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법과 사회’ 연구의 시각 아래 법여성주의의 자원을 끌어오는 방법론을 취하고 있다. 먼저, 이 글은 다문화가족 현상에 대한 일반적 추이를 살펴본 후, ‘결혼중개업의 관리에 관한 법률,’ 국적법, 민법 중 혼인관련 규정 등을 중심으로 관련 정책과 실제 현실을 살펴본다. 여기서, 국제결혼의 형성에 대해서는 그 졸속과정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이에 대한 관련법의 실효성 확보 및 공적 책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결혼 이후에 대해서는 한국인 배우자 및 그 가족에게 결혼이주민의 한국내 체류자격과 국적취득 여부가 크게 달려 있는 구조가 지닌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한국의 다문화 현상이 기존의 다문화주의와는 많이 다르다는 점을 지적하는데, 한국의 다문화 현상이 이민족집단의 형성이 아니라 혼인을 매개로 하여 사적 가족의 ‘내부로’ 진입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한다. 특히 결혼이민자의 70% 이상이 여성이라는 점에서 한국의 다문화현상은 민족적 현상일 뿐 아니라 강력한 성별적 현상이기도 하다. 이에 한국의 다문화정책의 성공은 사적 영역 그리고 여성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요청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기존의 결혼이주정책에서 볼 때, 혼인의 형성단계에서는 거의 무방비의 방임상태로 두었다가, 혼인이후 외국인(여성)배우자들에 대한 국내체류 자격 등 판단에 있어서는 대부분의 권한을 가족내에 준다는 점에서 한국의 정책은 ‘가부장적 가족주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진단한다. 사적 사안에 대해 공적으로 적절히 개입할 수 있는 기준이 부족하다는 점에서 기존 정책이 ‘공/사영역 이분법’을 채용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가족을 하나의 조화로운 단위로만 보는 법의 시각에서는 가족안의 권력관계에 대해 맹점이 생길 수밖에 없다. 이러한 분석에 기초해서 결론에서는 아래의 점들을 제안한다. 첫째, 국제결혼의 형성 단계에서 적절한 심사절차를 두는 것이 다문화 가족의 안정을 위해 무엇보다 중요하다. 비자 발급과 혼인신고에 있어서 심사절차를 실질화하여 사기나 인신매매성 혼인을 방지해야 한다. 둘째, 외국인 배우자가 국내에 이주한 다음, 국내의 합법적 체류를 위하여 한국인 배우자에게 배타적으로 의존하지 않아도 될 ‘제3의 시민영역’의 형성이 필요하다. 셋째, 가족 사안에 대해서도 인권법적 원리가 적용된다는 시각이 절실히 요청된다. 넷째, 성혼이나 이혼, 별거 등의 사항에 관해 국제결혼을 내국인 결혼과 마찬가지로 대할 것이 아니라 그 기반이 취약한 외국인 배우자 혹은 그의 자녀를 포함하는 국제결혼에 대해서는 ‘다른 대우’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다문화 가족의 정의와 인권의 문제는 ‘비다문화가족’의 문제이기도 하다. 가족을 통한 다문화주의의 안착은 한국사회에 차이의 공존과 존중의 가치를 전파해 주고, 기존의 가족정책을 보다 성숙하게 하는 계기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가족치료에서의 자격제도화 : 현황과 과제

        전영주,최연실 한국가족치료학회 2005 가족과 가족치료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치료 분야의 자격증 제도의 현황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진단하여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미국과 한국의 가족치료 자격제도에 대한 문헌 및 관련학회 의 인터넷 사이트 검색과 문헌분석을 주요한 연구 방법으로 사용하였다. 본고에서는 첫째, 미국의 가족치료 자격제도를 살펴보고 가족치료와 관련된 AAMFT, AFTA, APA산하의 FP, IAMFC 등의 대표적인 학회의 활동과 자격규정을 고찰하였다. 둘째, 한국의 가족치료(상담) 자격규정의 현황을 고찰하기 위해 가족치료 자격증을 발급하는 주요 학회인 한국가족치료학회, 한국상담학회 산하 가족상담학회, 한국가족관계학회 등의 자격 제도 현황을 고찰하였다. 셋째, 역사가 상대적으로 긴 미국의 가족치료 자격제도와 비교할 때 나타나는 한국의 가족치료 자격제도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가족치료 자격제도화의 과제와 방향에 대하여 논하였다.

