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학원폭력 가해, 피해 그리고 대응관련요인

        신성자 慶北大學敎 社會科學大學 2005 社會科學 Vol.17 No.-

        본 연구는 대구 시 소재 인문계 및 실업계 남·녀 고등학생 748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학원폭력 가해경험 및 피해경험은 ‘성별’과 ‘학교유형’에 따라 매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남학생(21.8%)이 학원폭력을 실제로 행사한 경험은 여학생(10.7%) 보다 두 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 중에 절반이상(51.9%)이, 여학생의 경우는 약 1/4이상(25.9%)이 학원폭력을 실제로 당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드러나, 남성성과 폭력성과의 유의미한 관련성이 본 연구에서도 확인되었다. 실업계 남학생(24.6%)이 인문계 남학생(19.2%)보다 학원폭력을 더 많이 행사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인문계 남학생(59.6%)이 실업계 남학생(46.6%)보다 훨씬 더 학원폭력을 실제로 많이 당하고 있는 것과 대조를 보인다. 여학생의 경우에는, 실업계 여학생(15.6%)이 인문계 여학생(6.6%)에 비해 학원폭력 가해경험이 약 2.4배 이상 많았고, 피해경험도 실업계 여학생(31.7%)이 인문계 여학생(20.9%)보다 약 1.5배 이상 많았다. 실업계 여고생은 학원폭력 가해경험과 피해경험이 모두 많은 집단이다. 그리고 가해 및 피해 중복경험 또한 높은 집단으로 추정되어, 학원폭력 고위험군(high-risk group)으로 집중적인 개입이 요청된다. 본 연구는 폭력가해자 및 피해자의 특성과, 폭력상황에서의 적극적 대응과 유의미한 관련요인들을 다양한 영역(인구통계학적 배경, 심리성격, 학교생활환경, 성장 시 폭력경험, 약물, 그리고 학원폭력에 대한 인식 등)에서 탐색하여, 학원폭력 대처를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concerns the (1) prevalence and (2) correlates of both offenders and victims regarding school violence and (3) correlates of individuals' assertive reactions in sexual violence situation. This study is based on the survey by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both 385 male students and 363 girl students in the first grade from 4 different high schools located in Daegu.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t correlates of the 3 major dependent variables-(1) the actual experience in terms of initiating school violence, (2) the actual experience of being harassed in terms of school violence and (3) the perception of individuals' assertive reactions in school violence situation-the step-wise regression (backward) is applied to all 33 of the dependents variables which is composed of 7 general/demographic variables, 8 psychological/characteristic variables, 4 school adjustment related variables, 2 family violence related variables, 2 substance abuse related variables and 10 variables from the various perceptions of the school violence. According to the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I suggest 3 models which is useful in terms of predicting the propensity of offender, victim, and the individuals' ability being able to be assertive by confrontation in school violence situation. These findings give us significant both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 for social work intervention.

      • KCI등재

        남,여 중학생의 학원폭력문제 의식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연구

        신성자(Sung Ja Shin) 한국아동복지학회 2011 한국아동복지학 Vol.- No.36

        본 연구는 526명의 청소년을 연구대상으로, "전반적인 폭력에 대한 인식", "비주장성", "친사회적 행동성" 그리고 "폭력피해경험"이 "학원폭력문제 의식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였다. 분석방법은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변수들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고, 성별비교를 위한 다집단분석, 계수차이검증에 근거한 구조동일성 모형검증, 매개검증, 잠재평균분석과 Cohen의 효과크기검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학원폭력 피해경험"은 "학원폭력문제 의식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여학생들의 경우, "학원폭력 피해경험"과 "학원폭력문제 의식화"수준은 오히려 반비례하였다. "학원폭력 피해경험"이 "학원폭력문제 의식화"에 미치는 영향에 성별변인은 조절변수로 작용하였다. "전반적인 폭력에 대한 인식"은 "학원폭력문제 의식화"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친사회적 행동성"도 "학원폭력문제 의식화"에 직·간접적인 효과를 주었다. "비주장성"과 "학원폭력 피해경험"과는 정적관계가 있었고, "학원폭력문제 의식화"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는 않았지만, "친사회적 행동성"을 완전매개로 "학원폭력문제 의식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잠재평균 분석결과 "비주장성"과 "학원폭력피해경험"에서만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With the increasing concerns of victimization of school violence, this paper is intended to present a pioneering study on the victims` conscientization which may result from their own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by peers. The predominant concern of the study consists in: (1) the direct effects of individuals` perception toward violence in general, non-assertiveness, school violence experience by peers, and prosocial behavioral tendency on the individual conscientization of school violence problems; (2) the indirect effects of both individual prosocial behavioral tendency and perceptions toward violence through non-assertiveness on individual conscientization of school violence problems; (3) the sexual differences of the five latent variables(perceptions toward violence in general, non-assertiveness, prosocial behavioral tendency, school violence experience by peers, and conscientization of school violence problems; (4) the sexual differences of both direct and indirect correlates on conscientization of school violence problems. Research is based on a survey conducted with 526 adolescents (268 males and 258 females) from 16 middle schools located in different districts of the city of Pohang. In order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structural equation models on adolescents` conscientization of school violence are explored. A variety of tests are conducted (configural invariance, metric invariance and structural invariance, intercept invariance, critical ratio for difference test, multi-group analysis, latent mean analysis including Cohen`s effect test).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support the significance of both direct effects and indirect effects of the four latent factors(perceptions of violence in general, non-assertiveness, prosocial behavioral tendency, school violence experience by peers). The individual prosocial behavioral tendency has a positive mediating effect on the enhancement of individual conscientization toward school violence problems. However, we fail to find the direct positive effect of individual violence experience on the conscientization of school violence problems. In conclusion, a range of practical implications for social workers and other related professionals who are engaged in helping out the adolescents with school violence by peers are suggested based on the study findings.

