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전체 방전 플라즈마 공정을 이용한 페놀 처리

        박영식,김동석 대한보건협회 2011 대한보건협회 보건종합학술대회 Vol.2011 No.-

        [연구배경] 난분해성 물질인 페놀과 페놀 유도체는 종래의 물리화학적 방법으로는 처리하기 어렵거나 비용이 많이 소요되거나 2차 오염물질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산화력이 높은 OH 라디칼 발생을 이용하여 난분해성 물질을 처리하는 고급산화법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는데, 수중에서 플라즈마를 발생하여 난분해성 물질을 처리하는 공정은 최근에 연구되기 시작한 공정으로 이에 대한 연구는 시작 단계에 불과하다.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수중 유전체장벽 방전 플라즈마를 이용한 페놀 처리에 대해 운전인자(1차 전압, 공기 공급량, 2차 전압, 전기전도도 및 pH)의 영향을 고찰하여 대표적인 난분해성 물질인 페놀의 처리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연구방법] 실험에 사용한 반응기 시스템은 방전 전극, 유전체인 석영관, 접지 전극으로 이루어진 플라즈마 반응기, 공기 공급장치 및 전원 공급장치로 이루어져 있으며 반응기 부피는 1L이었다. 전극은 티타늄을 사용하였으며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전원장치로 15 kV, 25 Hz의 네온트랜스용 전원 장치를 사용하였다. 측정 항목은 페놀, UV254 및 COD이었다. [연구결과] 2차 전압이 15 kV, 공기 공급량이 5 L/min인 조건에서 1차 전압에 다른 페놀 처리를 고찰한 결과 140 V이상의 1차 전압에서는 페놀 처리율이 비슷하여 최적 1차 전압은 140 V로 나타났다. 수중의 유기물의 존재를 나타내는 UV254의 페놀 농도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UV254는 페놀이 분해 됨에 따라서 증가한 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페놀이 분해 되면서 바로 분해되는 것이 아니고 중간 분해산물로 전환된 뒤 감소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 되었다. 2차 전압이 15 kV이고 1차 전압이 140 V인 조건에서 공기 공급량의 영향을 고찰한 결과 공기 공급량이 6 L/min이 최적 조건으로 나타났다. 2차 전압이 4, 7.5 및 15 kV에서 페놀처리율을 고찰한 결과 2차 전압이 증가할수록 페놀 처리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kV의 경우 UV254 흡광도는 다른 2차 전압보다 적게 증가하고 처리율도 낮게 나타났다.

      • 케냐프 바이오차를 활용한 퇴적물 상등수 내 페놀의 제거

        조은지,박성직 한국퇴적환경준설학회(구 한국환경준설학회) 2022 한국환경준설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11

        페놀은 산업적 용도를 갖는 유기 화합물로, 석유화학 및 석탄 관련 산업의 폐수에서 주로 검출된다. 그러나 페놀 화합물은 낮은 농도에서도 높은 발암성과 독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배출을 엄격하게 규제한다.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페놀을 제거하고 있으며, 그중에서 흡착 기술을 이용하여 페놀을 제거하였다. 흡착제로 사용된 케나프는 빠른 성장으로 인해 녹색 및 재생 가능한 바이오매스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케나프를 열분해해서 얻은 바이오차를 이용해 페놀을 픕착했을 때의 여러 가지 흡착 특성 및 메커니즘을 조사하였다. 750℃에서 열분해한 케나프 (KDB-750)를 이용한 페놀 흡착량이 가장 높았으며, 이는 열분해 시 증가하는 탄소 함량에 기인한다. 동역학적 흡착실험 결과 KDB-750을 이용한 페놀 흡착은 48시간 안에 평형에 도달하며, Pseudo second order 모델에 적합함을 보인다. 평형 흡착 결과 KDB-750을 이용한 페놀 흡착은 Freundlich 모델에 적합하며 최대 흡착량은 41.1 mg/g임을 보인다.

