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파킨슨병 환자의 낙상과 비-낙상에 대한 통합형 파킨슨병 평가척도(Unified Parkinson’s Disease Rating Scale)의 비교

        이수영,황수진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파킨슨병 환자를 대상으로 최근 12개월 동안 낙상에 대한 경험이 통합형 파킨슨병 평가척도의 ‘운동검사’ 항목의 점수에 차이를 주는지 알아보고, 통합형 파킨슨병 평가척도의 ‘운동검사’ 항목을 이용하여 파킨슨병 환자의 낙상을 예견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함이었다. 연구 대상자는 특발성 파킨슨병 환자로 진단받은 31명의 환자로 최근 12개월 동안 낙상에 경험이 있는 환자는 15명(낙상군) 이었으며, 경험이 없는 환자는 16명(비-낙상군) 이었다. 연구결과 낙상군이 비-낙상군에 비하여 통합형 파킨슨병 평가척도의 ‘운동검 사’ 항목의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통합형 파킨슨병 평가척도의 ‘운동검사’ 항목이 낙상을 예견하는데 적합하고 타당한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는 버그균형검 사와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통합형 파킨슨병 평가척도의 ‘운동검사’ 항목은 파킨슨병 환자의 낙상을 예견하는데 적절한 평가도구로 사료되 며, 파킨슨병 환자가 낙상을 경험하기 이전에 낙상위험을 예견하는데 적절히 활용할 것을 제언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f falls experience on scores of unified Parkinson’s disease rating scale-motor examination (UPDRS-UM)in individuals with Parkinson’s disease for predicting fall risks. A total of 31idiopathic Parkinson’s disease patients (15 of falls group, 16 of non-falls group)were recruited from four public local centers in this study. The UPDRS-UM and Berg balance test (BBT) were assessed in this study. The scores of UPDRS-UM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falls group compared to that non-falls group. The UPDRS-UM showed a good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BB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UPDRS-UM is one of good predictors of falls risk in individuals with Parkinson’s disease, and the UPDRS-UM will use for predictor of fall risk for Parkinson’s disease.

      • KCI등재

        파킨슨병 환자의 음성강도 및 청성유발반응 특성

        최철희,박채림,최성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4 No.4

        배경 및 목적: 파킨슨병은 감각과 운동의 통합능력 저하로 야기되는 만성 퇴행성 질환으로 자신의 음성강도를 조절하는데 어려움을겪는 감각장애이다. 본 연구는 파킨슨병이 청각의 말초와 중추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및 음성강도와 청성유발반응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총 24명(파킨슨병 환자군 12명과 정상대조군 12명)을 대상으로 순음청력검사 및 청성유발반응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소음계를 사용하여 모음 /ㅏ/ 연장 발성과 표준 문단 ‘가을’ 문장 읽기 시 음성강도를 측정하였다. 청력검사는 순음청력검사기를 사용하여250에서 8,000 Hz의주파수영역에서청력역치를측정하였으며, 청성유발반응은청성뇌간반응, 청성중기반응및청성후기반응을측정하였다. 결과: 순음청력결과, 파킨슨병 환자군의 청력역치는 정상대조군보다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음성강도는 파킨슨병 환자군의 평균 음성강도가 정상대조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았다(p<.05). 한편, 파킨슨병 환자군의 청성중기반응의 Na, Pa, Nb의 잠복기는 정상군보다 유의미하게 지연되었다. 또한, 파킨슨병 환자군의 Na-Pa의 파간 진폭이 유의미하게 낮았다. 청성후기반응은 파킨슨병환자군과 정상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파킨슨병 환자의 음성강도는 청성뇌간반응 Wave III의 잠복기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파킨슨병의 환자의 음성 강도가 작을수록 Wave III의 잠복기도 지연되었다. 논의 및 결론: 전기생리학적 검사는 파킨슨병환자의 감각기능이상과 관련된 임상적으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주었으며, 파킨슨병 환자군의 낮은 음성강도는 말초청각기능의 문제이상이아닌중추청각기능과관련이있으며, 감각조절의기능문제로발생함을시사한다.

