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캡스톤디자인을 활용한 디자인 전공수업 사례 연구

        안현정(Hyun Jung Ahn),강민구(Min Gu Kang)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3 한국디자인리서치 Vol.8 No.2

        본 연구는 대학에서 산학협력교육의 일환으로 진행된 프로젝트 수행사례로 캡스톤디자인을 기반으로 하는 디자인학과 전공수업으로 진행되었다. ㈜비노디자인과 산학협력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글로벌 워밍을 주제로 디자인 상품을 기획, 개발하고 시제품을 제작하여 전시를 진행하였다. 캡스톤디자인 수업을 통해 학생은 산업현장에서 직면한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해나가는 과정에서 실제 업무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과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어, 진로 설정 및 경쟁력 강화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교수는 캡스톤디자인 수업을 개발하고 운영함으로써 다양한 경험과 교육사례를 수집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하여 현실적인 교육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대학은 학생들의 취업역량을 강화시키고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교육과 산업현장 간의 협력적 관계를 강화시킬 수 있다. 기업은 인재 출처를 다양화할 수 있으며, 산학협력을 통해 대학과의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더 나은 비즈니스 성과를 이뤄낼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 연구를 통해 디자인 전공수업에서 캡스톤디자인 적용의 긍정적인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학생과 교수, 대학과 기업이 상호발전의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교육환경이 조성되어야 하겠다. This study is an execution case which is part of an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project , and conducted as a course based on capstone design in design major. The program was operated in collaboration with Bino Design Co., Ltd., focusing on the theme of global warming to plan, develop, and produce design products and hold exhibitions. Through the capstone design course, students can improve their abilities and gain experience that can be applied to actual work, as they identify and solve problems faced in the industry. This can greatly help with career development and competitiveness. Professors can collect various experiences and educational cases through developing and operating capstone design courses, and apply them to create a realistic educational environment. Universities can enhance students' employability and competitiveness, while also strengthening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industry in the long term. Companies can diversify their talent pool, strengthen partnerships with universities through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and gain opportunities to achieve better business results. Through this research, the positive potential of capstone design education in the design field has been confirmed, and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ducational environment in which universities and companies can maintain a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for further development.

      • KCI등재

        해방이후(1945~1960), 한국화단의 경향과 수묵화 교육에 관한 연구 - 근원 김용준의 ‘水墨南畵論’을 중심으로 : 해방이후(1945~1960), 한국화단의 경향과 수묵화 교육에 관한 연구

        안현정(Ahn Hyun-J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06 美術敎育論叢 Vol.20 No.3

        본 고는 해방이후 수묵화 교육이 어떠한 경로를 통해 정착하였는지를 서울대학교 초대 교수였던 근원 김용준의 ‘수묵남화론’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1930년대 서양화에서 동양화로 전필한 김용준은 한국적 전통을 문인화를 계승한 서화에서 찾으려 하였다. 그러나 채색인물화가 유행하던 식민지 한국화단에서는 수묵의 가치가 절하(切下)된 상태였으므로, 사군자와 서예는 ‘봉건시대의 유물’로 치부될 수밖에 없었다. 당시 사군자를 옹호하던 김용준의 주장은 해방직후 남화론(南畵論)과 맞닿으면서 발전하게 된다. 1946년 민족미술건설의 기수로서 설립된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은 김용준의 ‘수묵남화론’을 받아들였고, 1950년 9월 그가 월북한 후에도, 그의 동료교수였던 장우성에 의해 ‘정신성을 강조한 수묵화교육’이 한국화단에 정착하게 하는 계기를 마련한다. 오늘날 김용준이 언급했던 서(書)와 사군자의 가치는 퇴색하였지만, 수묵화를 통해 전통의 현대화를 이루고자 했던 그의 노력은 한국적 정체성의 새로운 모색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남긴다고 할 수 있다. In relation to the research, we have analyze the trace of settlement of the education for a painting in india ink in Korean-painting circles. Kim yong-ju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is settlement as a bridge between a tradition and a modern. In 1930"s, Kim yong-jun, who would search for the Korean tradition from a painting in the literary artist´s style, changed his major from a western painting to an oriental painting. However, the Korean-painting circle in the colonial period underestimated the value of a painting in the literary artist´s style because this style was considered as relic of the feudal days. His theory had been revalued after the Korea"s liberation from Japan. The best issue of the Korean-painting circles in the liberation period was the liquidation of the remnants of the colonial period and the coloring oriental painting was regarded as one of them. For the liquidation of the coloring oriental painting, Kim yong-jun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India ink theory of the literary artist´s style. His idea was the same as the founding intention of the College of Fine Art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SNU), which was ‘the pursuit of the new identity of Korea’. His efforts were succeed to Chang Woo-Sung, his colleague professor and settled the education for a painting in india ink in the College of Fine Arts of SNU. His idea have had a great effect on the education of Korean fine arts until now from the viewpoint of ‘the modernization of the tradition’

