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라틴아메리카 탈식민담론과 인류학: 인식론적 전환을 넘어서

        조경진 ( Kyung Jin Cho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4 韓國文化人類學 Vol.47 No.3

        밀레니엄이 지난 현재 시점은 인문사회과학의 사상적 흐름에서 포스트‘포스트’시대가 되었다. 1990년대까지 탈근대성과 탈식민주의·후기구조주의는 각각 근대성·제국주의·구조주의에 대한 성찰과 비판으로서, 새로운 방식의 세상 읽기를 시도하는 도전적인 사조로서 의의가 있었다면, 이제는 그 사조가 연구의 조건이자 전제로 규범적 차원에서 작동하고 있는 시대이다. 그런 연유로 탈식민담론을 현재 논의의 대상으로 세우는 것은 자칫하면 시대착오적인 인상을 줄 수도 있다. 그러나 최근에 미국과 라틴아메리카 본토에서 라틴아메리카 탈식민 연구 열풍이 일고 있다. 이러한 지식화 과정은 어떤 배경에서 시작되었고, 왜 지금 일어나고 있으며, 무슨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고, 밀레니엄 이전의 탈식민주의와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본 논문은 라틴아메리카 탈식민담론의 사상적 계보를 정리하고, 정치적 실천으로서 그 지식화 과정이 이 지역에서 일고 있는 여러 사회운동, 그리고 혁신적인 정권창출과 갖는 연계성을 논의한다. 라틴아메리카탈식민담론은 일관된 하나의‘~주의’로 성립되지는 않지만 오늘날 라틴아메리카 대륙이직면한 현실을‘식민성’으로 규정하고, 1492년 신대륙 정복 이래 지속된 정치적·경제적·문화적 지배의 작동기제를 이론화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모색한다. 라틴아메리카탈식민담론의 초석을 다진 철학자 엔리케 두셀의 해방철학, 이에 정치경제학적 분석과 인종주의를 접목하여 서구의 근대성을 식민성으로 재이론화한 사회학자 아니발 키하노, 식민지화를 통해 자의적으로 규정된 서구의‘라틴아메리카’라는 상상계를 해체하고자 하는 문학평론가 월터 미뇰로는, 새로운‘남부의 인식론(epistemologies of the South)’을 제시하고 있어 종속이론 이후 소강상태를 보였던 비판적 라틴아메리카 연구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 그런 라틴아메리카 탈식민 연구가 현장 중심의 학문인 인류학에 시사하는 점은 무엇인가? 인류학은 에드워드 사이드의『오리엔탈리즘』이후 나름의 방식으로 당대의 탈식민담론과 적극적인 대화를 하고, 인류학의 제도화에 대한 깊은 성찰을 해왔다. 그러나 학계에 한창 탈식민 열풍이 불고 있을 때, 탈식민담론을 라틴아메리카와 연계시키는 시도는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에 라틴아메리카 탈식민담론을 자신들의 인류학 연구에 적극적으로 수용한 아르투로 에스코바르와 페르난도 코로닐의 시도를 소개하고, 이들의 노력이 성찰적 학문으로서 인류학을 재규정하는 데 시사하는 바를 논의한다. This paper introduces and discusses the emerging discourses on Latin American postcolonialism and the implications this new line of inquiry poses to anthropology as a field-directed social science. Latin American postcolonial theory does not comprise a unified body of knowledge, but rather consists of an on-going discussion among a group of scholars from the diverse fields of philosophy, literary criticism, sociology and anthropology. Most of the adherents to this emerging paradigm agree on the fact that colonialism of the Americas began in 1492 and still persists. They postulate that the conquest also marked the beginning of European modernity, hence placing the roots of European modernization not in Northern Europe but in Southern Europe. Crucial to this development was not only the political economic conquest of the land, but also the process of knowledge production, which succeeded in naturalizing differences into discrimination based on racialized ideologies. Racialized hierarchies became the basis for a political economic system that sustained and enriched itself through exploited slave labor. The Latin American experience cannot be placed on the same plane as that of Europe, and hence calls for a different understanding of modernity─having experienced it outside European modernity. The proponents of this paradigm call this specific Latin American experience “transmodernity,”and because of its location outside Western modernity, it becomes the location through which it can contest and overcome European modernity. Anthropologists such as Escobar and Coronil have engaged with the postcolonial Latin American debate, but the question still remains how to apply this new epistemology to a concrete political economic understanding of present day Latin America. I argue that anthropology, as a field-based social scientific discipline is in a good position (and has indeed done so in the past) to complement what is at present an emerging epistemology on Latin America.

