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의 품사 분류 기준에 대하여

        최형용(Choi, Hyung-yong)(崔炯龍) 형태론 2012 형태론 Vol.14 No.2

        품사의 분류 기준으로 주로 언급되는 것에는 ‘의미’, ‘기능’, ‘형식’의 세 가지가 있다. ‘의미’는 단어들의 추상적 의미를 나타낸다는 점에서 개별 언어의 품사 분류에 있어서 그 나름대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의미 유형’의 측면에서는 유형론적 보편성을 추구할 수 있는 도구로 평가된다. ‘기능’은 문장에서의 역할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품사 본연의 정의를 위해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그러나 유형론적 특수성을 도출해 내기 위해서는 ‘기능’ 속에서 포괄적으로 논의되던 ‘분포’를 ‘기능’과 다른 독자적인 기준으로 구별해 내야 할 필요가 있다. 품사 분류 기준으로서의‘형식’은 단어 내부에 굴절 요소를 둘 수 있는가 여부를 따지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 조사와 결합 가능하다든지 어미와 결합이 가능하다든지 하는 것은 ‘형식’이 아니라‘분포’로 간주하여야 한다. 한국어는 그동안 형태론적 특성에 따라 교착어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 왔으면서도 학교 문법을 포함한 학계 일반에서 동사와 형용사 즉 용언의 활용을 인정해 왔다는 점에서 ‘형식’을 품사 분류 기준의 하나로 인정해 왔다. 한국어의 품사 분류에 대한 초기의 업적들을 대상으로 할 때 용언에만 활용을 인정한 것은 절충적 체계로서 어미와 결합하는 어간의 높은 음운론적 의존성을 반영한 것이다. 그러나 품사분류를 위해 필요한 단어 개념은 음운론적 단어나 어휘적 단어가 아니라 문법적 단어 개념이다. 따라서 이를 중시한다면 조사뿐만이 아니라 어미에도 단어의 자격을 부여해야 한다. 이는 곧 용언의 활용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며 한국어에서 굴절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을 뜻함과 동시에 품사 분류 기준으로서의 ‘형식’의 지위를 부정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실 최현배의 절충적 체계가 출현하기 이전까지 가장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주장되었던 분석적 체계는 품사 분류의 측면에서 한국어의 유형론적 특수성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종합적 체계는 물론 절충적 체계보다 더 나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Generally ‘meaning’, ‘function’, and ‘form’ are considered as criteria for the classification of parts of speech. ‘Meaning’ refers to the abstract meaning of the same word class, not the lexical meaning of a word, and it is related to typological universality. ‘Function’, which represents a large percentage of classifications of parts of speech, refers to the role of a word in the sentence and is therefore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However, from a typological standpoint, ‘distribution’ should be separated from ‘function’. ‘Form’ concerns the inflection of a word. Although Korean is classified thus far as an agglutinating language, ‘form’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criteria of the classification of parts of speech in terms of school grammar, which allows the conjugation of verbs and adjectives in Korean. This is the result of the influence of the phonological dependence of stems combined with endings. However, it is a concept pertaining to grammatical words, not a concept about phonological words, as necessary for the classification of parts of speech. Therefore, endings as a syntactic unit are considered as a part of speech. This also means that in Korean, there exists no inflection, while ‘form’ as a criterion for the classification of parts of speech is denied.

