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화 고려왕릉의 피장자 검토

        이상준 중앙문화재연구원 2017 중앙고고연구 Vol.0 No.23

        강화에는 고려시대 왕릉으로 판단되는 7기의 석실분이 남아 있다. 이중 4기는 피장자가 비정되어 있는데, 고종 홍릉, 순경태후 가릉, 희종 석릉, 원덕태후 곤릉이 그것이다. 이 중 고종 홍릉은 피장자 비정에 별다른 문제점이 발견되지 않으나 나머지 3기의 왕릉은 문헌과 고고자료를 검토한 결과 피장자 비정이 잘못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본다. 먼저 현재의 가릉은 주변에서 능내리 석실분이 발굴되면서 과연 어느 것이 가릉인지에 의문이 든다. 두 무덤을 비교해 보면 능내리 석실분이 먼저 축조되었고, 위계도 높다. 그리고 출토인골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피장자는 모두 여성이다. 강화에서 사망한 3명의 왕비 중 위치비정이 이루어진 원덕태후를 제외하면, 상기 두 무덤은 순경태후 가릉과 실능한 성평왕후 소릉일 가릉이 높다. 두 사람 중 피장 당시 위계는 순경태후가 높았으므로 결국 능내리 석실분이 가릉이고, 현재의 가릉이 성평왕후 소릉인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희종 석릉과 원덕태후 곤릉은 강화부를 기준으로 볼 때 석릉이 가깝고 곤릉이 먼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의 피장자 비정은 그 반대이다. 발굴결과 드러난 능역과 석실의 규모, 치장정도, 출토유물을 검토해 보면 현재 곤릉이 위계가 높다. 상기 두 사람의 피장당시 위계는 비록 폐위된 왕이기는 하였으나 희종이 높았으므로 결국 현재의 곤릉이 희종 석릉이고, 현재의 석릉이 원덕태후 곤릉인 것으로 본다. 이럴 경우 문헌상의 위치 기록과 일치한다. 상기 무덤 외에 강화천도 당시 재궁을 옮긴 세조와 태조의 무덤, 그리고 재이장한 개골동 왕릉을 포함하면 강화에 남아 있어야 하는 고려왕릉은 모두 9기이다. 이 중 결실된 2기의 개골동 왕릉을 제외하면 7기가 남아 있어야 하며, 실제 그렇게 남아 있다. 이중 홍릉을 비롯한 5기의 석실분은 피장자를 비정하였으므로 결국 남은 인산리 석실분과 연리 석실분은 세조와 태조의 천도 당시 이장한 무덤일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There are seven Stone Chamber Tombs in Ganghwa, thought to be royal tombs of Goryeo Dynasty, four of which are presumed to have known identity for the buried persons: Gojong’s Hongreung, Empress Dowager Sungyeong’s Gareung, Heejong’s Seokreung, and Empress Dowager Wonduk’s Gonreung. Except for Gojong’s Hongreung Royal Tomb, the remaining three tombs have questionable identities of the buried, based on literature and archaeological evidence. Regarding the Empress Dowager Sungyeong’s Gareung Royal Tomb, it is not clear which which of the two tombs is Gareung, considering the Neungnae-ri Stone Chamber Tomb discovered in the same area. Comparing the two tombs, Neungnae-ri was built first, and the buried person shows higher class. Osteological analysis shows both persons to be females. Of the three empress dowagers who died in Ganghwa, Empress Dowager Wonduk’s tomb was ascertained, and the remaining two tombs likely belong to Empress Dowager Sungyeong’s Gareung and Empress Songpyeong’s Soreung. Since Empress Dowager Sungyeong held a higher place in the hierarchy, Neungnae-ri Tomb seems to be Gareung. Current Gareng, then, is thought to be Soreung. It is not certain how to distinguish between Seokreung Royal Tomb from Gonreung Royal Tomb since it does not accord with the record of location in the historical archives. Presuming they are indeed Royal Tombs, Insan-ri and Yeon-ri Stone Chamber Tombs are highly likely to be secondary burials for Sejo and Taejo, when the capital moved. In summary, this study concludes the following identification of the buried for Royal Tombs in Ganghwa: First, it is assumed that Neungnae-ri Stone Chamber Tomb is Empress Dowager Sungyeong’s Gareung Royal Tomb, and the present Gareung is Empress Dowager Seongpyeong’s Soreung Royal Tomb. Second, the present Gonreung Royal Tomb is Heejong’s Seokneung Royal Tomb, and the present Seokreung Royal Tomb is Empress Dowager Wondeok’s Gonreung Royal Tomb. Third, Insan-ri and Yeon-ri Stone Chamber Tombs belong to Sejo and Taejo.

