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미법상 법인격부인론과 직접책임론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남도현 동국대학교 비교법문화연구소 2022 比較法硏究 Vol.22 No.2

        In both English and American law, piercing the corporate veil is a judicial remedy created to counter the abuse of separate legal personality. However, this doctrine has been developed in different directions over the past three decades. While the piercing the corporate veil in English law has gradually narrowed its scope of application, in the United States it has been clearly applied as the most frequently raised issue in litigation. It may be questioned whether it is desirable to curtail the application of the piercing the corporate veil in English law. However, it does not mean that the parent company could avoid its responsibility for the abuse of legal personality, instead it gives more broadly responsibility for the abuse of legal personality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application of direct liability. The expansion of the theory of direct liability and the narrowing the scope of application of principles in the UK became an essential and appropriate ground for English courts to regulate the abuse of legal personality, especially in relation to multinational corporations. In addition, since the criteria for direct liability do not include an unclear concept, the court can develop guidelines necessary to grant appropriate responsibility through judgment to provide more predictable results. It can be seen as positive developments in the direct liability under the English law. However, in the United States it is difficult to find the need to expand the direct liability because the piercing the corporate veil can potentially be applied wider to many forms of corporate abuse. In this paper, the development of the direct liability for parent companie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will be reviewed based on a comparative legal perspective. In other words, the expansion of direct liability in English law along with the decline of piercing the corporate veil and how these two doctrines have been applied in US law will be examined in detail. In addition, it will assess the direct liability from the perspective of legal equity and certainty, and based on the review of the direct liability and existing piercing the corporate veil in English and American law, th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piercing the corporate veil in Korea will be derived. 영국법과 미국법 모두에서 법인격부인은 별개의 법인격의 남용에 대항하기 위해 만들어진 사법적 구제책이다. 그러나, 지난 30년 동안 법인격부인론은 영국과 미국에서 두 가지 다른 방향으로 발전해 왔다. 영국법제에서는 법인격부인은 점진적으로 적용 범위를 좁혀 나간 반면, 미국에서는 법인격부인이 소송에서 가장 많이 제기되는 문제로 활발히 적용되어 왔다. 이에 영국법에서 법인격부인의 적용을 축소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향인지에 대한 의문이 들 수 있다. 그러나, 영국법에서 법인격부인의 적용을 축소한다는 것이 법인격의 남용에 대한 모회사의 책임을 포기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며, 직접책임론 적용의 확장을 통하여 더욱 광범위하게 법인격 남용에 대한 책임을 부여하고 있는 것이다. 영국에서 법인격부인의 적용 범위를 축소함에 따른, 직접책임론의 확대는 특히 다국적 기업과 관련하여 법인격의 남용을 제어하기 위한 영국 법원의 필수적이고 적정한 근거가 되었다. 또한, 직접책임론의 기준은 불명확한 개념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법원은 판결을 통하여 직접 책임을 부여하는데 필요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 예측 가능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점들은 영국법 체계하에서의 적접책임론에 대한 긍정적인 발전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미국에서는 법인격부인의 적용 범위가 넓고 잠재적으로 많은 형태의 기업 남용에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직접책임론을 확대 적용할 필요성을 찾기가 어렵다. 본 고에서는 미국과 영국에서의 모회사의 자회사에 대한 직접책임론의 발전 과정에 대하여 비교법적 시각을 근거로 살펴볼 것이다. 즉, 법인격부인론의 쇠퇴와 함께 영국법에 근거한 직접책임론의 확대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 두 가지 법리가 미국법제에서는 어떻게 적용되어 왔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영국법과 미국법에 대한 비교법적 검토를 해보도록 하겠다. 또한, 법적 형평성 및 확실성의 관점에서 직접책임론을 평가하고, 이러한 영미법하에서의 직접책임론과 기존의 엄격한 법인격부인론에 대한 검토를 기반으로 채무불이행책임에 주로 적용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의 법인격부인론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해 보도록 하겠다.