      • KCI등재후보

        탈식민 전후 반공담론의 지속과 변주

        김봉국(Kim, Bong-Guk) 역사학연구소 2017 역사연구 Vol.- No.32

        이 글은 한국 반공이데올로기의 초기 형성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탈식민 전후 반공담론의 지속과 변주의 양상을 검토했다. 특히 이 글은 한국의 반공이데올로기를 외력이 조성한 식민과 탈식민 그리고 냉전의 직접적 산물로 보지 않았다. 그 대신 그러한 구조화된 역사적 조건과 상호작용하면서 자신의 정치노선을 추구했던 우익의 반공담론에 주목해서 접근했다. 실제 초기 한국의 반공이데올로기는 자기 완결적 논리를 갖추거나 공산주의와의 논쟁을 통해 형성된 것이 아니었다. 민족운동 내 좌우대립의 경험을 바탕으로 탈식민 전후 역사적 국면의 전환에 대응했던 우익 정치세력의 담론에 의해 구축된 측면이 강했다. 즉 한국의 반공이데올로기는 전변된 역사적 조건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면서, 늘 타자의 타자로서 자기 정체성을 형성했던 우익의 반좌반공담론과 그 궤적을 같이하면서 형성되었다. 이런 측면에서 이 글은 1920년대 이후 좌우갈등의 경험에서 비롯된 우익의 공산주의 운동에 대한 비판논리와 반감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민족 대 계급’의 논쟁구도가 반복되는 가운데, 좌익의 초민족적 국제주의 계급노선에 대한 우익의 비판이 탈식민 전후 반공담론의 한 축을 이루었음을 주장했다. 이와 함께 식민과 탈식민 그리고 냉전의 국면 전환에 따른 반소반공담론의 변화양상을 분석했다. 특히 일제시기 ‘제국의 防共’ 담론과 해방 직후 민족·민주주의 시대의 그것 사이에 단절과 변화의 지점을 포착하여 양자 사이의 동형이질성을 드러냈다. 이어 미소대립의 심화 속에 반공담론의 논리가 재차 변화하는 가운데 냉전적 반공담론이 출현했음을 주장했다. 이를 통해 탈식민 전후 한국 반공담론의 다층적 구조와 함께 그것의 지속과 단절 그리고 변주의 과정을 밝혔다. To review the process early anti-communism was formed in Korea, this article studied the continuity and change in the discourse of anticommunism in South Korea before and after the postcolonial, Liberation. This study did not approach the anticommunism ideology in Korea as a direct by-product of a series of the colonial, postcolonial, and cold war made by the external, foreign force, but as the discourse of anticommunism caused by the right wing that pursued its political line, interacting with the structured historical conditions, instead. Actually, early anticommunism ideology in Korea was neither equipped with self-contained logic, nor formed through dispute with communism. It was almost established by the discourse of the right political power that coped with the historical change before and after the postcolonial based on the right-left conflict within the National Movement. That is, the anticommunism ideology in Korea was formed alongside the discourse of anti-left and anti-communism of the right wing that established self identity as the other of the otherness, coping with changing historical condition. On the aspect, this article examined the critical logic for and hostility towards anticommunism movement held by the right wing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right and left conflict since 1920. In the process, ‘Nation versus Class’ controversy was repeated, and criticism of the right for the class line of transnational internationalism by the left was the pivot of the discourse of anticommunism before and after the Liberation. And the study analysed the changing aspect in the discourse of the Anti-Soviet and Anticommunism according to the series of the colonial, liberation, and cold war. Especially, the study examined the point of disconnection and change between ‘Imperial Anticommunism’ discourse under Japanese imperialism and that in the period of nationalism and democracy right after the Liberation, which showed isomorphism between the two periods. And then the study suggested that with the changing logic of anticommunism discourse in the US-the Soviet Conflict, communism was defined as the other of ‘liberal democracy’, the advent of cold-war anticommunism discourse, on which the study reviewed the continuity, disconnection, and change in the discourse of anticommunism with its multi-layered structure before and after the Liberation in Korea.

