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팔로워십 유형과 교회학교 교사의 조직몰입도의 상관성 연구

        함영주 總神大學校 2006 總神大論叢 Vol.38 No.-

        본 연구는 교회학교 교사들의 팔로워십 특징과 교사의 조직몰입도의 상관성에 대한 논문이다. 팔로워십은 리더십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연구의 주제 중 하나로 취급되고 있다. 이는 팔로워십이 리더십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들을 살펴보아도 알 수 있다. 그러나 기독교교육의 영역에서는 팔로워십에 대한 연구가 그리 활발하게 연구되지 못하였다. 더욱이 교회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팔로워십 연구는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회학교 교사의 팔로워십 특징들을 규명하고 그것이 조직몰입도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 총 253명의 교회학교 교사가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교회학교 교사들의 팔로워십 하위 척도인 독립적-비판적 사고의 평균점수는 5점 척도에서 3.31, 적극적-능동적 참여는 3.49를 나타내서 적극적-능동적 사고가 다소 높은 평균점수를 보였다. 또한 조직몰입도는 4.0을 나타내었다. 팔로워십 유형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적극적-능동적 참여가 조직몰입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토대로 세 가지 기독교교육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첫째, 독립적-비판적 사고 능력 배양을 통한 부서사역에의 적극적 의견개진 및 참여이다. 둘째, 지속적인 적극적-능동적 참여를 위한 팔로워십 내적 동기부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이다. 셋째, 부서별 맞춤형 팔로워십 교육의 필요성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기체이면서 동시에 조직인 교회와 교회학교를 건강하게 세우기 위하여 팔로워십을 건강하게 세워줄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A Review of International Empirical Research on Followership (1988-2015)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 Guk Do Byun ),( Soo Jin Lee ),( Seung Wan Kang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6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3 No.2

        조직 내 리더십 효과성은 팔로워들의 태도 및 행동에 달려있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최근 들어 팔로워십에 대한 학계와 실무계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많은 연구자들이 팔로워십 연구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새로운 개념인 팔로워십은 개념정의와 측정도구 면에서 아직성숙기에 도달하지 못한 상황이기 때문에 정작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팔로워십 연구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는 리뷰논문으로서, 팔로워십이 리더십 문헌에 적극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한 1988년부터 2015년까지 해외 학술지에 게재된 기존 문헌의 연구경향을 분석하였다. 총 920편의 문헌을 리뷰하여 88편의 팔로워십 연구를 추려내고 이를 여섯 가지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 88편의 팔로워십 문헌을 논문유형 별로 볼 때, 개념연구는 41편(46%), 실증연구는 35편(40%),리뷰연구는 12편(14%)이었다. 이 결과를 통해서 아직 역사가 길지 않은 팔로워십 문헌에서는 개념연구나리뷰연구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실증연구가 적게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기존 팔로워십문헌을 관점 별로 구분해 볼 때, 팔로워 중심 관점이 40편(45%)이었고 리더 중심 관점이 48편(55%)이었다. 이 결과를 통해서 기존의 팔로워십 연구 중 절반 이상이 리더 중심의 관점으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특히 35편의 실증연구를 주제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리더십에 대한 팔로워 영향력: 12편(34%); 팔로워십 선행요인: 11편(31%); 팔로워십 유형: 7편(20%); 팔로워십 구성개념: 4편(11%);암묵적 팔로워십 이론: 1편(3%). 이 결과를 통해서 팔로워십의 결과변수와 선행변수에 대한 연구가 비슷한 비중으로 이루어졌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넷째, 실증연구를 목적 별로 구분하면 이론구축은 31편(88%), 이론검증은 3편(9%), 이론응용은 1편(3%)이었다. 이 결과를 통해서 아직 성숙기에 도달하지 못한 팔로워십 연구는 이론의 검증이나 응용보다는 이론구축에 무게중심이 쏠려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실증연구를 데이터 수집 방법 별로 구분해 볼 때, 설문조사는 23편(65%), 실험은 9편(26%), 인터뷰는 2편(6%), 사례연구는 1편(3%)이었다. 이 결과를 통해서 설문조사가 가장 많다는 점과 비율적인면에서 볼 때 실험의 비중(26%) 또한 적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실증연구의 분석방법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중복허용). 회귀분석: 17편(49%); 기술통계: 11편(31%); 확인적 요인분석: 8편(23%); 상관관계: 8편(23%); 멀티레벨: 4편(11%); 부트스트래핑: 3편(9%); 분산분석: 3편(9%); 카이스퀘어-검정: 3편(9%); T-검정: 2편(6%); 구조방정식: 1편(3%); 기타 6편(17%). 이 결과를 통해서 전통적인 회귀분석이 가장 많았지만 멀티레벨과 부트스트레핑 및 구조방정식 방법론을 활용한 연구도 일부이루어졌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현실적으로 모든 조직구성원들이 리더가 될 수는 없지만 성공적인 팔로워는 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효과적인 조직성과 달성을 위해서 리더의 중요성 못지않게 팔로워의 중요성도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본 리뷰 논문이 팔로워십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Followership has recently drawn attention from the fields of both academia and business as effective leadership is directly linked to the attitudes and behaviors of workplace followers. The variety of followership concepts and lack of empirical research are interesting and ironic gaps in followership literature. These gaps have made it difficult for followership researchers to define followership and to conduct empirical research. This study reviews the trends of followership literature and presents a comprehensive overview of empirical research published between 1988 and 2015. We included 88 articles out of 920 literatures and categorized our findings by six criteria: 1) paper type, 2) perspective, 3) research theme, 4) research purpose, 5) data collection method, 6) data analysis approaches. From these findings we describe anticipate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on followership, and discuss the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 KCI등재

