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기술 정책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정책공중간 상호지향성 분석

        이태준 ( Taejun (david) Lee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6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4 No.3

        공공과학(public science) 시대로 접어 들면서 과학기술 정책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정책적 배려가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과학기술 정책을 일반 대중에게 일방적으로, 단선적으로 제공 및 강요해오던 관행에서 벗어나 과학기술 정책을 정부와 국민의 소통 및 관계의 주요한 메시지로 활용함으로써 과학기술 정책 거버넌스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하려는 시도가 눈에 띠게 늘어나고 있다. 즉 과학기술 정책을 둘러싼 여러 행위자들과 이해관계자들의 지식, 이해, 태도, 수용성, 공감대 등을 공동 증진함으로써 정책공급자와 정책소비자 간 상호호혜성과 상호작용성이 강화된 과학기술 정책커뮤니케이션의 필요성이 보다 커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오래전부터 논의되어 왔던 과학기술 커뮤니 케이션의 이론적 담론들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과학기술 정책 전문가 집단과 정책소비자 집단인 일반 대중 사이의 상호지향성을 분석함으로써 오늘날 과학기술 정책커뮤니케이션 패러다임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동시에 정책공중 간 지속가능한 관계형성 및 유지에 필요한 PR커뮤니케이션 전략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과학기술 정책커뮤니이션 상태, 역할 그리고 이와 관련된 세부 정책에 대한 두 집단의 인식에 큰 차이가 나타났다. 무엇보다도 본 연구에서는 정책소비자의 인식에 대한 정책 공급자의 판단과 예측의 정확도가 크게 떨어지고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으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과학기술 정책 거버넌스의 담론 활성화 및 숙의성 증진에 암초가 될 수 있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연구결과를 밑바탕으로 하여 과학기술 정책커뮤니 케이션의 효과성, 투명성, 시의성,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이론적 함의와 실무적 전략을 도출하였고, 거시적 차원에서 과학기술 정책을 통해 정부와 국민간 소통 및 관계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회문화적 접근법을 논의하였다. This article draws on prior literature on the theoretical paradigms of the science communication to offer a discussion of the increasingly complex but important issues related to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communication (STPC) in the era of public science and governance. A review of previous research on this topic indicates three research gaps of STPC: the current status, balanced role and specific policies related to STPC. To address a deficit in the literature,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compare co-oriented perceptions between national government officers and the general public regarding the three aspects of STPC. Findings suggest that timely, symmetrical, transparent and accurate STPC should be designed and implemented for gaining attention and support from the stakeholders and policy population in the area of public science. Also, this study proposes and expands the theoretical ramifications and practical applications of STPC aimed at enhancing the mutual trust and sustainable relationship between policy makers and policy consumers in the Science in Society and Science Culture paradigms.

      • KCI등재

        AR기술을 활용한 여성화장품매장의 공간디자인 연구 - 중국 매장의 체험 커뮤니케이션 중심으로 -

        곡맹,이정교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4

        (연구배경 및 목적) AR기술은 4차 산업혁명의 기술 산물로서 여러 가지 분야에서 사용된다. AR 기술을 활용한 상업공간 디자인은 지능형 상업공간 형태로서 쇼핑의 방식을 풍부하게 하고, 소비자의 체험을 충족시키며 상업공간 디자인의 혁신을 상징한다. 최근 전통적인 상업공간에서 빠르게 디지털 환경으로 전환되는 중이며, AR기술을 활용한 여성 화장품매장을 통해 상업공간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AR기술과 매장을 결합하여 소비자가 상품을 고를 때 AR 지능방식을 통한 색다른 체험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에 중점을 두었다. 따라서, AR기술을 활용한 여성 화장품 매장의 연구를 통해, 색다른 체험을 제공하는 커뮤니케이션 공간디자인의 특성 연구와 공간 특성을 도출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연구 방법) 본 연구는 여성 화장품매장 공간디자인에 관한 논문과 선행연구 및 문헌자료 분석을 통해 이론적 고찰을 수행하며, AR 기술과 체험 커뮤니케이션의 특성을 도출하여 여성 화장품매장 공간요소의 특성을 도출한다. 도출된 요소를 이용하여 분석을 위한 모형을 제안하고 결론을 도출한다. (결과) AR 기술은 현대 사회의 발전 수요에 부응하여, 사람들의 삶의 질과 업무 효율을 높이고, 과학기술적이고 인간적인 생활 방식을 구현한 것으로, 새로운 판매와 소비 이념이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 화장품매장 방문 소비자의 체험 커뮤니케이션 증강을 위해 AR 기술을 이용하고 이를 전달하고자 한다. AR 기술과 체험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분석한 결과, 직관성, 편리성, 시간성, 공간성, 몰입성의 특성이 순서대로 나타났고, 특히 직관성과 편리성이 소비자의 소비과정과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었다. 여성 화장품매장의 공간요소 및 특성에 대한 연구결과를 통해 체험성, 정확성, 정보성, 몰입성이 나타났고, 다양한 AR 기계를 통해 소비자의 매장 체험방식에도 큰 변화가 나타났다. (결론) AR 기술을 활용한 여성 화장품매장은 소비자들에게 풍부한 체험 커뮤니케이션 제공하며 매출량도 촉진에도 도움을 준다. 그리고 AR 기술을 활용한 여성 화장품매장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급상승하고 있으며, 미래에는 스마트 기술을 결합한 상업공간이 전통적인 상업공간을 대체하며 소비자들의 소비심리에도 지속적인 전환이 나타날 것으로 판단된다. 과학 기술의 급속한 발전이 항상 새로운 동태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 새로운 이론의 성과를 일상생활의 디자인에 응용하여 디자인에서 디자인으로 끌어들여야 한다.

