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용노트 디자인에서 표현된 그래픽 디자인 트렌드 경향 연구- 중, 고등학생 노트제품을 대상으로 -

        이정희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08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6 No.2

        디지털 시대의 도래 이후 경제적 발전과 정보화 사회로의 변화는 이전의 사회 유형들과는 전혀 다른 다양한 생활양식을 제안하고 있다. 이렇게 생겨난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의 생성과 그에 따른 소비자들의 가치변화는 소비성향 및 소비형태 등에 새로운 트렌드를 형성하고 있다. 트렌드는 마케팅에 있어 제품구매에 결정적 요소로 파악되기 때문에 최근 세계의 기업들은 트렌드를 파악하기 위해 열을 올리고 있는 실정이다. 소비행동이 기능적인 면과 더불어 사회전반의 트렌드적인 면이 첨가되어 트렌드의 흐름이 제품을 선택하는데 큰 역할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소비자 트렌드 변화와 노트제품의 그래픽 디자인 트렌드 변화의 상관성을 밝히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최근 트렌드 자료들을 파악하고 변화 유형을 살펴본 후 현 중고등학교 학생에 해당하는 내용들의 트렌드 키워드를 도출 변화와 관계성을 분석하였다. 8개 국내외 정보 기획사에서 제시한 ‘Fun Hiking’, ‘Holistic Well-being’, ‘Masstige’, ‘Digital Native'의 4가지 트렌드 테마로 분류하였다. 분류된 내용을 토대로, 중고학용노트 500종의 디자인을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직접 방문하여 100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측정대상간의 순서관계를 밝혀주는 척도인 서열척도(ordinal scale)를 이용하여 순위비교를 통해 정확하게 정량화하기 어려운 소비자의 태도나 선호도등의 측정결과를 도출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최근 소비자 트렌드와 제품 디자인에 어떠한 관계성이 있는지를 규명하였고, 설문조사를 근거하여 노트디자인에 있어서 중요한 디자인요소가 스토리, 독창성, 밝고 선명한 톤, 심미성, 재질의 차별화, 기능성이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디자인 트렌드에 관한 연구는 고객 요구에 보다 충실하기 위하여 라이프스타일을 통한 트렌드 예측과 실제 트렌드 변화 사이의 차이를 줄일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Appearances of variable Lifestyle, and value change of consumer make new trend on consumer r behavior and pattern. Due to trend is key factor in marketing for buying power, many of global company try to search trend more and more. This research can summarized as follows. The result of the latest trend analyze that is eight trend research firm of internal and external raised a new issue can be classified into new four trend theme-Fun Hiking, Holistic Well-being, Masstige and Digital Native. Based on four categorized trend, after I conducted a survey from 100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f population for 500 target designs, compared ranking using ordinal scale and deduced result of measurement consumer pattern and preferences which was difficult to define. Therefore, investigated relation the result of this survey and prior to analyzed trend, analogized the students preferring trend for graphic present material.

      • KCI등재

        트렌드 큐레이션의 관점에서 본 전시 콘텐츠 개발 사례 연구 :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리노베이션 이후)을 중심으로

