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럽과 미국의 티베트학(Tibetology), 성과와 과제

        김성수(Kim Sungsoo) 동북아역사재단 2018 東北亞歷史論叢 Vol.- No.60

        이 글은 최근 티베트에 대한 우리 사회의 관심에 부응하고자 근래 전개된 티베트학의 발전상을 서구학계를 중심으로 정리해본 것이다. 과거 티베트에서 진행된 불교의 토착화는 후기 인도 불교의 아류 내지는 변형으로 이해되어 왔다. 이러한 관점 아래 티베트 불교는 자연스레 동아시아 여러 국가에 전승된 대승불교와는 상당히 거리가 있는 별개의 것이라 여겨지곤 했다. 이러한 전통적인 관점과는 달리 실상 티베트는 후기 인도 불교가 직접 전래된 대승불교의 주요 전파지역이며, 티베트 불교계는 후기 인도 불교를 계승한 적장자로 자임하면서 12세기 이래 중앙아시아를 향한 불교 전파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했다. 최근 30여 년간 서구의 티베트학계가 중심이 되어 티베트 불교계에 대한 역사적 지위를 회복하려는 시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연구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자료를 축적하고 교육기관을 통해 연구자를 배출하는가 하면, 학회 활동을 통해 토론의 장을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서구 사회의 티베트학에 대한 학적 전통은 멀리 17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17세기 선교사의 활동에서 점차 확대되어 외교관, 탐험가, 학자, 인권활동가 등 약 4세기에 걸쳐 다양한 방면의 티베트학 종사자들이 관련 연구에 투신하였다. 중앙아시아를 향한 식민지 쟁탈과정에서, 또는 인도 불교 연구의 연장선상에서, 또는 중국학, 돈황학에서 변연을 넓혀온 서구학계는 점점 티베트의 방대한 문화 전통에 매료되기 시작했다. 중앙아시아학이 그러했듯이, 더욱이 그중 일부에 불과한 티베트학은 현재까지도 소수 학문에 불과하다. 그러나 인도와 중국이라는 오랜 전통을 자랑하는 정치, 문화 대국의 틈바구니에서 티베트적 전통을 계승하고 대승불교의 적통임을 자임했으며, 한때 중앙아시아의 몽골계 민족과 청조(淸朝) 지배층의 정신세계를 지배했던 티베트에 대한 관심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서구 사회의 티베트학을 한국학계에 소개하는 이번 작업 또한 이러한 국제 티베트학의 발전을 반영하는 것이다. Tibetology has Recently been noted more and more among the Korean academic sphere. Around the early 20th century, scholars who studied Indian Buddhism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ibetan Buddhism as a successor of Indian Buddhism. Especially after the Mongol invasion of the Tibetan plateau, Tibetan Buddhism spread through territories of the Mongol Empire. Thus there was established on the Tibetan Plateau a prominent academic and religious center for Buddhism. This phenomenon continued until the late 19th and the early 20th centuries in the Central Asian world, which included the Qing Empire. Depending on the Jesuit missionary, such as Antonio de Andrade (1580~1634), who traveled to northern India and the Himalayan area during the 17th century, European academies began contributing to establishing several centers for Tibetan Studies, including Tibetan Languages, History, Buddhism, and other fields. This academic tradition was followed by Kőrösi Csoma Sándor (1784~1842), Philippe Édouard Foucaux (1811~1894), F.W. Thomas (1867~1956), Jacques Bacot (1877~1965), Paul Pelliot (1878~1945), Marcelle Lalou (1890~1967), Louis De La Valleé Poussin (1869~1938), Giuseppe Tucci (1894~1984), and Rolf A. Stein (1911~1999). Following the end of World War Two, several prominent scholars in Central Asian Studies, such as Nicolas Poppe (1897~1991), joined to build the American academic base for Central Asian Studies, including Tibetan Studies at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And from the 1960s Tibetan political refugees such as Dezhung Rinpoche (1906~1987) became associated with education in the Tibetan language and Buddhism among American academies. This academic tradition of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was led by another European scholar, Leonard van der Kuijp, and moved to Harvard University in Cambridge, Massachusetts. Since the Csoma de Kőrös Memorial Symposium in 1976 had been held by Ligeti, a Hungarian Tibetologist, there have appeared several academic organizations for Tibetan Studies, such as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ibetan Studies (IATS) and the International Seminar of Young Tibetologists (ISYT). These dynamic activities in western academia led modern Tibetan Studies.

      • KCI등재

        티베트 불교와 ‘달라이 라마’의 역사정치학

        김석근(Kim Seog Gun)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5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4 No.2