      • KCI등재후보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기술교사의 변화몰입과 기술교육혁신 요구, 커뮤니케이션 및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분석

        김용익 대한공업교육학회 2011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6 No.2

        이 연구는 기술교사의 변화몰입과 기술교육혁신 요구, 커뮤니케이션 및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를 구명하기 위한 것으로, 문헌연구와 조사연구에 의하여 수행되었다. 변인 간의 가설적 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카이자승, 근사치 오차평균 제곱근(RMSEA), 적합지수(GFI), 조정적합지수(AGFI), 표준적합지수(NFI), 비교적합지수(CFI) 등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첫째, 기술교육 혁신요구는 기술교사들 간 커뮤니케이션과 변화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술교사들 간 커뮤니케이션은 변화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기술교사들의 변화몰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술교사들이 변화에 몰입하여 기술교육이 더욱 발전하고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기술교사들 간에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져야 하며, 무엇보다도 기술교사들이 기술교육의 현황을 분명하게 인식함으로써 기술교육 혁신의 필요성에 공감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술교사들의 자기효능감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인 노력이 있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기술교사들의 기술교육혁신 요구, 변화몰입, 커뮤니케이션, 자기효능감 등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이 연구는 기술교육 분야에서는 처음으로 시도된 것으로 추후에 관련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기술교사들의 변화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체계적인 변인 도출, 기술교육 혁신을 성공적으로 이루어내기 위한 방안 등의 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causal relationship among commitment to change, needs of technology education innovation, communication and self-efficacy of technology teachers. A total of 300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except for 117 copies like the one where insincerely responds to any question was found. To ensu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questions, I performed technical statistics like average, standard deviation, skewness, and kurtosis via PASW 18.0, item-total correlation and the totality, and reliability analysis. I undertook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via AMOS 7.0 to ensure the validity of items together with a structural analysis to perform a path analysis among variables and assess the suitability of model.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because fit index of hypothetical model generally met standards in this study, a hypothetical model was judged appropriately. Second, needs of technology education innov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ommunication and commitment to change of technology teachers. And, communication among technology teachers had a positive effect on commitment to change of technology teachers. This result means that communication among technology teachers is important to activation of technology education. Third,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commitment to change of technology teachers. This result means that it needs to raise self-efficacy level through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과학기술에 대한 신뢰 및 불신 연구: 지질자원기술을 중심으로

        김찬석,이현선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9 자원환경지질 Vol.52 No.6

        본 연구는 과학기술에 대하여 우리 사회가 갖는 신뢰와 불신 인식을 측정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과학기술에대한 신뢰와 불신을 살펴보는 것과 동시에 지질자원기술에 대하여 신뢰와 불신을 함께 살펴보았다. 또한 과학기술과지질자원 기술에 대한 신뢰와 불신의 수준을 비교함으로써, 지질자원기술의 신뢰성을 높이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수도권에서 근무하고 있는 20세 이상의 남녀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과학기술 및 지질자원 기술에 대한 신뢰와 불신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응답자들은 과학기술 및 지질자원 기술에 대한 신뢰를 보통 수준 이상으로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성별이나 연령대에 따라서는 과학기술및 지질자원 기술에 대한 신뢰 및 불신에 대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과학기술과 지질자원 기술에 대한 신뢰 및불신에 대한 차이를 살펴본 결과, 응답자들은 지질자원 기술보다 과학기술에 대한 신뢰도 점수가 좀 더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지질자원 기술의 상업화 커뮤니케이션 전략 및 메시지 연구

