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여름철 한반도 폭염의 시작과 지속을 조절하는 종관기상 조건

        최우석,허창회,정지영,장민희,하경자 한국기상학회 2021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0

        지구온난화가 지속되면서 여름철 폭염에 대한 노출과 피해는 미래에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폭염에 의한 피해는 열의 누적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폭염의 시작과 지속에 대한 종관적 이해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여름철 동아시아 몬순과 관련된 장마 활동이 폭염 시작을 조절할 수 있고, 전지구 규모에서의 동서방향 파동과 태평양-일본의 남북방향 원격 상관으로 인한 순압적 대기 구조가 한반도 폭염일 수 증가의 주요 인자라는 점을 밝혀냈다. 폭염 시작은 장마전선의 활동성 및 위치와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7-8월 한반도 폭염일 수는 대기의 정체 현상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는 한반도 지역에서 중위도 파동 활동에 의한 상층 고기압성 회전의 발달과 관련있기 때문이다. 순압적 고기압성 순환은 대기를 안정화시켜 구름 발생이 줄어들고 일조시간이 증가하여 폭염의 지속시간이 증가하게 한다. 반대로 상층 제트기류가 강화되어 대기 순환이 활발하고, 기압골이 접근하여 경압불안정이 자주 발생될 때에는 폭염일 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한반도에서의 폭염 발생과 지속의 기상학적 메커니즘을 규명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폭염에 의한 피해를 줄이는 것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폭염의 유형 분류 및 분석

        민기홍,장아헌 한국기상학회 2021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0

        한반도에서 발생하는 폭염은 21세기에 이르러 점차 발생 횟수와 강도가 증가하는 추세이고, 폭염기간 동안 도시별 폭염 발생 날짜 및 강도도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다. 현재까지 대규모 및 종관규모 분석을 통한 폭염 연구는 활발히 수행되어 폭염의 발생 메커니즘을 상당수 밝혀냈으나, 한반도의 복잡한 지형을 반영한 연구는 미흡하여 상이한 폭염의 지역적 특징을 이해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2016년과 2018년 전세계적으로 극심한 폭염이 나타나면서 지구 곳곳에서 최고기온 극값을 갱신하였고, 폭염에 의한 온열 피해도 크게 나타나 폭염 예측성 향상을 위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한반도에서 나타나는 폭염에 대한 국지 프로세스 이해를 위해 지상자동관측장비(ASOS)의 기온, 기압, 풍향을 기반으로 군집 분석을 수행하고, ERA-5 재분석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에서 나타나는 폭염이 크게 영남형, 영서형, 전국형으로 분류될 수 있음을 제시할 것이다. 영남형 폭염은 남고북저의 기압배치로 한반도로 남풍의 바람이 유입될 때 발생한다. 영남지역의 지면 가열로 국지적으로 열적저기압이 생성되면서 남서풍 및 서풍이 내륙에서 강화되고, 서풍이 소백산맥을 넘으며 강한 태양복사와 더불어 풍하측이 풍상측보다 기온이 상승하는 유사 푄현상과 영남 지역으로 유입되는 남풍이 남낙정맥을 넘으며 풍상측에 구름, 풍하측에서 기온이 상승하는 푄현상이 결합되어 폭염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동해안으로 수렴 구역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영서형 폭염은 한반도 남쪽에 위치하는 열대저기압/태풍에 의해 동풍 혹은 남동풍이 유입될 때, 북태평양 고기압과 열대저기압의 영향으로, 고온다습한 공기가 태백산맥 및 소백산맥을 지나면서 전형적인 푄현상이 나타나 영서지역에 폭염이 발생하였다. 이때, 서해안으로는 바람의 수렴역이 형성되었다. 전국형 폭염은 티벳 고기압 및 북태평양 고기압이 한반도 상층에 중첩되어 위치하면서 지상부터 상층까지 키 큰 고기압이 형성될 때, 한반도에 고기압 돔이 발생하여 고기압 역내의 하강 기류에 의해 한반도 전체가 단열압축에 의한 승온이 발생하고, 고기압 역내에서 지면은 국지적으로 열적저기압에 의한 해풍 유입이 나타나나, 내륙의 대기는 정체되어 열돔 현상에 의한 폭염이 강화되는 구조로 발생하였다. 향후 열대야에 대한 군집 분석과 국지분석을 수행하여 우리나라의 폭염/열대야 예측성 향상을 위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할 것이다.

      • 재난으로서 폭염의 위험 인식과 서울시 대응 과제

        한영근,백지선 서울시공공보건의료재단 2022 SEOUL HEALTH ON AIR 건강정책동향 Vol.1 No.45

        국내에서는 2018년 발생한 폭염으로 인해 사망자 수가 급증하면서 폭염을 법령상 '자연재난'으로 규정하고 피해 최소화를 위한 관련 정책들을 추진해 왔다. 본고에서는 재난으로서 폭염의 위험성(Hazard)을 조명하고 폭염 노출 경로(Exposure)와 그에 따른 사회적 취약군(Vulnerable Group)을 재정의함으로써 서울시 폭염 대응 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향후 과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폭염재난 취약계층에 대한 보도주체의 인식

