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제 색인.초록 데이터베이스에 등재된 한국학술지의 특성 연구: 1990년 -1997년

        이춘실 한국정보관리학회 1999 정보관리학회지 Vol.16 No.3

        본 연구에서는 계량학적 측정을 통하여 DIALOG 데이터베이스에 등재되는, 즉 국제적으로 서지정보가 배포되고 있는, 한국학술지의 규모와 그 학술지들이 등재되는 데이터베이스들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87종의 DIALOG 색인·초록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 결과 1990년에서 1997년 사이에 논문이 1편 이상 수록된 한국학술지는 248종이며, 한국학술지 논문이 한편이라도 수록된 DIALOG 데이터베이스는 52종으로 밝혀졌다. 141종(56.9%)의 학술지는 1종의 데이터베이스에만 등재되어 있다. 국제적으로 많이 색인 또는 초록되는 한국학술지는 대부분 자연과학영역의 학술지, 그리고 영문학술지이다. DIALOG 색인·초록 데이터베이스가 한국학술지를 등재하는 정도는 어떤 학문영역의 데이터베이스이냐에 따라, 또한 데이터베이스의 학술지 선정방침(선택적 또는 포괄적)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까지 한국학술지 논문들이 색인 초록을 통하여 국제적으로 알려질 수 있는 가능성, 즉 국제적 색인 초록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되는 정도는 아주 미약하다. 자연과학영역의 학술지는 양적으로 상당한 수준에 올라 있으나, 인문·사회과학영역의 한국학술지는 매우 취약한 수준이다. The bibliometric analysis was conducted by searching 87 abstract & index databases provided by the DIALOG to identify not onl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journals covered by international databases, but als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bases covering such Korean journals. 248 Korean journals were identified, for which at least one paper published between 1990 and 1997 was retrievable from the DIALOG databases. These Korean journals were found in 52 databases. 141 journals(56.9%) were indexed in only one database. Most Korean journals covered in several DIALOG databases were science and engineering journals published in English. The difference in the degrees Korean journals are covered in a database i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the discipline a database covers, and by the database's journal selection policy.

      • KCI등재

        초록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있어서 학술지 전자출판 파일의 활용과 문제점: KoreaMed를 중심으로

        이춘실 한국비블리아학회 2001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12 No.2

        본 연구에서는 인쇄본 학술지 발행과정에서 발생된 학술지의 전자출판 파일을 활용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초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데 있어서, 2001년 현시점에서 무엇이 가능하며 어떤 것이 문제점인지를, 현재 국내에서 영문으로 구축되고 있는 한국 의학학술지 논문의 초록 데이터베이스인 KoreaMed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학술지 인쇄출판시 생성된 컴퓨터 파일을 이용하여 초록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KoreaMed의 구축방법론은 데이터의 정확성, 입력작업의 신속성, 비용절감 등에 있어서 그 효율성은 입증되었으나, 학회의 절대적인 협조 없이는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국내 학회와 인쇄소의 영세성으로 학술지 파일의 보관이 잘 안되어 있어서 학술지 과월호 파일의 수집이 수월하지 않으며, 새로 발행되는 호의 컴퓨터 파일 수집을 위해 학회와 계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것 또한 매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출판 파일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가공하는데 있어서 제일 까다로운 문제는 특수문자의 처리이며, 학술지마다 출판형식 (layout과 format)과 파일 구성방식이 다르고, 사용하는 출판편집 소프트웨어가 다르며, 학술지 파일의 수록매체 등이 매우 다양한 것도 데이터 처리를 복잡하게 만드는 문제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학술지 발행과 동시에 학술지 발행기관이 직접 XML로 가공하여 KoreaMed에 제출하는 등 KoreaMed 시스템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공조체제를 갖추기 위해서는, 학술지 전자출판파일의 관리와 XML파일 만들기 등에 대한 계속적인 홍보와 교육이 필요하다. The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and the use of electronic publishing files to produce a bibliographic database. In particular . it examined the problems faced in the production of KoreaMed, an abstract database of Korean medical journals. The methodology of KoreaMed to utilize the computer files which was produced in the process of publication of a print journal is found to be very effective. It assures the accuracy of data, accelerates the input speeds, and reduces the input costs. However, such a project can not be accomplished to a satisfactory level without the cooperation of the publishers involved. It turns out that many small publishers and academic societies hardly have saved the electronic publishing files of previous issues. Besides, it is hard to maintain the right channel to receive the files continuously. The input and processing of special characters are very delicate problems. In addition, the diversity of layout and formats of journals, of the electronic publishing software used, and of the storage media, makes the utilization of the electronic publishing files a very complex process. In order to operate the KoreaMed system more efficiently by requiring the publishers to submit XML files which meets the standard of the KoreaMed, it is necessary to educate and train personnels of journal publishers for the management of electronic publishing files.

