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탐라국의 동아시아 교섭과 신라

        박남수 ( Park Nam-soo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8 탐라문화 Vol.0 No.58

        탐라의 대외교섭을 문무왕 2년의 탐라국 내항 기사와 문무왕 19년의 신라의 탐라국 경략기사, 그리고 애장왕 2년(801)의 탐라국 조공 기사를 중심으로 살피고, 탐라의 특산물이 신라 대외 교역사상 어떠한 위치에 있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문무왕 2년(622) 탐라국의 신라로의 내항은, 백제 의자왕의 항복에 따라 백제의 속국으로서 당나라와 신라에 대한 항복의 의사를 표한 것이었다. 또한 문무왕19년(679) 2월 신라가 사신을 보내어 탐라국을 경략하였던 것은, 탐라국이 백제부흥군과 웅진도독부-왜로 이어지는 동맹의 라인을 유지하던 가운데, 676년 기벌포 해전으로 나당전쟁이 종결되고 678년 4월 신라가 무진주 도독을 임명하여 전라도 일원까지 지배력을 확대하자, 동 시기에 8개월 여 동안 일본에 함께 체재한 신라 사신과 탐라국주 간의 협의가 있었던 데서 가능하였다. 신라는 탐라국에 대하여 안승의 고구려와 마찬가지로, 그 독자성을 인정하여 종묘와 사직, 독자적인 내정과 외교권을 보장하였다. 그러나 탐라는 일본에 마지막으로 사신을 파견한 693년 11월 이후 외교권을 박탈당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탐라의 특산물 가운데 珍珠와 玳瑁, 牛毛, 그리고 白芷ㆍ八角ㆍ零陵香등의 향료, 사향, 石決明 등은, 탐라가 백제ㆍ신라와 내왕하면서 고급 물품의 재료나 향료, 약재에 이르기까지 새로이 개발함으로써, 통일신라의 융성한 대외 교역품으로까지 자리매김하게 되었던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diplomacy of Tamra kingdom focusing on the records on the visit to Silla to surrender in the 2nd year of King Munmu’s reign(622), the diplomatic surrender to pressures and threats from Silla in the 19th year of King Munmu’s reign(679) and tributes to Silla in the 2nd year(801) of King Aejang. Based on this examination, the author also tried to determine in which place special products by Tamra kingodm took in the trade history of Silla. The visit of Tamra kingdom to Silla, as a subject country of Baekje, appearing in the record in the 2nd year of King Munmu(622) means the expression of its surrender intention to Silla and Tang, according to the defeat of Baekje. However, while the alliance with Tamra kingdom, the revival army of Baekje and Japan was maintained, the war between Silla and Tang ended up in Silla’s victory in 676. After that, Silla expanded its domination to the area of Jeolla, appointing the governor of Mujin. Under this situation, the envoy of Silla pressed and threatened king of Tamra to surrender while they stayed together in Japan for 8 months, which made the colonization of Tamra kingdom by Silla possible without wars in February of 679. At first, Silla gave Tamra kingdom a guarantee for independent domestic affairs and diplomatic rights as like the revived Goguryeo. Later, it appears that Tamra was deprived of its diplomatic rights after December of 693 when Tamra dispatched its envoys to Japan. However, Tamra kingdom identified and commercialized new herbs and spices, medicine herbs and high quality materials for trade with Silla. Among special products of Tamra kingdom, especially, pearls, shell of sea turtle, cow hair and herbs such as angelica dahurica(白芷) star anise(八角) Lysimachiae Foenum-graeci Herba(零陵香), musk, senna(石決明) took an important position in trade with unified Silla.

