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명인의 ‘인기 트위터’와 셀레브리티 문화

        노명우(Nho, Myung-Woo)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29 No.4

        트위터는 급성장하고 있는 대표적인 마이크로 블로깅 기반 SNS이다. 140자 미만의 텍스트 메시지를 유저끼리 교환할 수 있는 트위터는 메시지의 신속하고 광범위한 전파 가능성으로 인해 학자들의 주목을 받아왔다. 본 논문은 코리안 트위터즈 닷컴이 제공하는 한국의 트위터리안에 대한 데이터를 통해, 한국에서 가장 많은 팔로워를 확보하고 있는 100개 트위터를 ‘인기 트위터’로 분류하고 그 특징을 분석하는 탐색적 연구이다. 100개의 ‘인기 트위터’는 소수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셀레브리티(대다수는 직업상 연예인)의 계정이었다. ‘인기 트위터’는 다수의 구독자를 확보한 트위터일 뿐만 아니라 의견 지도자에 못지않은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인기 트위터’에 대한 분석을 통해 숨겨져 있는 트위터의 기능을 인지도 관리와 셀레브리티와의 파라 소시얼 관계 형성이라는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셀레브리티는 유명세를 관리하기 위한 수단으로 트위터를 활용하고 있으며, 평범한 사람들은 셀레브리티와이 파라-소시얼 상호작용을 통해 실재감 있는 친밀성을 기대하며 셀레브리티의 트위터를 구독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Twitter is an online SNS and microblogging service. Its users can send and read text messages known as ‘tweets’, limited to 140 characters. Twitter has a directed friendship model: users choose other Twitter user accounts to ‘follow’(subscribe) in their stream, and they make their own subscription groups of ‘followers’. There is no technical requirement of reciprocity. Twitter has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from scholars because it enables a widespread and rapid delivery of messages. This paper selected 100 ‘popular twitter users’ in Korea by analyzing the data provided by www.koreantwitter.com. The 100 popular users are celebrities and most of them with a few exceptions are entertainers. They have remarkably influential power on a their number of subscribers. Celebrities utilize Twitter as a means to manage their fame and high visibility, and ordinary people follow those celebrity Twitter users and develop a sense of intimacy through parasocial interaction with celebrities.

      • KCI등재

        Tweeting Politics - An exploratory study to examine the motivations for Twitter use among politically interested Internet users in South Korea

        Daekyung Kim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27 No.-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인 트위터가 일상생활에서 소통과 관계의 주요한 도구로 대중화되어 가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정치적으로 관심 있는 인터넷 이용자들이 선거 공간에서 트위터를 이용하는 동기들과 어떠한 변인들이 트위터 이용 동기를 예측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0년 6월 2일에 있었던 지방선거 기간 동안 온라인 서베이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292명의 트위터 이용자들이 참여했다. 연구과제로는 첫째, 이용과 충족 이론에 기반하여 정치적으로 관심 있는 인터넷 사용자들이 트위터를 이용한 동기에 대해서 살펴보고, 나아가 그러한 이용 동기들을 예측하는 변인들을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지방선거 기간 동안 온라인 정치 이용자들은 전통적인 뉴스미디어보다 더 트위터에 의존을 하여 선거 관련 뉴스와 정보를 습득한 것으로 드러났다. 선거기간 동안 트위터를 이용함에 있어 이용자들은 세 가지 주요한 동기들-정치적 감시/정보 추구, 편의/오락, 사회적 유용성-을 나타냈고, 상관관계 분석에 의하면 트위터 의존과 정치적 행위 간의 유의미하고 정적인 관계가 존재했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인구변인 중에는 나이, 성별, 그리고 가구 수입이 유의미한 변인들이었고, 신문 구독은 트위터의 정치적 감시/정보 추구 동기에 대한 부정적 변인으로 나타났다. 보다 중요하게는, 트위터 의존과 정당 지지 강도가 트위터의 사회적 유용성 동기를 예측하는 유의미한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거 기간 동안에 정치적 인터넷 이용자들에게 트위터가 유용한 토론의 장으로 역할을 수행했음을 보여준다. 선거 캠페인 기간 동안 트위터의 정치적 영향에 대한 탐색적 시도로서 본 연구는 앞으로 트위터가 정치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임을 보여준다. The aim of this exploratory study is to examine the political influences of Twitter during the local election held on June 2 2010 in South Korea. First, this study examined motivations for why politically interested Internet users were using Twitter during the election campaign based on the uses and gratification approach, and then explored what factors could predict the motivations for using Twitter. An online survey of 292 politically motivated Internet users in this study identified three primary reasons for accessing Twitter: political surveillance/information-seeking, convenience /entertainment, and social utility. Correlation analysis foun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witter reliance and political behavior, and hierarchical regression revealed that both Twitter reliance and strength of party support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social utility motives for accessing Twitter, which may indicate the discursive nature of Twitter during the election campaig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both the potentials and limitations of Twitter as a political communication tool. Based on those findings, discussion and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were followed.

