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미술에서 나타나는 네오 팝 아트에 관한 연구

        박경주 ( Kyung Joo Par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1

        네오 팝 아트(Neo Pop Art)는 1960년대의 팝 아트(Pop Art)의 영향을 받고 진화한 현대 미술의 한 장르이다. 네오팝 아트는 대중소비사회와 물질문명의 풍요로움 속에서 탄생한 팝 아트를 현대적인 감각과 새로운 형식으로 발전시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현대문화적 현상이 어떤 양식으로 네오 팝 아트의 미학으로 자라잡고 있는지 네오 팝아트와 현대문화의 상호관계에 관해서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네오 팝 아트의 발생배경이 된 1960년대 팝아트와 네오 팝 아트와의 연관성과 차이점, 네오 팝 아트라는 용어의 출현과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표현방법 등을 알아보았다. 네오 팝 아트에서 나타나는 현대 대중문화 이미지에 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기 위하여 대중문화의 우상 심리, 소비지상주의, 그리고 자기 지향적 사고 등을 현대문화의 특성으로 분류하고 이에 따른 문화적 현상을 연구하였다. 국내에서 개최되었던 ‘팝팝팝(Pop pop Pop)-한일 미술의 단면’(가나아트 센터, 2005), ‘누보 팝(Les Nouveaux)’(소마미술관, 2007), 그리고 ‘메이드 인 팝 랜드(Made in Popland)’(국립현대술관, 2010) 등의 전시를 통해 발표된 국내외 네오 팝 아트 작가의 작품들을 중심으로 연구한 결과 작품에서 현대 대중문화의 특성들이 시각적으로 표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네오 팝 아트가 현대문화와 현대미술, 그리고 대중과 소통하는 일상의 미술로서 독자적 양식을 구축하고 예술의 확장에 기여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는데 의의가 있다. Neo Pop Art is a genre of modern art which has been evolved from being influenced by Pop Art in the 1960s. It can be said that Neo Pop Art is a kind of Pop Art created from richness of public consumption society and material civilization and developed into modern sensibility and new form.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at modern cultural phenomena are placed as aesthetics of Neo Pop Art in what style and to research correlation with Neo Pop Art and modern culture. Association and difference between Neo Pop Art and Pop Art in the 1960s which was the background of occurrence of Neo Pop Art, appearance of the term called Neo Pop Art, and expression methods using diverse media were found out. In order to propose theoretical grounds about images of modern public culture, idol psychology, consumerism, and self-oriented thinking of public culture were classified into characteristics of modern culture. Accordingly, the cultural phenomena were studied. At the result centered on works of artists of Neo Pop Art through exhibitions such as ‘Pop! Pop! Pop! - Aspects of Korean and Japanese art (Gana Art Gallery, 2005)’, ‘Les Nouveaux (Soma Museum of Arts, 2007)’, ‘Made in Popland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2010)’, and so on, properties of modern public culture at those works were expressed visually. The meaning is to check that Neo Pop Art constructs an independent style as daily art communicating with modern culture, modern art, and public people and contributes to the expansion of art through this study.

      • KCI등재

        제프 쿤스(Jeff Koons)의 작품에서 예술성과 대중주의 상징 분석

        조광석 ( Kwang Suk Jo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기초조형학연구 Vol.13 No.2