      • KCI등재

        디지털 후세대(Post Digital Generation)에 따른 시각커뮤니케이션 표현 전략

        안현정 ( Ahn Hyun Jung ),송민희 ( Song Min Hee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6 한국디자인포럼 Vol.13 No.-

        인터넷이 처음 모습을 드러냈을 때, 많은 사람들은 인간이 탈구조화 되고 탈분자화 되는 동시에 디지털 신호인 `비트`가 되어 시공간을 초월할 수 있다고 믿었다. 더 이상 물리적인 접촉이 필요 없다고 예견하면서 유토피아의 미래를 그리는 사람이 있는 반면, 사이버 핑크 소설들이 보여주었듯 아무런 철학 없이 맞이한 새로운 과학이 가져올 재앙 그리고 인류의 위기에 대한 디스토피아의 미래도 엿볼 수 있었다. 인터넷이라는 매체의 가능성은 이러한 극단적인 예견들에서 보여지듯 거대하고 놀라웠던 것이었다. 1980년대 초 디지털 시대가 열리면서 인간관계를 중시했던 아날로그적 문화가 편리함을 지향하는 디지털 문화에 밀려나기 시작했다. 이에 디지털 시대 개막에 기여했던 각계의 학자들은 디지털시대의 개인주의와 이기주의 폐쇄성에 대해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져갔고, 역기능적인 측면에서의 컴퓨터와 네트워크 환경이라는 폐쇄적 공간에 매몰됐던 디지털 세대가 디지털 후 세대의 등장으로 디지털 생활 속에서도 인간적 관계 즉 아날로그적인 관계에 가치를 두고 있다는 점에서 이전 디지털 세대와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최근 핫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PDG는 그런 분석의 최신판이라 할 수 있다. 사회는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네트워크구축을 촉진하였고, 네트워크의 급속한 발달로 사이버 공간의 행동비중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아날로그 시대와 디지털 시대라는 큰 구분을 지었다. 아날로그시대를 라인워크의 시대라고 본다면 디지털 시대는 연결고리의 공간화. 다양화로 신속한 정보와 영향력을 주고받는 네트워크의 시대라고 볼 수 있다. 뉴밀레니엄의 2000년대에는 컴퓨터-정보통신발전과 그 속에서 성장한 N세대가 현재까지 디지털 세대로서 자리 잡아 왔다. 또한 인터넷의 발달과 보급으로 사이버공간이라는 새로운 사회와 문화가 등장하였고, 많은 혼란과 시행착오를 거듭하면서 새로운 공간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이로 인해 새로운 행동양식와 트랜드가 생성되었으며, 디지털 시대에 등장한 디지털 세대들은 N세대, M세대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었고, 초창기 디지털 사회의 기술의 부각과 이기적 개인주의를 지나, 인간을 위한 따듯한 기술, 수평적 네트워크의 진화, 공동체 문화 확산으로 아날로그적 감성을 지닌 디지털 후세대(PDG.Post Digital Generation)가 등장하게 되었고, 이 현상을 국내 한 광고대행사에서는 `이시대의 주역 포스트 디지털 세대`로 명명했으며, 이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특성을 조사하게 되었다. 이에 디지털 후 세대의 특성과 행동양식에 대해 연구하여 디지털 기기의 주 타깃이 되었을 때 어떠한 크리에이티브 전략으로 공략해야 하는지 다각도로 연구하는 것은 필요하다. When the Internet was first introduced, people believed humans can be deconstructed and de-molecularized, at the same time transcend over time and space as “bit,” a digital signal. There were those who were picturing a future of utopia predicting that there will no longer be a need for physical contact. On the other had, through movies a future of dystopia brought upon by calamities and human crisis resulting from advancements made in technology without any philosophy was tasted. The possibilities of the Internet medium, as evidenced by these extreme predictions, were received a something that was tremendously surprising. When the digital era began in the 1980s, the analogue culture that had been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human relations started becoming obsolete due to the conveniences of digital culture. As a result, technologists who contributed to the commencement of the digital era began raising their voices in apprehension of shutdown of individuality and egoism of the digital era, and it can be stated the digital generation that had been buried in the closed space namely called computer and network environment from the reverse-functional side is showing a different aspect with the introduction of post digital generation having value in human relations and analogue relationships. Post Digital Generation that is becoming a hot issue can be considered a new topic of such analysis. If the analogue era can be perceive d as line work era, then digital era can be perceived as network era with its ability to promptly exchange information and influence through diversification of space that is virtually infinite. In addition, through advancement and propagation of the internet, a new culture of cyberspace was introduced, and through many confusions and errors, it is being established as new grounds. As a result, action pattern and trends were formed and socio-economic activities began to proceed actively. Digital generations introduced during the digital era are generation N, M, and other various names. By overcoming technical difficulties and selfish individualism of the early digital society with expansion of technology for people,horizontal evolution of network, and organizational culture, the post digital generation with analog characteristics was introduced. A domestic marketing festival described this phenomenon as “the main post digital generation of this era,” and the resulting characteristics of lifestyle began being analyzed. Therefore, by studying the characteristics and action pattern of post digital generation, determining the creative strategy for capturing the generation with digital machines as new targets need to be conducted.

