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종교와 과학 담론으로 바라본 융의 분석심리학

        김태연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5 신학사상 Vol.0 No.169

        본 연구는 스위스의 분석심리학자 칼 구스타프 융(Carl Gustav Jung,1875-1961)의 심리학이 지닌 간학문적 성격, 즉 과학과 종교 간의 상호교차하는 특성에 대한 연구를 주요 과제로 삼았다. 융은 심리학이라는 학 문 분과의 논의 속에서 분트의 연상 실험과 프로이트의 성 이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그 출발점으로 삼아, 전 세대의 ‘사변적인 심리학’과 인간 심리의 복잡한 기제를 단순화시켜 이해하고자 하는 ‘과학주의적 사고’를 극복하 고자 했다. 융은 경험주의적인 과학적 방법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되, 과학이 절대적이고 객관적인 진리를 답보한 것으로 인식되는 측면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시각을 가졌다. 따라서 그는 과학의 합리성에 대한 기존의 관 념을 넘어 합리성에 대한 새로운 조명을 자신의 심리학적 구상 속에서 채택하여 분석심리학을 개척하였다. 더 이상 자연과 인간과 문화를 자연과학적 테두리에서만 환원적으로 조명할 수 없음을 융은 분석심리학이라는 제 안을 통하여 선명하게 제시한 것이다. 특히 융의 분석심리학은 인간의 마음, 심리를 좀 더 세밀하게 조명할 수 있는 하나의 길을 종교학과 신학에도 제시하여, 종교의 이해와 신학적 담론 구성이 간학문적 교섭과 변용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융의 새로운 심리학적 구상은 미래를 향한 신학과 과학, 종교와 과학의 대화에 있어서 유용한통찰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how Carl Gustav Jung'spsychological ideas constitute a synthesis of science and religion.His critical reflection of Wilhelm Wundt's philosophical understanding and Freud's materialistic-reductive view on the human mind played an important role to develop his ideas about science and religion. On the one hand, Jung considered the lack of unconditioned human experience in real life from Wundt's Assoziationsexperiment a limitation; on the other hand, he took a critical view of the ways that Freud mechanized and formalized psychic phenomena in his theory of sex. In view of these problems Jung tried to open up a new psychological field of knowledge to challenge established understandings on science and to reformulate the meaning of science. Thus, he helped sacralize human experiences and integrate such into his psychological analysis,because a scientific-only explanation of the human psyche was too impoverished. Considering that Jung’s approach was therefore interdisciplinary and supportive of theological understandings of human psyche and conscience, I believe that his significant insights about science and religion will provide us an effective starting point for more productive dialogues between theology/religion and science.

      • KCI등재

        연구 논문 : 마음의 종교와 마음의 과학: 칼 구스타프 융의 통합적 인식론을 중심으로

        김태연 ( Tae Yeon Kim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15 종교문화비평 Vol.27 No.27