      • KCI등재

        한국가족 다양화담론의 다양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문소정(So-Jeong Moon)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08 아시아여성연구 Vol.47 No.2

        본 연구는 1990년대 이후 한국 사회의 가족이 겪고 있는 변화, 즉 핵가족의 정상성 해체와 가족의 다양성을 거시적으로 접근한 다양화론이 통일되어 있지 않다는 것에 주목하고 그 정치적 성격이 매우 상이한 것에 기초하여 세 가지 한국가족 다양화담론을 재구성하고, 이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재구성한 세 가지 한국가족 다양화담론은 아노미 다양화담론, 해체 다양화담론, 포스트모던 다양화담론이다. 아노미 다양화담론, 해체 다양화담론, 포스트모던 다양화담론은 1990년대 이후 한국가족에서 일어나고 있는 핵가족의 정상성 해체 및 다양성을 대상으로 하지만, 이러한 가족변화를 보는 정치적 입장이나 가족정책이 동일하지 않다. 그 차이성을 가족다양화에 대한 상황정의, 강조하는 다양한 가족유형, 가족다양화의 원인, 가족정책 등의 정치적 쟁점에 초점을 맞추어 비교하였다. 이러한 비교 결과 각각의 한국가족 다양화담론은 한국가족의 양극화 속의 가족들간(families)의 다양한 차이(별)성, 하나의 가족(family)가 내포하는 다양한 차이(별)성을 드러내지 못하는 한계가 없지 않다. 특히 다양화라는 개념은 한국가족변화가 지닌 계급(층)적 차별성을 다원적 의미의 수평적 차이성을 갖는 것으로 채색하는 정치적 효과가 있다. 이러한 다양화담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한국가족의 변화를 양극화 속의 다양성과 특정 가족의 계층별, 성별, 연령별 질적 차이성 및 차별성을 드러낼 수 있는 한국가족 변화론의 재구성이 필요하다. 아울러 이러한 인식의 전환에 기초한 다양한 가족들간, 특정 가족의 계급(층)별, 성별, 연령별에 따른 다양한 차이성이 아니라 차별적 다양성을 규명하는 실증적 연구가 축적되어야 한다. This study examines critically diversity of diversification discourses about Korean family since the 1990s. Consequently, three type of discourses are discovered. Namely, they are anomie diversification discourse, deconstruction diversification discourse and post-modern diversification discourse, which has been suggested since the 1990s. However there is, still, serious differences among three discourses in some family issues. First, anomie diversification discourse interprets the diversity of Korean family as the ‘anomie state'. However, Korean anomie diversification discourse does not accept the post-modern rhetoric in Western family. So, anomie diversification discourse differs from the post-modern discourse. Second, through deconstruction diversification discourse, the diversity of Korean families as the ‘deconstruction' of the modern-nuclear family has bees shown. This discourse suggests that ‘deconstruction' of modern-nuclear family be the crisis of Korean family, which can't be solved without changing Korean political-economic status as part of global capitalist system. Third, post-modern diversification discourse insists the diversity of Korean families be characterized by the post-modernity and be viewed as ‘development'. In conclusion, through those three diversification discourses, we cannot understand the change of Korean family. To solve this problems, it is necessary to build family theories on the polarization of Korean family from the historical context of political-economics.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육의 현황 및 발전 방향 - 다문화가정지원센터에서의 한국어 교재와 쓰기 교육을 중심으로 -