        A Review of International Empirical Research on Followership (1988-2015)

        Byun Guk Do,Lee Soo Jin,Kang Seung Wan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6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3 No.2

        조직 내 리더십 효과성은 팔로워들의 태도 및 행동에 달려있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최근 들어 팔로워십에 대한 학계와 실무계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많은 연구자들이 팔로워십 연구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새로운 개념인 팔로워십은 개념정의와 측정도구 면에서 아직 성숙기에 도달하지 못한 상황이기 때문에 정작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팔로워십 연구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는 리뷰논문으로서, 팔로워십이 리더십 문헌에 적극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한 1988년부터 2015년까지 해외 학술지에 게재된 기존 문헌의 연구경향을 분석하였다. 총 920편의 문헌을 리뷰하여 88편의 팔로워십 연구를 추려내고 이를 여섯 가지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 88편의 팔로워십 문헌을 논문유형 별로 볼 때, 개념연구는 41편(46%), 실증연구는 35편(40%),리뷰연구는 12편(14%)이었다. 이 결과를 통해서 아직 역사가 길지 않은 팔로워십 문헌에서는 개념연구나 리뷰연구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실증연구가 적게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기존 팔로워십 문헌을 관점 별로 구분해 볼 때, 팔로워 중심 관점이 40편(45%)이었고 리더 중심 관점이 48편(55%)이었다. 이 결과를 통해서 기존의 팔로워십 연구 중 절반 이상이 리더 중심의 관점으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특히 35편의 실증연구를 주제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리더십에 대한 팔로워 영향력: 12편(34%); 팔로워십 선행요인: 11편(31%); 팔로워십 유형: 7편(20%); 팔로워십 구성개념: 4편(11%);암묵적 팔로워십 이론: 1편(3%). 이 결과를 통해서 팔로워십의 결과변수와 선행변수에 대한 연구가 비슷한 비중으로 이루어졌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넷째, 실증연구를 목적 별로 구분하면 이론구축은 31편(88%), 이론검증은 3편(9%), 이론응용은 1편(3%)이었다. 이 결과를 통해서 아직 성숙기에 도달하지 못한 팔로워십 연구는 이론의 검증이나 응용보다는 이론구축에 무게중심이 쏠려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실증연구를 데이터 수집 방법 별로 구분해 볼 때, 설문조사는 23편(65%), 실험은 9편(26%),인터뷰는 2편(6%), 사례연구는 1편(3%)이었다. 이 결과를 통해서 설문조사가 가장 많다는 점과 비율적인 면에서 볼 때 실험의 비중(26%) 또한 적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실증연구의 분석방법 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중복허용). 회귀분석: 17편(49%); 기술통계: 11편(31%); 확인적 요인분석: 8편(23%); 상관관계: 8편(23%); 멀티레벨: 4편(11%); 부트스트래핑: 3편(9%); 분산분석: 3편(9%); 카이스퀘어-검정: 3편(9%); T-검정: 2편(6%); 구조방정식: 1편(3%); 기타 6편(17%). 이 결과를 통해서 전통적인 회귀분석이 가장 많았지만 멀티레벨과 부트스트레핑 및 구조방정식 방법론을 활용한 연구도 일부 이루어졌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현실적으로 모든 조직구성원들이 리더가 될 수는 없지만 성공적인 팔로워는 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효과적인 조직성과 달성을 위해서 리더의 중요성 못지않게 팔로워의 중요성도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본 리뷰 논문이 팔로워십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Followership has recently drawn attention from the fields of both academia and business as effective leadership is directly linked to the attitudes and behaviors of workplace followers. The variety of followership concepts and lack of empirical research are interesting and ironic gaps in followership literature. These gaps have made it difficult for followership researchers to define followership and to conduct empirical research. This study reviews the trends of followership literature and presents a comprehensive overview of empirical research published between 1988 and 2015. We included 88 articles out of 920 literatures and categorized our findings by six criteria: 1) paper type, 2) perspective, 3) research theme, 4) research purpose, 5) data collection method, 6) data analysis approaches. From these findings we describe anticipate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on followership, and discuss the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 KCI등재

