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원지역 別稱의 역사적 연원과 의미: 關東․嶺東․嶺西를 중심으로

        이상균 역사문화학회 2022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5 No.1

        Gwandong, Yeongdong, and Yeongseo have been nicknames for Gangwon-do since pre-modern times. Mt. Cheolryeong, Gwannaedo, and the east side of the Mt. Taebaek were all given the meaning of plural number(‘Gwan-dong’) Historical origins may be traced back to the east side of Mt. Cheolryeong, where it was most often used. Although Mt. Cheolryeong is a narrow meaning, the nickname ‘Gwandong’ has been used to refer to the east area of Mt. Taebaek since its ideation, therefore Gangneung, which moved the Mt. Taebaek, was also used to refer to the area until the Goryeo Dynasty. The fact that the east side of the area was known as ‘Gwandong’ was not universally accepted. GyoJudo in the west of the Mt. Taebaek and Gangneung-do in the east were amalgamated to become Gangwon-do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Gwandong, which was originally solely used for the movement of the Mt. Taebaek, became a nickname for the entire Gangwon-do. However, even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there was a belief among the scholar that only the Mt. Taebaek migrated to Gwan-dong, resulting in Daegwallyeong, which refers to Dandandaeryung and the entire Mt. Taebaek. The term ‘Yeongdong and Yeongseo’ comes from the Mt. Taebaek east and west sides, respectively. ‘ryeong and daeryeong’, the most widely used examples when establishing Yeongdong and Yeongseo, denoted the Mt. Taebaek. Daegwallyeong was utilized as a branch in Gangneung, but it was assumed that Daegwallyeong referred to the entire Mt. Taebaek. It is fair to assume that the branches of Yeongdong and Yeongseo were in the Mt. Taebaek based on historical evidence. However, most Joseon Dynasty people did not regard the category of Daegwallyeong as dichotomous thinking in the broadest or narrow meaning. Daegwallyeong, which refer to the entire Taebaek Mountains, have been passed down in Gangneung since ancient times. As a result, many people believe that the intersection of Yeongdong and Yeongseo has been known as Daegwallyeong, which is only limited to Gangneung. 전근대부터 현대까지 강원지역을 汎稱하는 별칭은 ‘관동․영동․영서’이다. ‘관동’이라는 별칭은 철령관․관내도․태백산맥 동쪽이라는 복수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별칭의 역사적 연원은 철령관 동쪽을 지칭하는 것에서 연유했고, 가장 보편적으로 통용되었다. 철령관은 협의의 지점이지만, ‘관동’이란 별칭은 만들어질 당시부터 태백산맥 이동 일대를 지칭하는 광의의 의미로 관념화되어 왔기 때문에 고려시대까지만 하더라도 태백산맥 이동의 江陵道 일대를 지칭하였다. 관내도 동쪽을 ‘관동’이라 한 것은 보편적 인식이 아니었다. 조선시대에 태백산맥 서쪽의 交州道와 동쪽의 강릉도를 병합해 강원도라 명하고, 태백산맥 이동에 한정하여 불렸던 ‘관동’은 강원도 전체를 지칭하는 별칭이 된다. 그러나 조선시대에도 單單大嶺의 위치 비정에 따른 문인들의 부수적 견해로, 단단대령과 태백산맥 전체를 지칭하는 의미로서의 대관령을 등치시키면서 태백산맥 이동만을 한정하여 관동으로 보려 했던 인식이 잔존했다. ‘영동․영서’라는 별칭의 역사적 연원은 태백산맥을 분기로 한 동쪽과 서쪽에서 연유한다. 영동․영서의 분기를 설정할 때 가장 많이 쓰인 용례인 ‘嶺․大嶺’은 태백산맥을 의미했다. 강릉의 대관령을 분기로 삼긴 했으나, 이는 대관령이 태백산맥 전체를 지칭하는 것이라는 전제가 있었다. 사료의 고증을 통해서 볼 때는 영동․영서의 분기가 태백산맥이었다는 것이 일면 타당하다. 그러나 조선시대 사람들 대부분은 대관령의 범주를 광의와 협의의 이분법적 사고로 접근하지 않았다. 강릉은 고대부터 영동의 首府였고, 당시 지식인들이 태백산맥 전체를 지칭한 것으로 파악한 ‘대령’․‘대관령’이라는 명칭 또한 고대부터 강릉을 지나는 태백산맥 준령에만 전승되어온다. 사람들의 뇌리에는 자연스레 영동․영서의 분기점이 강릉에 한정한 협소의 대관령으로 각인되어 오고, 그렇게 전파되어 지금까지 통용된다.