        2008년 9월 제프 쿤스(Jeff Koons)는 프랑스 파리근교 베르사이유 궁에서 80년대 이후 작품18점을 전시를 한다. 이 전시에 대해 프랑스의 보수 비평과 언론은 그의 작품이 키치적이어서 반대와 비판을 한다. 그의 작품은 성적욕망과 미디어의 명성, 상업성을 반영하고 대중문화로 부터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쿤스의 작품은 기념품같이 상투적인 형태에 비해 이탈리아 장인(匠人)의 세련된 기술로 제작 되어 작가의 의도를 판단하기 쉽지 않다. 쿤스의《새로움》시리즈는 후버 진공청소기를 있는 그대로 사용하여 미술관의 진열장처럼 형광등 조명과 함께 배치한다. 제목에서 ``새로움(New)``이라는 단어의 의미처럼 당시의 새로운 전자제품들이 중산층들의 소비 욕망을 자극하기 위해 흔히 사용하는 어휘로서 ``새로움``은 과거와 다른, 동일하지 않는 ``소유욕``, ``욕망``을 암시한다. 쿤스의 작품은 지속적으로 변화되어왔지만 근래에 와서는 이미 제작된 작품을 패러디하면서 전시기획의 의미를 두고 있다. 팝아트는 대중소비와 대중문화를 배경으로 한다. 대중의 정의는 popular의 의미 또는 mass의 의미로 많은 사람들 또는 대다수 사람들을 이르며 그들에 의해 형성되는 경제구조와 문화는 20세기 자본주의의 양상으로 해석된다. 팝아트가 사회의 현상에 접근하면서 예술의 비판적 리얼리티를 지니지만 점차 자기 복제 작품이 나타고 팝아트에서 사용하는 오브제를 패러디하면서 네오-팝에서 미술의 자기동일성의 해석을 한다. 원래 팝 아트는 경계 파괴와 전위적이라면 이전 세대의 극적인과 논란을 진화했다. 그러한 관점에서 불 때 네오 팝 아트는 새로운 스타일이 아니다. 네오-팝 아트라고 부르는 것은 운동이라기보다는 다양한 작가를 새로운 목록으로 분류하는 편리한 방법으로 사용할 뿐이다. 그것은 또한 "충격효과를 더욱 강조하는 팝 아트"라고 할 수 있다. 쿤스의 작품은 네오-팝아트로 분류되고 있다. 그러한 네오-팝 작품은 대중의 욕망을 그대로 반영하는 키치이다. Jeff Koons` work took over the gardens and the Royal Apartments of the Palace of Versailles in 2008. He exhibited seventeen works of him, representing the full range of his career from Eighties to these days. With the classical architecture, the Palace of Versailles is not only representative of the royal supremacy in Louis XIV`s period but also the triggering factor of the French Revolution. By exhibiting the so-called ``Neo Pop Art`` at this very place, this provokes a scandal within the art world. The work consists in a reproduction on human scale of a plastic flower, an air-filled rabbit, and sculptures parodying ceramic souvenirs or children toys. The amusing aspect of it please the public, but conservative media and art critics attacked and declared it as the decline of modern art. On the other hand, it made expectation of bringing some changes into the current art world. Bringing new plans on his work through this exhibition, it became the opportunity for Koon`s to confirm the drawing of new values on art and its exhibition form. When the producer chose to exhibit Takashi Murakami`s work at the very same palace where Koon`s work took place the year after, its intention went clearer. He may have intended to make a difference from temporary or single exhibitions such as Biennale or commercial art fairs ; by exhibiting in a palace where millions of tourists pass through every year, it seems that he hoped to share further the public`s taste. Then, which signification holds the popularization of contemporary art? The public would usually prefer an Art easily consumable. However, such as a good displayed in a souvenir shop, Koons` works make difficult cutting the line between entertainment and Art. Before, the public in a museum may have sorely reached the real substance of the work because of its strong ≪ artistic character ≫. Nevertheless, in Jeff Koons` work, it becomes difficult to be in line with he`s intention owing to the lightness it reveals. Indeed, it turns to be difficult to judge his work with the existing artistic value, as it hardly seems having any of it. Several ways could be suggested to lunch into this issue, but it will be necessary to analyze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on which the artist activities are based, to peer into the value of its work.

      • KCI등재

        포스트 팝아트의 대중문화 해석과 비평적 감상교육 제안

        안현정(Hyun-Jung Ahn) 한국문화교육학회 2021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6 No.2