        티베트 불교와 달라이 라마에 대해서 ‘역사정치학’적인 시각에서 접근하고자 하는 이글은, 다음과 같은 물음에 대해 답하고자 한다: 티베트 불교는 언제, 어떻게 성립했을까, 토착신앙으로는 어떤 것이 있었는가. 불교수용 과정에서 토착신앙과의 갈등과 습합 양상은 어떻게 전개되었는가. 그리고 달라이 라마 제도는 누가, 언제, 왜, 그리고 어떻게 만들었는가. 불교 도입 이전에 티베트에는 ‘본(Bon)’혹은 ‘본교’라 불리는 신앙체계가 있었다. 자연종교적인 성격이 강했던 ‘본’교와 사제로서의 샤만(사제자)은 일정한 정치적 위상을 지니고 있었다. 왕과 귀족들 사이의 정치적 대립과 갈등 구도 하에서, 불교는 새로운 정치이념으로서의 위상을 가질 수 있었다. 송첸감보(Srong-Btsam-Sgam-Po, 松贊干布)왕의 적극적인 후원에 힘입어, 불교는 티송데첸왕(Khri Srong Ide Brtsan)왕 대에 국교(國敎)가 될 수 있었다. 거시적으로 불교는 본교와의 대립, 갈등을 통해서 ‘불교의 티베트화’ ‘티베트의 불교화’가 이루어져 갔다. 민중 속으로 파고 들기 위해서 불교는 토착신앙의 많은 부분을 받아들였으며, 여러 자연신(신격)들을 ‘호법신중(護法神衆)’으로 받아들이기도 했다. 본교 역시 고도의 형이상학을 갖춘 불교의 ‘충격’을 받아 스스로 정비해가는 모습도 보여주기도 했다. ‘교권(敎權)’과 속권(俗權)을 동시에 지니며, ‘활불전세’(活佛傳世), 이른바 ‘환생’(還生)양식으로 충원되는 독특한 달라이 라마 제도는, 그 연원을 거슬러 올라가보면 13세기 몽고의 티베트 점령과 지배 하에서 배태되었다. 달라이 라마라는 용어의 등장은 제 3대 제도로 자리 잡게 된 것은, 더 훗날의 일이었다. 몽고는 군사력을 바탕으로 한 정치세력 대신에 종교 지도자를 대리통치인으로 선택한 것이다. 그같은 정교일치의 달라이 라마 이미지가 완성된 것은 제5대 걀와 나왕 롭상 기초(Ngawang Lobzang Gyatso)에 이르러서였다. 티베트는 신정(神政) 국가가 되었고, 달라이 라마는 정신적인 지도자이자 동시에 세속적 통치자가 되었다. 하지만 그 같은 신정정치는 내부적으로 균열의 여지가 전혀 없지는 않았다. ‘환생’이라는 제도적 장치로 인해, 새 달라이 라마는 어린 아이로 포탈라 궁전에 들어오게 된다. 따라서 일정한 기간 동안 ‘섭정’에 의해서 모든 일이 처리되었기 때문이다. 섭정에 따라서 정치와 종교 양상이 크게 달라지기도 했다. 그럼에도 1959년 제14대 달라이 라마가 인도로 망명하기 전까지는, 그같은 전통은 외형상으로 이어져왔다고 할 수 있겠다. 올해(2005년)로써 티베트는 ‘서장(西藏) 자치구 성립 40주년’을 맞게 되었다. 중국의 관심을 감안할 때, 티베트의 ‘독립’은 아무래도 힘든 것으로 여겨진다. 그렇다면 티베트 사람들과 달라이 라마(및 티베트 망명 정부)의 관계는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앞으로는 또 어떻게 될 것인가. 정치와 종교의 얽힘과 분화라는 관점에서 아주 흥미로운 주제라 하지 않을 수 없다. This thesis, trying to approach Tibetan Buddhism and Dalai Lama with a perspective of historical politology, aims at finding answers to following questions; when and how did Tibetan Buddhism come to existence? Since when has 'the unity of politics and religion' appeared in Tibet? How did Tibetan people recognize the world before adopting Buddhism? What kind of aboriginal religion did exist and how did it conflict and mingle itself with Buddhism? Who made the Dalai Lama system? When, why, and how did they make it? Originally there was a religious system called 'Bon' or 'Bon religion'before Buddhism was introduced into Tibet. Having a strong character of natural religion, the Bon and its shamans had a certain political authority in pre-Buddhist Tibet. Buddhism could acquire a new political perspective under the political conflicts between kings and aristocrats. Thanks to the King Srong-btsam-sgam-po's devotional support, Buddhism could be established as a state religion in King Khri-srong-Ide-brtsan's regime. In a long-term perspective, 'Tibetization of Buddhism' and 'Buddhistization of Tibbet'had been achieved through multifarious conflicts and discords with Bon. In order to penetrate Tibetan people, Buddhism embraced considerable parts of aboriginal religion. Various natural gods and goddesses were accepted as the guards of state and religion, for example. Also Bon reorganize itself through getting 'shock' from highly refined metaphysical system of Buddhism. The unique Dalai Lama system, which has sacred and secular authority in both hands and supplemented by an incarnation system of living Buddha, was sprouted under the Mongolian domination in 13thcentury. The appearance of term 'Dalai Lama' and its institutional establishment (as one of three main Tibetan constitutions) are much later. Mongolia chose a spiritual leader as her agent ruler, rather than military-based political power. Politics-religion-united image of Dalai Lama was accomplished by the 5thNgawang Lobzang Gyatso. Tibet became a theocratic state; Dalai Lama became spiritual leader and secular ruler as well. However, such theocracy could not remained perfect without any room for internal crack. The incarnation system forced new Dalai Lama enter Potala Palace as a very small child. Therefore regency is inevitable for certain amount; sometimes it caused considerable changes in bothpolitics and religion. However, the tradition has seemingly succeeded at least until the 14thDaiai Lama left Tibet for seeking his political refuge in India. Tibet has her 40th anniversaryfor Tibet Autonomous Region (Xizang) this year (2005). Taking political concern of China into consideration, the independence for Tibet seems to be hard to realize. Then how should we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ibetan people and the Dalai Lama (including Tibet refugee government)? How will be the relationship in future? This is an intriguing subject for study in point of the intertwinement and divergence of 'Politics and Religion.'