      • KCI등재

        태백산맥 남부 일대 산지 하천의 하각률

        이광률 한국지리학회 2019 한국지리학회지 Vol.8 No.2

        This study tries to calculate incision rate by topographical analysis and age dating on 18 fluvial terrace sites in 12 mountain streams in the southern part of the Taebaek Mountain Range, Gyeongbuk and Chungbuk Provinces. Based on characteristics in spatial distribution of incision rate, stream incision and ground uplift of the Taebaek and Sobaek Mountain Ranges are also estimated. Higher incision rate areas are found in the central and western slopes in the southern part of the Taebaek Mountain Range as well as in the western slope of the Sobaek Mountain Range. Areas at least 30 km and 20 km away from the Taebaek and Sobaek Mountain Ranges, respectively, show lower incision rat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aebaek and Sobaek Mountain Ranges are uplift axes where have experienced active ground uplift,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stream incision,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Uplift rate in the Taebaek Mountain Range seems to be higher than that in the Sobaek Mountain Range. It is likely that both the Taebaek and Sobaek Mountain Ranges have experienced tilted uplift with more active uplift in the western slope than in the eastern slope. 본 연구는 경상북도와 충청북도에 위치한 태백산맥 남부 12개 산지 하천의 18개 하안단구 지점에 대한 지형 분석 및 연대 측정 결과를 통해 하각률을 산출하고, 하각률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토대로 하천의 하각과 태백산맥 및 소백산맥의 지반 융기를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하각률이 높은 곳은 태백산맥 남부의 중앙 및 서사면 지역과 소백산맥 서사면 지역이며, 하각률이 매우 낮은 곳은 태백산맥으로부터 최소 30km 이상, 소백산맥으로부터는 최소 20km 이상의 거리에 위치하는 지역이다. 따라서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은 하천 하각 작용에 가장 중요한 요인인 지반 융기가 활발한 한반도 남부의 융기축으로 판단되며, 융기량은 태백산맥이 소백산맥보다 더 컸던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두 산맥 모두 동사면에 비해 서사면에서 융기가 더 활발한 비대칭적 융기를 경험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 KCI등재