        박미예(Mi Ye Park),이승수(Sung Su Lee) 안전문화포럼 2023 안전문화연구 Vol.- No.25

        언론인의 폭염 취약계층에 대한 인식은 미디어를 통해 들어난다. 이는 재난 관련 정보를 주로 미디어에 의존하는 뉴스 수용자에게 영향을 미치며, 미디어를 통해 드러난 정보를 뉴스 수용자가 그대로 받아들이게 될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는 폭염재난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언론에 보도되는 특정 계층에 대한 언론인의 인식을 조사 분석하여 폭염 취약계층에 대한 보도 프레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찾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폭염 취약계층에 대한 취재경험이 있는 방송사 소속의 현직기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4점 Likert 척도로 이루어진 선택형 문항과 서술형 문항으로 이루어졌다. 4점 Likert 척도로 이루어진 선택형 문항은 탐색적 요인분석(EFA)을 통해 차원을 구분하였으며 취재환경 및 보도효과로 명명하였다. 또한 서술형 문항을 통해 언론인의 구체적인 의견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현직 기자들의 폭염취약계층에 대한 취재동기 및 보도를 통해 뉴스 수용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주요 메세지를 파악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첫째, 폭염 취약계층 취재 및 보도에는 특정 프레임을 구성하게 하는 보도관행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직기자들은 폭염 취약계층에 대한 현재의 보도방식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직기자들의 폭염 취약계층에 대한 취재는 언론인으로써 역할과 보도관행으로써 접근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폭염 취약계층에 대한 보도를 통해 취약계층에 대한 국가 및 지자체의 대책촉구를 의도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폭염 취약계층에 대한 보도프레임 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언론인의 사명과 보도관행 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보도관행에 따른 뉴스에서의 폭염 취약계층에 대한 표현은 감성적 언어 및 영상이 사용되며, 현직기자들은 이러한 보도방식이 수용자의 폭염대비에 효과적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폭염 취약계층에 대한 보도 의도가 보도관행에 따른 폭염 취약계층에 대한 표현방식과 상충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현직기자들은 폭염 취약계층에 대한 보도를 통해 국가 및 자치단체 차원의 대책을 촉구하려는 의도로 뉴스를 구성하였지만, 그 표현방식인 폭염 취약계층 생활환경에 대한 감성적 보도 언어 및 영상을 통해 뉴스 수용자에게 전달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뉴스 수용자에 대한 연구를 통해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향후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폭염 취약계층에 대한 보도주체와 수용주체간의 인식의 차이를 규명해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Journalists' awareness of heat wave vulnerable groups is revealed through the media. This affects news recipients who mainly rely on the media for disaster-related information, and it is highly likely that news recipients will accept information revealed through the media as is. As heat wave disasters continue to increa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journalists' perceptions of specific groups reported in the media to find factors that influence the reporting frame for heat wave vulnerable group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current reporters belonging to broadcasting companies who had experience reporting on heat wave vulnerable groups. The survey consisted of multiple-choice and open-ended questions on a 4-point Likert scale. The multiple-choice questions consisting of a 4-point Likert scale were divided into dimensions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d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reporting environment and reporting effect. In addition, we attempted to understand the specific opinions of journalists through descriptive questions, and through this, we were able to identify the main messages they wanted to convey to news recipients through current reporters' motivations for covering heat wave vulnerable groups and reporting. As a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are reporting practices that create a specific frame when covering and reporting on heat wave vulnerable groups. Second, current reporters appeared to think positively about the current reporting method on heat wave vulnerable group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current journalists approach reporting on heat wave vulnerable groups as a journalistic role and reporting practice. Fourth, it was revealed that the report on heat wave vulnerable groups was intended to urg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to take measures against vulnerable groups. It was confirmed that the journalist's mission and reporting practices regarding the socially disadvantaged influenced the composition of the reporting frame for the heat wave vulnerable group. According to reporting practices, emotional language and images are used to express heat wave vulnerable groups in the news, and it was confirmed that current reporters maintain this reporting method because they believe it is effective in preparing recipients for heat waves.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intention of reporting on heat wave vulnerable groups may conflict with the way of expressing heat wave vulnerable groups according to reporting practices. Current reporters composed news with the intention of urging measures at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levels through reporting on heat wave vulnerable groups, but the method of expression was conveyed to news recipients through emotional reporting language and video about the living conditions of heat wave vulnerable groups. It is being done. This needs to be confirmed through research on news recipients. In the fu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expect to be able to identify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reporting and receiving subjects regarding heat wave vulnerable groups.

      • 군집 분석을 통한 한반도 폭염의 유형 및 모델링 분석

        장아헌,민기홍 한국기상학회 2021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4

        폭염은 높은 기온에 의해 나타나는 재해 기상 현상 중 하나로 최근 폭염의 빈도 및 강도가 증가하면서 그 위험도는 점차 높아지고 있다. 2016년과 2018년, 극심한 폭염이 한반도에 나타나면서 최고기온 극값을 갱신하였고 이에 폭염에 의한 온열 피해가 크게 나타나면서 폭염 예측성 향상을 위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한반도 폭염에 대한 국지 프로세스 분석 연구에서는 최고기온을 기반의 군집 분석을 수행하여 영남형, 영서형, 전국형 폭염으로 분류한 바 있다. 영남형 폭염은 남서풍 유입에 의한 유서 푄현상과 내륙의 높은 기온에 기인한 열적저기압의 발생으로 폭염이 나타나고, 영서형 폭염은 북고남저형 기압배치로 동풍이 산맥을 넘어오며 승온현상이 나타나는, 전형적인 푄 현상에 의해 폭염이 발생하였다. 또한 전국형 폭염은 북태평양 고기압과 티벳고기압의 영향으로 지상에서 대기 상층까지, 키큰 고기압에 의한 하강 기류의 단열압축으로 폭염이 발생하였고, 지상 기압 배치와 풍향이 폭염의 국지적 발생 메커니즘에 큰 영향을 미침을 보여주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ASOS 및 AWS 관측 데이터와 ERA5 재분석자료 기반으로 수행한 K-means 군집 분석(K-means Clustering Analysis) 결과를 바탕으로 한반도 폭염의 특징을 보다 세밀하게 분석하고 군집 간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군집 분석에 사용된 기상 변수는 관측데이터에서 추출한 최고기온, 풍향과 상대습도와 최고기온을 결합한 체감온도 기반의 열지수를 사용하였고, ERA5 재분석자료의 해면기압을 추가로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풍향을 기반으로 수행하였을 때는 남서풍, 남동풍, 무풍형 군집으로 분류되었고 열지수 분석에서는 남부형, 전국형이 주로 분류되었으며 해면기압은 동고서저형, 남고북저형, 북고남저형 군집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풍향과 최고기온의 군집에 속하는 폭염 사례를 비교해본 결과 남서풍이 불어들어올 때는 영남 지방에 높은 기온이 나타났고, 동풍이 나타날 때는 영서지방에 고온이 나타나면서 한반도에 나타나는 폭염은 바람과 기온의 상관관계가 매우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고 해면기압과 풍향의 군집을 비교해본 결과 해면기압이 남고북저형으로 나타나면 남서풍형이 주로 나타나고 북고남저형으로 나타나면 동풍형이 주로 나타나는 모습을 보이면서 해면기압과 풍향, 최고 기온은 유기적인 관계를 가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 열대야에 대한 군집 분석을 진행하고 있으며 LENS(지역앙상블예측시스템)를 이용한 폭염/열대야 국지분석과 예측력 향상을 위한 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 KCI등재