      • 한국에서의 티베트 불교 마음 수행에 관한 일고

        조일문 동국대학교 종학연구소 2019 宗學硏究 Vol.2 No.-

        한국 불교는 전통적으로 신라시대 구산선문(九山禪門) 개원 이래선불교로 대표되는 수행 가풍을 이어 왔다. 오늘날 한국 불교 수행 양상은 명상(Meditation)에 관한 대중적인 선망과 관심으로 인해 다양한불교의 가르침과 수행법을 요구하는 실정이다. 비파사나를 대표하는 남방 불교와 금강승 수행을 대표하는 티베트 불교에 관한 관심의 증가와 참여는 이를 간접적으로 말해 준다. 특히 최근 국내에서 활발하게 진행 되는 티베트 불교 관련 단체들 의 활동과, 이들 단체들을 중심으로 초청되는 다양한 종파의 티베트불교 스승들의 잦은 왕래로 한국에서 티베트 불교 수행에 관한 관심과 실천이 증가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발달된 정보 통신망의 활용은한국에서 티베트 불교 수행에 관한 관심과 실천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티베트 불교에 있어 마음 수행”에 관한 주제를 중심으로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진행하고 있다. 우선, 연구의 전반부는 티베트 원전을 저본으로 하여 우리말로 번역하면서 진행하였다. 연구를 위해 논자가 우리말로 번역한 티베트 원전 자료는 『삼종요도;Lam gtso rnam gsum』, 『수심칠훈;bLo sbyong don bdun ma』, 『항하수 마하무드라;Phyag chen gang ga ma』 등이다. 해설서로는 켄첸탕구 린포체의 『로종;bLo sbyong』과 시투 린포체의 『착갸첸뽀 강가마;Phyag rgya chen po gang ga ma』 등이다. 이 가운데 『삼종요도』는 국내에서 우리말 번역 해설서가 있고 연구 논문도 기존해 있지만, 그 외에는 아직까지 국내에 소개된 번역서를 거의 찾아 볼 수 없다.먼저, 불교 수행 전반에 핵심적인 세 가지 요소로 인지되는 삼종요도(三種要道) 즉, 출리심(出離心), 보리심(菩提心), 공성(空性)의 체득을 제 쫑카파의 가르침에 근거하여 언급한다. 논자는 이 세 가지 요소를 티베트 불교 수행 전통 전반에 공통적인 기반으로 적용되는 가르침으로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티베트 불교 수행 내 마음 수행과관련된 내용을 개관해 본다. 마음 수행법 로종과 마음의 본성을 소개하는 마하무드라의 가르침으로 범위를 한정하고 이를 『수심칠훈』 과 『항하수 마하무드라』 를 중심으로 고찰한다. 로종 수행과 관련해서 『수심칠훈』 가운데 똥렌(gTong len;주고받기) 수행을 집중 조명해 보았다. 탕구 린포체는 『로종』에서 (나의 행복을 타인에게) 주고 (타인의 불행을 내가) 받는 이 똥렌 수행을 통해 ‘자신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줄이고, 남과 다른 존재들을 소중히여기는 마음을 키워가야 한다’고 가르친다. 마하무드라 수행은 띨로빠의 『항하수 마하무드라』를 중심으로고찰하였다. 『항하수 마하무드라』에서는 스승이 제자에게 마음의본성을 자각하도록 안내하는 가르침을 많이 보인다. 이런 류의 가르침은 선가(禪家)에서도 많이 찾아 볼 수 있는데, 논자는 그 이유를 선과 마하무드라 양쪽이 윤회와 열반을 동일시하는 관점에 서 있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연구의 후반부는 국내의 티베트 불교 실천 사례를 중심으로 한 현황 조사이다. 여기서는 한국 내에서 실천되는 티베트 불교 수행 현황을 광성사를 비롯한 몇몇 티베트 불교 관련 단체의 실천 사례를 통해고찰하고 있다.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 이들 티베트 불교 단체들이시행하고 있는 교육 프로그램과 티베트 불교 수행 지도 등을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각 단체의 활동과 역할로 인해 한국 불교는 보다 쉽게 티베트 불교문화를 접하고 소개... Traditionally, since the time of the opening Zen Monasteries of Nine mountains(九山禪門) in Shin-la Dynasty, the practice of the Korean Buddhism has been representative as the practice of Zen Buddhism. Nowadays, the patterns of the practice of the modern Korean Buddhist practice seems to need not only Zen Buddhism but also another types of practice, for example, Vipassana or Vajra-yana practice. Actually in Korea, thanks to the activities of the Tibetan Buddhist groups and the improving of the network, the interests and practicing toward Tibetan Buddhism has been exellerated. This study investigates mainly into two parts, First part is ‘The Mind training in Tibetan Buddhism, It elaborates the Mind training translating into Korean from the root texts. The root texts are “Lam gtso rnam gsum”, “bLo sbyong don bdun ma”, “Phyag chen gang ga ma” and their interpretations etc. The latter part investigates the activities of the Tibetan Buddhist groups in Korea. Including Gwang soung sa temple, some groups are taken as a example for this study. Because of the activities and funcions of these groups, Korean Buddhism seems more fertile and various. After all, through this study, tried to reconcile the traditional Korean Buddhism and Tibetan Buddhism as a newcomer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내몽고 명청시기 티베트불교 사찰입지에 관한 연구 - 후허하오터시(呼和浩特市), 바오터우시(包头市), 어얼둬쓰시(鄂尔多斯市)지역을 중심으로 -