      • KCI등재

        경남 남해안 일대 倭系石室 被葬者의 성격과 역할

        김준식 한국문화유산협회 2015 야외고고학 Vol.0 No.23

        6세기 경남 남해안 일대에는 倭系石室이 축조되기 시작한다. 이에 그 축조배경과 피장자 출신 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실제 倭系石室이 축조된 경남 남해안일대와 그 주변지역의 재지고분과의 관계에 관한 논의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倭系石室과 재지고분의 기본 구조를 비교하는데 주안점을 두었고, 석실내부에서 베풀어진 매장관념과 고분군 형성 문제를 분석하여 총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이에 A유형과 B유형은 재지고분과 관계있는 것으로 보았고, C유형과 D유형은 日本 九州지역 고분과 관계된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유형들은 시간 흐름에 따른 어떤 변화나 전개양상을 강하게 나타내는 것 보다는 각 유형에 속한 고분 축조 집단과 인물의 성격과 역할을 반영한 결과로 파악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경남 남해안 일대 倭系石室 피장자의 역할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고성 송학동1B-1호분의 피장자는 남해안 일대 대외교역의 주도권을행사한 고성지역 최고수장으로 보았고, 의령 경산리1호분의 피장자는 대가야와 관계된 대외교류 활동에 종사하면서 새로이 등장한 집단의 수장으로 보았다. 의령 운곡리1 호분과 사천 향촌동Ⅱ-1호분의 피장자는 日本 九州지역 有明海연안 출신의 인물로 보았고, 水系를 통한 교역 활동에 종사하여 가야 멸망 이후까지 지속된 집단으로 평가하였다. 거제 장목고분과 사천 선진리고분의 피장자는 日本 北部九州지역 출신의 인물로보았고, 당시 가야-倭 교류의 교두보적인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광범위한 업무를 수행한 인물로 평가하였다. In Gaya, Stone-chamber of Wae’s style began to be built in 6C. Research about the background of acceptance of Stone-chamber, character of buried person and political relations has been studied on the basis of archeological analysis. However, Research about the relation between Stone-chamber of Wae’s style and local tombs of region where stonechambers of Wae’s style were built and sustainability of stone-chamber of Wae’s style which was built in single-construction have not been fully handled. This paper focuses on analyzing similarity between local tomb and stone-chamber of Wae’s style while removing Wae’s elements that identify stone-chamber of Wae’s style and examines it while dividing the relation between Stone-chamber of Wae’s style and local tombs into three types. First type is tombs that people based on native power built. Second type is sustainable-building tombs that Japanese residents built in the relation with native power. Third type is tombs that Japanese residents built in the short term. These types doesn’t indicate any changes and development aspects with time but is affected by group who belong to the respective type.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is paper intended to figure out the character and the role of buried person in stone-chamber of Wae’s style. First of all, this paper tried to analyze it broadly with three types and imbued the role and the position of buried person with significance. On this, it was presumed that person buried in Gyeongsanri No.1 tomb of first type belonged to group engaged in the interior trade and Songhakdong No.1B-1 tomb of first type belonged to the ruling class of So-Gaya on engaged in trade, person buried in Ungok-ri No.1 tomb of second type belonged to Japanese resident’s group related to Dae-Gaya and Hyangchon-dong No.Ⅱ-1 of second type belonged to Japanese resident’s group related to So-Gaya, people buried in Jangmok tombs of third type belonged to Japanese residents who guided on Gaya area and play a role as the half-way station and Seonjin-ri tombs of third type belonged to Japanese residents engaged in trade and warehouse in Gaya area.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Japanese residents buried in s stone-chamber of Wae’s style moved to region of Gaya with certain purpose and tasks and it affected the aspects of tombs. For the rest, Wae’s elements seem to be reflected by political roles of local residents and the extent of trade.

      • 부장철기로 본 아라가야의 수장들

        류창환(Ryu, Chang-hwan) 중앙문화재연구원 2012 중앙고고연구 Vol.0 No.11

        1990년 이래 아라가야의 중심고분군인 함안 말이산고분군에서 토기를 비롯한 무기와 무구, 마구 등이 다량으로 출토되면서 유구와 유물의 편년 연구와 이에 근거한 아라가야의 형성과정과 발전단계, 영역, 대외관계 등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아라가야의 실체가 분 명해지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함안 말이산고분군 출토유물 중에서 그동안 상대적으로 연구가 미진 한것으로 파악되는 철기류를 정리하여 그 변화와 성격,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아라가야고분에 부장된 철기는 4세기 대에 조영된 목곽묘에서도 사례가 확인 되지만 그 종류나 양이 많지 않으며, 5세기에 들어서서 종류가 많아지고 특정 고분에 대량으로 부장되기 시작하여 6세기 대까지 이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본고에서 주목한 것은 부장철기가 5세기 이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종류나 형태도 변화하지만 대형분을 중심으로 집중적이고도 대량으로 부장되는 양상이 시종일관 6세기 대까지 이어진다는 점이다. 이러한 양상은 결국 부장철기의 성격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즉 부장철기가 실용품보다는 피장자의 성격이나 신분을 상징하는 위세품으로 전용 부장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특히 피장자의 신분을 상징하는 부장품으로 파악한 갑주와 무기, 마 구, 철정, 살포, 유자이기 등의 검토를 통해서 함안 말이산고분군에 묻힌 대형분의 피장 자가 철과 철기생산, 농경과 치수, 신앙, 군사, 정치 등 모든 분야를 아우르는 首長이거나 그에 버금가는 支配者임을 밝혔다. In Malsan-ri ancient tombs of Dohang-ri, Haman, the central ancient tombs of Ara Kaya, have been unearthed various kinds of grave goods. Of the unearthed goods, ironware, which was also exhumed in ancient tombs built before four century AD, is very limited to its type and quantity. Since five century AD, the type of ironware had increased, and especially armer and helmet, arms, horse trappings, farming appliances, and tools had massively been buried in large ancient tombs until six century AD. More attention is paid on the point that although the type and shape of the ironware had changed since five century AD, the trend that the ironware has massively and intensively been buried in large ancient tombs had continued until six century AD. Such trend is highly associated with the character of the ironware. In other words, it indicates that the ironware had been buried for exclusive use as prestige goods representing the character and social position of the person buried in a tomb, rather than as utility goods. In this respect, based on the analysis on which armor and helmet, arms, horse trappings, iron ingots, iron spades, and saw knifes are determined to be grave goods symbolizing the social position of the dead person buried in a tomb, this researcher revealed that the dead person buried in large Malsan-ri ancient tombs in Dohang-ri, Haman, was either the head of all areas including iron and ironware production, agricultural and flood control, religion, military, and politics, or a ruler equal to the head.