      • KCI등재

        한국과 독일의 양형법 비교

        정철호 東國大學校 比較法文化硏究所 2002 比較法硏究 Vol.3 No.-

        Das Vergleich des koranischen und deutschen Rechts hat gezeigt, dass es zwischen den beiden Rechtskreisen Gemeinsamkeiten und Unterscheide gibt. Diese Gemeinsamkeit findet sich vor allem in den Strafzumessungstatsachen, die in den Katalogen des ? 46 Abs. 2 dStGB und ? 51 korStGB aufgezȁhlt sind. Die Gesetzgeber haben eine beispielhafte Auswahl an Individualisierungsgrȕnden in beiden Katalogen vorgenomen, ohne dabei ihre Bewertungsrichtung festzulegen. Danach streben die Strafzumessungen in beiden Lȁndern im Hinblick auf Schuldpropotionalitȁt und Individualisierung der Strafe. Jedoch hȁngt damit immer eine gewisse Ungleichmȁ?igkeit im Strafma? zusammen, weshalb sich die Frage nach den Grenzen der Individualisierung stellt. Desweiteren ist des offensichtlich, dass der Strafzumessungsvorgang umso komplizierter, je mehr Gesichtspunkte, insbesondere solche, mit denen die Tȁterpersȍnlichkeit erfa?t soll, in die Strafzumessung einflie?en. Berȕcksichgt man jedoch die Befunde empirisch-vergleichender Untersuchungen, so ist die tȁgliche Strafzumessungs -praxis, ungeachtet der in der Theoriediskussion herrschenden Individualisierung -stendenzen, durch eine Komplexitȁtsreduktion gekennzeichnet. So wird die Koplexitȁt auf solche Merkmale reduziert, die im Proze? in der Regel valide und verlȁ?lich erhoben werden. Durch diese Reduzierung kȍnnen eine bessere Nachvollziehbarkeit der Strafzumessungsentscheidung und eine weitreichende revisionsrechtliche Kontrolle erlangt werden. Das geltende korStGB hȁlt seit dem alten Strafrecht an der Unterscheidung von Zuchthausstrafe und Einschlie?ung fest. Durch diesen Umstand wird eine Strafvollzungspolitik verhindert, die sich auf die Besserung des Tȁter und seine Wiedereingliederung richten muss. Desweitern sind Differenzierungsma?stȁbe fȕr die Zuchthausstrafe oder Einschlie?ungsstrafe- wie die Kriterien der Scham oder der Schwere der Kriminalitȁt- nur schwer feststellbar. Darȕber hinaus ist es ein vormoderner arbeitsverachtender Gedanke, bei der unterschiedlichen Behandlung der Tȁter. Aus diesem Grund ist die Unterscheidung zwischen Zuchthausstrafe und Einschlie?ungsstrafe abzuschaffen und statt dessen die Einheitsfreiheitsstrafe einzufȕhren. Das geltende korStGB enthȁlt keinen Berechnungsmodus, um die Hȍhe der Geldstrafe zu bestimmen, sondern setzt hierfȕr das Geldsummensystem ein. Danach kann allerdings die Geldstrafe kaum die wirtschaftlichen Verhȁltnisse des Angeklagten berȕcksichtigen. So wird der Ȁrmere hȁrter getoffen als der Reichere. Daher empfiehlt es sich, das Tagessatzsystem einzufȕhren, in dem erstens die Anzahl der Tagessȁtze nach der Schwere der Tat und dem Ma? der Schuld des Verurteiten und zwitens die Hȍhe des Tagessatzes nach den wirtschaftlichen Verhȁltnissen des Verurteilten festgelegt wird.