      • KCI등재

        1990년대 이후 지식생산의 탈식민 담론에 관한 비판적 분석

        채웅준(Woongjun Chae)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9 언론과 사회 Vol.2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1990년대 이후 지식생산의 탈식민 담론을 분석함으로써 동시대 한국 지식생산의 상황에 비추어 논의를 더욱 생산적인 방향으로 재정향하는 것이다. 탈식민론은 서구의 학술적 헤게모니 재생산을 극복하고자 했던 담론적 실천을 가리킨다. 1990년대 인문사회과학 분야에서 본격적으로 제기되기 시작한 탈식민론은 외국 학계와의 관계 맺기에 관한 다양한 진단과 대안을 제출해 왔으나, 2010년대에 이르러 기존의 활력을 잃었다. 탈식민론의 문제의식을 더욱 심도 있게 이어가려면, 먼저 담론의 논리 구조를 맥락적으로 이해하여 그 함의와 한계를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논리 구조에서 눈에 띄는 사실은 ‘식민성’, ‘세계화’, ‘탈식민’이라는 주요한 언표들이 텍스트마다 다른 내포를 띤다는 점과 각 텍스트가 지식에 관한 특정한 인식론적 신념을 전제하고 있다는 점이다. 분석을 통해 우리는 탈식민론을 전통 계승 담론, 삶 기반 지식생산 담론, 현실 기반 이론전유 담론, 식민제도 변혁 담론, 연구문화 개선 담론 등 다섯 가지 하위 담론으로 분류하고 각각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하위 담론 가운데 하나를 취사선택하려는 것이 아니라, 탈식민론의 유산을 정리하여 합리적 핵심을 추려 내고 논의를 더욱 급진화하기 위해서다. 탈식민론의 근본적인 문제 제기는 동시대 한국 지식 장의 신자유주의적 학술 체제에서도 유효성을 지니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탈식민론이 앞으로 다루어야 할 담론적 실천의 과제로는 무엇이 있을지 논의하면서, 탈식민의 기본적인 출발점이 연구문화의 개선에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This study critically analyzes an academic decolonization discourse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 Korea since 1990s in order to reorient the arguments in a more productive direction in light of the situation of contemporary Korean knowledge production. Since 1990s, the decolonization discourse has submitted various diagnoses and alternatives on establishing relations with foreign academia, but it lost its vitality in the 2010s. To continue this reflection more seriously and deeply, i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should be examined by understanding a logical structure of the discourse contextually. What is remarkable in the discourse is that the main énoncés such as ‘coloniality’, ‘globalization’ and ‘decolonization’ are given different values for each text and that certain epistemological beliefs are assumed on the basis of discourse. On this analysis, I will classify the decolonization discourse into five subᐨdiscourses, the discourse on ‘succession of tradition’, ‘knowledge production based on life’, ‘theory appropriation based on reality’, ‘transformation of colonial system’, and ‘improvement of research culture’, and critically examine each one. This is not to choose one subᐨdiscourse among others, but to derive the reasonable core of discourse and make it more radical. It is because the fundamental problematization of discourse is still valid in neoliberal system of contemporary Korean knowledge field. This study, putting the heritage of decolonization discourse together, suggests four agendas-the analysis on globalization,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lobalization and local knowledge field, reflexivity on knowledge production, and improvement of Korean research culture-as a task of this discourse hereafter.