      • 파킨슨병 환자에서의 우울증상

        이문숙,양창국,한홍무,김재우,Lee, Moon-Sook,Yang, Chang-Kook,Hah, Hong-Moo,Kim, Jae-Woo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3 정신신체의학 Vol.11 No.1

        연구목적: 파킨슨병 환자에서 다양한 정신증상이 동반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우울증상의 동반율이 매우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 특히 파킨슨병은 완치가 어렵고, 치료의 초점이 질병의 진행 억제나 증상의 완화에 있기 때문에 파킨슨병 환자에서의 우울증상에 대한 관심과 치료는 중요하다. 본 연구는 통원치료 중인 파킨슨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파킨슨병 관련 임상요인들과 우울증상 사이의 관련성을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 및 방법: 일 대학교병원 신경과 파킨슨병 클리닉에서 특발성 파킨슨병으로 진단 받고 치료중인 환자들 중 본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11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일반적인 인구통계학적 자료, 파킨슨병 관련 자료[발병연령, 치료약물 용량, 임상양상, Hoehn과 Yahr의 단계(Hoehn and Yahr stage, H&Y stage), 일상생활 평가척도(Modified Schwab and Engl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파킨슨병 환자의 삶의 질 설문지(Parkinson's Disease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PDQL), 스필버그 상태/특성 불안척도, 간이정신 검사 등을 조사하였고, 우울증상의 평가는 Beck 우울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를 이용하였다. 결 과: 대상군의 평균 연령은 $60.4\pm7.1$세(범위:34-73세)였고, 남성이 56명(47.5%), 여성이 62명(52.5%)이었다. 대상군은 BDI 점수에 따라 비우울군 39명(33.1%), 경도 우울군 15명(12.7%), 중등도 우울군 16명(13.6%), 중증 우울군 48명(40.7%)으로 분류되었다. 파킨슨병 환자의 우울증상은 H & Y stage(r=0.34, p<0.001) 및 파킨슨병 증상의 정도(r=0.35, p<0.001), 스필버그 특성 불안 척도(TAI)(r=0.33, p<0.001)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교육정도(r=-0.34, p<0.001), ADL(r=-0.37, p<0.001), PDQL(r=-0.69, p<0.001)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도구 중 우울증을 예측하는데 가장 의미있는 척도는 PDQL(p<0.005)이었다. 결 론: Beck 우울척도를 이용한 평가에 의하면 본 연구 대상 환자 118명 중 79명(67%)이 주관적인 우울증상을 호소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파킨슨병 증상이 심할수록, 그리고 H & Y stage가 높을수록 우울증상이 심각함을 보여준다. 또한 BDI 점수가 높을수록 일상생활에서의 활동에 제한이 많으며, 삶의 질이 저하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파킨슨병 환자의 신체증상에 대한 치료 이외 우울증상에 대한 정신의학적 관심과 치료가 중요함을 뒷받침한다.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1)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2) the severity of depressive symptoms, 3) the correlation of depressive symptoms with clinical variables, and 4) factors that contribute to depressive symptoms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Methods: One hundred eightee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referred from the Parkinson's Disease Clinic of Dong-A University Hospital, Busan, Korea, complete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package, which included basic demographic data,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the Parkinson's disease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the Symptom Checklist-90-Revision(SCL-90-R), and the Spielberger's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In addition, a structured interview and a complete neurological examination, including the Hoehn and Yahr stage, the motor part of the Unified Parkinson's Disease Rating Scale(some selected scales of UPDRS part III), the Schwab and Engl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ale(ADL), and the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were performed. Results: 1) Based on BDI score, subjec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severely(40.7%), moderately(13.6%) and mildly(12.7%) depressive and non-depressive(33.1%). 2) The severity of depressive symptom in Parkinson's diseas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oehn and Yahr(H & Y) stage(r=0.34, p<0.0001), the severity of motor symptom(r=0.35, p<0.0001), and trait anxiety inventory(r=0.33, p<0.001). On the other hand, the severity of depressive symptom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educational level(r=-0.34, p<0.001), ADL(r=-0.37, p<0.0001) and Parkinson's disease quality of life (PDQL)(r=-0.69, p<0.0001). Among several clinical variables, the PDQL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predicting whether the depressive symptom was present or not.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depressive symptom is very prevalent among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Data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medical staffs who take care of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should pay attention to finding and treating depressive symptom among their patients. With appropriate psychiatric intervention, patient's depressive symptom can be minimized or alleviated and thus, the quality of life in these patients is likely enhanced.