      • 그래픽 이미지의 수사학적 표현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학광고를 중심으로-

        안현정 ( Hyun Jung Ahn ),이영화 ( Young Hwa Lee )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13 정보디자인학연구 Vol.21 No.-

        이미 우리는 다양한 문화와 매체시대에 둘러 쌓여 있다. 이러한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소비자의 기호는 더욱 다변화되어 가고 있으며 세분화된 소비자의 만족도를 위하여 광고활동은 더욱 급증했고, 보다 빠른 이해와 정보전달의 필요에 따라 비주얼 중심의 광고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는 실정이다. 광고에 있어서 그래픽 이미지의 중요성은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인지하고 있다. 이렇듯 그래픽 이미지의 중요성에 따라 많은 디자이너에게 카피와 더불어 수많은 광고 중에서 강한 인상을 주기 위한 광고의 창의성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수사학적 표현인 비유법은 광고언어의 차원에서 급증할 수밖에 없으며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다양한 표현이 등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중요성으로 대학이미지 광고에서도 전략적인 측면에서 광고의 표현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수사학적 표현방법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다 할 수 있겠다. 이에, 대학 이미지 광고의 게재 현황과 대학광고에 나타난 그래픽 이미지의 표현전략에 대한 소비자 태도 효과를 분석하여 대학이미지 광고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방법은 2012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1년 동안 열독율 1,2위인 조선일보와 중앙일보에 게재된 대학광고 1,027점을 정리하여 그 중, 이미지광고 145점을 중심으로 연구 분석하였다. 이러한 수사학적 표현 방식을 분석하여 소비자에게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이미지를 고지시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여 본 연구가 대학 광고 발전의 미래를 제시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We already diverse culture and is surrounded by the media age. These changes in the environment due to the diversification of consumer preferences is becoming a more granular advertising activities to the satisfaction of the consumer even more rapidly, and faster delivery of information needed to understand the visual phenomena driven advertising that stands out is sleep. The importance of a graphic image in advertising do not have to explain what is bother. Thus depending on the importance of a graphic image, with a copy to the many designers to impress a number of ads for advertising creativity is required. In this respect biyubeop rhetorical expression in terms of the advertising language is not forced to jump two different representations for effective communication will be emerged. These image ads in the university strategic importance in terms of advertising to maximize the representation represented rhetorical approach is needed on how to it. Accordingly, the University status and image ads appear in ad strategy for graphical representation of the image by analyzing the effect of consumer attitudes College of image ads were to propose future direction. Research method from January 2012 to December 2012 1year, 2great Reading Ratio Chosun Ilbo and JoongAng Ilbo published in 1027 that the college by organizing them advertising, image ads around 145 studies that were analyzed. Rhetorical analysis of these representations to the consumer notices a positive image by effective communication and active by enabling the development of the research university advertising a chance to provide hope for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기초학습부진아 교육에 관한 사례연구

