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육교사의 학교체육 지역연계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고정길,송지환,송호현 한국체육교육학회 2020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5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concrete examples of the experience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school physical education-community connection and to explore their meanings in depth. Method: The study case was a story about the operation process of school physical education-community connection in G Metropolitan City from March to December 2018. Among the nomadic sampling methods,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 middle school who successfully performed school physical education-community connection were determined as information providers according to the definitive case sampling. The data were collected mainly on cultural artifacts of information providers through unstructured formal interviews, one round of group interview and three times of individual interview. Data analysis was conducted in parallel with intra-case analysis centering on the factual records of school physical education-community connection cases and inter-case analysis to reveal key topics. Integrity was secured through multi-angle verification, verification of peer researchers, verification of information providers, and exceptional case reviews. Results: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of A middle school were connected with the community in the following aspects. First, through the connection with local schools, physical education classes for common sports and local school sports club competitions were held. Second, the free-semester block-time physical education programs and sports culture experiences were operated through linkage with local sports facilities. Third, special lectures and career education were provided to support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through linkage with local human resources. Fourth, walking classes and tracking programs were operated in connection with the local environment. Conclusion: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school physical education-community connections were as follows: First,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areas with similar conditions and environments gathered to form a learning community, and through this, they made efforts to explore and share knowledge. Second, by overcoming the difficulties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various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programs were allowed to be operated. Third, by looking around the school, the limited space of the school was expanded to provide an insight into the view. 이 연구는 체육교사의 학교체육 지역연계 경험의 구체적 사례를 기술하고 그 의미들을 심층적으로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사례는 G광역시의 학교체육지역협의체 시범학교에서 2018년 3월부터 12월까지 진행했던 학교체육 지역연계 운영과정에 관한 이야기이다. 유목적 표집법 중 결정적 사례 표집에 따라 학교체육 지역연계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A중학교의 체육교사들을 정보제공자로 결정하였다. 자료는 집단 면담 1차례와 개인면담 3차례의 비구조화 된 공식면담을 통해 정보제공자들의 문화적 인공물들을 중심으로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학교체육 지역연계 사례의 사실적 기록을 중심으로 한 사례 내 분석과 핵심 주제를 밝혀내는 사례 간분석을 병행하였다. 다각도 검증, 동료 연구자 확인, 정보제공자 확인, 예외적 사례검토를 통해 진실성을 확보하였다. A중학교의 학교체육은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지역연계가 이루어졌다. 첫째, 지역 학교와의 연계를 통해 공통 종목의 체육수업의 운영과 지역 단위 학교스포츠클럽 대회가 개최되었다. 둘째, 지역 체육시설과의 연계를 통해 자유학기제 블록타임 체육 프로그램, 스포츠문화체험이 운영되었다. 셋째, 지역 인적자원과의 연계를 통해 체육 강사 지원의 특강 및 진로 교육이 이루어졌다. 넷째, 지역 지역환경과의 연계를 통해 걷기 수업과 트래킹 프로그램이 운영되었다. 학교체육 지역연계가 갖는 교육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건과 환경이 비슷한 지역의 체육교사가 모여 학습공동체를 형성하였고, 이를 통해 지식을 탐구하고 공유하고자 노력하게 하였다. 둘째, 학교체육이 갖는 어려움을 극복하여 벗어나 다양한 체육수업 및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게하였다. 셋째, 학교 주변을 돌아봐 살펴봄으로써 학교라는 제한된 공간을 확대시켜 바라볼 수 있는 안목을 갖게 하였다.

      • KCI등재

        학교체육진흥원에 관한 학교체육진흥법 시행령 제정 방안

        손석정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12 스포츠와 법 Vol.15 No.3

        이 연구에서는 학교체육진흥법 제정 취지 및 목적에 부합할 수 있도록 학교체육진흥원의 설립과 구성 및 운영에 필요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고 학교체육진흥원에 관한 구체적 시행령 가안을 제시함으로써 시행령 제정에 도움을 주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학교체육 담당기관의 현황과 학교체육진흥원의 필요성을 고찰하여 학교체육진흥원 설립의 당위성을 규명하였고 둘째, 학교체육진흥원에 관한 시행령 제정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학교체육진흥법에서 규정한 부처별 조치사항을 살펴보았으며 셋째, 학교체육진흥원의 설치, 구성과 운영에 관한 입법안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여 학교체육진흥원의 설치, 기능, 임원의 임기, 구성 및 운영 등에 관한 실제적인 시행령 조문안을 마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rationale for school physical education agency's establish, organization and administration, to be helpful the enact Decree of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Act. Through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First, suggested necessity of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motion agency's establishment by looking currant status and problem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related institutions in korea. Second, examined the duties of department prescribed in this act for enact Decree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motion Act. Third, prepared the decree clauses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motion Act by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motion Agency's establish, function and officers of the term, formation and administration.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in order to a activate of physical education, related organ's cooperative work would be very important. Not only need to be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motion Agency's establish, but also the role of those agency.

