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체친화성 하이드로겔 및 실리콘 하이드로겔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임상성능 비교

        손금수,변장원,최지성,이선미,마기중,심상현 대한시과학회 2007 대한시과학회지 Vol.9 No.3

        1개월 교체용 생체친화성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와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를 매일 착용 방식으로 사용할 때 임상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취지에 동의하며 콘택트렌즈 착용으로 인한 부작용이 없는 18세 이상 성인 27명 (27±6.9 )세 (남성 4명, 여성 19명)을 대상으로 한쪽 눈에는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를, 다른 쪽 눈에는 PC하이드로겔 렌즈를 매일착용 방식으로 착용하도록 하고, 착용 1일째 2주째 및 4주째 전반적인 피팅상태, 세극등 검사, Tearscope를 이용한 렌즈전면 눈물막파괴시간 및 자각적 착용감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각막곡률반경, 굴절이상도, 나안시력과 안경교정시력, 눈물의 양과 질, 동공직경 및 수평방향 가시홍채 직경 모두 PC하이드로겔 렌즈 착용군과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착용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렌즈를 착용하기 전과 착용 후 4주째 세극등 검사에서 기준을 적용했을 때 두 가지 렌즈 착용군 모두 윤부충혈, 구결막충혈, 검결막충혈 상피스테이닝 결막스테이닝 및 침윤 모두 2등급 이하로 별도의 조치가 필요한 사례는 나타나지 않았다. 렌즈전면 눈물막파괴시간은 렌즈 착용 1일째 PC하이드로겔 렌즈 착용군은 5.19±1.38초,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착용군은 4.70±1.32초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p=0.001), 렌즈 착용 2주째 PC하이드로겔 렌즈 착용군은 5.16±0.74초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착용군은 4.72±0.68초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 0.001), 착용 4주째에도 PC하이드로겔 렌즈 착용군은 5.40±0.83초,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착용군은 4.77±0.75초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4). 교정시력 (Log MAR)은 렌즈 착용 1일째 PC하이드로겔 렌즈 착용군은 -0.045±0.039,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착용군은 -0.035±0.047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36), 렌즈 착용 2주째에도 PC하이드로겔 렌즈 착용군은 -0.056±0.039,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착용군은 -0.033±0.061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12), 착용 4주째에는 PC하이드로겔 렌즈 착용군 -0.050±0.034,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착용군 -0.023±0.050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3). 세극등 검사 결과 렌즈를 착용하기 전과 착용 4주째 두 가지 렌즈 착용군 사이에서 윤부충혈, 구결막 충혈, 검결막 충혈, 상피 스테이닝, 결막 스테이닝, 침윤 등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CCLRU 기준에서 2등급 이상은 발생하지 않았다. 자각적 착용감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처음 착용시 편안함 렌즈를 제거하기 전 편안함과 충혈 및 건조감 그리고 전반적인 착용감에서 모두 비교적 좋다는 응답을 보였고, 두 가지 렌즈 착용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자각적 선호도에 대한 설문에서 2주째와 4주째 모두 PC하이드로겔 렌즈의 선호도가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보다 높았다. 이상으로부터 PC하이드로겔 렌즈와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사이에서 세극등검사 결과와 자각적 착용감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렌즈전면 눈물막파괴시간, 교정시력 및 자각적 선호도는 PC하이드로겔 렌즈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o evaluate and compare the clinical performance for lens fit, comfort and subjective preference for Hydrogel contact lens and Silicone Hydrogel soft contact lens. Twenty three subjects(27.5±6.9 years)(4 males and 19 females) enrolled in the study did not have any complications related to contact lens wear. One eye randomly selected from all subjects was fitted with Hydrogel contact lenses and the other eye was fitted with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for a total of 1 month daily wear. The CCLRU scale grades for limbal hyperamia, bulbar conjunctival hyperamia, palpebral conjunctival hyperamia, epithelial staining and conjunctival staining examined by slit lamp were grade 1 or below the dispensing day and after 1 month of daily wear for both Hydrogel and Silicone hydrogel lenses. There was not required to any treatment for all subjects during period of study. Also, there was not found in the case of non-acceptable condition for centration and overall lens fit at initial fitting of the prescribed contact lens. The NIBUT of anterior surface of contact lens on the eye measured by Tearscope were 5.19±1.38s of day 1, 5.16±0.74s of day 14 and 5.04±0.83s of day 28 in Hydrogel lens and 4.70±1.32s of day 1, 4.72±0.68s of day 14 and 4.77±0.75s of day 28 in Silicone hydrogel len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t dispensing day 1(p =0.001), day 14(p = 0.001) and day 28(p = 0.04) between Hydrogel and Silicone hydrogel lenses, and NIBUT was longer for the PC Hydrogel lens than for the Silicone hydrogel len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rrected visual acuity(logMAR) at day 1 or day 14 between PC and Silicone lenses, but CVA was better for PC lens than for Silicone lens at day 28(p < 0.05). After 1 month of daily wea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jective comfort between PC and Silicone lenses. The subjective overall preference was greater for PC than for the Silicone lens. PC Hydrogel lenses performed better than Silicone hydrogel lenses for PL-NIBUT, corrected visual acuity and subjective preference.