      • KCI등재

        해방 직후 남한 엘리트의 이성 담론, 규율 주체 생산과 헤게모니 구축

        임종명 ( Chong Myong Im ) 한림과학원 2013 개념과 소통 Vol.0 No.12

        한국의 1945년 식민지 해방은 탈식민의 역사적 획기(劃期)이자 서구주의적 근대에 대한 당대 한국인의 의식과 태도 변화의 계기였다. 이에 유념하면서, 본논문은 전후 또는 해방 직후 남한 사람들의 근대성 이해와 그것의 조정 과정및 방식 나아가 역사적 함의를 이해하고자, 당대 지식인들의 이성 관련 담론을 검토한다. 이성 담론 검토에 있어 본 논문은 기본적으로 해방 직후 남한에서 구성되는 이성 담론을 하나의 역사적·사회적 실체로 이해한다. 당대 이성 담론 역시 당대 남한 사람을 탈식민 시기 민주주의적 민족국가 수립과 운영의 주체인 민족과 국민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당대 지식 엘리트들의 담론적노력이었다. 그리고 이성 담론은 전후(戰後) 민주주의시대 남한 대중에 대한 지배 엘리트의 헤게모니 담론이라 할 수 있다. 이성 담론은 전후 민주주의시대 규율 주체 생산을 통한 남한 지배 엘리트의 헤게모니적 지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문화적 자원이었다. 바로 이것이 남한 지역 내 엘리트와 대중의 권력 관계와 엘리트의 대중 지배라는 측면에서 확인되는 이성 담론의 헤게모니성이다. 또 하나의 헤게모니성은 전후 세계의 패자 미국의 남한 지역 헤게 모니 구축과 관련해서도 확인된다. 미국의 헤게모니 구축이라는 측면에서 이성담론이 갖고 있던 잠재력은 ‘이성의 보편성’과 관련해서 목격된다. 이성 담론의 보편주의 강조는 남한 사람 사이에서 세계 보편으로 표상되고 있는 미국 의 헤게모니 수용을 촉진할 수 있다. 바로 이러한 잠재력이 미국의 남한 헤게 모니 구축이라는 관점에서 본 이성 담론의 헤게모니성이라 할 수 있다. The liberation of Korea from Japanese colonial rule, in 1945, constituted a pivotal historical moment. The beginning of the Korean postcolonial era also coincided with a significant change in the attitude of contemporary Koreans toward Western-oriented modernity. This article therefore intends to appraise South Koreans` understanding of modernity by examining the prevailing discourse on reason at that time. This discourse was designed to transform contemporary South Koreans into a nation, and the kungmin (people) into subjects to build and run a postcolonial democratic nationstate. The discourse on reason formed a cultural resource which, by producing an academic and philosophical context for the post-War era of democracy, was used to legitimize the rule of the South Korean elite, allowing them to dominate the South Korean masses. At the same time, this discourse had the potential to serve another function: by emphasizing the universality of reason, South Koreans were induced to embrace its supposed global representative, the U.S., which permitted the construction of the American hegemony over South Korea in the post-War era.

      • KCI등재
      • KCI등재

        ‘비서구 저항담론’으로서의 세제르(A. Cesaire)의 탈식민주의 비평, 그 가능성과 한계: 화자(話者), 언어(言語), 대항담론(對抗談論)의 측면에서

        최일성 ( Choi Il-sung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8 비교문화연구 Vol.51 No.-