        교회 리더십 형성과 팔로워십의 상관관계 연구

        조성호 한국실천신학회 2014 신학과 실천 Vol.0 No.42

        본 논문은 리더십 연구방식에 중요한 변수로 등장한 팔로워십(followership) 연구 가 지니는 신학적 가치와 의미, 실제적 적용 가능성을 탐구하려는 의도로부터 시작되 었다. 이런 의도는 기본적으로 리더십에 대한 접근방식이 과거의 개인 중심적 시각에 서 집단의 구성원 전체와 주변 정황을 염두에 둔 통전적인 방향으로 전환된 사실에 주목한 결과이다. 또한 리더십을 구성하는 핵심요소가 효율성으로부터 윤리성의 강화 로 전환된 점도 중요한 연구의 동기로 작용했다. 따라서 본고는 리더십 연구의 영역 확대를 처음부터 염두에 두고 진행되었으며, 팔로워십과 리더십을 이분법적으로 구별 하는 시각을 의도적으로 지양했다. 리더십과 팔로워십의 이분법적 단절의 거부와 양 자의 유기적 융합을 추구한 이유는, 이론적 정당성 이외에 실제 교회현장에서 벌어지 는 다양한 변화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결과이다. 구성원들과의 연계를 배제한 교회 지도자는 점차 상상할 수 없는 대상이며, 협업체제는 신학적 정당성은 물론 현실의 요청에 의해 더욱 강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본고는 우선 팔로워십의 등장배경과 전개과정 자 체를 설명하고 그 내용이 리더십 이론의 재정립에 미친 영향과 의의를 서술함으로써, 양자가 상호보완적 역할을 수행해야할 당위성을 피력할 것이다. 그리고 그런 리더십과 팔로워 십의 연결 작업이 한국교회의 현실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점검하면서, 한국교회 현실에 적합한 잠정적 결론을 제안하는 방향을 추구할 것이다. 비록 본고에 서 다룰 리더십과 팔로워십의 내용이 리더십과 관련한 모든 내용을 수용하거나 한국 교회의 리더십 위기를 타개하는 유일한 처방을 제공할 수 없지만, 하나의 잠재적 가 설을 제공하는 점에 의의를 부여하고 싶다. This study is to begin from the intention of explore the theological value and practical possibility of application upon followership emerged as a pivotal variable in the study of leadership. This result is from the fact that the access style to leadership has changed from leader-centered methodology in the past to collateral direction including inner followers and surrounding context. And the fact that the core element of leadership formation has been moved from efficiency to ethic became another important motive on followership study. So, this study was to begin with the intention of expansion of leadership study’s area from the beginning and the dualistic perspective between leadership and followership was excluded on purpose. The reason of intentional denial regarding a dualistic separation between leadership and followership and attempt to build up an organic mutuality of each other were based on the assurance of theoretical appropriateness and active embracement of various changes in real situation of ministry. That is because the church leaders who lacks of the cooperation with their followers are unimaginable and it is obvious for their system of cooperation to be strengthened by theological vindication and practical request. To do this task effectively, this study will be briefly dealing with historical background and evolutionary process of followership at the first part. Then, the necessity of mutual influence between leadership and followership will be explained by describing effect and meaning through the flow of followership in relation to reestablishment of leadership theories. And there will be an analysis of possibility whether a connective work between leadership and followership can make any difference in the context of the Korean churches with a suggestion of potentially apparent conclusion applicable to the Korean churches. Although the contents in this study cannot cover everything about leadership and followership and it cannot be the sole response to the crises of the contemporary Korean churches, a suggestion of one possible answer among many other resolutions will have enough meaningfulness for further study.