      • KCI등재

        셀룰로오즈 첨가에 따른 미용용 하이드로겔의 물성 연구

        변홍주(Hong-Ju Byeon),최원석(Won-Seok Choi),이향렬(Hyang-Yeol Lee) 한국유화학회 2018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5 No.3

        하이드로겔은 다량의 물과 화장품용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는 천연고분자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내부의 친수성기들이 활성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어 화장품 소재로 즐겨 사용되고 있다. 화장품용 하이드로겔에 첨가하는 소재로 셀룰로오스가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파우더 형태의 셀룰로오스와 면섬유 및 셀룰라아제를 처리한 면섬유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셀룰로 오스를 하이드로겔에 적용했을 경우 하이드로겔의 물성변화 및 외관변화를 조사해 보았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셀룰로오스 파우더를 하이드로겔에 첨가하였을 경우 예상과 달리 하이드로겔의 인장강도가 상당히 저하되는 결과를 보였다. 첨가하지 않았을 때 대비 0.1%와 0.3%의 셀룰로오스 파우더를 첨가한 시료는 각각 10%, 14%의 인장강도 저하현상을 보였다. 이와는 다르게 면섬유를 0.1 ~ 0.3% 첨가하였을 경우 하이 드로겔의 강도가 약 20% 증가함을 보였다. 그러나 길이가 긴 면섬유는 뻣뻣하여 하이드로겔에 혼합시 분산성에 문제를 보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면에 셀룰라아제를 처리함으로써 효소-분해 반응을 통해 섬유의 유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또한 효소 처리된 면섬유를 하이드로겔에 첨가하여 보습성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셀룰라아제를 처리한 면섬유를 함유한 하이드로겔은 처리하지 않은 면섬유-하이드로겔 대비 380% 증가된 보습성을 보였으며 또한 혼합 가공시 우수한 분산성을 보였다. Hydrogels are natural polymer networks that can contain huge quantities of water and many cosmetical ingredients. Their hydrophilic functional groups creates a matrix, which allows high efficacy in delivering active ingredients into the skin. In industry, hydrating properties and strength of the hydrogels are of great interest in manufacturing hydrogel mask packs. We have used the cellulose in various forms such as powder, cotton fiber and cellulase treated cotton fiber to investigate the property changes of cellulose/hydrogel sheets. When 0.1% and 0.3% of cellulose powder were added to hydrogels, tensile strength of hydrogel sheets were decreased by 10% and 14% respectively. Vise versa, when 0.5 ~ 2 cm of cotton fibers were added, tensile strength of hydrogel shee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about 20%. The hydrogels which contain cotton fibers also gave an excellent moisturizing effect. Especially cellolose/hydrogels containing cellulase-treated cotton fibers showed the best effect on retaining moisture content increasing upto 380% in comparison with the one containing untreated cotton as well as excellent dispersibility.