      • KCI등재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과제

        정동구 東國大學校 比較法文化硏究所 2002 比較法硏究 Vol.3 No.-

        21세기의 사회는 생활여건이 개선됨에 따라 국민 각자의 건강과 풍요로운 삶의 질적 향상을 추구하려는 체육활동이 활발히 이루어 질 것이다. 또한 21세기에도 엘리트스포츠의 위력은 조금도 위축되지 않고 오히려 더욱 증대되어 올림픽과 세계선수권 등에서 스포츠 선진강국의 각축이 이루어지면서 스포츠마케팅 또한 그 규모가 확대될 것으로 미래학자들은 예측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따라 국민체육의 근간이 되는 학교체육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될 것이다. 우리나라의 교육의 목적은 지․덕․체의 조화로운 발달을 위한 전인 교육임을 상기할 때, 학교체육은 아무리 어려움이 있다하더라도 잠시라도 그 기능을 멈추지 않고, 활성화를 위한 실질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신체적․정신적으로 미완성 상태인 학생들에게 학교체육 활동은 미래주역의 건전한 사회인 육성을 도모 할 수 있는 인성과 체력을 가져다 줄 것이다. 그 동안 정부 당국의 학교체육에 대한 지원과 관심의 부족으로 세계 10위의 체육강국에 걸맞지 않게 학교 교육 과정의 운영이 부실해지고 턱없이 부족한 체육예산으로 학교체육 시설과 프로그램은 후진성을 면치 못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또한 교육현장에서는 체육시간은 점차 감축되고 그나마 입시 입시위주의 교육풍토에 밀려 다른 시간으로 대체되고 스포츠클럽이 많으므로 학생들이 그곳에서 운동하면 된다는 탁상공론은 운동장 없는 학교설립이 추진되는 등, 체육에 대한 무지와 철학의 빈곤으로 학교체육은 다 죽어 가고 있다. 이제는 학교체육 활성화를 저해하고 있는 실질적인 문제점을 보다 상세히 진단하여야 하며, 그 해결방안이 무엇인지 가감 없이 밝혀내어야 한다. 발표자는 학교체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시급히 선행되어야 할 사항으로 세 가지를 주장하였다. 첫째, 중앙정부의 학교체육전담 기구를 설치하여 학교체육관련자들의 상충되는 이해 속에서 힘있게 개혁을 추진시켜 나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학교체육을 포함한 국내 체육의 전반적인 문제점의 파악과 해결방안은 무엇인지를 사심 없이 밝혀내고 관련기구와 정책의 결정과 시행을 위한 영향력 있는 정부의 공식기구가 필요한 것이다. 둘째, 체육과목을 교과과정의 한 과목으로만 생각하지 말고 우리나라의 교육목적인 지․덕․체의 한 축으로 학교체육의 중요성을 인정하여 체육을 필수과목으로 하여야 한다. 셋째, 후진성을 면치 못하는 현 학교체육을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시설확충과 다양한 체육 프로그램이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한 정책적 재정지원 또는 체육기금의 마련이 시급하다. 끝으로 학교체육의 활성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정부, 지역사회, 학교당국자, 교사, 학부모, 학생 등 학교체육과 관련된 모든 제반 영역에서의 힘과 노력을 합하여 시너지 효과를 내어야 한다. 즉 정부가 학교체육 활성화의 의지를 갖고 주관 부서를 정하며, 사회전체가 학교체육에 관심을 갖고 대안을 정부에 제시하여야 한다. 또한 언론은 대중스포츠나 해외 스포츠보다 학교체육과 소년체전 등에 더 많은 관심을 쏟아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학교체육시설 이용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적 개선 방안

        남기연,손석정,김대희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17 스포츠와 법 Vol.20 No.3