      • KCI우수등재

        트위터 활용과 사회자본과의 관계

        황유선 한국언론학회 2013 한국언론학보 Vol.57 No.6

        본 연구는 트위터 이용과 사회자본 강화 간의 관계를 트위터에 대한 인식적 특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지금까지는 트위터 혹은 미디어의 이용이 사회자본 강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인과적인 관계를 중심으로 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트위터 이용이 직접적인 사회자본 강화에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트위터의 정보에 대한 신뢰 및 트위터 사회에 대한 신뢰, 그리고 트위터 공동체 의식에 대한 인식 정도가 사회자본과의 관계를 규정하는 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분석을 위해서 트위터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 트위터에 대한 인식적 특성에 따라 트위터의 활용정도(트윗, 리트윗, 네트워크 크기)와 사회참여 및 사회적 관심과의 관계를 각각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트위터에 대한 신뢰정도가 높을 때 트윗게시와 같은 트위터 활용과 사회참여 사이의 관계가 좀더 크게 나타났으며 트위터 공동체 의식의 경우에는 이러한 인식의 정도가 낮은 집단에서 트위터 네트워크 크기가 사회적 관심과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트위터 공간의 자정 행위자는 누구인가?

        박노일(Nohil Park),정지연(JiYeon Jeong),이지혜(JiHye Lee) SBS 2012 미디어경제와 문화 Vol.10 No.3

        ‘출판 후 여과모델(publish-then-filter model)’의 소통 시스템을 갖는 트위터 공간은 불확실한 정보나 오류가 쉽게 확산될 수 있는 위험성을 내재하고 있지만, 트위터 이용자들의 자발적인 오류 수정이나 왜곡방지 활동으로 자정작용(自淨作用) 또한 가능한 공간이다. 본 연구는 트위터 공간의 오류수정과 왜곡된 정보의 확산 방지활동에 참여적인 트위터 이용자의 속성과 트위터 이용행태 및 심리적 동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트위터 이용자 884명의 인구사회학적 속성, 정치성향, 자기노출, 트위터 이용행태(이용시간, 트윗/리트윗 빈도, 따름벗/딸림벗 수) 및 리트윗 행위동기가 자정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고학력이며 진보적 정치성향을 지닌, 그리고 자신의 정체성을 과감하게 노출하는 트위터 이용자일수록 트위터 자정행위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트위터 이용량이 많다고 해서 자정행위를 많이 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으며, 트위터 이용자가 자신의 트위터를 지인들과의 관계 관리를 위해 이용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이들의 자정행위 참여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시의적절한 정보와 공분(公憤) 공유를 위해 트위터를 운영하는 자들은 트위터 공간에서 적극적인 자정행위를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트위터 공간의 자정작용 과정이 트위터 이용자 속성과 이들의 적극적인 커뮤니케이션 행동 및 심리적 동기에 의해 다르게 나타난다는 경험적 결과를 제시했다는데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Even though many rumors and errors have circulated online, the Twitter space has been growing capacity of self-purification.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ich factors of Twitter operators’ characters as well as their tweeting patterns, and motivations for retweeting influence the process of self-purification within Twittersphere. Through analyzing 884 Twitter users"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witter users, who were more educated, politically progressed, and had higher levels of self-disclosure, we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the self-purification process, but those who perceived Twitter as a tool of relationship management for friends were less likely to participate the process. Also those who had motivations for retweeting to share information and public anger joined more voluntarily the self-purification proces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it is possible to speed up the process of self-purification of Twittersphere depending on the Twitter operators’ personal attributes and psychological motivations.