        박은지 한국예술경영학회 2017 예술경영연구 Vol.0 No.43

        Mankind has made continuous efforts in many aspects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prediction of the future. Among those, the trend prediction is a core of the category for the future study, and its importance has been increasing every day in respect that it has a profound effect on the overall industries as well as the quality of human life. Culture and arts are the subjects to lead the influence of such trends, and also the objects to be consumed in the form of the contents, and based on the recent related discussions, the development of the contents in the omnidirectional cultural arts field through the prediction of the future trend is coming up as a major issue. As such, cultural arts, trends, and contents are in an inseparable relationship each other, and the concept of ‘Curation’ is rapidly emerging as an algorithm to select and lead such relationship establishment, and it is tried to note that the innovative discussion is being formed through out the overall industries including the management field as well as in the field of arts in which this terminology has been dominantly used. Accordingly, this study, by analyzing the exhibition contents cases in the commemoration of the reopening of the calligraphy museum of The Seoul Arts Center that has undergone the broadscale renova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trend curation, has the value as a practical guideline for the realization of the visitor development strategy related to marketing and the collaboration with the related companies as well as the exhibition contents planning utilizing the future trend. As a result of the data analysis, each characteristic element had a close relation with key words and core trends like ‘creative paradox’, ‘getting out of stereotype’, ‘glocalization’, ‘fusion of multiple values’, ‘viral marketing’, and ‘cresumer marketing’ and they were categorized again into the top mega trends so called ‘creative storytelling’, ‘cross-genre getting out of boundary’ and ‘diversification of marketing strategy’. In addition, through this study, it has identified the process of grafting the curated trend to the development of the omnidirectional cultural arts contents and conceptualized it as ‘A work of finding contact points with characteristic elements of the omnidirectional cultural arts contents which are to plan, develop, and do the marketing in the future by curating plural trends which exist now or expected to exist in the near future and connecting them together’ and such definitions expand to the contents development field of the multidirectional cultural arts field such as modern arts, design, exhibition, fashion, performance arts, film, and music, etc., and its concrete application seems possible. This is the issue that is sure to be recognized by the content creators in the omnidirectional cultural arts field at this point in time when preparing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ased on the utilization of small data as well as big data, and by understanding the creation of a new trend including the future prediction and the significant correlation of the related industries connected to this, it is expected that in-dept discussion will be actively made in various aspects afterward. 인류는 미래 예측에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다방면에 걸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 왔다. 그 중에서도 트렌드 예측은 미래 연구(Future Study)의 핵심 범주로, 인간의 삶의 질은 물론 산업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문화와 예술은 이러한 트렌드의 영향을 선도하는 주체이자 콘텐츠의 형태로 소비되는 객체로서, 최근 관련 논의를 바탕으로 미래 트렌드 예측을 통해 전방위 문화예술 분야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이 주요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이렇듯 문화예술, 트렌드, 콘텐츠는 서로 떼려야 뗄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있는데, 이러한 관계 정립을 선별, 주도해 가는 알고리즘으로서 ‘큐레이션(Curation)’ 개념이 급부상, 본 용어가 지배적으로 사용되어 온 미술 분야 뿐 아니라 경영 분야를 포함한 산업 전반에 걸쳐 혁신적 담론을 형성해가고 있음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대대적인 리노베이션을 거친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 재개관 기념 전시 콘텐츠 사례들의 특징적 요소들을 추출, 트렌드 큐레이션의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추후 트렌드를 활용한 전시 콘텐츠 기획은 물론 관람객 개발과 연관된 마케팅 전략 수립, 관련 기업과의 콜라보레이션 구현을 위한 실질적인 지침으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분석 결과 각각의 특징적 요소들은 창조적 역설, 고정관념의 탈피, 글로컬라이제이션, 다층적 가치의 융합, 바이럴 마케팅, 크리슈머 마케팅 등의 키워드 및 핵심 트렌드와 긴밀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었으며, 이는 다시 독창적 스토리텔링, 탈 장르․탈 경계, 마케팅 전략 다변화로 명명되는 상위 메가 트렌드로 각각 범주화되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큐레이션 된 트렌드를 전방위 문화예술 분야 콘텐츠 개발에 접목시키는 프로세스를 규명, 이를 ‘현존하는, 혹은 가까운 미래에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는 복수의 트렌드들을 효과적으로 큐레이션하여 추후 기획, 개발, 마케팅 하고자 하는 전방위 문화예술 콘텐츠의 특징적 요소들과의 접합점을 찾아 연계시키는 일’이라 개념화하였으며, 이러한 정의는 현대미술, 디자인, 전시, 패션, 공연예술, 영화, 음악 등 다방면의 문화예술 분야의 콘텐츠 개발 영역으로 확장되어 구체적인 적용이 가능해질 것이라 사료된다. 이는 빅데이터는 물론 스몰데이터 활용을 기반으로 하는 4차 산업 혁명을 준비하는 현 시점에 전방위 문화예술 분야 콘텐츠 크리에이터들이 반드시 인지해야 할 사안으로, 미래 예측을 포함한 새로운 트렌드의 창출 및 트렌드 큐레이터로서의 관람객 개발, 관련된 산업 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이해함으로써 추후 다양한 측면에서의 심도 있는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토지행정의 글로벌 트렌드에 부합하는 지적행정 역할

        이용한(Lee, Yong Han),김영학(Kim, Young Hag) 한국지적정보학회 2012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14 No.2

