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 풍자소설의 계보

        이도연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3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1 No.-

        Satire is a literary form related to the position of subject. It is determined by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and object. Because satire inevitably needs targetas a object of satire. Therefore it is more essentially social, except as in the caseof self-satire. Satire is a style which is possible when there is possibility of modificationsof the society, or at least still remain the desire to change. In other words, as thepossibility of transformation disappears, the spirit of satire disappears. Ultimately,the question of recovery of satire, it depends on the aesthetic choice and determinationof writers as subjects of literary production. As there are still remain clues of negation,satire is still possible and also required. We regard as major satire writers in modernkorean novels, as follows, Chae Man-sik, Lee Moon-gu, Sung seok-je, and analyzethe Comic texts of them. We discovered the aesthetic transfiguration and presentaspects of satire in their novels. 풍자란 주체와 관련된 문학적 형식이다. 그것은 주체의 자리와 위치에 관계한다. 보다 정확히 표현하자면 그것은 주체와 대상의 관계에 따라 결정되는 문학적 양식이다. 풍자란 필연적으로 풍자의 대상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풍자란 이상의경우처럼 자기풍자를 제외한다면, 본질적으로 사회적인 것이다. 익히 알듯 사회적풍자란 한 사회의 개조 가능성에 대한 열망이 미만하거나 적어도 아직 남아 있을때 가능한 양식이다. 바꾸어 말하면 한 사회의 변혁 가능성이 사라짐에 따라 풍자의정신도 그만큼 위축된다는 뜻이다. 한국문학사에서 풍자문학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제기된 것은 1930년대였다. 주지하듯 그 논의의 단초가 된 것은 최재서의「풍자문학론」이다. 그 논의의 선구성은 인정되지만, 최재서의 「풍자문학론」은 외국이론에 지나치게 의존한 채 한국문학의 구체적 양상들을 살피지 못했다는 한계를지닌다. 식민지 치하의 문학적 상황 속에서 풍자소설을 이론이 아니라 실제 작품을통해 실천해 보인 작가는 다름 아닌 채만식이었다. 채만식 소설의 자전적 수준은풍자적 경향의 증감과 대체로 반비례한다. 김유정이 개척해놓은 해학의 전통을 계승하여 농촌공동체의 문제로 지속․변주한 작가는 이문구였다. 그의 최후 유작인, 내몸은 너무 오래 서 있거나 걸어왔다는 우리 동네를 이어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농촌문제들을 풍자적 시선으로 다양하게 포착하고 있다. 성석제 소설은 채만식의풍자, 김유정의 해학, 이문구의 방언 등, 한국문학의 유구한 그러나 희소한 전통의하나인 희극성을 계승하면서도 거대서사 혹은 소위 대타자가 붕괴한 90년대 이후한국 문학 장 내부의 의미론적 폐허를 효과적으로 재구성한 희귀한 예에 속한다. 박민규는 알레고리를 통해 풍자의 정신이 한국소설의 유구한 전통임을 입증하고있지만, 그것은 지금-여기 역사적 현재에 대한 문학적 응전력을 소진한 대가로 얻어진 것이다. 박형서 소설은 사회적 노동체계라는 현실원칙과는 엄연히 분리된 채쾌락원칙만이 지배하는 감각의 제국이다. 이기호의 유머가 뒤틀린 형상을 띠고 있는것은, 그것이 날카로운 풍자가 아니라 희비극(tragicomedy)의 경계에서 벌어지는아이러니이기 때문이다. 풍자성의 회복이라는 문제는 궁극적으로는 문학적 생산의주체로서 작가의 미학적 선택과 결단에 달려있다. 예술에 있어 여전히 부정의 계기가남아있는 한 그것은 가능하며 필요한 일이기도 하다.