      • KCI등재

        탐라국 건국신화의 주역과 고대서사시

        허남춘(Heo, NamChoon) 한국무속학회 2019 한국무속학 Vol.0 No.38

        탐라국은 역사상 고대국가였는데 한국사는 이에 대해 무관심하다. 탐라국의 실체에 대한 연구도 미미하다. 고대국가 건설도 4~5세기 이후에나 가능했던 것으로 평가한다. 기록이 미미하기 때문이다. 세상의 기억은 석비(石碑)와 구비(口碑)다. 석비는 종이에 기록하는 방식이 되고 우리의 역사 인식은 대부분 기록에 의존한다. 그러나 탐라의 경우에는 구비전승을 중시해야 한다. 본고는 오래된 구비-무가의 본풀이를 통해 탐라의 정체성을 규명하려 한다. 고대서사시 이전에는 창세서사시와 신앙서사시가 있었다. 신앙서사시에는 사냥하던 시절의 수렵신에 대한 이야기와 창세의 이야기가 겹쳐 있다. 창세서사시에는 우주 형성원리가 차례로 서술되고 땅에서 솟아난 영웅의 이야기가 겹쳐 있다. 그 후 고대 영웅서사시에는 창세적 요소와 영웅적 요소가 함께 나타난다. 그래서 원시 · 고대서사시를 두루 계기적으로 살폈다. 고대국가는 이주민과 선주민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졌는데, 땅에서 솟아난 선주민 집단이 주도권을 가졌다. 권력이 교체된 시점을 서사시를 통해 알 수 있다. 선주민 주도 하에 탐라국이 건설되었다. 이 집단은 신앙서사시를 주도한 집단과 연결된다. 탐라국은 해양능력 바탕 하에 고대문명을 수용하며 고대국가의 기반을 다졌다. 바다를 건너온 세력과 결합하며 고대문명을 수용하고, 주변국을 오가는 해양능력을 발휘하면서 고대국가 체제를 강화시켜 나갔다. 바다를 오가며 큰 공을 세우고 탐라국으로 귀환하는 주인공의 이야기가 본풀이로 풍부하게 남아 있다. 주변 국가와 교역하면서 탐라국의 위상이 높아 갔다. 그런데 이런 탐라국의 정체성이 기록화 과정에서 변질된다. 구비전승에서 전하는 탐라국의 본질을 기록은 인정하지 않으려 한다. 1세기 건국에 대한 전승도 부정된다. 숱한 고대 영웅서사시를 통해 확인한 탐라국의 정체성을 주목해야 한다. 본고는 석비보다 구비의 역사를 중시해야 한다는 시대적 소명을 명확히 했다. 제주는 기록이 빈약한 것이 불운이지만, 구비전승이 풍부한 것이 행운이다. 우리 역사를 단일체가 아닌 다원체로 이해하려는 태도가 새로운 과제로 등장하기 시작한 이즈음, 탐라 역사의 독자성을 다시 조명해야 한다. 본고는 무가 본풀이를 통해 독자적인 역사와 문화를 지녔던 고대 탐라국의 정체성을 설명하고 있다. Korean history is indifferent to the ancient country, Tamla. There is little research on the substance of the Tamla country. Historians believe that the construction of an ancient Tamla was only possible after the 4th or 5th century. This is because the record on Tamla is insignificant. The memory of the world is composed with the stone monument and the oral tradition. The stone monument has become a way to record on paper, and our historical perception mostly relies on records. But in the case of Tamla, we must put a lot of emphasis on all the oral tradition. This paper reveals Tamla’s identity through an old oral tradition. Before the ancient epic, there was a Genesis epic and a Faith epic. In the Faith epic, the story of hunter gatherer and the story of creation comes together. The Genesis epic describes the principle of the formation of the universe, and the story of a hero rising from the ground overlaps. Then, both the creative and the heroic elements appear in the ancient epic. Therefore, I examined the primitive and ancient epic in a variety of instruments. Ancient countries were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immigrants and the people of the prehistoric world, and the group of prehistoric people took the lead. The epic shows the time when power was replaced. The country of Tamla was built under the leadership of the prehistoric people. This group was connected to the group that led the Faith epic. The Tamla Nation has built the foundation of an ancient country by accommodating ancient civilizations based on its maritime capacity. The hero embraced ancient civilizations by joining forces that crossed the sea. The hero used his maritime power to strengthen the ancient state system. The story of a hero returning from the sea remains rich in Jeju Island. The status of the country increased trading with neighboring countries. However, this kind of identity of Tamla was distorted in the process of recording. We will not acknowledge the substance of Tamna. Many people do not even acknowledge the history of establishing a country in AD.1 Century.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identity of the Tamla as it was identified through many ancient hero epic. This paper has strengthened the argument that Oral history should be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record. Jeju is unfortunate for its poor record, but it is fortunate that it has a lot of oral tradition. We must understand our history as a plurality, not a monolithic one. Such a task has begun to emerge anew. Under these circumstances, we need to shed light on the identity of Tamla history. This paper explains the identity of the ancient Tamla, which had its own history and culture.

      • KCI등재

        탐라국의 대외교섭과 항로

        최희준 ( Choi Hee-joon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8 탐라문화 Vol.0 No.58

        본 논문은 탐라국이 주변국들과 교섭하는 과정에서 이용했던 대외항로들을 탐라사의 맥락 속에서 재검토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탐라국의 시대에 황해를 중심으로 한 항로는 북부 연안항로와 중부 횡단항로, 그리고 남부 사단항로 등이 있었다. 북부 연안항로는 신석기시대부터 이용된 항로였고, 중부 횡단항로는 5~7세기, 남부 사단항로는 9세기 전반에 각각 새롭게 개척되었다. 탐라국은 5세기 후반 백제와 처음 통교하여 약 200년 가까이 신속관계를 맺었다. 660년 백제 멸망 직후 탐라국은 당과 신라, 백제부흥운동군, 그리고 일본 등 주변국들과 새로운 외교 노선의 정립을 모색하였다. 결국, 679년 신라에 복속한 탐라국은 신라가 멸망할 때까지 이 같은 관계를 유지하다가, 그 대상을 바꿔 925년 고려에 다시금 복속하였다. 탐라국과 고려의 관계는 1105년 고려가 탐라국을 자국의 郡으로 편재할 때까지 지속하였다. 탐라국은 백제ㆍ신라ㆍ고려 등 한반도에 위치한 국가들과의 교섭을 위해서 ‘제주도 북부-추자도-한반도 남서부’를 잇는 連陸航路를 이용하였다. 7세기 중반 당에 1차례 사신을 파견했을 때는 연륙항로를 이용해 한반도 남서부 지역으로 건너간 후, 한반도 서부 연안을 따라 북상하다가 남양만을 거쳐 황해 중부 횡단항로를 이용하여 입당하였을 것이다. 일본과의 교섭에서는 연륙항로를 통해 한반도 남서부 지역으로 건너간 후, 다시 한반도 남부 연안을 따라 이동해 대마도와 이키섬을 지나 규슈 북부지역에 내착하는 연안항로를 이용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sea routes used by Tamla during negotiations with neighboring countries in the context of Tamla. In the days of Tamla, there were “The Northern Coastal Route”(北部沿岸航路), “The Middle Transversal Route”(中部橫斷航路), and “The Southern Slant Route”(南部斜斷航路) in Yellow Sea(黃海). The northern coastal route was the route used from the Neolithic period, the middle transversal route was developed in the 5th to the 7th century, and the southern slant route was newly developed in the first half of the 9th century. In the late 5th century, Tamla first interacted with Baekje for about 200 years. Immediately after the fall of Baekje in 660, Tamla sought to establish a new diplomatic line with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Tang, Silla, Japan and the government of Baekje Restoration Movement. In the end, Tamla decided to establish a subordination relationship with Silla in 679, and maintained this relationship until the fall of Silla. The relationship between Tamla and Goryeo continued until 1105 when Goryeo unified Tamla into its own county. In order to negotiate with the countries located on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the Baekje, Silla, and Goryeo, Tamla used a route ‘North part of Jeju Island-Chuja Island(楸子島)-Southwest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middle of the 7th century, when one ensvoy was dispatched to Tang, he crossed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using the ‘North part of Jeju Island-Chuja Island-Southwest of the Korean Peninsula’, then went northward along the we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crossed the middle transversal route. In negotiations with Japan, it crossed the south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the ‘North part of Jeju Island-Chuja Island-Southwes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n used the coastal route through the Tsushima(對馬島) and Iki Islands(壱岐島) to the northern part of Kyushu.