        안현정(Hyun-jung Ahn),홍창남(Chang-nam Hong)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12 지방교육경영 Vol.16 No.1

        본 연구는 기초학습부진아 교육의 운영 체제를 거시적인 관점에서 초등학교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맞춤초등학교 기초학습부진아 교육의 참여자들의 면담을 중심으로 한 사례 연구를 통하여 기초학습부진아 지도를 지원하기 위한 기초학습부진아교육 운영 체제와 참여자들의 직무수행방식에 대하여 분석하여 보았다. 맞춤초등학교에서 기초학습부진아 교육은 교육과학기술부의 지도 지침이 반영된 교육청의 계획에 의거하여 방과후학교부서 아래에 ‘기초학력책임제’라는 이름으로 계획되어 운영되고 있었다. 한 해의 기초학습부진아 교육의 행정적 일정은 교육청 지침과 동일하였다.기초학습부진아교육에 관한 업무는 상부 교육청의 행정 일정에 따라 학습부진아 현황보고와 재평가 실시와 교육청에서 배부된 교재활용안내와 한 달 1회 지도 강사의 급여 지급등이다. 지도 강사들은 학습부진아들의 개인적 특성으로 인한 생활지도에 어려움을 많이 느끼고 있었다. 이러한 결론을 토대로 추후 수행될 연구를 위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기초학습부진아교육을 위한 운영체제를 실증적 관점에서 참여자들의 면담을 통하여 유형화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대상을 단위학교 참여자들 뿐만 아니라 상부기관인 교육청의 관계자들도 함께 면담을 실시한다면 현장의 학습부진아 해소를 위한 운영 체제를 개선하는 데 충분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리라 본다. 둘째, 학습부진격차 해소를 학교가 담당하여야 하는 교육의 본질적 목적을 찾고자 한다면 담임교사와 학습부진아 학부모와의 면담도 시도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for solution in an educational operating system for slow-learners (called students who lack the basic academic abilities), in order to reduced the number of them in elementary school.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slow-learning, the reasons why slow-learners exist, and the overview of current educational policy and its problems were examined, ultimately trying to provide the insight and self-examination about how to deal with slow-learners more effectively. Although many educational measures for slow-learners are taken on the national or education office level, they are not fully practiced or fundamentally applied to the very realistic class unit. Changes in approaches to them were analyzed on the basic of educational norms and validity, including the make-up of human resources, technical assistance, the recognition of slow-learners, communication channel, etc. The operating system changed superficially on the outside and conventional assistance without educational care can't address many current problems. As it is the case now, this study finds a way for the realistic and practical assistance for the benefit of slow-learners with no emphasis of administrative management and its ensuing merit system.