        효과적 폭염대응을 위한 열지수 활용가능성 검토

        강지윤(Kang, Ji Yoon),박봉철(Park, Bong-Chur),허종배(Heo, Jongbae),김기욱(Kim, Keewook) 한국방재학회 202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1 No.4

        최근 전 세계에서 지구온난화 등으로 인한 폭염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폭염은 기후변화가 진행됨에 따라 피해가 가장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되는 기상재해로 폭염대비를 위한 폭염특보의 적절한 발령이 매우 중요하다. 여름철 기온이 유사하게 나타나는 지역 간에도 습도의 차이에 따라 사람이 느끼는 더위의 정도가 다르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일최고기온만을 이용한 폭염특보의 발령이 적절한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 폭염대응을 위해 기온과 습도를 함께 고려한 열지수의 활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먼저 기온 및 열지수와 폭염피해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일최고기온과 일최고열지수에 의한 폭염발생과 온열질환자 발생 사이의 일치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폭염특보 발령을 위한 기준으로 일최고열지수를 적용한 경우에 일최고기온을 적용한 경우보다 온열질환자 발생과의 일치성이 2배 이상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예측 선행시간에 따른 열지수 예측정확성 평가 결과, 모든 예측 선행시간에 대하여 기온보다 열지수의 예측정확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예측 선행시간 10시간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정확성(NSE = 0.7196; CORR = 0.8698)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고려할 때, 폭염특보 발령을 위해 기온과 습도가 모두 고려된 열지수를 이용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며, 지역별 폭염특보 기준설정을 위해 다양한 관측지점의 장기간 데이터를 활용한 폭염특성과 기상인자와의 연계성 분석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Damage caused by heatwaves has been increasing recently worldwide. As climate change led by global warming progresses, heatwaves are projected to cause the most damage. Thus, it is very important to issue an appropriate heatwave advisory so that one can be prepared for it. Considering that the degree of heat experienced by people differs depending on the difference in humidity between regions with similar summer temperatures, it is necessary to evaluate whether the issuance of a heatwave warning using only the daily maximum temperature is appropriate.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heat index considering both temperature and humidity for effective heatwave response. First, the agreement between the occurrences of heatwaves and heat-related illness, where the occurrence is decided by the daily maximum temperature and daily maximum heat index, was evaluated. The results show that when the daily maximum heat index was applied as a criterion for issuing a heatwave warning, the coincidence with the occurrence of heat-related illness was more than two times higher than when the daily maximum temperature was applied. Next, on evaluating the prediction accuracy of the heat index according to the prediction-related leading time, the accuracy of the heat index was noted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temperature for all the leading times; the highest accuracy was shown at the leading time of 10 hours (NSE = 0.7196; CORR = 0.8698).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using a heat index that contains both temperature and humidity elements to issue a heatwave warning. Furthermore, to establish regional standards for heatwave warnings, the relationship between heatwave characteristics and meteorological factors should be first analyzed using long-term data from various observation points.