        20세기 들어 서구중심적 보편주의에 직접적으로 의문을 제기한 지적 흐름은 이른바 ‘탈식민주의(Postcolonialisme)이다. 지금까지 제시된 탈식민주의 비평의 주요 성과 가운데 하나는 피식민사회의 정치적 해방이 해당 사회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해방을 담보하지 못하고, 따라서 서구사회의 해방담론- 특히 맑스주의, 민족주의, 여성주의, 해체주의 등이 주창해온 -이 비서구사회에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없다는 사실이다. 이로 인해 서구사회와 비서구사회는 안타깝게도 서로 다른 미래와 해방을 꿈꾸고 있으며, 따라서 이들 사이에 소위 ‘지정학적 대화’가 요구된다는 당위성이 노출되었다. 그러나 탈식민적 해방을 위한 이론가들의 노력은 여러 서구중심적인 전통들과 결별하지 못한 채, 혹은 그것들과 연대하면서, 자신들의 세력권을 구축해온 것도 사실- 그 성과를 폄훼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다. 주지하다시피 탈식민주의 비평의 상당수는, 특히 탈식민주의를 주창하거나 제안하는 ‘화자(話者)’ 혹은 ‘정체성’의 측면에서, 그러한 탈식민주의 이데올로기를 담아내거나 표출하는 ‘언어(言語)’의 측면에서 그리고 식민적 폐해를 고발함과 동시에 탈식민적 미래를 모색하기 위해 동원하였던 ‘대항담론(對抗談論)’의 측면에서 어떻게든 서구와의 연을 이어갔다. 본 연구는 피식민사회의 해방을 제안한 여러 탈식민주의 비평들 가운데 이른바 ‘네그리튀드(Negritude)’운동의 아버지라 불리는 에메 세제르(Aime Cesaire)의 탈식민주의 정치사상을 중심으로 다시 읽기를 추진해볼 것이다. 그것은 세제르의 탈식민주의 정치사상을 ‘화자’, ‘언어’ 그리고 ‘대항담론’이라는 세 가지 앵글을 통해서 이론적으로 되짚어보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 과정을 통해 세제르와 그의 정치사상을 새롭게 성찰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해본다.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post-colonialism has directly raised questions about western-centered universalism. One of its main achievements is that the political liberation of a colonial society does not guarantee the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liberation of a society. Therefore, the discourse of liberation in the Western society, in particular, Marxism, nationalism, feminism and postmodernism, cannot be directly applied to the non-Western society. As a result, Western and non-Western societies are unfortunately dreaming of different futures and liberation; therefore, a‘geopolitical dialogue’ is needed between them. However, the theorists' efforts for postcolonial liberation failed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the western-centric traditions. It is also true that they have, in conjunction with these traditions, established their own power. As we know, many of the postcolonial criticisms somehow had relations with the West. This study will re-read the postcolonial thought of Aime Cesaire, the father of the so-called Negritude, as a ‘non-western resistance discourse’. Through this process, we have a chance to reflect on Cesaire and his postcolonial thoughts.