        트렌드를 분석하여 미래를 예측하고 새로운 기회를 창조해 내는 것은 상당히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토지행정의 글로벌 트렌드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적행정의 새로운 역할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의 범위는 Lemmen과 Zeeuw가 제시한 글로벌 트렌드와 우리나라 지적행정의 공유부분으로 한정하고 접근방법은 기술적 접근방법, 역사적 접근방법, 체제론적 접근방법을 병용하였다. 연구결과 도출은 다음과 같은 과정에서 도출하였다. 첫째, 토지행정 트렌드의 개념 및 과거로부터 현재까지의 토지행정의 진화와 트렌드를 검토하고, 국외의 토지행정의 트렌드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접근의 틀을 설계하였다. 둘째, 접근틀을 적용하여 시스템 설계, 정보 기술, 행정 참여, 정책 기획 관련 트렌드로 나누고 이에 해당되는 트렌드의 내용을 간략하게 검토하고 지적행정과의 관계를 설정하였다. 셋째, 토지행정글로벌 트렌드의 한계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트렌드 별 지적행정의 역할을 모색하였다. It can be considered quite important to predict the future and create new opportunities by analyzing tre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lobal trends of land administration and try to find the new roles of the Korean cadastral administr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 range of this research was limited to the share parts between the global trends which were suggested by Lemmen and Zeeuw, and the Korean cadastral administration, and descriptive approach, historical approach, and systematic approach are applied as approaching method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as produced from 2 following process: First, the concept of land administration trend and the evolution of land administration with trends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were reviewed, and a framework of approach was designed by analyzing advanced studies related foreign land administration trends. Second, the global trends of land administration were separated into the system design trends, the information technology trends, the participation of administration trends and policy planning trends by applying the framework of approach, and the content of each separated trend was simply reviewed and set up with the connection of the Korean cadastral administration. Third, the limitation of each trend was examined and then the new roles of the Korean cadastral administration were tried to find from the limitations of each trend.

      • KCI등재

        자동 트렌드 탐지를 위한 속성의 정의 및 트렌드 순위 결정 방법

        오흥선(Heung-Seon Oh),최윤정(Yoonjung Choi),신욱현(Wookhyun Shin),정윤재(Yoonjae Jeong),맹성현(Sung-Hyon Myaeng) 한국정보과학회 2009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6 No.3

        특허, 뉴스, 블로그와 같이 시간 정보가 있는 문서들로부터의 자동적인 트렌드 분석(trend analysis)은 토픽탐지 및 추적 기술(TDT: Topic Detection and Tracking)과 더불어 중요한 연구 분야로 대두되고 있다. 과거 연구들은 대부분 트렌드과 관련된 단어의 출현 빈도 정보를 이용하여 주어진 개념의 중요도를 측정하고 이 개념의 시간에 따른 트렌드 라인을 보여주는 것에 초점을 맞췄다. 신출 트렌드(emerging trend)를 탐지하기 위해서는 주어진 개념의 출현 빈도수 변화와 같은 간단한 방법이나 학습 데이타와 비교하여 차이를 탐지하여 제시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여러 트렌드 중에서 특징적인 트렌드를 찾아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트렌드 순위 결정 함수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트렌드의 다양한 측면을 정량화하기 위하여 출현 빈도로 구성된 트렌드 곡선으로부터 네 가지 속성 (변동성, 지속성, 안정성, 누적량) 을 정의하고 이를 활용한 트렌드 순위 결정 방법을 제안한다. 일련의 실험을 통하여 각 속성의 유용성을 검증하고 속성들의 조합이 순위 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실험결과로부터 네 가지 속성을 모두 조합할 경우 특징적인 트렌드 탐지에 더욱 기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With advances in topic detection and tracking(TDT), automatic trend analysis from a collection of time-stamped documents, like patents, news papers, and blog pages, is a challenging research problem. Past research in this area has mainly focused on showing a trend line over time of a given concept by measuring the strength of trend-associated term frequency information. For detection of emerging trends, either a simple criterion such as frequency change was used, or an overall comparison was made against a training data. We note that in order to show most salient trends detected among many possibilities, it is critical to devise a ranking function. To this end, we define four properties(change, persistency, stability and volume) of trend lines drawn from frequency information, to quantify various aspects of trends, and propose a method by which trend lines can be ranked. The properties are examined individually and in combination in a series of experiments for their validity using the ranking algorithm. The results show that a judicious combination of the four properties is a better indicator for salient trends than any single criterion used in the past for ranking or detecting emerging trends.