      • 국가 리스크 관리를 위한 기후변화 적응역량 구축·평가 : 데이터 기반 폭염 및 한파의 직간접 영향 분석

        채여라,이승준,전호철,서승범,박종철,최영웅,김대수,최서형,고민수,이종영,임세호,김영욱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9 사업보고서 Vol.2019 No.-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세계경제포럼(WEF)의 Global Risk Report ㅇ 분야별로 집중 분석한 기후변화의 직접적인 영향 분석을 넘어서, 사회·경제에 발생하는 다양한 간접 영향의 분석이 중요해짐 □ 기후변화에 의한 영향은 사회·경제·환경 시스템 안에서 영향이 전이, 증폭돼 다양한 분야에 2, 3차 피해를 줌 ㅇ 현재 기후변화에 의한 직접적 피해(1차 영향) 위주의 통계적 연구가 주로 수행됨 ㅇ 피해 요소들 사이의 인과관계와 피드백 분석 한계로 사회·경제적 영향 과소평가 ㅇ 사회시스템 안 리스크 간의 상호작용 및 상호 연관성 분석 필요 □ 기후변화 간접적 영향과 부문 간 전이과정에 대한 분석 및 정량화 필요 ㅇ 기후변화 영향의 전파 과정을 구조화해 체계적 리스크 대응 필요 ㅇ 기후변화 리스크의 인과관계, 비선형적 변화, 전이효과(cascading effect) 분석을 통한 통합적 대응 필요 2. 연구의 목적 및 범위 □ 체감형 적응을 위한 데이터 기반 기후변화 리스크 대응체계 구축 I, II 주요 연구 성과 □ 폭염 및 한파의 간접 영향 분석 Ⅱ. 데이터 기반 영향 분석 1. 보건(노동생산성) □ 결과 요약 및 시사점 ㅇ 야외근무 및 고온에 노출되는 비중이 높은 직업은 2018년 여름철(6~8월)에 평소 대비 평균 62.38%의 효율이 나타남 ㅇ 지역별로 업무효율의 저하는 광주광역시, 전라남도의 순으로 크며, 강원도가 영향이 가장 작은 것으로 확인됨 ㅇ 고온에 취약한 직업군이 많은 지역은 전라남도, 경상북도, 충청남도 순으로 확인됨 ㅇ 업무효율 저하로 인한 손실이 가장 많은 지역은 경기도로 일평균 758,723시간의 손실로 인해 하루 약 94,840명의 인력이 더 필요함 □ 한계점 ㅇ 본 연구에서의 WBGT 지수를 활용한 업무효율에서 활용되는 100~500W의 직업분류는 직종에 따른 분류를 토대로 하여, 작업형태 및 근로자의 개별적인 역량은 구분하지 못함. 또 직업 간 고온 노출 정도, 작업환경, 작업강도 등 근로환경의 차이를 반영하지 못함. 신체조건, 컨디션, 기초대사량 등의 개인의 차이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질 수 있음 ㅇ WBGT는 온도, 습도, 일사량, 풍속 등 다양한 기상변수를 활용하여 계산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온도와 상대습도를 통해 추정치를 사용함. 시간별이 아닌 일평균 값을 사용하여 일과시간의 WBGT는 과소 추정되었을 가능성이 높음 ㅇ ISO 7243에서 제시하는 WBGT와 근로역량 관계는 작업강도에 따른 WBGT를 기준으로 제시됨. 그러므로 도출되는 업무효율 저하는 권장노출한계로 실제 업무효율의 저하와 차이가 있을 수 있음 2. 에너지 □ 결과 요약 및 시사점 ㅇ 시계열적 분석을 통해 동계의 한파(기온 하강)는 개별 가구의 난방에너지 수요를 증가시키고 이는 난방에너지 지출 상승을 확인 ㅇ 미시자료 분석을 통해 난방에너지에 대한 지출은 가구의 가처분소득과 양의 관계가 있음을 보였음. 또한 난방 방식 및 가구의 소득수준(일반 및 저소득)에 따라 난방에너지 비용 지출에 미치는 영향이 차별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 ㅇ 일부 모형설정에서 난방수요 증가(난방도일 증가)가 식료품 지출액을 줄이는 효과가 나타남 ㅇ 국내의 에너지 빈곤에 대한 정책은 단편적인 에너지 요금 할인 정책임 - 에너지 요금 할인은 가구의 가처분소득을 증가시키는 것에는 의미가 있으나, 난방 방식 및 주택 구조 등에 따른 차별적인 에너지 복지제도 등 맞춤형 제도가 필요함 -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단순한 가처분소득의 증가가 아닌 효율 개선 등을 통해 에너지 비용(수요)을 낮추는 것이 사회 전체의 편익을 극대화함 □ 한계점 ㅇ 데이터의 한계로 시계열과 미시자료를 혼합 사용하여 가구별 기온에 따른 반응을 살펴보는 것에는 한계가 있음. AMI 데이터를 통해 세분화된 분석이 필요함 ㅇ 2차 영향 분석을 위해 식료품 소비에 집중하였으나, 기타 소비재에 대한 영향에 대해 서도 분석이 필요함.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기 위해서는 수요 시스템 모형을 통한 분석이 향후 연구에서 진행될 필요가 있음 3. 수자원 □ 폭염이 수자원에 미치는 직·간접 영향 □ 수자원 부문 폭염대책 ㅇ 現 여름철 폭염 종합대책(2019) - 고수온 양식업 피해 최소화 대책(해양수산부): 실시간 전국 연안 수온 모니터링을 통한 수온정보 제공 등 ㅇ 향후 대응 전략 방안 - 조류경보 시스템을 통한 수질개선 대책 및 대응전략 마련 - 하천의 자연성 회복을 위한 협의체 운영 4. 농작물 □ 결과 요약 및 시사점 ㅇ 농축산물 가격 현황 및 전망 자료에 대한 통합적 관리 ㅇ 기온변화에 따른 가격 변동성을 고려한 사전적인 수급안정화 정책 도입 ㅇ 일괄적인 기온 중심 위기단계 발령보다는 품목별 생육특성, 유통구조 등을 고려한 대응이 효과적임 □ 한계점 ㅇ 가격 모형 분석 시 가구 구성, 식생활 패턴 등 수요 측면 미고려 ㅇ 농축산 물가를 구성하는 다수의 품목이 아닌 기온에 민감한 대표 품목을 중심으로 분석 Ⅲ. 비정형 데이터 기반 폭염 및 한파의 직간접 영향 분석 1. 보완점 □ 키워드 정의 세분화 ㅇ 개념을 더 잘 찾도록 장기간의 노하우가 축적된 유의어 작업 필요 ㅇ 서술어, 표현 간 사전을 만들어서 개념의 서술내용 구체화 필요 ㅇ 개념화된 서술어 도출 방법을 개발하여 연결관계의 개념적 정의 필요 □ 신문기사 외 분석 대상 텍스트 유형 추가: 현상을 자세히 기록하고 분석·보고하는 텍스트 발굴 필요 □ 시각화 개발: 노드 위치 고정으로 시간에 따른 전이 양상의 시각적 효과 향상 2. 시사점 □ 인과관계 추적 ㅇ 시간 흐름에 따른 노드 간 인과관계 도출 ㅇ 개념어 단위로 일반화된 인과관계 추적 기법 마련 ㅇ 서술어 도출 방법 개발을 위한 통계값을 자동화하여 개념 서술어 도출 방법 기초 마련 □ 개념어 정제 필요성 확인: 분석 주제와 대상에 대한 개념어 정제 및 노하우 축적 필요성 확인 □ SD 자동화 구성 방법론 제시: 분석 주제와 키워드 설정으로 SD 자동화로 구성 가능한 방안과 프로그램 제시 Ⅳ.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1. 결론 및 제언 □ 정보의 수요자인 일반인 입장에서의 능동적 혹은 수동적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활용함으로써 평소에 관심을 갖기 어려운 기후변화 과학이나 영향, 리스크 관련 정보를 주변적 경로에서 서서히 중심적 경로로 유도하여 기후변화 리스크를 올바르게 이해하도록 돕는 것이 정책의 목표가 되어야 함 □ TPB 모델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태도, 규범, 통제감이 기후변화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한 행동의도 및 실제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임이 확인됨. 기후변화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한 생활 속 실천 행동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행동과의 연관성이 높은 인식을 제고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정책이 필요 □ 개인의 인식이나 인구통계적 특성이 적절한 메시지와 조합될 때 행동의도와 실제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점이 설문조사 분석을 통해 확인됨 □ 사안에 대한 태도, 규범, 통제감 등은 일반인이 기후변화 리스크라는 주제를 보다 친숙하게 접하면서 변화할 수 있는 요인임. 본 연구에서 조사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사례를 변형 및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써 변화를 유도할 수 있음 □ 앞으로 현장에서 활용할 기후변화 리스크와 관련한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개발하여 개인의 행동 의도나 실제 행동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함. 가장 효과적인 메시지 종류와 개인의 인식 및 특성의 조합을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실험하고 확인 할 필요 있음 Ⅴ.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1. 폭염 및 한파 리스크 대응역량 강화 방안 □ 폭염과 한파의 직간접 영향 간의 인과관계 중 일부 분석 ㅇ 폭염 및 한파는 다양한 분야에 걸쳐 영향을 미치며 드러난 영향만 고려해도 매우 큰 피해를 입히는 것으로 확인됨 - 영향은 지역 및 대상자별로 차이를 보이며, 이에 따른 피해도 큰 차이를 나타냄 ㅇ 현재 우리나라의 폭염대책은 수요자 및 지역적 특성에 대한 고려가 미흡한 기온에 기반한 일괄적인 대책이 대부분임 - 대책의 실효성 확보를 위해서는 사회경제 환경 여건을 고려한 체감영향 분석 결과에 기반해 우선적으로 실행돼야 함 - 지자체에서는 다양한 맞춤형 대책을 마련하고 현재 수립된 대책의 모니터링, 효과평가 등을 통해 지속적인 점검 및 개선 필요 ㅇ 우리나라의 폭염 대책에는 본 연구에서 분석한 영향 대부분을 단기적인 관점에서 제시하고 있으나, 적응역량 강화를 통한 피해 예방을 위한 중장기적인 대책이 필요함 ㅇ 폭염으로 인한 건강영향 저감을 위해 무더위쉼터 운영, 그늘막 설치 등 일시적 노출저감을 위한 대책 외에도 취약계층의 주거환경 여건 개선 등 대응역량 강화 대책 필요 ㅇ 기후리스크 저감을 위해서는 단편적 영향에 대한 대책 외 리스크 대응 역량을 강화하는 사회적인 대응이 필요 ㅇ 대응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 Ⅰ. Introduction 1. Background and Necessity of Research □ Global Risk Report of the World Economic Forum(WEF) ㅇ In addition to analyzing the direct impacts of climate change, which have been analyzed by sector, the analysis of various indirect impacts on society and the economy becomes important. □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are secondary and tertiary damages to various fields, as the effects are transferred and amplified within the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systems. ㅇ At present, statistical studies focusing on direct damages (primary effects) due to climate change are mainly conducted. ㅇ Underestimating socio-economic impacts due to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 damages ㅇ Need to analyze interactions and correlations between risks in social systems □ Analyze and quantify the indirect impacts of climate change and the intersectoral transition process ㅇ Systematic risk response is required by structuring the spread of climate change impacts ㅇ The need for integrated response through analysis of causality, nonlinear change, and cascading effect of climate change risk Ⅱ. Data Driven Impact Analysis 1. Public health (Labor productivity) □ Results and Implications ㅇ In 2018 summer (June to August), outside workers and workers who are exposed to high temperatures have 62.38% efficiency on average compared to ordinary conditions. ㅇ The highest efficiency decreased provinces are Gwangju-si and Jeollanam-do. Gangwon-do is the least affected province. ㅇ Jeollanam-do, Gyongsangbuk-do and Chungcheongnam-do are the provinces with a high proportion of the highly vulnerable occupational group. ㅇ The highest work efficiency decreased province is Gyeonggi-do. Gyeonggi-do needs 97,840 people to recover the work-hour loss, 758,723 hours per day. □ Limitations ㅇ 100 - 500W work categorization, which is used in WBGT based work efficiency calculation, is based on occupation, so that, it is not able to apply work type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Moreover, it is not easy to include differences in occupational environments, like degrees of high-temperature exposures, work environments and workload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like physical conditions, condition, and basal metabolism. ㅇ The original WGBT is calculated with various weather variables, like temperature, humidity, solar radiation, wind, and etc. However, this study used a simplified WBGT calculation equation, just using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Instead of hourly data, this study used daily average data for WBGT calculation. Therefore, there is an over-estimation possibility of working hours WBGT. ㅇ WBGT and working efficiency relationships of ISO 7243 are suggested based on WBGT and workload. Thus, there may be a difference in real decreased work efficiency. 