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말초 opioid 수용체에 의한 저작근 통증의 조절 효과

        고석호,강수경,어규식,김은철,홍정표,전양현,Ko, Seok-Ho,Kang, Soo-Kyung,Auh, Q-Schick,Kim, Eun-Cheol,Hong, Jung-Pyo,Chun, Yang-Hyun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2013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Vol.38 No.2

        이 연구는 저작근 통증 환자에게 Morphine을 주사하였을 때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시행되었으며, 경희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환자 중 RDC/TMD로 근막통증으로 진단된 환자들이 지원하였다. 실험군은 총 네 군으로 구성되었으며 saline 주사군, lidocaine 주사군, morphine 1.5mg 주사군, morphine 3.0 mg 주사군에 각각 10명씩 배정하였다. 통증부위에 주사 전, 주사 후 1시간, 24시간, 48시간에 각각 주관적인 통증 평가인 시각유추척도검사, 맥길통증설문지검사 그리고 통증부위표시검사와 객관적인 통증 평가인 압력통증역치검사와 압력통증한계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후 평가된 자료를 통계 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주관적인 통증평가에서 morphine 3 mg 군은 48시간 후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효과가 있었다.(VAS: p<0.01, MGQ: p<0.001, PD: p<0.05) 2. 객관적인 통증평가에서 morphine 1.5 mg 군은 1시간 후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효과가 있었다.(PPT: p<0.01, PPTol: p<0.05) 3. 맥길통증설문지에서 lidocaine 군, morphine 1.5 mg 군 그리고 morphine 3 mg 군은 모두 처치 후 1시간부터 효과가 있었으나 상대적으로 morphine 3 mg 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더 큰 효과가 있었다.(1h: p<0.01, 24h: p<0.01, 48h: p<0.001) 이상의 연구 결과로 저작근에 통증이 있는 환자에게 morphine 주사 시 주관적인 평가에서 48시간 후 통증 조절 효과가 있었고, morphine 3 mg이 더 효과가 있었으며, 향후 시간 연장에 따른 지속적인 추가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pain control effect by morphine injection to masticatory muscle pain patients. Patients with masticatory muscle pain visited the Department of Or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Dental Hospital were recruited to this study and diagnosed by RDC/TMD. Experimental group were divided into four group; saline injection group (n=10), lidocaine injection group (n=10), morphine 1.5 mg injection group (n=10) and morphine 3 mg injection group (n=10). Evaluation list was the subjective pain evaluation(visual analogue scale, Mc Gill pain questionnaire, pain drawing) and the objective pain evaluation(pressure pain threshold, pressure pain tolerance) and evaluation time was injection before, after 1 hour, 24 hour, 48 hour and then it was analyzed statistical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subjective pain evalua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statistically in morphine 3 mg group after 48 hour. (VAS: p<0.01, MGQ: p<0.001, PD: p<0.05) 2. The objective pain evalua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statistically in morphine 1.5 mg group after 1 hour. (PPT: p<0.01, PPTol: p<0.05) 3. The morphine 3 mg group were more significantly different than lidocaine group and morphine 1.5 mg group statistically in the McGill pain questionnaire evaluation. (1h: p<0.01, 24h: p<0.01, 48h: p<0.001) Therefore, it was revealed that the morphine 3 mg injection was effective to pain control for masticatory muscle pain patients within 48 hours and more effect than lidocaine injection.