        이 글의 목적은 1950년대 이후 등장한 팝아트의 대중문화 해석을 앤디워홀 사후 등장한 유럽· 중국·일본·한국 등 포스트 팝아트의 여러 현상들과 비교해 살펴봄으로써 ‘동시대 문화양식’으로 자리 잡은 팝아트의 감상교육에 비평적 시각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중문화를 반영한팝아트의 초기양식(워홀효과)을 엘리트문화와의 관계 속에서 살펴보았고, 21세기라는 다양성의 시대 속에서 팝아트가 변화되는 과정을 정치권력과 경제효과, 각국의 다양한 시대환경 등과 맞물려연구하였다. 다국적 팝아트를 포함한 한국 팝아트의 현재성을 검토한 결과, 포스트 팝아트는 초기팝아트가 추구한 ‘현대미술에서의 시뮬라크르’의 범주를 넘어서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포스트 팝아트의 흐름은 비지니스와 연계된 상업주의, 대중문화 속 긍정과 부정평가, 디자인 상품과의 콜라보, 캐릭터화와 브랜딩, 미디어와 온라인에의 활용 등에 이르기까지 그 영역을 확장하고있다. 본 연구는 팝아트의 동시대성을 다양한 사회문화적 환경 속에서 이해하기 위해 초·중·고교의 의무교육에서 제시하는 수동적인 감상방식을 탈피하여 평생교육 현장으로까지 활용할 수 있는 비평적 감상 지도안을 ‘펠드먼의 4단계 감상법’과 더불어 제시하였다. 이는 학습자들이‘대중문화=상업화’의 논리로 팝아트를 이해하려는 획일적 사고를 탈피시키고, 현시대성을 반영한 포스트팝아트의 정체성을 학습자 스스로 분석하도록 유도하여 일상생활에서의 창의적인 시각을 회복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This article compares pop art s pop culture interpretation, which has emerged since the 1950s, to the various phenomena of post-pop art such as Europe, China, Japan, and Korea, after Andy Warhol s death. Through this, I would like to critically expand the appreciation education of pop art, which has become a contemporary culture. Reproduction of images caused by mass cloning has transformed today s life into a daily central culture. Elite art, which avant-garde art called out, has been withdrawn as a side of popular culture amid the challenges of pop art linked to everyday life. In particular, in the era of diversity in the 21st century, pop art, in conjunction with political power, economic effects, and various environments of each country, led to the path of individualization (a creative interpretation of artists). Post-pop art goes beyond the category of replication of images in modern art (portrait images of famous people, logos of luxury brands, reproduction of famous paintings, etc.) pursued by early pop art. It extends its scope to business-linked commercialism, positive and negative dualism of popular culture, collaboration with design products, characterization and branding, and use of media and online. Therefore, the cross-sectional interpretation of early pop art, which has been taught at art education sites, should be expanded. Understanding the contemporaries of pop art in various socio-cultural environments is also very important in establishing a new identity of 21st-century Korean pop art, which is led by young artists. We met with a free multimedia environment and non-face-to-face culture in the post-corona era. Now, we all need to move beyond passive appreciation education to critical appreciation education that develops by comparing the past and the present. This is the same application for developing creativity and interpreting other cultural phenomena. Pop art 포스트 팝아트의 대중문화 해석과 비평적 감상교육 제안37 started more than 70 years ago. Therefore, it is a very important part to compare Pop Art s Yesterday and Today . As a result, the study will encourage learners to escape from the uniform thinking of understanding pop art with the logic of Pop culture = commercialization. By voluntarily recognizing the contemporaries and identities of post-pop art, the learner intends to contribute to accepting art in everyday life and developing a creative perspective through it.

      • KCI등재

        크리스티안 크라흐트의 작품에 나타나는 ‘새로운 팝문학’

