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장 해양 콘크리트의 동탄성계수와 정탄성계수 분석

        한상훈(Han, Sang-Hun),박우선(Park, Woo-Sun)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09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21 No.6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성이나 내구성을 파악하기 위해 비파과 검사를 실시하는데, 충격공진법을 이용하면 동탄성계수를 얻을 수 있다. 동탄성계수는 일축압축실험에서 얻을 수 있는 일반적인 정탄성계수와는 절대값에서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 항만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채취된 코어시료에 대한 실내실험을 통해 동탄성계수와 정탄성계수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현장 항만 콘크리트 코어는 완도항, 마산항, 인천항에서 채취하였으며, 노출환경에 따라 대기부, 비말대, 간만대로 나누어 작업을 실시하였다. 채취된 시료는 실험실로 이송하여 충격공진법과 일축압축실험을 실시하였다. 충격공진법을 이용하면 개별시료의 공진주파수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동탄성계수를 계산할 수 있다. 일축압축실험을 수행하면 시료의 응력-변형률 곡선을 얻을 수 있는데, 이를 바탕으로 일반적으로 설계에 사용되는 정탄성계수(현탄성계수)와 낮은 응력수준의 초기현탄성계수를 구하였다. 동탄성계수와 정탄성계수 및 초기현탄성계수의 상관관계는 채취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지만 같은 안벽 내에서의 노출 환경에 따라서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또한, 압축강도와 동탄성계수의 상관관계도 코어채취지역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압축강도와 정탄성계수는 코어채취지역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Impact echo method estimating the soundness of concrete measures the dynamic elastic modulus of specimens which are different with static elastic modulus tested by uni-axial compression test. Thu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dynamic and static elastic modulus based on in-situ concrete cores. Also, dynamic elastic modulus was compared with compressive strength. Concrete cores were obtained from about 20 to 70 years concrete structures at three different harbors which were Incheon, Wando, and Masan in Korea.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xposure condition on the relationship, air zone, splash zone, and tidal zone were selected. Different harbors showed the different relationships between dynamic and static elastic modulus, but exposure conditions have no influ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ynamic and static elastic modulus.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dynamic elastic modulus and compressive strength has the same tendency as the relationship between dynamic and static elastic modulus. The relationship equations were proposed to estimate the relationships properly.

      • KCI등재

        탄성계수 감소곡선에 근거한 철도노반의 회복탄성계수 모델 개발 및 평가

        박철수(Park Chul Soo),황선근(Hwang Seon Keun),최찬용(Choi Chan Yong),목영진(Mok Young Jin) 대한토목학회 2009 대한토목학회논문집 C Vol.29 No.2