      • KCI등재

        자가통증조절장치를 이용한 통증관리 교육이 수술환자의 통증에 미치는 효과

        성미혜,김미영,엄옥봉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0 No.4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pain management in postoperative patients by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preoperative patient-controlled analgesia (PCA) education on postoperative pain. Methods: Our subjects included 56 patients admitted for gynecologic surgery at a university hospital setting. They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n=28) and control (n=28) groups. Knowledge of PCA use, attitude toward the use of analgesic drugs, severity of pain, and pain control satisfaction were investigated through questionnaires completed before the pain management education and during the postoperative period. Results: The knowledge of PCA use was better in the experimental group, but it was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Pain was more sev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but it was also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The attitude toward the use of analgesic drugs was significantly more positive, and the level of atisfaction of pain contro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s: Preoperative education using PCA could help patients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use of analgesic drugs and promote better satisfaction of pain control. 연구배경: 본 연구는 수술 전 제공한 자가통증조절 장치를 이용한 통증교육이 수술환자의 통증조절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수술 후 환자의 통증조절에 대한 간호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설계를 이용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방법: 연구대상은 2007년 4월 9일부터 8월 24일까지 서울시내에 소재하는 P의료원에서 산부인과 수술(전자궁적출술)후 정맥 자가통증조절 장치를 사용하는 환자 중 선정 기준에 부합한 실험군 28명, 대조군 28명 총 56명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으로 동질성 검증은 χ²-test와 t-test로, 가설 검증은 paired t-test와 t-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전 통증관리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통증관리 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수술 후 자가통증조절장치 사용에 대한 지식정도가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 1은 기각되었다. ‘수술 전 통증관리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통증관리 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수술 후 통증약물 사용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 것이다’라는 가설 2는 지지되었다. ‘수술 전 통증관리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통증관리 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수술 후 통증정도가 낮을것이다’라는 가설 3은 기각되었다. ‘수술 전 통증관리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통증관리 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수술 후 통증조절 만족도가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 4는 지지되었다. 결론: 수술 전 체계적이고 개별화된 자가통증조절장치를 이용한 통증관리 교육은 대상자의 수술 후 통증약물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켜 수술 후 통증정도를 감소시키고 통증조절 만족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인 간호중 재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행동억제체계 수준과 반추유형에 따른 통증경험

        고은별,한석원,조성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21 인지행동치료 Vol.21 No.2

        만성통증의 2-요인 행동억제체계(BIS: behavioral inhibition system)-행동활성화체계(BAS: behavioral activation system) 모형에 따르면 통증이나 통증 관련 단서는 BIS를 활성화한다. BIS의 활성화는 통증과 관련된 부정 적인 인지․정서․행동을 유발시키는데, 이때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을 통해 활성화된 부정정서와 행동을 조절할 수 있다. 만성통증 환자에게서 흔히 발견할 수 있는 대표적 인지전략은 반추로, 반추는 부 적응적인 의미의 수심과 적응적인 의미의 숙고로 구분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BIS(고, 저)집단에게 반추 유형을 조작하여 통증 관련 경험에 차이가 있는지 실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했다. 대전광역시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37명 중 BIS 점수에서 ±1.5SD가 넘는 61명(고,저)을 모집하여 두 가지 반추유형 조건(수 심적 사고, 숙고적 사고)에 무작위 배정한 후 실험을 실시했다. 실험 결과, 첫째, 숙고적 사고 조건이 수심 적 사고 조건에서보다 통증을 인내하는 시간이 더 길었다. 둘째, BIS 고집단에서 숙고적 사고를 한 조건은 수심적 사고를 한 조건에서보다 역치가 높고 회상된 통증강도가 낮았다. 반면 BIS 저집단에서는 반추유형 조건 간 역치와 회상된 통증강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통증을 경험할 때 BIS 고집단은 BIS 저집 단보다 동공이 더욱 확장됐다. 이러한 결과는 BIS가 높은 사람의 경우, 통증 관련 단서에 더욱 예민하며 수심 및 숙고적 사고가 주관적 통증경험을 변화시킬 중요한 요인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According to A 2-Factor BIS-BAS Model of Chronic Pain, pain or pain-related clues activate BIS because pain is experienced as aversive by most individuals. This BIS activation would facilitate negative cognitive processes, negative mood and behavioral inhibition related to pain, which can be controlled through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he typical cognitive emotion strategy commonly found in (chronic)pain patients are rumination can be divided brooding and refe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erimentally investigate the differential effects of BIS level(high, low) and types of Rumination (Brooding, Reflection) on pain outcomes(tolerance, retrospective pain intensity, threshold, 15 seconds pain intensity, and pupil response). 62 healthy university students with a BIS scale score of more than ±1.5SD were recruited and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Brooding condition or the Reflection con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Reflection conditions in the BIS high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the participant’s pain tolerance and reduced their retrospective pain intensity. Furthermore regardless of BIS level, Reflection conditions reported higher pain threshold than Brooding condition. The pupil dilation was larger for the BIS high group in the period from 11s to 19s after participant’s immersed their hand in wat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subjective pain experiences may change depending on the type of rumination in the BIS-high group, and pupil response may be affected by personality traits after a certain point in time when pain began to be experienced.