      • KCI등재

        학술논문과 참고문헌의 자동매핑 사례 분석

        김재훈,김순영,임석종,황혜경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11

        References at the end of an academic paper are information that helps authors keep their research ethics, readers refer to related prior studies. Also references are useful information for linking citations and citations between articles. As bibliography metrics develops, bibliographic data is used as an important data for assessing the academic influence of countries, institutions and individual researchers. However, it is not easy to identify and link the reference data due to the diversity of the bibliographic citation formats, the loss of information due to the abbreviation of journal names and author names, and typos by author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thod of improving the bibliographic data mapping rate by analyzing the unmapped cas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main cause of the article-reference mapping failure was the similarity of abbreviated journal names. Research team suggested that continuous management of journal title authority data and improving the DOI registration rate as ways to improve the identification and mapping rate.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studies in used database. Bibliography mapping was attempted for domestic and foreign integrated journal database that is mainly subscribed, used, published and cited in Korea. Through reference construction volume and mapping rate improvement, it can be used as citation analysis and service database reflecting domestic situation that is different from overseas citation index database. 학술논문의 말미에 기재하는 참고문헌은 저자가 연구윤리를 준수하고 독자들이 관련 선행연구를 참고할 수 있도록 돕는 정보이자 논문간의 인용과 피인용 관계를 연결시키는 데 유용한 정보이다. 계량서지학이 발전하면서 참고문헌 데이터는 국가, 기관, 개인의 학술 영향력을 평가하는 중요한 데이터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참고문헌 형식의 다양성, 학술지명과 저자명 축약 기재로 인한 정보 손실, 저자들의 오타 등으로 인해 참고문헌을 식별하여 연결하는 것은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학술논문 참고문헌 데이터를 구축하고 매핑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오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참고문헌 데이터 매핑율 제고 방안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참고문헌 식별 실패의 주요 원인은 유사 학술지명 식별 문제로 밝혀졌으며 식별과 매핑율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학술지명 전거파일 활용, 논문 DOI 등록율 제고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 대상 데이터에서 차별성이 있다. 국내에서 주로 구독, 이용, 출판, 인용되는 국내 및 해외 학술지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대상으로 참고문헌 매핑을 시도하였다. 참고문헌 구축량 및 매핑율 향상을 통해 해외 인용색인 데이터베이스와는 차별화된 국내 상황을 반영한 인용 분석 및 서비스 기반 데이터베이스로 활용이 가능하다.

      • KCI우수등재

        종설 : 의학학술지를 어떻게 국제 색인데이터베이스에 등재시킬 것인가?

        허선 ( Sun Huh ) 대한비만학회 2013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22 No.4

        학술지를 국제 색인데이터베이스에 등재시키는 것은 그 학술지가 앞으로 살아남을 수 있느냐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학회와 편집인이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여야 할 사명이다. 학회가그 분야 학문을 발전시키고 회원에 대한 훈련과 인류 건강을 위하여 봉사하는 사명이 있으므로 그 학회에서 발행하는 학술지가 국제적으로 읽히고 투고를 받으려면 당연히 국제색인 데이터베이스에 등재되어야 한다. 의학 분야 주요 국제 색인데이터베이스는 Medline, PubMed, PubMed Central, EMBASE, CINAHL 등이 있고 전 학문 분야를 다루는 데이터베이스로 Web of Science, Scopus, Ebsco 등이 있다. 이런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는 각각 등재를 위한 심사 기준이 차이가 나므로 잘살펴서 기준에 맞추어 발행하면 어렵지 않게 등재시킬 수 있다. 여러 기준 가운데 공통적인 내용은 우선 학술지의 양식과 형식을 국제 수준에 맞추고, 원고편집을 철저하게 하여 오류가 없어야 하며, 영문이 읽을 수 있는 수준이어야 하며, 목적과 범위가 특징이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외 계량서지학 정보로 피인용도나 전체 인용 수 등 논문의 질을 측정하는 기준을 활용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계량서지학정보를 가지고 논문의 질을 판단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학술지를 회원이 열심히 읽고국제 색인데이터베이스 등재 학술지에 투고할 때 반드시 인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의학 학술지는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발전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조금만 더 학회와 편집인이 노력하면 저명 국제 색인데이터베이스 등재에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To have the medical journal be indexed in international database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ission of journal editors in Korea since it may influence the survival of the journal. Also, if a society`s mission is to develop science and devote to human health, it is editors` obligation to add their journals to the international databases. Thereafter, high quality manuscripts may be submitted to the journal. The major international databases in medical fields are Medline, PubMed, PubMed Central, EMBASE, and CINAHL, meanwhile those in all academic fields are Web of Science, Scopus, and Ebsco. Since the selection criteria are different according to each databases, the optimum method is to edit and publish based on the selection criteria. Common contents of selection criteria are international standard style and format, error-free manuscript editing, readable English, and unique aims and scope. Bibliometric information such as impact factor or total citation can be used for measuring the quality of the journal. Therefore, academic society members should cite their journal papers with relevant content when submitting their manuscript to international journals. Medical journals from Korea is known to be the most rapidly developing ones. It will not be difficult to add their journals to international databases if academic society and editor work together to improve journal quality.