        조정래의 『태백산맥』에 나타난 강간의 이데올로기적 재현과 여성 문제

        박현경(Hyun Hyung Park) 한국여성학회 2018 한국여성학 Vol.34 No.1

        본 연구는 조정래의 『태백산맥』에 나타난 강간의 이데올로기적 재현과 그 안에 담긴 여성문제를 고찰하는데 목적을 둔다. 『태백산맥』은 역사소설이자 이데올로기 소설로서 해방과 6.25 전쟁을 전후로 벌어진 한반도의 갈등 원인을 봉건 지배계급의 압제와 제국주의의 침략에서 찾고 있다. 민중의 의식 변화와 봉기에 따른 지배층 타도와 민족의 단결에 의한 독립된 단일 국가 건설이 일관된 목표이자 주제로 태백산맥 전체의 서사를 관통하는 것이다. 이데올로기가 서사의 근간을 이루면서 이 소설에서는 여성의 현실, 특히 강간을 당한 여성의 상황을 다루는 방식에서도 이데올로기적 개입이 드러난다. 제재의 선택과 사건의 묘사가 이데올로기적으로 결정되고, 여성이 당하는 강간 역시 이념의 시각에서 다루어지면서, 『태백산맥』의 여인들은 희생되었으나 순수한 민중과 성적 일탈에 무감각한 탐욕적 지배계급으로 양분된다. 희생된 민중은 해방의 여전사, 침묵하는 잠재적 저항자, 짓밟혔으나 강인하게 살아남아 혁명을 촉구하는 민초로 발전하는 반면, 지배계급은 강간을 겪고도 남성에게 기식하여 물질적 풍요에 만족하는 여성으로 전락한다. 이 과정에서 여성에게 가해진 강간은 여성이 겪는 고통과 차별, 남성의 폭력과 억압을 고발하는 장치가 되기보다는, 피지배층이 지배층으로부터 받는 억압과 착취, 그리고 지배층의 도덕적 무감각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변주된다. 이는 피해 여성의 현실을 왜곡하거나 억압할 위험성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 필자는 『태백산맥』에 나타난 강간의 이데올로기적 재현을 분석하고 그 안에 담긴 여성 문제를 고찰하여 서사의 진실성과 균형을 탐색하고자 한다. This study is performed to analyze the representations of rape and the problems of women in the representations. Taebaek Mountains is a historical and ideological novel which depicts ruling class’ dominion and imperial invasion as the cause of the division and conflicts of the Korean peninsula. The novel’s main narrative and the theme are focused on constructing and independent and unified Korea by the lower class people’s awakening and their combat against the governing class and the American military forces. As the ideology consists the main part of the narrative, the representations of rape and the problems of women also reveal ideological conflicts and class struggles. The Selection of actions as well as the description of characters follow the ideological structure and present the dichotomy of the evil ruling class and the pure ruled class. Women are divided into the destroyed yet pure ruled class and the senseless and immoral ruling class. In the meantime, the representations of rape silence women’s voices and distort women’s suffering conditions. This study shows the problems of women in the rape representations and urges possible productive to the ideological representations.

      • KCI등재

        김사량의 『태백산맥』에 나타난 유토피아적 성격 고찰

        이경재 한국현대소설학회 2023 현대소설연구 Vol.- No.91

        이 글에서는 지금까지 김사량의 『태백산맥』을 이해하기 위해 사용된 저항성, 민족성, 소수자성, 유동성이라는 개념이 아닌 유토피아를 키워드로 삼아 작품을 살펴보았다. 유토피아라는 개념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는, 『태백산맥』의 기본 서사가 서울에서 정치적 실패를 맛본 윤천일 일가가 강원도의 산골에서 화전민으로 살다 새로운 이상향을 찾아 떠나는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태백산맥』의 유토피아적 성격에 대한 탐구는 작품의 핵심적인 주제의식을 해명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유토피아에 대한 다양한 논의와 비슷한 시기에 쓰여진 김사량의 산문들을 적극적으로 살펴보았다. 김사량의 『태백산맥』에는‘프로그램화 된 이상으로서의 유토피아’와 ‘다른 세상에 대한 꿈으로서의 유토피아’ 가 모두 나타나며, 작가는 전자가 아닌 후자를 지향한다. 특히 유토피아적 프로그램에 집착하는 태도에 대한 비판은 화전민 마을까지 파고든 사교(邪敎) 집단의 형상화를 통해 드러난다. 김사량이 지향하는 유토피아는 막연하지만 보편적인 이상향으로 존재하며, 이를 통해 기존 사회에 대한 문제의식을 드러낸다. 이 때의 유토피아는 대개 부정적인 현실을 비판하는 방식으로 드러난다. 이 때 대타항으로 등장하는 것은 서울, 화전(민), 월동의 정치적 입장이다. 낙토에는 대타적인 방식이 아닌 직접적인 방식으로 긍정적 성격이 부여되기도 한다. 고대 국가들의 이상적인 정신이나 화랑도, 그리고 아리랑을 비롯한 전통적인 풍속 등이 긍정적으로 서사화됨으로써, 자연스럽게 탈식민적 성격을 보여주는 것이다. 김사량의 『태백산맥』에 나타난 유토피아 지향성은 일제 말기라는 극한의 상황에서 김사량의 저항적인 의식이 창출해낸 새로운 정치적 가능성으로 이해해 볼 수 있다. In this article, we looked at the work using utopia as a keyword, not the concepts of resistance, ethnicity, minority, and fluidity used to understand Kim Sa-ryang's Taebaek Mountains. The reason why the concept of utopia is important is that the basic narrative of the Taebaek Mountains is the story of the Yoon Cheon-il family, who experienced great political failure in Seoul, living as Hwajeon residents in a mountainous area in Gangwon-do and leaving in search of a new utopia. Therefore, the exploration of the utopian character of the Taebaek Mountain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clarifying the essential character of the work and explaining Kim Sa-ryang's artist spirit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this end, this paper actively examined various discussions on utopia and the author's prose written at a similar time. In Kim Sa-ryang's Taebaek Mountains, both "Utopia as a programmed ideal" and "Utopia as a dream for another world" appear, and the author aims for the latter rather than the former. In particular, criticism of the urgent obsession with utopian programs is revealed through the embodiment of a social group that has dug into the Hwajeonmin village. The utopia that Kim Sa-ryang aims for exists as a vague but universal utopia, which reveals criticism and problem consciousness of existing society. Utopia at this time is usually revealed in a way that criticizes negative reality. At this time, it is the political position of Seoul, Hwajeon (people), and Woldong that appear as pinch-hit ports. Nakto is sometimes given a positive character in a direct way, not in a pinch-hit way. It naturally shows a postcolonial character by positively narrating the ideal spirit of ancient countries, Hwarangdo Island, and traditional customs including Arirang.