      • KCI등재

        조선시대(朝鮮時代) 지석(誌石)의 찬자(撰者)에 대한(大寒) 일고찰(一考察)

        오임숙 ( Oh Im Suk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4 石堂論叢 Vol.0 No.59

        誌石은 喪·葬禮의 절차 중 마지막에 위치하는 장례용구로, 被葬者 의 인적사항이나 그 墓에 대한 기록을 새겨서 땅 속에 묻는 板石이나 陶板 등을 일컫는 용어이다. 지석에는 피장자의 신분이나 系譜, 婚姻 등을 포함한 기록 등을 포함하여, 피장자의 生沒에서 埋葬에 이르기까 지의 많은 정보들이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즉 피장자의 출생에서 사망 후 매장에 이르기까지 피장자에 대한 많은 정보들이 기록되어 있어 지석은 한 개인의 기록이자 역사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는 삼국시대부터 지석이 등장하지만 誌石文化는 조선시대에 이르러 민중들이 상당 부분 그 제작에 참여하는 등, 본격적으로 꽃이 핀다. 본 연구는 현존하는 조선시대 지석 중 국립중앙박물관과 전국 국·공립박물관, 사립박물관, 대학박물관, 문중과 개인이 소장하고 있는 지석 가운데 撰者를 알 수 있는 298건의 지석이 분석의 대상이다. 일반적으로 지석의 작성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 는 피장자의 일생에 대한 기본적인 글인 行狀을 먼저 작성하여 그것을 제3자에게 請託하는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처음부터 끝까지 가족 이나 자손들이 전 과정을 완성하는 경우이다. 지석의 내용을 토대로 撰者를 분석한 결과, 왕을 비롯해서 남편, 사 위, 본인, 친구, 형제, 문장가, 시아버지, 삼촌, 조카, 아들과 후손 등 고려와 달리 조선시대에는 여러 유형의 사람들이 지석의 찬자로 등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금까지 文獻資料에서 파악할 수 없었던 지석의 찬자와 관련된 새로운 사실 등을 밝혀낼 수 있었고, 더 하여 조선시대 지석의 찬자에 대한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는 데 중 요한 근거가 됨을 확인하였다. Memorial stone is a funeral equipment to be positioned last in the funeral process which is referred to tablet type stone or plate that has personal information on the buried or the recording of the tomb. The recording on the memorial stone include the position, family lineage and the marital status of the buried and many mor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buried from birth and death to the burial thus the memorial stone is a personal recod and history. The memorial stone appears as early as Three Kingdom Era in Korea but the memorial stone culture flourishes in Chosun dynasty when people involved in majority parts in production. The subjects of analysis in the research are 298 memorial stones from Chosun dynasty which the compilers are known and own by National Museum of Korea, private museums, university museums, clans and by persons. Generally the process of memorial stone can be divided in to two ways. One is to prepare the basic writing about the behavior in lifetime of the buried and ask a 3rd person for production and the other is to complete the entire process by familyor descendants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compiler based on th contents of the memorial stone, it was confirmed that unlike Koryo dynasty, Chosun dynasty had many types of people as compiler of the memorial stone such as a king, a husband, a son in law, the own-self, a friend, siblings, a writer, sons and descendants. Also discovered were new facts related to the compiler of the memorial stone that could not be identified in the literary works until now moreover, confirmed were these facts become essential basis to understand overall trends on the compilers of the memorial stone in the Chosun dynasty.