      • KCI등재

        논문 인용에 따른 학술지 군집화 방법의 비교

        김진광,김소형,오창혁,Kim, Jinkwang,Kim, Sohyung,Oh, Changhyuck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5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6 No.4

        Extraction of communities from a journal citation database by the citation structure is a useful tool to see closely related groups of the journals. SCI of Thomson Reuters or SCOPUS of Elsevier have had tried to grasp community structure of the journals in their indices according to citation relationships, but such a trial has not been made yet with the Korean Citation Index, KCI. Therefore, in this study, we extracted communities of the journals of the natural science area in KCI, using various clustering algorithms for a social network based on citations among the journals and compared the groups obtained with the classfication of KCI. The infomap algorithm, one of the clustering methods applied in this article, showed the best grouping result in the sense that groups obtained by it are closer to the KCI classification than by other algorithms considered and reflect well the citation structure of the journals. The classification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might be taken consideration when reclassification of the KCI journals will be made in the future. 학술지 인용 데이터베이스에서 네트워크 구조분석을 통해 학술지의 공동체를 추출하는 것은 인용관계에 따른 학술지의 집단을 파악하는 유용한 수단이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활용되는 학술지 인용데이터베이스인 Thomson Reuters의 SCI나 Elsevier의 SCOPUS가 제공하는 자료를 활용하여 인용관계에 따른 공동체 구조를 파악하는 시도가 이루어진 바 있으나, 국내 학술지 인용 데이터베이스인 KCI에서는 이러한 연구가 현재까지는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여러 가지 네트워크 군집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KCI에 등재되어 있는 자연과학 분야 학술지를 대상으로 인용관계에 따른 공동체를 파악하고 KCI에 등록된 학술지 분류와 비교하여 보았다. 적용된 군집화 방법 중 인포맵 알고리즘에 의한 분류가 KCI 등재 자연과학 분야 학술지의 인용관계 구조를 잘 반영하며, 기존의 KCI 분류와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KCI의 기존 분류와 차이점들은 장차 KCI 학술지의 재분류가 이루어질 시 고려의 대상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기반 구조적학술용어사전(STNet)의 RDF 온톨로지 변환 방식 연구

        고영만,이승준,송민선 한국정보관리학회 2015 정보관리학회지 Vol.32 No.2

        This study described the results of converting RDB to RDF ontology by each of R2RML method and Non-R2RML method. This study measured the size of the converted data, the conversion time per each tuple, and the response speed to queries. The STNet, a structured terminology dictionary based on RDB, was served as a test bed for converting to RDF ontology. As a result of the converted data size, Non-R2RML method appeared to be superior to R2RML method on the number of converted triples, including its expressive diversity. For the conversion time per each tuple, Non-R2RML was a little bit more faster than R2RML, but, for the response speed to queries, both methods showed similar response speed and stable performance since more than 300 numbers of queries. On comprehensive examination it is evaluated that Non-R2RML is the more appropriate to convert the dynamic RDB system, such as the STNet in which new data are steadily accumulated, data transformation very often occurred, and relationships between data continuously changed. 본 연구에서는 R2RML 방식과 Non-R2RML 방식을 각각 적용하여 RDB를 RDF 온톨로지로 변환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RDB 기반의 구조적학술용어사전 데이터베이스인 STNet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변환이 완료된 데이터의 규모, 튜플당 변환에 걸리는 시간, 그리고 질의 응답 속도를 측정하였다. 변환 규모의 평가 결과 Non-R2RML 방식이 더 많은 수의 변환을 하였으며, 표현의 풍부성과 추론 가능성 정도를 높이는 변환을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튜플당 변환 시간의 경우 Non-R2RML 방식이 미세하지만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질의 응답 속도는 두 방식 모두 300회 이상의 질의 횟수부터는 안정적인 성능을 보이면서 유사한 형태의 속도를 보였다. 측정에 대한 종합적 검토 결과 데이터의 변형이 빈번하고 새로운 데이터의 추가나 데이터들 간의 연결관계가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STNet과 같은 동적인 RDB에는 Non-R2RML 방식이 적절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KCI등재