      • KCI등재

        Antioxidant Activity of Dopamine-Modified Hydrogels Containing Cross-linked Hyaluronic Acid

        Geun-Chang Ryu,Jeong Hee Hwang,Cheol-Woo Lee 대한시과학회 2018 대한시과학회지 Vol.20 No.4

        목적: 이 연구에서는 도파민이 적용된 히알루론산 가교 하이드로겔을 제조하고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방법: 먼저 히알루론산과 p(HEMA)로 구성된 상호침투고분자구조로 후처리 한 p(HEMA) 기반 하이드로겔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아마이드 결합반응을 통해 도파민이 적용된 항산화 하이드로겔을 제조하였다. 항산화 활성의 평가는 ABTS 와 DDPH 라디칼 소거능 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도파민이 적용된 하이드로겔은 유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히알루론산의 가교는 하이드로겔 표면의 습윤성을 개선시킨 반면에 도파민이 적용된 하이드로겔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했다. 도파민이 적용된 하이드로겔은 높은 광투율을 나타내었다. (>88%) 결론: 도파민이 결합된 히알루론산의 가교에 기초한 항산화 하이드로겔의 개발이 안의료 및 생물의학 재질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 In this study, we made dopamine-functionalized hydrogels containing a cross-linked hyaluronic acid (HA) network and investigated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Methods : In the first step, we made poly hydroxyethyl methacrylate(p(HEMA))-based hydrogels post-modified with an 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IPN) structure composed of HA polymers and a p(HEMA) network. The subsequent functionalization with dopamine via an amide coupling reaction resulted in the antioxidant hydrogels.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were evaluated using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nd 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ssays. Results : The dopamine-modified hydrogels exhibited significant antioxidant activities, when compared to unmodified control. The presence of the HA–IPN structure improved the surface wettability of the hydrogel while dopamine-conjugated IPN hydrogel did not demonstrate the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hydrogel control. Dopamine-modified hydrogels exhibited high transmittance (>88%). Conclusion :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development of antioxidant hydrogels based on dopamine-conjugated HA–IPN structures may help develop ophthalmic and biomedical materials.

      • KCI등재

        Zwitterion-Functionalized Hydrogel Contact Lenses for Reducing Protein and Bacteria Adsorption

        Eun-Su Lee,Ho-Joong Kim,Geun-Chang Ryu 대한시과학회 2021 대한시과학회지 Vol.23 No.4

        목적 : 본 연구는 3-[{2-(Methacryloyloxy)ethyl}dimethylammonio]propane-1-sulfonate(DMAPS)로 기능화된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를 개발하고, 이들의 물리적 물성과 단백질 및 세균의 흡착성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는 2-hydroxyethyl methacrylate(HEMA)와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EGDMA)의 공중합에 의해 제조되었다. 연속적으로 벤조페논의 흡착과 DMAPS 단량체의 UV 유도 자유 라디칼 중합을 통해 양쪽 이온성이 기능화된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콘택트렌즈의 수분함량, 접촉각, 광학적 특성, 단백질 및 세균 흡착을 분석하였다. 결과 : DMAPS으로 기능화된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는 더 높은 수분 함량, 향상된 표면 습윤성 및 우수한 가시광선 투과율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 표면에 양쪽 이온성의 DMAPS가 존재하기 때문에 라이소자임 및 알부민과 같은 단백질의 흡착이 낮아지고 세균 흡착이 대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결론 : 양쪽 이온성의 DMAPS을 이용한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의 기능화 방법은 습윤성이 우수하고 단백질 및 세균 흡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능성 콘택트렌즈의 개발을 위한 전략을 제공할 수 있다. Purpose : This study is to develop hydrogel contact lenses which are surface-functionalized with zwitterionic 3-[{2-(Methacryloyloxy)ethyl}dimethylammonio] propane-1-sulfonate (DMAPS) monomers and investigate their physical properties and the reduction in protein and bacteria adsorption. Methods : Hydrogel contact lenses were prepared by copolymerization of (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and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EGDMA). The subsequent adsorption of benzophenone and UV-induced free radical polymerization of DMAPS monomers onto the contact lens surfaces were performed to produce the zwitterion-functionalized hydrogel contact lenses. We investigated their water contents, contact angles, optical properties, and adsorptions of protein and bacteria. Results : The DMAPS-functionalized contact lenses have higher water content, enhanced surface wettability and good transmittance compared with the control lens. Moreover, the presence of zwitterionic DMAPS moieties at the contact lens surfaces lowered the adsorption of proteins such as lysozyme and bovin serum albumin (BSA) and reduced bacteria adsorption relative to the unmodified control. Conclusion : The surface functionalization of hydrogel contact lenses with zwitterionic DMAPS monomers can provide a strategy for development of contact lenses which are excellent in wettability and can reduce adsorption of protein and bacteria.

