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패시브 디자인을 통한 중동지역 친환경 호텔 계획에 관한 연구

        한태권 ( Taekwon Ha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전 세계적으로 지속가능한 공간계획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중동지역 국가들 역시 오일에 의존한 에너지 과소비 공간에서 벗어나 전 세계적인 지속가능성에 대한 이슈에 주목하여 친환경 디자인에 관심을 갖고 친환경 인증을 의무화하는 등 지속가능한 개발을 추진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지속가능한 친환경적인 공간 디자인에서는 특히 자연의 환경을 활용하여 에너지 부하를 줄이고 동시에 쾌적한 공간 환경을 조성하는 패시브 디자인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패시브 디자인을 통해 중동지역의 기후에 순응하는 친환경적인 공간 계획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실제 중동지역의 친환경적인 호텔 계획을 통해 그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으로 첫째, 이론적 고찰로 친환경 패시브 디자인에 대한 개념과 중동지역에서의 패시브 디자인 방향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친환경 패시브 디자인에 대한 계획 방향의 근거를 마련한다. 둘째, 중동 국가 중 하나인 카타르 지역에 대상 부지를 정하고, 디자인 프로세스에 따라 디자인 단계별로 어떠한 친환경적인 기술이 반영되었는지 분석하고 이를 에코텍(Ecotect)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연구의 범위로는 패시브 디자인을 중심으로 2020년 월드컵을 계기로 많은 호텔이 계획되는 중인 카타르 지역을 대상으로 친환경적인 호텔 계획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결과) 첫째, 중동지역에서 재실자 쾌적성 및 에너지 사용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일사량에 대한 분석을 비롯해 온습도 분석과 강수량 분석, 최적향 분석과 음영분석, 그리고 주풍향 분석 등 환경 분석을 통해 친환경적인 호텔을 위한 패시브 디자인의 방향을 설정했다. 둘째, 열적부하를 줄여 에너지를 절감하고, 더위에 지친 여행객들에게 쾌적한 공간을 제공하여 실내외 공간에서 사막의 오아시스와 같은 특별한 체험을 할 수 있도록`플로팅 오아시스`라는 개념을 만들어 패시브 디자인 전략을 세우기 위한 가이드를 만들었다. 셋째, 셀프쉐이딩과 쿨루프에 의한 차양효과로 일사부하를 낮춰 냉방 에너지를 절감하고 이것이 자연스럽게 입면에 나타나도록 계획했다. 또한 자연환기 및 실내 수직 정원을 통해 실내공기질을 향상시켜 재실자 쾌적성을 향상시켜 친환경적인 호텔로 계획했다. (결론) 본 연구는 호텔의 에너지사용량 중 특히 중동지역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냉방부하를 줄여 에너지를 절감하는 패시브 디자인 전략을 통해 카타르 대상 부지에 친환경적인 호텔을 계획함으로써 활발하게 호텔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중동지역에서의 친환경 호텔 계획에 대한 하나의 지속가능한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해 줄수 있다는 데 연구의 의의를 둘 수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Sustainable space design is currently emphasized worldwide. Countries in the Middle East are paying attention to issues of sustainability and striving to promote sustainable development through eco-friendly design, requiring them to comply with sustainable certification. For sustainable space design, passive design is important to reduce the energy load and improve energy performance by utilizing the natural environment, thereby creating a comfortable milie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sustainable space design that conforms to the climate of the Middle East through passive design. To achieve this, we designed an eco-friendly hotel in the Middle East, and present the possibilities for its sustainability. (Method) As a study method, I first establish the basis of sustainable design by describing the concept and outlining the direction of passive design in the Middle East. Second, I propose spatial planning according to the design process. I describe climate analysis, the concept of passive design, application of passive design, and environmental effects. Furthermore, I verify the sustainability of spatial planning through an Ecotect simulation, which is an eco-friendly simulation tool. The scope of the study encompasses the direction of sustainable hotel design in Qatar, where many hotels are planned for the 2020 World Cup. (Results) First, I set the direction of passive design for sustainable hotel design through environmental analyses of solar radiation, temperature and humidity, rainfall, orientation, shading, and prevailing wind. Second, I develop guidelines for a passive design strategy. To this end, I create a “floating oasis,” which will save energy by reducing the thermal load and provide a comfortable space for tired travelers, namely a desert oasis in indoor and outdoor spaces. Third, I plan to reduce the solar radiation load through self-shading and a cool roof to save the energy required for cooling. This was naturally designed in the elevations. In addition, I design a sustainable hotel by planning natural ventilation and indoor vertical gardens to improve the quality of air indoors and occupants` comfort. (Conclusions) This study develops a passive design strategy that can reduce energy consumption by reducing the cooling load, which constitutes a large proportion of hotels` energy usage, especially in the Middle East.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presents a design direction for sustainable hotel design in the Middle East from a passive design strategy perspective.