      • KCI등재

        트위터와 페이스북 이용자들이 형성하는 사회자본유형이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신소연(Shin, So-Youn),이상우(Lee, Sang-Woo)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29 No.4

        최근 폭발적인 성장을 거듭해온 트위터, 페이스북과 같은 SNS들의 정치적 영향력이 실제 총선이나 지방선거 등을 통해 드러나면서 이제 SNS는 쉽게 간과할 수 없는 새로운 정치매체로써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에서 대표적인 SNS 서비스로 간주되는 트위터와 페이스북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각 SNS가 형성하는 인적네트워크의 특성을 살피고 이러한 네트워크 특성 및 각 SNS 이용행태가 사용자들의 인터넷 및 현실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트위터 주이용집단과 페이스북 주이용집단은 집단 내에서는 두 집단 모두 결속적 사회자본보다 교량적 사회자본을 높게 형성하고 있었지만 두 집단간 비교에서는 트위터 주이용집단은 교량적 사회자본을, 페이스북 주이용집단은 결속적 사회자본을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하고 있어 두 집단 간 네트워크특성의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트위터 주이용집단의 경우, 트위터 이용량, 트위터 이용적극성, 트위터의 정치적 이용 및 트위터가 형성하는 결속적 사회자본이 인터넷 정치참여에 영향을 주는 유의미한 변수로, 또 트위터 이용량, 트위터 이용적극성, 트위터의 정치적 이용 및 트위터가 형성하는 교량적 사회자본이 현실정치참여에 영향을 주는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한편, 페이스북 주이용집단의 경우는 인터넷과 현실정치참여 모두에서 페이스북의 정치적 활용만이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eatures of the social capital formed by Twitter and Facebook,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capital formed by SNSs (Twitter and Facebook) and SNS users’ political particip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Both Twitter users and Facebook users were forming higher bridging social capital than bonding social capital. However, the bridging social capital of Twitter users was higher than that of Facebook users, while the bonding social capital of Facebook users was higher than that of Twitter users. On the other hand, the bonding social capital influenced on Twitter users’ online political participation, and the bridging social capital influenced on Twitter users’ offline political participation. However, we could not find any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political participation among Facebook users.