      • KCI등재

        고대(古代) 탐라국(耽羅國) 연구의 쟁점과 이해방향

        장창은 ( Jang Chang-eun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8 탐라문화 Vol.0 No.57

        고대 탐라국에 대한 호칭은 ‘州胡’에서부터 ‘耽羅’·‘託羅(托羅)’·‘?羅’·‘涉羅’, 그리고 ‘耽牟羅’까지 다양한 표기로 사서에 남아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 모두를 동일 대상인 탐라국에 대한 이표기로 인정하는 경향이 강하다. 그러나 『삼국사기』 백제본기의 耽羅와 『魏書』 고구려전에 나오는 ‘涉羅’의 실체는 논란의 여지가 남아 있다. 『三國志』 東夷傳의 韓傳에 나오는 州胡는 ‘오랑캐 마을’ 내지 ‘섬 오랑캐’로 해석된다. 문면으로 보았을 때 중국 측에 의한 타칭이다. 『後漢書』 東夷列傳에는 州胡國으로 표기되어 있어 탐라국 이전 제주의 고대국가에 대한 칭호로 사용되고 있다. 주호국이 제주도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는 데 이의를 제기한 연구자는 없다. 다만 주호가 교역한 韓中의 실체는 연구자 간 견해 차이가 있다. 韓의 실체 규명은 주호가 제주로 비정될 수 있는 중요한 논거가 되었다. 제주시 산지항에서 출토된 貨泉등 王莽錢은 주호국이 1세기 대에 중국과 교류했음을 시사한다. 중국 화폐의 한반도 유입은 본토와의 직접적인 교역보다는 漢郡縣(樂浪郡)을 매개로 했을 가능성이 크다. 제주도가 漢郡縣과 弁·辰韓-倭로 이어지는 교역경로 상에 포함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산지항과 용담동·삼양동 등에서 화폐와 철제 무기류·옥환 등 중국이나 진·변한 계통의 위신품이 출토되는 까닭은 주호국이 이들의 교역체계에 능동적으로 동참했기 때문이다. 주호국의 교역범위는 전남지역의 마한을 중심으로 진·변한 지역을 망라하였다. 제주도산 토기가 나주시 수문 패총, 해남 군곡리 유적, 사천 늑도에서 출토된 것은 그 실증적인 고고자료이다. 제주의 고대국가가 耽羅國으로서 한반도 국가들과 관계를 맺는 것은 『三國史記』 백제본기가 최초의 기록이다. 이에 따르면, 5세기 후반인 문주왕~동성왕대에 탐라국은 백제에 공납을 바치는 종속관계에 있었다. 이와 달리 『日本書紀』에는 탐라와 백제의 통교가 508년에 처음 이루어진 것으로 되어 있다. 기왕에는 백제본기를 그대로 따르는 경우가 많았다. 그 이면에는 백제가 4세기 후반인 근초고왕대에 전남지역까지 진출해 영역지배 했다는 것이 전제되어 있었다. 다만 백제본기의 탐라를 제주도로 보는 데 회의적인 견해도 있다. 『일본서기』의 해당 기록이 백제계 계통이어서 사료가치가 높다는 점, 동성왕이 정벌하려 했던 耽羅가 제주도라면 무진주[광주]에 도착한 백제 군사에 대해 탐라가 스스로 와서 죄를 빌었다는 내용이 어색하다는 점 등이 고려되었다. 그 결과 백제본기의 탐라를 전남 강진과 해남지역에 있었던 소국으로 비정하였다. 백제본기 탐라의 실체는 향후 검토할 여지가 남아 있다. 『魏書』 열전 고구려전에 따르면, 504년에 고구려 문자명왕(491~519)이 북위 선무제에게 사신을 보내 그동안 조공했던 황금과 珂를 더 이상 바칠 수 없다고 했다. 그 이유는 황금은 夫餘에서 나고, 珂는 涉羅에서 나는 것인데, 부여는 勿吉에게 쫓기는 바가 되었고, 섭라가 백제에게 병합되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여기에서 문제가 되는 것이 ‘涉羅’의 실체이다. 한진서가 『海東繹史』에서 ‘섭라’를 제주로 비정한 후 많은 연구자들이 이를 계승 하였다. 특히 珂를 말 재갈 장식에 사용하는 소라와 전복으로 보거나, 마노로 보되 그 생산지를 제주도로 이해하였다. 이와 달리 珂를 (백)마노로 보거나, 涉羅[신라]가 백제에 병합되었기 때문에 더 이상 珂를 바칠 수 없다는 문구도 외교적 수사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하기도 했다. 고구려와 탐라의 관계를 입증해 줄 만한 자료가 남아 있지 않은 점, 『晉書』 부견전에 사용된 신라 국호 ‘薛羅’가 ‘涉羅’와 음운상 같다는 신경준의 주장에 근거해 涉羅=新羅일 가능성이 마련된 점, 珂의 실체가 말 재갈 장식보다는 옥의 범주에 포함되는 마노가 더 유력하다는 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涉羅’는 제주도보다는 신라로 이해하는 것이 온당하다. The Name for Tamna was recorded variously ‘Juho(州胡)’, ‘Tamna(耽羅)’, ‘Takra(託羅)’, ‘Damra(?羅)’, ‘Tammora(耽牟羅)’, ‘Seobra(涉羅)’ etc. First of all, The Juho(州胡) recorded in Samgukji Dongijeon(三國志東夷傳) is almost certain that now Jeju-do. Juho-guk made an exchange with Three Han States(三韓) in 1st to the 4th century. The important exchange goods Juho-guk gained was iron prestige, Chinese Coins, salt, etc. According to Samguk Sagi (三國史記), Tamna(耽羅) paid tribute to Baekje in the late 5th century. But At this time of Tamna was unsured whether to Jeju-do. Some researchers argued that Tamna located in Gangjin and Haenam region, Jeollanam-do. The Recorded in Weisue(魏書) for Seobra(涉羅), Many researchers think the substance is Jeju-do. Because They understood that Ga(珂) is Products made of Abalone or Conch. But Ga(珂) may be Agate or Jade. Seobra(涉羅) was used for the name of Silla. Therefore The substance of Seobra(涉羅) Silla as it might be appropriate.