        최권진,송경옥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4 한국언어문화학 Vol.11 No.3

        최근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의 통계자료에 의하면 결혼이민자는 15만 명이 넘어 매년 그 수가 증가하고 있다. 한국 정부는 결혼이민자의 조기 정착을 위해 한국어 교육, 다문화가족통합 교육, 다문화가족취업연계 및 교육지원 등 많은 정책을 실행해 오고 있다. 이 가운데 한국어 교육은 전국 212개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통 한 집합교육, 방문교육, 온라인 교육, 방송교육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국제결혼을 통해 한국에 온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교육의 실제를 다룬다. 먼저 다문화가족지원 센터에서 여성결혼이민자를대상으로 한국어를 교육할 때 사용되는 교재와 교사 지침서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실시되는 한국어 쓰기 교육의실태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쓰기 능력 신장을 위한 개선 방안을 모색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능력을향상하기 위해 여러 고려할 사항을 제안하 고 있다. 먼저 한국어를 배우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다양한 목적이 교재에 포함되어야 한다. 특히 사회 활동과 관련된 주제와 내용이 교재에 더욱 적극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 현 교재는 언어의 네 기능이 통합되어 교육되 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학습자의 수준에 맞게 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즉 초급 단계에서는 말하기와 듣기가 강 조되지만 한국어 수준이 높아지면서는점차 읽기와 쓰기가 더욱 중요시되어야 한다. International marriages in Koreaare not any more unfamiliar.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the ImmigrationOffice of Korea, as of April 2014 the numbers of international marriagesare 152,020 and every year it is increasing. 85.3% of them are women and14.7% are men. The Government of Republic of Korea has been makingplenty of efforts for their early settlements in Korea. The efforts are suchas Korea language teaching, education for integration of multiculturalfamilies into the Korean society, education and support for employmentof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has beenfulfilled via various media such as 212 multicultural family supportcenters nation-wide, on-line internet services and education broadcastingservice, etc. This paper studies the teaching of Korean to female immigrants who havecome into Korea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s. It examines the currentsituation of teaching Korean writing which is currently being conductedat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nd makes analyses on textbooks and teachers’ guide books used at the centers. This research is performedwith the intention of increasing the competence of the Korean languageuse of female immigrant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show that the following points must be takeninto consider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writing competence of femaleimmigrants. The Korean textbooks must include various purposes forwhich the female immigrants learn Korean. Especially subjects andcontents concerned the social activities have to be reflected more activelyin the textbooks. Currently the four language skills are taught integrated,but differentiated emphasis must be given according to the levels;Speaking and listening is given more attention at the beginner’s level, andgradually reading and writing must get more attention at the upper levels. In addition, the teachers’ manuals must be composed in more specificdetails so that even teachers with no previous experience can lead moresystematic classroom activities for writing.

      • KCI등재

        광주광역시 다문화가족 지원 사업에서의 한국어교육 정책 개선방안

        이관식(Lee, Kwon-sik)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0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7 No.-