      • KCI등재

        탈식민주의 담론을 통한 소설 읽기 교육의 의미 연구 - 최인훈 소설을 중심으로 -

        이평전 중앙어문학회 2022 語文論集 Vol.90 No.-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the critical reading of the post-colonial thought and discourse surrounding it in Choi In-hoon’s novels in literary education. Considering the real threat of potential colonialism in the process of reading, interpreting, and educating novels (literatur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carry out practical tasks for post-colonial literature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era. Choi In-hoon’s novels are noteworthy in that they accurately show the discourse characteristics of post-colonialism. Not only does the central theme of traditional colonialist discourse such as race, culture, and identity come to the fore, but it also informs the reality of the colonial subject that is ignored or marginalized for any purpose, and in the name of so-called homogenized capitalism, the coloniality and its remnants that are erased and sometimes strengthened. A thorough search for various modes of conscious acceptance, imitation, and the rejection of colonialism shown in “A Christmas Carol” and “Typhoon,” as well as the method of pointing out the limitations of colonial writing on the modern subject’s civic consciousness and self-subject in ”Journey to the West,” shows the present state of colonialism. Moreover, understanding postcolonial writing strategies such as satire and irony can provide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the political or social nature of literary texts in literature education. Ultimately, literary education should proceed along with understanding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post-colonial discourse. If we acknowledg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f various perspectives that interpret historical events while living in the same era, we recognize that the analysis of the demineralization of Choi In-hoon’s novels can also be differentiated in various ways. This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confirm that Choi In-hoon’s novel can be an important milestone in seeking a post-colonial direction in that it raises a fundamental problem with the Western-centered modern perception. 본 연구는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탈식민주의적 사유와 이를 둘러싼 담론의 문학교육적차원에서의 비판적 읽기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 소설(문학)을 읽고 해석하고 교육하는과정에서의 잠재적 식민성이 갖는 실제적 위협이 상존한다는 관점에 비춰, 다문화시대 탈식민주의 문학교육의 실천적 과제를 수행하는 작업이 절실하다. 최인훈 소설은 탈식민주의의 담론적 특성을 정확하게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인종과 문화, 정체성 같은 전통적 식민주의 담론의 중심 주제를 전면화할 뿐만 아니라, 어떠한 의도에서든 무시되거나 주변화되는 식민주체의 실상을 알리고 이른바 균질화된 자본주의화라는 이름으로 지워지고 때론 강화되는 식민성과 그 잔재에 대한 충실한 탐색이이루어진다. 『서유기』에 나타난 근대적 주체의 시민 의식과 자기 주체에 대한 식민주의적 글쓰기의한계를 지적한 방식이나 『크리스마스 캐럴』, 『태풍』에서 보여준 식민성에 대한 의식적 수용과 모방, 거부의 다양한 양태들은 결국 한국 사회 식민주의의 현재 모습을 보여준다. 풍자와 아이러니 같은 탈식민주의적 글쓰기 전략에 대한 이해를 통해 문학교육에서 문학텍스트의 정치성이나 사회성의 맥락을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도 있다. 문학교육은 탈식민주의 담론의 이론적 틀을 이해하는 것과 함께 진행되어야 한다. 동시대를 살아가며 역사적 사건을 해석하는 다양한 시각의 존재 가능성을 인정한다면 최인훈소설의 탈식민성에 대한 분석 또한 다양하게 분화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할 수 있다. 본논문을 통해 최인훈 소설이 서구 중심적인 근대 인식에 대한 근본적 문제 제기와 탈식민주의적 방향을 모색하는 중요한 이정표로 기능하고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 1960년대 <청맥> 지식인 집단의 탈식민 민족주의 담론과 문화전략

        이동헌 문화사학회 2012 역사와 문화 Vol.24 No.-

        이 글의 목적은 1960년대 청맥 지식인 집단의 ‘식민성’ 인식에 주목하여 이 시기 민족주의 담론의 재구성 과정을 해명하려는 것이다. 박정희 정권의 집 권 첫 해이자 한일회담 운동이 한창인 1964년 창간된 ≪청맥≫은 박정희 정 권에 대한 가장 비판적인 지식인 잡지였다는 점에서, 특히 통일혁명당(이하 통혁당)과 연계된 잡지였다는 점에서 주목받았다.≪청맥≫은 1960년대 지 식인 집단의 지형도에서 가장 급진적인 위치를 점했고, 그들의 민족주의 담론 역시 그러했다. 청맥 지식인 집단은 ‘식민성’에 대한 재인식을 통해 민족주의 담론을 급진화하면서 새로운 저항담론을 생산하려 하였다. 이 저항담론이 당 대의 맥락에서 가진 가능성과 한계를 살피는 것은 이 글의 또 다른 목적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ain the reconstruction process of the nationalism discourse of the Cheongmaek intellectual group in the 1960s. The Cheongmaek intellectuals aimed to reconstruct the nationalism as a counter discourse by reconsidering the ‘coloniality.’ They thought the underlying causes of poverty and backwardness in Korea was caused by the neocolonial international order. They regarded the international relations at that time as the world historical turning points that the Third World was rising and the international order was multipolarizing. They asserted that ‘reunification’ was historical task at a turning point in Korea The Cheongmaek intellectuals expanded the concept of ‘coloniality’ to cultural field by ‘cultural colony’ theory in mid-1966. They tried to build a new national culture by protecting their identity of ethnic culture and reconstructing korean history and tradition. As postcolonial cultural strategy for this purpose, they emphasized the construction of national knowledge and ‘Minjung’ as a new subject. In the mid-1960s, the production of national knowledge by intellectuals means changes in discourse topography concerning nationalism. The intellectuals at this time tried to confirm the embryo of modernity and ‘Minjung’ as a new subject in Korean tradition and history. These results had reflecte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intellectuals since the 1950s, and at the same time, mean that the radical nationalism appeared after the April 19 Movement had evolved into the stage of ‘Science’ beyond the stage of ‘movement’. Therefore, it shows that the discourse struggle concerning the nationalism will be developed in cultural field, specifically academic fields such as history, literature and philosophy.