      • KCI등재

        조선시대 이전 탐라국(耽羅國) 중심 마을의 형성과 변천 -제주목관아지(濟州牧官衙址) 일대를 중심으로-

        김일우 ( Il Woo Kim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1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1 No.3

        오늘날 濟州牧官衙址는 제주시 소속 19개 행정동 가운데 하나 三徒2洞의 관내로서 조선시대 濟州牧의 東軒을 비롯해 여러 관아 시설이 들어섰던 곳을 일컫는다. 한편, 제주 지역의 耽羅國은 5세기 이전부터 출현하였거니와, 그 정치·사회발전단계가 10세기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자율적으로 운영되던 정치조직체의 위상을 지녔다고 하겠다. 이로부터 제주목관아지 일대는 제주사회의 중심 마을이 들어섰던 곳이다. 그리고 제주목관아지 일대를 일컫는 ``삼도2동``이라는 이름은 삼도1동과 함께 조선시대의 ``三徒里``로부터 유래했다. 삼도리 지역의 경우, 첫 마을 형성에 관한 기원은 ``三姓神話``를 통해 엿볼 수 있고, 그 연혁은 고고학적 자료와 사서 등을 통해 추적해 볼 수 있다. 이로써 제주목관아지 일대는 5세기 이전 탐라국의 중심 마을이 들어선 뒤, 고려·조선시대를 거쳐 1950년대 이전에 이르기까지 제주사회 최대 규모의 중심 마을이 유지되어 왔었음이 드러난다. 게다가 선사시대로부터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제주사회의 형성과 변천을 엿볼 수 있는 역사유적도 도처에 산재해 있다. 이 가운데 탐라국의 개막 및 전개와 관련된 마을 유적도 상당수 찾아볼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때문에 제주목관아지 일대는 제주사회 형성사를 들여다 볼 수 있는 안목의 정비와 보존이 기대되는 곳이라 하겠다. Jeju Mokkwanaji is referred to as the site where the government complex used to stand, including "Dongheon"(main building of provincial office) of Jeju-mok in the Chosun Period. Nowadays it is under the jurisdiction of Samdo-2-dong, one of Jeju city`s 19 administrative dongs. Tamna, which already came into being in this area during the fifth century, is said to have had the status of autonomously operated political system until the early tenth century. Thereinafter, main villages of Jeju community had come up in the area revolving around Jeju Mokkwanaji. The names of ``Samdo-2-dong`` for the Jeju Mokkwanaji area and ``Samdo-1-dong`` are originated from the place name of ``Samdo-ri`` of the Chosun Period. In the case of the ``Samdori`` region, the origin about its firstly-formed village was suggested in ``Samsungshinhwa`` and its history and development can be traced back through archaeological materials and historical documents. As such,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area included the main villages in the biggest scale since those of Tamna`s were built during the Koryo and Chosun Periods until 1950s. Furthermore, scattered around this area are historical remains that help get a sense of the formation and changes of the Jeju society. Also, a number of village remains can be found, relative to the starting and development of Tamna. Accordingly, the area of Jeju Mokkwanaji is thought to be entitled for maintenance, repairs and overhaul as well as preservation with a discerning eye, showcasing the formative history of Jeju.