      • KCI등재

        蕭紅 문학의 새로운 이해 -蕭紅 중편소설에 나타난 풍자 특징을 중심으로

        김순금 한중인문학회 2021 한중인문학연구 Vol.72 No.-

        蕭紅은 1930년대 중국 현대 문단에서 활발하게 활동한 여성 작가이다. 그녀는 31살이라는 짧은 생애 동안 40여 편의 소설과 3편(<生死場>, <呼蘭河傳>, <馬伯樂>의 중편소설을 창작 하였다. 특히 蕭紅의 중편소설을 살펴보면 그녀만이 지니는 독특한 풍자가 스며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蕭紅의 중편소설에 나타난 풍자 특징을 고찰하고자 했다. 또한, 본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과제를 수행하고자 했다. 첫째, 蕭紅의 중편소설에 나타난 풍자의 특징 이 20세기 초의 시대적 상황과 긴밀하게 관련된다고 보며, 그 관계의 대상을 구체적으로 규 명하였다. 둘째, 蕭紅의 중편소설에 등장하는 각 계층의 풍자 대상을 살펴 여성과 농민을 노 예화로 만든 봉건 제도와 비뚤어진 지식인의 일탈을 분석하였다. 셋째, 蕭紅의 문화적 가치를 탐구하는 것이 중요한 만큼 蕭紅의 독특한 풍자기법을 통해 풍자 특징을 고찰하였다. 기존 연구를 살펴보면, 蕭紅의 중편소설은 지나치게 서정성을 중심으로 문체와 서술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는 나름의 의미 있는 작업이지만 蕭紅 중편소설의 전반적인 특성에서 볼 때, 문학의 다양성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蕭紅 문학에서 대안적인 풍자의 대상과 이해관계를 찾으려는 하나의 시도이며, 풍자기법이라는 문학적 특수성에서 출 발하여 풍자 특징들을 살펴보는 것이 우선 과제로 남는다. 이로써 본 연구를 통해 蕭紅이 단 지 수필적인 소설로 대표되는 미학적 가치와는 전혀 다른 풍자의 예술을 추구하는 문학이 존 재했음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Xiao Hong is a female writer who was active in contemporary Chinese literature in the 1930s. During her short life of 31 years, she wrote about 40 long-length novels and 3 medium-length novels (<On the Site of Life and Death>, <Hulanhezhuan>, and <Mabole>). In particular, the Xiao Hong's novels has a unique satire. Therefore, this thesis was intended to examine the satirical characteristics of Xiao Hong's novels. In addition, the following three tasks were performed for this study: First, it is consider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satire in Xiao Hong's novel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situation of the beginning of the century; so, the subject of the relationship was specifically identified. Second, by examining the satire objects of each class appearing in Xiao Hong's novels, the feudal system that enslaved women and peasants and the crooked intellectual deviation was analyzed. Third, as it is important to explore Xiao Hong's cultural value, the characteristics of satire were considered through Xiao Hong's unique satire technique. By examining the previous studies, Xiao Hong's novels are mainly based on style and narration with an excessively lyrical focus. Although this is a meaningful work in its own right, a new perspective on the diversity of literature is needed in view of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Xiao Hong's novels. Therefore, this study is an attempt to find alternative satirical objects and interests in Xiao Hong literature, and starting from the literary specificity of the method of satire, it remains a priority to examine the features of satire. Through this study,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re existed a literature that the aesthetic value represented, which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Xiao Hong pursued the art of satire.