      • 이태리 주얼리 트렌드 분석을 통한 장신구 개발 연구 -2012 주얼리 트렌드를 중심으로-

        이대현,안일훈 한국귀금속보석학회 2012 한국귀금속보석학회지 Vol.6 No.2

        본 논문에서는 주얼리 산업 선진국 중 하나인 이태리의 주얼리 트렌드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장신구를 개발함으로서 국내 주얼리 산업의 국제적 디자인 역량을 넓히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국내외 주얼리 산업은 전반적인 사회, 경제, 문화적 유행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 경제, 문화에 거대하게 흐르는 메가트렌드(megatrends)라는 조류 위에 기업들은 각자의 콘셉(concept)을 탑재하여 독창적이고 경쟁적으로 변화를 모색한다. 국제적으로 주얼리 트렌드를 제시하는 국가로는 미국, 영국, 일본, 터키, 이태리 등이 대표적이지만 이중 유럽 내 귀금속 생산의 70%를 차지하면서 주얼리 분야에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이태리는 연 3회 국제 주얼리 페어를 통해 지속적으로 국제 주얼리 트렌드를 제시하고 있다. 국내 주얼리 시장 역시 국제적인 트렌드를 일부 반영하여 주얼리를 생산하고 있고 이러한 움직임은 항상 변화의 중심에서 소비자에게 감동을 전하고 있다. 국내 주얼리 시장의 역사를 살펴 보면 86’아시안게임, 88’서울올림픽을 전후하여 정밀주조기술을 통한 대량생산 체제의 서막을 일으키면서 주얼리 디자인에 관한 관심도도 조금씩 높아지게 되었다. 또한 해외여행 자유화와 매스미디어(mass media)의 발달은 소비자의 디자인적인 안목을 높이는데 많은 효과를 제공 했다. 하지만 실질적인 근대 주얼리 디자인에 대한 국내 역사가 80년대 말에 시작을 하였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아직도 과도기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짧은 주얼리 역사 속에서도 국내 유명 브랜드 들은 홍콩, U.A.E., 미국 등에 수출을 함으로서 그 위상을 전 세계적으로 과시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디자인 트렌드를 감안한 완제품 보다는 제조 및 생산 등에 초점을 맞춘 반제품에 치중하고 있어 유행을 선도하는 주얼리 세계시장 진출을 위해 많은 노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태리의 주얼리 트렌드를 분석하기 위해 각종 현지의 트렌드 자료를 수집하여 연구하였고 이에 따른 분석 결과 중에서 초현실적 자연주의(ecoemagination), 극단적 장식주의(decorama), 두 가지 테마를 선정하여 분석하였고 이를 주얼리로 개발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절차로 2장에서는 트렌드의 개념을 비롯하여 국내 주얼리 시장에 대한 배경과 주얼리 트렌드 변화요인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3장에서는 이태리 주얼리 트렌드 관련 문헌자료와 주얼리 트렌드 정보지 등을 수집, 분석한 후 초현실적 자연주의(ecoemagination), 극단적 장식주의(decorama)라는 메가트렌드를 도출하였고 이를 토대로 주얼리를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결론 및 기업의 브랜드 정체성 확립이라는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한다.

      • KCI등재

        21세기 트렌드와 다문화사회 민주시민교육의 방향과 과제

        김용찬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6 사회과교육연구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gatrend and microtrend of the 21st Century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For this purpose, this paper makes an attempt to link the trend of the 21st century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The major matter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origin and limit of the concept of megatrend of the 21st century of the 21st century and four kinds of the 21st century and energy ­earth environmental problem (2) Microtrend of the 21st century (3)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in the 21st century (4) Trend of the 21st century and the task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era. And this study suggested the critical issues and improvement method of the existing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prospect of th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본 논문은 21세기 메가트렌드와 마이크로트렌드를 분석하고 21세기 트렌드와 다문화사회의 민주시민교육을 연계하여 논의하였다. 또한 21세기 트렌드에 비추어 본 다문화사회의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나아가서 21세기 트렌드에 비추어 본 다문화시대 민주시민교육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다음의 네 가지 문제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한다. 그것은 (1) 21세기 메가트렌드 개념의 유래와 한계 및 21세기 메가트렌드 네 가지와 필연적이고 파괴적인 위기들 (2) 21세기 마이크로트렌드 (3) 21세기 트렌드와 다문화사회의 민주시민교육 (4) 21세기 트렌드에 기반한 민주시민교육의 과제의 네 가지이다. 본 논문은 그동안 사회과교육 분야에서 본격적인 연구가 미흡했던 21세기 트렌드와 다문화사회의 민주시민교육을 연계하여 논의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필자는 21세기 민주시민교육의 관점에서 본 기존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비판적 쟁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결론 및 제언에 갈음하여, 21세기 트렌드에 기반한 다문화시대 민주시민교육의 과제로서 먼저 21세기 기후변화-에너지 위기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지능과 의식으로 자연친화지능과 생태지능 및 생물권의식의 함양을 논의하여 새로운 인간 지능과 의식의 유형을 제시하였다. 다음에 탈신자유주의-3차 산업혁명시대에 대처하기 위한 지능과 인간유형의 모형으로 인간친화지능과 호모 엠파티쿠스(Homo empaticus: 공감하는 인간)를 제시하여 인간 지능과 존재의 새로운 발견을 시도하였다.