      • KCI등재
      • KCI등재

        돌하르방은 석궁왕(石弓王), 쿠빌라이 대칸의 탐라도 환생석 - 스키타이 기마 양유목혁명을 중심으로

        주채혁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16 한국시베리아연구 Vol.20 No.2

        1. What is Dolharvang? Inspite of many other names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ons, some scholars argue that Dolharvang is a compound noun of Харвах+vang=Harвavang(Archery King). The scholars also say that Khubilai the Great Khan who was the Founder of the Yuan(元) Empire had a vision of expanding his steppes empire and promoted the Mongolian Palace Project in the Ocean. It is said by the scholars that the Emperor thought Tamrado Island such a cornerstone as Palace on the Ocean. Therefore the scholars insist that Dolharvang in Tamrado(耽羅都) Island is appreciated as the phantom of Archery King Statue to be the failed dream of Khubilai the Great Khan. It is said that the Sheep Nomadizing at the Mongolian Steppes was reproduced in Tamrado Island being at the Non-Nomadic Zone is evaluated to be a kind of fiction. Because the Sheep Nomadizing Revolution at the Steppes could not be realized at any times, in the place where was not proper for the Sheep Nomadizing. If the Horse Raising was not connected with the Sheep Raising at the Steppes, the fighting power of mongolian horses also were not fulfilled their functions. And in case of the Mughul Empire(1526~1857)in the Non-Nomadic India, that was a subsidiary political organization belonging to the Empires of Chinghis Khan also did not recover the nomadic sweet home-like land and was disappeared in spite of building the greatest islamic dynasty in indian history. In other words, it is true that there are times and places for everything according to actors’ and actress’ abilities. However, the scholars talk about that the statue of Acheryking is smiling at the site of the Mongolian empire’s Ocean Palace where the site of the Beob Hwa Sa (法華寺) Temple was in the Gang Jeong(江汀) village. 2. Who was Khubilai the Great Khan? At the name of an era, Chih Yuan(至元) 17years in 1280 of Khubilai the Great Khan, an artist named Liu Kuan Tao(劉貫道), who was belonging to palace, drawed the hunting pictures of Khubilai the Great Khan at the Mongolian Steppes and some painters, who was belonging to the ancient Korean state Koryo, drawed portraits of Khubilai the Great Khan’s daughter named Khudulugh Kelmish who was a queen of Koryo and of Khubilai the Great Khan’s childish grand son, his daughter’s son named Ijil-Buqa who was a king of Koryo Chungseonwang(忠宣王). Ijil-Buqa was the core leader of the old Korean kingdom that was Gooli(高句麗)-Boka(渤海), who restored a family line of his monarchy to a member of Mongol Royal Family/Borjigin again. By the way, one royal picture and two royal portraits mentioned above are remained without flaws. After it becomes generally known, the historical story makes many Koreans surprise. 3. How do you apprise the Scythian works of art? In the Scythian systematic nations, the artistic relics being inherited by the Horse Riding-Sheep Nomadizing Revolution, since receiving the ironware during 2000 years, are touching many persons’ heartstrings from Black Sea(黑海) to city of Kyungjoo(慶州) in Korea. [English translation of the summary was a former journalist, historian Kim seon don(金善敦)]. 유라시아대륙에 석기시대 이래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석인상 유적들이 있다. 그렇지만, 본고에서는 철기 수용과 더불어 수행된 스키타이 ‘기마 양유목혁명기’를 전후해 일반 초원(Grass land)이 아닌 기마 양유목지대인 유라시아 스텝(Steppes)지역을 중심으로 제작된 관계 석인상 유적과 그 연장선상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는 비유목지대 탐라도(耽羅都) 목마장의 석인상 유적에 초점을 맞추어 돌하르방 문제를 천착해보았다. 유라시아의 유목민들이 말을 탄 주된 이유가 스텝의 양유목혁명 수행을 위해서였다. 팍스 몽골리카를 이룩한 이들의 ‘기마사술’이라는 가공할 유목무력도 물론 이에서 비롯됐다. 돌하르방이란, 여러 명칭개념 해석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돌로 된 Харвах+vang=Harвavang(弓王)으로 논자 나름으로 본고에서 그 개념을 정의해보았다. 뒷날 알탄 칸(1507년~1582년)은, 자신이 ‘쿠빌라이 대칸’의 환생임을 자칭했다. 그렇듯이 쿠빌라이 대칸이 팍스 몽골리카를완성하고 탐라국에 해양제국 몽골황궁 구축을 구상-시도했던 흔적이 다소간에 확인되기도 하는 만큼 서북 다싱안링 고올리칸(弓王: 東明-Tumen) 석인상-‘석궁왕’처럼 서남 다싱안링 다리강가 스텝의 석인상도 중심인물 석인상을 위시해 배치되고 있는 몽골의 기원지대 관행으로 보아, 제주도 돌하르방이 이를 조형(祖形)으로 삼아 쿠빌라이 대칸 석인상을 중심으로 애초엔 그렇게 세워진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고 하겠다. 그래서 그 후의 돌하르방이 팍스 몽골리카 탐라 해양황궁에 환생해온 그 참 주체인 쿠빌라이 대칸의 민속 신앙적 환영의 시대적 구상들일 수가 있다는 것이다. 이는 본래, 구체적인 역사인물인 팍스 몽골리카의 실제적인 구현자 대원제국 태조 쿠빌라이 대칸의 스텝제국의 확충 비젼이 투영된 해양 중 몽골궁성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탐라도 해양궁성의 아이콘초석으로 세워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미처 못 다 이룬 그의 꿈이 배어난 자아상으로서의 석궁왕상(石弓王像)과 그 환영의 각 시대 시류를 따른 구체적인 구현이, 탐라도 돌하르방의 실상이었다고 보는 것이다. 그런데 비유목지대인 탐라도 목마장에서의 ‘몽골스텝 양유목’은 한낱 허구였다고 본다. 왜냐하면 양유목의 적지가 아닌 이곳에서 스텝양 유목 혁명을 유발하기 위한 목마는 실은 실현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결국 인도의 거대한 칭기스칸 몽골제국계 이슬람제국 무굴제국(Mughul Empire;1526~1857)도 끝내 몽골스텝 본지(本地)의 수복을 이루지는 못했다. 본질적으로 목마가 스텝양유목과 관계가 없다면 몽골말의 유목적 전투력도 지속적인 제 기능을 발휘할 수가 없었던 것이다. 달리 말해 모든 것에는 그 나름의 때와 전제조건이 있다는 말은 불변의 진리라 하겠다. 원명(元明)~여선(麗鮮) 역성혁명과정이나 산업혁명 이후 만청(滿淸)제국과 신성로마제국 등의 모진 핍박과 농락 중에 이런 특정 생태 적응적 진화를 해오는 과정에서 시류를 따라 코믹하게 일그러진 표정으로 자신을 성형수술해온 터이지만, 탐라도 돌하르방은 2000여 년에 걸친 철기 수용 이래의 ‘황금빛 스키타이’ 기마 양유목혁명의 총체적 열매로서의 끈질기고 슬기로운 세계사적 차원의 초인적인 난숙한 예술적 풍모를 기나긴 세월 온갖 풍상 속에서도 아직 적지아니 견지하고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후보