      • KCI등재

        한국어판 파킨슨병 삶의 질 축약형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김세현 ( Sehyun Kim ),박혜자 ( Hye-ja Park ),박민정 ( Min Jung Park ),김현숙 ( Hyun Sook Kim )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구 한국보건통계학회) 2020 보건정보통계학회지 Vol.45 No.2

        목적: 파킨슨병 환자를 위한 건강관리 전략을 개발하고 증진하는데 건강 관련 삶의 질 측정은 매우 중요하다. 8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파킨슨병 삶의 질 도구(PDQ-8)는 39개 항목으로 개발된 파킨슨병 삶의 질 도구(PDQ-39)의 축약형으로 파킨슨병 환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하는데 유용하다. 본 연구는 한국어판 축약형 파킨슨병 삶의 질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고자 한다. 방법: 80명의 파킨슨병 환자가 자가보고형으로 PDQ-39와 PDQ-8 설문지에 무작위 순위로 응답하였다. PDQ-39 응답점수와 PDQ-8 응답점수를 이용하여 건강상태지수를 환산하였다. 파킨슨병 중증도 점수, 운동능력, 간이정신건강, 몬트리올 인지평가, 임상치매척도, 국제치매척도를 이용하여 임상지표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축약형 파킨슨병 삶의 질 도구의 천장효과 2.5%와 바닥효과 1.3%는 적절하였고 내적일관성 신뢰도 계수(α = 0.88), 문항-총점 상관계수(0.48-0.77), 카파상관계수 0.53은 적절하였다. 축약형 파킨슨병 삶의 질 문항은 하나의 요인에 적재되었고(고윳값= 4.35, 분산설명력 =54.51%) 요인적재량은 만족되었으며(0.585-0.847), 확인적요인분석의 모형은 적합하였다(GFI= 0.932, NFI= 0.914, TLI= 0.973, IFI= 0.981, CFI= 0.981, RMSEA= 0.056). 축약형 파킨슨병 삶의 질 도구는 문항 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p <0.05), PDQ-8 건강상태지수는 PDQ-39 건강상태지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r= 0.91, p <0.001) 수렴타당도는 만족되었다. 축약형 파킨슨병 삶의 질의 건강상태 지수는 레보도파민 복용량(r= 0.28, p = 0.028), 파킨슨병 중증도(r= 0.44, p = 0.001), 운동능력(r= 0.45, p = 0.007), 간이정신검사(r=-0.28, p = 0.047), 몬트리올 인지평가(r=-0.49, p = 0.006), 임상치매척도(r= 0.33, p = 0.025), 국제치매척도(r= 0.40, p = 0.007)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준거타당도를 만족하였다. 결론: 한국어판 축약형 파킨슨병 삶의 질 도구는 파킨슨병 환자가 지각하는 건강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도구로 간호실무와 연구 수행에 유용한 도구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Parkinson’s disease questionnaire (PDQ-8) using a standard short-form validation approach. Methods: This cross-sectional psychometric study evaluated 80 outpatients with PD who completed the Korean 39-item Parkinson’s disease questionnaire (PDQ-39) and PDQ-8 tools in random order. The summary index (SI) was calculated for the PDQ-39 (PDQ-39SI) and PDQ-8 (PDQ-8SI). A neurologist performed evaluations using the Hoehn and Yahr (HY) scale, unified Parkinson’s disease rating scale (UPRDS motor),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MoCA), the clinical dementia rating (CDR), and global deterioration scale (GDS). Results: The PDQ-8SI exhibited appropriate floor effect (2.5%) and ceiling effect (1.3%), with acceptabl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Cronbach’s α=0.88), item-total correlations (0.48-0.77), and inter-rater reliability (Kappa coefficient=0.53). The PDQ-8 loaded one factor (Eigen value=4.35, 54.51% of the variance) and had broadly similar factor loadings (0.585-0.847). The PDQ-8 had mostly goodness of fit (GFI=0.932, NFI=0.914, TLI=0.973, IFI=0.981, CFI=0.981, and RMSEA=0.056). The PDQ-8SI and PDQ-8 items exhibited good correlations with each other (all p<0.05) and the PDQ-39SI (r=0.91, p<0.001). The PDQ-8SI was correlated with levodopa dose (r=0.28, p=0.028), HY score (r=0.44, p=0.001), UPRDS motor (r=0.45, p=0.007), MMES (r=-0.28, p=0.047), MoCA (r=-0.49, p=0.006), GDS (r=0.33, p=0.025), and CDR (r=0.40, p=0.007),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PDQ-8 appears to be reliable and valid. It may be useful for quickly and easily evaluating the patient’s perspectives regarding the disease’s impacts, which may guide nursing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 KCI등재