      • KCI등재

        조정래 『태백산맥』에 등장하는 동학(東學) 담론

        우수영 동학학회 2017 동학학보 Vol.0 No.4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discourses on Donghak(東學) in Jo Jeong-rae' Taebaek Mountains.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headed by Donghak(東學) discourse in the place of Beolgyo(地名) and Yureo(地名), and in the characters' dialogs. In Jo Jeong-rae' Taebaek Mountains, the place of Beolgyo and Yureo are meant by Donghak(東學) discourse. The Beolgyo is the Place of suppression that the landlord and tenant farmer's relationship is continued, and the Yureo is the Place of liberation that the Peasant troops develop the possibility for revolution. In Jo Jeong-rae' Taebaek Mountains, the Desire of the people for equality and the Desire of the people for mastery are opposing repeatedly. They are presented by the logic of enlightenment and the testimony of experience in Jo Jeong-rae' Taebaek Mountains. Finally, Jo Jeong-rae' Taebaek Mountains shows that the sprit of Donghak(東學) for the new world is the result from the Desire of the people for equality, the spring of the post-liberation partisan organization' action, furthermore our descendants of the endless tasks. The sprit of Donghak(東學) is working continuously in Jo Jeong-rae' Taebaek Mountains. 본 연구의 목적은 조정래의 『태백산맥』에 등장하는 동학 담론이 작품 전체 의미망에 어떻게 기여 하는지를 살피는 것이다. 이에 대해 본 연구는 『태백산맥』의 동학 담론의 생산 지형을 시대 담론과의 관계에서 먼저 살핀 후, 그 지형에서 생산된 조정래 『태백산맥』의 동학 담론이 서사의 의미망에 어떻게 기여 하는지를 고찰하였다. 그 과정은 서사에 등장하는 벌교와 율어라는 장소를 통해 발생하는 동학 담론, 그리고 인물들의 대화에서 등장하는 동학 담론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태백산맥』에서는 동학 담론을 통하여 벌교와 율어라는 공간이 의미화 되고 있다. 즉 벌교는 여전히 지주와 소작농의 관계가 변함없이 지속되고 있는 억압의 장소로, 율어는 지주의 억압에서 벗어나고자 한 동학군이 자신들의 혁명 가능성을 키워 나갔던 해방의 장소로 구체화 되고 있다. 『태백산맥』에서는 위계와 억압을 통해 이윤을 증대하는 지주/지배층의 수직적 욕망 그리고 위계와 억압에서 벗어나 평등 세계를 지향하는 소작인/피지배층의 수평적 욕망이 서로 길항하며, 계몽의 논리와 체험의 증언 속에서 등장하는 동학 담론을 통해 드러나고 있다. 결국, 조정래의 『태백산맥』은 동학을 피지배층 민중이 지닌 수평적 욕망의 실현이자 해방 후 빨치산 활동의 원류이며 나아가 이 땅의 후손들이 이어가야 할 과업으로 담론화한 작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白鹿原》與《太白山脈》叙事策略比较研究 : 以人物形象和敘事策略為中