        10~12세기 고려의 渤海難民 수용과 주변국 同化政策

        전영준(Jeon, Young-Joon) 제주학회 2021 濟州島硏究 Vol.55 No.-

        고려는 건국과 동시에 불안한 동북아시아의 정세에 직면하여 주변 민족의 고려 편입을 유도하기 위한 諸정책을 시행하였다. 당시 고려를 둘러싼 인접국가의 내부적 혼란과 새롭게 등장하는 북방민족의 흥기는 발해 멸망의 직접적인 원인이었다. 이처럼 10세기 전후의 동북아시아의 혼란한 정세는 고려의 대내외정책을 치밀하게 수립해야 할 당면 과제였다. 이에 따라 고려는 대내적 안정을 위한 중앙집권 강화 정책을 수립하면서도 정복전쟁의 수행에 필요한 인적 자원의 확충을 위해 북방 지역의 이민족을 적극 수용하고자 하였다. 고려는 왕권의 안정을 위한 제도와 팔관회를 활용한 대외적 신인도의 확대를 꾀하여 북방 이민족에 대한 羈縻州의 설치를 통하여 투화를 적극 유도하였다. 또한 우산국과 탐라국에 대한 정치적 영향력을 강화하는 정책도 수립하였다. 특히 탐라국에 대해서는 전통적인 동북아시아의 조공-책봉관계를 활용하는 羈縻支配 방식을 채택하여 적극 시행하였다. 고려의 난민과 이민족에 대한 다양한 동화정책의 시행은 고려 전기 발해의 세자 大光顯과 그 難民을 비롯한 여진 및 북방 민족의 내투과정에서 전개되었다. 아울러 탐라에 대한 기미지배와 지방 정부 편입으로 동북아시아에서 고려의 영향력을 확대하여 갔다. 고려 전시기에 걸쳐 끊임없이 투화해온 이민족에 대한 賜姓名, 賜爵 등의 정치적 배려와 편호 및 투화전 지급 등의 사회경제적 처우의 개선은 고려인의 정체성으로 동화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아울러 이민족에 대한 고려의 적극적인 동화정책은 동북아시아에서 고려의 위상을 제고하는데 일조하였다고 볼 수 있다. Having faced with the political instability of Northeast Asia since its foundation, Goryeo implemented policies for the incorporation of neighboring peoples. At the time of the establishment of Goryeo, the internal confusion of neighboring countries surrounding Goryeo and the rise of the newly emerging northern peoples acted as the direct causes of the fall of Balhae. The turbulent political condition in Northeast Asia around the 10th century was an immediate challenge that required Goryeo to establish deliberate internal and external policies. Therefore, Goryeo attempted to actively accept foreign peoples from northern regions to expand human resources necessary to wage conquest wars while setting up policies to strengthen the centralized power for internal stability. Goryeo also actively induced the voluntary surrender of northern peoples with the establishment of loose-reign provinces, raising its external reputation by using the system to promote the stability of royal authority and the Palgwanhoe (Assembly of the Eight Commandments). In addition, Goryeo formulated a policy to reinforce its political influence on Usan and Tamna. In particular, for Tamna, it adopted and actively implemented the loose-reign control system that utilized the traditional Northeast Asian tributary relationships. Goryeo s various assimilation policies for refugees and foreign nations were unfolded in the process of accepting crown prince Daegwanghyeon and people from Balhae and northern foreign peoples including the Jurchen during its early years. In addition, the kingdom expanded its influence in Northeast Asia, with the loose-reign control of Tamna and incorporation of local governments. Political incentives such as the granting of names and public offices to foreign peoples who continued to voluntarily surrender to Goryeo throughout the entire Goryeo period and systems for improving their socio-economic status such as the provision of family registers and tuhwajeon (land) helped them establish their identity as the Goryeo people and be assimilated into the Goryeo society.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hat Goryeo s active assimilation policy toward foreign peoples greatly contributed to raising the status of the country in Northeast Asia.