      • KCI등재

        2020-2030 문화트렌드를 반영한 디자인제품 선호도 연구 -밀레니얼세대를 중심으로-

        엄경희,엄태경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2

        As a new strategy according to the change in market environment, the understanding and the analysis of cultural trend is the process to discover new opportunity for the enterprise and to create the products and services, which can satisfy the consumer based on the overall human knowledge and information. In addition, since the millennials, who occupy 30% of the world consumption and are the center of the global corporate management activity, are skilled with smart devices and can perform multitasking, they acquire the information through sharing and communication of diverse lifestyles and have a freedom of wide range of choice. As the real global generations experienced the growth in a rich environment and having many experience, the millennials having active attitude on the consumption for themselves, are the future generations focused by entire world. For such millennials who are the center of cultural trend, it is deemed to be necessary to establish the marketing strategy by the cultural emotion of millennials. In addition, the research fit to the timestream for the design products matched to the consumer’s needs is deemed to be necessary through the 2020-2030 cultural trend, which is coming around the millennials. Therefore,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marketing strategy establishment of the differentiated and competitive design products to be developed in future and the opportunity to create new market by investigating and analysing the preference of the design products reflected with the 2020-2030 cultural trend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analysis of the millennials. As the research methods, the analysis of preceding researches, literature review and internet data search were performed for the theoretical contemplation such as definition of cultural trend, millennials and the change of consumption, the case of design product reflected with 2020-2030 cultural trend, etc. The results was drawn by conducting online questionnaire survey utilizing basic statistical analysis and Likert 5-point scale. For the scope of research,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the millennials (19~39 years old)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y selecting 4 cultural trends of ‘individualism’,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sustainability’ and ‘automation’, which are launched as design products out of 6 2020-2030 cultural trends.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design product preference reflected with 2020-2030 cultural trend and the elements preferred when purchasing the design produc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trend, following results were drawn. First, it was observed that the most preferred product reflected with the 2020-2030 cultural trend with the overall pattern of general, age group, marital status, occupation, and the residential area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millennials was the design product reflected with the trend of ‘individualism’ and the design product of ‘sustainability’ also have higher preference followed by ‘automation’ and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in order. Second, it was observed that as the preferential element when purchasing the design produc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2020-2030 cultural trend of the millennials, for ‘individualism’, my own personality can be expressed and the exceptionalness felt by using and purchasing the product is considered important, for ‘virtuality and augmented reality’ the pleasure and happiness through experience were considered important. It was investigated that for ‘sustainability’, the environmentally positive impact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and the socially and economically positive impact was investigated as the important element and for ‘automation’, the guarantee the safety i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Therefore, the design products reflected with 2020-2030 cultural trend for the millennials are de... 시장 환경 변화에 따른 기업의 새로운 전략으로 문화트렌드의 이해와 분석은 인간의 총체적 지식정보를바탕으로 기업의 새로운 기회를 발굴하고, 소비자에게만족을 줄 수 있는 제품 또는 서비스의 제공을 창출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이다. 또한, 세계 소비 30%를차지하며 세계적 기업 경영활동의 중심이 되는 밀레니얼 세대는 스마트기기에 능숙하여 멀티테스킹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삶을 빠르고 쉽게 공유하고 소통을 통한 정보 습득과 폭넓은 선택의 자유를 가진다. 자기자신을 위한 소비에 적극적인 태도의 밀레니얼세대는 풍요로운 성장과 많은 경험을 겪은 진정한 글로벌 세대로 전세계에서 주목하는 미래 세대이다. 이러한 문화트렌드가 중심이 되는 밀레니얼 세대의 문화적 감성에 의한 마케팅 전략의 수립이 필요하다고사료된다. 또한 밀레니얼 세대를 중심으로 다가오는2020-2030 문화트렌드 분석을 통해 소비자 니즈에 맞는 디자인제품을 위한 시대 흐름에 적합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밀레니얼 세대인구통계학적 분석에 따른 2020-2030 문화트렌드를반영한 디자인 제품의 선호도를 조사 분석하여 앞으로 개발될 차별화되고 경쟁력 있는 디자인제품 마케팅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와 새로운 시장 창출 기회의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화트렌드에 대한 정의, 밀레니얼 세대와 소비 변화, 2020-2030 문화트렌드를 반영한 디자인제품 사례 등의 이론적 고찰을 위하여 선행연구 분석과 문헌 조사, 인터넷 자료조사를 실시하였다. 기초통계분석과 리커트(Likert) 5점 척도를 활용하여 온라인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범위로는 2020-2030 문화트렌드 6개 중 디자인 제품으로 출시 된 문화트렌드 4가지 ‘개인주의,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지속가능성’, ‘자동화’를 선정하여 밀레니얼 세대(19~39세)를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의한조사를 실시하였다. 따라서 2020-2030 문화트렌드를 반영한 디자인제품선호도와 문화트렌드 특성에 의한 디자인제품 구매시 선호하는 요소를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도출시켰다. 첫째, 밀레니얼 세대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성별, 연령대, 결혼여부, 직업, 학력, 거주지역의 전반적인 양상으로 2020-2030 문화트렌드를 반영한 디자인제품 중 가장 선호하는 제품은 ‘개인주의’ 트렌드를 반영한 디자인제품이며, 지속가능성’ 디자인제품 또한 높은 선호도를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자동화’,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순으로 높은선호도를 보였다. 둘째, 밀레니얼 세대의 2020-2030 문화트렌드 특성에 의한 디자인제품 구매 시 선호 요소로 ‘개인주의’는 나만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어야하고, 제품을 사용하고 구매함으로써 느껴지는 특별함을 중요하게 여기며,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은 체험을통한 즐거움과 행복감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을 알 수있었다. ‘지속가능성’은 환경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이가장 중요 요소이며 사회적, 경제적인 긍정적인 영향도 중요하게 여기는 요소로 조사되었으며, ‘자동화’는안전의 보장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향후 밀레니얼 세대를 중심으로 한 2020- 2030 문화트렌드를 반영한 디자인제품은 ‘개인주의’ 트렌드를 반영하여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개인 맞춤형 제품, 소비자에게 특별함을 부여하는 디자인으로개발 ...