      • KCI등재

        부르디외의 문화이론에 나타난 예술사회학적 함의 -살롱전과 앙데팡당을 중심으로-

        안현정 ( Hyun Jung Ahn ) 한국동서철학회 2015 동서철학연구 Vol.78 No.-

        이 글은 “프랑스의 관전(官展) 아카데미즘 속에서 예술가는 어떻게 구성되는가?”라는 질의로부터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부르디외가 『예술의 규칙』(1992)에서 언급한 ‘장에서의 경쟁논리’를 ‘관전 對 反관전’에 대입해 살펴보았고, 연구를 통해 지배자들의 권력기제와 신참자들의 도전논리가 새로운 예술을 창출하는 동력임을 확인하였다. 주된 연구대상은 양식투쟁을 향한 미술가 집단의 위계구조이다. 연구자는 이 문제의식을 풀어내기 위해 행위자와 제도/양식논쟁과 미술장 사이의 관계분석을 시도하였다. 미술장의 주된 권력으로 기능해온 관전 아카데미즘에 주목함으로써, 프랑스 관전의 계보를 부르디외의 문화이론을 통해 재해석한 것이다. 이를 전제하는 포괄적 조건이 ‘아비투스’와 ‘장’ 개념이며, 예술작품과 예술가 사이에는 이들을 움직이는 객관적 요소들(언론·비평가·미술시장·미술관·전람회 등)이 존재한다고 본 것이다. 관전의 시작을 알린 살롱전은 프랑스 작가들이 대중과 만나는 유일한 통로였고 포상과 장려로서 국가의 영향력을 결집한 제도였다. 아카데미의 특권은 수상자에게 과시와 명예를 안겨줬지만, 19세기에 이르러 미술중개상에 따른 수요자의 변화, 마네를 축으로 한 졸라와 플로베르 등의 비평, 국가의 미술시장 개입과 이에 대응해 나타난 인상주의의 출현 등으로 권력의 힘을 신참자에게 내주게 되었다. 이렇듯 새로운 장 속에서는 독점을 옹호하려는 지배자들과 빗장을 부수려는 신참자들의 투쟁이 항상 존재하며, 부르디외의 해석을 통해 관전 아카데미즘에 가려진 ‘상대적 자율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장에서의 경쟁논리는 ‘구조화되고 구조화시키는 역동적 행위’로 치환됨으로써 새로운 예술을 창출하는 원동력이 된 것이다. This article started from the question of ‘how an artist is established in the National Art Exhibition academism of France?’ For the study, the ‘competition in a field’ theory mentioned by P. Bourdieu in ‘Les regles de l`art’ (1992) was substituted to the ‘National Art Exhibition vs. anti-National Art Exhibition’ frame.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power mechanism of the rulers and the challenge theory of the newcomers are the driving forces in creating new art. The main study subject is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artist groups toward the style struggle. The researcher attempted a relation analysis among the doers, system/style debates and the field of art to resolve the issue. This study is the reinterpretation of the National Art Exhibition genealogy through the aesthetic theory of Bourdieu by paying attention to the National Art Exhibition academism as a social entity.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comprehensive condition premising it is the concept of ‘habitus’ and ‘field’ and there are objective elements (press, critics, art market, exposition and others) moving them between an artwork and an artist. The salon exhibition, which was the beginning of the National Art Exhibition, was the only passage, where the French artists could meet people. It was a system assembled of the influence of a state by giving reward and encouragement. The privilege of the Academy gave ostentation and honor to the award winners. However, in the 19th century, the power went to the newcomers due to the change in buyers by the art brokers, the critiques of Manet, Zola and Flaubert, the intervention of state in the art market and the appearance of impressionism in response to it. Like this, there always has been a struggle in a new field between the newcomers, who try to break the bar, and the rulers, who want to protect the monopoly, and it was possible to find the ‘relative autonomy’ covered by the National Art Exhibition academism. Consequently, the competition logic in a field became the driving force in creating new art by being replaced of the ‘dynamic action which is structured and structuralizes’.