        임환모(林桓模),엄영욱(嚴英旭),전영의(全映宜) 한국중국문화학회 2020 中國學論叢 Vol.0 No.68

        《白鹿原》이 1990년 개혁, 개방이후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탈피한 중국 당대문학 변화의 흐름을 반영한 작품이라면《太白山脈》은 1980년대 주체논쟁과 맞물린 민족, 민중의 문학의 절정을 보여준 역작이라 할 수 있다. 두 작품은 일본제국주의의 침탈에 휘둘린 공통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대하소설이자 80년대와 90년대 한중 문단에서 베스트 셀러가 되었다. 이와 함께 두 작가는 이 작품으로 인하여 한국과 중국에서 각기 무게감을 지닌 이름난 작가의 작품이자 높은 평가를 받고 있고 계속 연구되고 있으나, 두 작품을 비교한 연구 논문이 거의 없다. 본고는 이와 같은 유사성을 기반으로 하여 두 텍스트의 인물 형상화에 초점을 두고 보다 더 면밀히 살펴보았다. 소설 창작에 있어서 인물형상화의 문제는 그 작품의 성패를 좌우한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인물 형상화 방법은 텍스트의 서사구조를 연구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방법론의 하나이기도 하다. 본고에서는《白鹿原》과 《太白山脈》의 주요인물들이 어떻게 형상화되는지, 그것은 또 텍스트의 주제를 구현하는데 어떻게 전략적으로 작용하고 있는지 밝혔으며 이 두 작품 비교의 문학적 의미와 가치 그리고 기대효과를 고찰하였다. If 《Bailuyuan》 is a piece that reflects the trend of changing Chinese contemporary literature after the 1990 reform and the opening up of socialism, 《Taebaek Mountain》 is a literary masterpiece that shows the peak of the people and coincided with subject controversy in the 1980s. These two pieces of literature were based on a common experience swayed by the encroachment of Japanese imperialism, and they became best sellers in Korean and Chinese literary circles in the 1980s and 1990s. Based on their similarities, this paper focused on and took a closer look at character modeling in the two texts. In these books, the investigators also discuss how the main characters of Bailuyuan and Taebaek Mountain are portrayed, and how this portrayal strategically works to realize the theme of the text as well as the literary significance, value, and expected effects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se two pieces of literary work.

      • KCI등재

        영화 <태백산맥> 각색을 통해 본 사관(史觀) 및 서사 쟁점 고찰

        김영빈 ( Kim Young Bin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6 현대영화연구 Vol.12 No.3