      • KCI등재

        감성디자인 트렌드에 의한 DMB 휴대폰 디자인 연구

        홍성수(Sung Soo H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5 No.4

        하나의 디자인이 완성되기까지는 수많은 요인들이 충족되어야한다. 그 요인들 중에서 매우 중요한 것은 첫째는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즉 사용자(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켜 사용자의 생활과 디자인 가치를 함께 높일 수 있는 디자인이라 할 수 있으며, 둘째로는 현재의 디자인 트렌드 변화와 향후의 변화를 정확히 조사, 분석, 예측하고 이를 디자인에 반영하여 사회와 인간에 공헌할 수 있어야 한다. 그 외에도 여러 요인들이 많이 있지만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가장 먼저 선택되어야할 과정이 디자인 트렌드에 대한 조사, 분석, 예측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의 디자인 트렌드 변화를 보면 환경친화디자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감성디자인, 디지털 컨버전스 디자인, 미니멀리즘 디자인, 네오 아날로그 디자인, 엔터테인먼트 디자인 등의 트렌드가 주도하고 있으며 이 중에서도 최근에는 감성디자인 트렌드가 가장 많이 디자인 개발에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감성디자인 트렌드 요소를 가장 많이 적용하고 있는 제품 중에서 DMB 휴대폰을 선정하였으며 DMB 휴대폰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에서 감성디자인 트렌드 요소들이 어떻게 적용되며 그에 따른 트렌드 키워드 이미지 들이 디자인 개발을 위한 아이디어 창출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는 과정들을 실제 디자인 사례를 들어 연구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의 연구내용은 DMB 휴대폰의 특징에 따른 감성디자인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이에 따라 DMB 휴대폰 디자인 개발을 위한 감성디자인 트렌드 요소를 분석 도출하여 이를 DMB 휴대폰 디자인에 어떻게 접목 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의 감성디자인 트렌드에 대한 연구와 함께 연구 분석된 감성디자인 요소를 DMB 휴대폰 디자인에 적용하여 신개념의 DMB 휴대폰 디자인을 실제적인 디자인 개발과정을 통하여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 및 범위는 DMB 휴대폰에 대한 개념과 감성디자인 트렌드의 개념에 대한 연구를 위하여 선행연구와 참고문헌을 토대로 연구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감성디자인 트렌드를 접목한 실제적인 DMB 휴대폰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방법으로 연구범위를 정하였다. 또한 연구결과로는 이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향후디자이너들이 감성디자인 트렌드 요소들을 신제품 디자인 개발 시에 적극 활용함으로써 디자인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A numerous elements will have to be fulfilled until a design is completed. The most critical element, among others, is the user-oriented design, that is, a design that will enhance the user`s life and design value by fulfilling user`s (consumer`s) needs. Secondly, it shall be able to accurately investigate, analyze and forecast the changes to current design trend as well as the trend in the coming days so as to incorporate them into the design, making commitment to the society and the people. Besides, the process to be adopted the first, among many other elements, is the investigation, analysis and forecast of design trend. Viewing the current design trend, included in the leading trends are environmental friendly design, user interface design, emotional design, digital convergence design, minimalism design, neo analogue design and entertainment design. And emotional design trend, among other design trends, has been applied the most to design development. In this study, DMB mobile phone design was selected as the product that makes use of the elements of emotional design trend the most, and the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how the elements of emotional design trend have been applied in DMB mobile phone design development process, and evaluate the process to identify the commitment by the trend keyword image to creating the idea for design development, through the real cases of the design. The study thus was aimed to better understand the concept of emotional design considering the features of DMB mobile phone so as to identify the trend elements of emotional design for design development of DMB mobile phone, thereby working out the measures for incorporating it into the DMB mobile phone design. Hence, the study was intended to apply the emotional design elements analyzed together with the current study on emotional design trend so as to propose the new concept of DMB mobile phone design in the actual process of developing the design. When it comes to methodology and scope of the study, they were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documents and the scope of study was determined in such a way to proceed it through the actual design development process by incorporating emotional design trend. The outcome of the study is expected to make great commitment to developing the design industry when the elements of emotional design trend are utilized by the designers for developing the new product in future.