      • KCI등재

        국내 대기업 조직구성원의 팔로워십 역량 도출 및 역량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김희봉 ( Hee Bong Kim ),송영수 ( Young Soo Song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3 HRD연구 Vol.15 No.3

        최근 팔로워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지만 조직에서 요구하는 팔로워십 역량을 실증적으로 제시하거나 조직구성원들이 인식하고 있는 팔로워십 역량 및 팔로워십 개발 등과 관련된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리더십 및 HRD 전문가들의 의견을 조사하여 기업 내 조직구성원들에게 요구되는 팔로워십 역량을 도출하고 역량에 대한 중요도를 산출함으로써 팔로워십 역량을 기반으로 한 기업 내 조직구성원의 인적자원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FGI 그리고 3차에 걸친 델파이조사를 통해 팔로워십 역량을 도출하고 계층화분석방법(Analytic Hierarchy Process)으로 역량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 팔로워십 역량은 지식, 기술, 태도 등 3개 영역과 조직목표이해, 업무전문성, 혁신적 사고, 문제해결력, 협력, 대인관계, 의사소통, 열정, 정직성, 신뢰성, 책임감, 주인의식 등 12개의 팔로워십 주요역량 그리고 주요역량별 39개의 세부역량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AHP분석 결과 팔로워십 역량의 종합중요도 측면에서 볼 때 팔로워십 영역에서는 태도가 가장 중요한 역량으로 분석되었으며 팔로워십 주요역량 중에서는 신뢰성이 중요한 역량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팔로워십 세부역량 중에서는 리더 신뢰가 가장 중요한 역량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학문적 측면에서 팔로워십에 대한 실증연구를 통해 인적자원개발의 영역을 팔로워에게로 확대시킴은 물론, 팔로워십에 대한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연구방법론적 측면에서 FGI, 델파이조사, AHP 등 다양한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연구에 타당도를 높였다. 또한 실용적 측면에서 조직구성원들이 팔로워로서의 역할 수행을 위한 구체적인 역량을 제시하고 기업교육에서 팔로워십 역량을 적용해 볼 수 있는 기반을 제공했다는 의의를 둘 수 있다. Recently, importance of followership has been increasing. However the studies and researches regarding followership are limi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and guidelines for HRD organizations and employees who need to develop followership competencies in the large Korean enterprises through analyzing and identifying relative importance of followership competencies. Major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followership competencies in large Korean enterprises? Second, what are the more relatively important followership competencies to cultivate their employees? To find out the results, competency modeling has been conducted to identify followership competencies through literature review, open-ended questionnaire, FGI, Delphi survey technique and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2 major competencies within 3 domains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are identified such as understanding organizational achievement goal, job specialty, innovative thinking, problem solving, collaboration, interpersonal skill, passion, integrity, trust, responsibility and task ownership. In addition, 39 sub followership competencies are identified. Attitude domain is the most critical one through AHP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method. Trust is the most important competency in the 12 competencies. Among the 39 sub competencies, trust on leaders is identified as the most critical one. Based upon all the result above, implications can be provided as follows; first, to pursue effective followership, followers should believe their leaders. On top of that, we need to develop followership competencies for sustainable growth of enterprises. In sum,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developing proper followership competencies in large Korean enterprises and to understand followership in other organizations.