        정인모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0 코기토 Vol.- No.68

        독일의 팝문학의 역사는 다다이즘에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팝문학이 본격적으로 거론되기는 60년 말부터이다. 이때 팝문학의 특징은 기존문화에 저항하는 언더문화로, 반체제적이며 정치적인 성향을 다분히 띠고 있다. 이에 반해 90년 중반부터 독일에서 나타나는, 소위 ‘새로운 팝문학’은 기존의 팝문학과는 다른 성향을 보인다. ‘새로운 팝문학’은 새로운 젊은 세대가 겪는 자유분방한 체험을 주로 일인칭 시점으로 기술하고 있다. 여기서는 이러한 ‘새로운 팝문학’과 기존 팝문학과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새로운 팝문학’의 대표작가인 크리스티안 크라흐트의 작품에 나타난 그 특성을 살펴본다. 팝문학의 교과서라 불리는 크라흐트의 『파저란트』에는 독일 북단에서 시작하여 남단 메어스부르크를 거쳐 스위스의 취리히로 여행하는 화자의 행적을 담고 있다. 화자는 이 여행에 아무런 목적도 가지지 않을 뿐 아니라, 늘 술, 담배로 일관한다. 여행을 통해 무의식적으로 자신의 삶의 의미를 찾으려 하지만, 화자의 심리적 불안감이 그대로 반영되고 있을 뿐, 생활의 개선이나 전통적 개념의 자아완성에 전혀 도움이 되지 못한다. 그에게 남는 것은 결국 무목적적인 권태와 죽음뿐이다. 그리고 여기서 화자는 상품의 메이커나 브랜드에 지나친 관심을 가지는데, 이것은 본질보다는 표피적인 현상에 집착하는 신세대의 특징을 보여준다. 이러한 권태, 무목적성, 상품 브랜드의 표피성, 소통부재, 죽음 등이 ‘새로운 팝문학’의 주제를 이루고 있으며, 내적독백, 일인칭 소설, 아이러니한 서술태도, 상징성 등이 이것의 형식적 특징이 된다. 6년 후에 발표된 크라흐트의 『1979』는 이란혁명을 다루고 있고, 또 이 소설의 생성 시기가 2001년 9.11 사태 직후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역사 정치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미국의 후원을 받고 있는 이란의 샤 정부가 1979년 호메니로 대표되는 혁명 세력에 의해 축출되는 사건을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이것은 미국 패권주의와 이슬람 세력 간의 문화 충돌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정치 역사적 사건을 배경으로 하고 있으면서도 작품 내에는 여전히 ‘새로운 팝문학’의 특징이 강하게 드러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여기서는 이러한 점을 분석하고자 했다.

      • KCI등재

        일본 ‘네오 팝’과 ‘요시토모 나라’의 연관성 연구

        김범준,서정호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20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21 No.64

        이 연구는 일본 네오 팝의 대표적인 작가 요시토모 나라의 작품을 네오 팝의 발생과 함께 탐색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연구다. 본 연구의 연구자들은 이를 위해 먼저 일본 네오 팝의 탄생 배경을 살펴보았고 네오 팝의 특징을 3가지로 분류해 연구했다. 그 특징은 먼저 오타쿠로 대변되는 ‘서브 컬처’, 그리고 전후 축소 지향적이고 귀여움을 전략적으로 내세운 ‘가와이’, 끝으로 고대 일본 문화로부터 현재까지 파생되고 있는 ‘그로테스크’ 미학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다음으로 ‘요시토모 나라’와 ‘네오 팝’의 상관관계를 양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지난 1990년 1월 1일부터 현재까지 국내에 보도된 언론 기사 모두 1,300여 건을 대상을 워드 클러스터링 해서, 요시토모 나라와 네오 팝의 상관관계를 수치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요시토모 나라와 네오 팝은 양적 선형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음으로 요시토모 나라의 연관 검색어 분석을 통해서 동료 ‘1965’ 작가인 무라카미 다카시의 연관성, 일본 대중문화를 이끄는 네오 팝의 대표작가 등의 단어를 빈도수와 가중치에 따라 유의미하게 도출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그와 같은 네오 팝의 3가지 특징을 기반으로, 요시토모 나라의 작품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일본 네오 팝의 연관성을 탐색적으로 연구하고자 했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work of Yoshitomo Nara, a representative Japanese neo-pop artist, along with the occurrence of neo-pop. To this end, the researchers of this study first looked at the background of the birth of Neo-pop in Japan, and then classified and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Neo-pop into three categories. Its characteristics were firstly 'subculture' represented by otaku, 'kawaii', which strategically emphasized postwar reduction-oriented and cuteness, and finally 'grotesque' aesthetics derived from ancient Japanese culture to the present. Next, in order to quantitatively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Yoshitomo Nara' and 'Neo Pop', word clustering of over 1,300 media articles reported in Korea from January 1, 1990 to the present, was conducted with Yoshitomo Nara. The correlation of Neo Pop was examined numerical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Yoshitomo Nara and Neo Pop had a quantitative linear relationship. Next, through the analysis of related search words by Yoshitomo Nara, we were able to derive meaningful words such as the relationship between fellow ‘1965’ author Takashi Murakami, and the leading Neo-Pop artist who leads Japanese popular culture according to the frequency and weight. Lastly, based on these three characteristics of neo-pop, I tried to reflect on the relevance of Japanese neo-pop by examining Nara Yoshimoto's work in detail.