        본 연구에서는 국내 철도 토공노반 재료로 가장 흔히 사용되는 입도조정쇄석, 화강풍화토, 암버럭-토사 혼합 재료에 대해 평균유효주응력과 축변형률의 함수로 표현되는 회복탄성계수 예측모델을 결정하였다. 회복탄성계수 예측모델은 대표적인 동적물성치인 변형률에 따른 전단탄성계수 감소곡선의 표현과 같이 최대영탄성계수와 정규화 영탄성계수 감소곡선으로 구성된다. 평균유효주응력의 함수로 표현되는 최대영탄성계수의 모델인자는 A<SUB>E</SUB>와 n<SUB>E</SUB>이고, 비선형 영역의 정규화 영탄성계수 감소곡선은 기준변형률(ε<SUB>r</SUB>)과 곡률계수(a)를 모델인자로 하는 수정 쌍곡선 모델로 표현된다. 제안된 회복탄성계수 예측모델을 검증하기 위해 3차원 다층탄성해석 프로그램(GEOTRACK)을 이용하여 평택 시험 철도노반의 탄성거동을 평가하였고, 화물열차 및 여객열차가 시험구간을 통과할 때 계측한 노반의 수직 탄성변위와 비교하였다. 현장계측은 자갈도상 아래의 재료가 각각 입도조정쇄석과 양질의 화강풍화토인 두 개소에서 수행되었다. 자갈도상 아래에서 계산된 수직 탄성변위는 대략 0.6㎜ 이내였고 계측 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된 회복탄성계수 예측모델이 열차하중에 의한 노반의 탄성거동을 적절히 표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s to develope the resilient modulus prediction model, which is the function of mean effective principal stress and axial strain, for three types of railroad trackbed materials such as crushed stone, weathered granite soil, and crushed-rock soil mixture. The model consists of the maximum Young's modulus and nonlinear values for higher strain, analogous to dynamic shear modulus. The maximum value is modeled by model parameters, A<SUB>E</SUB> and the power of mean effective principal stress, n<SUB>E</SUB>ㆍThe nonlinear portion is represented by modified hyperbolic model, with the model parameters of reference strain, ε<SUB>r</SUB> and curvature coefficient, a. To assess the performance of the prediction models proposed herein, the elastic response of a test trackbed near PyeongTaek, Korea, was evaluated using a 3-D elastic multilayer computer program (GEOTRACK).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measured elastic vertical displacement during the passages of freight and passenger trains at two locations, whose sub-ballasts were crushed stone and weathered granite soil, respectively. The calculated vertical displacements of the sub-ballasts are within the order of 0.6㎜, and agree well with measured values. The prediction models are thus concluded to work properly in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 비행장 콘크리트포장 탄성계수 역산 보정계수 산출연구

        손윤호,김형오,이창우,곽평진,김태훈,이제일 한국도로학회 2013 한국도로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초록집 Vol.2013 No.09

        국내 비행장은 민간전용 비행장 7개와 공군전용 비행장 6개, 민과 군이 공동으로 운영하고 있는 8개 등 약 20개의 주요 비행장(소규모 비행장은 제외)이 운영되고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공군과 한국공항공사에서는 정기적으로 포장평가를 실시하여 포장의 잔존수명 및 항공기가 이착륙할 수 있는 허용하중을 결정하는 포장분류등급(PCN)을 결정하고 있으며, 이는 안전한 비행장 포장유지관리에 중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비행장 콘크리트포장시 탄성계수는 코아채취 후 실내실험을 통한 정적탄성계수를 적용함이 가장 정확한 포장물성치를 적용하는 방법이지만 코아채취 및 실내실험(공항별 약300여개소)으로 포장의 손상 및 시간적,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현재 세계적인 추세인 비파괴조사장비(HWD를 이용하여 처짐량을 측정한 후 역산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동적탄성계수를 추정하고 결과값을 포장평가 분석에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동적탄성계수 추정방법은 신속하게 시행될 수 있으나 완전한 선형적인 탄성으로 거동하지 않아 정 적탄성계수와 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이는 결국 포장잔존수명 및 항공기허용하중 분석결과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7개 비행장 73개소 슬래브중앙에서 HWD 조사시험을 실시하고 동일 지점에서 코아를 채취하여 동적탄성계수를 역산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추정하고 정적탄성계수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비행장 콘크리트포장 동적탄성계수 추정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역산프로그램들의 결과 값을 비교분석하였고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보정계수 산출연구를 실시하였다. 현장실험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최근에 미국 FAA에서 개발된 BAKFAA, 미공병단에서 개발된 WESDEF, 공군에서 주로사용하고 있는 ELMOD, Westergard 식 중에서 BAKFAA프로그램과 Westergard 식이 WESDEF과 ELMOD에 비해 정적탄성계수에 근접하게 탄성계수가 추정되었으며 WESDEF과 ELMOD 결과값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고 상대적으로 높게 추정되었다. 상관관계분석 결과도 BAKFAA프로그램 과 Westergard 식이 WESDEF과 ELMOD에 비해 높게 분석되었다.