      • KCI등재

        朝鮮時代 誌石의 撰者에 대한 一考察

        오임숙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4 石堂論叢 Vol.0 No.59

        Memorial stone is a funeral equipment to be positioned last in the funeral process which is referred to tablet type stone or plate that has personal information on the buried or the recording of the tomb. The recording on the memorial stone include the position, family lineage and the marital status of the buried and many mor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buried from birth and death to the burial thus the memorial stone is a personal recod and history. The memorial stone appears as early as Three Kingdom Era in Korea but the memorial stone culture flourishes in Chosun dynasty when people involved in majority parts in production. The subjects of analysis in the research are 298 memorial stones from Chosun dynasty which the compilers are known and own by National Museum of Korea, private museums, university museums, clans and by persons. Generally the process of memorial stone can be divided in to two ways. One is to prepare the basic writing about the behavior in lifetime of the buried and ask a 3rd person for production and the other is to complete the entire process by family or descendants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compiler based on th contents of the memorial stone, it was confirmed that unlike Koryo dynasty, Chosun dynasty had many types of people as compiler of the memorial stone such as a king, a husband, a son in law, the own-self, a friend, siblings, a writer, sons and descendants. Also discovered were new facts related to the compiler of the memorial stone that could not be identified in the literary works until now moreover, confirmed were these facts become essential basis to understand overall trends on the compilers of the memorial stone in the Chosun dynasty. 誌石은 喪·葬禮의 절차 중 마지막에 위치하는 장례용구로, 被葬者의 인적사항이나 그 墓에 대한 기록을 새겨서 땅 속에 묻는 板石이나 陶板 등을 일컫는 용어이다. 지석에는 피장자의 신분이나 系譜, 婚姻 등을 포함한 기록 등을 포함하여, 피장자의 生沒에서 埋葬에 이르기까지의 많은 정보들이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즉 피장자의 출생에서 사망 후 매장에 이르기까지 피장자에 대한 많은 정보들이 기록되어 있어 지석은 한 개인의 기록이자 역사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는 삼국시대부터 지석이 등장하지만 誌石文化는 조선시대에 이르러 민중들이 상당 부분 그 제작에 참여하는 등, 본격적으로 꽃이 핀다. 본 연구는 현존하는 조선시대 지석 중 국립중앙박물관과 전국 국․공립박물관, 사립박물관, 대학박물관, 문중과 개인이 소장하고 있는 지석 가운데 撰者를 알 수 있는 298건의 지석이 분석의 대상이다. 일반적으로 지석의 작성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피장자의 일생에 대한 기본적인 글인 行狀을 먼저 작성하여 그것을 제3자에게 請託하는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처음부터 끝까지 가족이나 자손들이 전 과정을 완성하는 경우이다. 지석의 내용을 토대로 撰者를 분석한 결과, 왕을 비롯해서 남편, 사위, 본인, 친구, 형제, 문장가, 시아버지, 삼촌, 조카, 아들과 후손 등 고려와 달리 조선시대에는 여러 유형의 사람들이 지석의 찬자로 등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금까지 文獻資料에서 파악할 수 없었던 지석의 찬자와 관련된 새로운 사실 등을 밝혀낼 수 있었고, 더하여 조선시대 지석의 찬자에 대한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근거가 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高句麗 壁畵古墳의 銘文과 被葬者에 관한 諸問題