      • KCI등재

        친환경 디자인패러다임 도래에 의한 가구의 조형 변화요인 관계성 연구

        문재호(Moon, Jae Ho),김경희(Kim, Kyung Hee)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2 No.-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패러다임의 흐름에서 나타난 시대별 친환경 트랜드와 이에 따른 가구디자인의 변화 유형을 분석해 친환경과 가구디자인의 관계성을 연구함으로서, 현재와 미래의 생활환경의 창조자로서 현대 가구디자인과 디자이너가 고취할 자연자원이나 인공자원을 고갈시키지 않으면서 생태체계를 보호하는 실무접목의 차원에서 디자인사고의 변화를 유도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방법과 범위는 서론에서 현대의 디자인문제와 상황에 대한 논지를 통해 배경 목적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본론에서는 일차적으로 시대별디자인패러다임의 시각화 맵을 구축하고 구축된 디자인패러다임 시각화 맵을 바탕으로 4가지 상관관계 요소 분석을 통해 친환경 개념의 대두요인을 추출 하였다. 이것을 바탕으로 시대별 가구디자인 조형양식의 변화 사례와 친환경 디자인패러다임 도래 요인과 가구조형 변화요인을 분석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 하였다. 1960년대부터 1970년대에는 친환경 인식과 친환경개념 태동기로서 친환경가구디자인의 인식이나 표현은 극히 일부에서 보여 지고, 제품디자인에서 친환경 개념의 적용 보다는 계몽적 수준이었다. 또한 1970년대는 친환경가구디자인과 디자이너가 본격적으로 출현한 시기로서 가구디자인에서는 친환경 개념을 처음으로 적용시킨 아킬레 카스틸리오니(Achille Castiglioni)의 메차도르(Mezzadro)의자가 생산되고, 프랑크 게리(Frank Gehry)는 위글 사이드체어(Wiggle Side Chair)를 선보인다. 당시 기능주의적 디자인에만 치중되었던 세계 디자인계에 혁신적 사례라는 평가를 받았다. 1980년대에는 본격적으로 친환경가구디자인의 제안과 이에 따른 생산화가 이루어졌다. 미니멀리즘의 경향과 디지털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인텔리젼트(intelligent)한 가구 등이 선보였으며, 환경오염으로 인한 생태계 치유를 위한 친환경 트랜드에 의한 친환경가구디자인이 제시되는 등 1980년 이후로는 의자에서 친환경 트랜드를 수용하는 디자인경향을 보였다. 1990년대~2010년대 친환경 디자인패러다임은 "지속가능 원칙"이 모든 디자인에 적용되어 활발한 상품화와 경제화를 이끌었던 시기로서, 가구디자인에서도 친환경디자인이 강조되고 미래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eriodic eco-friendly trends and change patterns of furniture design in order to induce design thinking change of practical level while protecting ecosystem without exhaustion of natural resources or artificial resources by the modern furniture design or designer as a current and future life environmental creator. As for the methodology and scope of this study, the background purpose is described through the contemporary design problems and conditions in the introduction. In the main bodies, the visualized map for periodic design paradigm is constructed and based on such design paradigm visualization map, 4 correlation analyses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extract eco-friendly introduction factors. Based on such analyses, the conclusion was drawn by analyzing the periodic furniture design formative pattern change cases, eco-friendly paradigm introduction factors and furniture formative change factors. In the perception of eco-friendliness in the 1960s~1970s and the quickening period, the perception and expression of eco-friendly design were very limited, and the application of eco-friendliness to product designs was nothing but enlightening. and, the eco-friendly furniture design and designers appeared extensively. Mezzadro chair was produced by Achille Castiglioni who adopted the eco-friendliness in furniture design for the first time, and Wiggle Side Chair was shown by Frank Gehry. They were praised as innovative cases in the global design industry that concentrated on functional design only. In 1980s, the mature period of eco-friendly furniture design on eco-friendly furniture design and production accordingly. The trend of minimalism and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produced intelligent furniture and furniture design to cure eco-system appeared. Thus, various tendencies on eco-friendly furniture design appeared after 1980s. The transition period of eco-friendly trend between 1990s and 2010s, Eco-friendliness was emphasized in furniture design and active endeavors have been made to solve future environmental problems.