        김찬석,이현선,김성용,이재욱,Kim, Chan-Souk,Lee, Hyun-Seon,Kim, Seong-Yong,Lee, Jae-Wook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2 자원환경지질 Vol.45 No.4

        본 연구는 지질자원 기술을 활용하는 우리나라와 미국 기업들의 커뮤니케이션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지질자원 기술관련 기업의 커뮤니케이션 현황과 메시지 전략이 어떠한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의 지질자원 기술을 활용하는 기업들은 기업 자체, 기업활동, 기업의 제품 등에 관한 정보를 외부 공중에게 알리는 방법으로 광고 커뮤니케이션을 많이 사용하고 있지는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들 기업들의 광고는 주로 소비자를 타겟으로 하고 있으나, 광고 모델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양한 공중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필수적으로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미국의 지질자원 기술 활용기업들도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광고 커뮤니케이션을 많이 활용하지는 않고 일반 소비자를 타겟으로 하고 있었다. 이들 기업들은 일반 광고모델을 보편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다양한 정보를 웹사이트에서 적극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현황분석을 통해 향후 지질자원 기술을 활용하는 기업이나 조직들의 커뮤니케이션 전략과 집행에 대한 제언을 도출하였다. (1) 구체적인 이미지 정립을 위한 광고전략 필요, (2) 지질자원 기술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메시지 개발, (3) 다양한 광고 크리에이티브 구현, (4) 일관된 광고 컨셉과 메시지 필요, (5) PR 차원에서의 웹사이트 고려, (6)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을 위한 메시지, (7) 웹사이트 내 다양한 메시지 제공 등이 이에 해당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mmunication status and strategies of geological resource related companies in Korea through the comparison with American companies. Through this analysis, this study is to draw the domestic companies'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n communication, and even to suggest how to execute the communication about geo-technologies at national level. The results indicate that geo-technologies related compaies in Korea don't use a lot of advertising communication as means of providing informations about corporate itself, corporate activities, and it's product, etc. And the companies using advertising communication tend to execute more organization advertising focusing on corporate image than product advertising. The advertising utilized by geological resource related companies is usually targeted at consumers, they don't use advertising endorser actively. And all the companies analyzed in this study have their own website and run it. This study provides some recommendations on communication strategies and executions for various geo-technologies related organizations. (1)Advertising strategies for establishing a specific image (2)Advertising message for understanding about geo-technologies (3)A variety of advertising creative (4)A consistent advertising concept and message strategies (5)A consideration about website in terms of PR (6)Information on website for various stakeholders (7)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message on website.

      • KCI우수등재

        사내 커뮤니케이션, 기술 스트레스, 업무기술 적합성이 기업콘텐츠관리시스템 지속적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황인호(Inho Hwang) 한국전자거래학회 2021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26 No.3

        최근, 조직 내 중앙집중식 콘텐츠관리 체계 구축을 위한 기술적 투자가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높은 품질의 기술 도입은 역으로 구성원들의 기술 스트레스를 발생시켜 부정적 행동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콘텐츠관리시스템 관련 기술 스트레스의 지속적 이용 의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제시하고, 기술 스트레스 완화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콘텐츠관리 기술을 도입한 조직의 구성원에게 설문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델링을 적용하여 가설 검증을 하였다. 분석 결과 기업콘텐츠관리시스템 관련 기술 과부하와 복잡성이 지속적 이용 의도를 감소시켰지만, 조직 내 사내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기술 스트레스를 완화시켰으며, 개인의 업무-기술 적합성이 기술 스트레스와 지속적 이용 의도에 대한 조절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는 콘텐츠관리시스템의 이용에 있어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측면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직 차원의 노력 요인을 제시한 측면에서 시사점을 가진다. Recently, organizations are making significant technology investments to build a centralized content management system. However, high-quality technology adoption can conversely create techno-stress in the user and cause negative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negative effects and mitigation directions of enterprise content management system(ECMS) related techno-stress.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employees of organizations that adopted content management technology and conduct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ECMS related techno overload and complexity decreased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e of ECMS. But, internal communication activities reduced ECMS related techno stress and task-technology fi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stress and intention of continuous use of ECMS. The study has implications in terms of suggesting a strategic direction to minimize the negative causes of the use of content management systems.