        The participation rate of daily sports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ed leisure time of people and the demand of sports activities. In order to expand the public sports facilities, there are a lot of costs and difficulty in securing the sit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school physical education facility which is distributed all over the country is a good alternative. The Education Regulations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and local governments provide that all citizens should be allowed to use school facilities. However, there are not many school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hat have physical facilities such as gyms, playground, or swimming pools. And even if they actually have physical facilities, the rate of opening physical education facilities is not high. The school is reluctant to open the school because of the safety accident's risk, cost to maintain and manage facilities and obstruction of school class. Public sports facilities shall be open to use by local residents to the extent that there are no restrictions. However, school physical education facilities are not clearly public sports facilities. As a principal when opening school education facilities, the principal has the burden of having to take legal responsibility for accidents that occur when opening school physical education facilities. According to the ordinance, the fee for opening the school facilities is charged, but it is also difficult to cover the expenses for maintaining and repairing the facilities. 국민들의 여가시간의 증가와 체육활동 수요로 생활체육참여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만큼 필요한 공공체육시설을 확충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비용 부담과 부지 확보의 어려움이 따른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국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학교체육시설이 좋은 대안이 되고 있다. 초중등교육법과 지방자치단체의 교육규칙에서는 모든 국민이 학교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이를 개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초・중・고 전체 학교 중에서 체육관, 운동장 또는 수영장과 같은 체육시설을 보유하고 있는 학교의 수가 많지 않은데다, 실제 체육시설을 보유하고 있어도 이를 개방하고 있는 비율은 그리 높지 않다. 안전사고의 위험, 시설 유지와 관리를 위한 비용 부담, 학교 수업 방해 등의 이유로 학교 측은 시설 개방을 꺼려하고 있는 것이다. 공공체육시설은 일정한 제한이 없는 범위에서 지역 주민이 이용하도록 개방하여야 하는데, 현재 학교체육시설이 명확하게 공공체육시설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다. 학교장으로서는 학교시설을 개방할 경우, 발생하는 사고에 대해 법적 책임을 져야 한다는 부담을 갖게 된다. 조례에 따라 학교시설 개방에 따라 사용료를 받고 있지만, 이를 가지고 시설의 유지와 보수를 위한 비용을 충당하기 힘든 것이 현실이다. 우선, 학교체육시설을 개방할지 여부, 개방 시간 등에 대하여 학교장이 아닌 지역의 학교체육진흥지역위원회에서 결정하도록 하고 모든 책임도 부담하도록 하는 방안이 있다. 일본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규칭에 의해 교육위원회에서 개방 여부와 관리책임을 부담하고 있다. 그리고 학교체육시설의 개방에 따라 요구되는 인력의 인건비나 비용에 대해서도 지방자치단체에서 적극 지원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현재 문화체육관광부나 대한체육회에서 지원 사업을 하고 있지만 언제 종료될지 모른다는 불안감에 학교측이 적극적으로 협조할 수 없는 상황을 고려하여, 지방자치단체에서 재정적 지원을 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학교 폭력 예방을 위한 체육 품성 교육의 이해

        고문수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3 교육논총 Vol.33 No.2

        본 연구는 학교 폭력 예방 차원에서 체육 품성의 이해를 통해 학교체육에서 품성교육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탐색하는데 있다. 품성교육의 방향이 뚜렷하게 제시되어 오지 못한 지금의 상황에 체육 품성의 이해를 통한 학교체육의 발전이 학교폭력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기대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이해, 학교체 육의 이점, 체육에서 가르쳐야 할 체육 품성에 대해 탐색해 보았다. 그 결과 첫째, 학교폭 력의 이해를 위해 개인 품성적, 학교 환경적, 사회 환경적 원인을 살펴보았다. 둘째, 학교 체육과 품성과의 이해를 위해 학교체육의 이점에 대해 심리·정서적 측면과 대인관계적 측 면에서 살펴보고, 셋째, 체육 품성은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교사와 학 생이 가져야 할 가치와 교사의 역할로서 모델링, 실천가 그리고 학생스스로 배움이 일어 나도록 이끄는 교사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 KCI우수등재