      • KCI등재후보

        제주 예래동취락의 변천 -철기시대를 중심으로-

        김경주 ( Kim Kyoung-ju ),안재호 ( Ahn Jae-ho ) 호남고고학회 2024 湖南考古學報 Vol.76 No.-

        본 연구의 대상이 된 예래동유적은 제주 남부지역에 위치하는 대형취락의 일부분 구역으로, 구릉 말단부를 구로써 구획한 독립공간에 해당한다. 주거지 265동과 수많은 수혈에 대한 계기연대법을 통해 5개로 양식편년하였다. 예래동유적은 탄소14연대에 따르면 대략 기원전 350년 전후에서 기원전 10년 전후의 시간대에 형성되었고 송국리형취락사회에서 탐라국으로의 교체기에 해당하는 취락이다. Ⅰ기에는 소수의 핵가족이 이주해와 흩어져 거주한다. Ⅲ기에 접어들면 인구가 증가하고 대형가옥이 등장하면서 생산활동의 주도권을 가졌으나 핵가족체의 군집인 세대공동가족체가 많아지는 경향을 보일 뿐 식료 증대의 흔적은 보이지 않는다. 반면에 Ⅳ기에는 가옥의 수는 더욱 증가하고 동경과 무기형의 청동기와 철기가 도입되며 식료처리구도 압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당연히 잉여생산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는데 대형가옥의 조영이 보이지 않아 보존구역에서 대형가옥을 찾아 이곳에 거주하였던 주인공을 취락을 대표하는 수장으로 상정하였다. 예래동취락에서는 잡곡 재배의 농경활동도 있었지만 어로활동이 중심이고 이에 따라 막대한 잉여생산도 가능한 제주의 환경에서는 농경사회가 아니라도 수장의 권한을 확대할 수 있고 결국엔 탐라국의 성립에 이를 수 있었다는 추정을 할 수 있었다. 그 권력의 중심에는 농경사회보다 더욱 공고한 가족체의 지배계층화가 두드러졌다는 추론도 가능하다. 이후 예래동취락을 비롯한 남부권 취락은 탐라시대로 접어들면 대부분 축소되어 간다. 이것은 탐라의 등장과 함께 중심취락이 서북부지역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남부권 취락의 주민집단도 분산되거나 이주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Yerae-dong Settlement is one of the base settlements located in south Jeju Island and characterized as a separate area comparted by ditches. Using sequence dating, this research sorted out 265 houses in residential areas and many pit dwellings in the settlement into five periods. According to C-14 age dating, the Yerae-dong settlement had been founded and thrived approximately from 350 to 10 BCE and this makes it fall into the settlement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from Songguk-ri culture to Tamnaguk. During Period I, a small number of nuclear families migrated to this area and formed distributed dwellings. As it reached Period III, the increased population led to the appearance of larger houses with leadership in production activities. However, the formation of generational communities from tethered nuclear households, characterizing this period, did not result in a dramatic increase in food production. On the other hand, the further increase in the number of houses and the introduction of bronze mirrors and weapons and ironware during the IV Period accompanied the remarkable increase in food processing facilities. Despite this evidence of surplus production, no evidence has been found regarding the construction of large houses during this period. Therefore, this research assumes that the dweller of the large house in the preservation area was the chieftain of the settlement. Even though grains were also harvested, fishing activities were still at the core of its production. The natural resource of Jeju Island might have enabled even this non-agricultural to produce enough surplus necessary for the increased power of chiefdom, and in turn, for the foundation of Tamnaguk. This tendency that strong household units became a ruling class might be more noticeable in the Yerae-dong settlement than other agricultural settlements. As it entered into the Tamna era, most south settlements including Yerae-dong declined. It is assumed that, as the center of settlement gradually moved to the northwest in this time, communities in the south settlements also migrated or were dispersed.