      • KCI등재

        비서의 비언어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질적 연구

        최연우(Choi, Yeonwoo),전지현(Jeon, Jihyeon) 한국비서학회 2019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8 No.2

        다른 직무와는 다르게 비서는 업무의 범위가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지 않고 조직과 상사의 성격에 따라 업무가 가변적이기 때문에 정형화된 커뮤니케이션만으로는 업무를 진행하기 어렵다. 비서학 분야에서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으나 관련 연구는 매우 부족하며, 특히 비언어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진 바가 없다. 본 연구는 비서가 업무상 상대방의 비언어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무엇을 파악하는지, 비서의 비언어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상대방에게는 무엇이 표현되고 있다고 생각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비서 20명을 대상으로 비언어커뮤니케이션 경험에 대한 중요사건중심 인터뷰를 실시하고, 인터뷰 응답내용을 전사하여 내용 분석하였다. 비서의 커뮤니케이션 대상은 임원, 사내동료, 타 회사 비서, 내방객 순으로 나타났다. 비서는 상대방의 신체언어, 유사언어, 신체적 외양에 포함되는 여러 하위요인을 통해 상대의 기분, 상태 등을 파악하고 있었다. 또한 임원, 사내동료, 타 회사비서, 내방객들 역시 비서의 신체언어, 유사언어, 신체적 외양 등의 비언어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비서에 대한 이미지를 형성하며 비서의 업무처리능력을 파악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비서가 상대방의 비언어커뮤니케이션으로 무엇을 파악하고 자신의 비언어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무엇이 표현되고 있다고 생각하는지 파악해봄으로써 비서관점에서 비언어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좀 더 체계적이고 상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비서의 비언어커뮤니케이션을 체계적으로 분석해 본 기초연구로서 의미가 있으며, 본 연구 결과가 비서직을 희망하는 학생들 또는 신입비서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 자료로 비서에게 필요한 비언어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기를 기대한다. Unlike other employment, the work that secretaries perform requires more than linguistic communication due to the fact that secretaries’ scope of the work is sometimes not clearly defined and their work varies considerably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boss and the organization. Despite that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has been emphasized in the field of secretarial science,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done on communication and surprisingly none at all on nonverbal commun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non-verbal communication of secretaries with focusing on body language, physical appearance and the paralanguage required for secretaries. Using the critical incident technique, 20 secretaries were interviewed to discover their nonverbal communication experience, with focusing on other nonverbals that they needed to identify, and those nonverbals, they believe were expressed by secretaries to other people involved in the company. The secretaries’ communication targets were divided into executives, colleagues, secretaries of other companies and visitors. The secretary was aware of the others" mood and condition through the others" body language, paralanguage and physical appearance. In addition, secretaries believed that executives, colleagues, secretaries of other companies, and visitors were assessing secretaries" image and work performance through the secretaries’ nonverbal communic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basic study that presents nonverbal communication systematically through secretaries’ exper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educational materials for novice secretaries and students in secretarial science,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on nonverbal communication.

      • KCI등재후보

        원자력을 둘러싼 과학기술 시티즌십과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관계에 대한 일고찰

        강윤재(Kang, Yun Jae) 한국과학기술학회 2015 과학기술학연구 Vol.15 No.1

        이 글은 위험커뮤니케이션의 지형과 과학기술 시티즌십을 두 축으로 삼아 대안부재 담론이 여전히 사회적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는 이유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1) 공동출현 핵심어(co-occurrence keywords)의 빈도수 측정, (2) 과학기술 시민인식 설문조사를 분석하였다. 먼저, 빈도수 측정을 통해 후쿠시마 원전사고 직후 드러난 위험커뮤니케이션의 지형을 살펴보고 있다. 그런 다음,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원자력발전에 대한 시민 인식을 간략하게 정리하고, 원자력을 둘러싼 과학기술 시티즌십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분석 결과를 다시 정리하면서 종합해주고 있다. 그로부터 원자력 거버넌스의 작동방식을 이해하고, 그 개선점을 찾고 있다. This essay aims to search for the reason of why, even after Fukushima nuclear disaster, Korean citizens did not try to seek out the possibility of another energy option. Firstly, we single two counter-concepts, the configuration of risk communication and scientific citizenship, out from the measure of frequency of co-occurrence key-terms and the analysis of survey on the citizens’ scientific perception each. Secondly, we try to interpret the meaning of qualitative data, and finally, we draw out the result as follow. Korean government have driven out the pro-nuclear policy, and in this course have made full use of the discourse of there-is-no-alternative-option. We need to take an attention to the reason of why the discourse can circulate freely in society. From one data, we find out that the configuration of risk communication guarantee government’s success. But we also should look at the another side, the scientific citizenship. From another data, we find out that the upstream scientific citizenship, the momentum of preparing alternative, has not been mature, and it is reason of why the discourse have an strong influence.