      • KCI등재
      • 뮤지엄 기획전시에서의 온라인 활용과 상호작용 연구

        안현정(hyun Jung Ahn) 한국전통미술융합진흥원 2023 전통미술융합연구 Vol.1 No.-

        이 글은 코로나 팬데믹(Corona pandemic)으로 인해 발생한 ‘뮤지엄 기획전시’의 온라인 활성화에 관한 ‘2020년 초반의 전시현황’을 분석하여 ‘뮤지엄 전시’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다. 사회적 거리두기의 시책에 따라 뮤지엄 기획전시는 시설 폐쇄로 이어졌고, 이로 인한 경제적 여파는 유투브· 네이버라이브·다음카카오갤러리 등의 새로운 가상전시 활용을 통해 새로운 소통구조를 발전시키게 되었다. 언택트 시대에 대응하는 뮤지엄들의 운영방식은 불안정한 수익구조를 개선해 새롭고 지속적인 운영 모델을 도모해야 한다. 코로나 팬데믹이 앞당긴 가상공간의 출현, NFT와 메타버스를 활용한 뮤지엄의 구조의 확장은 오프라인 전시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전통 및 현대전시’의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This article presents a new direction for ‘museum exhibitions’ by analyzing the ‘exhibition status in early 2020’ regarding the online activation of ‘museum special exhibitions’ caused by the Corona pandemic. Due to the policy of social distancing during the COVID-19 era, the museum's planned exhibition could not be held, and as a result, exhibition contents sought a new path. As a result, new virtual exhibitions such as YouTube, Naver Live, and Daum Kakao Gallery were developed, and new challenges were attempted through them. Museums responding to the untact era should create a new and continuous model of museum management by improving the unstable profit structure of museums. We need to pay attention to various phenomena brought forward by the corona pandemic. For example, the emergence of virtual space and the expansion of the structure of the museum using NFT and metaverse. Even in the endemic era, museum curators will have to find a new way of 'traditional and modern exhibitions' through mutual cooperation between online and offline exhibitions.

      • KCI등재

        디터 람스(Dieter Rams)와 전후(戰後) 독일디자인의 정체성 고찰

        안현정(Hyun Jung Ah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3

        이 논문의 목적은 전후 독일디자인의 변화양상 속에서 디터 람스가 남긴 공적과 정체성을 그의 디자인 철학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브라운(Braun)사의 디자인 정립으로부터 애플(Apple)사의 디자인 경영으로까지 확산된 독일 모던디자인의 가치와 정체성을 고찰해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디자인이 남기는 철학적 가치가 무엇인가를 숙고해보는데 있다. 디터 람스가 디자인을 시작하던 20세기 중반의 독일은 산업화와 기계주의가 팽배한 ‘기능주의 디자인의 시대’로, 제품에 불필요한 장식을 없애고 정제된 아름다움을 선사하는 것이 각광을 받던 시기였다. 1970년대 이후 울름조형대학로부터 구축된 산업과 연계된 제품디자인은 환경과 휴머니즘을 고려한 디자인철학과 맞물리면서 그 의미를 확장해 갔지만, 일각에선 ‘통속적 기능주의’라는 비판과 함께 비전문적이고 단일한 예술작품만을 추구하는 ‘뉴디자인 운동’을 낳기도 했다. 복잡다단한 독일 모던디자인의 흐름 속에서 인간과 환경을 고려한 디터 람스의 디자인 철학은 ‘윤리적 기능주의’의 형태로 독일기업 및 21세기 애플의 디자인 경영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그 결과 기능주의를 기저(基底)에 둔 ‘환경친화적 생활문화창달’은 21세기 디자인 경영에서 최우선의 가치로 각광받고 있다. 우리는 이 연구를 통해 “좋은 디자인이란 무엇이고, 기업은 어떤 사회적 책임을 갖는가?”에 대한 해답을 얻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전후 독일디자인의 정체성을 ‘디터 람스의 디자인 철학’을 통해 고찰하고, 현재까지 이어지는 기능주의 디자인의 가치를 ‘제품디자인’의 맥락에서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 도서·출판물 등의 문헌조사가 1차 자료로,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외 정보 D/B 및 네트워크 검색이 2차 자료로 활용되었다. 