      • KCI등재후보

        매일착용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로 바꿔 착용한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자에서 나타난 증상 변화

        이군자,임현성,문미영,변장원 한국안광학회 2007 한국안광학회지 Vol.12 No.4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developed as a continuous-wear modality are now used as a daily-wear contact len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performance in a group of successful long-term wearers of conventional hydrogel contact lenses when refitted with daily wear O2OPTIX silicone hydrogel lenses. Sixty-two wearers (30.719.9 months of prior lens wear) among sixty-five soft lens wearers refitted with O2OPTIX silicone hydrogel lense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finally. Subjective symptoms were scored and objective signs were graded using CCLRU scales during the study period. 98% of subjects were successfully refitted with the one base curve of O2OPTIX, and 33.9% of subjects were needed more or less lens powers compared with their habitual lenses. Subjects reported a concurrent reduction in dryness, redness and tiredness compared with their habitual lenses and both subjective and objective evaluations showed that dryness, tiredness, itchiness, bulbar and limbal hyperemia were decreased and significantly decreased particularly for those subjects with greater baseline symptoms (p<0.0001). But corneal staining was increased and was seen in many subjects during the study (p<0.0001). Refitting existing soft contact lens wearers with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 could result in a decreased in dryness, redness and tiredness, particularly more effective for those subjects with greater baseline of those symptoms. When patients using conventional hydrogel materials switch to a silicone hydrogel material, the potential for increased corneal staining should be considered and over-refraction should be needed to give a best vision. 계속 착용렌즈(continuous wear lens)로 개발된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가 최근에는 매일 착용렌즈로 사용되고 있 다.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성공적으로 수년 동안 착용한 성인을 대상으로 매일 착용렌즈로 개발된 O2OPTIX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를 바꿔 착용시킨 후 나타나는 임상 증상의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O2OPTIX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로 바꿔 착용한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자 65명 중 62명(평균 착용기간: 30.719.9개월)이 마 지막까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렌즈 착용 기간 중 연구 대상자에서 나타나는 자각적 증상과 타각적 증상을 CCLRU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단일커브의 O2OPTIX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를 피팅한 결과 피팅 성공률은 98%로 나타 났고 착용하던 소프트 콘택트렌즈보다 추가 교정도수가 필요한 경우는 33.9%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착용자는 전에 착용하던 소프트 콘택트렌즈보다 건조감과 충혈, 피곤함이 모두 줄었다고 응답했으며 자각적증상과 타각적증상 중 건조감, 피곤함, 가려움증, 구결막 충혈 및 윤부 충혈 은 모두 감소했으며(p<0.0001) 특히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 중 증상을 많이 느꼈던 착용자에서 증상이 더 많이 개선되었다. 그러나 각막 염색 증상은 많은 착용자에서 관찰되 었고 정도도 심해졌다(p<0.0001).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자가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로 바꿔 착용하면 건조감과 충혈 및 피곤함의 증상이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특히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동안 증상을 심하 게 느낀 사람에서 더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자가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로 바꿔 착용 하는 경우 각막염색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관찰이 요망되며 최대교정시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피팅 후 반드시 덧댐굴절검사(over-refraction)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의 반복적 건조로 인한 렌즈형태 및 자·타각적 증상의 변화