        1989년에 전 10권으로 출간된 조정래의 소설 『태백산맥』이 1994년에 임권택의 영화로 발표되었다. 소설과 영화 『태백산맥』은 흔쾌한 영화화 동의 과정을 거쳤으며, `분단의 극복`을 주제로 공유하면서도 서사특성에서 상이점들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민족 내부의 좌우 대립의 원인이라 할 지배-피지배 집단의 윤리성에 따른 성격규정과 한국전쟁의 발발원인, 그리고 소설 인물의 영화적 재창조 등에서 대비되는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이는 조정래와 임권택의 역사관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역사가 창작의 세계로 소환되었을 때 요구되는 객관성과 지향가치의 항구성 면에서 평가되어야 할 쟁점이 되고 있다. 소설은 염상진을 비롯한 좌익 집단의 성격을 이상적 평등세계를 지향하는 지선(至善)의 이미지로 형상화하고, 지주 등 지배집단을 패륜적 이미지로 그림으로써 대립과 분단의 원인을 외세를 등에 업은 지배집단의 패악적 행태에서 찾고 있다. 그러나 영화는 두 집단의 역사적 공과를 동일한 질량으로 형상화하는 동시에 양 집단의 과오를 위무함으로써 분단극복의 단초를 제시하려 하고 있다. 소설 『태백산맥』의 인물들은 좌익의 경우 대부분 영웅성이 부여되고, 이상적 이데올로기와 행동력을 겸비한 자들이다. 그러나 영화 <태백산맥>의 인물들은 그 자신이 빨치산 가족 출신으로서 격랑의 한국전쟁 전후를 거쳐 온 임권택의 체험을 통해 형상화된 캐릭터들이다. 이 같은 소설과 영화 『태백산맥』 두 작품에 대한 평가는 평자 각인의 이념지향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역사예술이 추구해야 할 중립적이며 객관적인 가치의 형상화 면에서 상응하는 수준의 중립적 평가척도가 요구된다 하겠다. 이는 대중예술로서의 두 작품이 얻어낸 성취의 정도와는 다른 층위의 문제일 것이다. The Taebaek Mountains of Jo, Jung Rae`s total 10 novels, which had been published in 1989, was released in Lim, Kwon Taek`s movie in 1994. The novelist readily agreed to make the novel to movie, 『The Taebaek Mountains』. and it has shown the differences in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as sharing `Overcoming the division` of the theme. In particular, it shows the differences in contrast of character formation by ethicality of dominance-subordinance group which is the cause of inside nation`s right and left conflict, the cause of outbreak of the Korean War, and Cinematic re-creation of the fictional character, etc. While this is derived from the difference in the view of History of Jo, Jung Rae and Lim, Kwon Taek, it has become an issue to be evaluated in the side of objectivity and permanency is requested when it has a creative activity based on the fact of history. The novel is shaping the image of the highest purity as the left group including Sang Jin Yeom is ideal for equality-oriented world, and the behavior of governed population`s wickedness in the foreign power which is the cause of conflict and division by drawing dominant groups such as the image of depravity. However, the film is shaping the historical achievement and mistake of the two groups in the same mass. And, at the same time, the movie has proposed to include overcoming division by consoling each other from the mistake. In case of that figures of the novel, 『The Taebaek Mountains』granted to the left group, is mostly granted to be heroic, and they have ideal ideology and ability to act. However, the figures of movie, The Taebaek Mountains are shaping the character through the front and rear Korean War experience of Lim, Kwon Taek who is the family of North Korean partisan. Although the evaluation of a novel and a movie, The Taebaek Mountains may vary depending on evaluators` ideological orientation, the neutral and objective evaluation scales are required when discussing about this historical narration. This may be the other issues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fulfillment obtained by these two works as the popular arts.