      • KCI등재

        공기공급이 토양내 페놀화합물 제거에 미치는 영향

        박준석,남궁완,황의영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0 지하수토양환경 Vol.5 No.2

        본 연구는 인위적인 공기공급이 토양내에 존재하는 페놀화합물들의 분해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페놀화합물들로는 페놀, 2,4-DCP, 그리고 PCP를 선정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토양은 sandy loam이었으며 모든 실험은 $25^{\circ}C$ 항온에서 실시하였다. 수분함량은 토양미생물 활성에 적합하도록 15%로 하였다. 공기공급에 의하여 휘발되는 페놀화합물들은 메틸렌클로라이드 용매를 통과시킨 후 배출하였다. 페놀화합물들은 개별화합물로 토양에 오염시켰으며 시너지효과 등은 고려하지 않았다. 공기공급은 페놀의 제거속도를 향상시켰으나 2,4-DCP, 그리고 PCP의 경우에는 뚜렷한 제거효율 증가를 볼 수 없었다. 약 30일간 공기공급시 페놀의 휘발량은 초기 토양에 오염시킨 페놀량의 약 0.3%로 무시할 정도로 작았다. 각 화합물의 반응속도를 0차반응과 1차반응에 적용시킨 결과 1차반응 모델이 더 적합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 of aeration on removal of phenolic compounds in soils. Phenol, 2,4-dichlorophenol, and pentachlorophenol as phenolic compounds were chosen in this study. Texture of soil used was sandy loam. Temperature and moisture content of the soils in lab-scale reactors were maintained at $25^{\circ}C$ and at 15%, respectively. Phenolic compounds vaporized from reactors were trapped by methylene chloride solution. Phenolic compounds were applied to the soils as individual compound Aeration improved the phenol degradation rate in soil, while it did not in case of 2,4-dichlorophenol and pentachlorophenol. The amount of phenol vaporized by aeration was only 0.3of of that of initial phenol compound added to the soil. First order kinetics described the degradation rates of phenolic compounds better than zero order kinetics.

      • KCI등재

        초음파와 UV에 의한 페놀 분해 특성에 관한 연구

        김성근(Seong Keun Kim),손현석(Hyun Seok Son),임종권(Jong Kwon Im),김지형(Jee Hyeong Khim),조경덕(Kyung Duk Zoh) 大韓環境工學會 2010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2 No.7

        본 연구에서는 난분해성 물질인 페놀을 초음파와 자외선 광선(UV-C)을 이용하여 분해를 알아본 연구이다. 초음파,자외선,그리고 초음파와 자외선의 결합반응에서 주파수,온도,용액의 pH, 아르곤가스 Purging, 그리고 자외선 세기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초음파 단독 반응의 경우 pH 4, 5℃,35 kHz에서 360분 동안 30% 의 페놀의 최적 분해효율을 보였다. 자외선 (UV-C) 단독 반응의 경우 19.3 mw/㎠의 자외선 세기와pH₄, 5℃에서 60분에 100%의 페놀 분해 효율을 보였다. 이에 반하여 초음파와 자외선의 결합반응에서는 동일 조건에서 45분 동안 페놀이 모두 제거되었다. 초음파와 자외선의 결합 반응에서 페놀은 자외선 강도가 7.6 mW/㎠일 때 360분 안에 19.3 mW/㎠일 때는 45분 안에 완전히 분해되었고, 각각의 분해 속도 상수는 17.3x10-3 min-l 와 138.lx10-3 min-1이었다. 페놀의 분해반응에서 OH 라디칼의 scavenger로 작용하는 메탄올을 첨가하는 실험을 한 결과 초음파와 자외선 광선의 조합반응에서 페놀 분해의 주요인자는 OH 라디칼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페놀 분해의 반응효율 비교는 초음파+광반응 조합반응〉자외선 광선 단독 반응〉초음파 단독 반응과 같이 확인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gradation of phenol using sonication and/or UV-C. The effects of frequency, temperature, pH in solution, argon purging, with UV intensity were estimated in sonication-only, UV-only, and the combined reaction of sonication with UV. The optimum condition for degrading phenol in the sonication-only reaction was 35 kHz, 5℃, and pH 4. As this condition approximately 30% degradation of phenol was achieved within 360 min. However, phenol in the UV-only at 19.3 mw/cm2 under the same condition was completely degraded within 60 min. In the combined system of sonication with UV, the degradation of phenol was well fitted to first-order rate model, and phenol was completely degraded within 360 min and 45 min at UV intensity of 7.6 mW/cm2(17.3×10-3 min-1) and 19.3 mW/cm2(138.1×10-3 min-1), respectively. Adding methanol, as a radical scavenger, in the phenol degradation in the sonication reaction indicates that OH radical is a major factor in the degradation of phenol. The order of degradation efficiencies of phenol was in the order of as follows; combined reaction of sonication with UV > UV-only > sonication-only.