      • KCI등재

        풍자에 대한 헌법적 보호-독일 연방헌법재판소 결정례를 중심으로

        이석민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9 법학논고 Vol.0 No.65

        독일연방헌법재판소가 인식한 개념으로서 풍자와 풍자만화(캐리커처)는 ① 간접성 ② 통념에 대한 조롱, 그리고 ③현실의 심미적 묘사라는 세 가지 특징으로 설명될 수 있다. 풍자와 풍자만화는 의견표명의 자유(기본법 제5조 제1항 제1문)의 보호범위에 있다. 풍자가 출판물의 형태에 의할 때에는 출판의 자유(기본법 제5조 제1항 제2문)에 속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자연스러울 것이다. 그러나 연방헌법재판소의 결정에서는 이러한 것들도 기본적으로 의견표명의 자유(위 제1문)로부터 보호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또한 풍자는 예술에 해당할 수도 있다(기본법 제5조 제3항). 독일 기본법의 구조상 예술의 자유는 개별적 법률유보가 없는 조항이므로 풍자가 예술에 해당한다면 그것은 원칙적으로 더 강한 보호를 받게 된다. 풍자 그 자체에 대한 규범적 판단에 앞서, 풍자 표현은 “외양을 벗기는 것”을 통해 풍자 표현이 의도한 주장 내용이 정확하게 해석될 수 있다는 점이 지적될 수 있다. 독일의 사례로, 의견표명이 진지한 논의에 대한 지적인 접근을 표현하였다는 이유로, 풍자만화가 특정 종교단체에 향한 욕설이나 모욕으로 분류되지 않은 판례가 있었다. 이러한 “외양”에 대한 법적인 한계점은, 독일에서의 사회윤리적인 사고방식의 변화로 인해 변하기도 하였고 종종 확대되기도 하였다. 실제 사례들을 검토함에 있어서는, 정치인 등 공인에 대한 사례들보다는 종교단체나 종교인에 대한 사례들을 이 연구에서는 집중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검토결과풍자표현이 제3자의 법익과 갈등관계에 있는 유형에 대해서는, “종교적 감정에 대한 훼손”이나 “신도의 종교적 소속감을 기반으로 하는 명예(또는 원조) 훼손”이라는 것은 독일에서 아직까지는 인정되지 않고 있다. 독일의 법제에 따르면, 한 종교에 대한 풍자적 의견표명의 제한은 모욕의 구성요소 그리고 여기서 설정된 연방헌법재판소의 조건들에 의해 오직 극단적인 경우에만 승인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종교적 신앙고백 자체에 대한 비방의 경우에는 독일형법 제166조에서 법률적으로 금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법률조항인 동시에 기본법 제5조에 따른 언론 출판의 자유에 관한 법률적 경계이기도 하다. 또한 판례의 견해에 따르면 이 규정은 기본법 제4조에 따른 신앙의 자유의 기본권적 보장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이러한 점에 대해서는 “예수의 탄생” 판례 및 “Poncho에서의 요술” 판례에서 예시적으로 살펴보았다. As a concept recognized by the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of Germany(FCCG), satire, and caricature as one type of satire, can be explained by three characteristics: ① indirectness ② critical ridicule on idée reçue (generally held opinion) and ③ aesthetic portrayal. Satire and caricature are protected by the freedom of expression of opinions (Article 5, Paragraph 1, Sentence 1 of the Basic Law). It would be natural to see satire as belonging to the freedom of press (Article 5, Paragraph 1, Sentence 2 of the Basic Act) when it depends on the form of the publication. However, the decision of the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shows that these are basically protected by the freedom of expression of opinion (the Sentence 1). Satire may also be an art (Article 5, Paragraph 3 of the Basic Law). The freedom of art of the German Basic Law is a provision without individual legal reservations, so if the satire corresponds to art, it is in principle protected more strongly. Before the normative assessment of the satire itself, the satire expression can be (and needs to be) interpreted precisely through the “stripping of the appearance”. In Germany, for example, there was a case in which a satirical cartoon was not classified as profanity or insult to a religious group because the expression of opinion expressed an intellectual approach to serious discussion. The legal limitations on this “appearance” have changed, and have often been extended, due to changes in socio-ethical thinking in Germany. In examining the actual cases, this study focused on cases of religious groups and religious people rather than cases of politicians and public officials. As for the types of satire expressions that are in conflict with the interests of third parties(for example other individuals), things such as “destruction of religious feelings” or “defamation of character which is based on the religious affiliation of the believers” is not yet recognized in Germany. According to the jurisprudence of FCCG and the legal system of Germany, the limitation of expressing a satirical opinion on a religion can only be approved in extreme cases by the components of the insult and the conditions of the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has established in that respect. In contrast, in a case of slander against a profession of faith itself,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s prohibited by law in Article 166 of the German Criminal Code. This is a legal boundary for freedom of press under Article 5 of the Basic Law as well as a general provision of an Act of Parliament. Also, according to the judgments of the judicature of Germany, this provis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guarantee of freedom of faith under Article 4 of the Basic Law. This was exemplified in the case of “Birth of Jesus” and “Witchcraft in Poncho”. From the discussions at the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in Germany, we could get some implications for dealing with issues on the satire and caricatures, in regard to interpretation and practice of constitutional law in Korea.

      • KCI등재

        쥐바네스키의 풍자에 반영된 러시아인의 의식과 러시아의 상황

        안병팔(Ahn Byung Pal) 한국노어노문학회 2010 노어노문학 Vol.22 No.1

        본 연구는 쥐바네스키(М.Жванецкий:1934~)의 풍자집 〈좀 더 면밀하게 (Тщательней)...〉(Жванецкий, 2008)에 반영된 러시아인의 의식과 러시아적인 현상을 규명하려고 하는 것이다. 이 작품의 작가인 쥐바네스키는 2009년도에 메드베데프 대통령으로부터 국가훈장을 받은 스타급 풍자작가로 알려져 있다. 쥐바네스키가 러시아 연방 대통령으로부터 2009년도에 공로상을 받은 것은 그 작품 내용의 공신력과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필자의 의도는 풍자되고 있는 러시아의 현실을 폄하하려는 것이 아니라, 대통령상을 받은 풍자작가의 눈에 비친 러시아의 현실 비판을 보면서 거기에 투영된 러시아상황을 읽어보는 방법을 찾아보려는 것이다. 풍자는 일반적으로 “사회 또는 개인의 악덕 모순 어리석음 결점 따위를 비웃음, 조롱, 익살스러운 모방, 반어법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비난하거나 때로는 개선하기 위한 의도로 쓰는 예술 형식”으로 정의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동일한 것으로 혼동되기도 하는 유머는 “복잡한 정신적 자극으로 마음을 즐겁게 하거나 웃음이라는 반사행동을 일으키는 의사소통”의 형태로서 풍자와는 다르게 정의되고 있다. 풍자는 유머의 핵심요소인 웃음의 유발과 직접관련이 없다는 점과 사회악 부조리의 개선 및 비판이 주요 목적이라는 점에서 유머와 다르다. 쥐바네스키의 풍자집 〈좀 더 면밀하게...〉에서는 이러한 풍자를 속담, 격언, 아포리즘, 아넥도트 등 짧게 압축된 형식을 통하여 표현하고 있다. 그가 제시한 450 여 개의 풍자는 다분히 그 시대의 모습을 풍자하고 있는 것 들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짧게 압축되어 간접적으로 묘사된 그의 사회 풍자를 분석하여 해당 사회가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그 시대를 사는 러시아인들의 의식구조가 어떤 것인지를 규명해 내는 것이다. 풍자는 사회를 비판하거나 개선하려고 하는 것이어서 자연스럽게 그 사회를 비춰주고 있는 거울의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좀 더 면밀하게...〉에서는 한 눈에 무엇을 풍자하는지 알아차리기가 쉽지 않았다. 풍자는 다소 간접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우회적으로 사회를 비판하고 개선을 촉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의 『빤딸레온과 특별봉사대』에 나타난 유머와 풍자