2. Energy □ Results and Implications ㅇ Through time series analysis, the cold wave in winter (falling temperature) increases the heating energy demand of individual households, which confirms the rising heating energy expenditure. ㅇ The analysis of micro data shows that spending on heating energy is positively related to household disposable income. We also found that the impact on heating energy expenditures differs depending on the heating scheme and household income levels (general and low). ㅇ In some model settings, increased heating demand (increased heating days) has the effect of reducing food expenditures. ㅇ The policy on energy poverty in Korea is a fragmentary energy rate discount policy. - Energy rate discount is meaningful to increase disposable income of household, but needs customized system such as differentiated energy welfare system according to heating method and housing structure. - In the long run, lowering energy costs (demand) by improving efficiency rather than simply increasing disposable income maximizes the benefits of society as a whole. □ Limitations ㅇ As a limitation of the data, there is a limit in examining the response to temperature by household using a mixture of time series and micro data. Granular analysis required with AMI data ㅇ Concentrates on food consumption for secondary impact analysis, but also needs to analyze impacts on other consumer goods. In order to comprehensively consider this, the analysis using the demand system model needs to be conducted in future studies. 3. Water resources □ Summary and Insights ㅇ It is found that water quality deteriorates as frequency and severity of heat-waves increase. ㅇ Increases in frequency and severity of heat-waves under climate change can cause secondary damages such as illness and decrease in crop yield. ㅇ Current heat-wave mitigation plan - Plans for minimization of aquaculture damages: real-time coastal water temperature monitoring system ㅇ Future strategies - Water quality improvement by adopting algal warning system - Operation of the council for rehabilitation of rivers □ Limitations ㅇ Post-processing of the water quality data sets has not been appropriately implemented. 4. crops □ Results and Implications ㅇ Integrated management of livestock price status and forecast data ㅇ Introduce proactive supply and demand stabilization policy considering price volatility caused by temperature change ㅇ The response considering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structure of each item is more effective than the overall temperature-based crisis stage. □ Limitations ㅇ Unnecessary aspects such as furniture composition and dietary patterns in price model analysis ㅇ Focused on representative items sensitive to temperature, not on many items that make up livestock prices Ⅲ. Analysis of heat wave and cold wave effects based on atypical data □ Detailed keyword definition ㅇ Need better knowledge of a connection between conceptual words and their synonym for better concept finding process ㅇ Need predicate words and their expressions dictionary, including a detailed description of conceptual predicate words ㅇ Need to develop conceptualized predicates derivation method for conceptualized definition of relationships □ Additional source types for text mining: Need text sources that record the details of the phenomenon □ Development of Visualization: Better contagion status visualization by fixing node locations □ Track casual relationships ㅇ Derive the casual temporal relationship between nodes ㅇ Develop a generalized casual relationship tracking method based on conceptual words ㅇ Prepare foundation for deriving conceptual predicates through automation of predicate words related statistics update process □ Necessity of conceptual words refinement: we showed the need of conceptual words refinement and related knowhow for objectives and targets of analysis □ Suggest SD automation method: we suggested SD automation measures and program by setting analysis objectives and keyword Ⅳ. Risk communication □ Following the results of the study in 2018, this second year research suggests policy directions by introducing communication cases formerly utilized in the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field and analyzing a survey on the effect of communication message. □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have been used to raise consciousness of environmental and climate change risk. ㅇ The study introduced three types of passive communication: Green pedestrian crossing by Jody Xiong of DDB China, Climate change poster by WWF, and Climate name change by 350.org. ㅇ The study also introduced two types of active communication: Climate crowd by WWF and several infotainment TV programs in Korea. □ The survey results provided a couple of insights regarding climate risk communication policy. ㅇ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control were all identified as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perform behavior or behavior as indicated by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ㅇ Providing people with an appropriate type of message considering perceptive 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ould positively or negatively affect the intention to perform behavior or behavior. □ Further development and test of climate risk communication methods, which ultimately work effectively on the ground, are required in order to raise laypeople’s awareness of the climate change risk. Ⅴ. Conclusion and Suggestions 1. Strengthening capacity for response to heat wave and cold wave risk □ Partial analysis o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heatwave and cold and indirect effects ㅇ Heatwaves and cold waves affect a wide range of areas and are considered to be very damaging, even considering the effects revealed. -Impacts vary by region and subjects, resulting in significant differences. ㅇ At present, most of the measures against heatwave in Korea are collective measures based on temperature that lacks consideration of consumer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 In order to secure the effectiveness of measures, it should be implem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haptic impact analysis considering the socioeconomic environment. - Local governments need to provide a variety of customized countermeasures, monitor the current measures, and evaluate the effects through continuous evaluation and improvement. ㅇ Although most of the impacts analyzed in this study are presented in the short-term, Korea's measures against heatwaves require mid- and long-term measures to prevent damage by strengthening adaptive capacity. ㅇ In addition to measures to temporarily reduce exposure such as operation of hot shelter and installation of shade curtains to reduce the health effects of heat waves, measures to strengthen countermeasures such as improving the living environment of vulnerable groups are needed. ㅇ In order to reduce climate risks, social responses are needed to strengthen the capacity to respond to risks in addition to countermeasures. ㅇ A systematic approach is needed to strengthen the response capacity.