      • KCI등재후보

        친환경 디자인 활성화를 위한 KIDP 굿 디자인 선정제도 심사기준의 개선방안

        박보연(Park, boyean),김면(Kim, Myou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3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2 No.1

        세계적으로 환경에 대한 무역 규제가 강화되고, 새로운 환경정책들이 국제 협약을 통해 시행되고 있다. 그린비즈니스 시장에서 소비자들의 친환경 제품 구매에 대한 관심은 높은 편이지만 실제로 친환경 제품 구매에 대한 신뢰와 만족은 높지 않다. 이에 친환경 제품 구매 활성화 방안의 하나로 친환경 굿 디자인 제도의 개선을 통해 친환경 디자인 제품 개발과 소비자의 친환경 디자인에 대한 신뢰와 관심제고를 유도하여 그린 비즈니스의 지속 가능한 생산ㆍ소비 구축을 도모하고자 한다. 연구의 범위는 친환경 패러다임의 변화 속에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친환경 인증 제도와 국내외 굿 디자인 어워드들을 연구대상으로 한정하였고, 친환경 디자인 평가 요소를 기준으로 리뷰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친환경 시장의 규모와 소비자 인식을 조사하여 친환경 제품의 구매 현황과 한계점을 분석하여 친환경 디자인 제도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근거로 독일, 일본, 미국 등 해외 굿 디자인 심사기준의 평가요소와 친환경 평가요소를 분석하여 친환경 요소를 KIDP 굿 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친환경 굿 디자인의 인증 기준을 굿 디자인의 필수요소와 친환경 필수요소로 분류하여 종합평가하고, 친환경 굿 디자인의 4R(Recycle, Reuse, Reduce, Replacement) 적용 사례를 제시하여 친환경 굿 디자인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였다. Trade regulations are heightened about the environment in worldwide, and new environmental policies are implemented by international agreements. In the market of green business, interests of consumers in purchasing eco-friendly goods tend to be increased, however, in fact, their trusts and satisfactions to the purchased goods are not so high. So, as an approach for stimulating purchases of green produc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build sustainabl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green business by inducing development of, and consumers’trust and enhanced interest in environment-friendly design products, by improving eco-friendly Good Design system. The scope of research sets limits to environment -friendly certification system currently conducted in South Korea and good design awards for research objects amid environment-friendly paradigm change, which were reviewed based on eco-friendly design evaluation factors as a criterion. For research methods, drawn was the necessity of environment-friendly design systems by investigating a size of environment-friendly market and consumers’ awareness on it and analyzing purchase status on environment-friendly product and its limitation. Based on this, measures were sought that environment-friendly factors can be applied to KIDP Good Design by analyzing screening criterion evaluation factors and environment-friendly evaluation factors on overseas good design such as Germany, Japan, and the U.S. In conclusion, synthesis evaluation was conducted by classifying certification criteria of environment-friendly good design into essential factors of good design and environment friendliness, and measures were studied for invigorated environment-friendly good design by suggesting cases to which environment-friendly good design is 4R(Recycle, Reuse, Reduce, Replacement) app lied.