      • KCI등재

        항파두리성(缸波頭里城)은 태평양 탐라국(耽羅國) 홍바투성(洪拔都城)

        주채혁 한국몽골학회 2020 몽골학 Vol.0 No.60

        태평양 탐라국(耽羅國) 항파두리성(缸波頭里城)에 관한 견해는 몇 가지가 있어오지만, 이를 재론하기보다는 여기서는 당시의 주된 역사적인 상황을 되짚어가며 그 실상을 되새겨보는 데에 주력하려 한다. 이 성은 대체로 팍스 몽골리카의 극성기인 1273~1374년 경에 현존했던 것으로 보이는 만큼 크게는 스텝 몽골유목세계제국의 해양세력 확보와 직관되는 존재 목적을 가졌던 것으로 추정된다. 태평양 탐라국 항파두리성의 초대 성장(城將)은 스텝 몽골유목세계제국 ‘정동(征東) 도원수’인 칭기스칸의 충직한 이부·동모·동성·말제(異父·同母·同姓·‘末弟’) Borǰigin Temüge Odčigin의 6세손인 황족 힌두(Borǰigin Hindu: 忻都 또는 忽敦)이었다가 그가 어떤 사정으로 거세되고 1277년부터 고려계 몽골인 홍복원(洪福源)의 아들 홍다구(洪茶丘) 일가가 그 자리를 점유하면서 홍바타르성(洪baatar城: 洪拔都‘Batu’城)으로 성명(城名)이 정착되었을 수 있다고 추정된다. 홍다구의 뒤를 이은 성장이 그의 조카 스텝 몽골유목세계제국 정동 도원수 홍파두아(洪波豆兒: Hong Baatar-洪拔都‘Hong Batu’:홍영웅, 장군)로 명명되고 있어서 그럴 가능성을 보여준다. 당해(當該) 출처 사료들이 모두 고려측 사료이어서 더욱 그러하다. 반군(叛軍) 삼별초(三別抄)가 몽·려 연합군에게 멸절된 후의 스텝 몽골유목세계제국 ‘정동(征東) 도원수로 명명(命名)·기록되고, 세습되는 그들 홍(洪)씨일가 성장(城將)이 Hong Baatar(洪波豆兒: 洪拔都‘Hong Batu’)로 불리는 것은 대체로 무난한 일이기 때문이다. 다만 쿠빌라이 대칸의 쿠데타는 이로부터 완성돼 팍스 몽골라카를 구가했으나 동시에 몽골세계제국이 내외로 붕괴되는 치명적인 불씨를 심은 것도 사실이라 하겠다. 다만 해양 몽골세계제국화 중심기지 태평양 탐라국 항파두리성-홍발도성(洪拔都‘Batu’城)의 해양사 상 최첨단의 최대 태평양세계대전을 시도한 결과가 조선조의 거북선(龜船; 1413년)으로 결실됐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보여주는 것으로 보이는 유물들이 관계 해전유적일대에서 근래에 발굴되고 있는 일이 주목된다. 쿠빌라이 대칸 휘하 최고위 인물중의 일인이었다 할 스텝 몽골유목세계제국 ‘정동 도원수’ 홍다구 바투(洪茶丘 拔都)는 1274년 쿠빌라이 대칸의 칙명(勅命)으로 정일(征日) 감독조선관군민총관(監督造船官軍民摠管)을 직접 맡아 정일조선공사(征日造船工事)를 몸소 총주관했기 때문이다. Despite several historical views of Pacific Ocean Tamra State(耽羅國) Hangpaduri Castle(缸波頭里城), this paper focuses on its major historical situations. Tamra State Hangpaduri Castle appears to have existed in the prime time of Pax Mongolica in 1273~1374, and it is presumed to have served as the central command related to Mongol Empire's efforts to secure gigantic marine forces. The first head of Pacific Ocean Tamra State Hangpaduri Castle was imperial Borǰigin Hindu(忻都) - who was the sixth descendant of Steppe Mongolian Nomad World Empire's East Conquest Commander Borǰigin Temüge Odčigin(鐵木哥斡赤斤), -the Genghis Khan's loyal half-brother-born from the same mother but a different father: stepfather(繼父=異父), same mother(同母), same last name(同姓), ‘last brother(末弟)’- , and was later removed due to involvement in treason. He was replaced in 1277 by the family of Hong Dagu (洪茶丘) - who was the son of Hong Bokwon (洪福源) of Goryeo(高麗)-Mongol descendant, the Goryeo military-civilian minister (管領歸附高麗軍民長官) of Yo and Sim (遼·瀋), thereby presumably leading the castle to be named Hong Baatar Castle(洪拔都‘Hong Batu’城) . In particular, the castle head Steppe Mongolian Nomad World Empire's East Conquest Commander, who succeeded Hong Dagu, was named as his nephew Hong Padua (洪波豆兒: Hong Baatar‘洪拔都’=‘Hong Batu’, hero Hong, general Hong), boosting the possibility of such castle naming. All relevant historical materials come from Goryeo, further confirming the fact. After the rebel force Sambyeolcho (三別抄) was subdued by the allied forces of Mongolia and Goryeo, Pacific Ocean Tamra State Hangpaduri Castle(缸波頭里城) was named and recorded as Pacific Ocean Hong Baatar Castle(缸波頭里城: 洪拔都‘Hong Batu’城) in Goryeo under the control of allied forces of Mongolia and Goryeo, and the succeeding castle head of Hong family was referred to as Hong Baatar(洪波豆兒‘Hong Batu’), which is generally accep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