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조직화 공간의 친환경적 가능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태권 ( Han Taekw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2

        (연구배경 및 목적) 공간과 환경에 대한 문제 인식에서 공간과 환경간의 관계적 다양성을 회복하기 위해서 용도에 따른 변화를 수용하고 개인과 사회, 내부와 외부가 상호교류 가능한 개방성을 갖는 열린 시스템으로서의 공간에 대한 디자인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자기조직화(Self-organization)’를 들 수 있다. 이렇게 자연의 자기조직화 원리를 이용해 공간을 구성하는 자기조직화 건축은 이미 많은 사례들이 있지만, 이러한 자기조직화 공간이 진정한 열린 시스템으로서 평가받기 위해서는 신진대사처럼 스스로 주변의 환경과 호흡하고 지속가능한 특성을 가져야 한다. 하지만 현재 지속가능성이라는 친환경적 측면에서 자기조직화 공간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고 그러다 보니 자기조직화 공간의 친환경적 특성에 대한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자기조직화 공간의 친환경적 특성을 평가함으로써 점차 불확정적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다양한 환경 문제가 유발되는 현실 상황 속에서 환경과 공간 간의 새로운 유기적 관계를 생성하는 자기조직화 공간의 친환경적 가능성을 평가해보는 대한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은 우선 2장에서는 자기조직화 공간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함께 친환경 공간디자인을 패시브 디자인 프로세스에 따라 해석해본다. 3장에서는 패시브 디자인 관점에서 친환경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분석 요소를 도출하여 분석틀을 마련한다. 4장에서는 3장에서 도출된 분석틀을 토대로 실제 자기조직화 공간 사례의 친환경적 가능성을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패시브 디자인 관점에서 자기조직화 공간이 공간에 살아있는 시스템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해 줄 수 있을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해본다. (결과) 일본현대건축 사례를 중심으로 자기조직화의 공간의 친환경적 특성 중 총 5가지의 패시브 디자인 항목으로 나누어 리커트 척도에 의해 분석해 본 결과, 환기, 채광, 완충 공간 등을 이용한 평면 및 공간에서의 패시브 디자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자기조직화 공간에서는 배치와 외피 계획을 통한 패시브 디자인은 많이 반영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현대건축의 자기조직화 공간에서의 친환경적 계획은 단열 등 온도 조절을 통한 에너지적 측면의 친환경적 계획보다는 공간간의 동적 개방을 통한 비선형적 상호작용으로 채광이나 환기 등 주변 환경과 피드백을 유도하는 친환경적인 계획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결론) 자기조직화 공간이 진정한 살아있는 시스템으로 평가받기 위해서는 신진대사처럼 스스로 주변의 환경과 호흡하고 지속 가능하다는 것을 특징으로 가져야 하는데, 여기서, 호흡이란 항상 움직이며, 그 움직임은 환경과의 대순환이라는 고리 안에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아직까지는 자기조직화 공간에서 이렇게 주변의 자연환경과 실제로 에너지를 자유롭게 교환하는 친환경적인 노력들이 눈에 띄게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는 자기조직화 공간의 친환경성이 높은 평가를 받기 어렵다고 생각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패시브 디자인적 노력이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order to recover the relational diversity between space and environment in the recognition of the problem of space and environment, architectural design attempts on space as open systems that can be exchanged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inside and outside. The representative design attempt is Self-organization. There are many examples of self-organizing architecture that makes space using nature's self-organizing principle, but in order for this self-organizing space to be evaluated as a truly open system, it must have its own breathing with environment and sustainable characteristics like metabolism. However, at present, there is no research on self-organizing space in the environmental aspect of sustainability. Therefore, the evaluation of the eco-friendly characteristics of self-organizing space has not been properly perform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co-friendly possibility of self-organizing space that create new organic relations between the environment and space in a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Method) First of all, in Chapter 2, self-organizing space is considered theoretically before analyzing according to the passive design. In Chapter 3, an analysis framework is prepared by deriving analytical elements to identify eco-friendly characteristics from a passive design perspective. In Chapter 4, I evaluates the eco-friendly characteristics of self-organizing space cases based on the analysis framework derived in Chapter 3 and suggests the implications of whether self-organizing spaces can present the eoc-friendly possibility of living systems from the perspective of passive design. (Results) The eco-friendly characteristics of the self-organized space were divided into five passive design items and analyzed by the Likert scale. As a result, space plan items in passive design by using natural ventilation, daylighting, and buffer space was the highest. On the other hand, envelope plan and greening plan items in passive design were not reflected much. Namely, the eco-friendly passive design in the self-organized space of modern architecture is to induce feedback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uch as daylighting or natural ventilation caused by non-linear interaction through dynamic opening between spaces, rather than to control energy by insulation. (Conclusions) Self-organized spaces must be characterized as breathing with their surroundings like metabolism in order to be evaluated as a true living system. Here, breathing is always moving, which means that the movement must be in a ring of great circulation with the environment. Since the eco-friendly design to freely exchange energy with the surrounding natural environment have not been conspicuous yet in the self-organized space, the eco-friendly possibility of the self-organized space is difficult to receive high evaluation. More passive design efforts are needed to compensate for this.