        본 연구는 종교와 과학의 대립을 ‘마음’의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바라보고 극복하고자 한 칼 구스타프 융의 사유와 그 인식론을 검토한다. 종교와 과학 사이에 가교를 놓고자 한 융의 시도는 단순히 양측의 화해를 도모하는 것이 아니었다. 그는 물질과 정신이 근원적으로는 같은 세계에 속해 있으며 양측은 서로 끊임없이 접촉하고 있다고 보았다. “대극의 합일”이라는 융의 관점에서 물질과 정신은 동일한 사물의 두 측면이기 때문이다. 외적인 측면을 조명하는 과학과, 내적인 측면을 조명하는 종교는 따라서 인간 경험이 수렴되는 심혼 속에서 합일 될 수 있다. 이러한 융의 인식론은 그의 플레로마와 크레아투라에 대한 논의에 잘 반영되어 있으며, 영국의 저명한 생물학자이자 인류학자인 그레고리 베이트슨은 융의 인식론을 데카르트의 심신이원론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적 인식론으로 적극 수용하여 정신과 자연의 이분법을 극복하고자 했다. 융의 종교와 과학에 대한 비판은 통속적인 비판의 내용, 즉 종교를 비합리적 영역으로 소외시키거나 극단적인 과학주의를 비판하는 그러한 것이 아니었다. 그가 보기에 양측 모두에게 결여된 것은 바로 인간의 “인격적 경험”에 대한 깊은 조명이었다. 따라서 융은 분석심리학이라는 공간의 창출을 통해 종교와 과학의 상호작용을 새롭게 재구성하고 재편하여 제시하고 있다. 융의 이러한 인식론적 통찰을 통해 우리는 종교와 과학을 양 극단으로 인식하는 입장이나, 중립적으로 화해시키려는 전통적 입장을 넘어선 새로운 길로 나아갈 가능성을 전망할 수 있다. 플레로마와 크레아투라, 정신과 물질의 접촉, 종교와 과학의 대화의 과제란 오히려 인간의 개성화와 성숙과 긴밀히 연결된 매우 중요한 인격적, 학문적 과제가 되는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Carl Gustav Jung’s epistemology to resolve the conflict between religion and sc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e/Seele”. Jung’s way to build a bridge between religion and science was not a simple attempt to reconcile both poles. He believed that mind and matter are of a single nature and interact with each other continuously. From his perspective of coniunctio oppositorum, mind and matter are just two aspects of one same thing. Therefore, science in the external world and religion in the internal world could coincide in Psyche/Seele constituted by human experiences. This epistemology reflected in his concepts - pleroma and creatura inspired Gregory Bateson’s integrated understanding of mind and nature. Thus we can understand why Jung criticised both religion and science as stand-alone explanations of human experience. Each, by itself, lacks depth to understand “human personal experience”. Jung rejected neither religion nor science as irrational or partial explanations. He sought to re oncile both and regard each neutrally for what they can contribute. Constructing an analytical psychology as a field in which science and religion integrate, his epistemological insights suggest a new way to overcome polarization issues: dialogue between religion and science must be understood in correlation with Psyche/Seele and the individuation process in the maturing of human beings’ personalities.