      • KCI등재후보

        대한민국 사회문화 트렌드 분석

        김종근(Kim, Jong-keu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4 문화산업연구 Vol.14 No.1

        다양한 환경변화들 중 사회문화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다른 환경요소들과 달리 사회문화적 환경에는 ‘가치’라는 고유한 특이 있다. 즉 사회문화적 가치란 개인의 사고, 선택, 가치관을 뛰어넘는 다중의 지향점이다. 그러나 이것은 한 사람 한 사람의 자발적 가치를 산술적으로 더해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소위 ‘시대정신’이라는 말이 의미하는 바와 같이 여러 사회문화적 환경이 개인의 선택을 넘는 강제력을 행사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대정신으로서의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되는 대표적인 트렌드를 도출한 후 해당 트렌드와 관련성이 높은 관련 트렌드를 파악하고, 이와 관련된 다양한 현상이나 신조어 등을 함께 제시함으로써 해당 트렌드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물론 정량적인 연구방법이 갖고 있는 다양한 장점들을 가지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보다 정성적인 접근을 함으로써 기존 정량적인 접근방법에 대한 보완적 가치로서도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모두 14개의 대표적인 트렌드가 도출되었으며, SNS 문화, 디지털 디스토피아, 웨저, 우먼파워, 웰빙, 매크로바이오틱, 미디어의 노예, 고령화, 싱글문화, 스테이케이션, 휴식, 창조 지식사회, 다문화, 위버럭셔리 등이 포함되어 있다. This study focus on the aspect of social culture among the various environmental changes in Korea. There is a unique character of‘value’in sociocultural environment, unlike the other environmental aspects. In other words, sociocultural value means multiple directing point and superordinate concept including individual thinking, choice, and values. This is not an arithmetical sum of individual value but ‘the spirit of the times’that has an influence on individual choice. This study extracts some representative trends that are considered as the sprit of the times, and analyzes the associated trends that have high correlation with the representative trends. Futhermore, this study shows various phenomenon and neologism that have relevance to those trends and will help understanding about those trends. Though a quantitative research has many advantages, this research approaches qualitatively and is differentiated from the other existing researches. This study extracted 14 representative trends, that is, including SNS culture, digital dystopia, weisure, woman power, well-being, macrobiotic, slaves of media, aging society, singles culture, staycation, relaxation, creation knowledge society, multicultural society, uber-luxury. 다양한 환경변화들 중 사회문화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다른 환경요소들과 달리 사회문화적 환경에는 ‘가치’라는 고유한 특이 있다. 즉 사회문화적 가치란 개인의 사고, 선택, 가치관을 뛰어넘는 다중의 지향점이다. 그러나 이것은 한 사람 한 사람의 자발적 가치를 산술적으로 더해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소위 ‘시대정신’이라는 말이 의미하는 바와 같이 여러 사회문화적 환경이 개인의 선택을 넘는 강제력을 행사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대정신으로서의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되는 대표적인 트렌드를 도출한 후 해당 트렌드와 관련성이 높은 관련 트렌드를 파악하고, 이와 관련된 다양한 현상이나 신조어 등을 함께 제시함으로써 해당 트렌드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물론 정량적인 연구방법이 갖고 있는 다양한 장점들을 가지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보다 정성적인 접근을 함으로써 기존 정량적인 접근방법에 대한 보완적 가치로서도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모두 14개의 대표적인 트렌드가 도출되었으며, SNS 문화, 디지털 디스토피아, 웨저, 우먼파워, 웰빙, 매크로바이오틱, 미디어의 노예, 고령화, 싱글문화, 스테이케이션, 휴식, 창조 지식사회, 다문화, 위버럭셔리 등이 포함되어 있다. This study focus on the aspect of social culture among the various environmental changes in Korea. There is a unique character of‘value’in sociocultural environment, unlike the other environmental aspects. In other words, sociocultural value means multiple directing point and superordinate concept including individual thinking, choice, and values. This is not an arithmetical sum of individual value but ‘the spirit of the times’that has an influence on individual choice. This study extracts some representative trends that are considered as the sprit of the times, and analyzes the associated trends that have high correlation with the representative trends. Futhermore, this study shows various phenomenon and neologism that have relevance to those trends and will help understanding about those trends. Though a quantitative research has many advantages, this research approaches qualitatively and is differentiated from the other existing researches. This study extracted 14 representative trends, that is, including SNS culture, digital dystopia, weisure, woman power, well-being, macrobiotic, slaves of media, aging society, singles culture, staycation, relaxation, creation knowledge society, multicultural society, uber-luxury.