        조구호(Cho, Guho)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3 외국문학연구 Vol.- No.51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가 1973년에 출간한 『빤딸레온과 특별봉사대』는 그가 자신의 문학관과 글쓰기 방식을 전환한 소설이다. 이 소설에는, 그의 초기 작품들과 달리, 유머가 넘치기 때문이다. 유머가 인간의 본성을 탐구하는 데 유효하고, 다양한 문학적 표현 수단을 제공한다는 생각에 그가 관심을 집중시킨 것이다. 『빤딸레온과 특별봉사대』는 1950년대에 페루 군부가 아마존 국경 수비대원들의 성욕을 해소하기 위해 조직한 ‘특별봉사대’라는 실제 조직에 관한 이야기에 바탕을 두고 씌어졌다. 『빤딸레온과 특별봉사대』에서 바르가스 요사가 구사한 유머는 무척 다양하다. 기괴한 유머, 패러디적 유머, 풍자적 유머, 조롱적 유머 등이다. 이들 유머는 소설에 형상화되어 있는 각종 이미지, 등장인물들, 특히 빤또하 대위의 행위와 언어를 통해 드러나는데, 특징적인 것은 이들 유머가 두드러지게 성적(性的)인 색채를 띠고 있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셀바와 성욕의 관계에서 드러나는 유머, 빤또하 대위의 수학적 엄밀성과 과학적인 논리에서 비롯되는 유머, 다양한 상징 이미지를 통해 분출되는 유머, 언어를 통해 표출되는 유머, 등장인물의 존재 방식에서 드러나는 유머 등이다. 물론 이들은 따로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복합적으로, 중층적으로 연계되어 독특한 소설미학을 창출한다. 이 소설의 유머와 풍자는 교묘하게 정치적인 색채를 드러낸다. 속은 부패했어도 겉으로는 청교도적인 태도를 보이는 페루 사회(군부), 그리고 사회에 만연한 마치스모를 은유적으로 신랄하게 풍자한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바르가스 요사가 『빤딸레온과 특별봉사대』에 구현한 여러 가지 유머 가운데 특히 성적인 유머의 의미와 당대의 타락한 사회와 군부에 대한 풍자의 의미를 탐색하고 분석할 것이다. Mario Vargas Llosa’s change of his literary vision and method of writing can be manifested in the novel Pantaleon y las visitadoras published in 1973. This novel is full of humor and satire in contrast to his previous novels. He put much interest in the idea that humor is a valid and effective pathway to the investigation of the human nature and also offers several resources for literary expressions. Various types of humor are expressed by the writer Vargas Llosa in this novel: grotesque humor, parodic humor, satirical humor, burlesque humor, and so on. Such an humor is expressed through various images, activities and the verbal language of the characters, especially Pantaleon Pantoja. The most unique characteristic is that the humor conveys some sexual meanings. Speaking more specifically, humor can be detec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va and the sexual desire, in the mathematic strictness and the scientific logic of the protagonist, in various symbolic images, in the language and the way of existence of the characters. Of course, such humorous images are not isolated but intertwined with each other, producing a novelistic aesthetics. The humor and satire in this novel reveal a political color in a very skillful way. The Peruvian society(the Army) which is corrupted inside but shows a puritanical attitude outside and the machismo of this society are severely satirized by means of metaphors and figures of speech. The present paper intends to explore and analyze the meaning of his sexual humor and the satire about the corrupt society and the army of Peru.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가 1973년에 출간한 『빤딸레온과 특별봉사대』는 그가 자신의 문학관과 글쓰기 방식을 전환한 소설이다. 이 소설에는, 그의 초기 작품들과 달리, 유머가 넘치기 때문이다. 유머가 인간의 본성을 탐구하는 데 유효하고, 다양한 문학적 표현 수단을 제공한다는 생각에 그가 관심을 집중시킨 것이다. 『빤딸레온과 특별봉사대』는 1950년대에 페루 군부가 아마존 국경 수비대원들의 성욕을 해소하기 위해 조직한 ‘특별봉사대’라는 실제 조직에 관한 이야기에 바탕을 두고 씌어졌다. 『빤딸레온과 특별봉사대』에서 바르가스 요사가 구사한 유머는 무척 다양하다. 기괴한 유머, 패러디적 유머, 풍자적 유머, 조롱적 유머 등이다. 이들 유머는 소설에 형상화되어 있는 각종 이미지, 등장인물들, 특히 빤또하 대위의 행위와 언어를 통해 드러나는데, 특징적인 것은 이들 유머가 두드러지게 성적(性的)인 색채를 띠고 있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셀바와 성욕의 관계에서 드러나는 유머, 빤또하 대위의 수학적 엄밀성과 과학적인 논리에서 비롯되는 유머, 다양한 상징 이미지를 통해 분출되는 유머, 언어를 통해 표출되는 유머, 등장인물의 존재 방식에서 드러나는 유머 등이다. 물론 이들은 따로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복합적으로, 중층적으로 연계되어 독특한 소설미학을 창출한다. 이 소설의 유머와 풍자는 교묘하게 정치적인 색채를 드러낸다. 속은 부패했어도 겉으로는 청교도적인 태도를 보이는 페루 사회(군부), 그리고 사회에 만연한 마치스모를 은유적으로 신랄하게 풍자한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바르가스 요사가 『빤딸레온과 특별봉사대』에 구현한 여러 가지 유머 가운데 특히 성적인 유머의 의미와 당대의 타락한 사회와 군부에 대한 풍자의 의미를 탐색하고 분석할 것이다. Mario Vargas Llosa’s change of his literary vision and method of writing can be manifested in the novel Pantaleon y las visitadoras published in 1973. This novel is full of humor and satire in contrast to his previous novels. He put much interest in the idea that humor is a valid and effective pathway to the investigation of the human nature and also offers several resources for literary expressions. Various types of humor are expressed by the writer Vargas Llosa in this novel: grotesque humor, parodic humor, satirical humor, burlesque humor, and so on. Such an humor is expressed through various images, activities and the verbal language of the characters, especially Pantaleon Pantoja. The most unique characteristic is that the humor conveys some sexual meanings. Speaking more specifically, humor can be detec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va and the sexual desire, in the mathematic strictness and the scientific logic of the protagonist, in various symbolic images, in the language and the way of existence of the characters. Of course, such humorous images are not isolated but intertwined with each other, producing a novelistic aesthetics. The humor and satire in this novel reveal a political color in a very skillful way. The Peruvian society(the Army) which is corrupted inside but shows a puritanical attitude outside and the machismo of this society are severely satirized by means of metaphors and figures of speech. The present paper intends to explore and analyze the meaning of his sexual humor and the satire about the corrupt society and the army of Peru.