        왕과,이건하,김영은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8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20 No.2

        사찰의 입지선정은 사찰의 설립 배경과 긴밀한 관계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본 연구는 내몽고 후바오어지역 티베트불교사찰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이곳은 티베트불교가 최초로 전래된 지역이기에 티베트불교사찰의 원형 및 초기 건립의 의도를 가장 잘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그 유구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사찰의 수는 37개정도이다. 그 중 이번 연구에서 조사한 사찰의 수는 25개로 그 건립배경을 분명히 알 수 있는 내몽고지역의 대표적인 초기 티베트불교사찰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내몽고 후바오어지역 티베트불교사찰이 있는 자연지리환경 및 지형에 관한 분석을 통해서 각 사찰에 대한 공통점 및 특징을 찾고자하였다. 또한 내몽고 후바오어지역 티베트불교사찰의 입지선정에 관한 원리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내몽고에서 티베트불교의 사찰입지를 결정하는 중요 요소로서는 종교이념, 사회이념, 정치적 이념요소가 작용하였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티베트불교사찰의 입지선정은 건립자의 성격에 따라서 입지선정의 특징이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티베트불교의 종교적 이념이 강한 고승이 건립자인 경우에는 산속이나 산기슭에 사찰의 입지를 선정하고 있다. 정치권력자 및 권력형 고승이 건립자인 경우에는 성곽내 사찰을 위치하거나 평원에 사찰의 입지를 선정하고 있다. 입지의 축은 남향이 선호되고 있으며, 지형의 형상에 맞게 입지축을 선정하고 있다. 대전(Main building)에서 바라볼 때 좌측의 지형이 우측의 지형보다 높이가 낮은 장소를 선정하고 있다. The location of Buddhist temple is most likely to have a close connection with its establishment background. Therefore, in order to test this hypothesis, this study chose Tibetan Buddhism Temples in the Inner Mongolia HuBaoEe area as the place is the origin of Tibetan Buddhism, comprehending the purpose of their construction is easier than other Buddhist temples. HuBaoEe area is the abbreviation of Huhehaoteshi, Baotoushi, Eerduosishi. As of now, there are total 37 temples in the area. This study choice 25 among them that were representatives of early Tibetan Buddhism Temple with a clear background of its establishment.Through the analysis of surrounding natural environment and geography of the Inner Mongolia HuBaoEe area Tibetan Buddhism Temple, this study aimed to discover a common factor and characteristic among the Temple. Furthermore, this study aimed to find the principle of selecting the location of Tibetan Buddhist temples in the Inner Mongolia HuBaoEe area. As a result, It was affirmed that the critical factors that determined location of Tibetan Buddhism in the Inner Mongolia were religious, social, and political ideologies.It was also affirmed that the establisher’s personality was reflected in the characteristics of selecting the location for the temples. Temples were located in the mountains or the foot of the mountain when the establisher’s religious ideology of Tibetan Buddhism was strong.When the establisher was a political authority including high priest, temples were located within castles or on a plain ground.South was preferred as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 choice of the site was based on its surrounding geographical shape. Viewing from the main building, it was observed that locations where the left ground was higher than the ground on the right side were preferred.