      • KCI등재

        한국의 미래 의생활 트렌드에 관한 연구 - 2040년까지의 미래보고서를 중심으로 -

        배윤지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6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6 No.4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사회에서 의류 분야에 있어서도 통섭적이고 장기적인 안목을 지닌 미래에 대한 연구가 반드시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미래 연구의 출발점은 미래 사회가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 중장기적인안목으로 그 흐름을 통찰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의류분야의 중장기적인 미래에 대한 예측에 앞서 미래예측전문가들이 예견하는 미래의 사회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메가트렌드에 대하여 고찰하고 한국의 상황에 특수하게 나타나는 차별화된 트렌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도출된 한국 트렌드와 의생활트렌드의 핵심 요소를 범주화하였으며 STEEP(social, technical, economic, ecological, political)의 관점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미래 트렌드는 크게 사회적 측면에서 ‘고령화 사회’, 기술측면에서 ‘IT(information technology)/BT(bio technology)/NT(nano technology)의 발전’, 환경 측면에서 ‘기후의변화와 자원의 고갈’, 경제와 정치적 측면에서 ‘남북갈등의 완화’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의 미래 의생활 트렌드는 사회적 측면과 연관되어 ‘실버 세대 중심’, 기술과 관련하여 ‘IT/BT/NT와 의복의 결합’, ‘3D 기술과 의복의 결합’, ‘신소재의 도입’, 환경과 관련하여 ‘친환경과 자원 절약의 풍조’로 나타났으며 경제와 정치 분야와연관된 의생활에 관한 트렌드는 언급된 경우가 매우 드문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다가올 미래 트렌드와이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사회적 현상들은 의생활에 상호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거시적관점에서 미래 의생활의 변화는 IT를 포함하는 최첨단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의복이 주를 이루었고 그목적과 기능이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미래 의복과 그 관련 산업에서 보다 주목해야 할 부분이 바로 테크놀로지와 의복의 융합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중장기적인 미래예측을 통한 의복과 의류산업의 미래에 대한 전략과 대안을 마련할 때에 보다 효율적이고 신속한 대응이가능할 것이며 미래의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In the rapidly changing world of modern society, research on the future with a conspicuous and long-term perspective in the field of clothing is essential. The starting point of this future study is to begin with an insight into how the future society will change over the medium and long-term perspective. In this study, various megatrends that can be expected in the future society predicted by future forecasting experts are discussed before the medium and long-term forecasts of the clothing sector. Then, I derived differentiated trends that are specific to the situation in Korea. The key elements of the trends of Korea are categorized and analyzed in terms of STEEP(social, technical, economic, ecological, politica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Korea's future trends are largely divided into these categories including: ‘aging society’ from the social perspective, ‘development of IT(information technology) /BT(bio technology)/NT(nano technology)’ from the technical perspective, ‘climate change and resource depletion’, ‘relaxation of inter-Korean conflict' from the economic and political perspective. Second, the future clothing trend of Korea appears as ‘silver generation center', ‘combination of IT/BT/NT and clothes', ‘combination of 3D technology and clothing' and an ‘environment-friendly and resource-saving trend'. Third, the future trends and the various social phenomena resulting from them have interrelationship with clothing. From a macroscopic point of view, the change of the future clothing was mainly made up of clothing based on state-of-the-art science and technology including IT, and its purpose and function varied. This tendency suggests that the convergence of technology and clothing is the key of the future clothing and fashion industries in the medium long-term perspective. Therefore, future clothing and apparel industry can respond more efficiently and swiftly to the future situation with strategies and alternatives through mid to long-term forecas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