      • 케이 팝(K-pop)의 학교 음악교육에 수용 탐색을 위한 음악적 특성 분석

        양종모 한국음악응용학회 2011 음악응용연구 Vol.4 No.-

        이 연구의 목적은 케이 팝의 음악적 특징을 분석하여 음악교육에 수용 가능성을 탐색하려고 한 것이다. 연구의 주요 내용은 케이 팝의 의미를 문헌을 통해 정리하는 것, 케이 팝의 음악적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 대상은 케이 팝이라고 불리는 음악 중 한국인이 만들었고 연주하고 있으며 외국에서 크게 인기를 얻었던 9곡으로 하였다. 분석 내용은 악곡들의 리듬, 가락, 화성적 특성이었다. 연구의 결론은 첫째, 케이 팝은 대중 음악, 유행 음악, 상업 음악으로 분류되지만 음악교육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소재가 될 수 있고, 둘째, 케이 팝은 음악교육에서 지도하고자 하는 다양한 음악적 개념을 담고 있는 음악이며, 셋째, 케이 팝은 현재 우리나라의 음악과 관련된 사회나 문화를 설명할 수 있는 좋은 소재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주류제품에 활용된 팝아트 컬래버레이션 표현 분석

        윤성민,임경호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9 한국디자인포럼 Vol.24 No.4

        Background Domestic and foreign liquor markets are launching art culture products with high artistic value through collaboration with famous artists. Pop art, which has a popular concept, is Art Culture's most beloved art genre, and its mainstream products, created through collaboration, act like art pieces along with luxurious image changes and bring consumers' interest and interest In addition, companies are putting product images, characteristics and benefits into greater focus. In this paper, we are going to analyze it through pop art expression of mainstream products and art culture type cases and use it as a basis for linking the scarcity and persistence of products to develop into other genres of art. Methods Among the domestic and foreign alcoholic beverages, beer, wine and vodka were categorized by liquor, and based on prior research, the features and types of art culture and the expressive elements of pop art were organized. Based on the results, it will look at the types of pop art culture used in domestic and foreign liquor products,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 techniques of pop art. Resul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expression of pop art culture applied to mainstream products, the use of strong colors and simple cartoon images, which are characteristic of pop art, was high for each liquor.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art culture type, application cases such as eventability, image variability, value increase, and art culture were different depending on mainstream. Conclus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pop art culture, it was used for pop art with popular concept and beer. However, beer was somewhat lacking in value and collection of products as it was applied as an event for promotion. Wine and vodka are being used to build luxury images in brand images and products and raise the value of products, highlighting scarcity and increasing the value of the collection. Art collaboration is being used as a means of strategic marketing for brand expansion. 연구배경 국내외 주류시장에서는 유명 아티스트와의 협업을 통하여 예술적 가치가 높은 아트 컬래버레이션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대중적 콘셉트를 가지고 있는 팝아트는 아트 컬래버레이션에서 가장 사랑받는 예술장르로 컬래버레이션을 통해 탄생한 주류제품들은 고급스러운 이미지 변화와 함께 예술품과 같은 역할을 하고 소비자의 흥미와 관심을 가지게 한다. 또한 브랜드는 제품 이미지와 특성, 장점을 한층 더 부각시키고 있다. 본고에서는 주류제품의 팝아트 표현과 아트 컬래버레이션 유형의 사례를 통하여 분석하고 제품의 희소성과 지속성을 연결하여 다른 예술의 장르로 발전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근거로 삼고자 한다. 연구방법 국내외 주류 중 팝아트와 컬래버레이션 한 맥주, 와인, 보드카를 주류별로 분류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아트 컬래버레이션의 특징과 유형, 팝아트의 표현요소를 정리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외 주류제품에서 활용되는 팝아트 컬래버레이션의 유형과 팝아트의 특성과 표현기법을 살펴본다. 연구결과 주류 제품에 적용된 팝아트 컬래버레이션 표현 분석 결과 각 주류별로 팝아트의 특징인 강렬한 색채 사용과 단순한 만화적 이미지 사용빈도가 높았다. 아트 컬래버레이션 유형 분석 결과는 주류에 따라 이벤트성, 이미지 변화성, 가치 상승성 아트 컬래버레이션 등 적용사례가 다르게 나타났다. 결론 팝아트 컬래버레이션 분석 결과 대중성 콘셉트를 가진 팝아트와 대중주류인 맥주에 활용이 컸다. 그러나 맥주는 홍보를 위한 이벤트성으로 적용되어 제품의 가치와 소장성이 부족함이 다소 아쉬웠다. 와인과 보드카는 브랜드이미지와 제품에 고급스러운 이미지 구축과 제품의 가치를 상승시켜 희소성을 강조하고 소장 가치를 높이는데 활용되고 있다. 아트 컬래버레이션은 브랜드확장을 위한 하나의 전략적 마케팅의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 KCI등재