      • KCI등재

        하천에서 분해되는 보릿짚 유래 페놀산의 추출 및 분석법 개발

        김가영(Ga Young Kim),주진철(Jin Chul Joo),이민지(Min Ji Lee),홍수인(Suin Hong),복진영(Jin Young Bock),박재로(Jae Roh Park),안창혁(Chang Hyuk Ahn),오종민(Jong Min Oh) 대한환경공학회 2018 대한환경공학회지 Vol.40 No.9

        하천과 호소 내 다양한 유기/무기물질과 함께 존재하는 보릿짚 유래 페놀산의 추출·분석을 위한 전처리법(pretreatment) 과 Ultr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HPLC)-MS 분석법을 개발 후 페놀산의 정량/정성분석을 실시해 분석 회수율(analytical recovery), 정확도(accuracy), 정밀도(precision)를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보릿짚으로부터 용출되는 것으로 보고된 페놀산 7종 화합물의 크로마토그램 내 peak는 Gallic acid 〉 4-Hydroxybenzoic acid 〉 Vanillic acid, Caffeic acid 〉 Syringic acid 〉 Coumaric acid 〉 Ferulic acid 순으로 상호 간섭없이 분리되었으며, 전처리 과정을 통해 추출된 Gallic acid와 Caffeic acid를 제외한 5종의 페놀산은 80.4~112.8%의 분석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실제 하천 · 호수 시료 내에 존재하는 4종의 페놀산(4-Hydroxybenzoic acid, Vanillic acid, Syringic acid, Ferulic acid)의 검량선의 직선상관성(R²)값은 0.998~1.0으로 비교적 넓은 검출범위 내에서 높은 직선성을 나타냈으며, 비교적 낮은 검출한계(LOD)와 정량한계(LOQ)로 조사되었다. 현장 하천수 내 보릿짚 유래 페놀산의 용출 농도는 검출한계와 유사한 극미량(0.095~0.273 μg/mL)이며, 유의할만한 농도의 페놀산 용출 지속 시간도 10일 이내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전처리법과 UHPLC-MS 분석법을 통해 보릿짚 유래 페놀산의 추출 및 분석을 하천수 및 호소수와 같은 복잡한 매트릭스에서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Both extraction of phenolic acids eluted from barley straw in rivers/lakes and analytical method for the extracted phenolic acids using ultr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HPLC)-mass spectroscopy (MS) were developed. Then, the analytical recovery, accuracy and precision of the developed analytical method were evaluated based on the quantitative/qualitative analysis. According to the chromatograms, seven phenolic acids eluted from barley straw were clearly separated in the order of Gallic acid 〉 4-Hydroxybenzoic acid 〉 Vanillic acid 〉 Caffeic acid 〉 Syringic acid 〉 Coumaric acid 〉 Ferulic acid, and five phenolic acids except Gallic acid and Caffeic acid were found to have analysis recovery of 80.4~112.8%. Four phenolic acids (4-Hydroxybenzoic acid, Vanillic acid, Syringic acid, and Ferulic acid) presented in rivers/lakes displayed high linear correlation (R²) values (i.e., 0.998~1.0) of calibration curves within the wide detection ranges, and had relatively low limit of detection (LOD) and limit of quantitation (LOQ).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eveloped pretreatment method and analytical method were confirmed to effectively extract and analyze phenolic acid mixtures eluted from barley straw in complex environment matrix such as rivers/lakes.