      • KCI등재

        친환경디자인로드맵의 구축과 3Key 요소 분석을 통한 친환경디자인패러다임 및 제품디자인 조형변화요인 연구

        문재호(Moon, Jae Ho)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4 No.-

        친환경로드맵상의 디자인패러다임의 변화요인은 1960~70년대 반전운동과 친환경운동의 태동기이고, 70년대는 ‘에너지 효율(energy efficiency)’성이 강조되고 ‘유엔환경회의’가 설립되었다. 1980년대 ‘그린소비자’의 등장, ‘지구의 날’이 지정되고 ‘디자이너의 책임의식’이 고취되었다. 1990년대는 국내외 환경규제법규의 강화와 시민환경단체의 운동, 기업의 친환경제품의 개발이 이루어졌다. 2000년대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자원순환형 사회를 위한, 친환경적 신?재생 소재개발과 친환경개발의 기업고착화 등이 전산업화 현장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친환경로드맵상의 제품디자인 조형변화요인은, 1960년대는 친환경의 개념과 디자인이 태동하는 시기로, Minster Fuller가 Geodesic dome을 설계하여 ‘친환경’이 대두되고, 1970년대는 친환경의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는 시기로서 친환경 디자이너의 출현으로 친환경 제품의 생산적 의미보다는 계몽적의미로서 부각되었다. 1980년대는 전쟁으로 삶의 질의 향상에 보다 많은 관심이 집중되어 친환경 디자인의 관점에서는 발전이 가장 느려진 시기라 할 수 있다. 1990년대는 ‘지속가능 원칙’이 정립되어 친환경디자인의 중요성과 환경문제를 위한 노력이 시작되었으며 2000년대는 기능적, 미적인 관점으로 접근하기보다는 개념과 친환경디자인 방법론의 개발로, 디자인사고가 전환되어 친환경디자인이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Regarding the design paradigm change on eco-friendly roadmap, 1960s~70s was the birth period of anti-war movement and eco-friendly movement, and in 1970s energy efficiency was emphasized and the UN conference on environment established. In 1980s there turned up green consumers, designated the earth day, and promoted the responsibility of designers. In 1990s, law on environmental restriction was strengthened in local & abroad, civic environmental organizations movement and development eco-friendly product by industry was proceeded. In 2000s, it has been carried out in all sectors of industries the eco-friendly new & renewable material development, firm fixation of corporate of eco-friendly development. Regarding product design modeling change element on the eco-friendly roadmap, the 1960s was the period of birth eco-friendly concept and design, in which the concept of eco-friendly was emerged by the construction of Geodesic dome by Minster Fuller. and in 1970s was an age eco-friendly was highlight as a social issue, and the appearance of eco-friendly designer was regarded as a meaning of enlightenment instead of the meaning of eco-friendly goods production. he 1980s can be regarded as the period of slow development in eco-design perspective, as it was focused more to the quality of life caused by war. In 1990s, the principle of sustainability was settled down thus, the importance of eco-friendly design and the endeavor for eco-friendly design was started, and in 2000s the thought was changed to the concept & eco-friendly design method development rather than access to functional, aesthetics view point as a result the eco-friendly design has been in progress in diverse ways.

      • KCI등재

        친환경 녹색학교 조성을 위한 바이오필릭 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상교,최익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5

        (연구배경 및 목적) 현 도시화와 심각한 환경문제를 배경으로 많은 국가에서 '친환경 녹색학교(Eco-Friendly Green School)'를 교육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대책 중 하나로 꼽고 있다. 친환경 녹색학교는 학생들의 정서발달과 인성교육에 필요한 환경교육의 장을 제공한다는 목표로 자연적이고 지속 가능한 요소를 학교설계와 관리에 도입하고, 생태계의 이해와 원리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한 도시 학생들에게 자연환경에서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사회생태학자인 스티븐 R. 켈러트(Stephen R. kellert)는 자연과 친밀한 교류를 형성할 수 있는 바이오필릭 디자인이 '학교를 변화시킬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연구에 따르면 자연환경에서 학습하면 스트레스 완화, 주의력 회복 및 학업 성적 향상에 도움이 된다. 바이오필릭 디자인은 공간에 자연과의 직접적 체험, 간접적 체험 및 공간과 장소의 체험을 통해 자연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이에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설립된 친환경 녹색학교를 대상으로 친환경 녹색학교에서 바이오필릭 디자인을 적용한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여 학생의 건전한 발전을 촉진하는 지속 가능한 학습환경 조성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은 첫째, 문헌고찰을 통해 친환경 녹색학교의 전략적 목표와 공간 특성,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배경과 요소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였다. 둘째, 친환경 녹색학교의 공간 특성과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관계를 분석하여 바이오필릭 친환경 녹색학교의 유형을 도출하였다. 이어서 바이오필릭 디자인을 구현한 해외 교육시설의 사례를 분석하여 구체적인 바이오필릭 친환경 녹색학교의 특성과 요소를 도출하고 분석모형과 사례들을 제시하였다. 셋째, 친환경 녹색학교에서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스티븐 켈러트 바이오필릭 디자인상(Stephen R. Kellert Biophilic Design Award)을 수상한 5개 교육시설 사례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결론에 이른다. (결과) 바이오필릭 친환경 녹색학교의 공간 특성으로 기능적 바이오필릭 친환경 녹색학교 유형의 공간 특성에서는 생태적 회복 탄력성과 기후 환경의 적응성이 드러났다. 심리적 바이오필릭 친환경 녹색학교 유형의 공간 특성에서는 다감각적 자극성과 정서적 유도성이 나타났다. 구조적 바이오필릭 친환경 녹색학교 유형의 공간 특성에서는 유기형태의 침투성과 공간 체험의 매개성이 드러났다. (결론) 연구의 결론으로 바이오필릭 디자인은 자연 체험을 통해 건강하고 지속 가능한 학습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친환경 녹색학교 건설 목표를 달성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친환경 녹색학교에서 바이오필릭 디자인을 적용하는 것은 중요한 교육적, 생태적 가치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 KCI등재

