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농수산대학 졸업생의 영농정착률 제고 방안

        김진모,주대진,길대환,황영훈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1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1) to examine the causes of the deferred farming practice or the repayment of tuition waivers among the graduates from NCAF(the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and 2) to establish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sustained farming practice ratio of NCAF graduates. For this purpose, literature reviews on NCAF including its internal document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current situation of NCAF graduates who deferred farming practice or paid back their tuition waivers after graduation. And for further analysis a survey instrument was develop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telephone interviews were conducted using the survey instrument. The responded survey results of 88 out of the total 242 graduates who deferred farming practice or paid back their tuition waiver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jor three causes of deferring farming practice and paying back tuition waivers were the lack of foundational resource, low farming households income, and conflicts with their parents. Also, the minor causes were in the following order: the lack of farming skills and experiences, difficulties in finding a spouse, giving up farming after marriage, and heavy workload in farming.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auses of deferring farming practice or paying back of tuition waivers among the NCAF graduates, subject matter experts and the research team established five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sustained farming practice ratio: 1) improvement of the freshmen selection system of NCAF, 2) improvement of the start-up support system for farming successors, 3) customization of the farm business start-up funds according to their specialties and major fields of farming, 4) improvement of the obligated farming practice system, and 5) role specification and enhanced liaison among NCAF,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and local governments in supporting NCAF graduat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foundational information for supporting NCAF graduates’ starting-up farm business and their farming practices. 이 연구는 한국농수산대학 졸업생 중 영농유예 및 학비상환자들의 특성과 원인을 구명하고 이들의 영농정착률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수립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농수산대학 관련 문헌과 내부자료 분석을 통해 영농유예 및 학비상환 졸업생들의 현황을 파악하고, 그 원인을 분석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원인분석 도구를 활용하여 한국농수산대학 졸업생 중 영농유예 및 학비상환자 전체 242명을 대상으로 전화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조사에 응답한 88명의 결과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영농기반 부족, 농가소득 부족, 부모와의 갈등이 주요한 원인으로 나타났고, 이어서 영농기술 및 경험부족, 결혼문제, 결혼 후 영농이탈·영농노동량과다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한국농수산대학 영농유예 및 학비상환의 원인 분석결과를 토대로 연구진회의와 전문가협의회를 통해 다섯 개의 영농정착률 제고 방안을 수립하였다. 첫째, 한국농수산대학의 신입생 선발 시스템 개선, 둘째, 후계농 창업지원제도 개선, 셋째, 영농현실을 고려한 영농분야 및 전공에 따른 맞춤형 지원방안 수립, 넷째, 영농희망자를 고려한 의무영농제도 개선, 다섯째, 한국농수산대학·농림수산식품부·지방자치단체 등 영농창업 및 정착과 관련된 기관들 간의 지원역할 명확화 및 연계강화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한국농수산대학 졸업생의 영농창업 및 영농정착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농수산대학의 개편 요구 분석

        김진모,정철영,나승일,주대진,금지헌,장규선,이은경,이지혜,김선미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0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industry in Korea, the policies of MFAFF(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and the needs for reorganization of KNCAF(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which is the only national college established to cultivate agricultural labor force, for seeking development strategies of KNCAF. In advance, we analyzed the industry trend, the human resource trend, the human resource demand, reports, thesis and statistical data of MFAFF. Then, we conducted survey on the issues about the direction of KNCAF's strategy, reorganization of departments, reinforcing competency of professors, student selection, reforming curriculum, the establishment of institution and a guidance of graduates to understand the needs on reorganization.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were made as follows. First, KNCAF is asked for the role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stitution in regard to the four parts such as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to meet the demand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the government policies. Therefore, it needs to establish the related departments of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Second, it is required to expand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the secondary and tertiary industries, as maintaining establishment purpose and identity of KNCAF. The subjects about the secondary and tertiary industries could be operated as minor curriculum. Third, a long-term practicum needs to be managed substantially through the flexible operation considering major, and by expanding recruitment of workplace professor among its graduates. Forth, it is asked to establish department exclusively for administration and supporting graduates. It needs to support their students efficiently during the mandatory agriculture period as the number of graduates is increasing. 이 연구는 국내 유일의 생산중심 농업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설립된 국립한국농수산대학의 발전방향 모색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우리나라의 농림수산식품업 현황 및 정책의 변화를 분석하고, 한국농수산대학 내부구성원을 대상으로 개편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선 농림수산식품업의 인력 및 산업 현황, 미래 인력 수요, 정책동향 등은 관련 내부자료 및 보고서, 학술논문, 통계 자료 등을 통해 분석하였고, 한국농수산대학 관계자들의 개편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교수, 교직원, 재학생과 졸업생을 대상으로 대학의 방향, 학과 개편, 교수 역량 강화, 학생 선발, 교육과정 개편, 시설 및 기관, 졸업생 지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농수산대학은 인력수요와 정부정책에 부응하여 농업, 임업, 수산업, 식품업 네 분야의 생산 중심 인력 양성 기관의 역할이 요구되었다. 임업, 수산업, 식품업 관련 학과의 신설이 필요하다. 둘째, 한국농수산대학의 설립 목적과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2, 3차 산업의 교육 기회 확대가 요구된다. 2, 3차 산업 분야 과목을 개설하여 부전공의 형태로 운영이 가능하다. 셋째, 장기현장실습은 전공을 고려한 기간의 탄력적 운영과 졸업생의 현장교수 임용 확대 등을 통해 내실 있는 운영이 요구된다. 넷째, 의무영농기간 동안의 관리와 증가하는 졸업생의 지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졸업생 관리 및 지원 전담부서의 설치가 요구된다.