      • KCI등재

        트위터 담화의 의사소통 요소에 대한 연구

        최화니(Choi, Hwa-ni) 국어문학회 2022 국어문학 Vol.81 No.-

        본 연구는 트위터(Twitter) 담화에 관여하는 의사소통 요소를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트위터 연구는 주로 메시지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으므로, 메시지 이외의 또 다른 의사소통 요소에 대해서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의사소통 모델에 대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의사소통 요소를 결정하고, 2022년 7월에서 9월 사이에 생산된 트위터 담화를 수집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트위터 담화의 의사소통 요소는 크게 ‘경로 및 환경, 송신자 및 수신자, 메시지, 잡음 및 피드백’으로 나눌 수 있다. 트위터는 대표적인 SNS로서 메시지의 간결성과 강한 전파력을 바탕으로 거대한 의사소통의 장을 형성하는 ‘경로’이다. 그리고 트위터 담화의 ‘환경’에 해당하는 가상공간은 크게 ‘트윗창, 답글창, 쪽지함, 스페이스, 타임라인, 알림함, 검색창’으로 이루어진다. 기존의 트위터 공간에서는 글말의 메시지만을 송수신하였으나, 지금은 스페이스(spaces)라는 실시간 음성 채팅 공간을 통해 입말로도 소통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트위터 담화의 ‘송신자 및 수신자’ 유형은 일상 언어와 비슷하게 분류할 수 있지만, 세부 내용에서는 차이점이 있다. 예컨대 송신자의 일종인 ‘전파자’의 경우, 일상 담화에서는 다양한 인용 표지를 사용하는 것과 달리 트위터 담화에서는 별도의 인용 표지 없이 ‘리트윗(retweet)’ 기능을 활용하거나, ‘@(:)’과 같은 트위터 특유의 직접 인용 표지를 사용하는 일이 많다. 그리고 트위터 담화의 ‘메시지’ 중에서 ‘인용 트윗(quote tweet)’은 답글과 비슷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간주되어 왔으나, 이는 ‘비공손성, 비제한성, 공론장 형성, 비선형성’의 특징이 있다는 점에서 답글과 구별된다. 이러한 인용 트윗은 담화상에서 주로 ‘정보 제공, 감상 및 평가, 관계 형성 및 단절’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한편 트위터 담화의 ‘잡음’에는 트윗의 사진을 미리보기로 게시하는 방식이 포함될 수 있으며, ‘피드백’의 유형 중에서는 ‘비공개 계정에 의한 인용 트윗’이 트위터 특유의 부정적인 피드백 방식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elements of communication involved in Twitter discourses. The existing researches on Twitter have mostly concentrated on messages, so the elements of commun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well. Thus, this thesis decided the elements of communication based on preceding researches on communication model, and then collected and analyzed Twitter discourses produced in July-September 2022. The elements of communication involved in Twitter discourses could be largely divided into channel & setting, sender & receiver, message, and noise & feedback. As a representative SNS, Twitter is a ‘channel’ that forms a huge place for communication based on great diffusion and simplicity of messages. And the virtual space which is the ‘setting’ of Twitter discourse, is largely composed of ‘compose tweet box, reply box, message box, spaces, timeline, notice box, and search box’. The previous Twitter space produced only written word messages. Now, however, it can also produce spoken word messages through ‘spaces’. Also, the types of ‘sender’ and ‘receiver’ of Twitter discourses could be classified similarly to everyday language while there are differences in detailed content. For example, the ‘propagators’ who are a kind of senders use various quotation markers in everyday discourses. In Twitter discourses, however, they utilize the retweet function without any additional quotation markers or use the direct quotation marker of Twitter such as ‘@(:)’ in many cases. Even though the ‘quote tweet’ in messages of Twitter discourses has been regarded as having the similar function to reply, it is distinguished from reply in the aspect of having the characteristics like ‘non-politeness, non-limitation, formation of public sphere, and non-linearity’. This quote tweet is mostly performing the functions to provide information, to appreciate/evaluate, and to build/sever relationships. Meanwhile, the ‘noise’ of Twitter discourses could include the method of posting the photos of tweet as preview. In the types of ‘feedbacks’, the quote tweet of private account is viewed as the unique negative feedback method of Twitter.

      • KCI등재

        트위터(Twitter)를 활용한 토론학습에서 과제가치, 트위터효능감과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정민,윤나라 한국정보교육학회 2012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6 No.1