      • KCI등재

        칼 구스타프 융(C. G. Jung)의 “사위일체”(quaternio) 연구

        김윤정 한국실천신학회 2024 신학과 실천 Vol.- No.88

        본 논문은 융이 주장한 “사위일체”(콰테르니오) 개념은 그의 심리학뿐 아니라, 점 성학, 연금술, 영지주의에서 다양하게 나타남을 고찰한다. 융에 따르면 각 영역에서 나타나는 “네 번째 위격”은 대극적 속성을 융합하여 구원(전체성, 自己, Self)에 이르 게 하는 요소다. 점성학의 경우, 황궁 12도는 3×4의 변형된 “사위일체”를 보여준다. 변형된 “사위일체”는 성서에도 나타나는데, 야곱의 열두 아들과 예수 그리스도의 열 두 제자가 이에 속한다. 점성학에 따르면, 예수 그리스도가 태어난 시대는 “물고기자 리”로서, 이 자리는 한 시대의 종말과 새 시대의 도래를 상징한다. 이런 점은 그리스 도의 사명과 잘 부합한다. 또한 영지주의에도 사위일체 개념이 등장한다. 히폴리투스(Hippolytus)는 에덴동산 을 흐르는 네 강(江) 중 세 강(비손, 기혼, 힛데겔)은 세 개의 감각(시각, 청각, 후각) 을 의미하며, “네 번째” 강인 유프라테스는 “입”을 상징한다고 주장한다. “입”은 음식 의 통로인 동시에 기도의 수단으로, 이는 “네 번째 위격”이 대극적 요소인 육(肉)과 영(靈)의 속성을 모두 포함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연금술에 나타난 “사위일체”는 질료가 되는 네 원소(땅, 물, 공기, 불)와 네가지 성질(溫冷乾濕)을 들 수 있다. 또한 연금술의 작업 과정 역시 네 가지(흑화, 백 화, 황화, 적화) 과정으로 나뉘는데, 연금술의 네 가지 과정은 물질의 융합과 해체를 보여주며, 이는 죽음과 부활을 상징한다. 융은 자신의 연구 마지막에 기독교 문서를 야웨의 “개성화 과정”으로 해석했다. 야 웨의 “개성화”는 성육신, 곧 그리스도(전체성, Self)의 탄생으로 완성되며, 그리스도는 야웨의 “네 번째 위격”인 성(聖) 처녀(마리아)를 통해 탄생한다. 그리스도는 인간에 대한 야웨의 불의를 해소하고, 인간의 구원을 담당한다. 한편,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 음으로 인해 인간은 성령의 내주(內住)를 경험하게 된다. 성령의 내주(內住)는 인간이 신(神)이 되었음을 암시한다. 이제 인간은 그리스도를 모방하는 삶을 살아 자신의 구 원뿐 아니라, 세계의 구원에 이바지해야 한다. 이처럼 융은 기독교 신화의 핵심이 신 의 성육신, 인간의 신화(神化)이며, 인간은 구원의 대상이 아니라, 신과 함께 세계를 구원하는 주체라고 주장한다. This paper examines Jung's concept of “quaternio”(the Quaternity) as it manifests itself not only in his psychology, but also in astrology, alchemy, and Gnosticism. According to Jung, the fourth personality in each of these realms is the element that fuses the opposites and leads to salvation (wholeness, Self). In astrology, the 12th house of the zodiac represents a variation of the 3×4 quaternary. This variation of the Quaternity also appears in the Bible, where it represents the twe lve sons of Jacob and the twelve disciples of Jesus Christ. According to astrology, the era in which Jesus Christ was born was Pisces, which symbolizes the end of an era and the beginning of a new one. This fits well with Christ’s mission. Gnosticism also features the concept of the fourfold unity. Hippolytus of Rome argued that three of the four rivers flowing through the Garden of Eden (Bison, Gihon, and Hiddegel) represented the three senses (sight, hearing, and smell), and the fourth river, the Euphrates, symbolized the mouth. The mouth is both a conduit for food and a means of prayer, which suggests that the fourth estate contains both physical and spiritual attributes. Meanwhile, in alchemy, the fourfold unity refers to the four elements (earth, water, air, and fire) and the four temperaments (hot, cold, humid and dry). There are also four alchemical processes (blackening, whitening, sulfurizing, and reddening), which represent the fusion and dissolution of matter, symbolizing death and resurrection. Toward the end of his work, Jung interpreted Christian texts as a process of individuation of Yahweh. The individuation of Yahweh culminates in the Incarnation, the birth of Christ (the Wholeness, the Self), who is born through the Holy Virgin (Mary), the fourth personality of Yahweh. Christ is responsible for the resolution of Yahweh's injustice against humanity and for humans’ salvation. The indwelling of the Holy Spirit implies that man has become God. Man must now live a life that imitates Christ, contributing not only to his own salvation but also to the salvation of the world. Thus, Jung argues that at the heart of Christian mythology is the incarnation of God, the deification of man, and that man is not an object of salvation, but an agent who, together with God, saves the world.

      • KCI등재

        융의 사위일체 신정론: “넷째는 어디에 있는가”

        손호현(Ho-Hyun Sohn)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8 신학사상 Vol.0 No.182