        우키요에 화풍과 네오 팝 패션디자인이 공유하고 있는 문화 코드의 특성 고찰

        김영미 한국기초조형학회 2023 기초조형학연구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네오 팝 패션디자인의 표현특성을 토대로 에도 시대의 대중미술인 우키요에의 표현양식과 문화적인 배경을 고찰하여 우키요에와 네오 팝 문화 코드의 유사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네오팝이 진입장벽이 낮고 진입경로가 다양한 반면에 문화적인 소비력이 크다는 것이 부각되면서 네오 팝의 활용 범위가 확대되었다. 혼성모방 표현양식이 네오 팝의 콘텐츠 차용뿐 아니라 트렌드를 민첩하게반영할 수 있는 토대가 되었고, 캐릭터를 중심으로 연동되어 있는 서브컬처를 토대로 소비자를 공유할수 있기 때문이다. 네오 팝은 오타쿠 문화뿐 아니라 에도 시대의 향락적인 조닌 문화가 투영되어 있는우키요에의 영향을 받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네오 팝 패션디자인의 특성인 모방적인 창작방식, 중의적인 표현양식, 통속적인 콘텐츠, 표현양식의 도식성 등을 중심으로 이러한 표현양식이 등장하게 된요인을 문화적 원형인 네오 팝과 오타쿠 문화, 우키요에를 거슬러 올라가면서 규명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에도 시대에는 문학작품의 서사를 차용한 스토리텔링이 있는 작품이 많았기 때문에 그림의 토대가 된 고전문학을 함께 고찰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우키요에와 네오 팝이 공유하고 있는 문화 코드는 유희적인 패러디, 양면적인 가치, 키치적인 캐릭터, 문화적인 연계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전통문화에서 추출된 콘텐츠에 내포되어 있는 의미를 명료하게 해석하고 새로운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함으로써 네오 팝의 활용성을 확장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 KCI등재