        본고는 광주광역시 ‘다문화가족 지원 사업’에서의 한국어교육 지원정책 실태와 이 지역 다문화가족 지원 관련 기관.단체의 한국어교육 현황을 살펴 본 뒤 이의 문제점을 점검해 보고 그 개선 방안을 제시한 연구물이다. 연구 결과 한국어 학습자 실태조사 통계 수치의 부정확 및 단기적.일회성 성격의 사업이 많은 점 등의 지원 정책의 비효율성, 한국어교육이 포함된 다문화가족 지원 사업에 대한 재정 지원 부족, 그리고 한국어교육에 대한 지원체계 미비 등을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었고, 한국어교육 지원정책의 개선 방안으로는 관련 현황의 정확한 통계 수립, 지원 정책의 다양화와 특성화, 효율적 지원 정책 개발 및 운영 , 다문화가족 지원 센터의 증설, 한국어교육지원 체계의 강화, 그리고 지역 거버넌스 체제의 확립 등을 제시해 보았다. 다문화가족 지원과 관련한 각종 실태 조사 결과에 의하면 의료, 법률 지원도 원하지만 무엇보다도 한국어교육에 대한 요구가 대단히 높다. 이처럼 다문화가족들 에게 한국어교육의 필요성이 강하다는 것은 일회적.형식적이 아닌 지속적인 교육을 바란다는 것임은 물론 수준별 요구에 부응하는 다양한 단계의 교육을 원하는 것이며, 나아가 더 높은 단계의 심화교육도 요구한다는 점을 이해하고 인식해야 한다. 그리하여 관련 기관에서는 다문화가족 지원 사업에서의 한국어교육 부문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갖고 새로운 지원정책을 설계하고 수행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s to and analyze problems with the policy suppor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rnmarized as follows: l. Problem with the policy suppor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inaccuracy of the survey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rt- term and one- off programs lack of specialized projects and programs shortage of financial support for programs suppor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limitation of national policy support; and lack of competence and functions of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2. Measures to improve the policy suppor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accurate survey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pecialization and diversification of the policy suppor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establishment of a central office for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effective support and financial expansion of the policy suppor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strengthening the support system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establishment of a local governance system.

      • KCI등재

        한국 국제가족법의 회고와 과제

        최흥섭(Choi, Heung-Sub) 한국국제사법학회 2018 國際私法硏究 Vol.24 No.2

        이 논문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2001년 한국국제가족법의 전면개정 이후 학설과 판례의 발전을 뒤돌아보는 것이고, 또 하나는 현재 한국국제가족법의 과제를 제시해보는 것이다. 우선, 그동안 우리 국제가족법에 관한 학설과 판례를 검토해본 결과, 만족할만한 성과는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다음으로, 한국국제가족법의 과제에 대해 필자의 생각을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국제가족법에서 좀 더 적극적으로 인권문제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둘째, 한국국제가족법에서도 현대사회의 가족관계의 변화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국제적 협력을 위해 국제가족법에 관한 헤이그협약에 가입할 필요가 있다. 넷째, 유럽 국제가족법에서 나타나는 연결점의 변화에 주의를 기울여야한다. 다섯째, 상거소 개념에 관한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여섯째, 2007년의 헤이그부양준거법의정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일곱째, 성명준거법에 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여덟째, 입양준거법에서 부부 입양시의 준거법 문제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wofold. One is to look back on the developments of doctrines and precedents since the revision of the 2001 International Family Law in Korea. Another is to present the challenges of the current Korean International Family Law. First, I reviewed the doctrines and precedents of the International Family Law in Korea, and found unfortunately that there was no abundant result in them. Next, my thoughts on the challenges of the Korean International Family Law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is a need to take more active consideration of the human rights issue in the Korean International Family Law. Secondly, Korean International Family Law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changes in family relations in modern society. Thirdly, it is necessary to enter into the Hague Conventions on International Family Law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Fourthly,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change of the connecting factors in the International Family Law in Europe. Fifthly, it is necessary to study deeply the concept of the habitual residence in the international family law. Sixthly,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Hague Protocol of 2007 on the Law Applicable to Maintenance Obligations. Seventhly, we need to reconsider the law applicable to name. Eighthly, in the international adoption,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applicable law when a couple adopts children.