      • KCI등재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타자화 전력과 탈식민성 : <총독의 소리>를 중심으로

        구재진 한중인문학회 2004 한중인문학연구 Vol.13 No.-

        최인훈의 소설은 〈광장〉에서부터 〈태풍〉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역사가 배태한 '근대성'과 '식민성'에 대한 집요한 탐구를 보여주었다. 그 가운데서도 〈총독의 소리〉연작은 '총독'이라는 가상적 인물의 방송을 통해서 한국의 문제를 파헤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본고는 탈식민주의적 시각에서 〈총독의 소리〉연작을 고찰하였다. 〈총독의 소리〉는 가상적인 인물인 총독의 방송이라는 형식을 통해서 한국 역사에서 나타나는 식민성의 문제를 타자화의 방법론으로 고찰하고 있는 소설이다. 즉 스스로를 타자화함으로써 자신의 내부에 존재하는 식민성과 타자성, 그리고 위기의식을 짚어보는 방법론을 통하여 현실 사회에 대한 비판과 역사의 방향에 대한 모색을 시도했다고 볼 수 있다. 〈총독의 소리〉에서 우선 주목되는 것은 '총독의 담화'라는 방식이다. 이것은 소설의 의미를 규정짓는 중요한 방법론을 내포하고 있는데, 그 방법론이란 식민지 지배체제의 우두머리인 총독의 시각에 의해서 스스로를 타자화시킴으로써 한국의 내부에 존재하는 식민성을 드러내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식은 한국의 내부에 존재하는 '타자성'과 '식민성을 드러내고 그에 대한 성찰과 비판을 단행함으로써 주체화를 모색하는 역설적인 전략이다. 이러한 전략 아래 총독의 목소리에 의하여 식민주의적 담론이 재현된다. 가장 먼저 제시되는 것은 우선 식민지 타율성에 대한 담론과 '반도인'의 열등한 민족성에 대한 담론이다. 그러한 담론은 본래 식민주의적 담론에서 지배 제국으로서의 일본의 우월성을 비추어주기 위한 거울의 역할을 했던 것이지만, 〈총독의 소리〉에서는 일본의 우월성을 비추어줌과 동시에 한국을 비추어 주는 거울로서 기능한다. 식민주의적 담론의 재현에서 또 하나 특징적인 것은 식민지와 일본 제국과의 관계가 여성과 남성을 둘러싼 성적 은유로서 나타난다는 점이다. 이러한 은유는 결국 일본 제국의 한국에 대한 재식민화에 대한 열망을 나타내는 것으로 귀결되는데 이를 타자화된 한국의 관점으로 보자면 그것은 일본에 의한 재식민지화의 위험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일본 제국의 열망의 근원에는 경제적 착취나 정치적 지배보다 오히려 '증오와 욕망'이라는 심리적인 문제가 존재하는 바, 그것이 남성과 여성이라는 성적 은유로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총독의 소리〉는 총독의 목소리를 통해서 식민주의적인 담론을 재현해내고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총독의 소리〉가 내세우고 있는 방향은 '민족'을 역사의 주체로 위치짓는 방향이다. 결국 〈총독의 소리〉의 귀결점은 '민족주의'이지만 '민족주의' 자체가 지배논리와 대항 논리라는 양가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 〈총독의 소리〉가 가진 높이와 한계가 존재한다. 〈총독의 소리〉에서 나타나는 '민족주의'적인 방향성이 한일협정을 전후로 한 당대의 인식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때 〈총독의 소리〉의 높이와 한계는 1960년대 후반이라는 시대와 관련되어 있다고 하겠다. This paper examines Choi, In-Hoon's Chong-Dok-Ye-So-Ri(The Voice of a governal-general, from the perspective of post-colonialism. This novel is intended to criticise 1960's Korea through the statements of a governor-general of the Japanese government on the radio. By making Korea the other on the gaze of a proconsul of the Japanese government, the novel seems to reveal the feature of the colonized nation and the otherness in 1960's Korea. This way seems to be paradoxical methodology in that the novel reflects and criticises the other-ness in internal part of 1960's Korea and then searches the way to make Korea the subject. Using this methodology, the colonial discourse is represented via the voice of the governor-general. He emphasizes the inferiority in Korean and the lack of anotomy in Korean history. The discourse of inferiority and heteronomy played a role in reflecting Japanese superiority in the colonized Korean period. But in the novel, this discourse played a role in reflecting not only Japanese superiority but also Korean complex in unconscious. Another interesting thing in this colonial discourse i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ny and empire is represented with sexual metaphor. This metaphor implies Japanese desire to recolonize Korea. That desire is related with psychological point like 'hatred and desire'. Finally, the concept of nation in this novel is the core of history in this novel. It is the point that this novel stands on. So the ideological goal to be achieved in this novel would be nationlism. But nationlism is the logic of control and the logic of resistance at the same time. This ambivalence of nationalism makes a dilemma. Thus we can find Chon-Dok-Ye-So-Ri's achievements and limits with regard to 1960's Korean conditions.