      • KCI등재

        정치적 풍자의 자유와 한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오프라인 공간에 나타난 정치 풍자 판례를 중심으로

        이정기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9 社會科學硏究 Vol.3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political satire and the trends of its regulation by analyzing precedents related to political satires in offline spaces. The analysis of 18 precedents in eight cases led to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of the eight cases that resulted in lawsuits, the subject of satire was an artist, social activist, and instructor/researcher in six, one, and one cases, respectively. That is, it was artists that usually did political satire in offline spaces. Of the eight cases, seven and one took place during the administration of Park Geun-hye and Lee Myung-bak, respectively; second, of the eight cases, the medium of satire was a wall/street, official government promotional material, and public space in five, one, and two cases, respectively; third, the object of satire was a voluntary-political celebrity in all eight cases. A president was the object of satire in all the cases; fourth, there was no cases in which the former or incumbent presidents filed the lawsuit for defamation as the object of political satire. In addition, all the lawsuits were filed without a request from the victims that claimed they suffered damage due to the political satire; fifth, political satire-related lawsuits happened in the violation of legal principles such as property damage crimes and misdemeanor punishment acts rather than in the violation of personal rights such as defamation; and finally, of the 18 precedents in eight political satire cases, the person directly involved in the satire won the lawsuit in only five precedents in three cases. The justice department took into consideration the intention of damage and economic utility of property, direct impacts on an election, and whether it was a simple expression of opinions as grounds to limit the freedom of expressive art in satire work. 이 연구는 오프라인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정치적 풍자와 관련한 판례분석을 통해 정치 풍자의 성격과 규제 동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8개 사건 18건의 판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규명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송으로 비화된 8개의 사건 중 풍자 주체가 예술가인 경우는 6건, 사회적 활동가인 경우는 1건, 강사/연구원인 경우는 1건 나타났다. 즉 오프라인 공간에서의 정치적 풍자는 주로 예술가들에 의해 표현되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8개 사건 중 7개 사건은 박근혜 정부에서 1개 사건은 이명박 정부에서 나타난 소송이었다. 둘째, 8개 사건 가운데 풍자 매체가 담벼락, 길거리인 경우는 5건, 정부 공식 홍보물인 경우는 1건, 공적 장소인 경우는 2건으로 나타났다. 셋째, 8건의 사건 모두 풍자 대상은 자발적-정치적 공인이었다. 대통령은 모든 사건에서 풍자의 대상이었다. 넷째, 정치적 풍자의 대상인 전직, 현직 대통령이 명예훼손을 이유로 소송을 제기한 이유는 한 건도 없었다. 아울러 모든 소송이 정치적 풍자물에 의해 피해를 당했다고 주장하는 피해자의 요청 없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섯째, 정치적 풍자 관련 소송은 명예훼손과 같은 인격권 침해의 상황에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재물손괴죄, 경범죄처벌법 등과 같은 법리 위반에 의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여섯째, 8개 사건 18건의 정치적 풍자 관련 판례 중 풍자 당사자가 승소한 경우는 3개 사건 5개 판례에 불과했다. 재판부는 풍자물의 표현예술의 자유를 제한할 근거로 피해의 고의성과 재산물의 경제적 효용성을 고려하고 있었다. 아울러 선거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는지 여부와 표현이 단순한 의견표명인지 여부 등을 고려하고 있었다. 다만, 재판부의 정치적 풍자 관련 소송에 명확한 기준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 KCI등재후보