        김소라,강병호,정인필,박미정 한국안광학회 2012 한국안광학회지 Vol.17 No.4

        Purpose: In this study, the changes in the shape of silicone hydrogel lenses, dryness of lens and objective/subjective symptoms that could be induced by repeating dryness of lens and objective/subjective symptoms were investigated. Methods: After drying and rehydrating of silicone hydrogel lenses with different lens material and thickness for 4 times, their overall diameters and base curves were compared. Subjective symptoms, non-invasive tear break-up time (NIBUTs) and blinking rate were evaluated after wearing dehydrated silicone hydrogel lens. Results: Overall diameter and base curve increased in all tested silicone hydrogel lenses by repeating dryness and rehydration. The degree of change in over all diameter and base curve were variable on the material. There were irregular change of lens parameters in thicker lens. When the subjects wore silicone hydrogel lenses after drying and rehydrating, their NIBUTs were decreased and blink rates were increased regardless of lens material or thickness. In addition, repetitive drying of silicone hydrogel lenses affected the lens fitting. Therefore, subjective symptoms such as itching, pain, irritation, foreign body sensation, dryness tended to be increased. Conclusions: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may suggest to develop durable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against dry environment since the changes in parameters of silicone hydrogel lens and the subjective discomfort were observed after repetitive drying and rehydration. 목적: 본 연구에서는 반복적인 건조에 의해 유발되는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의 형태 변화 및 착용시의 자·타각적 증상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재질 혹은 두께가 다른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를 4회씩 건조하고 수화시킨 후 전체 직경과 베이스커브의 변화를 비교하였으며, 건조되었던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를 착용한 후착용자의 자각적 증상 및 비침입성 눈물막 파괴시간과 순목횟수를 측정하였다. 결과: 반복되는 건조와 수화로 인하여 모든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의 전체 직경과 베이스커브가 증가하였다. 전체 직경과 베이스커브가 변하는 정도는 재질에 따라 각기 상이하였으며 두꺼운 렌즈에서는 건조수화 횟수에 따라 불규칙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실리콘하이드로겔 렌즈의 재질이나 두께에 관계없이 건조수화 과정을 거친 렌즈를 착용하였을 때에는 착용자의 비침입성눈물막 파괴시간은 감소하였으며, 순목횟수는 증가하였다. 또한, 반복적인 건조수화는 렌즈의 착용감에도 영향을 미쳐 가려움, 통증, 자극감, 이물감, 건조감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반복적인 건조수화로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의 형태 변화 및 이에 따른 착용감 저하 유발을 확인하였으므로 건조한 환경에 대하여 강한 내구성을 가지는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의 개발 필요성을 제안할 수 있다.