        체육고등학교 선수의 절실함과 정신적 강인함 및 회복탄력성의 관계

        안효연,소영호 한국체육학회 2024 한국체육학회지 Vol.6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julsil, mental toughness, and resilience of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 athlet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9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 athletes. Participants completed a series of questionnaires on the julsil, mental toughness, and resilience. With the collected data multiple regression and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by SPSS 23.0.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julsil had an positively influenced the prediction of mental toughness of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 athlete. Second, the julsil had an positively influenced the prediction of resilience of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 athlete. Third, the mental toughness had an positively influenced the prediction of resilience of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 athlete. Fourth, the mental toughness was revealed to function as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ulsil and resilience. These results mean that the mental toughness and resilience can be explained through the julsil of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 athlete, and that resilience can be effectively explained by mental toughness. In addition, the julsil had an indirect effect on resilience through the mental toughness as a mediating variable, and the implications and future study direction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study results. 이 연구는 체육고등학교 선수의 절실함과 정신적 강인함 및 회복탄력성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체육고등학교 선수 249명으로 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해 절실함, 정신적 강인함, 회복탄력성을 수집하여 SPSS 23.0을 이용한 다중회귀분석과 매개회귀분석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체육고등학교 선수의 절실함은정신적 강인함을 예측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체육고등학교 선수의 절실함은 회복탄력성을 예측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체육고등학교 선수의 정신적 강인함은 회복탄력성을 예측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체육고등학교 선수의 정신적 강인함은 절실함과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효과를 나타낸다. 이상의 결과는체육고등학교 선수의 절실함을 통해 정신적 강인함과 회복탄력성이 설명될 수 있고, 정신적 강인함에 의해서도 회복탄력성이 설명될 수 있다는 것이 시사되었다. 또한, 절실함은 정신적 강인함을 통해 회복탄력성을 증가시키는 특성이 있다는것이 시사되었으며,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초등학교 수준에서 학교체육진흥법 주요 시책의 운영 현황과 향후 개선 과제에 대한 고찰

        신기철 한국초등체육학회 2014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0 No.2

        학교체육은 생활체육과 전문체육의 기초 토대라고는 하나 실제로는 입시 위주의 교육 환경 속에서 고사 직전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한 학교체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다각도의 노력이 펼쳐진 결과 학교체육진흥법 의 제정이라는 결실을 맺었다. 그러나 진정한 학교체육의 진흥은 법의 제정이 능사가 아니라 그러한 법의 취지 와 담고 있는 내용들이 실질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조치와 체계적인 관리가 중요할 것이다. 그렇기 때 문에 학교체육진흥법의 시행 이후 현장에서 어떠한 변화가 있고, 어떠한 후속 조치가 필요한지를 살피는 것은 중요하고 필요한 일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학교체육진흥법이 시행된 이후 초등체 육 현장의 상황은 어떠한 지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체육의 진흥을 위해 요구되는 향후 과제를 모색하 였다. 이 연구 결과는 향후 학교체육진흥법이 학교체육 개선에 기여한 정도를 평가하는 동시에 학교체육진흥법 의 시행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현장 지도자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강화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소규모학교 체육 활성화 방안 연구

        정현철,고전규,곡효파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4 교과교육학연구 Vol.18 No.4