      • 공용중인 도로포장층별 동탄성계수와 FWD 역산탄성계수의 상관관계 분석

        박홍준,김영수,박희문 한국도로학회 2014 한국도로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4 No.9

        최근 도로포장 건설은 신설보다는 현재 공용중인 도로포장을 확장하거나 유지보수를 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유지보수공법을 적용한 도로포장체에 대한 정확한 지지력 및 공용성 평가가 향후 도로포장의 수명 예측 및 유지보수공법 적용에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주기적인 유지보수 에 따른 도로포장의 층별 구조적 지지력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한 소형시편 동탄성계수 시험결과와 FWD 비파괴 시험 결과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현장 아스팔트 혼합물의 역학적 물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소형시편을 이용한 일축직접인장 시험법을 이 용하여 아스팔트 층별 동탄성계수를 측정하였다.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6개구간에서 구간별 3~5개 층, 2 개 지점에서 코어하여 소형시편을 채취하였다<그림 1>. 채취한 시편들은 5, 20, 40도에서 25, 10, 5, 1, 0.5, 0.1 Hz 하중조건에서 동탄성계수 시험을 수행하여 동탄성계수 마스터커브를 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포장층 탄성계수를 역산하기 위하여 유한요소 해석 아스팔트 포장 구조해석 프로그 램을 엔진으로 유전자 알고리즘을 활용한 역산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한국건설기술연구 원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으로 노스캐롤라이나의 현장 및 실내시험 결과에 적용하였다. 도로포장층 FWD 역산 탄성계수는 아스팔트층의 경우, 탄성계수 범위가 1.5~6GPa이며, 보조기층 탄성계수 범위는 150~850MPa이며 노상층 탄성계수 범위는 60~400MPa이다. 도로포장체의 구조적 지지력은 아스팔트층 의 탄성계수와 두께에 의하여 결정된다. 실내시험을 통하여 결정된 동탄성계수에 두께를 곱한 후 합산한 값을 전체 아스팔트층 두께로 나눈 탄성계수 (Normalized Dynamic Modulus) 산정한 후 FWD 역산탄성 계수와 비교하였다. 본 탄성계수를 사용할 경우 도로포장의 두께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으며 두께가 지지 력 산정에 반영될 수 있다. <그림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역산과 실측 탄성계수간의 R square값이 0.73 으로 상관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향후에는 FWD 하중 적용시 발생하는 아스팔트 각 층의 주파수 를 산정하여 주파수별 동탄성계수와 FWD 역산 탄성계수간의 상관관계를 검토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하향식 탄성파를 통한 경기 편마암의 동탄성 특성연구

        이벽규 ( Byok Kyu Lee ),이수곤 ( Su Gon Lee ) 대한지질공학회 2008 지질공학 Vol.18 No.4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일대의 편마암지역 11곳에서 다운홀(down-hole) 탄성파탐사를 이용하여 획득한 탄성파속도를 이용, 편마암지역에서의 탄성파 속도와 동탄성계수와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편마암에서의 탄성파속도의 특성은 Vs= 0.5589 × Vp 상관관계를 보여준다. 탄성파 속도와 동탄성계수와의 상관관계는 두 개의 군으로 분리된다. 풍화가 진행됨에 따라 첫 번째 군은 암석의 비중에 큰 영향을 받지만 두 번째 군에서는 절리면의 간격에 영향을 받는다. 풍화가 진행됨에 따라 첫 번째 군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경암반에서의 압축파속도(Vp)와 동탄성계수(Ed, Gd, Kd)의 상관관계는 선형으로 분석되었지만, 보통암반에서의 압축파속도(Vp)와 동탄성계수(Ed, Gd, Kd)의 상관관계는 2차 함수 포물선곡선의 형태를 띠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단파속도(Vs)와 동탄성계수(Ed, Gd, Kd)의 상관관계 또한 압축파속도(Vp)와 유사한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In this study, seismic elastic wave and dynamic elastic modulus properties are investigated by down-hole seismic tests that were applied to the 11 gneiss area.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realtionship between the two properties are Vs = 0.5589 × Vp in gnei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properties are separated into two groups. Group 1 is influenced mainly by the specific gravity of rock, but group 2 is influenced mainly by the joint aperture. As weathering progresses, group 1 clearly shows a decreasing tendency. In fresh and slightly weathered rockmass, correlations between Vp and dynamic elastic modulus is expressed in linear line but in moderately-highly weathered rock-mass, correlations between Vp and dynamic elastic modulus is expressed curve as a quadratic function. Correlations between V s and dynamic elastic modulus are analyzed similar with a Vp case.