      • KCI등재

        팔로워십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최준원,권성우 한국기업경영학회 2014 기업경영연구 Vol.21 No.6

        Both leadership and followership are important for the success of the enterprises. However followership studies have been relatively weak compared to leadership studies. Furthermore, many followership studies in Korea have been dependent on Kelley’s followership scale which was developed and validated in the United Sta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acilitate diverse viewpoints and research discussions for followership studies in Korea by developing new followership scale based on Korean employees. The study is composed of literature review and two stages of empirical analysis. The literature reviews cover followership definition, proposed followership competencies and core concepts of major followership studies. In many leadership studies, follower has been granted as same concept of subordinate and followership as a concept which is related with specific position in the hierarchical structure. Recently, however, follower and followership are granted as concepts which are based on the relative role in the each interpersonal interaction. According to this viewpoint, leadership and followership are flexible role-based concepts which are both important to create organizational performance. Considering both leadership and followership are important for organizational performance, current sluggish study of followership is not desirable. By followership scale development, this study intends to promote more active research about followership and contribute more balanced approaches to organizational studies considering both leadership and followership. Empirical studies are composed of panel study by Delphi method and quantitative study by survey method. Delphi method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selecting major followership competencies which were put into quantitative scale development afterward. Through repeated assessment by the panel, 9 major competencies were selected. For quantitative study, 44 items for 9 competencies were developed and measured by web-based surve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89 employees in several companies based in Korea. Furthermore, 373 responses were put into analysis after filtering out inappropriate responses. Throug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38 items for 7 core followership competencies were identified. The new followership scale was found to be stable by verification of measurement equivalence including configural invariance, metric invariance and scalar invariance. Construct validity was also supported by verification of converg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nomological validity and incremental validity. Followings are theoretical contributions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First, the new followership scale was developed based on Korean employees working with local enterprises while many followership studies have been dependent on Kelley’s scale which was developed and validated in the United States. Through incremental validity analysis, the new followership scale proved to have significant incremental ability to predict some importan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variables after statistically controlling Kelley’s scale. Second, new followership scale encompasses a wide range of competencies. Viewpoints and discussions of previous studies which used Kelley’s scale had some limitations due to simple dimensions of the scale. Although usefulness of the scale cannot be determined by the range of the scale, this new scale at least expand the base for the followership research and discussions. Third, new scale tried to focus on unique followership competencies while many previous studies didn’t care much about differentiation between followership and leadership competencies. This is important to strengthen base for followership study considering that organizational studies by leadership viewpoints have been more vigorous than by followership viewpoint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survey data was collected by conven... 기업의 성공을 위해서는 조직 구성원들의 리더십과 함께 팔로워십도 중요한 요인이다. 그러나 팔로워십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리더십 대비 크게 부진한 상황이다. 특히, 국내의 팔로워십 연구는 고유의 관점을 제안하는 연구가 많지 않은 가운데 미국기업을 기반으로 개발된 Kelley(1992)의 척도를 활용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어 왔다. 본 연구는 국내 기업의 구성원을 기반으로 신규 팔로워십 척도를 개발함으로써 팔로워십에 대한 보다 다양한 관점과 논의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팔로워십 측정문항들을 개발한 후 설문을 통해 측정한 373부의 표본을 대상으로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주도적 책임수행, 상생, 진정성, 직무열의, 조직제도 순응, 업무능력, 성실성 등의 7개 팔로워십 역량을 측정하는 38개 문항이 확정되었다. 개발된 척도에 대해 측정동일성 검증을 시행한 결과 형태동일성, 메트릭동일성, 절편동일성 등이 수용됨으로써 기업 구성원의 팔로워십 측정에 활용될 수 있는 척도의 안정성이 확인되었다. 척도에 대한 수렴 및 변별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기존 팔로워십 척도와 유의한 수렴타당도가 나타났고, 과업수행, 맥락수행, 변혁적 리더십 등과는 유의한 변별타당도가 나타났다. 이어서 팔로워십 연구들이 준거변인으로서 검증해온 대표적 변인인 정서적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을 대상으로 법칙 및 증분타당도를 검증한 결과가 유의하게 나타남으로써, 개발된 척도가 주요 조직 변인을 설명 및 예측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연구과제 등에 대하여 논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팔로워십 유형화 및 각 유형별 특성 분석