        This study intends to diagnose the status quo of physical education in small-sized schools and evaluate the overall progress made in the facilitation of physical education in small-sized schools. For this purpose, studies were carried out on 6 teachers who have worked in small-sized rural schools for 3 years or more and have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of the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UP-Program' in small-sized schools, which is a special project by the Office of Education in J province in 2013, and 6 students who have enthusiastically participated in physical activities in the schools where the teachers have work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class journal, etc., and factors were extracted through inductive category analyses. With regard to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education in small-sized schools, the environmental factors were spacious playgrounds, environment-friendly circumstances, outdated equipment, small auditoriums, and the absence of sports culture.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factors were individualized classes, efficient interaction and feedback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difficulties in team sports activities, and the absence of competition·expression activities. Sports club factors were Distinctive physical activities, the lack of sports club time, the insufficiency of sports club event, and the absence of Saturday sports days Other factors included The reduction of diseases related to lifestyle and the absence of teachers specializing in nutrition·health. The measures for overcoming these deficiencies were as follows. First, undermining hierarchy and developing sociality could be fostered through competitive sports such as ‘new sports game to toe the same line’, and insufficiency of expression activity could be increased through smart game-and-art instructor policies. Second, creativity·character can be developed in an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class through ‘create a game’ classes, which are suitable for small-sized schools. Third, sports club and sports culture can be facilitated through systematic management of school sports clubs, nucleus school sports club events, and athletic meetings. Fourth, the absence of nutrition·health specialists can be fixed with persistent attention and systematic management by utilizing the smart app.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come practical data for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small-sized schools on the basis of systematic practice and implement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facilitation of physical education in small-sized schools. 본 연구는 소규모학교 체육의 현 주소를 이해하고 소규모학교 체육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 실천 내용과 그 의미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농촌지역 소규모학교에서 3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으며 2013년 J도교육청특색사업인 소규모학교 ‘건강체력 UP-Program’ 개발에 참여한 교사 6명과 교사들이 속해 있는학교 학생 중 체육활동에 열정을 가지고 참여하는 대표학생 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참여관찰, 심층면담,수업일지 등을 통해자료를 수집한 뒤 단계적 코딩을 거쳐 귀납적 범주분석을 통해 요인들을 추출하였다. 소규모학교체육의 특징으로 환경적 요인으로는 넓은 운동장, 친환경적 여건, 낙후된 용기구, 작은 강당, 스포츠문화 부재 등으로 나타났으며, 체육수업요인으로는 개별화 수업 용이, 효율적 상호작용 및 피드백, 팀스포츠 활동의 어려움, 경쟁․표현 활동의 부재로 나타났다. 스포츠클럽 요인으로는 특색있는 신체활동 운영, 스포츠클럽 시간 부족과 스포츠클럽대회 미흡, 토요스포츠데이 부재로 나타났다. 기타 요인으로 생활습관병의 축소, 영양․보건 전문 교사의 부재로 나타났다. 이를 극복 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첫째, 출발점이 같은 뉴스포츠 종목과 같은 경쟁 스포츠로 서열화 깨기와사회성 함량을, 부족한 표현활동은 스마트 게임과 예술 강사 정책을 통해서 둘째, 소규모학교에 적합한 ‘게임만들기’수업을 통한 통합적인 체육수업의 창의․인성기르기를, 셋째, 소규모학교 스포츠 클럽 운영은 우수학교스포츠클럽 운영과 거점학교 스포츠클럽 대회 및 체육대회를 통해 스포츠클럽과 스포츠문화의 활성화를, 넷째, 영양․보건전문가의부재는 스마트 앱을 활용한 지속적인 관심과 체계적인 관리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규모학교 체육 활성화에 따른체계적인 실천과 실현방법을 토대로 소규모학교 체육 교육과정에 실천적 자료가 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 KCI등재

        대안학교 체육교사와 학생의 체육수업 경험을 통한 대안학교 체육교육의 개선방향 탐색

        차준섭 ( Cha Jun Seob ),권민정 ( Kwon Min J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대안학교에서의 체육수업 경험을 교사와 학생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대안학교 체육교육의 개선 방향을 탐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를 위해 질적연구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우선 교육부에 의해 정식 인가 받은 대안학교 중 수도권 소재의 3개 학교를 연구학교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학교별 1명씩의 체육교사 3명과 체육교사의 추천을 받은 11명의 학생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반구조화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자료분석은 귀납적 범주분석을 실시하여 체육교사들과 학생둘이 경험한 내용을 세 가지 의미 있는 주제(범주)로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안학교의 체육교사들은 체육교육 철학에 대해 체육은 곧 즐거움이며 삶의 연장으로 바라보고 있었다. 둘째, 대안학교의 체육교사들은 체육수업을 성장의 교육소(所), 자유와 속박의 공존소(所), 제약과 과부하의 체감소(所)로 바라보고 있었다. 셋째, 대안학교의 학생들은 체육수업을 체육교사와 동일시하고 있었으며, 다름이 존재하는 곳, 필요하지만 위험한 곳으로 바라보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대안학교 체육교육의 개선 방향은 보편성과 특수성을 담아내는 체육교육으로 나아가야 함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드러나지 않았던 대안학교 체육수업의 모습과 의미, 향후 개선 방향을 공론화하고, 대안학교 체육교육의 개선과 발전을 위해 유용한 논의 기회를 제공한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into the physical education(PE) experience of teachers and students and to find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PE in alternative school. In this study,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Among the alternative schools officially approv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ree schools were selected as research schools. One PE teachers in each one of the schools and 11 students recommended by each PE teacher had in-depth interviews. For data collection, a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was used. For data analysis, inductive category analysis was conducted. As s result, firstly, PE teachers thought that PE was pleasure and extension of life in terms of physical education philosophy. Secondly, PE teachers thought of PE class as the educational place of growth, co-existence place of freedom and restraint, and experience place of constraint and overload. Thirdly, students equated PE class with PE teacher, and viewed the PE class as the place where a difference exists and the essential but dangerous place. In terms of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PE in alternative school, there was a discussion that PE needed to include universality and special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point that it revealed the look and meaning of PE class in alternative school, which didn’t appear before, that it publicly discussed the future improvement direction, and that it gave a useful discussion opportunity to improve and develop of the PE in alternative school.