        심층 심리학자 카를 쿠스타프 융은 현대에 와서 신학과 심리학이 더이상 방법론적으로 분리될 수 없다고 보며 기독교의 교리들에 대한 심리 학적 개정을 수행한다. 고전적 삼위일체론은 하나님의 존재를 과도하게 영성화하고, 과도하게 남성화하고, 과도하게 단순화함으로써 필연적으로 악에 대한 물음을 발생시킨다. 특히 융이 그린 악의 구체적 얼굴은 삼중적이다: 물질, 여성, 악마가 바로 그것이다. 따라서 융의 신정론의 핵심은 고전적 삼위일체론에서 생략된 물질, 여성, 혹은 악마라는 넷째를 포함시켜 새로운 사위일체를 구성하는 것이다. 중세 연금술에서처럼 철학적 황금으로 상징되는 철학자들의 돌이 넷째로 포함될 때에, 우리는 성부-성자-성령-물질의 ‘연금술적 사위일체’를 가지게 된다. 성모승천설 교리에서처럼 여성성을 상징하는 마리아가 포함될 때에, 우리는 성부-성자-성령-성모의 ‘여성적 사위일체’를 가지게 된다. 심층 심리학에 서처럼 무의식의 그림자 혹은 어두운 하나님을 상징하는 악마가 포함될 때에, 우리는 성부-성자-성령-악마의 ‘심리적 사위일체’를 직면하게 된다. 이처럼 융의 사위일체 신정론은 선악미분의 성부, 그리스도와 악마로 분열된 이중적 인격, 그리고 더 발전된 통합으로서의 성령이라는 사위일체의 전개 과정을 가리키는 것이다. 마지막 결론에서 우리는 신학과 형이상학을 심리학의 영역 안으로 끌어들인 융의 이른바 심리주의의 위험을 사제로서의 심리학자, 정신 건강법으로서의 신정론, 그리고 건강으 로서의 구원이라는 세 주제를 통해 비판적으로 성찰하고자 한다. Carl Gustav Jung sought to overcome the methodological separation between theology and psychology, revising theological doctrines from a modern perspective of depth psychology. The classical doctrine of the Trinity over-spiritualizes, over-masculinizes, and over-simplifies the being of God, he argued, omitting the issue of the fourth, as mentioned in Plato’s Timaeus. Jung gives us a concrete threefold face of evil as matter, femininity, and devil. The crux of Jung’s theodicy is a transformation of the Trinity into a new threefold quaternity through the inclusion of the fourth within God’s essential being: the alchemical quaternity of Father-Son-Spirit-Matter, the feminine quaternity of Father-Son-Spirit-Mother, and the psychological quaternity of Father-SonSpirit-Devil. Jung believes that medieval alchemy, Catholic doctrine of assumptio Mariae, and modern depth psychology all testify to the necessity of theogenesis, i.e., what Meister Eckhart calls the birth of God within soul. The article concludes with some critical reflections on the danger of Jung’s psychologism with three issues of psychologist as priest, theodicy as mental hygiene, and salvation as psychological health.

      • KCI등재

        모더니즘 회화에서 나타난 인간의 양면성에 관한 연구

        박경주,우혜승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19 조형디자인연구 Vol.22 No.2

        Art as a way of freely expressing the fundamental existence of human beings has been developed variously through various ages. In particular, many artists experienced two conflicting properties inherent in themselves in the process of exploring the inner side and expressed them as work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process of discovering Human Duality according to analytical psychologist Carl Gustav Jung's shadow theory and studied the expression of human duality in Modernism Art. In Modernim painting artist, it is noticeable in works of Frida Kahlo, Egon Schiele and René Magritte. Frida Kahlo, a surrealist painter in Mexico, expressed contrary emotions and images including infertility, hurt due to husband's affair, strong obsession and desire settled as shadow, love and hatred in her works. Egon Schiele included his image attracting public attention and full of wit and anxiety about death and sex caused by his father who died from sexually transmitted disease in the portrait in the social context full of human alienation and hedonism. René Magritte expressed the anger, attachment to motherhood, problems in life and death through the symbols.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erms of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human psychological expression in Modernism Painting according to Jung's theory and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inner side and art. 인간의 근본적 존재를 자유롭게 표현하는 방식으로서의 미술은 여러 시대를 거치면서 다양하게 발전되어왔다. 특히 많은 작가들은 내면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자신에게 내재된 대립적인 두 가지 성질을 경험하게 되고 이를 작품으로 표현했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심리학자 칼 구스타프 융(Carl Gustav Jung)의 그림자 이론에 따라 양면성을 발견하는 과정을 살펴보고 모더니즘 미술에서 나타난 인간의 양면성을 연구했다. 융과 동시대에 활동했던 모더니즘 회화작가인 프리다 칼로(Frida Kahlo), 에곤 쉴레(Egon Schiele), 르네 마그리트(René Magritte)의 작품에서 이와 같은 표현이 두드러진다. 멕시코의 초현실주의 화가인 프리다 칼로는 불임, 남편의 외도로 인한 상처와 그림자로 자리한 강한 집착과 욕망, 사랑과 증오 등 서로 대비되는 내면의 감정이 작품에 자리 잡고 있다. 에곤 쉴레는 사회적으로 인간 소외 풍조와 쾌락주의가 팽배한 시대적 배경에서 사람들에게 주목받고 위트 넘치는 자신의 모습과 아버지에게서 비롯된 죽음과 성에 대한 불안을 자화상에 담았다. 르네 마그리트는 어머니에게 느끼는 분노와 모성에 대한 애착, 삶과 죽음에 문제를 상징을 통해 나타냈다. 본 논문은 융의 이론에 따라 모더니즘 회화에서 나타난 인간의 심리적 표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인간의 내면과 미술의 관계성을 파악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중국 신화 각색 애니메이션 <나타지마동강세>에 나타나는 스토리텔링의 치유성 연구 -칼 구스타프 융의 ‘자기실현 과정’을 중심으로-