      • KCI등재
      • KCI등재

        유학생활을 통해 본 유럽과 미국의 법문화 및 법학 연구 경향 비교

        李庸中 東國大學校 比較法文化硏究所 2004 比較法硏究 Vol.5 No.-

        이글에서 나는 나의 유학 경험을 통해 유럽과 미국의 법문화와 법학 연구에 대한 비교를 시도해 보았다. 지극히 유한한 한 인간의 단편적인 경험일 뿐이므로 방법론상의 치밀함이나 학문적인 엄격함을 제대로 갖춘 글이라고 생각지는 않는다. 다만, 우리나라 근대법의 모태가 된 대륙법과 최근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는 영미법에 대한 실체적인 모습을 경험적으로 기술해 놓았다는 면에서 후일 이 지역으로 유학을 가서 공부를 하고자 하는 법학도들에게 조금의 참조는 될 수 있기를 바란다. 어느 시대에서나 법은 그 나라 문화의 한 Pattern으로서 역사성을 가지며 학문적으로 심원하다. 법학은 특성상 철학적 심오함과 경영학적 실용성을 동시에 갖추고 있다. 그래서 법은 정치가 보지 못하는 세상을 보고 이해하고 해석한다. 법학은 연마과정 중 텍스트를 벗어나지 못하고 인문학적 상상력을 제약하는 답답하고 소심한 분야같이 느끼지만 절제의 미덕을 가르쳐주어 학문의 본질에 접근 하는 방법을 가장 먼저 그리고 효과적으로 가르쳐준다. 당대의 사회를 좋건 싫건 반영하면서도 그 이념과 체계 저변에는 형식을 뛰어넘는 대담함도 품고 있다. 그런 학문적 광대함과 포용력이 나를 끊임없이 법학의 심연으로 끌어들이는 것 같다. 전쟁과 분열로 시작된 21세기는 주권 국가간 공존과 협력의 질서이자 평황의 기술인 국제법이 더욱 필요한 시대일 것이다. 인류가 지난 4세기 동안 그리던 ‘Global’ 이라는 비젼이 드디어 우리 시대에서 실현되고 있고 그러한 변화의 한복판에 국제법이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국제법은 종합법학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근대법의 기원이 되는 로마법의 대원칙에 공사법의 이론이 총망라되어있을 뿐 아니라 실체법과 절차법이 한데 어우러져 있다. 국제법이라는 매개를 통해 대륙법과 영미법 상에 존재하던 단절에 조화의 교량이 놓여질 수 있는 시대를 그려본다. 이를 위해서 필요한 것은 우리 시대의 미래에 대한 확고한 Vision과 그러한 Vision에 대한 信念 그리고 그러한 신념을 현실화 시킬 수 있는 勇氣가 아닐까 한다.

      • KCI등재

        아동학대범죄 예방에서의 형사정책상 개선방안

        추봉조,김봉수 동국대학교 비교법문화연구소 2022 比較法硏究 Vol.22 No.3

        Various measures and systems are in place to protect the interests of the government, criminal justice agencies, community agencies, and criminal justice agencies to prevent child abuse, but child abuse articles are still continuing. Still, various problems such as ambiguity in the concept of discipline and abuse, lack of a sense of reporting, and lack of budget do not protect the rights of abused children. The analysis of deaths caused by child abuse shows that the age of abusers is the highest in their 20s, and that high school dropouts and high school graduation are the problems in poor childbirth, poor parenting knowledge, and poor parenting environment. Accordingly, if the improvement of the policy system due to the education of parents, the information system sharing method of parenting knowledge, and the support of the parenting environment is not urgently improved, the number of deaths due to child abuse in our society is expected to increase steadily. In particular, child re-abuse was the most common in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13 and 15. Parents in their 20s were repeatedly abused. As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children dying of abuse, it is urgent to introduce a management system to improve policies to prevent this. To this end, we propose to develop a sharing system for child abuse using smart technology, establish a specialized child protection agency under Article 45 of the Child Welfare Act, establish an ordinance for selecting "child abuse officials" by local governments, and revitalize the "e-child happiness support system" using big data analysis to prevent abuse. 2017년 2021년까지 경찰에서 집계한 아동학대 현황을 살펴보면, 신고건수의 경우 2017년 12,619건에서 2020년 16,149건으로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특히 2021년 9월까지의 신고건수는 19,582건으로 전년 대피 큰 폭으로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논문은 2021년 김천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지원에 의한 것임(gc-21070) ** 김천대학교 경찰행정전공 교수(형사법 박사), 제1저자(sbong78@naver.com) *** 김천대학교 경찰행정전공 교수(경찰학 박사수료), 교신저자(bjchoo@gimcheon.ac.kr)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치안전망 2022」, 2021, 155면 이는 ‘양천 아동 학대 사망사건’을 계기로 아동학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정부의 엄정한 대응을 촉구하는 여론이 대두되어, 아동학대 신고 증가와 함께 현장 경찰의 민감도도 크게 높아져 응급조치 증가 등 적극적 대응 분위기가 확산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분위기를 증명하듯 아동을 학대하고 살해한 경우 사형이나 무기징역 또는 7년 이상의 징역에 처하도록 하는 「아동학대범죄처벌특례법」이 개정되었다.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치안전망 2022」, 2021, 155면 2019년 9월, 유엔 아동권리위원회는 대한민국의 아동권리협약 이행 제5-6차 심의에 따른 최종견해를 통해 한국의 높은 아동학대와 재학대 발생률, 특정환경에서 체벌이 합법적으로 받아들여지며 아동학대가 과소 보고되는 실태 등에 우려를 표하며, 아동에 대한 모든 형태의 폭력 및 학대 사건의 국가 데이터베이스 구축, 모니터링을 위한 포괄적 전략과 행동계획의 수립, 간접체벌과 훈육적 체벌을 포함한 모든 체벌의 명시적 금지, 인식개선 및 교육 프로그램 강화, 신고 장려, 성진지적 관점을 고려할 수 있는 전문가 양성, 적절한 수사체계 마련, 피해 아동의 회복과 사회통합 프로그램, 정책 개발 등을 권고하였다. 보건복지부․아동권리보장원․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2017-2019 아동학대사건 판례집」, 2020.7, 3면 현재까지 아동학대에 의한 국민들의 관심과 인식으로 피해아동들의 보호를 위한 다양한 정책과 가해자에 대한 법적인 처벌이 강화되면서 신고건수와 검거건수, 검거인원등이 증가하였지만 우리 사회에서 의도치 않은 코로나 19로 인하여 외부활동보다는 가정 내의 생활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앞으로 아동학대범죄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5년간 아동학대 신고, 검거건수, 검거인원 및 조치현황, 아동학대 유형별 검거건수, 아동학대 행위자 현황을 살펴보고, 현 형사정책 아동학대범죄의 예방 처우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에 있어서 법과전문대학원의 도입에 관한 연구