      • KCI등재

        밀교/티베트불교 40년 연구성과와 과제

        김영덕 한국불교학회 2013 韓國佛敎學 Vol.68 No.-

        It has been 40 years since modern research was conducted onthis particular subject. This study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time period in 10 years respectively after 1970’s, based onpublished thesis, articles and translated texts in Korean, relevantto esoteric Buddhism and Tibetan Buddhism. It was after 1960’s, more accurately in 1970’s when there werea few researches done on esoteric Buddhism. In 1980’s, theresearch focused on history of thoughts and ceremonial aspect ofEsoteric Buddhism. However, this required understanding of howEsoteric Buddhism influenced on Buddhism in Korea. It was in 1990’s, when 2nd generation of research on EsotericBuddhism appeared. Thus, the volume of articles and Ph.D thesisincreased more than in 1980’s. Compared with 1980’s where theresearch focused mainly on the history and ceremony of EsotericBuddhism, the scope of research was largely expanded, where aconcrete research on the mid-Esoteric Buddhism. In particular,there was a systematic research on mantra and iconology, inconnection with art history. Research on Tibetan Buddhism startedin this period. Since 2000 year, as a number of researches studying onEsoteric/Tibetan Buddhism increased, researches were carried outin many different fields. After the 1st phase of translating Tripitakaof Chinese into Korean was complete, a number of Esoteric Buddhism scriptures were translated. Also, more theologicalapproach was adopted for understanding the philosophy of EsotericBuddhism. Base on the researches of aforementioned Esoteric/TibetanBuddhism, the following researches can be carried out in future. Firstly, it needs to establish a practical approach towide-spread the understanding of Esoteric Buddhism. EsotericBuddhism emphasizes practicing asceticism with our physical body,based on the teachings of Mahayana Buddhism. Therefore, it isrequired to further research on asceticism methodology which isunique in Esoteric/Tibetan Buddhism. Secondly, it is required to apply theoretical approach informulating philosophy. Thus, it is necessary to try a theoreticalapproach in establishing a systematic Esoteric Teaching, inconnection with Mahayana Teachings. Thirdly, it is required to understand the history and thoughtsof Esoteric Buddhism. Also, it needs to restore those that areomitted in the history of Esoteric Buddhism. Fourthly, it needs to systematically integrate teachings withEsoteric/Tibetan Buddhism, such as iconology, art history,linguistics, Buddhist Medicine, etc. 본 연구는 70년대를 기점으로 하여 지난 40여년을 10년 단위로 시기를 나누어 그동안 한국인에 의하여 서술된 논문 및 저술, 번역을 대상으로 밀교/티베트불교에 대한 연구현황과 과제를 살펴본 것이다. 밀교라는 용어조차 생소하였던 70년대에는 소수의 논문과 저술이 밀교에 대해 소개하고 그 실상으로 접근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이어 80년대에는 주로 밀교의 사상사적인 면과 의례적인 면에 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며 한국의 불교사에서 드러난 밀교적 현상에 대한 파악이 급선무가 되었다. 90년대는 밀교연구의 1세대를 지나 2세대가 출현하는 시기로 80년대 이전에 비해 논문이 증가하고 있다. 주로 한국의 밀교사와 의례에 집중되었던 지난 시기에 비해 연구주제도 대폭 확대되어 본격적인 중기밀교에 관한 교학적인 연구가 진행되었다. 특히 진언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시도가 있었으며, 미술사학과 연계된 도상학이 눈에 띠고, 티베트불교도 이 시기에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2000년 이후는 밀교/티베트불교를 연구하는 학자의 수가 전기에 비해 대폭적으로 증가하면서 다양한 분야에 걸쳐서 연구가 진행되었다. 고려대장경에 포함된 다수의 밀교경전이 햇빛을 보게 되었고, 풍부해진 자료를 토대로 왕성한 연구성과가 나오게 되었다. 그리고 전 시기에 미약했던 티베트불교에 대한 연구가 제 궤도를 찾으면서 다양한 방면으로 연구주제가 확산되었다. 이상과 같이 살펴본 밀교/티베트불교의 연구현황과 성과를 토대로 향후에 연구해야 할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밀교의 저변확대를 위한 실천적 접근이 필요하다. 밀교는 대승의 교학을 몸으로 체험하고자 하는 실천수행의 입장이 강하다. 밀교와 티베트불교가 갖고 있는 독특한 수행법은 학자들의 연구에 의하여 속속 그 베일을 벗고 공유되면서 수많은 연구주제를 제공할 것이다. 둘째, 교학의 정립을 위한 이론적 접근이 필요하다. 지역마다 특성을 보이는 밀교 가운데 일본의 空海에 의한 진언교학과 티베트의 쫑카파에 의한 티베트밀교 교학에 대하여 대승의 교학과 연계한 체계적 밀교 교학을 정립하고자 하는 이론적 접근이 필요하다. 셋째, 밀교의 역사 및 사상사에 대한 타당성 있는 이해를 이루려고 하는 시도가 있었음에 못지않게 구체적으로 밀교의 역사에서 누락된 부분에 대하여 상기시키는 작업이 진행되어야 한다. 넷째, 밀교/티베트와 인접분야 학문 간의 융합이 보다 체계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밀교는 현상과 관련된 내용이 풍부하고, 이것은 곧바로 圖像學, 美術史學, 言語學, 書誌學, 佛敎醫學 등의 인접 분야와 연결되고 있다. 밀교/티베트와 여러 학문 간의 융합이 구체적 계획 아래 질서 있게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티베트 불교와 샤마니즘