      • KCI등재

        철도차량 내장재료용 페놀수지의 내열특성

        이철규,이덕희,정우성,Lee, Cheul-Kyu,Lee, Duck-Hee,Jung, Woo-Sung 한국방재학회 2004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4 No.2

        The time to ignition, heat release rate characteristics, and carbon monoxide yield of fiber reinforced and sandwich phenol resin were investigated with cone calorimeter. The fire characteristics of unsaturated polyester, mostly being applied to the existing passenger train, and phenolic resin were compared. DSC & TGA was used to monitor the degree of thermal decomposition and weight loss for the phenolic resin. According to the cone calorimeter data, the time to ignition was shorter, heat release rate, and CO yield was higher as the external heat flux increased. Under the same heat flux, the time to ignition of sandwich type phenolic resin was shorter than that of laminated. The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unsaturated polyester and phenolic resin was that phenolic resin was shown to have better fire resistance than unsaturated polyester. 철도차량의 내장재료로 사용되는 페놀수지의 laminate Panel과 sandwich panel의 화재특성을 콘칼로리미터를 이용하여 착화시간, 열방출율과 일산화탄소방출량을 비교, 조사하였다. 또한 기존 철도차량용 내장재료로 사용된 불포화 폴리에스터와 페놀수지와의 화재특성을 비교하였다. 페놀수지의 중량감소 및 열분해능을 DSC & TG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콘칼로미터 실험결과 착화시간, 열방출율 및 일산화탄소 생성량은 50kW 복사조건에서 더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으며, 동일한 복사열소건 하에서는 sandwich-페놀수지가 laminate-페놀수지보다 더 빨리 착화되었다. 기존 철도차량에 적용되었던 불포화 폴리에스터와 페놀수지와의 비교시험 결과 페놀수치의 화재성능이 발열량 및 일산화탄소 방출 모두에서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자철석 투입을 통한 페놀계 화합물 바이오가스화 개선 효과 조사

        정성윤(Sungyun Jung),김민재(Minjae Kim),이주윤(Juyun Lee),신주희(Juhee Shin),신승구(Seung Gu Shin),이준엽(Joonyeob Lee) 한국환경에너지공학회 2023 한국열환경공학회 학술대회지 Vol.2023 No.2

        페놀계 산업폐수는 석유화학, 석탄가스화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발생되는 폐수이다. 페놀계 산업폐수의 혐기성 소화 공정을 통한 처리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페놀계 화합물의 독성과 구조적 안정성으로 인한 느린 분해가 원인이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세포간 직 접적 인 전자 전달인 DIET를 촉진하는 것으로 보고된 magnetite 투입을 통한 페놀계 화합물인 페놀과 벤조에 이트의 메탄생산속도의 개선 수준을 평가하였다. 더불어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을 통해 개선 영향에 기여하는 미생물 군집 구조 및 magnetite 이용 균주를 확인하였다. 자철석 투입을 통해 페놀의 메탄 생성 속도는 9.0-68.0% 개선됨을 확인하였으며 지연시간은 7.9 - 48.0% 감소시켰다 미생물 군집 구조에서도 유의미한 변화 및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박테리아 균주는 Syntrophorhabdus, Peptoclostndium, Soehngema, Mesotoga, Geobacter, 메 탄생 성 균의 경 우 Methanothrix, MethanocuDeus, MethanospirDum이 페놀계 화합물의 바이오가스화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특히 Geobacter, Peptoclostridium와 Methanothrix-는 자철석 을 기 반으로하여 직 접 종간전자전 달로 인한 공정 개선에 기여한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

        천연망간산화물에 의한 클로로페놀의 산화결합생성물을 매개로 한 다환방향족화합물(PAH) 오염물의 고정화 효과

        전선영,박재우,신원식,고석오,Jeon Sun-Young,Park Jae-Woo,Shin Won-Sik,Ko Seok-Oh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5 지하수토양환경 Vol.10 No.5