      • KCI등재

        통증관련 단어에 대한 주의편향이 만성통증 환자의 일일 통증강도와 일상기능 관계에 미치는 영향: 일지연구

        김혜지,정윤희,왕경석,조성근 한국건강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5 No.5

        Attentional bias is a selective attention to specific information in the environment and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se two types of attentional bias impact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chronic p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f the type of attentional bias in patients with chronic pain has a differential impact on their daily function. We recruited 33 patients with chronic pain in the Oriental medical clinic. The subjects completed a questionnaire and then performed an engagement-disengagement task involving pain-related and neutral word pairs and eye tracker. They completed the online diary for 14 days from the day following the task.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HLM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when the subjects’ engagement with pain-related words was slow, the greater the intensity of pain, the greater the avoidance of daily activities. Also, when the subjects’ disengagement from pain-related words was rapid, the greater the intensity of pain, the greater the avoidance of daily activities. Additionally, when the subjects’ attentional maintenance in pain-related words was longer than in the neutral words, the greater the intensity of pain, the greater the distractibility of daily activities.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type of attentional bias in chronic pain patients has different impacts on their daily func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atients with chronic pain who slowly engage with or quickly disengage from pain-related words may have difficulties in different areas of their daily function. 통증이 있는 경우, 위협이 되는 자극에 주의를 과도하게 지속하거나 회피하는 것은 통증을 만성화시키는 데 취약성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주의편향 유형이 만성통증 환자의 일일 통증강도와 일상기능의 관계를 차별적으로 조절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했다. 이에 대전 소재 한의원에서 만성통증 환자 41명을 모집했다. 연구 참여자는 설문지 작성 후, 아이트래커(eye-tracker)를 통해 주의개입-주의이탈 과제를 수행했고, 이후 14일 동안 매일 통증일지를 작성했다. 수집된 데이터를 HLM(Hierarchical Linear Modeling) 통계 프로그램으로 다층분석한 결과, 일일 통증강도와 일일 활동회피, 일일 집중곤란 간 주의편향의 조절효과가 유의했다. 구체적으로, 지속 주의과정에서 통증관련 단어를 느리게 응시하거나 빠르게 이탈할 때, 일일 통증강도가 높을수록 일상에서 활동을 더 많이 회피했다. 또한 통증관련 단어를 중립단어보다 오래 응시할 때, 일일 통증강도가 높을수록 일상에서 집중을 더 어려워했다. 반면, 초기 주의과정에서는 주의편향이 일일 통증강도와 일일 활동회피, 일일 집중곤란 간의 관계를 조절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만성통증 환자의 주의편향과 일일 통증강도, 그리고 일상기능 간의 관계를 보여주며, 만성통증의 예방 및 관리 개입에 대한 방향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침술 적용이 지연성근통증에 미치는 영향

        오재근,지무엽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는 침술 적용이 지연성근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20대 남자 대학생 16명을 대 상으로 침술적용군(AG)과 정적스트레칭(SSG)으로 임의 배정하였다. 지연성근통증을 유발한 후 24시간, 48시간, 72 시간, 96시간 마다 중재 적용 후 관절가동범위, 고유수용성감각, 등속성근력, 자각적통증지수(VAS)를 측정하였다. 결 과는 관절가동범위, 등속성근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자각적통증지수에서 72시간(p=.010)과 96시간(p=.010) 의 통증수준에서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능동관절위치감각의 72시간(p=.043)과 96시간(p=.007), 수동 관절위치감각의 96시간(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지연성근통증이 발생했을 때 침술의 적용이 스트레칭 의 적용보다 통증감소와 고유수용성감각 회복에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upuncture on DOMS(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16 male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acupuncture group (AG) and static stretch group (SSG). The range of motion of elbow joint, proprioception of elbow joint(AJPS, PJPS), isokinetic strength, and visual analogue scale(VAS) were measured at pre and 24h, 48h, 72h, 96h after causing delayed muscle pain. The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ange of motion and isokinetic strength. The proprioception was significantly less at 72h(p=.010) and 96h(p=.010) in the AG compared to SSG. The AJPS was significantly decrease at 72h(p=.043) and 96h(p=.007) and PJPS was significantly decrease at 96h(p=.001) in the AG compared to SSG. With this results,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occurs, application of acupuncture is considered more effective than passive stretching for reducing pain and recovering proprioception.