        팝아트를 활용한 레트로디자인 연구

        유명환(Myung Hwan Yoo)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6

        본 연구는 팝아트를 활용한 레트로디자인 작업 시 어떻게 컨셉을 표현할 수 있을까를 이론적 고찰과 사례로 조사하고 작품제작에 응용할 수 있도록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하였다. 사례조사 결과 대중적인 이미지를 반영한 컨셉과 대중의 영웅을 표현한 컨셉에서는 팝아트의 특징을 단순하게 재현하였고, 정치적 삶에 드러난 상처를 표현한 컨셉은 조사된 사례가 없었다. 디자인의 각 영역에 대한 사례의 가장 큰 특징은 팝아트의 이념보다는 팝아트의 표현양식에 주로 치중한 점을 알 수 있었다. 원색을 사용하여 밝고, 경쾌한 분위기로 표현하거나, 반복적인 표현, 컴바인과 콜라주 기법, 실크스크린, 만화, 과장된 오브제로 표현하는 것 등이 다양하게 재현되었다. 그러나 팝아트를 활용한 레트로디자인은 팝아트의 단순한 재현이 아니라 팝아트의 이념과 조형적 재해석이 디자이너의 창의성과 만나 현대적으로 표현되어야 한다. 따라서 글로벌화 되어 있는 미디어나 이미지의 홍수 시대에 대중의 일상에 대한 탐색, 대중의 여가나 오락 및 환상의 결합을 활용하여 컨셉을 설정하고 팝아트의 표현양식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considered how retro design concepts that are used pop art can be expressed through overview of theories and cases, and suggested applying to retro design. As a result, we found first, concepts reflecting popular image, second, popular hero concepts simply represented pop art's feature. Third, there were no cases that are expressing the wounds made by political life. The most of cases expressed retro design with pop art representation techniques rather than reflecting of pop art’s ideology or spirit. Pop art’s retro design should be expressed as a modern style not only with reproduction of pop art, but also with designer’s creativity and pop art’s ideology and reinterpretation of formative meaning. Thus, it needs to set a concept by exploring of modern globalized mass media or daily life of people. Also, it should applying people’s entertainment, spare time and fantasy to bright cheerful mood of pop art to express each area of design.

      • KCI등재

        팝아트 작품특성을 응용한 네일아트 디자인 연구

        박소정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7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8 No.52

        네일아트 디자인은 뷰티디자인의 한 분야로서 인체의 손톱을 캔버스로 하여 자연스럽고 아름다운 이미지나 개성을 표현하는 디자인으로 현대인들에게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며 미적 욕구를 상승시키고 있다. 1950년대에 수평적 문화구조를 지향하면서 등장한 팝아트 양식은 현대 산업화의 산물로 나타난 기계생산물과 복제품, 광고이미지 등의 대중적이고 보편적인 소재들을 활용하여 현대미술의 방향을 제시하고 주도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대중문화와 예술 간의 가교역할을 하게 되었고 다양한 분야에 친근하고 광범위한 예술적 소재를 제공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는 팝아트의 대표적인 작가인 리처드 해밀턴, 앤디워홀, 로이 리히텐슈타인, 키스 해링의 작품에 나타난 표현 특성들을 네일아트 디자인에 응용함으로서 팝아트의 조형성과 예술적 영역을 확대하고 네일아트 디자인의 창의적 발상과 다양한 표현기법을 발전시키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선행연구 및 문헌 등을 중심으로 팝아트와 네일아트 디자인에 관한 자료를 고찰하고 팝아트 작품의 표현특성을 분석한 후 네일디자인 작품을 제작하였다. 분석결과 팝아트 작품의 만화적 기법과 색채 표현, 아이콘, 픽토그램, 그래피티, 반복 등의 특징적 요소들이 네일아트 디자인의 개성적이고 창의적인 예술적 모티브로 활용되어 주목성을 형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Nail art design expresses a natural and beautiful image or personality by using nails as a canvas as a part of beauty design, which evokes much interest in the moderns and increases their aesthetic desire. Pop art style emerged since the pursuit of horizontal culture structure in 1950s has suggested and led the direction of contemporary arts using popular and universal materials like mechanical products, imitations and ads images as the by-products of modern industrialization. Such a trial played a role of bridge between pop culture and art and provided close and broad artistic materials to various areas. This study aimed to apply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works by Richard Hamilton, Andy Warhol, Roy Lichtenstein and Keith Haring who are the representative pop artists to the nail art design, extend the formativeness and artistic areas of pop art style and develop creative ideas and various expression techniques of of nail art design. This study examined data on pop art and nail art design with preceding studies and literatures and produced nail design works after analyzing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pop art work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characteristic factors of pop art works such as cartoon technique and color expression, icon, pictogram, graffiti and repetition were applied as original and unique art motifs of nail art design and then its attractiveness could be cre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