      • KCI등재후보

        청소년 건전육성을 위한 학원 폭력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허성욱 한국효학회 2008 효학연구 Vol.0 No.7

        이 연구는 경기도 소재의 도시지역과 농 어촌권의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학교 폭력 수준은 어느 정도이며 이와 관련된 변인은 무엇인가를 밝혀 학교 폭력 예방을 위한 시사점을 찾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먼저 이 연구 결과 종합적인 학교 폭력 수준은 30.8%로 나타나 심각한 수준을 나타냈다. 그러나 앞선 선행연구의 연구결과와 비교할 때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이러한 학교폭력 차이는 여러 가지 요인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는데 즉 이 연구의 조사대상지역은 공업화와 도시화의 정도가 낮고 학생들의 입시경쟁이 상대적으로 덜 치열하며 대체로 전통적인 가치관이 남아있는 지역이어서 이혼 등에 의한 결손과 집단따돌림(11.1%) 협박(4.4%)의 순으로 이 연구의 결과와는 유사성이 다소 많았다. 또한 학교 폭력은 우려할 수준이며 특히 따돌림이나 언어적 폭력이 만연하여 이에 대한 예방과 대책이 절실히 요청되고 이에 더하여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서 청소년들이 청소년기의 발달과업 달성에 최선을 다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교사가 지각하는 학교업무환경과 학생의 개인특성이 신체적, 비신체적 또래폭력 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신성자,정숙희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0 학교사회복지 Vol.- No.19