        정호섭(JUNG Ho-sub) 고구려발해학회 2010 고구려발해연구 Vol.36 No.-

        안악 3호분의 피장자가 동수 이외의 다른 인물로 설정하기는 어렵다. 덕흥리 고분의 진도 중국계 인물로 보인다. 우산하 3319호묘의 피장자 역시 동진 사람이었는데, 어떠한 연유로 고구려에 와서 활동한 사람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정황을 보면 고구려에는 상당수의 중국계 인물들이 반독립적인 상태로 혹은 고구려에 완전히 귀속되어 존재하기도 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4-5세기에 고구려에는 이들과 같은 존재들이 활발하게 활동한 것 같다. 아마 4-5세기는 동아시아에 있어서 격변기였다고 생각된다. 모두루총의 피장자 역시 모두루 이외에 생각하기 어렵다. 명문자료들을 볼 때 이들의 존재양식은 각자 처한 입장에 따라 달리 나타나고 있다. 한편 고구려 벽화고분 내에 단편적으로 명문을 남기고 있는 10여기의 고분의 피장자의 신분도 일부는 추측이 가능하며, 그들의 신앙이나 내세관도 벽화와 함께 살펴보면 짐작되는 면이 있다. 최근 수릉이나 귀장 문제는 문헌기록도 소략하고, 무덤축조 시기를 정확하게 밝혀줄 만한 구체적인 단서를 확인하기도 어려운 점에서 논란의 대상이 된다. 그런데 현재로선 고구려 왕릉 축조에 있어서 수릉, 귀장론은 수긍하기 어렵다. 즉, 문헌기록 상으로는 수릉이나 귀장론 모두 부정할 여지가 있고, 고고학적인 여러 정황들도 마찬가지이다. Although the inscriptions within a Koguryo mural tomb tend to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indicate the crypt’s owner, the accuracy and scope of this information are disputable to a certain point. The buried in Anak Tomb No.3 is almost certainly a foreigner named Dong Shou. The Moduru Tomb in Ji’an, China carries no hint of being the burial place of anyone other than Moduru. Similarly, the Jin interred in the Dukheung Village mural tomb looks to have been another individual of Chinese descent. The person buried laid to rest in the Woo-san Tomb No.3319 was also a native of Eastern Jin who, for some reason, came to make a living in Koguryo. These instances suggest that there was an ample and diverse Chinese population inhabiting Koguryo lands in a half independent or naturalized state during the 4-5th centuries, most likely because East Asia at this time was fraught with cataclysmic change. Koguryo mural tomb inscriptions describe different ways of life depending on the personal circumstances of the deceased buried in the grave. About 10 Koguryo mural tombs with only fragmentary written information still provide enough evidence to hint at the identities of those for whom they were made. Some of the tomb murals even go so far as to indicate the religion and hopes for the afterlife that the buried held before death. On the other hand, there are few reliable sources addressing the problem of whether Koguryo prepared its kingly tombs in their leaders’lifetimes or whether it was customary for Koguryo people to bury those who had died away from home back in their native soil. Indicators on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se particular tombs remain scant, sparking an ongoing debate that is supported by more negative archaeological evidence than positive. Confirming such majestic gravesites in Pyongyang as the King Dongmyeong Tomb, the Honam Village Four Spirits Crypt, and the Gangseo Great Tomb to be royal tumuli has also proved complex. More difficult yet is the process of singling out the royal tombs included in the crop of 7th century mural tombs discovered to date. Although Koguryo’s wars with Sui and Tang do account for a certain amount of uproar during the 7th century, it is doubtful whether the mural tombs erected in this time slot were planned to serve as royal burial sites. More promising is the recent light shed on the Neungsan Village Temple Site in Buyo, which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Jeongneung Temple Site in Pyongyang. While it is undeniabl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royal tomb formation customs of the Three Kingdoms in general, scholars have simultaneously struggled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cultural diffusion amongst Koguryo, Baekje, and Silla. At this point, it is almost impossible to properly grasp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ound layers and relics found at the Jeongneung Temple Site. A more in-depth study of this area may very well impart the key.