      • KCI등재후보

        겁탈과 여성인물의 생존서사 : 『태백산맥』, 『토지』, 『혼불』을 중심으로

        이경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6 여성학연구 Vol.26 No.3

        From comparative perspective, this Essay analyses the patterns of naturaliz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the oppression of women in three Korean romans-fleuves: 『Taebaek Mountains』(Jo, Jungrae), 『Toji』(Park, Kyungri), and 『Honbul』(Choi, Myunghee). It aims to reveal the ways how the patriarchal powers work and to get some salient alternatives to overcome the oppressive discourse system which divides rapist and raped and discriminates the latter as tainted and guilty. Referring the theses of S. Macus and E. Illouz, this essay can find the possibility of breaking the fetters of the rape script which result from institutionalization of punishment of the rapist and incapacitation of raped women. It can get such potential as to challenge the ‘place-making of women which is caused by the patriarchal structure of the society. Rapes are too easy for Male characters to face any obstacles in carrying their intents, lusts and/or their plans in the three romans. These romans have so much close similarity in describing their rape-episodes, which are based on such legitimating discourses as followings: ① gender bias that discriminates between masculinity as sexual drives and strateges, and women as place, ② asymmetrical judgment of taintedness and sense of guilty of the raped, ③ Men`s League(Mannerbund) and becoming-father. Such limitation of reproducing the rape script that the romans share with each other, however, stop at the point of rape. The romans show not so small deviation in describing post-rape episodes where the rapists are punished and the raped women try to subjectivate themselves. 『Taebaek Mountains』 is the only one where the rapist is punished, but it has critical limitation that it erases the voices and faces of the raped by privatization of rape violence as individual deviant behaviour. By constrast, two female writers’ romans focus on the lives of the raped who squarely face the structure of everyday’s violence, so that they can read to restore the voices and faces of the women who try to get over their wounds. The latter romans trace changing processes of lives of the raped women’s, and give some suggestion how to make significant cracks from inside of the gendered grammar of violence, and get potential powers to change it. 이 글은 『태백산맥』, 『혼불』, 『토지』의 비교를 통해 여성에 대한 억압이 자연화, 제도화되는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가부장적 권력의 작동양상들을 보다 극명하게 드러내고, 가해자/피해자라는 겁탈의 담론구조를 넘어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여성적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가해자에 대한 처벌의 제도화와 여성의 무력화가 함께 작동하는 겁탈스크립트의 곤경을 넘어설 수 있는 가능성을 새런 마커스와 에바 일루즈 등의 이론을 통해 탐색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 여성의 장소화, 대상화를 넘어설 수 있는 겁탈스크립트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우선 이들 소설에서는 겁탈이 남성인물의 의도와 욕망과 기획대로 너무도 쉽게 이루어진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겁탈을 쉬운 폭력으로 만드는 담론장치를 충동과 전략의 남성성과 장소로서의 여성성이라는 젠더구획, 오염과 죄의식의 비대칭, 남성동맹과 아버지-되기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하지만 기존의 겁탈스크립트를 그대로 재현하고 있는 소설들의 공통된 한계는 대개 겁탈이 이루어지기까지에 한정되며, 겁탈의 처벌과 여성 주체화의 과정에 관한 한 세 소설은 큰 편차를 드러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일하게 겁탈을 처벌한 『태백산맥』이 예외성·일탈성만을 부각시킴으로써 겁탈폭력을 개인의 문제로 사사화하며 여성의 얼굴과 목소리를 삭제하는 한계를 지닌다면 『토지』와 『혼불』은 겁탈의 처벌보다는 피해 이후 상례화된 폭력구조와 직면하는 여성의 생존을 초점화함으로써 피해를 극복하는 여성의 얼굴과 목소리를 복원해내는 의의를 가진다. 생존의 주체화 과정을 직조해나가는 여성의 변화과정은 겁탈스크립트의 젠더화된 폭력의 문법을 내부로부터 변화시킬 잠재력을 함축하는 것이다.

      • KCI등재

        조정래의 『태백산맥』에 나타난 문학의 정치성 연구

        전영의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7 No.-

        The thesis begin to work from solve the curiosity about Politics Quality of Literature of Taeback Mountains that have democratic value. The thesis based on Rancière theories, I defined ‘eyes of misunderstanding’ about texts started police logics, actually for a long time the texts was defined political text and leftist ideology text. Taeback Mountains ask some questions, about ideology‘s essence, peasant as partizan, among class’ antagonism, antagonism of ideology to us. Surplus are waste that they weren‘t distributed one’s share in the cooperation world and was sacrificed in distribution mechanism by arche‘s logic. Landowners rule tenants as police logic, rationalize inequality of possession by name of freedom, and they forced social status system that was abolished by low to tenants. didn’t distribute share to tenants in the logic of inclusion and exclusion. but they got out of a subordinate position of people by oneself. refuse principle of vested rights, superiority or inferiority, inclusion and exclusion by independent. and they became demos through a process of subjective. They speak loudly to find the minimum right for survive,and try to write a new letters as subjective who was excluded in the politics center. they did disagrementing movement and got out of inferioring faith through learning, struggle, dispute and got equality and liberation as subjective demos. they realized division of sensibility is division of sensible, a decision method that is don‘t have a share as social construct members. They became subjective demos, divided sensibility in episodes. We can read sensibility and political unconsciousness through a growth process of characters in Taeback Mountains. 본 논문은 ‘민중적 가치를 지닌 『태백산맥』의 문학의 정치성을 보다 분명하게밝혀볼 수 있지 않을까’라는 궁금증을 해소하려는 의도에서 시작되었다. 랑시에르의 이론을 근거로 한 본 논문은 연구를 통해 텍스트를 좌익편향적 시각으로 바라보면서 정치적 텍스트로 규정했던 오해의 시선들이 치안의 논리에서 비롯되었음을 밝혔다. 『태백산맥』은 계급·계층 간의 갈등과 좌우익 이데올로기의 대립을 통해 평범했던 농민들이 왜 빨치산이 될 수밖에 없었고 염상진의 죽음 앞에 이르러서야 염상진·상구의 대립이 끝나게 되는가라는 의문점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독자들에게 ‘이데올로기의 본질이 무엇인가’라는 화두를 던지고 있었다. 공동체 안에서 자신의 몫을 분배받지 못하고 쓰레기로 취급되던 잉여들은 치안이라는 배분매커니즘 안에서 아르케의 논리에 의해 희생된 자들이었다. 지주들은 자유라는 이름으로 소유의 불평등을 합리화하고 소작인들에게는 이미 법으로 폐지된 신분제를 앞세웠다. 치안의 논리에 따라 통치하고 경영하며 ‘포함과 배제’라는 논리 안에서 이들에게 몫을 부여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들은 예속된 인민의 자리에서 스스로 벗어나 우열, 배분, 포함이라는 기득권들의 원칙에 합일되는 것을 주체적으로거부하고 주체화의 과정을 통해 데모스가 되었다. 생존을 위한 최소한의 권리를찾고자 스스로의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고 정치적 중앙에서 배제된 주체로서 새로운 장을 쓰려고 했다. 학습, 쟁의, 투쟁 등을 통해 치안논리에 불일치하는 행위를하며 열등하다는 믿음에서 벗어난 이들은 주체화된 데모스로서 평등과 해방을 얻는데 한 발 다가간 것이다. 감성의 분할이 감각적인 것의 나눔이며 사회구성원으로서 가져야 하는 ‘몫이 없음’을 결정하는 방식이라는 것을 깨달은 이들은 크고 작은 에피소드들 안에서 감성을 재분할하고 데모스로 주체화 되어갔다. 우리는 인물들의 이러한 성장 과정을 통해 『태백산맥』이 가지는 감성과 정치적 무의식을 읽어낼 수 있다.