      • 폭염으로 인한 피해 경감대책 방안 연구

        윤소연,강두기,윤동근,김지혜,최창식,성기환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4 No.-

        기상청의 한반도 기후변화 전망보고서(2012)에 따르면 온실가스 배출이 현재와 같이 지속될 경우(RCP 8.5) 21세기 후반(2071-2100) 우리나라의 평균기온은 현재보다 5.3℃ 상승하고, 폭염일수는 30.3일 증가하여, 폭염으로 인한 강도가 한층 심화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폭염으로 인한 피해를 저감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는 2005년부터 국민안전처(구 소방방재청)에서 범정부적인 폭염대응 종합대책을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다. 또한, 기관별, 지자체별로 각각 폭염대응정책 마련을 통해 폭염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표는 여름철 기온 상승으로 인한 폭염에 대응하고, 중장기적으로 폭염 피해를 경감할 수 있는 대책을 발굴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구조적, 비구조적 폭염대책을 비교·분석하고, 국내의 폭염대책의 현황과 문제점을 조사하였다. 특히, 대표적인 폭염대책 중 하나인 무더위쉼터의 공간적 분포와 이용현황을 분석하였다. 또한, GIS를 이용하여 지역별 폭염일수, 취약계층 비율(65세 이상 고령자, 독거노인, 기초생활수급자), 재정자립도 등의 폭염취약지표를 이용한 폭염취약성을 분석하였으며, 폭염취약지역과 무더위쉼터 분포와의 공간적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기존 폭염대책의 개선방안 및 새로운 대책은 중장기적으로 폭염피해를 저감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LENS 모델 기반의 한반도 폭염 예보인자 산출 및 폭염지수 개발

        장아헌,조서윤,민기홍 한국기상학회 2021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0

        높은 기온으로 인해 발생하는 폭염은 여름철 대표적인 재해 현상 중 하나로, 최근 그 강도 및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면서 위험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폭염의 강화로 인한 온열 피해가 여러나라에서 크게 나타나고 있고, 최고기온의 극값을 갱신한 2016년과 2018년 폭염으로 이에 대한 폭염예측성 향상을 위한 연구가 다방면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기상청의 현업 앙상블 모델 LENS(Limited area Ensemble System)의 지상 기온 예측값과 ASOS 관측 기온을 비교한 결과, 최저기온의 경우 LENS 모델이 관측값과 유사하게 나타난 반면 최고기온의 경우 LENS 모델이 관측값에 비해 과소모의하는 경향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LENS 모델을 기반으로 머신러닝 기법을 사용하여 폭염 예측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예보인자를 발굴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통계적 기법을 바탕으로 한반도 폭염 예측에 기여할 수 있는 폭염지수를 개발하고자 한다. 폭염 예보인자 발굴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주요 6개 도시(서울,대전,광주,대구,부산,울산)를 대상으로, LENS 모델의 22개 중요 기상 변수를 독립 변수로 지정하였고, ASOS 최고기온을 종속 변수로 입력하여 의사결정나무(DT), 랜덤포레스트(RF), 그레디언트부스트(GB)의 머신러닝을 수행하여 머신러닝 기반의 폭염 예측모델을 구성하였다. 각 도시 및 예측모델에서 모두 사용된 변수는 체감온도 기반의 열지수, 온위, 해면기압이었으며, 50% 이상의 모델에서 사용된 변수는 상대습도, 풍향, 풍속, 대기경계층높이, 현열 및 잠열 등으로 나타났다. 현재, 머신러닝을 통해 발굴한 폭염 예측인자 연구를 바탕으로, 선형 회귀 모형, 로지스틱 회귀 등의 다양한 통계적 기법을 이용하여 한반도 폭염의 국지적 특성을 반영한 새로운 폭염 지수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 시민 참여를 통한 사회·경제적 환경 여건별 폭염 체감 영향 분석