        왕위안쉐,최동혁,조승우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2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69

        The animation Nezha: Birth of the Demon Child(2019), produced by Jiaozi, ranked second in the history of the Chinese box office, showing a new trend in modern adaptations of Chinese mythology stories. With the development of society, more and more the public began to pay attention to individual mental health and individual growth. Accordingly, animation, an important medium that conveys the perception of society and the public, is gradually changing. Animation on the theme of individual growth is replacing the existing hero genre. In particular, the animation Nezha: Birth of the Demon Child based on Chinese mythology, created a fantastic virtual world for the audience based on the myth, allowing the audience to gain visual pleasure as well as mental empathy and healing through watching the anim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healing nature of storytelling in animation adaptations of Chinese mythology through Jung’s ‘Self-realization process’. For this purpose, the animated film Nezha: Birth of the Demon Child was selected as the object of study. The study unfolds as follows. Firstly, we propose the examination of Chinese myth theory and the significance of modern adaptation, and clarify the significance of Chinese myth adaptation and the healing narrative performance of Chinese myth. Second, the theory of Jung’s ‘Self-realization process’ is examined. which can be used in the case study analysis section, the audience’s spiritual healing is explor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s’ ‘Self-realization process’. Thirdly, we propose the elements of storytelling in animations. Fourth,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study, a case study of Nezha: Birth of the Demon Child is conducted. The case study is divided into, first, clarify the adaptation property of the animation Nezha: Birth of the Demon Child and an analysis of the healing nature of the adapted story narrative. Then, a comprehensive analysis is conducted by combining the Jung’s ‘Self-realization process’ and the elements in animation storytelling. Through the study, we explore the healing properties of animation storytelling adapted from Chinese mythology and laid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교자(餃子) 감독이 제작한 애니메이션 <나타지마동강세>(哪吒之魔童降世, 2019)는 역대 중국 박스오피스 사상 흥행 2위를 기록하며 중국 신화의 현대적 각색의 새로운 트렌드를 보여주었다. 사회의 발전에 따라 점점 더 많은 대중이 개인의 정신건강과 개인의 성장에 관심을 두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사회와 대중의 인식을 전달하는 중요한 매체인 애니메이션도 점차 바뀌고 있다. 개인의 성장을 주제로 한 애니메이션은 기존의 영웅 장르를 대체하고 있다. 특히 중국 신화를 원작으로 각색한 애니메이션 <나타지마동강세>는 신화를 기반으로 관객들에게 환상의 가상 세계를 만들어줌으로써 관객들이 애니메이션을 보는 것을 통해 시각적인 즐거움은 물론 정신적 공감과 치유를 얻을 수 있도록 했다. 본문은 융의 ‘자기실현 과정’을 통해 중국 전통 신화를 각색한 애니메이션에 나타나는 스토리텔링의 치유성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애니메이션 <나타지마동강세>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전개된다. 첫째, 중국 신화 이론의 고찰을 통해 중국 신화 각색의 의미와 중국 신화 서사의 치유성 표현이 명확하다. 둘째, 융의 ‘자기실현 과정’에 대한 이론을 고찰한다. 캐릭터의 ‘자기실현 과정’을 분석해 관객이 얻는 정신적 치유를 논술하는 데 사용된다. 셋째,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의 요소들을 제시한다. 넷째,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나타지마동강세>에 대한 사례 분석을 진행한다. 사례 분석은 먼저 애니메이션 <나타지마동강세>의 스토리 각색 속성을 명확히 하고 각색한 애니메이션 스토리에 대한 서사의 치유성을 분석한다. 그다음 융이 제시한 ‘자기실현 과정’과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의 요소를 결합해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통해 중국 신화 각색한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의 치유성을 탐색하여 향후 연구에 이론적 기반을 마련한다.