        With the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resulted from peer victimization among adolescents at school, this paper intended to empirically examine factors both of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of school environment for job performance perceived by teachers. Research is based on a survey conducted with 566 students and 273 teachers from 16 junior high schools located in different districts of the city of Pohang. Logistic analysis was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by using SAS program. The predominant concern of this study consists in: (1) the correlates on peer victimizations on overall violence, non-physical violence and physical violence; (2) the prevalence of a variety of peer victimization types. In order for subjects to locate the significant correlates on these three distinctive modes(3 dependent variables), 14 independent variables have been set, being divided into 3 categories such as: school environmental variables (6 variables) on the part of teachers; both demographic-social background(5 variables) and perceptual variables regarding violence(3 variables) on the part of studen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bove all, it has been noted that 51.8% of student subjects have experienced peer victimization. The male victims are outnumbered by female victims. Next, the significant correlates on peer victimization among students to each type of violence include: (1) an nonphysical violence type -‘change’(odds ratio 5.042), ‘overburden at work’(3.949), ‘support’(0.327), ‘achievement’(2.208), ‘students' perception on violence’(0.678), ‘peer relationship’(1.321), ‘students' perception on the prevalence of peer violence’(1.32); (2) an physical violence type - ‘gender’(odds ratio 0.293), ‘support’(0.339), ‘students' perception on violence,’(0.378), ‘students' perception on the prevalence of peer violence’(1.410); (3) overall violence -‘change’(odds ratio 4.73), ‘overburden at work’(0.669), ‘support’(p.283), ‘achievement’(2.224), ‘students' perception on violence,’(0.669) ‘economic difficulty’(0.746), ‘students' perception on the prevalence of peer violence’(1.333), ‘lacks of parental care’(1.269), ‘poor academic record’(1.224). In conclusion, the above findings claim our attention in that they provide a range of practical implications, with the emphasis of school environmental factors perceived by teachers, which has been underestimated in previous research.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또래폭력 피해경험에 미치는 요인을 이항 로지스틱분석을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선행연구에서 간과한 ‘교사가 지각하는 학교업무환경변인’과 학생의 개인요인(‘인구사회학적변인,’ ‘폭력인식관련변인’)이 또래폭력 피해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폭력형태(신체적 또래폭력, 비신체적 또래폭력)별로 비교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는 경북 포항시 소재 16개 중학교에서 남녀학생 566명과 교사 273명이다. 이원화된 표본구조를 설정한 것은 독립변인(14개)중에서 학교업무환경 변인(6개)에 대한 정보는 교사응답자로부터 제공받았기 때문이다. 학생표본 자료에 통계절차를 거쳐 처리된 교사표본자료를 병합시켜 분석을 위한 자료(data set)를 구축하였고, 자료 분석은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전체 또래폭력’(신체적 폭력과 비신체적 폭력 모두 포함)피해경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변화성(odds ratio 4.73), 교사부담(3.535), 지지성(0.283), 성취성(2.224), 폭력인식(0.669), 경제적 곤란(0.746), 폭력발생인식(1.333), 부모양육부진(1.269), 성적부진(1.224)이었다. ‘비신체적 또래폭력’에는 변화성(odds ratio 5.042), 교사부담(3.949), 지지성(0.327), 성취성(2.208), 폭력인식(0.678), 또래관계부진(1.321), 폭력발생인식(1.321) 순으로 영향력을 보였고, ‘신체적 또래폭력’에서는 성별(odds ratio 0.293), 지지성(0.339), 폭력인식(0.378), 폭력발생인식(1.410) 순이었다. 분석결과, 교사가 지각한 학교업무환경이 학생 개인의 특성에 비해 또래폭력 피해발생에 미치는 영향력이 훨씬 더 큰 것으로 밝혀졌고, 또래폭력 형태에 따라 관련변인의 특성이 차이가 있었다. 교사와 학생의 ‘지지성’은 모든 형태의 또래폭력을 감소시키는 ‘보호요소’로 기여하였고, ‘변화성’, ‘교사부담’, ‘성취성’은 전체또래폭력피해발생 및 비신체적 또래피해발생을 크게 증가시키는 위험요소로 밝혀졌다. 또래폭력 대책에서 학교업무환경요인을 개선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이라는 것과, 폭력형태에 따라 개입에서의 차별성이 있어야 한다는 것을 제언하였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학생청소년의 폭력 기사에 관한 환경생태학적 연구

        이길홍,이헌재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3

        목 적 : 일간 신문에 게재된 청소년 범죄 기사의 내용 분석을 통해 청소년 폭력을 미연에 예방 및 선도하기 위한 지침을 설정하기 위하여, 최근 11년간 동아일보 및 충청일보에 게재된 청소년 범죄 기사를 대상으로 전수 조사를 실시하였다. 방 법 : 자료 분석에서는 12세에서 21세에 이르는 청소년 연령층의 범죄 기사 681건(남 642건, 여 39건)중에서 학생 범죄기사 261건(남 238건, 여 23건)을 연구 집단으로 선정하고, 비학생 범죄기사 420건(남 401건, 여 16건)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1) 학생집단은 연령이 연소하고 여성이 많은 반면 비학생집단은 고연령층이 많았고 남성이 많았다. 범죄 청소년중에서 학생집단의 비율은 계속 증가 추세를 보인 반면 비학생집단은 최근 감소하고 있었다. 2) 학생집단은 폭력범이나 절도범이 많았고 집단범죄가 많은 반면 비학생 집단은 강력범이 많았고 단독 범죄가 많았다. 학생집단의 범행 시간은 오후가 많은 반면 비학생집단은 밤중에 흔히 범행을 하였다. 3) 학생집단은 심리적 갈등이나 경제적 문제로 인해 범행을 한 반면, 비학생집단은 호기심이나 정신적 문제, 이성 문제로 범행을 한 경우가 많았다. 범행 방법은 학생집단은 육체적 공격성향을, 비학생 집단은 도구적 공격성향을 보였다. 4) 학생집단은 집단 범죄가 많았고, 저연령 학생과 공범이 많은 반면, 비학생 집단은 단독 범죄가 많았고, 고연령군 무직자와의 공범이 많았다. 5) 학생집단은 가해자가 면식범이고, 첫 피해자가 저연령층 학생이 많았고, 비학생 집단은 모르는 사람이 많았고, 피해자가 고연령층인 경우가 많았다. 결 론 : 증가일로에 있는 학생청소년들의 폭력행위를 예방 및 선도하기 위해선 학교 및 가정에서 심리적 안정감을 줄 수 있도록 노력해야하며, 교우관계 개선과 더불어 방과후 저녁 시간대의 여가 선용 방안에 대한 집중적인 선도 계몽이 필요할 것으로 지적되었다. Objective :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socio-psychiatric aspects of adolescent criminal offences reported on daily newspapers and to use them as basic materials for prevention of adolescent criminal offences. Methods : The author analysed 681 cases of adolescent criminal offenders, including 642 males and 39 females who reported on daily newspaper such as DongA Ilbo and Chung-Cheong Ilbo, aged from 12 through 21, In data analysi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subgroups as the student(261 cases) and the non-student(420 cases). Results : 1) The rate of student were more common in female and younger in their age group comparing with the non-student. Recently, the incidence of student's offences of all adolescent offences were remarkably increased, while those of the non-student was decrease. 2) Violence and theft or group offences were more common in the student, while felony or solitary offences were more frequently observed in the non-student. The more vulnerable time of criminal offences in the student were more in afternoon, while the non-student were more in midnight. 3) The psychological conflicts and the economical causes were the most ones in the student, while the curiosity, the personality problems and the heterosexual conflicts were more common in the non-student. Physical aggression were more prominent ones in the student, compared with the instrumental aggression in the non-student. 4) The student committed offense more in patterns of group offences with peers, younger in their age and were more often with their peer students, while the non-student committed offense more in the patterns of solitary crime, more prevalent with older aged jobless peers. 5) Most of the victims in the student were more abused to the intimate persons, and more younger students, while those in the non-student were more abused to the unknown persons and more older aged adolescents. Conclusion : In order to prevent and correct increasing tends of violence in school, nationwide guidance programs should be promptly applied through promotion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family and school, proper guidance to peer relationship, and providing more opportunities for sound recreational activities in evening time to help dissipate the frustration of the adolescents.