        DFD (Design for Disassembly), Anti-Fashion, Energy Saving, Upgradability의 친환경디자인 방법론의 산업디자인 적용 및 전과정평가를 통한 친환경성 연구

        김영윤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6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0 No.2

        국제환경법규의 강화와 소비자의 인식변화로 인하여 친환경디자인 및 친환경제품에 대한 필요성이 급속도로 향상되고 있으나 산업디자인 분야에는 아직까지 친환경제품에 대한 혁신적인 발전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Lofthouse, 2006). 이는 친환경제품은 환경인증 같이 결과물에 대한 뚜렷한 정량적 인정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산업디자이너들의 전통적인 산업디자인 방법론으로 접근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환경무역장벽을 극복하고 환경인증제도를 만족시킬 수 있는 친환경디자인 방법론이 제품개발 프로세스에 융합적으로 적용되어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이익이 포함되는 친환경 디자인을 도출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공학개념의 친환경 디자인 방법론인 DfD(Design for Disassembly), Anti-Fashion, Energy Saving, Upgradability의 4가지 친환경 방법론은 제품디자인에 적용하고 이를 LCA(Lifecycle Assessment)로 분석하여 친환경디자인의 환경적 효율성을 알아보고 향후 친환경디자인 방법론이 산업에 적용되기 위한 다양한 접근방법을 연구를 통해 제안한다. 또한 4가지의 친환경 디자인 방법론의 습득에서 발생되는 난이도의 차이와 발생원인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i.산업디자인 측면에서 각각의 친환경디자인 접근방법의 습득난위도가 친밀도 뿐 아니라 기능성의 부각, 가시적 결과의 예측가능도로 인하여 달라질 수 있음을 도출하였고, ii. 향후 LCA와 같은 정량 분석방법의 디자인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e necessity of environmentally friendly design and developing eco friendly products have been increased as reinforcing the global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changing the recognition of consumers however it may difficult to find the innovative eco friendly product in particular industrial design field. Although there are various reasons but the biggest barrier can be that the eco friendly product requires quantitative evaluations to get the environmental certifications, which could not be applied to traditional industrial design area.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requirements to achieve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design. The author applied the eco design methods, DfD(Design for Disassembly), Anti-Fashion, Energy Saving and Upgradability that are originally in the environmental engineering to the product design process and quantitatively evaluated by LCA(Lifecycle Assessment). This may show us that how effectively work these methods in environmental perspective and will also define the difficulties each method. This research determines the reasons of various difficulties and difficulty gap in each method as well. This research showed how different of LCA results in that i. different difficulties of each method by similarities of expertise and the possibility of expectation result visually and also ii. suggested how impalement the quantitative methods in industrial design area for developing eco friendly product.