      • KCI등재

        高句麗 牟頭婁塚의 墨書 墓誌 硏究

        박미희(Park, Me-hee) 한국서예학회 2006 서예학연구 Vol.8 No.-

        1935년에 발견된 모두루총은 中國 吉林省 集安市 鴨綠江邊에 있다. 이 古墳에는 前室正面 위쪽에 약 8백 여 자의 墨書로 된 墓誌가 있다. 이 묘지는 고구려 중흥의 北夫餘 출신인 5세기 전반 廣開土太王 때에 활동했던 大使者牟頭婁 의 무덤으로 현존하는 고구려시대 문자자료 중에서 廣開土太王碑 다음 가는 귀중한 것이다. 더욱이 서예사적으로 다시 일반 통용 書風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따라서 모두루 묵서 묘지의 전반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여러 가지로 서풍 비교가 필요하다고 본다. 그러나 이 시기에 해당하는 중국 위진남북조시대의 필사체와 묘지명으로 비교해야할 관련 자료를 찾지 못하여, 그동안 연구가 있었던 고고학과 역사학 연구 성과를 통해서 牟頭婁墓誌에 관련되 被葬者 문제와 釋文上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서예사적 연구에서는 敦煌寫經集과 중국 묘지명 등을 통하여 서풍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고고학적 연구를 살펴본 결과, 지금의 牟頭婁塚의 봉토는 대략 원형을 나타내고 있지만 아마도 무덤전체가 通溝 평야에 많이 보여지는 方錐形 봉토였을 것이며, 2실의 석실 구조와 전실의 궁륭천장과 주실의 평행삼각고임천장 구조로서 대개 6세기에 해당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역사학적 연구에서는 피장자에 대한 두 가지 견해가 있어. 피장자로 볼 수 있는 당위성과 볼 수 없는 문제점으로 나누어 석문의 구성을 살펴보면. 피장자는 모두루로, 광개토태왕에서 장수왕 전기에 살았던 것으로 5세기 전반을 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서예학적 연구에서는 모두루 묵서묘지의 서풍을 살펴보기 위하여 5세기 전반에 해당하는 위진남북조시대의 사경으로 어느 시기에 해당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북조시대의 字形 비교에서는 자형과 점획에 있어서 해법이 많은 반면 광개토태왕비와 한예의 법식을 따른 유형과, 아직 고식을 남기고 있는 일부 자형, 그리고 위진남북조시대 別字 자형도 있었다. 북조사경의 점획과 결구 비교에서는 해서의 점획이 있는 반면 예서적 점획이 많이 남아 있어 과도기적 서풍을 보이고 있었다. 자형에 있어서는 장방형의 자형과 行氣의 빠른 筆速의 경쾌함과 변화가 많으면서 힘찬 필법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와 같이 고구려시대 墨書銘으로 남아 있는 이 모두루 묵서 묘지는 긴밀한 문화적 교류로 중국 남북조시대의 통용서풍과 유사한 경향을 보이면서도 고구려인의 기상을 잘 나타내고 있었다. 시기적으로는 해서화의 진행도가 확실하게 나타나는 북량(449)을 넘지 않으며, 427년 이후 오래되지 않은 시기의 글씨로, 5세기 전반의 고구려시대 일반서사체로써 남북조 사경서체에 생동감 있는 필체를 가미한 매우 돋보이는 명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Mo-du-ru tomb, which was discovered in 1935, is in the city of Gyp-anof Gil-lim castle in China. There is an epitaph with about 800 words in Chinese ink above the front room in this old tomb. This epitaph that belongs to an ambassador Moduru's tomb who was a native of northern Boo-yeo at Ko-goo-ryeo's revival and operated in early 5th century, King Gwang-gae-toe's period, is valuable next to King Gwang-gae-toe's tomb among the existing data of letters in Ko-goo-ryeo period. In calligraphy history, as generally accepted handwriting, it is important data enough to know the trend of paintings that seemed like a copy of the scriptures. As calligraphy historic thesis, on the basis of the ancient history about the inscription of Moe-du-ru tomb in Ko-goo-ryeo period and the result of historic studies, this is to look into what kind of character of Mo-du-ru tomb's handwriting has. first, through the result of archeological and historical study, the character that Moe-du-ru tomb has and the result of existing studies were shortly examined. Especially the problems of the view of the buried person as Yeom-Moe theory and what it should be as Moe-du-ru were tried to be adjusted. looking into the composition of stone letters related with the buried person historically, the buried person was Mo-du-ru He led an active life from Kwang-Gae-Toe the Great to Chang-Soo king didn't live over earlier 5th century. Second, to look into the kind of writing of Mo-du-ru's epitaph, I compared the inscripted stone writing with the scriptures writing in the Period of North. I found that in comparison with the northern shape of the character, the styles which followed the rule of the great king of Gwang-Gae-Toe epitaph and Han Dynasty's ornamental seal character still remains and knew that the old style yet remains from the cases of a part of the Period of North and South Dynasties and there are some odd shapes of the character in the We-Jin Period of North and South Dynasties. In comparison with the northern scriptures writing, as a phase of a general used writing, much ornamental seal characteristic dots and strokes remains in Nal-Bub, Byol-Bub and Goo-Bub so it shows a transitional kind of writing. In the shape of a character, it shows a powerful stroke of the brush with the rectangular shape of a character and the speedy writing.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Mo-du-ru tomb with letters in Chinese ink has showed well the spirit of Ko-goo-ryeo people being likely the similar kind of writing with north and south period's general one. Periodically, not over the Pook-Ryang(449) in which Hae-Seo-Hwa surely appeared and since 427, the handwriting that was not so old as a general transcription writing in early 5th century in Ko-goo-ryeo period. It has been evaluated as a very distinguished masterpiece that a stroke of a brush which was full of life was added at the scriptures writing during the Period of North and South Dynasties.

      • KCI등재

        百濟 熊津期 前方後圓墳 연구의 쟁점과 과제 -피장자의 성격을 중심으로-

        최미경 ( Choi Mi-kyoung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21 탐라문화 Vol.- No.68

        지금까지 확인된 한반도 전방후원분은 영산강유역을 중심으로 한 호남지역에 축조되었다. 연구 결과 전방후원분은 5세기 말에서 6세기 초를 전후로 한 짧은 기간에 한정되어 축조되었으며, 영산강유역 사회의 중심지를 제외한 외곽에 1~2기씩 분산되어 분포한다. 또한 고분의 매장시설과 부장품에 왜의 요소 외에 백제, 가야 그리고 재지적 요소도 함께 확인되는 등 여러 계통의 모습이 확인되었다. 전방후원분이 축조되던 시기 영산강유역 사회는 복합성, 다양성을 가진 공간이었고, 백제의 영역화가 진행되며 간접지배에서 직접지배로 넘어가는 시기였다. 많은 연구 성과에도 불구하고 전방후원분 피장자의 성격에 대해 다양한 견해가 혼재하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본고에서는 전방후원분 피장자의 성격을 바라보는 견해들을 정리하고, 크게 영산강유역 재지수장설과 왜인설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각각의 견해들은 축조된 시기, 분포, 계보에 대해서는 큰 차이가 없다. 그러나 전방후원분이라는 묘제와 다양한 계통의 출토유물을 각자의 시선으로 해석하고 설명하였다. 백제의 영산강유역 직접지배 시기와도 관련이 깊다고 할 수 있다. 백제는 웅진 천도 이후 국력이 쇠퇴하였으나 점차 남부지방으로 영역을 확장하며 한강유역 상실을 만회하였다. 동성왕의 무진주 친정 기록으로 보아도 당시 이 지역에서 백제의 영향력을 무시할 수 없다. 그러므로 백제의 영유화가 진행되던 상황과 백제와 왜 그리고 영산강유역 재지세력과의 삼각 관계 속에서 전방후원분의 출현과 피장자의 성격을 검토해야 한다. Keyhole-shaped Mounds identified in the Korean Peninsula till now were constructed in the Honam region, centered around the Yeongsan River Basin. As a result of the study, keyhole-shaped mounds were constructed in a short period between the late 5th century and the early 6th century, they show a dispersed distribution of one or two in the outskirts, excluding the center of community in the Yeongsan River Basin. In addition, various lines were found, e.g. Baekje, Gaya, and regional elements as well as Japanese ones were found in burial facilities and burial goods for various ancient tombs. The community in the Yeongsan River Basin at the time when the keyhole-shaped mounds were constructed was a space with complexity and diversity, and it was a time going from the indirect control to the direct rule with the progress of Baekje’s territorialization. This is the reason why there are various opinions on the characters of the buried in keyhole-shaped mounds in spite of many research achievements. This study sorted out the opinions on the characters of the the buried in keyhole-shaped mounds and examined the argument of the regional ruling power construction in the Yeongsan River Basin and the argument of Japanese construction. Individual opinions do not differ much on the timing of construction, distribution, and genealogy. However, they interpreted and described the burial system of keyhole-shaped mounds and various types of excavated artifacts from their own perspective. It is deeply related to the Baekje’s direct rule over the Yeongsan River Basin. Baekje’s national power declined after moving its capital to Ungjin, but gradually expanding to the southern province, it recovered itself from the loss of the Han river basin. Judging from the record of King Dongseong’s direct rule over Mujinju(武珍州), it is impossible to ignore Baekje’s influence in this region at the time. Thu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emergence of keyhole-shaped mounds and the characters of the buried in the situation where Baekje’s possession was in progress and the triangle of Baekje, Wae(倭), and the regional ruling power in the Yeongsan River Basin.