        김상겸 東國大學校 比較法文化硏究所 2005 比較法硏究 Vol.6 No.1

        현대사회는 정보사회이다. 정보가 모든 것을 좌우하는 사회에서는 정보를 가진 자가 상대적 우위를 가지고 활동하게 된다. 컴퓨터와 인터넷으로 구성된 정보사회는 시간적 요소에 따라 그 가치가 결정된다. 이런 현상은 이미 사회 각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세계 각국은 시대에 맞는 인재를 배출하기 위하여 다양한 노력을 있다. 법학의 분야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사법제도개혁추진위원회의 법학전문대학원제도의 도입은 그 취지에도 불구하고 시간을 요하는 정보화 시대에 맞지 않는 제도이다. 대학을 졸업하고 법학교육을 받는다는 것이 법학의 전문화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그 효과도 의문이다. 그리고 장기간의 교육과 노력으로 얻어진다고 현대 정보사회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는 없다. 또한 법학전문대학원을 졸업하고 사법시험을 통과한다고 전문법률가가 될 수 있는지도 의문이다. 더 나아가 법학이란 학문적 특수성이 3년이란 기간을 통하여 법전문가를 양성할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오히려 시간과 경제적 소모만 부추길 가능성이 많다. 어떤 제도든 완벽한 제도는 없다. 왜냐하면 완벽한 인간은 없기 때문이다. 제도란 한번 만들면 고치기 그리 쉽지 않기 때문에 제도의 개선을 위하여 좀 더 신중하게 중지를 모으는 것이 필요하다. 그런 점에서 이번 개혁안은 우선 문제가 있다고 본다. 오히려 현행 법학교육제도의 개선과 이와 연계하여 사법시험제도를 손질함으로써 현 시대적 상황에 맞는 개선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옳다고 본다. 즉 법학교육제도개혁의 취지가 보다 나은 국민에 대한 법률서비스의 강화와 세계화 시대에 부합하는 법조인의 양성이라면 현 제도를 중심으로 보다 집중화와 신속성을 통하여 법률가를 양성하면 될 것이다. Modern society is a information-based society. In a society where information control everything, one gains the relative power when having the information. Information-based society made up of computer and internet varies its value according to chronological factor. This phenomenon is already seen in various areas of society. For the preparation of this, the world is now striving to get competent people proper for the current age. The area of law is not an exception. The introduction of law school executed by the Judicial Reformation Committee does not fit the current time-requiring-information-based society in spite of its objective. It is also questionable how it contributes to the specialization of law to receive law education after graduating university. Further, long term education and effort does not produce competitive power in the modern information-based society. It is also doubtful if graduating law school and passing the Bar-examination make specialists of law. Further, due to the academic characteristic of law, 3 years of education does not guarantee production of competitive specialists, this institution is highly possible to become a economical waste. Every institution has a flaw because there is no perfect person. Institution is hard to improve and change once it is made, it is necessary to have a more cautious attitude in order to reach agreement. In this aspect, the reform bill has some problems. It might be better instead to improve and mend the current law education system and the Bar-examination institution according to the modern social environment. In other words, if the purpose of law education reform is to enforce services toward the people and to produce competent lawyers who fit the global age, improving the current institution through concentration and rapidity might be the answer.