      • 조선어품사에 대한 범주론적고찰에서 제기되는 몇가지 문제

        문영호(文永鎬)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12 중국조선어문 Vol.179 No.-

        언어의 품사론적연구와 분류 문제는 고대시기 아리스토텔레스부터 제기된 문제이고 조선어품사분류를 체계화하기 시작한지도 100여년이 훨씬 넘는다. 그러나 오늘까지도 조선어품사에 대한 견해와 주장, 분류는 단일화되지 못했고 론난을 거듭하면서도 완성하지 못하였다. 그것의 주되는 리유는 품사를 언어범주화 하지 않은데 있다. 언어법칙과 단일표식에 의한 법주본적연구, 즉 객관적인 규칙에 따라 해석되는 품사연구의 언어범주론적연구방법이 확립되지 않는 한 조선어품사연구와 분류는 완성될수 없다. 《언어규칙의 례외현상, 루수현상을 연구하는것이 오늘날 언어연구과제》라고 하면서 품사해석에 계속 혼잡을 주는것은 언어연구의 리론발전과 실천에 그 어떤 의미도 도움도 주지 못한다. 조선어품사연구와 분류의 기본방법은 언어범주론적인 해석에 있다.

      • KCI등재

        범주로서의 품사와 품사 전형성

        이현희(Lee Hyun-hee)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한국학연구 Vol.39 No.-

        본고는 품사를 원형적 구조를 가진 범주로 설정하고 그동안 품사 처리에 문제가 있었던 예들을 ‘품사 전형성’이라는 개념을 적용하여 설명한 논의이다. 단어에 따라 품사가 명확한 것도 있지만 기능이나 분포가 다양하여 품사를 결정하기 어려운 경우도 적지 않다. 이들은 그동안 품사통용이나 전성 등으로 설명되었던 예들이다. 그러나 이 역시 단어의 품사를 고정적으로 결정하고자 하는 관점의 논의이다. 이에 본고는 단어의 품사가 가변적이며 그러한 가변성이 품사 전형성의 차이로 드러난다는 것을 보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른 품사와 가장 많이 중복되는 명사 중 일부 예를 선택하여 명사 전형성에 차이가 어떤 방식으로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특히 중복되는 범주인 동사와 부사의 전형성까지 고려하여 실제로 단어가 어떤 품사의 전형성을 더 많이 가지는지 따져보았는데, 이를 통하여 단어에 어떤 품사를 줄 것인지 결정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단어들 간의 명사 전형성의 차이를 살펴 순위를 매겼는데, ‘책상―전진, 해결/ 신, 품―진짜/혼자, 서로―정말, 함께’ 등의 순서로 명사 전형성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This research aims to treat a part of speech as a category and to explain some words which are difficult to decide their parts of speech.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use a prototypical theory and make a new concept like a ‘typicality of part of speech’. At the part of speech, some words are very clear but some words are not. Accordingly, we shows that the parts of speech of words are fluid and their fluidities are reflected in the difference of typicality. For this discussion, we choose some nouns and their overlapping parts of speech, i.e. verbs and adverbs because nouns are the most overlapping parts of speech. According to the ‘noun typicality’, nouns are arranged in the following order: desk―advance/shoes real/― alone―true/together.

      • KCI등재

        품사 통용 교육 현황 분석 연구 - 문법 기술과 사전 정보의 분석을 기반으로 -

        김한샘 한국국어교육학회 2014 새국어교육 Vol.0 No.100

        Word class conversion is adopted to the prescriptive grammar taught in schools and applied to the regular curriculum. In this study, its concept and scope is verified through a critical review of the previous works and its applica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inquiry activities of textbooks and the teaching materials in the broadcast. Word class conversion is the grammatical phenomenon in which the word is commonly used as a grammatical properties of more than one word class. Word class conversion is an effective and interesting item in grammar teaching for improving students’ analytic thinking about the language. However, designing inquiry activities and the process of assessment is hardly handled. To improve the educational contents of word class conversion, firstly, we must select a list of class-conversional words above all. Secondly, the educational agreement on the features of word class is required. Finally, conversional words in word class must be typed by a variety of aspects. Finally, the types of conversional words should be involved in the information of dictionary. 이 논문에서는 ‘품사 통용’의 개념과 범위를 확인하고, 교과서의 탐구 활동과 방송 교재의 평가 문제 등을 분석하여 실제 교수․학습 현장에서 품사 통용이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품사 통용은 특정 품사에 속한 단어로서 가지는 문법적 성질을 한 단어가 둘 이상의 품사에 속하는 것처럼 함께 지니는 경우를 일컫는다. 품사 통용은 언어에 대해서 학습자의 탐구적 사고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교육 내용이기는 하지만, 탐구 활동을 설계하거나 지식을 평가하기는 매우 까다롭고 난이도가 높은 지식 항목이다. 기존의 교과서나 문항을 분석해 보니 이론의 여지가 있거나 학습자 수준에 맞지 않게 난이도가 높은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어 문법 교육 현장에서 혼란을 일으킨다. 품사 통용 교육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국어 교육용 품사 통용어 목록을 선정하고 품사의 특성에 대한 교육적 합의를 이끌어내야 하며, 품사 통용을 유형화한 후 어문 규범 정보를 정비하여 품사 통용 교육과 연계해야 한다.