        본 연구는 트위터를 활용한 토론학습에서 고려해야 할 지침을 얻고자, 과제가치, 트위터효능감,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실재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0학년도 2학기에 서울에 소재한 A대학교에 한 강좌를 수강한 학습자 46명을 대상으로 약 3주 동안 트위터에서 토론수업을 진행하여, 과제가치, 트위터효능감, 사회적 실재감, 토론학습만족도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방법으로는 상관분석, 회귀분석과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과제가치, 트위터효능감, 사회적 실재감은 학습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사회적 실재감은 과제가치와 트위터효능감이 학습만족도를 예측하는 데 있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트위터를 활용한 토론학습에서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과제가치와 트위터효능감 향상을 위한 학습과정 설계 전략이 필요하며, 이와 더불어 사회적 실재감을 촉진시켜줄 수 있는 학습환경 설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트위터 학습 관련 연구는 아직 초기단계로, 향후 트위터를 활용한 학습환경에서 만족도나 성취도 등의 학습성과를 높이는 변인을 규명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ask value, twitter self-efficacy, and social presence affect learning satisfaction on twitter discussion.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presence. Participants were 46 undergraduate students in A university in Seoul, Korea. They responded the following surveys: task value, twitter self-efficacy,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Baron & Kenny (1986)’s mediation analysis approach with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applied to this study. Findings showed the significant effects of task value, twitter self-efficacy, and social presence on satisfaction on twitter discussion. In addition, social presence mediated task value, twitter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witter discussion should be designed to accommodate different learners characteristics such as task value and twitter self-efficacy and promote greater social presence between learners.

      • KCI등재

        트위터 공간의 한국 정치 : 정치인 네트워크와 유권자 네트워크

        장덕진(Dukjin Chang)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1 언론정보연구 Vol.48 No.2

        트위터가 정치적으로 커다란 영향력을 가진다는 사실에 대한 인식이 보편화되면서 정치인들의 트위터 가입과 활동이 두드러지게 늘고 있다. 또한 2010년 6 · 2지방선거와 2011년 4 · 27 재보선을 거치면서 트위터의 정치적 영향력이 직간접적으로 확인된 것도 트위터 정치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 글은 2010년 9월 30일 기준으로 트위터 계정을 가지고 있는 145명의 정치인 계정과 같은 해 8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수집된 1,113,365개의 한국인 계정 및 동 계정에서 작성된 77,452,090개의 트윗을 분석함으로써 트위터 공간에서 벌어지고 있는 정치행위와 유권자의 선택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결과는 트위터를 통해 정치적 이득을 얻으려는 정치인들의 노력이 다양한 네트워크 맥락에서 서로 다른 성과를 가져다주고 있음을 알려준다. 정치인들의 트위터 활동은 트윗이나 팔로잉과 같은 그들의 노력뿐 아니라 그들에 대한 유권자들의 팔로우, reply, RT 등과 같은 반응에 의해 영향 받고 있다. 또한 트위터에서의 정치적 성과를 올리는 데에는 하나의 정답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몇 가지의 서로 다른 길이 있음도 알 수 있었다. 유권자들의 복수의 정치인들을 동시에 팔로우(co-follow)하면서 보여주는 그들의 정치적 선택은 정당별로 판이하게 다른 양상을 보이며, 이것은 각 정당의 전략과 관련해서도 중요한 시사점을 가진다. 113만 명에 달하는 유권자 네트워크와 그들의 정치적 선택을 분석해 보면, 트위터 이용자 집단과 비이용자 집단에서 중요한 차이점들이 발견되었다. 또한 정치인이 아닌 일반인들의 경우에도 그들의 정치적 선택과 트위터 네트워크에서의 구조적 위치 사이에는 놀라울 정도의 체계적인 관련이 있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분석결과의 정치적 함의는 트위터 공간에서의 정치에서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세 가지 맥락, 즉 오프라인 정치의 진정성, 일관성, 투명성, 트위터 정치인 네트워크에서의 성실한 활동과 소통, 그리고 방대한 유권자 네트워크가 무엇을 요청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모두 필요하다는 것이다. The widely-shared recognition that Twitter has huge political influence is drawing many politicians to this social networking service. The experiences of the local election in 2010 and the by-election in 2011, where Twitter supposedly exercised a great influence, are also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he heightened interest in Twitter.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politics in the Twitter space by analyzing 145 accounts of Korean politicians and 77,452,090 tweets written by 1,113,365 accounts of Korean Twitter users for the period 1 August 2010 through 30 September 2010. The results show that politicians use several different strategies in several different network contexts, with vastly different amounts of reward. Twitter activities of politicians are affected by not only their own efforts such as tweeting and following but also response from ordinary users who are at the same time voters such as getting followed, replied, and retweeted. There seems to be a few different routes for politicians to getting political benefits in the Twitter space. Co-following among politicians - multiple politicians being followed by the same set of ordinary users - indicates political choice by numerous voters. The degree and structure of co-following significantly differ across parties, suggesting different political strategies. Combining the network analysis results of 1.13 million Korean Twitter users and a survey results matched by the respondents’ Twitter IDs, there are important differences between users and non-users of Twitter. Not only politicians but also ordinary Twitter users demonstrate surprisingly systematic relationship between their political choices and their position in Twitter network. The political implication of the analysis in this paper is that politicians need to meet three requirements to be successful in the Twitter space: sincerity, consistency, and transparency in their offline politics; active involvement and communication in the Twitter space; and the understanding of political demands from the huge network of voters in the Twitter space.