        파킨슨병 환자의 유형별 외적 신호의 제공에 따른 협응 운동 수행력의 차이 연구

        정용주 ( Yong Ju Jung ),노진주 ( Jin Ju No ),김용현 ( Yong Hyun Kim ),박진훈 ( Jin Hoon Park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0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1 No.4

        외적 신호(external cue)의 제공은 파킨슨병 환자들의 운동 이상 증상을 완화시켜 수행의 향상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파킨슨병으로 진단은 받았으나 아직 어떠한 약물 치료도 받지 않은 초기(de novo) 파킨슨병 환자들(n=10)과 5년 이상 약물복용의 경험이 있는 중등도 파킨슨병 환자들 (n=10)을 대상으로 양팔 협응 움직임을 수행하는 동안 외적 신호의 제공 유무에 따라 양팔의 협응 수행능력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반대 위상 조건에서 외적 신호를 제공해 주었을 때 정상인 집단과 초기 파킨슨병 집단은 양팔 협응의 상대적 위상 오차값이 감소되어 수행의 향상을 나타내었으나 중등도 파킨슨병 집단의 경우 수행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협응동작 과제에서 양팔을 사용하여 비대칭적 동작을 수행하게 한 반대 위상 움직임과 같이 과제의 복잡성이나 난이도가 증가한 상황에서는 약물을 5년 이상 복용한 중등도 파킨슨병 환자의 경우 외적 신호의 제공이 수행 능력에 그리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외적 신호의 제공에 따른 동작 속도나 거리 조절 능력의 변화는 두 파킨슨병 집단 모두에게 나타났으나, 동작의 연속성 측정에서는 중등도 파킨슨병 환자 집단에서만 이상 증상의 완화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외적 신호의 제공에 따른 파킨슨병 환자의 운동 수행의 변화에 대한 기전을 밝히고 이를 근거로 실제적인 측면에서 파킨슨병 환자들의 진단과 치료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It has been suggested that external cues induce a marked improvement in motor performance by reducing movement disorders due to Parkinson`s disease (P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xternal cues on the performance of upper-limb bimanual coordination movements using 10 PD patients in advanced stages and 10 early stages of untreated PD patients, and 10 age-matched normal control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normal controls and de novo PD patients exhibited an improved synchronized coordination during the anti-phase mode, while there was not much changes in relative phase for advanced PD patients in the presence of external cues. This fact indicates that in case of advanced PD patients who have taken anti-Parkinson medicine for more than 5 years their performance was not greatly influenced by external cues when the task complexity or difficulty is elevated such as unsymmetrical anti-phase movements. Enhancement in movement speed and amplitude control was observed in both PD groups. However, movement harmonicity was shown improved only in advanced PD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might help understanding the underlying mechanism for the positive effects of external cues on the patient`s capability and could be utilized as a basic index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for PD patients from the practical standpoint.

      • KCI등재

        파킨슨병에서 감각증상과 신경생리검사와의 연관성

        조아라,송인욱,김영도,정성우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10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1 No.4