      • KCI등재

        안구세안액 사용법 미준수가 써클 소프트콘택트렌즈의 파라미터 및 착색에 미치는 영향

        김지혜,박민혜,유도연,신장철,박미정,김소라 한국안광학회 2018 한국안광학회지 Vol.23 No.4

        Purpose: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 of exposure to eyewash solution on lens parameters and dye elution of circle soft contact lenses (hereafter circle lenses) was investigated. The restoration of circle lens parameters changed by exposure to eyewash solution was also tested. Methods: Four hydrogel circle lenses (etafilcon A, hilafilcon B, nelfilcon A, and polymacon) and a silicone hydrogel circle lens (lotrafilcon B) were selected and exposed to an eyewash solution for 1, 2, 4, and 8 hours. The change of lens parameters was confirmed by measuring refractive power, central thickness, total diameter, radius of curvature, water content, and visible light transmission of each lens before and after the exposure to eyewash solution. Dye elution was investigated using a cotton swab rubbing test and observation through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Results: The refractive error of etafilcon A and nelfilcon A circle lenses, high water content hydrogel lense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ir total diameter, base curvature, and water content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exposure to the eyewash solution; however, the pattern of change with respect to exposure time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ionicity of lens materials. On the other hand, central thickness and total diameter of the hilafilcon B circle lens, high water and non-ionic lens, increased until 1 hour-exposure time. The lens parameters of polymacon (low water and non-ionic hydrogel) and lotrafilcon B (silicone hydrogel)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eyewash solution. The change in parameters of those circle lenses as a result of exposure to eyewash solution were restored after 1-hour treatment with multi-purpose solution (MPS), indicating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levels before eyewash solution exposure for all circle lenses. After 8-hour treatment in MPS, it was confirmed that the lens parameters were recovered to within the allowable range of error provided by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except for nelfilcon A circle lens. Dye elution was observed in the hilafilcon B, polymacon and lotrafilcon B circle lenses before and after exposure to the eyewash solution as assessed using the cotton swab rubbing test, and surface damage was observed using SEM after 8 hour-exposure to eyewash solution. Conclusion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the change over time and pattern of lens parameters in high water circle lenses varied based on ionicity when exposed to eyewash solution, and these changes were all restored to within the allowable range of error provided by KFDA when further treated with MPS. Dye elution and surface damage of the circle lenses were observed in non-ionic low water hydrogel and silicone hydrogel lens exhibited no parameter change.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repeated rubbing and/or wearing circle lenses that have induced change of lens parameter or possibility of dye elution due to surface damage after exposure to eyewash solution will affect not only the fit of the lens but also eye health. 목적: 본 연구에서는 안구세안액의 노출이 써클 소프트콘택트렌즈(이하 써클렌즈)의 파라미터와 염료용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또한 안구세안액 노출로 인해 변화된 써클렌즈 파라미터의 회복여부를 확인하고자하였다. 방법: 하이드로겔 써클렌즈 4종(etafilcon A, hilafilcon B, nelfilcon A 및 polymacon 재질)과 실리콘 하이드로겔 써클렌즈 1종(lotrafilcon B 재질)을 선택하여 안구세안액에 각각 1시간, 2시간, 4시간 및 8시간 동안 노출시켰다. 안구세안액 노출 전후에 각 렌즈의 굴절력, 중심두께, 전체직경, 곡률반경, 함수율 및 가시광선 투과율을 측정하여 렌즈 파라미터의 변화를 확인하였고, 염료용출 여부는 면봉테스트 및 주사전자현미경 촬영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결과: 안구세안액 노출 후 고함수 하이드로겔 렌즈인 etafilcon A 및 nelfilcon A 써클렌즈의 굴절력은 통계적으로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이들의 전체직경, 곡률반경 및 함수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으나 재질의 이온성 여부에 따라 노출시간에 따른 변화양상은 상이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고함수 비이온성 재질인hilafilcon B 써클렌즈는 중심두께 및 직경이 노출 1시간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olymacon 및 lotrafilcon B 써클렌즈의 파라미터는 안구세안액 노출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구세안액 노출에 따른 써클렌즈의 파라미터 변화는 다목적용액으로 처리 시 1시간 후 모든 서클렌즈에서 노출 전의 값과 통계적으로 유의한차이가 없는 수준으로 회복됨을 알 수 있었으며, 8시간 후에는 nelfilcon A 써클렌즈를 제외하고 모두 식약처 허용오차기준 이내의 값으로 회복됨을 확인하였다. Hilafilcon B, polymacon 및 lotrafilcon B 재질 써클렌즈에서는 안구세안액 노출 전후 면봉테스트 시 모두 염료용출이 확인되었으며, 안구세안액 노출 8시간 후에는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표면손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 안구세안액 노출 시 고함수 써클렌즈는 이온성 여부에 따라 파라미터의 변화시간 및 양상이 달라지며 이러한 변화는 다목적용액 처리 시 모두 식약처 허용오차기준 내로 회복됨을 알 수 있었고, 써클렌즈의 염료용출과 표면손상은 파라미터 변화가 없었던 저함수 비이온 하이드로겔과 실리콘하이드로겔 렌즈에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안구세안액 노출 후 렌즈 파라미터의 변화가 유발되었거나표면손상으로 염료용출의 가능성이 있는 써클렌즈를 반복적으로 문질러 세척하고 착용한다면 피팅상태 뿐 아니라안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상된다.