      • KCI등재

        다중 품사 down의 인지적 의미 분석

        민현석(Min, Hyun-Su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연구 Vol.0 No.35

        영어에서 품사전환 현상은 신조어 파생의 경제적 수단으로 활용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품사전환 연구는 주로 형태-통사론적 분석에 중점을 두고 진행되어왔기 때문에, 품사전환 쌍이 지니는 의미적 관련성에 대해서는 소홀히 다루어 온 측면이 있다. 더 나아가 다양한 품사로 실현되는 어휘 항목의 경우, 어느 품사를 파생의 기저형으로 삼아야 되는지에 대한 기준이 불분명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쟁점 사항에 대한 실마리를 찾아보고자, 다중품사인 어휘 down을 인지적으로 분석해 보고 있다. 각각의 품사로 전용된 down의 사례들을 영상 도식으로 구현해 봄으로써, 이들 모두가 어휘 down이 떠올리는 하강 개념을 바탕으로 의미 확장되고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이러한 인지적 분석은 두 가지 시사점을 나타내고 있는데, 첫째, 표면상 서로 다른 의미값을 표방하는 것처럼 보이는 다중 품사 사례의 의미적 관련성 포착을 가능하게 해주며, 둘째, 다중 품사 사례의 기저형 설정이 특정 품사가 갖는 단일 의미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의미 명세를 수용할 수 있는 어휘의 기본 의미를 품사전환을 유발하는 기저 개념으로 제안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meanings of the lexeme down, which can be used in more than two functions without morphological change to reveal which concept is to be operated as the base during conversion. On zero-derivation analysis, the determination of the base among word pairs is restricted to a certain grammatical category, which brings about the problem of what part of speech should be chosen as the base form among multiple forms of a lexeme (e.g. down, like, round, etc.). As an attempt to solve this problem, I analyze the meanings of down in various parts of speech under the framework of Cognitive Grammar and extract an image schema of down functioning as a core meaning, which plays the role of the base in conversion. Although semantic values of down seem differently realized in various parts of speech, they implicitly share a core meaning as a parent concept triggering semantic extension. In this sense, this analysis not only enables us to capture the semantic relatedness of down in various parts of speech but also provides a cue to which is the base concept among items with multiple parts of speech.