        본 연구에서는 다환방형족화합물의 하나인 phenanthrene를 이용하여 천연망간산화물에 흡착/탈착되는 특성을 평가하였다. 토양, 퇴적물이나 수체에 다양한 오염물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페놀계 오염물이 있는 경우, 다환 방형족화합물의 흡탈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망간산화물에 의하여 4-클로로페놀은 효과적으로 산화되었으며 반응산물은 고분자화(휴믹화) 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4-클로로페놀이 분해됨에 따라 망간산화물 표면에 흡착되는 phenanthrene의 양은 급격히 증가하였다. 또한, 4-클로로페놀이 존재하는 경우 흡착된 phenanthrene의 탈착에 대한 저항성은 4-클로로페놀 농도가 증가할수록 강하게 나타남으로써 고분자화된 4-클로로페놀 반응산물에 phenanthrene이 강하게 흡착되어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적으로 망간산화물은 페놀계 오염물과 다환방향족화합물을 동시에 처리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The sorption/desorption characteristics of phenanthrene on the natural manganese oxide (NMD) were investigated in the presence of phenolic compounds. 4-chlorophenol (4-CP) was effectively oxidized by NMD catalyzed reaction and transformed into humic-like macromolecular compound through inter-or cross-coupling reaction between byproducts. As 4-CP was degraded with time, sorbed amount of phenanthrene on NMD was significantly increased, resulting from the formation of oxidative coupling products. These results imply that NMD can be used for simultaneous treatment of phenolic contaminants and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in soils, sediments, or water. Also, sorbed phenanthrene on NMD in the presence of 4-CP showed high degree of desorption resistance, indicating that sequestration process of phenanthrene was ongoing with time.

      • KCI등재

        야관문 잎 페놀 추출물의 항산화능 및 미백 효과

        조은정(EunJung Cho),주현미(Hyun-Mi Ju),정창호(Chang Ho Jeong),엄석현(Seok Hyun Eom),허호진(Ho Jin Heo),김대옥(Dae-Ok Kim) 한국원예학회 2011 원예과학기술지 Vol.29 No.4

        야관문은 당뇨병, 설사, 여러 염증성 질병의 치료에 널리 이용되어진 약초로서 아시아 지역에서 흔히 자라는 식물이다. 야관문의 총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능과 tyrosinase 활성 저해능 평가를 통한 미백효능을 연구하고자 80%(v/v) 수용성 메탄올을 이용한 페놀 추출물과 이 추출물로부터 극성이 서로 다른 5개 분획층(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물)의 기능성을 평가하고자 총페놀 함량과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고, 아울러 항산화능을 ABTS와 DPPH radical 소거능을 이용하여 정량 평가하였다. 건조 야관문 잎 1g의 추출물은 총페놀 함량이 199.4㎎ GAE,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이 60.4㎎ CE, 항산화능은 416.6㎎ VCE(ABTS 분석)와 366.8㎎ VCE(DPPH 분석)을 보였다. 극성이 서로 다른 5개의 분획층에서 ethyl acetate 분획층이 총페놀 함량(240.8㎎ GAE), 총플라보노이드 함량(90.4㎎ CE), 그리고 항산화능(523.4㎎ VCE(ABTS 분석), 329.5㎎ VCE(DPPH 분석))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수준을 가졌다. 멜라닌 생성 초기 단계에서 가역적 산화반응에 관여하는 tyrosinase 활성 억제능을 평가하는 미백 실험에서는 야관문 페놀 추출물과 chloroform 분획층이 tyrosinase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본 연구는 야관문에 생리활성을 부여하는 페놀성 화합물의 항산화능 및 미백효과에 관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함과 아울러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큰 의미가 있겠다. Lespedeza cuneata G. Don is a plant commonly grown in Asian countries, which has been widely used as an oriental medicinal herb to treat diabetes, diarrhea and various other inflammatory diseases. The phenolics of dry leaves of L. cuneata G. Don were extracted by using 80% (v/v) aqueous methanol in assistance with homogenization and sonification. The phenolic extract and its five different fractions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and water) were used to evaluate the levels of total phenolics, total flavonoids, and antioxidant capacity as well as the inhibitory effect of tyrosinase activity. Ethyl acetate fraction (1 g) had the highest levels of total phenolics at 240.8 ㎎ gallic acid equivalents (GAE), total flavonoids as 90.4 ㎎ catechin equivalents (CE) as well as antioxidant capacity at 523.4 ㎎ vitamin C equivalents (VCE) on ABTS assay and 329.5 ㎎ VCE on DPPH assay among fractions. One g of water fraction contained total phenolics at 133.1 ㎎ GAE, total flavonoids at 34.5 ㎎ CE, and antioxidant capacity at 333.4 ㎎ VCE for ABTS assay and 313.2 ㎎ VCE for DPPH assay. 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of water fraction at 300 ㎍?mL<SUP>-1</SUP> was at 47.2% and 21.1% for L-tyrosine and L-DOPA as its substrate,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ethyl acetate fraction at 300 ㎍?mL<SUP>-1</SUP> showed tyrosinase inhibition of 10.2% for L-tyrosine and 11.9% for L-DOPA.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phenolics from dry leaves of L. cuneata G. Don may be utilized as a potent source of antioxidants and skin whitening agents.