      • KCI등재

        The Impact of Different Types of Soft Contact Lenses on Over-Refraction and Corneal Topography Measurement When Fitted on Flat Cornea after Refractive Corneal Surgery

        Yee-Rin Jung,Hyung-Min Park,Byoung-Sun Chu 대한시과학회 2021 대한시과학회지 Vol.23 No.3

        목적 : Flat 각막에 다른 종류의 소프트렌즈를 피팅 시 덧댐굴절검사 값과 각막지형도기기 측정 시 변화 값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평균 각막 곡률은 평균 8.40±0.20 mm를 가진 20명(23.38±2.65세)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동일 도수의 렌즈(-3.00 D)를 가진 두 가지의 BC(8.5와 9.0 mm) 렌즈와 두 가지 재질(하이드로겔 렌즈 그리고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를 참여자들이 착용을 하였다. 렌즈 안정화 이후 자동굴절검사계(KR-8100)를 이용한 덧댐굴절검사 측정과 각막지형도(Oculus Keratograph 5M)의 측정을 하였으며, 변화량을 산출하기 위하여 착용한 렌즈의 도수를 보정한 후 착용 전 굴절이상 값을 기준으로 변화량을 분석하였다. 결과 : 4종의 렌즈 간 착용 전⋅후의 자동굴절계 변화량은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으며(p=0.293), 각막 지형도 변화는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p<0.001). 베이스 커브와 재질별 분석에서, 자동굴절계 측정치의 차이값은 베이스 커브가 BC 9.0 mm인 0.16±0.04 D, 8.5 mm인 경우 0.19±0.04 D로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으며(p=0.420), 하이드로겔 재질은 0.12±0.04 D, 실리콘 하이드로겔 0.23±0.04 D의 변화를 보여서 또한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 다(p=0.064). 각막 지형도 변화 차이에서는 BC 9.0 mm은 0.36±0.01 D, BC 8.5 mm는 0.34±0.01 D로 BC 차 이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으며(p=0.393), 하이드로겔 0.32±0.01 D, 실리콘 하이드로겔 0.39±0.01 D의 변화를 보여 재질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p<0.001). 결론 : Flat 각막일 때 소프트렌즈 착용 시 렌즈의 각막과 밀착 정도가 달라질 수 있어, 덧댐굴절검사 값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과도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사용된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소프트렌즈는 낮은 모듈러스로 flat 각막임에도 렌즈와 각막 간의 이격이 정상적인 형태를 보인다. 따라서 flat 각막으로 피팅 시 렌즈의 움직임으로 인한 불편함은 주의해야 할 것으로 보이나, 굴절이상 교정 효과는 정상적인 각막과 유사한 정도의 교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d that wearing different types of soft contact lenses on flat cornea could impact on the measurement of over-refraction using Autorefractokeratometer(ARK) and corneal topography. Methods : Twenty participants with average cornea curvature of 8.40±0.20 mm (23.38±2.65 years) participated. Each participant worn –3.00 D of two different Base Curve (BC, 8.5 mm and 9.0 mm) and two different materials (hydrogel and silicone hydrogel lenses). Over-refraction (KR-8100P) and corneal topography measurement (Oculus Keratograph 5M) were conducted. The amount of changes was analyzed based on the refractive error before wearing after correcting the power of the worn lens. Results : Among 4 types of lenses used in the study,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ARK measurement (p=0.293), while there was statistical difference in topography measurement (p<0.001). For over-refraction with ARK, the difference in BC 9.0 and BC 8.5 (p=0.420) was 0.16±0.04 D and 0.19±0.04 D, respectively. Difference in hydrogel material and hydrogel materials (p=0.064) was 0.12±0.04 D and 0.23±0.04 D, respectively. For topography changes, the difference in BC 9.0 and BC 8.5 (p=0.393) was 0.36±0.01 D and 0.34±0.01 D, respectively. Difference in hydrogel material and silicone hydrogel materials was 0.32±0.01 D and 0.39±0.01 D, respectively,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terials (p<0.001). Conclusion : Theoretically, fitting soft contact lenses on the flat cornea may influence the over-refraction results due to misalignment between cornea and contact lenses. However, the latest soft contact lenses with low modulus showed well-aligned with cornea. Therefore, when fitting soft contact lenses on the flat cornea, discomfort due to lens movement needs to be carefully monitored. However, a similar effect of refractive correction would be expected compared to when fitting on a normal corneal shape.