      • KCI등재

        국어 품사 분류와 관련한 몇 가지 문제

        구본관(Koo, Bon-Kwan) 형태론 2010 형태론 Vol.12 No.2

        국어의 품사 분류와 관련하여 해결되지 않은 문제가 많지만 본고에서 다룬 문제는 품사 분류의 기준과 품사 통용에 관한 것이다. 품사 분류의 기준으로는 형태, 기능, 의미, 단어 조성 유형의 공통성 등이 언급되었고, 이들 각각의 중요도에 있어서도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사실 품사 분류가 학문적인 엄밀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일관된 하나의 기준이 적용되어야 한다. 하지만 여러 기준이 적용된 전통적인 분류도 단어의 최소한의 특징을 알게 해 주므로 국어교육이나 한국어교육에서는 여전히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한 낱말이 다양한 품사로 분류되는 현상에 대해서 각각 관점의 차이에 따라 혹은 외국 이론이나 자생적인 논의에 의해 전환, 영접사 파생, 품사 통용 등의 용어가 쓰이고 있다. 품사 분류를 적절하게 하여 품사 통용 현상을 줄일 수는 있겠지만 분류의 속성상 통용 현상을 완전히 없애기는 어렵다. 이런 문제들은 국어학계에서 잘 알려진 것으로 새로울 것이 없지만 본고에서는 기존의 논의들을 정리하고 나름대로의 해결책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품사 분류 기준의 타당성, 용어의 기원, 교육적인 가치 등에 대해 일부 새롭게 밝히거나 새로운 견해를 제시하기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al with a few issues regarding parts of speech in Korean, especially, the issues on criteria determining parts of speech and conversion. Chapter 2 deals with the criteria which is used in determining parts of speech. The criteria in Korean include considerations on forms, functions, meanings, properties of word-formations, and so on, although one consistent standard should be applied for academic explicitness. Chapter 3 considers conversion of parts of speech. Conversion is hard to be eliminated no matter how hard we try to classify parts of speech in a plausible manner. Such issues on parts of speech in Korean remain important till this day.

      • 시간을 나타내는 단어의 품사 설정과 사전 기술 연구

        이재현(Lee, Jae-Hyun) 동덕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人文科學硏究 Vol.21 No.-

        한국어의 단어들 가운데 시간을 나타내는 단어들을 포함한 일부의 단어들은 두개의 품사를 가지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품사 설정과 품사 전성 그리고 품사 통용 등의 용어들을 먼저 살핀 후 두 개의 품사를 가지는 것처럼 보이는 단어들 가운데서 특히 '어제, 오늘, 내일'과 같이 시간을 나타내는 단어들에 초점을 맞추어서 이들 단어에 하나의 품사를 부여할 것을 제안하였다. 국립국어원에서 펴낸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어제, 오늘, 내일'과 같은 단어들의 품사 설정과 풀이에 일관성이 보이지 않는다. 기본적으로는 하나의 표제어로 이들 단어를 등재한 후 한 단어에 두 품사를 부여하고 있다. 그러나 '그제, 어제, 오늘, 내일, 모레' 등의 단어에는 명사와 부사의 두 품사를 부여하고 있는 반면, 똑같은 시간적 연속선상에 있는 '글피, 그글피'와 '어제, 오늘, 내일, 모레'의 한자어인 '작일, 금일, 명일, 명후일/재명일'에 대해서는 명사 한 품사만 부여하고 있다. 이 논문을 통해 이러한 일관되지 못한 기존 사전의 처리 방법에 문제를 제기한 후 이들의 오류를 바로잡고 '어제, 오늘, 내일' 등과 같은 시간어에 두 개의 품사가 아닌 하나의 품사로서 명사를 부여하는 것이 타당함을 밝혀 보이려 하였다. 또한 시간어 '오늘'의 사전 기술 방식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오늘> 품사 : [명사] 1. (1) 지금 지나가고 있는 이날. = 금일(今日) (2) =오늘날. 2. (부사적으로 쓰이어) 지금 지나가고 있는 이날에. Some Korean words are known to have two different parts of speech includingparticularly those words referring to time. Upon reviewing examples concerning thedecision of, the conversion of, and the circulation of parts of speech, the current researchsuggests that a unique part of speech can be given to a word that has characteristics ofboth noun and adverb (especially a time-referring word).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does not offer a systematic guide that may proveuseful for the decision of parts of speech and the application of such words as 'yesterday,today, and tomorrow.' Instead, the Dictionary lists this type of word as a single entry andthen, allows it to have two parts of speech. For example, some of the pure Korean wordsthat refer to time such as 'the day before yesterday, yesterday, today, tomorrow, and theday after tomorrow' can be either noun or adverb. In contrast, the Chinese-based wordsthat can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aforementioned words such as 'the past day, thepresent day, and the upcoming day' are exclusively identified as nouns. The present study highlights these inconsistencies and the shortcomings embedded in theexisting lexical methods, while illustrating the benefit of giving a unique parts of speech asa noun to those time-referred words such as 'the day before yesterday, yesterday, today.'As an example, we offer an appropriate lexical description of a time referred word,'today', as in the following: <Today> Part of Speech: Noun (1) The day that is presently passing = the present day (2) Nowadays 2. (when used as an adverb) On the day that is presently passing.