        미국 TV애니메이션 시리즈〈사우스 파크〉의 풍자적 기법

        김보현(Bo Hyun Kim)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2 애니메이션연구 Vol.8 No.3

        매체는 소통의 수단이며, 소통의 핵심은 의미의 전달이다. 이 글에서는 풍자의 효과와 관련하여 그 의미를 전달하는 데에 있어서 애니메이션이라는 매체의 특성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사용하였는지 미국 성인용 TV 애니메이션 시리즈 <사우스 파크>의 풍자적 기법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사우스 파크>의 풍자적 기법은 풍자의 형상화 방식과 수용자를 인식한 풍자 방식을 중심으로 희극적 기법과 이중 구조적 기법, 해설적 기법으로 설명할 수 있다. 희극적 기법은 대상의 형상화와 움직임에서 풍자효과와 관련된 부분을 가리키며, 이중 구조적 기법은 한 에피소드 안에서 또 다른 이야기를 들려주는 형식 즉, 속이야기의 형상화에서 나타나는 풍자효과를 말한다. 그리고 해설적 기법은 풍자가의 풍자적 해설이 캐릭터의 대사를 통해 나타나는 특징을 말한다. 이 기법들의 효과는 풍자 대상과 수용자와의 비판적 거리를 형성하게 함으로써 수용자가 풍자의 의미를 파악하도록 하며, 풍자가와 배경지식을 달리하는 수용자의 이해를 도와 풍자의 한계를 극복하는 하나의 전략으로 작용한다. 즉 풍자 애니메이션으로서의 <사우스 파크>는 비판 대상을 풍자하는 데에 있어서 이미지를 통한 대상의 구체적 형상화와 화면에 제시되는 요소들의 조합으로 새로운 의미를 창출해 내는 애니메이션이라는 매체의 특징을 더욱 부각시키는 기법을 사용하여 표현함으로써 보다 차원 높은 풍자를 고취한다. 이것은 소통 도구로서의 애니메이션이 그 매체가 실은 내용과의 치밀한 관계 속에서 더 강한 소통의 힘을 발휘했다고 볼 수 있다. Media is a means of communication and the core of the communication lies in the conveyance of signification. Thus,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how effectively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animation, are used to convey the signification in respect of the effect of satire in American TV adult animation series <South Park>. The satirical techniques in <South Park> can be explained as a comic technique, a dual-structure technique and a commentary technique, focusing on the embodiment technique of satire and a satirical technique recognizing audience. A comic technique refers the part relating to the satirical effect in the embodiment and the movement of the subjects; and a dual-structure technique refers to the narration of another story in one episode, that is the satirical effect appearing in the embodiment of the another story in one episode. A commentary technique refers to the characteristics in which satirical commentation of a satirist appears in the lines of a character. The effects of these techniques help the audience to understand the signification of satire, forming a critical distance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subject of satire and serve a role as one strategy to overcome the limits of satire, helping audience with different background knowledge from the satirist to understand the signification of satire. In other words, satire animation <South Park> aims higher level satire, utilizing the technique highlighting the characteristics generating new signification based on the combination of the elements represented on the screen and the concrete embodiment of the subjects through images when satirizing subjects, which implies the animation has unleashed a greater power of communication in the close relationship with the content in the media as a means of communication.