        이희재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05 佛敎學報 Vol.0 No.46

        The development of Tibetan Buddhism was closely linked to the traditional Shamanistic factors that had existed before Buddhism. The unique development of living Buddha and samsara thought is a form of pure Buddhism, but Tantric Buddhism in Tibet such as holy words, incantation, hand position, and invocation were influenced by Shamanism and Shamanistic Bon. Tantric Buddhism in India contains incantational element, but in Tibet added Shamanism. Spiritism still remains a part of Tibetan culture and folk custom and is harmonious with Buddhism. The Tibetan Shaman also remains a national Shaman who can read and foretell a god's will through estaxis like a Syvelian Shaman. They are a part of Buddhism. Most of all, even though popular Shamanism could be suppressed by Buddhism, it still performs rituals of sacrifice and spiritism on a local level. The local people are able to accept the two systems without any trouble. The religion of ancient Bon co-exists with Buddhism, but most of all, the Bon religion follows the Buddhist system. Tibetan Buddhism played a role in the development of Tantric Buddhism that emphasized incantation during its fusion with Shamanism. This Tantric Buddhism teaches how to attain awakening and happiness for its followers. Even if Tibetan Buddhism was fused with Shamanistic elements, they maintain the aspect of awakening. What Tibetan Buddhism tries to convey as its message is the spirit of peace and mercy. This two goals of peace and mercy not only exist for human beings but also for mountains, lake, river, sea along with all living things. Tibetan Buddhism can offer a solution to today's problems such as the environment and terrorism. 티베트의 불교는 불교 전래 이전의 티베트 문화의 저변에 깔린 샤마니즘적 요소들과 밀접한 관계속에서 형성되었다. 활불사상과 윤회사상의 독특한 발전은 불교의 순수한 면이지만, 진언과 주술, 수인과 염불을 위주로 하는 밀교가 융성한 것은 불교전래 이전의 샤머지즘과 샤머니즘적 본교의 영향을 일정하게 받은 것이다. 물론 밀교자체는 인도불교의 밀교적 요소를 받아들여 다분히 그 자체가 주술적인면이 있지만, 그것이 다른 여타의 지역보다 강한 것은 토착의 샤마니즘과 경쟁을 통해 그러한 요소가 강해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티베트의 샤머니즘의 내용은 우선 정령숭배의 사상이다. 이것은 지금도 여전히 티베트 문화이며 풍습으로 잔존하고 불교적인 사유와 융화하고 있다. 티베트의 샤만은 국가적 샤만으로 잔존한다. 그들은 시베리아 샤만과 같은 탈혼경을 통해 신의 뜻을 읽고 예언한다. 그러나 그들은 라마의 조직 내에 있다. 민중적 샤만은 라마에 의해서 평정되었지만,국경지역에는 동물희생등과 정령숭배를 하는 샤만이 있다. 그 지역의 일반인 들은 갈등없이 불교와 샤머니즘을 구분하지 않고 두 체계를 신봉한다. 불교 전래이전의 본교는 고대의 샤마니즘적 토착종교로 티베트에 라마교와 공존하지만, 현존하는 본교는 거의 불교의 체계를 답습하고 있다. 티베트 불교는 샤마니즘 혹은 샤머니즘적 본교와 습합과정에서 주술적인 면이 강조되는 밀교가 발전하였다. 이 밀교는 깨달음의 경향에 호소하지만 동시에 일반인들의 양재구복적 신앙에 호소하는 경향이 농후하다.2 오늘날의 티베트의 종교적 상황은 이러한 고대의 샤마니즘이 자연스럽게 공존하고 있으며 그 차이를 느끼지 못한다. 물론 티베트 불교에는 샤머니즘적 요소가 습합되어 있더라 하더라도 불교의 본질적 목표인 깨달음의 경향을 견지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어느 면에서는 티베트 불교가 제시하는 메시지는 인간과 자연의 조화 그리고 인간과 인간의 조화를 모색하는 평화와 자비정신이다. 우리가 주목해 보아야 할 것은 이 평화와 자비의 대상이 단지 인간만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산과 호수, 강과 바다 등의 자연에까지 이르며 또한 동물에까지 미치는 것이다. 불교는 오늘날 인류의 당면과제인 인간중심으로 발생한 생태학적 환경문제와 테러리즘과 전쟁의 폭력문제등을 지혜롭게 해결하는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는 사상이다. 이러한 요소를 잘 보여준 것이 바로 달라이라마이 비폭력 평화주의인데, 이러한 그의 사상적 배경에는 티베트불교의 샤머니즘적 요소가 내포되어 있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티베트 대장경의 형성과 의의

        임상목 불교의례문화 연구소 2022 무형문화연구 Vol.0 No.7

        Tibetan Buddhism has a special significance in Buddhist history. In particular, the Tripitaka formed in Tibet, is one of the treasures of world culture. It is a well-known fact in Buddhist circles that the Tibetan Tripitaka has an important place in Buddhist philology. The Tibetan Tripitaka covers all aspects and main contents of ancient culture. In order to study Tibetan thought and philosophy, including Tibetan Buddhist literature, the study of the Tibetan Tripitaka is the most basic and necessary process. And also in order to understand and accurately analyze the Tibetan Tripitaka, it must be don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formation process and system of the Tripitaka. Tibetans historically not only created their own Tibetan script for the translation of Buddhist scriptures, but also objectively promoted the development of Tibetan culture by placing certain norms on the Tibetan script according to the need for translation. The Tibetan Tripitaka was created based on the language and culture they formed. The Tibetan Tripitaka is largely divided into two parts: 『Gamjui甘珠爾』, a compilation of Indian Buddhist texts translated into Tibetan, and 『Danjui丹珠爾』, a compilation of Tibetan Buddhist writings. The Tibetan Tripitaka is the embodiment of Tibetan wisdom and talent. Therefore, the Tibetan Tripitaka is a philological data that is the basis for the study of thought, philosophy, and culture, including Tibetan Buddhism. 티베트의 불교는 불교사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특히 티베트에서 형성 된 대장경은 세계 문화의 보고 중 하나인 명주로이다. 티베트 대장경이 불교 문헌학에서중요한 지위를 지니고 있는 것은 불교계에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티베트 대장경은티베트족 고대 문화의 각 방면과 주요 내용을 망라하고 있다. 티베트 대장경에 대한연구는 티베트 불교 문헌을 비롯한 티베트 사상, 철학을 연구하기 위해서 가장 기초적이고 선행되어야 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티베트 대장경을 이해하고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대장경의 형성 과정과 체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한다. 티베트인들은 역사적으로 불경의 번역을 위해 그들만의 티베트 문자를 창조했을뿐만 아니라 번역의 필요에 따라 티베트 문자에 일정한 규범을 두어 객관적으로 티베트 문화의 발전을 촉진시켰다. 그들이 형성한 언어와 문화를 토대로 티베트 대장경이 조성되었다. 티베트 대장경은 크게 티베트어로 번역된 인도의 불교 원전을 결집한 『감주이甘珠爾』와 티베트 불교 저술을 모아 결집한 『단주이丹珠爾』의 두 부분으로 분류된다. 티베트 대장경은 티베트인들의 지혜와 재능의 결정체이다. 따라서 티베트 대장경은 티베트 불교를 포함한 사상, 철학, 문화 연구의 바탕이 되는 문헌학적 자료이다.