      • KCI등재

        친환경 패키지디자인에 대한 사례분석 및 인식에 관한 연구

        저우디(Zhou, Di),곽대영(Kwak, Dae Yo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는 기존 환경 문제를 고려하여 사회, 환경 및 소비자의 요구 사항을 이해하고 분석함으로써 그린패키지의 미래 동향을 예측하고 비전 제시를 목표로 한다. 친환경 패키지디자인을 통해 사람들이 자신의 생활에 대한 태도와 나쁜 습관을 점차 바꾸고 환경보호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본 연구는 친환경 패키지디자인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였다. 국내외 관련된 자료, 저서, 연구논문, 인터넷 자료를 바탕으로 조사하고 재정리하였다. 연구에서 Triple Bottom Line 모델과 친환경패키지의 계층적 등급을 적용해 평가방법을 활용하고 국내외 패키지 사례에 대한 분석과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친환경 패키지의 현황설정문제에 따라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요즘 많은 사람들이 주변의 환경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고, 친환경 패키지디자인은 필수적인 것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패키지 폐기물과 연관된 환경문제에 대한 영향도 크다. 현재 제품 패키지의 단점은 폐기물이 많이 발생하고 이용률이 낮다는 것이다. 폐기한 후에는 제대로 회수 및 분해할 수 없어서 환경을 해치고 있다. 그래서 제품 패키지는 최대한 단순해야 하며 너무 과한 디자인이어서는 안되는 것이다. 또한 수요층이 다른 사람들을 겨냥하고 개성적인 패키지 개발을 시도하며 패키지 수요에 따라 재료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게다가 친환경 재료를 많이 쓰게 되면, 특히 천연재료를 많이 이용하면 자원을 낭비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쉽게 재활용할 수 있다. 또한 재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 패키지의 심미성 및 실용성을 높일 수 있다. 패키지는 쓰고 버리는 것이 아니라 어떤 제품이나 간단한 분리 후에는 재조립을 통해 다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환경에 미칠 피해를 최대한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친환경 패키지디자인의 분석을 통해 디자인 해결안을 제시하였지만 향후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미래의 친환경 패키지디자인의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research aims to make a forecast of the future trend of green package through understanding and analyzing the demands of the society, environment and customers in view of the existing environmental problems. It is hoped that people can change their attitudes and bad living habits an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rotecting the environment through designing green package. Guided by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ecopackaging design, this research investigated and readjusted corresponding data both at home and aboard, books, papers and online information, analyzing and evacuating some packaging cases both at home and abroad through the Triple Bottom Line pattern and the hierarchical eco-environmental packages. Then, the online questionnaire is designed according to the current eco-environmental packaging situation. The result showed that more and more people in today pay close attention to the environmental issues and agree that the design of the green package is of necessary; particularly the damage from garbage to the environment should not be overlooked. Recently, the main deficit of product packaging is that there is plenty of garbage with low utilization rates and cannot be recycled properly for degradation which in return would destroy the environment. In this regard, product packaging should be as simple as possible. And sellers can develop a personalized package service for different costumers, reducing unnecessary materials, using environmental-friendly materials especially pure natural materials which are resource conservative and easily degradable. Besides, the improvement of the appearance and practicability of the packaging can certainly increase its’ usage rate. Therefore, that package can be used for decorations or reused through simple separations and recombination rather than being discarded as a way to minimize the damage to the environment. Through the analysi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packaging design, this study argues that: in addition to the proposal of design solutions, further related research is also needed.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help the futur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protection packaging design.

      • KCI등재

        음료 용기의 친환경 디자인 4R 전략과 적용 방안

        박채은,안혜신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2 조형디자인연구 Vol.25 No.4

        최근 환경문제에 대한 심각성을 인지함과 동시에 기업과 소비자의 환경문제에 대한 의식이 점차 높아짐에 따라 제품 분야마다 세부적인 친환경 디자인 전략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본 연구는 환경문제에 대한 기업과 디자이너의 윤리적 책임을 바탕으로 환경에 대한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음료 용기의 친환경 디자인 전략을 연구하고 이에 따른 세부적용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친환경 디자인과 음료 용기 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였고, 이를 필요에 맞게 재해석하여 친환경 음료 용기 디자인의 전략 '4R'을 제시하였다. 4R에 해당하는 절약(Reduce), 재사용(Reuse), 재활용(Recycle), 대체(Replacement)에 해당하는 분석 기준을 정의하여 이를 기준으로 사례연구로 7가지 친환경 음료 용기 디자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각 전략의 세부 적용 방법에 대한 가이드를 도출하였다. 절약(Reduce) 항목에서는 구조적인 디자인을 바탕으로 디자인 전 과정에서의 절약 요소들을 고려해야하며 재사용(Reuse)에서는 사용된 음료 용기를 재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재활용(Recycle)은 음료 용기의 친환경 디자인 실천 방법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분리 배출하기에 쉽도록 디자인하는 것을 포함하고 대체(Replacement)에서는 친환경 포장재로의 대체를 의미하며 매립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마련해야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친환경 용기 디자인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관련 기업의 디자인 개선 및 정부의 환경대책 발전에 대한 기여를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국내외 환경정책 및 기술동향 분석을 통한 친환경디자인의 접근체계 수립을 위한 연구