      • KCI등재

        SNS의 여론형성과정과 참여행태에 관한 고찰

        박상호(Sang-Ho Park) 한국언론정보학회 2012 한국언론정보학보 Vol.58 No.2

        본 연구는 SNS의 여론형성과정과 참여행태에 관한 연구이다. 대표적인 SNS 서비스인 트위터가 무상급식 주민투표와 10.26재보선 기간의 여론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특히, 여론형성의 유력자인 파워 트위터리안이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인 트위터의 여론형성에 관한 분석결과, 무상급식 주민투표의 경우 오전시장이 대권 불출마선언 이후에 무상급식 주민투표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폭발적으로 늘어났으며, 오전시장을 지지하는 트윗보다는 반대하는 트윗의 영향력이 컸다. 10.26재보선의 경우 트위터공간에서 나 후보자보다는 박 후보자가 촘촘한 소통망을 형성하면서 자신에게 호의적인 여론을 형성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인 파워 트위터리안과 일반 트위터리안의 참여행태에 관한 분석결과, 무상급식 주민투표의 경우 유명스타들이 파워 트위터리안으로써 사회이슈에 대한 참여를 선도하는 역할자로 자리매김하게 되는 계기를 마련했다. 파워 트위터리안은 일반 트위터리안의 공감을 끌어내는 데 성공하였다고 평가된다. 10.26재보선의 경우 박 후보를 지지하는 파워 트위터리안이 나 후보를 지지하는 파워 트위터리안보다 많았을 뿐만 아니라 박 후보와 소통을 하고 있는 일반 트위터리안도 훨씬 많았다. 특히, 박 후보를 지지한 파워 트위터리안이 보유한 커뮤니티의 규모는 나 후보를 지지한 파워 트위터리안의 5배가 넘었다. 파워 트위터리안과 일반 트위터리안의 관계는 단순한 지지가 아닌 서로 간의 공감을 전제로 관계가 형성되고 있다. 전통적인 언론을 통한 여론형성과정에서 국민들은 단순히 여론에 휩쓸리는 대상에 불과하였지만, SNS가 확대되면서 이슈의 생산과 유통에 참여하고 이슈를 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This study is critical research on the forming public opinion of SNS and participation behavior. Twitter is a typical SNS service, free school food and 10.26 re-and by-elections during the formation of public opinion on the impact have been investigated. Formation of public opinion about Twitter’s analysis of the first research question, The case of free meals to support the Mayor Oh, rather than against Twitter were influential. 10.26 re-and by-elections Twitter in space, the Park‘ candidate than Na’ candidate has formed a favorable opinion. Power twitterian and twitterian on the behavior of the second study involved analysis of the problem, For free meals, power twitterian were responsible for leading the public opinion. For 10.26 re-and by-elections, Power twitterian were more Park‘ candidates than Na’ candidates. In addition, Park‘ candidates of twitterians were communicating more. Through traditional media in the process of forming public opinion was swayed by public opinion to the target people simply but SNS age people involved in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the issue and the issue has a leading role.