      • KCI등재후보

        칼 구스타프 융의 작품에 드러난 영혼의 흔적

        황의필(Hwang, Eui-Pil)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인문학연구 Vol.26 No.-

        This paper deals with the problem of traces of psychoanalysis and the use of the term ‘soul’ in Carl Gustav Jung"s work. The research direction here is to assess the conditions of the human spirit or soul inherent in art. All research methods and the focus is to analyze the appearance of the "soul" in Carl Jung"s work. In addition, this research hopes to find an area that contains the soul of the spirit in any form. Accordingly, the spirit world was considered to be a devised concept and causes a problem when classifying the existence of a human ‘soul’. The results revealed how the human mind is left to symbolize how a soul. Chapter 1, deals with the discovery of the human soul, focuses on Carl Jung"s work in the spirit world and how this impacts and causes problems for the human ‘soul’. In effect, the soul has three functions; first, it captures a sense of emptiness from the unknown. Second, in the presence of the outside sight, we can understand the soul. Third, the identity of the opposite reason, perception, awareness or if we do or do not accept the presence of God(神). Fourth, the pursuit of infinity away from the logic of differentiation. As a result, concurrency reveals the reciprocity of an inherent soul. Chapter 2, Life and death in the world of concurrency dealt with life and death and its meaning for the soul. The balance between life and death can be understood in the following way. First, it is inherent in everything good "Yin and Yang (兩儀)". Life and death reveal the implicit concurrency balance as relativization. The intention of this balance is the result of man"s inherent loneliness. namely, life and death, the nature of men and women may feel the circulation principle of harmony with concurrency. Chapter 3, suggests that a soul contains traces of dreams as a secret dream stealthily hidden in a place only for humans. The phenomenon of a dream reveals acts to us as a symbol to read the human mind. In other words, dreams are going to switch consciousness which is transferred to the unconscious and it is to be discovered that the unconscious produces a mutation of consciousness. After all, the unconscious is said to take on the role of surrogate dream, to erase the traces of humans as reiteration.

      • KCI등재

        모래놀이치료의 기독교 상담적 적용 연구 : 융의 분석심리학과 위니캇의 대상관계 심리치료를 중심으로

        박은정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7

        본 연구의 목적은 모래놀이치료의 기독교 상담적 적용에 관한 연구를 C. G 융 (Carl Gustav Jung)의 분석심리학 이론과 도날드 위니캇(Donald Woods Winnicott)의 대상관계 심리치료를 중심으로 고찰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오늘날 많은 표현예술치 료 기법들이 소개되고 있으나 영성적 측면에서의 연구는 희박하다. 그럼에도 불구하 고 기독교 상담 영역에서의 표현예술치료 분야는 계속적으로 확장되고 있다. 또한 기 독교 상담자를 찾아오는 내담자들은 영적 치유에 갈급해 하며 상담자에게 다양한 치 료적 접근을 기대한다. 따라서 기독교 상담자는 다양한 기법을 활용하여 영성적 접근 을 시도하는 과정을 통해 상담의 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인정하고 지속적으 로 연구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자는 20여 년간 모래놀이치료를 교회, 학교, 복지기관 에서 실시 해 온 기독교 상담자로써 모래놀이치료가 기독교 상담의 측면에서 어떠한 적용점이 가능하였는지를 직접 경험해왔다. 이러한 경험을 토대로 본 연구는 표현예 술치료의 다양한 기법들 중에서도 융 분석심리학의 영성적 측면과 가장 관련이 깊은모래놀이치료에 집중하여 기독교 상담적 적용을 고찰해 보려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첫째, 융 분석심리학과 기독교 상담의 관련성에 관한 문헌연구를 통해 모래놀이치료의 기독교 상담적 이론 기반을 확인하고자 한다. 둘째, 모래놀이치 료의 역사와 이론, 상담 과정에 대하여 살펴본 후 모래놀이치료의 치유적 힘과 자아 실현의 과정에 관하여 고찰해 보고자 한다. 셋째, 모래놀이치료의 임상 현장에서 기독 교 상담이 어떻게 적용 가능한지에 관하여 연구해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study of sandplay therapy applying to Christian counseling based on Carl Gustav Jung’s theory of analytical psychology and Donald Woods Winnicott's object-relations theory. Many expressive art therapies have been introduced these days while few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spiritual perspective. Nonetheless, expressive art therapies continue to be expanded in the Christian counseling area. Also clients who seek Christian counselors want spiritual healing expecting a variety of therapeutic approaches from counselors. Hence, Christian counselors should recognize that better outcomes are anticipated from the trials of spiritual approaching process using multiple techniques, which requires continuous studies. As a Christian counselor who has performed sandplay therapy in churches, schools, and welfare centers over 20 years, the investigator experienced what points in the sandplay therapy had been worked in view of Christian counseling. Based on these experiences, this study was aimed to review the sandplay therapy,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spiritual perspective of Jung’s analytical psychology, among multiple techniques of expressive art therapy, applying to Christian counseling. The first study method is to find out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Christian counseling with sandplay therapy by literature review on the relations between Jung’s analytical psychology and Chrisitan counseling. The second method is to review the healing power and the course of self-realization of sandplay therapy after researching its history, theory, and counseling processes. The third method is to investigate how Christian counseling is applied in the clinical practices of sandplay therapy.