      • KCI등재

        1910년대 품사 연구

        최형용 한국어학회 2020 한국어학 Vol.88 No.-

        In this paper I looked into the researches on the parts of speech in the 1910’s generally, in the aspect of ‘system’ and ‘term’, paying attention to the relation of interaction, and investigated several detailed topics of parts of speech. As a result I showed that those researches played the pivotal role in the research of grammar and established its own identity, noting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Korean, in spite of the influence by the researches of the West and Japan. This can be seen directly from ‘Josa and ending’ of Korean, which are treated as a member of parts of speech. This means that the word, as a unit of the classification of parts of speech, is not limited to lexical words. The criteria for classification is ‘function’ in the school of Ju Si-gyeong. Also it is noteworthy in the researches that a view of ‘conversion of parts of speech’ took place instead of ‘change of parts of speech’. 본고에서는 1910년대 품사 연구의 양상을 체계와 용어의 측면에서 일괄하면서 상호 영향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품사와 관련된 몇 가지 하위 주제에 대해 언급하였다. 이를 통해 1910년대의 품사 연구는 문법 연구의 중심 분야로서의 지위를 가지고 있었고, 서양의 문법 연구와 이를 받아들인 일본의 문법 연구로부터 자유롭지는 않지만 또 다른 한편에서는 한국어의 구조적 특성에 대해 주목하면서 독자성을 구축하기 시작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사와 어미에 대해 적극적으로 품사의 지위를 부여한 것이 이를 단적으로 증명한다. 이러한 점에서 주시경(1910, 1911, 1913), 주시경(1914), 이규영(1913?, 1913, 1919?), 김두봉(1916)은 계승과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하나의 학파로 묶일 만하다고 할 수 있으며 이보다는 비중이 크지 않지만 김규식(1912), 남궁억(1913?), 안확(1917)도 같은 맥락에서 바라볼 수 있다. 조사와 어미를 품사 분류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는 것은 품사 분류 대상으로서의 단어 개념에 대해서도 짐작하게 하는바 품사 분류의 대상으로서의 단어는 어휘적 단어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한편 품사 분류의 기준이 명시된 경우는 없었지만 명사의 비중이 지나치게 커진 주시경(1914)를 제외하면 조사와 어미를 역할에 따라 한데 묶은 것이나 대명사나 수사를 별도로 설정하지 않은 주시경 계의 품사 분류는 기능을 가장 중시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대해 대명사를 설정한 김희상(1911), 김규식(1912), 남궁억(1913?)이나 여기에 수사까지도 별도의 품사로 인정한 안확(1917)은 상대적으로 의미를 중시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안확(1917)에서 품사 전성과는 다른 품사 통용의 관점이 처음 노정되고 있다는 것도 1910년대 품사 연구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통시적 관점에서의 품사 통용 연구 - 문법화 현상을 중심으로 -