      • KCI등재

        동시대 중국 청춘영화에 대한 서사학적 고찰 — 영화 <少年的你>(2019)의 내러티브 분석을 중심으로

        왕인순,문현선 한국중국소설학회 2022 中國小說論叢 Vol.67 No.-

        In mainland China, youth films have been expanding quantitatively in the form of youth reflections in the post-80s since the 2010s, and gradually embraced the customs of other genres and adopted real materials. The movie “Better Days” is a work that is evaluated to have further expanded the horizons of Chinese youth films by dealing with the reality of academy violence by borrowing the genre custom of crime movies.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narrative of the movie “Better Days” through Greimas Semiotics, and tried to symptomatic reading of contemporary Chinese society evoked by these real-life youth films. By analyzing the surface narrative with the Actanctial Model,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subject of the youth of the film desiring the object of a prestigious university reflects the action of proletarians in contemporary Chinese society to acquire capital and pursue social success. Second, this pursuit can only be done by assistants who are not interested in the same value, and other members of society inevitably become potential enemies. Third, the director, the sender, spoke on behalf of the post-80s, calling out the youth of the current generation and trying to convey the wisdom of choosing one's own life to them. The deep narrative was analyzed through Semiotic Square and the contrary, contradictory, and implic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basic propositions constituting the movie “Better Days” was examined. This deep narrative analysi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is cinematic representation presupposes two incompatible propositions: social success and legal action. Second, the incompatibility of this logical premise acts as a desperately closed condition, oppressing the subject of the youth. Third, the subject of the youth who choose the survival principle of a food chain in which the strong eat the weak in the absurd social system are eventually forced into a tragic situation where they have no choice but to embrace the profound structural contradiction personally. For the above reasons, the seemingly hopeful ending of the film is paradoxically all the more tragic. 중국 대륙에서 청춘영화는 2010년대 이후 포스트 80세대의 청춘 회고의 형식으로 양적인 팽창을 거듭했고, 점차 다른 장르 영화의 관습을 수용하면서 현실 소재를 채택하는 등 장르적 외연을 확장해왔다. 영화 <少年的你>는 범죄 영화라는 장르적 관습을 빌려 학원 폭력이라는 현실 소재를 다룸으로써 중국 청춘영화의 지평을 한층 더 넓혔다는 평가를 받는 작품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그레마스 서사기호학을 통해 영화 <少年的你>의 내러티브를 분석하고, 그 표층 구조와 심층 구조를 면밀히 살핌으로써 이러한 현실 소재 청춘영화가 환기하는 동시대 중국 사회의 징후적 독해를 시도하였다. 우선 행동자 모델로 표층 내러티브를 분석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영화의 청춘 주체가 명문대학이라는 대상을 욕망하는 행위는 동시대 중국 사회의 무산계급 주체가 자본을 획득하고 사회적 성공을 추구하는 행위를 반영한다. 둘째, 이러한 추구는 이해관계가 없는 조력자의 도움만 받을 수 있을 뿐이며, 다른 사회구성원은 필연적으로 잠재적 적대자가 된다. 셋째, 발신자인 감독은 포스트 80세대를 대변하여 현 세대의 청춘 주체를 호명하고 그들에게 자기 삶을 선택하는 지혜를 전하고자 했다. 이어서 기호사각형을 통해 심층 내러티브를 분석하고 영화 <少年的你>를 구성하는 두 개의 기본 명제 사이의 대립 관계, 모순 관계, 내포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 심층 내러티브 분석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이 영화적 재현은 사회적 성공과 합법적 행위라는 양립 불가능한 두 가지 명제를 전제로 삼는다. 둘째, 이 논리적 전제의 양립 불가능성은 절망적으로 폐쇄적인 조건으로 작용해 청춘 주체들을 억압한다. 셋째, 부조리한 사회 시스템 속에서 약육강식이라는 생존 원칙을 선택한 청춘 주체들은 결국 그 중충적인 구조적 모순을 개인적으로 끌어안을 수밖에 없는 비극적인 상황에 내몰린다. 상술한 이유로 인해, 일견 희망적으로 보이는 이 영화의 결말은 역설적으로 더욱 더 비극적이다.