      • KCI등재

        서울⋅경기지역 화강암의 탄성파속도와 탄성계수에 의한 암석의 일축압축강도와의 상관성 연구

        손인환,김병국,이벽규,장승진,이수곤 한국재난정보학회 2019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5 No.2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서울 ․ 경기지역의 화강암을 대상으로 시추조사 시 채취된 암석 시료에서 측정된 물리적 특성 중 탄성파속도와 탄성계수로부터 암석의 일축압축강도와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암석의 일축압축강도를 추정하는 것을 목 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119개의 화강암 시추 코아 시료를 대상으로 탄성파 속도와 탄성계수 그리고 일축압축강도와의 상관관계를 도출하 기 위하여 실내 암석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화강암에 대하여 탄성파속도와 일축압축강도 그리고 탄성계수와의 상호 관계를 단순회 귀와 다중회귀로 분석한 결과는 전반적으로 관계식에 나타난 것처럼 신뢰도가 낮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화강암의 구성 입자가 균질하지 못 하여 탄성파속도와 탄성계수를 이용한 압축강도 추정에 대한 활용성이 낮은 원인으로 사료된다. 결론: 본 연구에서 암석의 탄성파속도와 탄 성계수로부터 일축압축강도를 추정하기 위한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였다. 단순회귀분 석은 결정계수(R2)가 0.61~0.67 이었으며 , 다중회귀분석은 0.71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암석의 일축압축강도를 추 정할 때 다소 신뢰성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향후 탄성파 속도와 탄성계수를 이용한 암석의 일축압축강도를 추정할 때 다양한 통계분석 기 법(회귀분석, 인공신경망, 빅데이터 분석 등)을 활용하면 보다 신뢰성이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ttain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reby to deduce the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of rock specimens through the elastic wave velocity and the elastic modulus amo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measured from the rock specimens collected during drilling investigations in Seoul and Gyeonggi region. Method: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the laboratory with 119 granite specimens in order to deriv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rocks and elastic wave velocity and elastic modulus. Results: In the case of granit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a rock and the elastic wave velocity and elastic modulus were found to be less reliable in the relation equation as a whole. And it is believed that the estimation of the compressive strength by the elastic wave velocity and elastic modulus is less used because of the composition of non-homogeneous particles of granite. Conclusion: In this study, the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a rock and the elastic wave velocity and elastic modulus was performed with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coefficient determination (R2) of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shown between 0.61 and 0.67.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0.71. Thus,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en estimating compressive strength can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correlation. Also, in the future, a variety of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s such as recovery analysis,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analysis, and big data analysis can lead to more reliable results when estimating the compressive sterength of a rock based on the elastic wave velocity and elastic modulus.

      • 포화도(S)에 따른 철도 흙노반 전단탄성계수(G) - 전단변형률(γ) 예측식 개발

        임유진(Yu Jin Lim),사공명(Myung Sagong),김대성(Dae Sung Kim),조호진(Ho Jin Cho) 한국철도학회 2014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5