        연구배경: 특발성 파킨슨병은 기저핵을 침범하는 신경퇴행성 질환으로써 말초신경은 보존된다고 생각되어 있다. 또한 말초신경병증과 파킨슨병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도 매우 적은 실정이다. 하지만 최근 통증, 저린 감각을 포함한 애매모호한 감각증상을 파킨슨병의 환자의 40%에서 70%까지 호소하는 비운동성 증상의 하나로 인지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본 저자들은 전기생리검사를 통하여 파킨슨병에서의 감각 증상이 말초신경병증과 관련 있는지에 대해 명확히 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통증, 저린 감각 그리고 감각둔마 같은 애매모호한 감각증상을 가진 파킨슨병 환자 25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모든 파킨슨병 환자의 운동의 심한정도는 modified Hoehn and Yahr Stage (H & Y Stage)로 평가하였고, 말초신경병증의 동반여부를 명확히 하기 위해 전기생리검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운동증상의 심한 정도에 따라 두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즉 I군은 H & Y stage I 또는 II로 평가된 환자들로 구성하였고 II군은 H & Y stage III 또는 IV으로 평가된 환자들로 구성하여 말초신경병증과 파킨슨병의 심한정도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신경전도 검사상에서는 본원 정상수치보다 자신경의 감각 신경의 진폭의 저하와 장딴지 신경의 신경전도속도의 저하를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보였다. 파킨슨병의 운동증상의 심한 정도에 따른 비교는 I군과 II군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레보도파 용량에 따른 연관성에 대해서는 자신경의 운동신경 진폭과 장딴지 신경의 감각신경 속도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비정상 소견을 보였다. 결론: 신경생리검사를 시행하여 파킨슨병과 말초 신경병증의 연관성에 대해 분석한 본 예비 연구를 통하여 최근에 제안되고 있는 보고들처럼 항 파킨슨병 약물 중에서 레보 도파의 치료가 파킨슨병의 비운동성 증상의 일부로 설명되는 말초신경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바이다. Background: Idiopathic Parkinson’s disease (IPD) is a neurodegenerative disorder involving the basal ganglia and it is thought to spare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 And there is little evidence associating peripheral neuropathy and IPD in the current literature However, ambiguous sensory symptoms including pain and numbness have been a well recognized nonmotor manifestation of IPD that affect between 40% and 75% of patients during their illness. Thus, we invested to clarify association peripheral neuropathy and IPD associated with sensory symptoms by using electrophysiological tests. Methods: We recruited 25 patients with IPD associated with ambiguous sensory symptoms, such as pain, numbness and hypoesthesia. All IPD patients were performed modified Hoehn and Yahr Stage (H & Y stage) to evaluate severity of motor symptoms of IPD and electrophysiological tests to clarify presence of neuropathy. We also categorized all patients into 2 groups according to H & Y stage (group I=H & Y stage I and II; group II=H & Y stage III and IV) and analyzed correlation between severity of IPD and peripheral nerve disorder. Results: Nerve conduction tests of our study demonstrated abnormal findings on sensory amplitude of ulnar nerve and nerve velocity of posterior tibial motor nerve, significantly. Our study showed no association between electrophysiological findings and motor severity of Parkinson’s disease according to H & Y stage but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levodopa dosage and electrophysiological findings. Conclusion: In this study, we could show that IPD patents with sensory symptoms might have elelctrophysiological abnormalities and there was not association between motor severity and electrophysiological findings but association between levodopa dosage and electrophysiological findings. Therefore, we cautiously suggest that IPD is neurodegenerative disease involving peripheral nerve system as nonmotor symptoms, which was associated with levodopa dosage per day.