        김경희,최명식 경희대학교 예술디자인연구원 2010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13 No.1

        The changes in design paradigm in the 21st century has been altered into something which puts its importance upon governmental policies related to ecological designs, with the focus on eco-humanism for the mutual advancement of nature and commerce. For achieving those three eco-friendly management goals, there is a eco-friendly design direction. In this direction , we need to carry out Eco-friendly designing under eco-friendly management through eco-efficiency system operation which is for environmental sustainable development. Through realization of eco-friendly design access elements such as decreasing toxical substances, rising recycling possibility, increasing energy efficiency , decreasing material amount used and optimization of environmental emission, Executing elements of eco-friendly design will achieve our goals of eco-friendly management and design.

      • KCI등재

        제조업의 ESG 강화를 위한 ESG 기반 친환경 산업디자인 툴킷 제안

        손효인,정재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30 No.1

        ESG는 기업경영의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고 있으나아직까지 실질적이고 근본적인 변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기업의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한 제품과 서비스 및 전체 시스템의 본질적 개선을 위해서는 ESG 가치를 접목하는 산업디자인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본 연구는 제조업의 혁신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안으로서 ESG 평가 지표를 접목한 친환경 산업디자인 툴킷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먼저 제조업의 ESG 평가체계와 제조 프로세스별 ESG 평가 지표를 살펴보고, 친환경 디자인 전략과 디자인 툴킷에 대한 선행연구를조사하였다.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ESG 기반 친환경산업디자인 툴킷을 제작한 후, 산업디자이너 15명을대상으로 툴킷의 사용자 경험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ESG 기반 친환경 산업디자인 툴킷은1) ESG 친환경 현황분석, 2) 친환경 전략 8R 활용 아이디어 도출, 3) 아이디어 평가의 세 단계로 구성된다. 먼저 기업의 ESG 현황과 산업디자인 이슈를 파악하고, 이슈에 따라 8가지 친환경 전략을 활용하여 아이디어를 도출한 후, 고객 가치와 실현 가능성을 중심으로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ESG 기반 친환경 산업디자인 툴킷은 ESG의 구체적인 평가 지표에 맞춰 다양한 아이디어를 도출할 수 있도록돕는다. 본 연구는 ESG 평가 지표를 바탕으로 기업에서 활용가능한 친환경 산업디자인 툴킷을 제안하고검증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다양한 ESG 툴킷의개발과 활용을 통해 ESG 가치가 접목된 제품이 더욱적극적으로 개발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ESG has become a paradigm for corporate management, but no real and fundamental changes have yet occurred. In order to fundamentally improve products, services, and overall systems for sustainable management of companies, industrial design approaches that incorporate ESG values are needed. Accordingl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n eco-friendly industrial design toolkit incorporating ESG evaluation indicators as a way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First, we looked at the manufacturing industry’s ESG evaluation system and ESG evaluation indicators for each manufacturing process, and investigated prior research on eco-friendly design strategies and design toolkit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we developed an ESG-based eco-friendly industrial design toolkit and verified the user experience of the toolkit with 15 industrial designers. The ESG-based eco-friendly industrial design toolkit presented in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stages: ESG environmental status analysis, idea generation using 8R of eco-friendly design strategies, and idea evaluation. First, we identify the company’s ESG status and industrial design issues, derive ideas for the issues using eight eco-friendly strategies, and then determine priorities based on customer value and feasibility. The ESG-based eco-friendly industrial design toolkit proposed in this study helps generate various ideas in accordance with specific ESG evaluation indicato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proposed and verified an eco-friendly industrial design toolkit that can be used by companies based on ESG evaluation indicators. We hope that products incorporating ESG values can be developed more actively through the various ESG toolki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