        Analysis of SCI Journals Cited by Korean Journals in the Computer field

        Byungkyu Kim(김병규),Beom-Jong You(류범종),Ji-Hoon Kang(강지훈)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4 No.11

        4차 산업혁명의 핵심 학문인 컴퓨터 분야에서 생산되는 연구성과물에 대한 활용 정보자원의 분석 및 제공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컴퓨터분야 학술지 수록 논문들에서 인용한 국제과학기술인용색인인 SCI 학술지들을 식별하여 피인용 현황과 이들의 동시인용 관계를 네트워크로 생성하여 분석하고 지도화하여 시각화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기반 데이터로 KSCD의 발행연도 기준 2015년부터 2017년까지의 논문 및 참고문헌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학술지 동시인용기법과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기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수행 결과, 국내 컴퓨터 분야 학술지 논문들이 인용한 SCI 학술지 및 논문들의 피인용 순위와 인용나이 분석을 통한 인용절정기(2년), 인용반감기(6.6년), 즉시인용율(2.4%)이 파악되었다.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결과 피인용 SCI 학술지들에 대한 연결정도, 사이, 근접중심성 지표가 측정되어 지표별 학술지 순위가 측정되었으며 네트워크의 지도화를 통한 시각화를 통해 피인용 SCI 학술지 간 주제분류 간의 관계성을 파악하였다. It is very important to analyze and provide information resources for research output produced in the computer field, the core scienc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is paper, SCI journals cited from domestic journals in the computer field were identified and the citation rankings and their co-citation networks were generated, analyzed, mapped and visualized. For this, the bibliographic and citation index information from 2015 to 2017 in the KSCD were used as the basis data, and the co-citation method and network centrality analysis were us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number of citations and the citation ranks of SCI journals and papers cited by korean journals in the computer field were analyzed, and peak time(2 years), half-life(6.6 years), and immediacy citation rate(2.4%) were measured by citation age analysis. As a result of network centrality analysis, Three network centralities(degree, betweenness, closeness) of the cited SCI journals were calculated, and the ranking of journals by each network centrality was measur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classifications of the cited SCI journals was visualized through the mapping of the network.

      • KCI등재

        일본 고전 서적의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현황에 관해 -“역사적 전적 NW 사업”의 현황 및 주요 학술 데이터베이스 소개-