      • KCI등재

        커뮤니케이션 현상학에 관한 기초 연구

        이범수(Bum-Soo Lee) 한국언론정보학회 2015 한국언론정보학보 Vol.71 No.3

        커뮤니케이션 현상학은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현상학적으로 접근해서 설명하는 학문이다. 의식과 경험의 결합,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결합, 표현과 지각의 결합, 개인과 생활세계의 결합, 수사와 윤리의 결합 등과 같은 인간 커뮤니케이션 구성 요인은 연구 대상이고, 현상학은 인식론(방법론)인 것이다. 이러한 인간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현상학적으로 개념 규정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현상학적 기술, 현상학적 환원, 현상학적 해석 등을 통한 분석이 요구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제시되는 커뮤니케이션 현상학 표준 이론 구성 요소들이 지향, 구두점 찍기, 관행, 합당화 등인데, 지향은 의식 경험의 대상으로서, 구두점 찍기는 상징 형성 과정으로서, 관행은 이상적 말 행위로서, 합당화는 사회적 합당화로서 구분된 커뮤니케이션을 각각 그 내용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 대상 및 방법론 논의를 포괄하는 커뮤니케이션 현상학은 ‘철학 및 언어학 개념으로 구성된 커뮤니케이션 이론’으로도 볼 수 있고, 커뮤니케이션학에의 질적 방법 적용 연구 접근이자 학제 간 연구의 한 모델로서도 평가된다. The phenomenology of communication represents a starting point in the union of consciousness and experience, analogue and digit, expression and perception, person and lived-world, rhetoric and ethic, constitute human communication. A phenomenological definition of communication requires that analysis proceed through a phenomenological description, reduction, interpretation. This analysis thus far has taken up the general issue of fact versus value, consisting in a subdivision into intention and punctuation on the factual side, and convention and legitimation on the value side. It has treated of the relationships among intention and metaphysics, punctuation and epistemology, convention and logic, and legitimation and axiology.

      • KCI등재

        한-중 대학생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수행능력에 대한 탐색연구: 호스트와 체류자 관계를 중심으로

        이두원 ( Du Won Lee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1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19 No.2

        이 연구는 호스트(host)와 체류자(sojourner)의 시각에서 한-중 대학생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수행능력을 비교·탐색해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최근 한국대학에 외국인 유학생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전체 외국인 유학생 수 대비 중국인 유학생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70%에 다다르고 있다. 그러나 한국에 대해 좋은 인상을 갖고 온 중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사회의 편견과 문화간 소통에 대한 한국인의 이해와 배려 부족으로 오히려 ``반한정서``를 갖게 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한-중 대학생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은 호스트로서 한국인 학생과 체류자로서 중국인 유학생 간에 발생하는 소통현상이다. 이때 타문화 권으로부터의 방문객(異邦人)을 상대로 문화간 소통을 수행하는 한국인 대학생들은 어느 정도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지식, 태도, 기술, 인식을 갖고 임하는가? 반면 타문화(異文化)권의 체류자로서 호스트 문화의 구성원을 상대로 문화간 소통을 수행하는 중국인 유학생들은 어느 정도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지식, 태도, 기술, 인식을 갖고 임하는가? 이러한 문제제기와 함께 이 연구에서는 호스트로서 한국인 대학생과 체류자로서 중국인 유학생 간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수행 능력을 비교 분석해 봄으로서,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수행 능력의 구성요인 별로 호스트와 체류자 그룹 사이에 어떤 수행능력의 차이와 특성이 내재되어 있는가를 성찰해 보는데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of Korean students as hosts and Chinese students as sojourners in Korean universities.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s the complex of abilities needed to perform effectively and appropriately when encountering with others who are culturally and often linguistically different from oneself. Competence is abstract and cannot be witnessed directly; thus, it should be inferred by observing how one performs. Competence and performance are interrelated. From this perspective on competence, this study aims at observing how Korean students as hosts and Chinese students as sojourners perform thei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To achieve this aim, Korean and Chinese students` performance of four dimension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nvolving the knowledge, attitudes, skills, awareness was measured with a survey. The study result offers not only the performative comparison between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of Korean students and that of Chinese students but also a theoretical schema of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from the perspective of a host and a sojourn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