      • KCI등재

        국내 영어교육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분석: 에듀테인먼트의 탈식민주의적 전략으로서의 가능성과 한계

        최숙 ( Sook Choi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09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이문화간 교접의 장으로서의 영어교육미디어에서 영어를 통해 재현되고 있는 문화가 무엇이며 어떠한 과정으로 구성되고 재생산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교육미디어의 이상적 대안으로 간주되고 있는 에듀테인먼트가 탈식민주의적 미디어 전략으로서 가능성을 가질 수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서 국내 영어교육미디어의 오늘을 성찰하는데 있다. 이에 EBS에서 방송되었던 일반인 대상 영어교육 프로그램인 <잉글리시 카페>를 사례로 분석하였다. 방법론으로는 Fairclough의 비판적 미디어 담론분석틀을 활용하였는데 언어학적 텍스트 분석 및 사회문화적 담론실천 및 담론질서의 분석을 통해 <잉글리시 카페>가 실용 영어담론을 중심으로 언어제국주의적 영어교육의 문제점인 `원어민에 대한 이상화의 오류`, `미국인들의 영어만을 기준으로 삼는 표준영어의 오류`들을 재생산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동시에 전략적으로 도입된 에듀테인먼트에 의해 대중적 영어담론을 구성해냄으로서 비판적 영어교육미디어로서의 가능성을 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대중적 영어담론의 구성을 위해 활용한 에듀테인먼트에서의 오락적 요소가 강조되면서 여성의 성적 대상화, 남성중심의 가부장적 담론, 인종주의, 엘리트주의 등의 불평등 담론이 결합되어 재생산되고 있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The paper aims to reflect on English education media in Korea and to inspect if Edutainment has possibility as a postcolonial media strategy. In this paper it is claimed that English Education media in Korea has to be changed because it is the spot where hybridization, conflict, or articulation between cultures represented by English and Korea are found.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in Korea, has become a political hegemony to Korean people. The hegemony of English has influenced on English education, and education media in Korea. Also there were linguistic imperialism fallacies in English education such as the native speakers fallacy, the monolingual fallacy, the subtractive fallacy, and the early start fallacy. To reflect English education media in Korea, a critical approach case study was performed. An English education TV program, <English Cafe> on EBS(Korean Education Broadcasting System) had been chosen. The text was applied with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methodology. There still existed the linguistic imperialism fallacies in terms of `practical discourse` even though the text represented some potentialities of counter-discourse such as refusing the hegemony of English in <English Cafe>. Edutainment seemed to be used as a postcolonial strategy to make English an `open language` by articulating humor and appropriate with English. Edutainment was, however, being used as apparatus to reproduce the dominant discourse such as patriarchy, racism, orientalism, and elit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