      • 痛證硏究를 위한 東·西醫學의 觀點

        金載孝,孫仁喆,金庚稙 한국전통의학연구소 1997 한국전통의학지 Vol.7 No.2

        東西洋을 막론하고 痛證에 대한 人類의 認識은 곧 疾病이라는 관점을 세워왔다. 이러한 관점은 東洋의 最古의 字典인《設文解字》에서 뒷받침하여 "痛,病也病也"라는 의미로 痛證의 뜻을 疾病과 같은 개념으로 언급 하였고, 西洋에서는 "신에 의하여 지배되는 피할수 없는 중노동"이나 "전쟁에서의 부상이나 출산시 등 신에 의하여 운명지워진 아픔 또는 징벌"이란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醫學的 견지에서 痛證의 정의를 살펴보면, 韓醫學에서는 "不通則痛, 不痛則痛"이라는 관점으로 모든 痛證을 이해한 반면 서양에서는 "실질적 또는 잠재적 조직 소상에 따른 불쾌한 감각과 정서적인 경험이다."라고 정의를 내림으로써, 痛證이라는 현상을 단지 물리적인 현상으로만 이해하기보다는 심리적인 요인이 관여하고 있음을 인정하였다. 이러한 痛證의 연구방향에 있어서, 西洋에서는 痛證에 대하여 神經系와 內分泌係를 통해 硏究를 진행되어 왔지만, 이러한 硏究結果에 心理的 要因에 대한 이해는 반영되지 못하였다. 반면 韓醫學에서는 痛證을 氣血 의 非正常的인 運行의 結果라는 認識 속에서 外感,內傷,情志 等 다양한 原因을 내세워 臨床的으로 활용하고 있었으나, 氣血理論을 現代的인 觀點으로 導出시키는데 不足하였다. 治療方面 에 있어서도 西洋醫學은 關門調節機構, 內在鎭痛系 等을 통해 痛證治療에 응용하고 있으며, 그밖에 禁物과 手術療去을 통해 神經傳導의 遮斷을 통한 鎭痛을 추구 하였지만, 韓醫學에서는 粟物療法은 整體觀的 觀點에서 原因을 治療 하고자 하였으며, 鍼灸療法은 氣血疏通에 障碍를 받는 部位를 解消시키고자하는 方向에서 應用되고 있고, 이러한 鍼灸療法을 통한 通證치료 機轉理解 鍼灸療法의 對象이 되는 氣血·經絡·經穴에 대한 客觀化 作嶪이 神經生理 및 雹氣生理的인 方法이 爲主가 되어 進行되고 있으며, 現在까지의 結果 속에서 볼때 經絡·經穴은 整體觀的인 이해보다는 오히려 神經解剖나 神經生理的인 理解로써만 가능하였다. 본 연구는 痛證 이라는 개념을 체계적으로 인식하기 위하여 病因,病梭,分類,지금까지의 연구방법, 그리고 台療法에 대한 東西洋의 觀點을 전개하여, 痛證硏究를 위한 方向을 정리하고자 하였다. Although the pain is withdraw response and learning in the physiological condition, most of pains have been considered that was the etiology of disease, the processes and the result in worse of the disease' states. Since the ancients, man' conceptions of pain have continually changed and the conceptions have been very subjective. In 1986, Wall and his colleagues recognized that pains are the unpleased sensations and emotional experiences following tissure injuries. This recognition has made pain involed pschycophysical facor and it was similar oriental medicine' theory. Originally western' scientists have considered that the sensation was mediated by the nervous system and their problems were nervous systems' interference. Until now many scientists ard evaluating the effect of pain control about the nervous system and endocrine system. However, oriental medicine's main conceptions are "Qi-Xue"(氣血) theorys and the etiology of pain has been considered that "Qi" was to be obstructed in the 14 collateral vessel or 361 acu-points. We evaluated about pain' concepion in western medicine and oriental medicine. Espescially, in this examination, it was involed that the physiology of the nociceptive sensation, the etiology of pain, mechanism, c1assificaion, therapeutic methods and a view of acupuncture' effects and new methods about pain studies.