      • KCI등재

        종교개혁자 루터에게 나타난 기독교 교육적 함의 - 예수의 인자 자의식과 성도의 자아정체성을 중심으로 -

        채혁수 한국실천신학회 2017 신학과 실천 Vol.0 No.57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으며, 한국교회의 침체와 성도감소, 특히 교회학교, 중고등부와 청년부의 쇠퇴를 보며, 청소년, 청년기의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자아정체성 확립의 중요성을 되새겨 봄으로, 이로 인한 다음세대인 교회학교와 청년층의 부흥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논문의 필요와 목적이다. 본 연구는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가 어떠한 역사적 정황과 생애적 상황 속에서 자아정체성을 찾아나갔는지를 심리학적으로 살펴보며, 그 본(本)으로서의 예수 그리스도의 인자정체성속에서 한국교회와 성도들의 정체성위기를 돌파 할 기독교 교육적 제언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역사적 인물인 루터의 자기발견 내지는 개성화가 선행연구인 청년루터에 대한 역사적 심리학적 연구를 시도한 에릭 에릭슨(Erik H. Erikson)이 말한 자아정체성(self-identity)과의 관계들을 통해 살펴보며, 그 대안적 제시로 오늘날 한국교회 성도의 그리스도인 자아정체성확립이라는 과제 속에 예수의 인자정체성을 통해 그 실마리를 찾아보려는 것이다. 루터라는 종교개혁자의 개혁사상이 인간 마르틴의 자아 정체성과 함께 어떻게 확립되어 나갔는지를 먼저 선행연구인『청년루터』를 통해 살펴보고, 종교개혁자 마르틴 루터의 이러한 자아정체성의 갈등과 부모의 이미지 속 하나님에 대한 투사들을 어떻게 극복하고, 자기발견 내지는 개성화를 이루었는지를, 칼 융(C. G. Jung)이 말하는 “의식,”과 그리고 “개인무의식”과 “집단무의식”의 요소들 속에 루터를 대입시켜 보며, 분석 심리학적 측면으로 다루어 볼 것이다. ‘우리는 그리스도인으로 어떠한 정체성을 가져야 하며, 또 어떠한 정체성을 가진 그리스도인으로 자라나는 세대를 양육해야 할 것인가?’ 이 실천신학적이고 기독교교육학적인 질문들의 대답을 위한 분석으로 본고는 랄프 타일러(Ralph W. Tyler)가 말한 교육학의 두 체(screens) 중 하나인 심리학을 사용할 것이다. 기존 발달심리학, 그중에서도 사회적 발달심리학으로 역사속의 인물 루터를 탐구하였던 에릭슨의 선행연구를 본으로 하여 융의 분석심리학의 주장들을 빌려와 페르조나를 벗고, 그림자를 극복하여, 자기를 찾아 개성화를 이루어 종교개혁의 대업을 이루었던 루터의 전인적 정체성 확립의 모습 속에서 그가 역사적으로 갈구했던 성경 속 예수님의 인자로서의 메시야정체성의 본을 통하여 그 해답을 찾으려는 것이다. Facing the 500 year anniversary of the Reformation, this study will explore an alternative to reform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and Christians with the establishment of identity. We Korean Christians have experienced an absence of self-identity as Christians. What should we Christians identity with? And how should we Christian teachers teach the next generation, with a healthy identity based on a sound theological confession? In order to respond to these questions, this paper has the following components: First, through a psychological approach, this study will explore how Martin Luther's identity is to be established by Erik Erikson's theory. Second, applying Luther's case to C. G Jung's elements of personal unconscious and collective unconscious, this paper will deal with the process of Luther and how he had overcame his shadows in his period of growth and found 'the self' through individualization. Third, in order to get a clue to solve the task of the identity crisis of Korean Christians, this paper will explore the son of man Christology from the perspectives of systematic theology and biblical theology. Luther was a man who fought to overcome his complex with a balance between archetype and complex and his shadow with a balance between ego and shadow. He tried to get over distorted images of parents and God in personal unconscious and collective unconscious. Finally, he accomplished the Reformation, finding a balanced, harmonized, and holistic self. With the help of Jung's psychological perspective, I will trace a historical person, Luther, in this study, based on the psycho-historical study of Luther by Erik Erikson and theological approaches about the Son of Man Jesus as precedent studies. Through Martin Luther's case study, examining how he looked forward to his identity, I would like to offer several suggestions about Christian educ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ir identity crisis for Korean Christians with a role model of Jesus Christ's Son of Man identity.