        허원영,최대희 영주어문학회 2022 영주어문 Vol.50 No.-

        This study is to interpret Multi-part-of-speech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In this case, the interpretation of the diachronic perspective refers to the inference of the process or result of language change. Here, Multi-part-of-speech is interpreted based on the grammaticalization theory among the language change theories. In Chapter 2, Reviews the previous studies of Multi-part-of-speech. Multi-part-of-speech is a phenomenon in which more than one part-of-speech is included in one word. In the existing discussion, the phenomenon is described synchrony and defined as the concept of [-directionality]. However, since Multi-part-of-speech is withhold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phenomenon itself, defining it as [-directionality] is problematic. Also, it is believed that Multi-part-of-speech is mainly derived from part-of-speech classification, which is also a synchrony interpretation. In most types corresponding to Multi-part-of-speech, diachronic change is confirmed. After all, Multi-part-of-speech can also be described as [+directionality]. Accordingly, Multi-part-of-speech requires an interpretation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as well as the existing synchrony interpretation. In Chapter 3, Multi-part-of-speech was described by grammaticalization. Although diachronic change is explained by various types of theories, grammaticalization is referenced in relation to Multi-part-of-speech. In this case, grammaticalization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a less grammatical thing is transformed into a more grammatical one. In grammaticalization, changes in the three domains of meaning, phonology, and category appear in a single direction. In particular, Multi-part-of-speech is related to the grammaticalization of categories. The part-of-speech category of the Korean language is grammaticalized according to the grammatical level in the following way : ‘noun/verb/adjective > pronoun/numerals > adverb > determiner > interjection > postposition’. In this way, the movement of the parts-of-speech category in the process of grammaticalization is called decategorialization. That is, Multi-part-of-speech occurs as the word placed in the grammaticalization process is decategorialization. Of course, not all types of Multi-part-of-speech can be explained by grammaticalization. In addition, even within the same type, there are cases where it is explained by grammaticalization, and there are cases where it is not. Accordingly, in the text, cases of Multi-part-of-speech by grammaticalization are classified and organized. 이 연구는 통시적 관점에서 품사 통용을 해석하려는 것이다. 이때 통시적 관점의 해석이라는 것은 언어 변화의 과정 혹은 결과의 추론을 말한다. 여기서는 언어 변화 이론 중 문법화론에 입각하여 품사 통용을 해석한다. 2장에서는 품사 통용의 앞선 연구들을 검토한다. 품사 통용은 한 단어에 둘 이상의 품사가 포함되는 현상이다. 기존의 논의에서는 해당 현상을 공시적으로 기술하고, [-방향성]의 개념으로 정의한다. 다만 품사 통용은 현상에 대한 해석 자체를 유보하는 것이므로, 이를 [-방향성]이라 정의하는 것은 문제이다. 또한 품사 통용은 주로 품사 분류에서 비롯된다고 여겨지는데, 이 역시 공시적인 해석이다. 품사 통용에 해당하는 대다수의 유형에서는 통시적 변화가 확인된다. 결국 품사 통용은 [+방향성]으로도 설명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품사 통용은 기존의 공시적 해석뿐만 아니라 통시적 관점에서의 해석도 필요하다. 3장에서는 문법화에 의한 품사 통용을 기술한다. 통시적 변화는 다양한 유형의 이론들로 설명되지만, 품사 통용과 관련해서는 문법화가 참고된다. 이때 문법화란 덜 문법적인 것이 더 문법적인 것으로 변화하는 현상을 뜻한다. 문법화에서는 의미, 음운, 범주 세 영역의 변화가 단일방향적으로 나타나는데, 특히 품사 통용은 범주의 문법화와 관련된다. 국어의 품사 범주는 그 문법성의 정도에 따라 ‘명사/동사/형용사 > 대명사/수사 > 부사 > 관형사 > 감탄사 > 조사’의 경로로 문법화된다. 이처럼 문법화 과정에서 품사 범주가 이동하는 현상을 탈범주화라고 한다. 즉 품사 통용은 문법화 과정에 놓인 단어가 탈범주화되면서 발생하는 것이다. 물론 품사 통용의 모든 유형을 문법화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더불어 같은 유형 내에서도 문법화로 설명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이에 따라 본문에서는 문법화에 의한 품사 통용의 사례들만을 분류하여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