      • KCI등재

        「학교체육진흥법」제정을 위한 과제

        연기영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11 스포츠와 법 Vol.14 No.2

        In this paper, I tried to point out necessities and right directions for enactment of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motion Act. There was a lot of discussion about this matter, which have been put forward as bills including proposals of members of the Korean Parliament, Park Young-A and An Minseok in the National Assembly. Instead of trying to set short-term targets right away, what needs to be done is set a direction and come up with answers on what needs to be done. If we would look all around carefuuly about the Laws related to the Education and Physical Education, there are no legal base for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motion to get over a crisis of such school physical education. Therefore it should be certainly necessary to legislate new law in this field. I would like to show the problems and legal policies of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motion Act as follows:First of all, we should return to normality of the physical education in school through the realization of Humanitarianism, our nation's founding principle and ideals of education iin the Baisic Education Act, which were exhibited by the Fundamental Law of Education and modern times of our country. The second, nation and local government must carry out a duty they prepare, and to enforce material human base establishing a basic policy for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motion. We must promote a policy to be able to advance with student physical strength health through the administration that is school athletic sports club. In addition, we must introduce the reflex system that there is into an upper school entrance examination by student physical strength health evaluation (PAPS) and result of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such as the sports activities. The third we have to prepare for system-like grounds so that human rights and learning right of student are not infringed. Violences related to the system of the Student Athletic Scholarship and various injustice corruption should be prevented by the new law. The fourth, it should be secured a budget and made up of the financial reforms for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motion though the building infrastructure including the placement of the lecturer specialized in a school physical education institution for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motion and the enforcement of the healthy physical strength evaluation system. I think carefully with time I consider the setting of a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motion fund or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motion foundation. The fifth, I think expansion of the administration for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motion and establishment of the research organization are necessary. Diverseness is the which is lack so that human resources remain to promote it which valued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that I did. I consider that the upgrading of the charge post for smooth duties accomplishment, extended reinforcement are necessary. In addition, an engine in charge of sustained study and program development, policy development, the leader training for promotion of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is necessary. 이 글에서는 지금까지 제안되었던 법안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각계각층의 여론을 수렴하여 박영아 의원이 마련한 「학교체육진흥법」시안을 검토·분석하고, 이 법의 올바른 법안의 내용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현행 교육관계법령이나 스포츠관련 법령을 살펴보면 이러한 학교체육의 위기를 극복하고, 학교체육진흥을 위한 법적 토대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학교체육진흥법」의 제정은 꼭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 법의 제정을 위한 법정책적 과제는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기본법에 명시되어 있는 “홍익인간(弘益人間)”의 교육이념과 우리나라 근대 교육의 목표였던 “덕양(德養; 덕을 기름), 체양(體養), 지양(智養)의 조화”를 통하여 모든 국민이 인격을 도야(陶冶)하고 자주적 생활능력과 민주시민으로서 필요한 자질을 갖출 수 있도록 근본적으로 학교체육를 정상화시켜야 한다. 둘째,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학교체육진흥을 위한 기본정책을 수립하고 물적·인적 토대를 마련하여 시행할 책무를 이행하여야 한다. 각급 학교에서 체육교과과정의 운영을 충실하게 하여 수업의 질을 향상시키고, 학교운동부와 스포츠클럽의 효율적인 운영을 통하여 학생체력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정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또한 학생체력건강평가(PAPS)와 스포츠클럽활동 등과 같은 학교체육의 성과를 상급학교 입시에 반영할 수 있는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 셋째, 학생선수의 인권과 학습권이 침해되지 않도록 제도적인 근거를 마련하여야 한다. 체육특기자 입시제도의 개선, 학생선수지도자의 자격과 양성제도 및 처우개선, 신분보장 등을 통하여 각종 부정부패·비리를 방지하고 폭력·성폭력이 근절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학교체육을 정상화시키려면 무엇보다도 재원확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학교체육진흥을 위한 학교체육시설, 학교운동부지도자의 처우개선, 건강체력평가제도의 실시, 스포츠전문강사의 배치 등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많은 재정이 필요하다. 학교체육진흥기금이나 학교체육진흥재단의 설치를 신중히 고려해 볼 때라고 생각한다. 다섯째, 학교체육진흥을 위한 행정기관의 확대와 연구기관의 설립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다양한 학교체육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인적자원이 너무나 부족한 편이다. 원활한 업무수행을 위한 담당부서의 격상, 확대 강화가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학교체육의 진흥을 위하여 지속적인 연구와 프로그램개발, 정책개발, 지도자연수 등을 담당할 기관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