      • KCI등재후보

        채만식과 노사의 초기 풍자예술 연구

        맹영방 단국대학교 한국문화기술연구소 2011 한국문화기술 Vol.12 No.-

        채만식과 노사(老舍)는 한·중 현대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다는 작가들로서 1920-30년대부터 풍자문학 창작에 주력하였다. 동시대의 작가로서 두 작가는 혼란하고 암울한 사회 현실에도 불구하고 사회의 어둠과 국민들의 열근성을 우회적 풍자적 수법으로 비판하였다. 특히 지식인들의 정신적 세계에 주목하여 훌륭한 작품을 창작하였다. 그래서 지식인의 정신적 세계에 대한 형상화를 중심으로 채만식과 노사의 풍자예술을 살펴보는 것은 의미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채만식의 『레디메이드 인생』 과 노사의 《趙子曰》은 모두 지식인을 주인공으로 창작한 대표적 풍자소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작품의 주제와 인물형상화에 있어서 많은 차이를 갖고 있다. 본고는 주로 풍자대상과 주제, 풍자인물 이미지 및 형상화와 풍자예술 풍격 세 가지의 방면에 초점을 두어 비교·고찰을 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채만식과 노사 초기 풍자예술을 살펴보는 동시에 그들의 풍자풍격이 다르게 형성된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구명하고자 한다.

      • KCI등재

        <이춘풍전>에 있어서 풍자와 해학의 문제

        송철호(Song, Chul-Ho) 한국문학회 2013 韓國文學論叢 Vol.65 No.-

        본고는 이 작품이 보여주는 해학성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중세해체기인 19세기의 전환기적 성격과 당대 시정의 유흥문화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이 작품의 풍자양상을 먼저 검토했으며 이후 해학성을 검토하고 해학이 갖는 작품 내적 의미를 규명했다. <이춘풍전>은 전환기적 시대의 잘못된 유흥문화에 빠져 가산을 탕진하고 가정을 버린 한 남자에 관한 이야기이다. 그는 그의 그릇된 삶의 태도를 바로잡으려는 아내를 폭행하는 등 인간성마저 파괴된 인물이다. 이 작품은 남편의 잘못된 삶의 태도를 바로잡아 바람직한 가정의 모습을 찾으려고 하는 아내의 강한 의지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판소리적 성격이 강한 전반부는 잘못된 유흥문화에 빠져 그릇된 삶을 살아가는 남편의 모습이, 문장체 성격이 강한 후반부는 그런 남편을 바로잡으려는 아내의 모습이 상대적으로 두드러진다. 풍자는 이 과정에서 이루어졌다. <이춘풍전>은 결말 부분을 제외하고는 거의 풍자로 이루어져 있다. 해학은 결말 부분에서 짧게 나오는 것에 불과하다. 문제는 이러한 분량의 차이가 실제로 작품에서 차지하는 비중의 차이인가에 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그것은 아니다. <이춘풍전>에서 풍자보다 더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해학이다. 해학은 춘풍의 아내가 춘풍에게 보여주는 연민의 마음, 춘풍이 아내가 원하던 인간형으로 변모했다는 사실, 화목한 가정을 되찾고 더 큰 긍정의 세계를 이루었다는 사실, 춘풍의 아내에 대한 높은 평가 등을 통해서 파악할 수 있었다. 이 작품에서 풍자는 인간의 어리석음과 악덕을 폭로하고 공격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지 않다. 일반적으로 풍자는 부정과 비판, 그리고 공격이 목적인데 <이춘풍전>은 그것이 목적이 아닌 것이었다. 이 작품에서의 풍자는 '개선'을 목적으로 했다. 본래 풍자가 '개선의 의도'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주변에 머물러 있을 뿐이며 본질은 부정에 대한 비판과 공격에 있었다. <이춘풍전>에서 풍자는 '개선'이라는 목적을 달성했고, 그럼으로써 작품은 해학적 성격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이 작품에서 풍자는 해학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해학은 풍자를 통해서 완성된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shows the transition <Leechunpungjeon(이춘풍전)> humor noted. First, due to the dissolution of the 19th century, medieval transitional nature and nightlife looked at his time of visibility. Based on this, the satirical aspects of this work since the first review and examine humor and humorous work with the inner meaning were identified. <Leechunpungjeon(이춘풍전)> the transitional period has to be added wrong nightlife which has squandered the family is the story of one man. To his right to grab the wrong attitude towards life as a battered wife, even the destruction of humanity, is a man. This work is the wrong way of life for my husband's right to hold the desired look of your home to find his wife's strong will to work is outstanding. Nature p'ansori a strong first half of nightlife located in the wrong husband, the appearance of living the wrong life, writing style personality husband just such a strong second half to grab a relatively prominent figure of his wife. This process was done in satire. <Leechunpungjeon(이춘풍전)> except for the ending part is made up of almost satire. Humor in the ending part that is only a short appearing. Problem is that these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the difference is actually in the works is in proportion. Conclusion to say it is not. <Leechunpungjeon(이춘풍전)> greater than the proportion in the satire that is humorous. Chunpung humor of the show compassion to chunpung wife, chunpung transformed into the fact that my wife wanted Humanoid, harmonious family regain a greater positive the fact that the world is finished, the wife of chunpung through and understand the high ratings could. In this work, satire to expose human folly and vice, and is not aimed to attack. In general, satire and criticism of the negative, and the purpose of the attack is <Leechunpungjeon(이춘풍전)> it was not a goal. In this work, the satire 'improvement' made ​​for the purpose. Original satire 'intention of improving' it does not have to be, but it only stays around forever. The essence is to negative criticism and attacks. <Leechunpungjeon(이춘풍전)> satire on the 'improvement' to achieve the objectives, and the work thus became humorous nature. Therefore, in this work that exists for humorous satire can be a humorous satire that can be completed through.