        최준원 한국기업경영학회 2018 기업경영연구 Vol.25 No.6

        Based on my previous study of proposing new followership concept which is composed of seven factors and literature review about followership, this study investigated some research problems as followings: Research Problem1. Identifying followership types based on factor scores of seven followership dimensions. Research Problem2. Comparing the levels of seven followership factors among identified followership types. Research Problem3. Identify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each followership type. Research Problem4. Predicting the job satisfaction by identified followership types. Research Problem5. Predicting the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identified followership types. The seven followership factors extracting from previous study were ‘active and responsible performance’, ‘symbiotic comradeship’, ‘job commitment’, ‘ethics and integrity’, ‘organizational rule conformance’, ‘job competency’, and ‘sincerity’. By using cluster analysis which is based on the factor scores, the respondents we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of followership. Those four types are ‘a man of self-assertion(Type 1)’, ‘truepenny without commitment(Type 2)’, ‘insincere conformist(Type 3)’, and ‘cooperative activist(Type 4)’. Cooperative activist type occupies the largest portion of 41.1% and insincere conformist type is the second largest type with 24.5%. Truepenny without commitment is 17.5% and a man of self-assertion type is 16.9%. Based on post-hoc analysis of ANOVA, some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four followership types for each followership factor were found out as followings.*** For ‘active and responsible performance’ factor, Type 1(b), Type 2(c), Type 3(b), Type 4(a) For ‘symbiotic comradeship’ factor, Type 1(c), Type 2(b), Type 3(b), Type 4(a) For ‘job commitment’ factor, Type 1(a), Type 2(b), Type 3(a), Type 4(a) For ‘ethics and integrity’ factor, Type 1(bc), Type 2(c), Type 3(ab), Type 4(a) For ‘organizational rule conformance’ factor, Type 1(d), Type 2(b), Type 3(a), Type 4(c) For ‘job competency’ factor, Type 1(ab), Type 2(ab), Type 3(b), Type 4(a) For ‘sincerity’ factor, Type 1(c), Type 2(a), Type 3(d), Type 4(b) Some differences of demographic composition were also found out among four followership types. For gender, level of education, and occupational group, no differences were found out among followership types. For age, the portion of 40s or higher is highest in type 4 while 20s and 30s are highest in type 2. For position****, each followership type shows different aspects as followings. For type 1, the portion of lowest position(27.0%) and the portion of highest position(27.0%) among 5 positional categories occupy the majority. For type 2, the portion of lowest position(29.2%) and the portion of second lowest position(24.6%) occupy the majority. Type 3 is mainly composed of middle positions including manager and senior manager(51.6%). The positional composition of type 4 is most evenly distributed among all types with 4 out of 5 positions occupies around 21% ~ 24% each. For years of employment(including previous career in other companies), each followership type shows different aspects as followings. For type 1 and 3, the portion is evenly distributed compared to other 2 types. For type 2, the portion of 10 years or less occupies 67.7%. For type 4, the portion of 16 years or higher is the majority with 35.3%. Through the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s with 7 factor scores as independent variables predicting criterion variables of job satisfaction and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majority of factors are found to significantly explain the two criterion variables. Based on anothe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ich put 4 followership types with dummy variable type as independent variables, type 4 is found to be significantly satisfied with their jobs and more affectively committed with their organizations co... 본 연구는 저자가 한국 기업 구성원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팔로워십의 구성요소로서 주도적 책임수행, 상생, 직무열의, 진정성, 조직제도 순응, 업무능력, 성실성 등의 일곱 개 요인들을 규명했던 연구를 발전시켜 동 데이터를 활용한 추가적인 분석을 통해 팔로워십의 유형화를 시도한 연구이다. 즉, 팔로워십의 일곱 개 요인점수를 활용한 군집분석을 통해 팔로워십의 주요 유형을 도출하였고, 도출된 팔로워십 유형들의 특성을 규명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군집분석을 통해 도출된 팔로워십의 유형은 독불장군형, 타성적 성실형, 불성실한 순응형, 협력적 조직주도형 등의 네 가지이다ㅏ. 두 번째로, 도출된 팔로워십 유형들간에 각 팔로워십 요인들의 수준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일원분산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협력적 조직주도형이 타 유형들 대비 주도적 책임수행 역량이 유의하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기타 역량들도 유형간에 다양한 차별적 양상이 나타났다. 세 번째로, 도출된 네 가지 팔로워십 유형과 응답자들의 인구통계적 특성간의 독립성 검증을 실시한 결과 연령, 직급, 근속연수 등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네 번째로, 각 팔로워십 유형별로 직무만족과 정서적 조직몰입의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협력적 조직주도형이 타 유형들 대비 직무만족에 대한 영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정서적 조직몰입의 경우에는 협력적 조직주도형과 불성실한 순응형이 나머지 두 가지 유형들보다 강한 영향이 나타났다. 상기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시사점, 한계, 그리고 향후 연구방향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팔로워십을 활용한 리더십 교양교육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비교과 프로그램으로의 접근 사례