      • KCI등재

        영산강유역 옹관묘의 장제와 피장자 검토

        김은정 ( Eun-jung Kim ) 호남고고학회 2021 湖南考古學報 Vol.68 No.-

        이 글에서는 영산강유역 옹관묘 분석을 통해 옹관에 시신을 안치했던 방식과 피장자의 성격을 밝히고자 했다. 먼저 기존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영산강유역 옹관묘의 분기를 설정하고, 그에 따라 옹관묘의 합구된 장축 길이와 인골의 신장, 발견된 옹관과 그 안에 남아 있는 인골의 상태, 옹관묘의 축조 위치와 배열, 부장품 등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리고나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옹관묘에 시신을 안치했던 방식, 그 안에 묻힌 사람들의 성격을 추론해 보았다. 영산강유역의 옹관묘를 분석한 결과, 첫 번째로 옹관에 시신을 안치하는 방식에서 신전장과 세골장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Ⅰ기에는 어린아이의 시신을, Ⅱ기부터는 옹관의 장축 길이가 점점 길어지는 것을 통해 어린아이뿐만 아니라 성인의 시신을 펴서 눕히는 방법으로 안치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나주 장동리고분, 나주 복암리고분 등의 옹관에서 확인된 인골의 배치 상태는 신전장 이외에도 세골장이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강하게 보여주었다. 두 번째로 단일 유적 내 옹관묘가 배열된 상태, 단일 무덤 안에서의 축조 위치, 묘제 간 부장품의 차이는 옹관묘 조성당시의 사람들이 보유했던 매장 방식, 피장자의 사회적 지위와 성 등의 차이가 반영된 결과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Ⅰ기의 옹관묘가 동일한 장축방향으로 군집되어 발견되는 것은 선축된 무덤의 존재를 알 수 있도록 무덤을 조성했음을 보여주고, 강 또는 구릉의 능선을 따라 열상으로 배치되는 양상은 그들이 갖고 있었던 내세관과 관련됨을 보여주었다. Ⅱ기 이후에는 복수의 매장시설을 갖는 단일 무덤에서 옹관묘의 위치가 무덤의 가장자리에서 중심(목관중심-옹관주변(a)→목관·옹관 중심(b)→옹관 중심(c) 배치 구조)으로 변화한 것, 옹관묘에 부장된 물품이 토기류 중심에서 철기와 금동관·금동신발·금제팔찌·환두대도 등의 위세품으로 변화한 것을 통해 옹관묘 피장자의 사회적 지위가 변화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나주 덕산리 옹관에서 출토된 동천은 그 무덤의 주인공이 여성이었을 가능성을 보여주어 시사하는 바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reveal the way in which the body was placed in jar coffins and the character of the occupant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jar coffin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First, this study determined the quarterly period of jar coffins based on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and accordingly attempted analyze the length of the long axis of combined jar coffins, the height of human bones, the condition of the excavated jar coffins and the human bones left therein, the construction location and arrangement of the jar coffins, and burial items. The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t deduced the way the body was placed in the jar coffins and the character of the people buried there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jar coffin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are as follows. First, the way in which the bodies of the dead were placed was Sinjeonjang and Segoljang. In particular, young children’s bodies were buried during the period Ⅰ, and since the long axis of jar coffins became longer from the period Ⅱ, both children and adults were regarded to be buried by spreading and laying the body from the period Ⅱ. Meanwhile, the placement of the human bones in the jar coffins in Jangdong-ri, Naju and Bogamri, Naju is the strong evidence to show the possibility of not only Sinjeonjang but also Segoljang Second, the difference in the arrangement of jar coffins within the same site, the construction location within the same tomb, and the burial goods in tombs were reflected by the difference in the burial method of the people at the time of the establishment of jar coffins, the social status and the gender of the occupants. In particular, the fact that the jar coffins were clustered in the same long axis direction during the period Ⅰ showed that the tombs were constructed in a way to make the previous tombs known, and the pattern of arrangement in straight rows along the river or the hilly ridge is related to their afterlife view. After the period Ⅱ, the location of the jar coffins in a single tomb with multiple burial facilities was changed from the edge of the tomb to the center (the center of wood coffin-around jar coffin (a) → the center of wood coffin·jar coffin (b) → the center of jar coffin (c)). And the burial goods in the jar coffins were changed to prestige items such as ironware, gilt-bronze crowns, gilt-bronze shoes, gold bracelets, and hwandudaedo (Ring-Pommeled Sword), which suggest that the social status of the occupants of the jar coffins changed. Meanwhile, Dongcheon excavated from the jar coffins in Deoksan-ri, Naju has great implications because it implies that the occupant of the tomb might be a woman.