        채여라,최영웅,김태현,황인철,변지민,박태우 한국환경연구원 2019 수시연구보고서 Vol.2019 No.-

        Ⅰ. 서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 폭염의 영향 ㅇ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임계기온 낮아지고, 온열질환 발병률 증가 ㅇ 소득이 적을수록 온열질환 발병률이 높음 ㅇ 야외노동자와 외국인의 온열질환 발병률이 높음 □ 실질적 폭염 피해 저감을 위한 수요자 중심 맞춤형 대책 마련 필요 ㅇ 사회·경제 환경 여건이 폭염 체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자료 미비 ㅇ 수요자(취약계층)의 사회·경제적 환경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 마련이 시급함. ㅇ 폭염이 미치는 영향의 실질적 저감을 위해서는 온도에 기반한 일률적 대응이 아닌 사회·경제 환경 여건을 고려한 영향 기반 대응 필요 2. 연구 내용 및 수행 체계 □ 폭염 체감 영향에 관한 대국민 설문조사 실시 ㅇ 폭염 관련 인식도, 체감 영향, 냉방 에너지 비용 등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 실시 □ 시민 참여 폭염 취약 대표 집단 모니터링 실시 ㅇ 폭염 관련 현장의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관계자의 심층 인터뷰 및 폭염일지 작성 □ 시민 참여 거주 및 근로환경에 따른 노출온도 조사 ㅇ 폭염에 취약한 거주 및 근로환경에 폭염이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실제 노출온도 측정 Ⅱ. 폭염 체감 영향 관련 국내외 선행연구 1. 폭염 체감 영향의 개념 □ 폭염 체감 영향 ㅇ 동일한 기온 기준에 따른 일률적인 영향이 아닌 개인의 사회·경제적 환경과 그에 따른 폭염 노출 수준 및 영향 수준 차이를 고려한 영향 ㅇ 폭염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폭염 대응 계획 수립 시 사회·경제적 환경여건이 다양한 사람들의 실제 노출 수준 및 영향 수준과 그에 따른 폭염 체감 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2. 사회·경제적 환경 여건과 폭염 체감 영향 □ 연령, 성별, 소득, 직업, 거주환경 등 개인의 사회·경제적 환경 여건에 따른 폭염 영향 Ⅲ. 폭염 인식 및 체감 영향 조사 1. 폭염 인식 조사 □ 직업별 폭염에 따른 업무효율 ㅇ 응답자의 직업별 야외근무 비중은 평균 24.8%로, 농림어업, 건설업, 전기/가스/수도사업 순 ㅇ 폭염으로 인해 직업별로 업무효율이 저하한 응답자는 평균 32% □ 야외근무 비중과 폭염에 의한 업무효율 감소 관계 ㅇ 야외근무의 비중이 30% 미만인 근로자는 업무효율 30% 미만 감소가 가장 많았으나, 30% 이상 야외근무를 하는 근로자는 업무효율이 30%~70% 감소했다는 응답이 가장 많음 2. 폭염에 따른 체감 영향 조사 Ⅳ. 근로 및 거주환경에 따른 노출온도 차이 분석 1. 거주환경에 따른 노출온도 차이 분석 □ 주택 유형에 따른 실내온도 차이 분석 ㅇ 주택 유형(아파트, 단독, 연립, 쪽방)에 따른 실내 평균 온도는 쪽방이 30.61℃로 가장 높고, 연립주택 30.3℃, 아파트 30.27℃, 단독주택 30.06℃ ㅇ 일반적인 주택 유형의 구분으로는 유형별로 실내온도에 명확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음 - 유형 1(관측소 기온보다 높은 분포): 취약한 지붕, 연구 기간 동안 대부분의 시간대에서 관측 기온 초과, 최대 10℃ 상회 - 유형 2(관측소 기온과 유사): 낮 시간대에 관측소 최고기온과 유사, 밤 시간대에 하락 폭이 낮음 - 유형 3(관측소 기온보다 낮은 분포): 외부 기온 상승 시 내부 기온 하락, 에어컨 가동에 따른 결과 2. 근로환경에 따른 노출온도 차이 분석 □ 실내외 근무 여부에 따른 노출온도 차이 분석 ㅇ 일반적인 실내외 근로자의 평균 노출온도의 비교로는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으나, 직종별의 차이는 크게 나타남 □ 직종별 노출온도와 관측소 기온 비교 ㅇ 택배/배달: 다른 직종에 비해 높은 고온에 노출되는 빈도가 많음 ㅇ 건설업: 특정 작업 시 매우 높은 고온에 노출 ㅇ 농업: 재배 작물에 따라 노출온도 특성이 다르며 온도의 편차가 큼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 폭염에 따른 업무효율 저하 ㅇ 폭염에 따라 업무효율은 평균 32% 저하되었으며, 70% 이상 야외근무를 하는 경우 평균 48%의 저하가 나타남 ㅇ 최근 5년간 온열질환으로 인해 의료시설을 방문하거나 만성질환을 보유한 근로자의 경우 폭염에 따른 업무효율의 저하가 큰 것으로 나타남 □ 근로환경에 따른 노출온도 분석 결과 ㅇ 직업에 따라 노출온도의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며, 택배 및 배달업은 다른 직업군에 비해 고온에 노출되는 빈도가 많았음. 건설업의 경우 특정 작업 시 매우 높은 고온에 노출되고 있으며, 농업은 재배 작물에 따라 노출온도 특성이 다르고 노출온도의 편차가 큼 □ 거주환경에 따른 노출온도 분석 결과 ㅇ 일반적인 주택 유형의 구분으로는 유형별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으나, 주택 지붕형태, 위치, 냉방시설 가동 여부에 따른 영향은 차이가 있음 2. 제언 □ 폭염 취약 계층에 대한 체감온도 및 영향 기반 대책 필요 ㅇ 현 폭염 특보 및 관련 대책은 기상 관측 온도에 기반하여 일률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실제 폭염 노출온도는 직업, 거주환경 등에 따라 다름 ㅇ 현장 중심의 실질적 저감을 위해서는 근무 및 주거 여건을 반영해 맞춤형으로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 노동환경 현실을 반영한 폭염 대책 마련 필요 ㅇ 폭염 시 노동자들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폭염 시 작업중지권을 법제화할 필요가 있음 ㅇ 하절기에는 업무량 조절과 인력 증원 등의 조치 필요함 ㅇ 건설 현장, 방송 현장 등의 경우 폭염 시기를 고려한 공사 기한 조정과 임금 보전 등의 대책 마련 필요함 ㅇ 이동노동자(가스검침원, 배달노동자 등)를 위한 접근성 있는 쉼터 제공 필요함 ㅇ 농업 관련한 정부의 폭염 대책은 주로 농작물 중심이므로 농민들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추가적인 대책 마련 필요함 Ⅰ. Introduction 1. Research background □ Impact of heat waves ㅇ As age increases, critical temperature decreases and the incidence of thermal diseases increases. ㅇ The lower the income, the higher the incidence of heat diseases. ㅇ Outdoor workers and non-Koreans have a high incidence of thermal diseases. □ It is necessary to prepare customized countermeasures centered on consumers to significantly reduce heat damage. ㅇ Data on the influence of socioeconomic conditions on vulnerability to heat waves is insufficient. ㅇ It is urgent to prepare customized policies considering the socio-economic environment of vulnerable groups. ㅇ An impact-based response that takes into account the socio-economic environment is needed, not a uniform response based on temperature. 2. Research content and performance system □ A public survey on the impact of feeling heat waves ㅇ An online survey on heat wave awareness, impacts and cooling costs □ Monitoring of the heat stroke-vulnerable groups based on citizen participation ㅇ In-depth interviews and a heat wave journal for those who can share their experiences of the heat wave □ Investigation of exposure temperatures according to living and working environments, based on citizen participation ㅇ Actual exposure temperature measurements to determine the impact of heat waves on living and working environments vulnerable to heat waves Ⅱ. Review of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Heat Wave Impacts 1. Concept of heat wave impacts □ Heat wave impacts ㅇ Heat wave impacts are based on the socio-economic environment and resultant differences in heat exposure and impact levels of each individual, not on an identical temperature standard. ㅇ In order to reduce the damage caused by heat wav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actual level of exposure and impact on various people of varying socio-economic conditions and the impact of heat waves on the development of the heatwave response plan. 2. Socio-economic environment and heat wave impacts □ The influence of heat waves based on the socio-economic environment of an individuals, including age, gender, income, occupation, and living environment Ⅲ. Heat Wave Awareness and Impacts 1. Heat wave awareness survey □ Work efficiency by occupation due to heat waves ㅇ Among respondents, an average of 24.8% reported working outdoors. By occupation, such work includes the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ing industries,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the electricity, gas and water industries, from the largest to smallest percentage. ㅇ 32% of respondents’ work efficiency decreased due to heat waves.