      • KCI등재

        신경병증성 통증의 처리 과정에 있어 중추신경계의 가소성 변화 비교

        권민지 ( Minjee Kwon ) 한국감성과학회 2021 감성과학 Vol.24 No.2

        국제통증연구학회(IASP)에 따르면, 신경병증성 통증은 정상 조건에서 중추신경계에 유해한 정보를 전달하는 신경계 기능 장애로 특징 지워진다. 이런 통증은 말초 혹은 중추 신경계에 확인 가능한 병변이 있는 질환과 어떠한 신경에도 병변이 없는 상태에서 발생하는 상황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두 가지 상황 모두 장기적이고 만성적인 변화과정을 겪게 되며, 결과적으로 신경계가 부적절하게 적응하여 치유되기 어려운 만성통증 증후군으로 발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통증 치료는 진단에서부터 치료까지의 과정이 어려운 탓에 현재까지도 특별한 해결방안이 부족한 실정이다. 최근 자기공명영상(fMRI), 양전자방출단층촬영법(PET), 광영상(optical imaging) 등 영상분석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 유해 자극에 대한 중추신경계의 반응을 영상화하는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영상 기법들을 통해 통증을 해석하고 처리하는 뇌 영역에서 시냅스 간 가소성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신경병증성 통증을 비롯한 만성통증과 학습과의 상호 작용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본 연구는 병리적 통증의 기전과 통증 자극에 따른 뇌의 구조적, 기능적 변화에 대해 최근까지 밝혀진 연구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만성적 통증의 정의와 발생기전을 되짚고 새로운 연구 동향을 살펴보는 것은 통증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According to International Associating for the Study of Pain (IASP) definition, neuropathic pain is a disorder characterized by dysfunction of the nervous system that, under normal conditions, mediates virulent information to the central nervous system (CNS). This pain can be divided into a disease with provable lesions in the peripheral or central nervous system and states with an incorporeal lesion of any nerves. Both conditions undergo long-term and chronic processes of change, which can eventually develop into chronic pain syndrome, that is, nervous system is inappropriately adapted and difficult to heal. However, the treatment of neuropathic pain itself is incurable from diagnosis to treatment process, and there is still a lack of notable solutions. Recently, several studies have observed the responses of CNS to harmful stimuli using image analysis technologies, such as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and optical imaging. These techniques have confirmed that the change in synaptic-plasticity was generated in brain regions which perceive and handle pain information. Furthermore, these techniques helped in understanding the interaction of learning mechanisms and chronic pain, including neuropathic pain. The study aims to describe recent findings that revealed the mechanisms of pathological pain and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changes in the brain. Reflecting on the definition of chronic pain and inspecting the latest reports will help develop approaches to alleviate pain.

      • 痛症의 暗箱的評價法에 관한 考察

        신승우,정석희,이종수,신현대,김성수 동국대학교 한의학연구소 2000 東國韓醫學硏究所論文集 Vol.8 No.2

        통증은 환자들로 하여금 내원하게 하는 주된 증상중의 하나로, 치료방법의 선택 및 효과 판정을 위해서는 적절한 평가가 필요하다. 통증은 실험적인 방법과 임상적인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데, 통증의 주관적인 성격상 임상적인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통증의 임상적측정법은 일차원적 측정법과 다차원적측정법으로 대별할 수 있는데, 일차원적 측정법으로는 시각적상사척도(Visual Analogue Scale), 구술적평정척도(Verbal Rating Scale), 수치평정척도(Numerical Rating Scale), 통증표정척도(Pain Faces Scale), 그리고 포커칩 도구(Poker Chip Tool)등이 있고, 다차원적 측정법으로는 McGill 동통질문서(McGill Pain Questionnaire), 다면적인성검사(MMPI), 통증행동척도(Pain Behavior Scale), 통증장애지표(Pain Disability Index), 그리고 통증평정척도(Pain Raing Scale)등이 있다. 일차원적 측정법은 주로 환자의 자기통증평가법에 기초하여 통증의 강도를 측정하는데, 측정방법의 단순함과 신속성으로 인해 급성통증을 평가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다차원적인 측정법은 통증의 주관적, 정신적 그리고 행동적인 면을 측정하는데, 측정방법이 포괄적이고 신뢰성이 있어서 만성통증을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환자의 언어와 인지능력은 정확한 통증을 평가하는데 장애가 되는 주된 요인이다. 통증에 따른 행동반응이나 생체반응은 환자의 통증을 완전히 대변하지 못하지만 이러한 상황에 있어 유용한 통증평가지표가 될 수 있다. 통증평가법을 결정할 때에는 먼저 측정하려고 하는 통증의 성격을 고려하여 어떠한 면을 측정할 것인가를 결정해야하며 아울러 환자의 언어와 인지능력을 고려해야 한다. 적절한 평가법의 선택은 환자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 유효한 결론에 이르게 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Pain can be evaluated by experimental methods and clinical methods, but due to subjective characteristics of pain, clinical methods are generally used. The clinical pain measurement tools are divided into unidimensional and multidimensional assessment tools. The former include Visual Analogue Scale, Verbal Rating Scale, Numerical Rating Scale, Pain Faces Scale, and Poker Chip Tool and the latter include McGill Pain Questionnaire, MMPI, Pain Behavior Scale, Pain disability index, and Pain Rating Scale. Unidimensional pain scales mainly measure the intensity of pain on the basis of the patient s self report and their simple construction and ease of use enable the invesgator to assess acute pain. Multidemensional pain scales are used to evaluate subjective,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aspects of pain and because of its comprehensive and confidential properties they are applied to chronic pain. Patient s linguistic and cognitive abilities are major factors to restrain accurate assessment of pain. Although behavioral patterns and vital sign are inferior to self-report in the measurement of pain, they can be useful indexes in those situations. When deciding on a pain-assessment tool, the investigator must determine which aspect of pain he or she wishes to evaluate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of patients, their backgrounds, and their communication skills. Making the proper choice will facilitate the acquisition of meaningful data and the formulation of valid conclusions.