      • KCI등재

        자기하이드로겔 제작 및 응용에 관한 연구동향

        Dongxi Zheng,지동민(Dong Min Ji),김성훈(Sung Hoon Kim) 한국자기학회 2021 韓國磁氣學會誌 Vol.31 No.5

        Hydrogel is a three-dimensional network structure with good biocompatibility, many of which are biodegradable and non-toxic. Therefore, hydrogels are widely used in environmental engineering, biomedicine, and other fields. Smart hydrogel is a kind of hydrogel that can respond to external stimuli. According to the stimulus-response type, smart hydrogels can be divided into thermal, pH, electric field, magnetic field response smart hydrogels. Magnetically responsive smart hydrogel, which has fast response, little harm to the human body, and remote control, can be used in biomedical fields, such as targeted drug delivery, assisted diagnosis, tissue engineering, and magnetic hyperthermia. This article introduces the fabrication methods and application fields of magnetic hydrogels. In particular, we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ap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prospects of self-responsive smart hydrogel micro/nanorobots.

      • KCI등재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한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의 지방 침전물 분석

        강유선,이군자 대한시과학회 2010 대한시과학회지 Vol.12 No.2

        목적: In vitro 조건 하에서 재질이 다른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에 결합되는 눈물의 지방성분인 올레산(oleic acid), 올레산에스테르(oleic acid methyl ester) 및 콜레스테롤(cholesterol)을 각각 정량하여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에 부착되는 지방침전물을 비교하였다. 방법: Lotrafilcon A, lotrafilcon B, galyficon A 및 balafilcon A 재질의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와polymacon 렌즈 및 RGP 렌즈를 올레산, 올레산에스테르 및 콜레스테롤을 동일한 양 포함하는 식염수 용액에 담가 37℃에서 흔들어주면서 24시간 동안 오염시킨 후, methanol과 chloroform을 1:1(v/v) 비율로 포함하는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4시간 동안 렌즈에 부착된 지방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지방은 C-18 column을 사용하여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수행하여 분리하고 정량하였다. 결과: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에 부착된 지방의 총량은 재질의 종류에 따라 48~67 ㎍/lens, polymacon 렌즈와 RGP 렌즈에서는 각각 18 ㎍/lens, 177 ㎍/lens로 측정되어,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의 지방 부착량은 polymacon 소프트렌즈의 300~372%, RGP 렌즈의 30.5~37.8%로 나타났다. 지방침전물은 galyfilcon A 재질에 가장 많이 부착되었으며(p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in vitro sorption of major tear film lipids such as oleic acid, oleic acid methyl ester and cholesterol on the silicone hydrogel materials. Methods: Lipid spoilation was performed by incubating a lotrafilcon A, lotrafilcon B, galyfilcon A and balafilcon A silicon hydrogel lenses, polymacon soft contact lenses and RGP lenses in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containing oleic acid, oleic acid methyl ester, and cholesterol at 37℃ for 24 hours with shaking. Lipids were extracted from the lenses with a solvent containing 1:1 methanol/chloroform (v/v) for 4 hours.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ethods using C-18 column were used to analyze lipid deposit extracts from contact lenses. Results: The amount of total lipids on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were 48~67 ㎍per lens depending on the silicone hydrogel lens materials versus 18 and 177 ㎍per lens for polymacon and RGP contact lenses, respectively that showed 300~372% and 30.5~37.8% of that of polymacon soft contact lenses and RGP lenses, respectively. After 24 hours of soaking, galyfilcon A showed the highest adsorption of all the silicone hydrogel lenses (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