      • KCI등재

        도시적 남성성의 (비)성숙과 사보타주 - 1980・90년대 한・일 학원 폭력 만화의 계보와 문화정치

        윤재민 대중서사학회 2023 대중서사연구 Vol.29 No.2

        This article traces the early cultural politics genealogy of the Delinquent Teenager Manga genre from Japan in the 1980s to the 1990s’ Jjang in Korea. In previous discussions, Jjang has been discussed in terms of only “Korean” Delinquent Teenager Manga. On the other hand, this article focuses on Jjang as a text that excellently localized the universal genre customs and cultural politics unique to the Delinquent Teenager manga. First of all, I examine cultural politics context of the male-oriented subculture unique to the Japanese Delinquent Teenager genre, which is believed to have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ed Jjang. Then, as an example of excellent localization, I will discuss in more detail the locality of this manga and the characterization of its protagonist, Hyun Sangtae. In the conclusion, I will argue that transnational subcultures in East Asia can be a common communication form that provides meaningful cultural and political discourse in the civil society sphere in each place. South Korea and Japan have developed as capitalist states that are part of the U.S.-led East Asian Free region. In particular, the capitalist system in both countries is a thoroughly bureaucratic social reproduction system centered in the capital, which has consistently invisibilized and been alienated working-class political movements. In this way, the sociocultural context in which genre conventions based on non-elite urban masculinity cultures are grounded in meaningful subculture references in Korea can be thought of as an ‘Asian perspective’. 이 글은 1980년대 일본에서부터 1990년대 <짱>에 이르는 학원 폭력 만화 장르 특유의 초창기 문화정치 계보를 추적한다. 기존의 논의는 <짱>을 한국적 학원 액션물의 측면에서만 독해했다. 이와 달리, 이 글은 <짱>을 학원 폭력 만화 특유의 보편적인 장르 관습과 문화정치를 탁월하게 현지화한 텍스트로 주목한다. 본론에서는 우선, <짱>과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되는 일본의 학원 폭력 만화 장르 고유의 남성향 서브컬처의 문화정치적 맥락을 살펴본다. 그리고 이에 대한 탁월한 현지화의 사례로서 <짱>의 지역성과 주인공 현상태의 캐릭터성에 대해 자세히 논할 것이다. 결론에서는 동아시아의 초국가적 서브컬처가 각 지역의 시민사회 영역에서 유의미한 문화정치 담론을 제공하는 공통적인 커뮤니케이션 양식이 될 수 있음을 주장할 것이다. 한국과 일본은 미국 주도의 동아시아 자유 진영에 속한 자본주의 국가체제로 발전을 구가했다. 특히 두 국가의 자본주의 체제는 수도 중심의 철저한 관료주의 사회 재생산 체제로서, 노동자계급의 정치운동과 소외감을 지속적으로 비가시화해왔다. 비엘리트 도시적 남성성 문화에 기반한 장르 관습이 한국에 유의미한 서브컬처 레퍼런스로 착근한 사회문화적 맥락을 이러한 ‘아시아적 지평’에서 생각해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