        철도 궤도에 동적하중 작용시 발생하는 궤도하부구조의 동적, 정적 변형해석을 위해서 각노반층의 비선형 전단탄성계수(G)와 감쇠비(D)등 동적 물성치의 평가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철도 궤도하부 흙노반 재료에 대한 동적 변형특성 평가를 위하여 Stokoe 방식의 고정단-자유단 중형 공진주 시험기(D=10cm, L=20cm)를 이용, 포화도(S)에 따른 구속압 증가시 최대전단탄성계수(Gmax) 및 정규화 전단탄성계수의 변화를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포화도(S)가 증가할수록 최대전단탄성계수는 감소하고 정규화 전단탄성 계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현장 흙노반 다짐시 OMC의 건조측으로 다짐하는 것이 노반의 우수한 다짐상태를 유지하기에 유리한 것을 의미한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포화도(S) ~ 전단탄성계수(G) ~ 전단변형률(γ) 감소곡선 예측식을 개발하였다. It is important to evaluate dynamic modulus of sublayers below track loaded dynamically. Using mid-size RC test apparatus, normalized shear modulus and maximum shear modulus with increasing confining pressure were investigated with change of degree of saturation (DOS). From the analysis of test results, it was verified that maximum shear modulus was decreased with increase of DOS. However, normalized shear modulus was increased with increase of DOS. This means that dry side compaction would be better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Using the test results and analysis, DOS~G~ γ prediction model can be developed.

      • 앵커테의 탄성계수(Ea)

        임종철,홍석우,고호성 釜山大學校生産技術硏究所 1999 生産技術硏究所論文集 Vol.56 No.-

        앵커는 흙막이 벽, 사면안정 등에서 사용되는 지반변형 억제공법이다. 앵커가 지중에서 인발하중을 받으면 앵커체의 강성과 지반의 강성에 따라 각각 다른거동을 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인장형 및 압축형 앵커의 인발에 따른 표면에서의 응력거동을, 주로 탄성계수비에 따른 전단응력의 변화에 중점을 두고 수치해석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여기서, 탄성계수비(codfficient ratio of elasticity)란 지반탄성계수(Er)와 앵커체탄성계수(Ea)의 비(Ea/Er)를 말하는데, 이 탄성계수비에 의해 앵커의 진행성 파괴에 대한 영향을 평가할 수 있다. Anchor is used for a restraining of a ground deformation in the retaining wall, slope-stability et ctc. Whe n pullout load is applied to the anchor in the ground, the behavior of the anchor in the ground is differed by the rigdity of anchor body and ground. In this study, the stress-behavior is analyzed by the numerical a nalysis on the suface of an anchor body according to the pullout of an anchor. Mostly, The analysis is foc used on the change of a shear stress according to the coefficient ratio of elasticity. The coefficient ratio of elasticity(Ea/Er) si defined by the ratio between elastic modulus of ground(Er) and that of anchor body (Ea). By using this ratio, the progressive failure of anchor body can be analysed.

      • KCI등재

        탄성계수 및 간극비 평가를 위한 현장 관입형 탄성파 및 전기비저항 프로브

        윤형구(Yoon Hyung-Koo),김동휘(Kim Dong-Hee),이우진(Lee Woojin),이종섭(Lee Jong-Sub) 대한토목학회 2010 대한토목학회논문집 C Vol.30 No.2