연구의 주된 범위에는 전후 독일디자인의 변천과 기능주의, 디터 람스의 디자인 철학과 그 영향, 그리고 21세기 디자인 경영 및 제품디자인의 정체성에 대한 분석들이 포함되어진다. 본 연구는 내용의 결과로서 전후 독일디자인의 기능주의적 조형의식은 디터 람스가 제시한 ‘윤리적 기능주의’로 확대되었으며, 이는 21세기 제품디자인에 ‘인간친화와 환경보존’이라는 디자인 철학을 제시하면서 새로운 디자인 트렌드를 이어가고 있음을 제시 · 정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 review of Dieter Rams and identity of german modern design. The postwar German design has sought after product design that combined durability and functionality inherited the tradition of Bauhaus. There is Dieter Rams who has led Braun Inc. on the base of this design. The Germany in the middle of 20th century when Dieter Rams started design was ‘a period of design of functionalism’ overflowed by industrialization and mechanism, and it was a period that presenting refined beauty with removing unnecessary decoration from products came to a spotlight. Since 1970s, the product design involving the industry that was constructed from Hochscule Fur Gestaltung has extended its meaning interconnected with the philosophy of design considering environment and humanism, and ‘New Design’movement that was not professional and pursuit only unique works of arts came to spread out in the criticism as ‘conventional functionalism’. In the flow of complicated German modern design, the philosophy of design of Dieter Rams considering human and environment had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design management of German companies and Apple Inc. with a form of ‘Ethical Functionalism.’ ‘Environment-Friendly Promotion of Living Culture’ based on functionalism is drawing attention in 21st design management as the priority value. We can obtain an answer to “What is a good design? and What kind of social responsibilities does a company have?” through this. This study reviewed the identity of postwar German design through ‘Dieter Rams`s philosophy of design’, and analyzed the design of functionalism and the value of product design that exist until today in the context of ‘design management.’ For the method of study, the survey of literature such as books·publications including dissertations and books etc. was utilized as the primary data and domestic and foreign information D/B and network search using Internet as the secondary data. The main scope of the study included transition and functionalism of postwar German design, Dieter Rams`s philosophy of design and its effect, and the analysis of philosophical value of design management and product design in 21th century. This study suggested and summarized that as a result of contents, the functionalistic formative consciousness of postwar German design was extended to ‘Ethical Functionalism’ that Dieter Rams suggested, and this continues the new design trend suggesting the philosophy of design, ‘Human- Friendly and Conservation of Environment’ for product design in 21th century.