      • KCI등재

        원형 이론의 연극학적 고찰을 통한 미하일 체홉의 심리제스처 연구

        김영래(Young-Lae K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7

        본 연구는 미하일 체홉에게 연극학적으로 영향을 준 요한 볼프강 폰 괴테, 루돌프 슈타이너, 칼 구스타프 융의 원형 이론 속에서 나타나는 원형의 개념과 본질을 고찰했다. 체홉의 심리제스처에 원형 이론이 어떻게 응용되었는지 분석했고, 원형 이론을 수용한 미하일 체홉의 심리제스처에 대한 근원적인 이해를 도모하고자 했다. 체홉의 심리제스처에는 원형의 개념이 자주 등장한다. 체홉은 배우들의 내면의 심리 또는 본능 속에 원형이 존재한다고 했고 심리제스처를 원형 제스처라고 정의했다. 체홉의 심리제스처 속의 원형에 대한 언급들을 고찰하면서 체홉의 심리제스처가 원형 이론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파악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괴테의 원형 이론(원형식물), 슈타이너의 원형 이론(4가지 기질의 인간 원형, 7가지 인간 영혼의 원형), 융의 원형 이론(집단무의식과 4가지 원형, 12가지 성격 원형) 등을 분석했고, 원형 이론이 체홉의 원형 이론과 심리제스처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괴테와 슈타이너의 원형 이론, 오이리트미는 연극교육 및 배우연기에 응용되고 있다. 융의 원형 이론도 연극학의 배역 분석 및 연극치료에 적용되고 있다. 원형 이론의 영향을 받은 체홉의 원형 이론과 심리제스처는 배우가 극중 인물을 분석하고 창조적 연기로 표현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되리라고 판단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and essence of archetype theories of Johann Wolfgang von Goethe, Rudolf Steiner and Carl Gustav Jung, which theatrically influenced Michael Chekhov. It analyzed how archetype theories were applied in Chekhov’s Psychological Gesture and tried to fundamentally understand Chekhov’s Psychological Gesture that embraced archetype theories. The concept of archetype repeatedly appears in Chekhov"s Psychological Gesture. Chekhov stated that archetype exists in the inner psychology or instinct of the actors and he defined the Psychological Gesture as an archetypal gesture. While exploring references regarding archetype in Chekhov’s Psychological Gesture, this study found that it is closely related to archetype theories. Therefore this study thoroughly analyzed Goethe’s archetype theory(archetypal plant), Steiner’s archetype theory(4 temperament archetypes, 7 human’s soul archetypes), Jung’s archetype theory(collective unconscious and 4 archetypes, 12 personality archetypes) and it confirmed that archetype theorie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hekhov’s Archetype Theory and Psychological Gesture. Goethe and Steiner’s archetype theories, Eurythmy are applied to theater education and actor’s acting. Likewise, Jung’s archetype theory is also adopted theatrical studies and theatrical psychotherapy. The author believes that Chekhov’s Archetype Theory and Psychological Gesture influenced by archetype theories will significantly help an actor analyze characters in the play and portray them in creative ac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