      • KCI등재

        펄스 코로나 방전에 의한 페놀 분해에 미치는 운전변수의 영향

        정재우,문지훈,박은옥,Chung, Jae-Woo,Moon, Ji-Hoon,Park, Eun-Ok 대한환경공학회 2010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2 No.1

        펄스 코로나 방전에서 인가전압, 용액 전도도, 전극 재질, 철염 주입 등의 운전변수가 페놀 분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실험실 규모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인가전압이 증가할수록 높은 에너지를 가진 전자들에 의한 물 분자의 충돌분해 반응에 의한 OH 라디칼 생성량이 증가하므로 페놀 분해 속도를 증가시키며 실험된 조건에서의 용액 전도도 증가는 용액을 통한 전기장 강도를 감소시켜 페놀 분해 속도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전 반응기로 주입된 철염($FeSO_4$)은 방전에 의해 생성된 과산화수소와 펜톤 유사 반응을 통해 OH 라디칼을 생성시켜 페놀 분해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펄스 코로나 방전에 의한 페놀 분해의 중간 생성물질로 catechol과 hydroquinone이 검출되었으며 분석을 수행하지는 않았으나 유기산의 생성으로 인해 pH가 감소되고 전도도가 증가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철염이 주입된 조건에서 백금 전극은 3가 철이온($Fe^{3+}$)을 2가 철이온($Fe^{2+}$)으로 환원시킴으로써 페놀 분해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제일철($FeSO_4$) 0.5 mM이 주입된 조건에서 약 230 kJ의 방전 에너지가 유입될 때 거의 모든 페놀이 분해되었으며 약 29%의 총유기탄소(TOC) 제거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Effects of operating parameters such as applied voltage, solution conductivity, ferrous ion concentration, electrode material on phenol degradation by pulsed corona discharges were investigated in laboratory scale experiments. The increase of applied voltage enhanced the phenol degradation by generating more energetic electrons. The solution conductivity inversely affected phenol removal rate in the tested ranges because the increase of conductivity decreased the electric field strength through the liquid phase. The addition of ferrous sulfate promoted the phenol degradation through the OH radical production by the Fentonlike reactions between ferrous ion and hydrogen peroxide generated by pulsed corona discharges. Catechol and hydroquinone were detected as primary intermediates of phenol degradation and the decrease of pH and the increase of conductivity were observed probably due to the generation of organic acids. Almost all of the initial phenol was disappeared and 29% of total organic corbon (TOC) was removed in the condition of 0.5 mM of ferrous sulfate after approximately 230 kJ of discharge energy transferred to the reac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