      • KCI등재

        청각신호가 특발성 파킨슨병 환자의 보행에 미치는 영향

        안창식,이성용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6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hythmic Auditory cue on the gait in individual Idiopathic Parkinson’s Disease (IPD). The objects were patients who were inpatients or outpatients due to Idiopathic PD at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section Physical Therapy of B hospital in Seoul. And we carried out the gait analysis by dividing them with two group. Patients group were 15 persons IPD, and Controls group were 12 age-matched healthy persons. Patients group divided two conditions : one condition had applied on the no cue and another had done rhythmic auditory cue. The gait analysis was used with VICON 512 Motion Analysis System.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about the effect of before and after applied on rhythmic auditory cue according to the Spatio-temporal, kinematic parameters. The results were First, about Spatio-temporal parameters the applied rhythmic auditory cue on the condition there was significant decrease double limb support and increase of stride length (p<.05). Second, at the kinematic parameters the applied rhythmic auditory cue on the condition had the significant decrease pelvic, hip, knee and ankle during the stance phase(p<.05). Third, at the kinematic parameters the applied rhythmic auditory cue on the condition had the significant decrease pelvic, hip, knee and ankle during the swing phase(p<.05). In conclusions, the use of rhythmic auditory cue on the gait in individual IPD patients improves gait pattern and performance. rhythmic auditory cue improved spatio-temporal parameter and kinematic parameters in patients with IPD. Therefore at the rehabilitation training of IPD patients rhythmic auditory cue would be used for recovery and gait reeducation, may arise through the patients functional ability. Clinical application of rhythmic auditory cue may be another model of rehabilitation programme for treatment of patients with IPD. 본 연구는 특발성 파킨슨병 환자의 보행에 청각신호의 적용이 보행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서울에 위치한 B병원에서 특발성 파킨슨병으로 진단받고 재활치료를 위해 입원하였거나 외래로 내원중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15명의 특발성 파킨슨병 환자(남=10, 여=5)로 보행능력에 장애가 없으며, 지속적으로 약물치료중인 환자들로 선정하였다. 대조군은 신경학적 과거병력이 없고 환자군과 나이, 신장, 연령이 비슷한 12명의 정상인(남=10, 여=2)으로 선정하였다. 파킨슨병 환자군은 무신호 보행분석과 청각신호 적용시의 보행을 VICON 512 Motion Analysis System을 사용하여 검사 및 분석 하였고, 보행특성중 시ㆍ공간적인 지표와 운동형상학적인 지표에 대해 청각신호의 적용 유무에 따라 비교 분석 하였으며, 대조군과 비교, 분석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파킨슨병 환자군에서 청각신호의 유무에 따라 시ㆍ공간지표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둘째, 파킨슨병 환자군에서 청각신호의 유무에 따라 입각기 최대각의 운동형상학적 지표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셋째, 파킨슨병 환자군에서 청각신호의 유무에 따라 유각기 최대각의 운동형상학적 지표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특발성 파킨슨병 환자의 보행시 청각신호의 적용 유무에 따라 시ㆍ공간적인면과 운동형상학적인면에서 모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파킨슨병 환자의 보행훈련시 청각신호의 사용은 보다 더 효과적이며 경제적인 보행능력을 증가시켜 파킨슨병 환자의 기능적인 측면과 일상생활 등에서의 수행력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파킨슨병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을 기대해 볼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가족성 파킨슨병의 원인 유전자

        설원기 대한정신약물학회 2008 대한정신약물학회지 Vol.19 No.1

        Extended treatment using specific medicines for Parkinson’s disease (PD) or psychotic disorders often induces symptoms related to psychotic disorders or PD, respectively. PD is the second most common neurodegenerative disease. Most cases of PD occur sporadically, but approximately 5–10% of cases are inherited as familial PD (FPD). Identification of the genes responsible for FPD, as well as their function, is essential to clarify the pathogenic mechanism of PD. Recent genomic analyses using samples obtained from patients with FPD have mapped 13 PARK loci and have identified SNCA, LRRK2, parkin, PINK1, DJ-1, ATP13A2 and UCHL1 as genes causing PD in those loci. This review discusses the results of recent studies on these PD genes. 파킨슨병이나 정신병성 장애 환자에서 특정 치료 약물의 장기적인 복용은 종종 각각 정신병성 장애나 파킨슨병 증세를 유발한다. 파킨슨병은 두번째로 많이 발병하는 퇴행성신경질환이다. 대부분의 파킨슨병은 산발적으로 생기지만 약 5-10%의 환자는 가족성으로 유전되어 나타난다. 파킨슨병의 병리학적 기작을 이해하려면 이들 가족성 파킨슨병 (familial Parkinson’s disease: FPD)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를 찾아내고, 그 기능을 밝히는 연구가 필수적이다. 가족성 파킨슨병 환자 시료를 사용한 최근의 유전체적 분석은 13개의 PARK 유전자자리를 염색체상에 지도화하였고, SNCA, LRRK2, parkin, PINK1, DJ-1, ATP13A2, UCHL1을 각 PARK 위치에 있는 파킨슨병 원인 유전자로 동정하였다. 이 종설은 이들 파킨슨병 유전자의 최근 연구 결과에 대해 고찰하였다.