      • KCI등재

        창녕 교동 12호분의 구조와 성격

        심현철 한국문화유산협회 2013 야외고고학 Vol.0 No.18

        창녕의 교동 12호분은 일제강점기 때 발굴 조사된 이후 경주를 제외한 지역에서 확인된 가장 대표적인 적석목 곽묘 중의 하나로 널리 알려져 왔다. 발굴 이후 정식보고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무덤의 구조와 유물에 대한 정확한 내용이 알려져 있지 않음에도 대부분의 신라고고학 연구자들에 의해 창녕을 신라의 지방으로 이해하 는 중요한 근거자료 중 하나로 이해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 창녕지역에 대한 고분조사가 증가함에 따라 이 지역 고총만의 특징적 요소인 개석 위의 적석양상이 뚜렷하게 확인되었고, 12호분을 이와 유사한 구조를 한 석곽묘로 보고자하는 의견이 제시되는 등 무덤의 구조와 성격을 둘러싼 논란은 현재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시점에서 일제강점기조사 당시의 도면과 사진자료를 면밀히 재검토하여 12호분의 구조와 축조 공정 및 성격과 축조의미 등을 상세히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12호분은 지형적 영향에 따른 일부 요소를 제외하고는 구조와 축조공정에 있어서 경주의 중소형 적석목곽묘와 거의 동일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처럼 구조와 축조공정이 유사하다면 12호분의 축조는 경주(왕경)출신의 축조공인(설계자)에 의해 이뤄졌음 을 지적하였다. 뿐만 아니라 출토유물(착장 장신구류)의 내용과 부장양상 및 목곽규모 등을 분석하여 12호분 의 피장자를 여성으로 추정하였고, 무덤의 등급을 경주 적석목곽묘 내에 존재하는 6등급에 대비시켜 그 중 3 등급에 해당하는 왕경귀족 하위등급으로 상정하였다. 나아가 무덤의 구조와 출토유물의 내용으로 보아 12호 분의 피장자는 경주 출신의 왕경귀족 여성으로서 특정시점에 혼인 등에 의해 경주에서 창녕으로 이주했을 가 능성에 대해 지적하였고, 이 시기 12호분의 피장자 뿐만 아니라 일부의 경주인들이 창녕지역에 자주 왕래였거 나 이주해 있었던 것으로 보았다. 이들은 창녕지역 지배세력에게 어떤 정치적 압력을 행사하기 위한 존재라기 보다 신라(경주) 중앙과 창녕지역 지배세력 간의 우호적 관계유지를 위한 매개체와 같은 역할을 하였을 것이 다. Gyodong Tomb No. 12, which was excavated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has been widely known as one of the main examples of a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found outside of the Gyeongju area. However there are uncertainties surrounding the structure and grave goods of this tomb as the excavation results have not been formally reported. Recently, opinions have been put forth regarding the possibility that it may instead be a stone-lined tomb. In this paper, the drawings and pictures made during the Japanese excavation were examined in detail in order to confirm the structure, character and meaning of the tomb.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observe that the structure and the construction process of Gyodong Tomb No. 12 are almost identical to that of the small and medium-sized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of the Gyeongju area, apart from some elements that pertain to location. This indicates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tomb was managed by an individual or group from Gyeongju. The nature and placement of the grave goods, which include personal ornaments, as well as the size of wooden chamber indicate that the tomb was that of a female individual. Of the six grades of the Gyeongju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Gyodong Tomb No. 12 belongs to the third grade, which corresponds to the status of a low ranking noble of the capital. It is possible to suggest that the owner of the tomb was a noblewoman from the capital who had come to Changnyeong due to reasons of marriage, etc. It seems that, at the time, inhabitants of Gyeongju often came to Changnyeong to visit or settle down. It is likely that their role was not to apply political pressure on Changnyeong but to help maintain an amicable relationship between Gyeongju and Changnyeo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