      • KCI등재

        「양반전」의 풍자 전략과 작품 의미

        이원수 ( Lee Won-soo ) 배달말학회 2018 배달말 Vol.63 No.-

        이 글은 「양반전」의 풍자와 작품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정선양반과 부자 사이에 이루어진 양반 매매 사건은 당대 사회의 양반 팔아먹기 현상에 대한 풍자적 우의이다. 양반 팔아먹기는 문벌과 지위를 재화로 삼아 세덕을 팔아먹는 일체의 행위를 풍자한 것으로, 작품 속 풍자의 기층 프레임이다. 양반을 판 정선양반이 자신은 더 이상 양반이 아니라고 자처하는 행위는 양반 팔아먹기를 하고 있던 당대 양반들에 대한 신랄한 풍자의 뜻을 담고 있다. 「양반전」은 풍자 주체와 객체를 상대화하는 입체적 풍자 전략을 구사하고 있어 풍자가 복잡하고 중층적이다. 따라서 작품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특정 풍자 주체의 시각에 끌려가지 않고 풍자 관계를 정밀하게 분석하는 균형 잡힌 접근이 필요하다. 「양반전」에는 여러 부류의 양반이 등장하는데 이들은 모두 양반이 무언지를 모르고 있거나 일정한 결함을 지닌 양반들이다. 작자는 이들을 통해 18세기 양반사회의 암울한 현실을 보여 주고 있다. 「양반전」은 18세기 양반사회가 처한 총체적 위기를 다루고 있다. 양반의 글읽기는 과거의 도구로 전락하여 제대로 공부하는 선비가 없고, 글읽기에 전념하는 선비는 가난에 시달리고 있다. 양반 신분이 돈으로 매매되고, 정체성을 상실한 양반들은 상민들로부터 신선이나 도둑놈 취급을 받고 있다. 이러한 양반사회의 부끄러운 현실, 이것이 이 작품이 보여주려는 핵심 의미이다. 여기에는 명문가 엘리트 청년 선비의 자기 내집단에 대한 걱정과 위기의식이 담겨 있다. 연암은 양반의 정체성 훼손에 분노하면서도 무지와 어리석음에는 연민의 시선을 던지고 있다. 그는 당대 양반사회가 처한 위기의 근본 원인이 양반의 정체성 혼란에 있다고 본다. 그러나 「양반전」은 진정한 양반의 모습이 어떤 것인지는 제시하지 않고 있다. 이는 청년기의 연암이 아직 양반의 정체성을 정립하지 못했음을 시사한다. This aims to examine satire in Yangbanjeon and the meaning of the work. Trade of Yangban class made between Jeongsun-Yangban and a rich man satirizes a phenomenon back then where Yangban was being bargained away. Trade of Yangban satirizes all acts that were intended to benefit from Yangban class. It is the basic frame of satire. The situation where Jeongsun- -Yangban denies beeing Yangban contains severe satire on Yangban in the day. Objects and subjects of the satire in Yangbanjeon are relativized, and it makes the satire complex and polysemous. Therefore we can grasp the whole meaning of this work through a balanced approach in which complicated combination of satire is well incorporated. Yangbanjeon introduces many kinds of Yangban. But none of them knows what Yangban really is, and each of them has some flaws. The author is presenting through them the reality of Yangban society in the 18th century. Yangbanjeon deals with overall crisis of Yangban society in the 18th century. The gloomy reality of Yangban society those days is the gist the author wanted to reveal. And young Yeonam's worry and consciousness of crisis is reflected in it. Yeonam is enraged by Yangban’s identity being damaged but at the same time is casting a look of sympathy about their ignorance and stupidity. This is because of his view that crisis of Yangban society fundamentally came from identity confusion. Yanbanjeon however does not touch on what is the true sense of Yangban, and it seems to be derived from the fact that young Yeonam could not establish the true identity of Yangban at the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