      • KCI등재

        티베트 승가교육의 교과과정

        유정스님(오호연) 한국선학회 2020 한국선학 Vol.0 No.57

        티베트불교의 가장 큰 특질은 논리학과 접목하여 발달한 유식(唯識)과 중관(中觀)사상을 수행체계의 이론적 배경으로 하여, 단계적인 수행체계의 틀을 일목요연하게 세운 점이다. 삼예 논쟁 이후, 티베트의 승가 교육체계는 고대인도 불교철학 교육체계를 기준으로 하여 발달해 왔으며, 이는 수행의 성취라는 열매를 맺을 수 있게 하는 사상체계의 바탕이 되었다. 티베트 승가교육은 고대인도의 불교대승원인 날란다(Nālandā)대학의 전통을 이어서, 티베트 내에서 불교 사상체계와 논리학을 더욱 발전시키고, 이를 수행체계 안에 고스란히 자리 잡게 하였다. 즉 티베트에서 논리학과 맞물려 발달한 유식과 중관사상은 밀교(딴뜨라)의 수행체계를 숙성시키는 사상체계가 되었다. 이 글에서는 고대 날란다 대학의 전통과 수행체계에서 인식론적 접근의 중요성과 이를 바탕에 둔 티베트 승가대학의 교과과정을 겔룩빠 중심으로 살펴볼 예정이다. 이는 일반대학의 불교철학박사 학위에 해당하는 ‘게쉐’를 수여하는 교과과정이다. 최근, 니승(尼僧)들에게도 ‘게쉐마’ 학위를 수여하기 시작했다. 인도에서 체계를 갖추고 있는 티베트 니(尼)승가대학들의 교과과정과 그 현황도 알아본다. 이렇게 체계적인 수행의 틀이 되는 티베트 승가대학의 교학 체계를 살핌으로써, 우리 승가대학 교과과정의 보완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The greatest trait of Tibetan Buddhism is the ideology of Yogacara and Madhyamaka, developed by combining epstmological logic that was taken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Buddhist practice system, which the framework of the staged practice system is clearly established. After the Council of Samye, the Tibetan Buddhist system has been developed based on the ancient Indian Buddhist philosophy education system. That was the basis of philosophy system needed to achieve practice, which were matured by supporting the tantra practice. Tibetan Sangha education has continued the tradition of the University of Nālandā, the Buddhist master of ancient India. And in Tibet, the Buddhist ideological system and logic were further developed and established intact within the practice system. The Tibetan Sangha University has the 17 years curriculum that confers a “Geshe” equivalent to a Ph.D. degree in Buddhist philosophy of a general university. Lately, a new “Geshema” degree also has started to be awarded to the Tibetan nuns, who are supported by the Tibetan Nuns Project. By looking at the teaching system of the Tibetan Sangha University, this paper would like to the suggest complementary point of our Sangha University curriculum.