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portion of field work and the decrease in work efficiency due to heat waves ㅇ Most workers that performed less than 30% of their work outdoors reported decreases in efficiency by up to 30%, while those who performed more than 30% of their work outdoors reported decreases in efficiency of between 30 and 70% the most. 2. Investigating the impact of heat waves Ⅳ. Analysis of Differences in Exposure Temperatures according to Working and Living Environments 1. Analysis of differences in exposure temperatures according to living environments □ Indoor temperature difference analysis by housing type ㅇ By housing type (apartments, detached houses, townhouses, and single-room dwellings), single-room dwellings reported the highest average temperature, at 30.61℃. Next were townhouses, at 30.3℃, followed by apartments at 30.27℃ and finally detached house, at 30.06℃. ㅇ In terms of general housing types, there is no clear difference in indoor temperature by type. - Type 1 (higher distribution than temperatures taken at observatory: fragile roofs, observed temperatures exceeding 10 ° C in most time zones during the study - Type 2 (similar to temperatures taken at observatory: similar to the observatory's highest temperature during the day, with a lower drop during the night - Type 3 (distribution lower than temperatures taken at observatory: Internal temperature drops when outside temperature rises, resulting from air conditioning 2. Analysis of differences in exposure temperatures according to working environments □ Analysis of differences in exposure temperatures according to indoor / outdoor work ㅇ The difference in average exposure temperature of general indoor and outdoor workers is not obvious, but the difference by occupation is large. □ Exposure vs observatory temperature by occupation ㅇ Courier / delivery: More frequent exposure to higher temperatures than other occupations ㅇ Construction industry: Exposure to very high temperatures in certain operations ㅇ Agriculture: Exposure temperature characteristics vary and temperature variation is large depending on crops grown. Ⅴ. Conclusion and Suggestions 1. Conclusion □ Reduced work efficiency due to heat waves ㅇ Work efficiency decreased 32% on average due to heat waves, and 48% on average for workers performing more than 70% of work outdoors. ㅇ Workers who visited medical facilities or had chronic diseases due to heat diseases over the past five year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work efficiency due to heat waves. □ Results of exposure temperature analysis according to working environments ㅇ The characteristics of exposure temperature are different depending on occupation, and the courier service and the delivery industry are more frequently exposed to high temperatures than other occupation groups.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exposed to very high temperatures during certain operations, and agriculture has different exposure temperature characteristics and large variations in exposure temperature depending on the crops grown. □ Exposure temperature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living environments ㅇ In the general classification of housing type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ypes, but the effect is different depending on roof type, location, and cooling facilities. 2. Suggestions □ Need for temperature impact-based measures for heat wave-vulnerable groups ㅇ Current heat wave special measures and related measures are made uniformly based on weather observation temperatures, but actual heat exposure temperature varies according to occupation and living environments. ㅇ To reduce site-centered practical reduc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measures that are customized to reflect working and residential conditions. □ Need to prepare measures for heat waves reflecting working environments ㅇ To protect workers' lives and health during heat waves, it is necessary to enact a right to stop work during heat waves. ㅇ In summer, measures such as workload adjustment and expansion of the labor force are necessary. ㅇ In the case of construction sites and broadcasting sites, it is necessary to prepare measures such as adjusting the construction deadline and protecting wages considering the heat wave period. ㅇ It is necessary to provide accessible shelter for mobile workers (gas meter inspectors, delivery workers, etc.). ㅇ Since the government's measures against heat waves are mainly focused on crops, additional measures are needed to ensure the safety of farm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