      • KCI등재

        성별에 따른 파킨슨병 환자의 모음공간과 발화 포먼트 연구

        이인애,황영진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파킨슨병 환자와 정상노인의 모음공간과 발화 포먼트 간의 관계에 관한 것이다. 파킨슨병 환자 8명과 정상노인 24명의 음성을 음성프로그램 Praat(ver.5134)으로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해 세 가지의 연구 결과를 얻게 되었다. 첫째, 파킨슨병 환자 및 정상노인의 모음공간 면적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파킨슨병 환자와 정상노인의 발화 포먼트 비교결과 명령문의 경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파킨슨병 환자와 정상노인의 모음공간과 발화 포먼트를 비교한 결과, 정상노인 여성군을 제외한 나머지 그룹에서는 모두 모음공간 안에 명령문장을 포함시키지 못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vowel articulatory space and speech formant between Parkinson’s disease group and normal aging group. Also this study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owel articulatory space and speech formant. 32 subjects participated in study(8 subjects are Idiopathic Parkinson’s disease and 24 subjects are normal aging elders). The experimenter explained the subjects the experimental conditions and procedures and demonstrated the procedures, prior to the experiment. The Praat(ver. 5145) was used to record data and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difference vowel articulatory space and speech formant between Parkinson’s disease group and normal aging group were not significant. And the differences between comparison of speech formant of Parkinson’s disease group and nornal aging group, about imperative sentence were significant. lastly according to graph no. 3-3 to 3-6 about vowel articulatory space and speech formant, they are not including imperative sentence except control women group.

      • KCI등재

        Can Catechol-O-methyltransferase Inhibitor Prevent Polyneuropathy in Parkinson’s Disease?

        Hye-Young Jeong,In-Uk Song,Sung-Woo Chung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13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4 No.1

        연구배경: 다발성말초신경병증은 최근에 파킨슨병에서 높은 유병율을 보이고 있다. 파킨슨병에서 호모시스테인의 혈중농도는 레보도파의 치료로 인하여 증가될 수 있는데 이러한 레보도파의 대사는 COMT를 통해서 이루어 진다. 따라서 COMT 억제제를 통해 레보도파의 대사를 억제하면 호모시스테인의 혈중농도를 억제할 수 있어 이를 통해 파킨슨병에서의 다발성말초신경병증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으리라 생각되어 이 연구를 진행한다. 방법: 37명의 말초신경병증이 없는 파킨슨병환자와 41명의 다발성 말초신경병증을 가진 파킨슨병환자를 48명의 정상군과 비교분석 하였다. 모든 파킨슨병 환자군은 신경생리검사를 시행하였고, 모든 연구 참여군에게는 혈중 호모시스테인의 수치를 측정하여 각각의 군끼리 비교하였다. 그리고 COMT 억제제로 치료한 군과 사용하지 않은 군으로 파킨슨환자군을 나누어 혈중 호모시스테인농도와 말초신경병증여부를 비교 분석 하였다. 결과: 정상군과 말초신경병증이 동반되지 않은 파킨슨병군에 비해 호모시스테인 혈중농도는 다발성말초신경병증이 동반된 파킨슨병군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COMT 억제제를 사용여부에 따른 두군의 의미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 레보도파치료를 받은 파킨슨병 환자에서 혈중 호모시스테인의 수치가 정상군보다 증가된 소견을 보였으나 COMT 억제제는 파킨슨병에서 말초신경병증에 대한 의미 있는 영향력을 보여주지 못하였다. Background: Polyneuropathy has recently been described in higher proportions for Parkinson’s disease. The homocysteine (hcy) levels in PD treated with levodopa are thought to be elevated by increased synthesis from the metabolism of levodopa by COMT. It was thought that COMT-inhibitor (COMT-I) may reduce elevated hcy levels. We conducted this study to clarify that COMT-I on patients with PD is able to prevent occurrence of polyneuropathy in PD. Methods: 37-PD without neuropathy (PDWo) and 41-PD with polyneuropathy (PDP) were compared with 48 healthy controls. All PD patients performed electrophysiological tests. Plasma hcy levels were measured in all subjects and compared with each groups. And we evaluated to relate with hcy level and polyneuropathy in two groups of PD (levodopa-alone treated group and levodopa plus COMT-inhibitor treated group). Results: The hcy levels of PDP showed higher than those of PDWo as well as healthy controls. In regarding to effect of COMT-I, no correlation was found hcy levels in two subgroups in PD.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f COMT-I on occurrence of polyneuropathy in PD. Conclusion: Our findings agree with previous studies indicating that levodopa treatment in PD patients results in elevated hcy concentrations, whereas COMT-I show no preventive effect on involvement of peripheral nerve system in PD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