      • KCI등재

        조정래의 『태백산맥』에 나타난 종교와 이데올로기

        박현경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21 문학과종교 Vol.26 No.2

        본고는 조정래의 『태백산맥』에 담긴 종교와 이데올로기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작가가 재창조한 민족·민중 신앙의 성격을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조정래는 『태백산맥』 창작 보고서에서 이 작품의 집필 동기를 분단의 원인을 규명하고 분단의 요소를 제거하여 통일의 새 길을 여는데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분단의 원인을 미군과 친일파를 비롯한 민족 내 반동세력에서 찾는 작가는, 종교 역시 민족과 민중 중심의 통일 국가의 건립에 기여할 때 이상적인 것으로 제시 한다. 무속은 민중의 연대와 공동체의 기복에 기여할 때 그 가치가 승인되고, 불교는 무소유를 기반으로 토지의 무상분배를 꿈꿀 때 긍정된다. 유교는 한민족 고유의 전통을 존중하는 범위 내에서 인정되지만, 기독교는 제국주의적 외래 종교로 간주되어 그 교리와 교세 역시 비판의 대상이 된다. 『태백산맥』에서 이상적 종교로 제시되는 것은 민중의 혁명을 실천한 민족 종교 동학이며, 여타의 종교는 혁명적 통일 민족국가 건설에 기여하는 방식으로 해석되고 평가된다. 이처럼 이데올로기적 목표에 종교를 복속시키는 것은 다양한 종교를 활용하여 동학을 이상적 종교로 제시하고 민중과 민족 중심의 혁명을 독려하는 효과를 낳는다.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ideology in Jung-rae Jo’s Taebaek Mountains and examines the features of Korean People-centered religions and belief systems re-created by the author. Jo explains that his motive in the novel is to inquire about the causes of the Korean peninsula’s division and eliminate them so as to open a new way to Korean reunification. Along with the ideological orientation, the religions in the novel are acknowledged when they can contribute to the reunified revolutionary socialistic nation; shamanism is for people’s alliance, Buddhism is for the free distribution of land, and Confucianism is for the order and loyalty in the community. Christianity is denied for the sake of national independence and homogeneous pride. Based on the author’s ide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religions, Donghak is presented as an ultimate creed for the realization of the common people’s revolutionary utop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