      • KCI등재

        통증 및 질병에 대한 그리스도교적 소비

        이충범(Lee, Choong-Bum)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8 신학사상 Vol.0 No.180

        단순히 불편하거나 악으로 여겨지는 신체적 통증은 생리학이나 과학의 대상만이 아니다. 신체적 통증은 문화이자 언어이며, 사회, 종교, 정치, 은유, 젠더 등이 개입된 내러티브를 구성한다. 그러므로 통증은 이해되어지고 소비되어 진다. 통증이 소비되는 첫 번째 유형은 관음증적인 형태이다. 이에 따르면 통증, 특히 타인의 통증은 오랜 동안 인류의 가장 큰 구경거리였다. 그리스도교 문화도 예외는 아니어서 다양한 형태로 잔혹한 통증의 장면들을 구경꾼들에게 제공했다. 그리스도교 회화는 성서의 이야기 중의 잔혹한 장면을 여과 없이 강조하여 보여줬고, 문학은 신체 절단을 가감 없이 친절하게 묘사한다. 두 번째 통증이 소비되는 유형은 매우 창조적이다. 이 유형은 자신과 타인에게 통증을 가하는 방식으로 새로운 신학을 창조하였고, 통증으로 멸각된 자아를 갱신된 자아로 재구성하였다. 또한 스스로 가하는 통증을 발전시켜 확고한 권력의 축적 등을 이루어냈다. 타인에게 가하는 통증, 즉 학살과 고문으로 그리스도교 신앙의 확고함, 정체성을 현시하고 그들만의 공의를 지켜 내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그리스도교 역사 속에서 통증은 돌봄, 치유, 상담의 기능으로 사용되었다. 부활의 신학을 통해 타인의 통증을 위안의 키워드로 소비 하는가 하면 스스로 가하는 통증의 테크놀로지를 통해 고통의 감정들을 쾌락으로 승화시키기도 한다. 또한 가장 직접적인 방식인 통증의 치유를 통해 정신과 육체의 건강함을 추구하는데 이로써 통증은 그리스도교 목회의 핵심으로 자리 잡고 발전해왔다. Physical pain, considering as bad or evil, is not only the issue of medical science, chiropractic, or neuropsychology but also the topic of humanities. It is the physical pain that constructs narratives in terms of society, religion, politics, metaphor, and gender. Therefore, pain would be understood and consumed even though overwhelming severe pain eludes language and its expression. The purpose of this essay will engage in searching for typology of consuming physical pain in the history of Christianity. The first type of consumption of physical pain has been named as voyeuristic type. For a longtime, others’pain and cruelty has been an attractive spectacle for the watchers. As same in Christianity, varieties of cruel and torturing scene have been provided with Christian watchers. Christian Paintings delineated the mutilated bodies whereas Christian writers described in detail the martyrs whose corpses were eaten by the beast in their sacred novel. The second type of consuming pain was in related to the creativity. The believers used pain both of others and of themselves in order to prove and develop their own belief. Crusading Christians slaughtered the infidels to prove their belief whereas ascetics used to obtain obscure pleasure by self-flagellation. In addition to, ascetics used to accumulate their authority by means of their mortification, that is, self-torturing practices. Finally, Christian world has consumed human pain for the sake of pastoral uses. For example, recent Christina has practiced chiropractic in the service for the sake of healing participants of worship service. Human pain becomes the object for pastoral care. In conclusi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in and belief has still at work in Christianity. Therefore, both pain of self and of others have to be the pivotal enterprise in theology.