      • KCI등재

        티베트 불교의 몽골 전래와 오늘날의 몽골 불교

        류병재(Yoo Byungjae) 백산학회 2015 白山學報 Vol.- No.102

        본 논문은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고 제대로 이해하기 힘든 티베트·몽골 불교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돕기위한한 과정으로 기술되었다. 티베트불교는 어떤 목적을가지고 어떻게몽골지역으로 전파되어 내려와 오늘날까지 몽골인들의 삶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일까를 살펴보는 과정의 글이다. 샤머니즘을 자신들의 고유 신앙으로 믿고 있던 몽골 유목민들은 1570년대 이후 알탄칸(Altan Khan)에 의해 티베트 불교를 몽골고원으로 본격적으로 받아들이기 시작하면 서거대한사상적변화를경험하게된다. 티베트 불교의몽골고원전파는 사상적변화뿐만아니라 몽골인들 전체 삶의 틀을 송두리째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 본 논문은 티베트 불교의 몽골 전래 과정을 通時的으로 살펴보았다. 티베트·몽골 불교를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 불교의 각종 명칭, 직위와 호칭 등 중요한 몇몇 불교용어들을 ‘몽골어-티베트어-한자’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를 토대로 오늘날의 몽골 불교가 기존에 알려진 것처럼몽골국민 90%가믿고 있다는 것이 사실이아님을 밝히고 2010년도 기준 15세이상 몽골거주 인구의 53%가 몽골 불교를 믿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현대의 몽골을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서 우리는 오늘날의 몽골을 구성하고 있는 다층적이고 복잡한 양상 즉, 유목생활, 몽골세계제국으로 경험했던 다양한 문화접변과 발전, 샤머니즘과 불교를 포함한 다양한 종교 그리고 정치와 역사 등 아주 복합적인 것들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필요한데 본 논문은 그러한 과정 가운데 하나의 글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e described as one process for helping the correct understanding about the Tibetan and Mongolian Buddhism that is difficult to be properly grasped without being exactly known. This is the writing of the process that examines with which aim and how the Tibetan Buddhism was spread to be handed to the Mongolian region and to result in having great influence upon Mongolian people' life up to now. Mongolian nomadic people, who had believed in shamanism as their unique faith, come to experience a huge ideological change while beginning to be introduced Tibetan Buddhism to the Mongolian Plateau by Altan Khan following the 1570s. The spread of Tibetan Buddhism to the Mongolian Plateau became an opportunity that completely changes the frame of the whole life in Mongolian people, as well as an ideological change. As for the development in this study, it diachronically figured out the process that the Tibetan Buddhism is introduced to Mongol, and inspected Buddhist terms such as several names, posts and titles in Buddhism centering on ‘Mongolian language-Tibetan language-Chinese character’ in order to rightly understand the Tibetan and Mongolian Buddhism. Finally based on this, it clarified that the Mongolian Buddhism of today is not true to be believed by 90% of Mongolian people as known conventionally, and confirmed that 53% of the population residing in Mongol aged over 15 as of 2011 believe in Mongolian Buddhism. To correctly understand Mongol in modern times, we need to certainly understand about the multiple and complex aspects of forming Mongol of the day, namely, about very complicated things such as nomadic life, diverse cultural assimilations and developments, which had been experienced as the Mongol world empire, diverse religions, politics and histories including shamanism and Buddhism.

      • KCI등재

        近代中國에 있어서 티벳불교연구의 전개

        차상엽 한국선학회 2007 한국선학 Vol.16 No.-

        이 논문의 목적은 근대라는 시간 속에서 티벳불교에 대한 중국불교의 수용태도를 밝히는 것이다. 중국불교는 순수하게 학문적인 목적만을 위해서, 티벳불교와 밀교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던 것일까. 그렇지 않다면, 어떤 계기로 티벳불교를 적극적으로 유입하게 되었을까. 당시 티벳과 중국의 관계는 군사적인 충돌로 인해 악화되었으며, 이로 인해 중화민국의 티벳 복속정책은 물리적인 측면만으로 해결될 수 없는 입장이었다. 한족(漢族) 중심적인 중화민국의 권역으로 티벳을 위시한 소수민족을 결합시키기 위해서 불교는 가장 효력적인 통치수단이었다. 이러한 정치적인 조건들로 인해, 티벳불교는 주목받게 된다. 태허(太虛)는 중국불교의 개혁을 위해서 티벳불교를 참고로 하였다. 그리고 불교를통해 다섯 민족을 아우르는 중화사상에 적극적으로 협조할 수밖에 없었으며, 종교와 정치권력의 결합으로 인해 중국불교는 쇄신의 대상에서 개혁의 주체로 거듭날 수 있게 되었던 것이다. 불교학적인 방법론에서 티벳불교가 근대에 대두되었다는 점, 그리고 일반 대중들에게 밀교가 유포되었다는 점은 서양의 불교학적인 방법론과 서양의 종교에 대항하기 위한 민족의식의 발로였다. 그리고 구양점(歐陽漸)의 지나내학원(支那內學院)은 근대적인 불교학의 방법론을 티벳문헌과 한역(漢譯)의 대조를 통해 1925년에 시도하였다는 점은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석대용(釋大勇)의 장문학원(藏文學院)은 유장학법단(留藏學法團)을 구성해서 일본의 동밀(東密)과 티벳의 밀교[藏密]를 수용해 중국의 밀교를 부흥시키기 위한 조직적인 시도였다는 점에서 중국불교사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In modern tim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nese and the Tibetan got worse, because of the territorial dispute and the Tibetan's declaration of independence. In this circumstances, buddhism was regarded as a kind of means for peace. And, this provided the Chinese buddhist with more access to Tibetan buddhism. The phenomenon of Tibetan Tantrism inflow was prominent especially in the Sino-Japanese War times, because it was thought the alternative to the hostile Japanese Tantrism by Chinese buddhist. And, they took serious view of the research of Tibetan buddhist documents to compete with western philology. The famous buddhist leader Tai Xu argued statesmen of the day that buddhism was the most valuable for unification of minority races including Tibetan, and founded Han-Zang jiaoliyuan, the research institute of Han-Tibetan buddhism in 1931. Ouyang Jingwu has introduced Tibetan buddhism and studied it philologically in the Buddhistic Academy of China. Liuzangxuefatuan is the sample that they has tried to study Tibetan buddhism, Tantrism and Tibetan language organically. As above, successive research of Tibetan buddhism by modern Chinese buddhist was connected with the political background. and the root of it lied in Sinocentr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