        양성윤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22 고전문학과 교육 Vol.49 No.-

        This paper outlines the recent progress of the "Project to Build an International Collaborative Research Network for Premodern Japanese Texts (NIJL-NW project)," which is being promoted as a national project alongside the establishment of classical digital archives in Japan. This paper introduces digital archives and various academic databases useful in classical Japanese studies and explains their characteristics. Currently, the project is being carried out regarding social contributions and data applications for existing digital archives, pointing out problems vis-a-vis the original purpose of aiming for an "open digital archive" of digital image data, academic databases, and full text. In particular, I pointed out that to function as "effective information," the database of classical data needs to be based on the formation and exchange of research communities, and that exemplary databases exist already. I suggest that if worldwide researchers make their research knowledge accessible through autonomous and continuous exchanges, they can devise ways to build digital archives and practical ways to use them, to make them more easily utilized by researchers worldwide. 이 논문에서는 일본의 고전 서적에 관한 다양한 디지털 아카이브의 구축 현황을 파악하고자, 고전 서적에 관련한 디지털 아카이브의 기축이자 국책 사업으로 추진 중인 ‘일본 역사적 전적(典籍)의 국제 공동연구 네트워크 구축계획’(이하, ‘역사적 전적 NW사업’)의 진행 양상과 현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개관하며 필자의 비평을 덧붙였다. 더불어 고전 일본학 연구에서 주로 활용되는 디지털 아카이브 및 각종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선별해 소개하며 유용성에 관해 설명했다. 국문학연구자료관이 중심이 된 ‘역사적 전적 NW사업’과 그 후속 사업인 ‘데이터 구동에 의한 과제 해결형 인문학의 창성’ 프로젝트는, 현재까지 구축된 디지털 아카이브를 바탕으로 자료의 사회적 공헌 및 응용 측면에서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이런 진행 상황은 디지털 화상 데이터의 정비 및 풀텍스트 데이터의 구축으로 ‘열린 디지털 아카이브’를 지향하고자 한 본래의 취지에서 다소 멀어진 측면이 있고 바로 이 지점에서 성찰할 부분이 있다는 것을 지적했다. 특히 다양한 고전 서적의 내용을 쉽게 탐색하여 ‘유효한 정보’로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고전 서적 자료의 데이터베이스화 작업이, 자료 선정 및 목록화의 정비 단계에서부터 전위적인 연구 공동체의 형성과 교류를 바탕으로 한 최전선의 연구 성과, 이른바 ‘교류지(交流知)’에 기반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모범적인 데이터베이스도 그렇게 이뤄지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향후 세계의 연구자들이 자율적이고 지속적인 교류를 통해서 연구의 지견을 열어간다면, 세계 각국의 연구자들이 더욱 수월하게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아카이브의 구축 방식과 활용방법도 새로이 구상할 수 있다고 제언했다.

      • KCI등재

        학술정보데이터베이스 검색과정의 사고구술 프로토콜분석

        김종애,Kim, Jong-Ae 한국비블리아학회 2011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2 No.3

        본 연구는 이용자가 학술정보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과정에서 생성하는 사고구술(think aloud) 프로토콜을 바탕으로 검색 수행과정에서의 이용자 인지과정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웹 기반 학술정보데이터베이스를 평가대상으로 하여 실험참가자가 태스크를 수행하면서 생성한 사고구술 프로토콜을 분석하였다. 프로토콜은 개방코딩 방법을 사용하여 범주화 되었으며, 검색 요소, 시스템 형식 요소, 시스템 기능 요소, 정보 요소의 4개 영역에 속하는 21개 세부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학술정보 데이터베이스 설계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users' cognitive processes based on think aloud protocols generated during the retrieval process of an online database. It analyzed think aloud protocols generated by participants while performing pre-defined tasks using an online database. The protocols were encoded using the open coding method. As the results, four broad categories including retrieval, system format, system functionality, and information were drawn, and 21 detailed categories were generated.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for the design of online databases were provided.

      • KCI등재

        빅데이터 처리 플랫폼에서 학술 데이터를 사용한 전문가 검색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최도진(Dojin Choi),김민수(Minsoo Kim),김대윤(Daeyun Kim),이서희(Seohee Lee),한진수(Jinsu Han),서인덕(Indeok Seo),임종태(Jongtae Lim),복경수(Kyoungsoo Bok),유재수(Jaesoo Yoo)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3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새로운 분야의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전문가에게 자문을 받거나 전문가의 논문들을 기반으로 연구 방향을 설정한다. 기존의 학술 검색 서비스에서는 분야별 논문 정보는 제공하지만 각 분야의 전문가를 제공해주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검색된 논문을 기반으로 전문가를 직접 판단해야한다. 본 논문에서는 학회에 발간된 논문 정보를 기반으로 빅 데이터 처리를 이용한 학문 분야별 전문가 검색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대량의 논문을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해 빅 데이터 분산 저장 기술을 활용하였다. 또한 빅 데이터 분산 처리기술을 활용하여 전문가를 판별하고 전문가와 연관 되는 정보를 분석한다. 분산처리 된 결과는 사용자가 전문가 검색 요청 시 웹페이지를 통해 보여준다. 사용자는 제안하는 시스템을 통해 해당 연구 분야의 전문가를 추천받음으로써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다. Most of the researchers establish research directions to conduct the study of new fields by getting advice from experts or through the papers of experts. The existing academic data search services provide paper information by field but do not provide experts by field. Therefore, users should decide experts by field using the searched papers by themselves.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an expert search system by discipline through big data processing based on papers that have been published in the academic societies. The proposed system utilizes distributed big data storage systems to store and manage large papers. We also discriminate experts and analyze data related to the experts by using distributed big data processing technologies. The processed results are provided through web pages when a user searches for experts. The user can get a lot of helps for the research of a particular field since the proposed system recommends the experts of the corresponding research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