      • 통증의 스트레스 정도와 심리변화 관계 연구

        신상수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08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 No.-

        통증(pain)은 오늘날 기능장애(impairment)나 능력장애(disability)를 치료하는데 중요한 고려 대상이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치료비용 또한 사회에 엄청난 재정적 부담을 주고 있는데, 실제로 노인성질환(Geriatric disease)으로 인해 노인의료비가 급증하여 국민건강보험 재정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와 같은 노인의료비의 해결과 노인 가족의 부양부담 및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2008년 7월부터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실행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통증의 스트레스 정도 및 심리적 변화를 알아보고 통증과 심신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심리적 변인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Melzack과 Wall의 통증이론을 토대로 임상에서 실제로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통증에 있어 연령은 40~50대(52.3%)가 가장 많았으며, 연령에 의한 스트레스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p<0.05), 연령에 따른 심리적 변화에 영향은 통계적으로 무의미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통증의 원인은 교통사고(35.4%)가 가장 많았고, 통증의 기간은 3개월 이상 만성 통증(69.2%)이 많았으며, 통증의 형태는 둔한 통증(dull, 41.5%)이 높아 근육이상으로 인한 통증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통증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심리적 변화의 상관관계는 현재의 통증으로 인하여 스트레스를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통증으로 인해 심리적 변화에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r=0.493).Melzack과 Wall의 Gate-control theory는 지금도 가장 포괄적이고, 통증의 인지적 측면을 이해하는데 모든 이론과 관련되어 있다. 여러 형태의 통증들은 다양한 정도와 특징을 가진 감정적 고통, 일차적으로 공포, 불안, 분노 및 우울을 동반한다. 그러나 아직은 통증 정동(pain affect)보다는 통증 지각(pain sensation)에 더 관심을 갖는다. 본 연구를 통하여 통증은 심신상관의학(psychosomatic medicine) 차원에서 동통지각과 조절에 중요한 인지적 개입(cognitive interventions)인 통증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환자의 지각이 요구된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후속 논문으로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통증과 심신상관관계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Not only the pain is being the important consideration today in curing impairment or disability, but also the treatment cost is also giving hugh financial burden to society. Actually due to geriatric disease, the medical cost for the elderly rapidly increased, thereby having tremendous influence upon finances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In order to solve this medical cost for the elderly, and to enhance the care-giving burden for the elderly family, and the quality of life in old people, the elderly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came to be implemented from July in 2008.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ess affect in pain and the psychological change,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ain and mind & body. As a result of researching targeting patients who actually appeal for pain in clinic based on the pain theory in Melzack and Wall who emphasiz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variable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the pain was the largest in their 40~50s(52.3%). The stress affect depending on ag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And, the effect on psychological change depending on age could be known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Second, a cause for pain was the largest in traffic accident(35.4%). The period of pain was the largest in chronic pain(69.2%) for more than 3 months. And, the form in pain was high in dull pain(41.5%), thereby having been able to be known that the pain due to muscular disorder was large. Third,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ss due to pain and the psychological change, it could be known to be stressed by the current pain, and could be known to have an effect on the psychological change due to pain(r=0.493).The gate-control theory in Melzack and Wall is the most comprehensive even now, and is related to all theories in understanding cognitive aspect in pain. Pains in several forms are accompanied by emotional pain, primary horror, anxiety, anger, and depression, which have diverse affects and characteristics. However, the pain sensation is paid more attention yet than to the pain affect. Through this study, the pain is required the patients’ perception of being able to control pain effectively, which is the important cognitive interventions to pain sensation and control in the dimension of psychosomatic medicine. It is considered that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pain and mind & body is needed targeting the elderly more than 65 years old, as a follow-up the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