        장제욱(Chang, Je-Wook)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6

        이 연구의 목적은 교양교육에 있어 팔로워십 연구 및 교육 동향, 그리고 리더십 교육과의 연계필요성을 확인하고, 팔로워십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향후 유관 분야 교육과 연구 방향 설정에기여하는 것이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팔로워십과 리더십의 연계성을 확인할수 있는 선행연구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사회수요를 반영하여 기존에 전문가들이 검증해 놓았던팔로워십 역량항목 자료들을 수집해 분석의 기초로 삼았고, 추가적으로 리더십 교양 수업 참여 학생들을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잠재적인 필요역량을 추가하여 분석도구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다음과 같다. 첫째, 팔로워십이 리더십 교육을 보완하는 콘텐츠가 될 수 있으며 대학교양교육에 충분히활성화시킬만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K 대학생들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5가지 팔로워십 역량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팔로워십 관련 비교과 프로그램이 리더십 교양교과목의 핵심역량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팔로워십을 접목시킬 수 있는 다양한 분야에추가적인 비교과 프로그램 지원 필요성도 절감하였다. 아울러 교양교육에 있어 팔로워십의 교육 효과성을 확산시키기 위해 졸업생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다양한 연구 방법들을 적용해 볼 필요가 있음을강조하고, 팔로워십 관련 비교과 프로그램의 경우 향후에는 학습자들의 역량수준과 팔로워십 향상목적(자기주도적 대학생활, 팀워크 발휘, 사회진출 준비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운영함이 필요함을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necessity of linking “followership” research and educational trends with leadership education in liberal arts education, and to contribute to future education and research direction through followership programs and the operation of non-subject educational programs. In order to solve the research issue, first, previous studies that can confirm the connection between followership and leadership through literature research were examined. In addition, followership competency items verified by experts were collected and used as the basis for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additionally conducted with students participating in leadership and liberal arts classes to add potential necessary competenci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confirmed that followership programs can serve to complement leadership education and are already sufficiently active in university education. Second, we were able to confirm five followership competencies that K university students thought were of primary necessity. Third, we found that followership-related programs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enhancing the core competencies of leadership and liberal arts subjects. Fourth, we realized the keen necessity of adding additional non-subject educational program support in various fields that can incorporate followership programs. Lastly, we learned of the need to apply various research methods to graduates and enrolled students in order to spread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followership programs in liberal arts education, and suggested that followership-related non-subject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fully considered and operated in the future.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임파워먼트, 팔로워십, 학교조직몰입 및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관계

        강경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00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6 No.2

        이 연구에서는 유치원 교사의 임파워먼트, 팔로워십, 학교조직몰입 및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는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임파워먼트, 팔로워십, 학교조직몰입 및 학교조직효과성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임파워먼트, 팔로워십, 학교조직몰입 및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영향 관계를 설명하는 가설적 경로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고자 공분산구조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설적 경로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임파워먼트는 학교조직효과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교사의 팔로워십과 학교조직몰입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의 팔로워십과 학교조직몰입은 교사의 임파워먼트가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적인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그 중에서 교사 팔로워십을 통한 매개효과가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kindergarten teacher's empowerment, followership, school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correlations of these four variables and the effects of kindergarten teacher's empowerment, followership, and school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eacher's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ere also analyzed. The study verified the hypothetical path model, and examine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kindergarten teacher's empowerment on teacher's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re a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empowerment, followership, school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t was found that kindergarten teacher's empowerment affects followership and school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at teacher's followership serves as a positive mediator to the effects of teacher's empowerment on teacher's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