      • KCI등재

        광고의 시각적 은유에 관한 연구-수용자 반응을 중심으로-

        안현정 ( Ahn Hyun Jung ),송민희 ( Song Min Hee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8 한국디자인포럼 Vol.18 No.-

        IMF이후 감성광고의 증가와 2000년 대선과 2002년 월드컵을 거치면서 이미지 중심의 감성광고가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더 커지기 시작하였다. 이와 더불어 카피중심의 광고에서 비주얼 중심의 광고로 그 중심이 이동되었다. 이미 광고 분야에서 언어적 측면에 대한 비주얼의 우월 효과는 여러 연구에서 검증되었다. 이에 이미지 중심광고에서 어떠한 표현기제를 사용하여 그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느냐는 문제가 대두되기 시작하였고, 수사학적 표현인 은유, 환유, 직유 등 수사학적 비유법이 활발하게 사용되었다. 이러한 많은 수사적 표현중 시각적 은유는 수용자의 마음에 전달하는 이미지의 효과적 측면에서 언어적 은유보다 훨씬 강렬하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시각적 은유의 두 영역 간 상호작용이 언어적 측면보다 명시적이며, 새로이 생성된 유사성이 강조되어 바로 눈앞에 제시되기 때문이다. 또한 수용자들로 하여금 그 의미를 그냥 읽게 하는 것이 아니라 밝혀내게 하는 것이기 때문에 수용자의 의식 속에 강하게 자리 잡게 된다. 본 연구는 광고에 시각적 은유를 사용함에 있어 의도된 메시지가 수용자에게 전달될 때 일어나는 반응의 문제에 대해 고려하였다. 이는 광고로 인한 자극의 문제도 중요하지만 이를 수용하는 수용자측면에서의 반응에 대한 문제가 더 중요하다는데 기인한다. 시각적 은유에 있어 수용자가 은유적 표현을 수용함에 문화적, 사회적 차이는 은유의 이해와 해석의 차이를 가져온다. 이에 시각적 은유에 있어 이러한 문화적 사회적 차이와 더불어 수용자의 성별, 연령별에 따른 인구통계학적 차이역시 시각적 은유의 이해와 해석에 있어 차이를 보일 것이라는 점에 기인 이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검증 결과 시각적 은유를 수용함에 있어 수용자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시각적 은유수용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명시적 유형의 은유광고에 대해서는 남자가 명시적, 암시적 유형의 은유광고에 대해서는 여자가 높이 이해하는 차이를 보여주고 있었고, 연령이 낮을수록 오히려 명시적이고 형태적 유사성에 근거한 광고에 연령이 높을수록 암시적이며 내용적 유사성에 근거한 광고에 높은 반응을 보이고 있었다. 이는 매체의 다양성과 변화, 사회적 변화와 무관치 않다고 보여진다. 둘째, 또한 현재의 수용자는 과거 수동적 수용자가 아닌 능동적 개념을 가진 수용자로 시각적 은유에 있어 원관념(은유대상)과 보조관념(은유도구)사이의 유사성의 형식적 측면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이해를 보여주었다. 이렇듯 수사학에서 출발한 은유는 기호학과 커뮤니케이션 이론, 언어학 차원에서 그리고 광고표현방법의 하나로 그 의미는 매우 크며 적절한 시각적 은유 활용은 매우 효과적이다. 광고가 기업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수사적 표현 활용 시 광고제작자들과 광고주는 매우 신중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시각적 은유의 유형별 실 사례와 이에 대한 수용자의 반응을 확인하는 것은 필요한 과정이다. 또한 시각적 은유 사용 시 문화적 경험적 측면 뿐 만 아니라 성별, 나이별, 직업별, 거주지에 따라 활용되는 시각적 은유가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며, 이를 통해 좀 더 나은 효과적인 시각적 은유의 사용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Since the IMF crisis, with the help of increased sensual advertising, the 2000 presidential election, and the World Cup 2002, the importance of image-centered sensual advertising began to increase, and the focus has shifted from copy-centered advertising to visual-centered one. Many studies have reported superior effect of visual over verbal elements in advertising. Accordingly, the question that what kind of expression mechanism can be used for image-centered advertising to maximize such effect is emerging, while rhetoric figures of speech such as metaphor, metonymy, and simile are being widely used. Among these many rhetorical expressions, visual metaphor can be said to have a far more powerful effect in terms of the image delivered to the receiver. This is because interaction between two domains of visual metaphor is more explicit than verbal elements, and newly created similarities are emphasized and presented immediately. Moreover, it gives a strong impression to the consciousness of receivers, since it clarifies the meaning, rather than making them simply read it. This study examined responses of receivers of the message delivered by an advertisement through visual metaphor, from the notion that response of the receiver of an advertisement is much more important, although stimulation by an advertisement is important. In case of visual metaphor, cultural and social differences bring different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n metaphor, when a receiver is exposed to metaphoric expressions. Therefore, verificat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assumption that, along with these cultural and social differences, demographic differences of receivers such as age and sex also will make a difference in the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visual metaphor.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receiver`s sex and age made a difference in the response to visual metaphor: men displayed better understanding on explicit types of advertising, while women showed better understanding on metaphor advertising of explicit and implicit type. Those who were younger responded better to explicit and formally similar advertisements, while those who were older did to implicit advertisements based on similarities of content, which is considered related to diversity and changes of media and social changes. Second, currently, receivers having positive concepts rather than passivity of the past showed positive understanding on formal aspects of similarities between original idea (the subject) and supporting idea (the image) of visual metaphor. Thus, starting from rhetoric, metaphor as one of the expression methods of advertising in terms of semiology, communication theories, and linguistics has high significance, and appropriate use of visual metaphor is highly effective. As advertising has a strong effect on companies, advertising producers and advertisers should be careful to use these rhetorical expressions. In this respect, it is necessary to examine cases of types of visual metaphor and receiver`s response to it. In addition, these results also imply that sex, age, occupation, and place of residence, as well as cultural experience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using visual metaphor, and more effective visual metaphor should be u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