      • KCI등재

        한국 현대미술에 반영된 가족 이미지

        박영택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9 시민인문학 Vol.17 No.-

        미술은 늘 당대의 삶에서 유래하는 핵심적 문제를 시각적으로 해명하고자 한다. 미술은 그런 의미에서 시대를 보는 초상이자 현실을 비추는 거울 같은 것이다. 작가들은 자신들이 사는 시대를 한 개인으로서, 일상의 삶을 사는 인간으로서 똑같이 겪어내면서 이를 미술적으로 형상화하는 이들이다. 특히나 미술이 삶의 문제를 조명한다고 했을 때 무엇보다도 위기적인 삶의 문제가 우선적으로 대두 될 것이다. 최근 한국 현대미술에서는 유독 가족을 다룬 작업들이 많아졌다. 그만큼 가족이 문제적이거나 위기이기에 그럴 것이다. 이 글은 한국 근. 현대미술에 반영된 가족이미지를 찾아보았다. 각 시대를 겪으면서 가족 개념이 어떻게 변화되어갔으며 그것이 또 어떤 식으로 미술작품에 표현되어 왔는지를 추적해보았다. 한국근현대미술사에 투영된 가족의 이미지는 당대의 가족관계, 가족 개념의 변천사를 압축해서 보여준다. 한국전쟁은 가족문제를 그 어떤 것보다 절실한 것으로 부각시켰다. 상당수가 가족구성원과의 이별, 죽음, 이산과 망향의 고통을 격어내면서 가족의 소중함을 뼈저리게 체득하는 동시에 전통적인 가족주의는 조각나 버렸고 현실적인 가족은 가난과 불구적인 것이었을 뿐이다. 그런 상처는 단란하고 이상적 가족상을 역설적으로 꿈꾸게 했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제 가족은 많은 이들의 정신적 외상으로 자리잡게 된다. 1970년대 급속한 근대화, 산업화는 농촌경제에 기반한 전통적인 가족주의를 송두리째 흔들어놓았다. 이농에 따라 도시빈민노동자로 살아가는 가난하고 소외된 이들의 가족문제가 불거졌고 따라서 당시 한국사회의 모순을 가족을 통해 고발하는 작업들이 등장했다. 80년대 이후 페미니즘적 시각에서 기존 가부장적 가족제도가 비판되고 새로운 가족제도의 정립이란 논의가 모색되는 한편 제도로서의 가족이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했다. 최근에 작가들은 이전과는 무척 달라진 새로운 형태의 가족제도나 가치관의 혼란에 따라 가족제도 자체가 의문시되고 해체를 겪어나가는 것을 묘사하고 있다. 이렇듯 가족을 소재로 다룬 미술 속에는 세계에서 유래가 없을 정도로 전통과 현대의 현기증 나는 교차와 변질의 시간을 체험해온 한국의 근.현대사의 표정이 적나라하게 엉켜있다. 이렇게 가족을 다룬 이미지에는 한 사회의 모든 것들이 응축되고 저장되어 있는 것이다. Art always explains core issue caused from the lives of due period visually. In this meaning, art is like a portrait showing the period or a mirror reflecting the reality. Artists are those who shape the times they live as art going through this as individuals and human in daily life. In particular, when highlighting the matter of life by art, above all, the issue of critical life will be emphasized. Currently in Korean modern art, the works with the theme of family have been increased. As shown from this, the family is in problem or further in crisis. This paper searched the family image reflected to Korean modern arts. We traced how family concept has been changed through each period and how it was shown to art works. The image of family reflected to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art shows family relation of due period and changing history of family concept. The family issue has been emphasized most urgently than any other issues by Korean War. Traditional concept of family was broken while the importance of family was recognized going through part with, death of family members, and the pains of losing family and hometown, and finally real concept of family left only poverty and abnormality. Ideal family concept may be dreamed by everyone due to these pains. However, now the concept of family has been settled as mental trauma to many people. Rapid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in 1970's dissolved traditional family concept based on agricultural economy. As farmers moved to the city, family matter of those who live as urban poor labors and are isolated have become an issue, and the works which showed contradiction of due Korean society through family have emerged. After 1980's, existing patriarchal family system began to be criticized in feminism vision, establishment of new family system was discussed, and the family as a system began to discuss. Currently, artists descript the dissolution of family system itself according to new type of family system or disorder of traditional value. Like this, the art which makes the family as the material for work shows the expression of the Korean modern histories as they were which have been going through crossing and change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The image which shows the family condenses and stores all things of a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