      • KCI등재

        The Application of THE LEX SPORTIVA in the Context of National Sports Law

        Dimitrios P. Panagiotopoulos 東國大學校 比較法文化硏究所 2008 比較法硏究 Vol.9 No.1

        The interest in sports law is consequently focused on the limits of institutional autonomy in sport, in other words how far can individuals and entities lay down rules for sport and to what extent is central government able to adopt laws on sport, a situation which cannot be characterized as ‘heteronomy’. This is because in this case the state cannot be considered to be a third party unrelated to sporting activity, which activity is carried out not only within its jurisdiction but also to promote the public interest. National sports law, although adapted to the needs of a specific country, tends to show a degree of interest so that its is not contrary to the principles of the Olympic and international sports movement and permits sports bodies a certain degree of autonomy within the general system of law. The Lex Sportiva as a non-national, intra-sports form of law only can be understood -and should be viewed- within the wider rules of law under which harmonization and coordination with national sports law can be achieved. In the final analysis, the institutional autonomy of international sports federations and consequently the Lex Sportiva, and the corresponding jurisdictional order, should be placed under international scrutiny as to its legitimacy by what one might call a sports united nations. States must adopt an international sports charter to establish a truly international Lex Sportiva, a framework supporting the institutional autonomy and operation of international sporting bodies. The establishment of an International Institute of Sports Law which would record, study, research and utilize international case law on sports and competitive activities would contribute to achieving this objective.

      • KCI등재
      • KCI등재

        저작권 집중관리제도의 발전 방향

        이상정 東國大學校 比較法文化硏究所 2008 比較法硏究 Vol.9 No.1

        Collective management is the exercise of copyright and neighbouring rights by organizations acting in the interest and on behalf of the owners of rights. The Korean Copyright Act contains provisions concerning the collective management of copyright and neighbouring rights in the "Chapter 7 Copyright Management Services". But It's so simple and does not contain the necessary and adequate contents. So I propose to enact the new act. The German Law on the Administration of Copyright and Neighbouring Rights(LACNR) is a good example. The following is my contention. 1) The current copyright act divide the copyright management services into two categories, namely "copyright trust services" and "copyrights agent or brokerage services". This distinction has important repercussions: Any person who intends to engage in a business as a trustee on behalf of the owner of the rights shall obtain a permit from the Minister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But Those who intend to engage in copyright management services only as an agent or brokerage shall report to the Minister as prescribed by the Presidential Decree. But I think this distinction is not adequate. I think we have a reason to regulate the service because it's a collective management service, not because it's a trust service. There is no need to regulate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nature of contract between the right holder and the service entity. We need to abolish this distinction. 2) In case of copyright collective management, I think, government approval is needed. So the government approval itself for the collective management service need not to be changed or abolished. But the current provision that any person who has operated copyright management services without obtaining a permit shall be punishable by imprisonment for a term of not more than one year or a fine of not more than ten million won(See §137 ⅳ) shall be abolished. Rather we shall provide as the German LACNR: Anyone who engages in collective rights management, without having prior authorization to do so, is not entitled to claim any of the rights under the Copyright Act, even if rightsholders have entrusted him with rights management. 3) In new act there should be also the provision on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collective societies and on the control over collecting societi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