      • 5대 지방선거와 트위터

        임연희(Lim, Yeon-Hee)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0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3 No.2

        본 논문은 트위터 사용자가 50만 명을 넘어선 가운데 치러진 2010년 6·2지방선거 후보자들이 트위터를 선거에 어떻게 이용 충족했는지를 탐구했다. 또 선관위가 ‘선거관련 트위터 이용가능 범위’를 제시하며 규제에 나선데 대해 후보자들은 어떤 태도를 가지는지 들어 봄으로써 선거법 개정 논의의 토대를 제공하고자 했다. 본 연구는 대전·충남 시·도지사 후보자 7명을 대상으로 이용과 충족이론에 입각해 이들의 트위터 이용과 충족, 규제에 대한 태도의 두 차원으로 구분해 접근했다. 먼저 트위터의 이용과 충족에서는 웹과 모바일 중 어디서 어떤 형태의 글을 쓰는지와 글의 내용, 올린 글이 선거법에 저촉되는지를 공식선거 운동기간 전후 시기로 나눠 후보들의 트위터 계정을 내용분석했으며 트위터 이용 만족도와 규제에 대한 태도는 후보들과 트위터 상의 짧은 문답을 통한 설문으로 해결했다. 연구 결과 웹과 모바일에서 두루 트위터를 이용하며 다양한 소재의 글쓰기로 트위터 사용자들과 널리 소통하는 후보일수록 만족도가 컸으며 선관위의 트위터 규제에도 반대 뜻을 분명히 했다. 또 선거공약과 유세일정을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후보보다는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주고 다른 사용자들의 의견에 답을 하는 등 쌍방향 소통하는 후보들의 트위터 이용률과 만족도가 높았으며 이런 후보자의 트위터 계정에는 답 글이 활발했다. 지방선거 이후 트위터 사용자가 100만 명을 넘어섰으며 2012년 총선과 대선은 ‘트위터 선거’가 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는 가운데 선거법 개정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선거법 93조 개정에 대한 헌법소원이 제기되고 개정 법안이 국회 상임위원회에 계류 중인 상태에서 정치인들이 트위터를 선거에 어떻게 이용 충족하고 있는지와 규제에 대한 태도를 보여준 본 연구가 선거법 개정 논의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candidates of the local election on June 2, 2010-the time the Twitter users in Korea exceeded 500,000-, used and gratified Twitter, and to present foundation of discussion for revision of the Election Law by requesting opinions of the candidates on the fact that The Election Commissions took action of regulating the Twitter with "scope of using the Twitter related to election." In this study the author approached the purpose for seven candidates for mayors and governors in Daejeon and Chungcheongnam-do with two aspects of use and gratification of the Twitter and attitudes on the regulation, based on the use and gratification theory. As for the use and gratification of the Twitter, the Twitter accounts of the candidates were analyzed in contents for types of writing (web or mobile), contents of writing, and violation of the Election Commission of the writing before and after the public election campaign. As for gratification on the Twitter use and attitude on regulation, the candidates and the author conducted short questions and answers on the Twitt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ore candidates were gratified the more they widely used the Twitter on web and mobile with the users by writing with various subjects, and they expressed clear opposition against the regulation of the Election Commissions on the Twitter. The candidates who told their stories and replied to opinions of other users, performing two-way communication, rather than those who one-sidedly presented their election pledges and schedules of campaign, used the Twitter more and expressed more gratification, and their Twitter accounts were active with replies. The number of the Twitter users exceeded a million after the local election, and there are growing more and more opinions on revision of the Election Law, under the expectation that the General Election and the Presidential Election in 2012 would be the "Election of the Twitter." As a petition on the revision of Article 93 of the Election Law was submitted and the revised bill is still pending in the National Assembly Standing Committee, this study may serve as basic data in discussion of revision of the Election Law by identifying the use and gratification of the Twitter and the attitude of the regulations of politici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