        전단 강성은 지반 거동을 이해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로 인식되고 있으며, 특히 탄성계수 및 간극비는 구조물의 기본적인 설계 정수로서 그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단파와 압축파 같은 탄성파 및 전기비저항 측정이 가능한 현장 탄성파 및 전기비저항 측정 장비(FVRP)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대상지반의 탄성계수 및 간극비를 산정하는 것이다. 압축파 및 전단파는 각각 피에조 디스크 엘리먼트와 벤더 엘리먼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전기비저항은 소형 전기비저항 측정 프로브를 제작하여FVRP 선단에 설치하여 측정하였다. 개발된 장비는 실내의 대형토조와 현장에 적용되었다. 대형 토조실험의 경우, 모래와 점토를 슬러리 상태에서 혼합하여 지반을 조성한 후 상재하중을 가하여 조성된 지반을 압밀 시킨 후 진행되었으며, 탄성파 및 전기비저항의 측정은 매 심도 1㎝ 간격으로 수행되었다. 현장 실험은 남해안 지역에서 수행되었으며, 탄성파 및 전기비저항 측정은 관입심도 6m부터 20m까지 10㎝ 간격으로 수행하였다. 토조 및 현장실험을 통해 측정된 탄성파와 전기비저항은 이론적인 관계식을 이용하여 탄성계수 및 간극비로 환산되었다. 탄성파와 전기비저항을 이용한 간극비는 부피를 이용하여 산정한 간극비와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탄성파와 전기비저항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FVRP는 연약지반의 탄성계수 및 간극비 산정에 유용한 장비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e shear stiffness has become an important design parameter to understand the soil behavior. In particular, the elastic moduli and void ratio has been considered as important parameters for the design of the geotechnical structure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he development of the penetration type Field Velocity and Resistivity Probe (FVRP) which is able to assess the elastic moduli and void ratio based on the elastic wave velocities and electrical resistivity. The elastic waves including the compressional and shear wave are measured by piezo disk elements and bender elements. And the electrical resistivity is measured by the resistivity probe, which is manufactured and installed at the tip of the FVRP. The penetration tests are carried out in calibration chamber and field. In the laboratory calibration chamber test, after the sand-clay slurry mixtures are prepared and consolidated. The FVRP is progressively penetrated and the data are measured at each 1 ㎝. The field experiment is also carried out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Peninsular. Data gathering is performed in the depth of 6~20 m at each 10 ㎝. The elastic moduli and void ratio are estimated based on the analytical and empirical solutions by using the elastic wave velocities and electrical resistivity measured in the chamber and field. The void ratios based on the elastic wave velocities and the electrical resistivity are similar to the volume based void ratio.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FVRP, which evaluates the elastic wave velocities and the electrical resistivity, may be a useful instrument for assessing the elastic moduli and void ratio in soft soils.

      • KCI등재

        다양한 시험법으로 규명된 암반 탄성계수 비교

        유근환 ( Kuen Hwan Ryu ),장찬동 ( Chan Dong Chang ) 대한지질공학회 2006 지질공학 Vol.16 No.1

        국내의 대표적 암종이라 할 수 있는 화강암체와 편마암체에 대해 탄성계수 측정 방법으로 자주 이용되고 있는 Goodman jack시험, PS검층, 초음파 속도측정, 일축압축 변형시험을 실시하여 각 탄성계수를 측정하고 그 특징을 알아보았다. 실내에서 측정된 동·정탄성계수는 측정시 가해진 응력의 크기, 측정시 이용된 주파수의 범위, 가압/감압 등의 측정 조건에 따라 상당히 다른 결과를 보였다. 실내 측정조건이 현장조건에 가까워질수록 현장암반의 탄성계수와 비슷한 값으로 측정되는데 이는 실내시험시 현장 상태를 구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동탄성계수는 정탄성계수에 비해 대체로 높게 측정되었으며 그 원인으로는 (미세)균열의 응력에 따른 거동양상, 측정시 이용한 주파수의 범위차이, 그리고 변형진폭의 차이 등의 효과로 설명할 수 있다.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된 각 탄성계수 상호간의 관계 및 특징은 현장 암반 탄성계수의 적절한 판단을 위해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Various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to estimate the modulus of deformation in two dominant rock types in Korea: granite and gneiss. Four most commonly used methods were utilized: Goodman jack tests, PS well logging, laboratory ultrasonic tests and laboratory uniaxial loading tests. Laboratory static and dynamic Young`s moduli depend on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axial stress, range of frequency used for measurement and the loading/unloading condition. As the laboratory measurement condition approaches to that in situ, the resultant moduli also appear to be comparable to that in situ. This suggests that the simulation of in situ stress condition is important when the modulus of rock is determined in the laboratory. Dynamic Young`s modulus is generally higher than static Young`s modulus because of (micro)crack behavior in response to the stress, different range of frequency used for measurements, and the effect of the amplitude of deformation.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 in moduli from different measurement methods will help estimate appropriate in situ val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