      • KCI등재

        한국농수산대학 장기현장실습 현장교수 역량모델 개발

        박석영,김진모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4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6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of agricultural high school teachers’ e-learning literacy and intention to use e-learning with personal factor (efficacy) and with organizational factors (social support and hindrances) in order to increase e-learning use in school context. Major findings from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identified that e-learning efficacy, social organizational support and computer experience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with e-learning literacy. It could be understood that more e-learning efficacy, better social organizational support, longer experience, and then higher e-learning literacy exist. Second, it was determined that social organizational support as an independent variable affected positively teachers’ intention to use e-learning. Based on the results teachers’ e-learning literacy should be enhanced for facilitation e-learning use in their schools. Further, it is proposed that instructional method and various materials regarding e-learning should be provided to teachers as social organizational support. 이 연구는 한국농수산대학 장기현장실습 현장교수의 역량 모델 개발을 통해 현장교수의 선발, 교육훈련, 평가의 준거로 활용하여 장기현장실습 교육을 보다 더 체계화시키고자 수행되었다. 한국농수산대학은 현장 농어업경영인 양성을 위해 국가에서 설립한 3년제 전문대학으로 1학년과 3학년은 학교에서 이론과 실습을 통한 교육을 이수하고, 2학년은 대학이 선정한 농어업경영체에서 장기현장실습을 하고 있으며, 장기현장실습장에서 실습학생의 교육을 담당하는 자를 ‘현장교수’라 명하고 있다. 현장교수는 일반대학의 교수와는 달리 생업으로 농어업을 경영하면서, 부가적으로 학생의 현장실습을 지도하는 교수자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현장교수는 농어업경영자로서의 역할과 교수자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어, 역량의 정의도 농업경영자로서의 역할과 실습학생을 가르치는 교수자로서의 역할에 따른 역량으로 구분하였다. 즉, 각각의 역할에 따른 선행연구의 유사사례를 분석하여 역량군 및 하위역량을 설계하고 각각의 역량에 대한 정의를 하여 잠정역량모델을 구안하였다. 구안된 잠정역량모델의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한국농수산대학의 장기현장실습을 운영하고 있는 전공학과 교수 및 농업경영학 전공 교수, 실습생을 지도하는 현장교수 등 14명으로 전문가 패널을 구성하여, 2차에 걸친 의견수렴과정을 거쳤다. 이를 통해 한국농수산대학 장기현장실습 현장교수의 역량을 경영능력, 생산기술능력, 교수능력, 지도능력, 대외협력 역량 등 5개의 역량군을 도출하였고, 하위 역량으로 계획‧실천력, 정보‧분석력, 협조‧대응력, 전공지식, 전공기술, 실습이해, 실습계획, 실습운영, 실습평가, 사명감‧열의, 인성‧도덕성, 생활지도, 대외협력 등 13개의 역량을 확정하였다.

      • KCI등재

        패널모형을 이용한 농업계 대학 졸업생의 소득과 영농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정다은,강창수,양성범,박용수 (사)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2022 스마트미디어저널 Vol.1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ffecting factors on the income, farming scale, and farming implementation of graduates of the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using panel model. For this, we used a generalized estimation equation among the panel analysis methods. The factors that have a positive (+) effect on income were men, married people, and successive farmers. In the case of parents' cooperative farming, dairy farming or poultry farming, matching the major at the time of graduation with the main items, the income was also high. Factors that have a positive (+) effect on farming scale were unmarried people, parents' cooperative farming, aquaculture cultivation, and poultry farming. The factors that implemented the mandatory farming implementation well were men, married people, parents' cooperative farming, aquaculture cultivation, and pig farming.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help manage and support graduates and enrolled students. 본 연구는 패널모형을 이용하여 한국농수산대학 졸업생의 소득과 영농규모, 영농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패널분석방법 중 일반화추정방정식을 사용하였다. 소득에 양(+)의 영향을 주는 요인은 남성, 자가영농영어자, 기혼자, 후계농업인으로 나타났다. 부모협농, 낙농이나 양계를 하는 경우, 졸업 당시 전공과 주재배 품목이 일치할 경우도 소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농규모에 양(+)의 영향을 주는 요인은 자가영농영어자, 미혼자, 부모협농, 수도작 재배, 양계로 나타났다. 의무영농이행을 잘 이행하는 요인은 남성, 자가영농영어자, 기혼자, 부모협농, 수도작 재배, 양돈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졸업생 및 재학생 관리 및 지원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