      • KCI등재

        패시브 디자인을 통한 중동지역 친환경 호텔 계획에 관한 연구

        한태권 ( Taekwon Ha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전 세계적으로 지속가능한 공간계획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중동지역 국가들 역시 오일에 의존한 에너지 과소비 공간에서 벗어나 전 세계적인 지속가능성에 대한 이슈에 주목하여 친환경 디자인에 관심을 갖고 친환경 인증을 의무화하는 등 지속가능한 개발을 추진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지속가능한 친환경적인 공간 디자인에서는 특히 자연의 환경을 활용하여 에너지 부하를 줄이고 동시에 쾌적한 공간 환경을 조성하는 패시브 디자인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패시브 디자인을 통해 중동지역의 기후에 순응하는 친환경적인 공간 계획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실제 중동지역의 친환경적인 호텔 계획을 통해 그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으로 첫째, 이론적 고찰로 친환경 패시브 디자인에 대한 개념과 중동지역에서의 패시브 디자인 방향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친환경 패시브 디자인에 대한 계획 방향의 근거를 마련한다. 둘째, 중동 국가 중 하나인 카타르 지역에 대상 부지를 정하고, 디자인 프로세스에 따라 디자인 단계별로 어떠한 친환경적인 기술이 반영되었는지 분석하고 이를 에코텍(Ecotect)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연구의 범위로는 패시브 디자인을 중심으로 2020년 월드컵을 계기로 많은 호텔이 계획되는 중인 카타르 지역을 대상으로 친환경적인 호텔 계획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결과) 첫째, 중동지역에서 재실자 쾌적성 및 에너지 사용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일사량에 대한 분석을 비롯해 온습도 분석과 강수량 분석, 최적향 분석과 음영분석, 그리고 주풍향 분석 등 환경 분석을 통해 친환경적인 호텔을 위한 패시브 디자인의 방향을 설정했다. 둘째, 열적부하를 줄여 에너지를 절감하고, 더위에 지친 여행객들에게 쾌적한 공간을 제공하여 실내외 공간에서 사막의 오아시스와 같은 특별한 체험을 할 수 있도록`플로팅 오아시스`라는 개념을 만들어 패시브 디자인 전략을 세우기 위한 가이드를 만들었다. 셋째, 셀프쉐이딩과 쿨루프에 의한 차양효과로 일사부하를 낮춰 냉방 에너지를 절감하고 이것이 자연스럽게 입면에 나타나도록 계획했다. 또한 자연환기 및 실내 수직 정원을 통해 실내공기질을 향상시켜 재실자 쾌적성을 향상시켜 친환경적인 호텔로 계획했다. (결론) 본 연구는 호텔의 에너지사용량 중 특히 중동지역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냉방부하를 줄여 에너지를 절감하는 패시브 디자인 전략을 통해 카타르 대상 부지에 친환경적인 호텔을 계획함으로써 활발하게 호텔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중동지역에서의 친환경 호텔 계획에 대한 하나의 지속가능한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해 줄수 있다는 데 연구의 의의를 둘 수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Sustainable space design is currently emphasized worldwide. Countries in the Middle East are paying attention to issues of sustainability and striving to promote sustainable development through eco-friendly design, requiring them to comply with sustainable certification. For sustainable space design, passive design is important to reduce the energy load and improve energy performance by utilizing the natural environment, thereby creating a comfortable milie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sustainable space design that conforms to the climate of the Middle East through passive design. To achieve this, we designed an eco-friendly hotel in the Middle East, and present the possibilities for its sustainability. (Method) As a study method, I first establish the basis of sustainable design by describing the concept and outlining the direction of passive design in the Middle East. Second, I propose spatial planning according to the design process. I describe climate analysis, the concept of passive design, application of passive design, and environmental effects. Furthermore, I verify the sustainability of spatial planning through an Ecotect simulation, which is an eco-friendly simulation tool. The scope of the study encompasses the direction of sustainable hotel design in Qatar, where many hotels are planned for the 2020 World Cup. (Results) First, I set the direction of passive design for sustainable hotel design through environmental analyses of solar radiation, temperature and humidity, rainfall, orientation, shading, and prevailing wind. Second, I develop guidelines for a passive design strategy. To this end, I create a “floating oasis,” which will save energy by reducing the thermal load and provide a comfortable space for tired travelers, namely a desert oasis in indoor and outdoor spaces. Third, I plan to reduce the solar radiation load through self-shading and a cool roof to save the energy required for cooling. This was naturally designed in the elevations. In addition, I design a sustainable hotel by planning natural ventilation and indoor vertical gardens to improve the quality of air indoors and occupants` comfort. (Conclusions) This study develops a passive design strategy that can reduce energy consumption by reducing the cooling load, which constitutes a large proportion of hotels` energy usage, especially in the Middle East.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presents a design direction for sustainable hotel design in the Middle East from a passive design strategy perspective.

      • KCI등재

        암스테르담 재생 호텔의 맥락적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장선아 ( Chang¸ Suna ),한태권 ( Han¸ Taekwon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7

        (연구배경 및 목적) 국제사회의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비즈니스와 관광을 위한 호텔산업의 급속한 발전을 가져왔다. 이러한 배경 아래 국내에서도 서울을 중심으로 호텔신축이 빠르게 증가하였지만, 대다수의 대형 브랜드 호텔은 획일화된 디자인과 정형화된 서비스공간으로 되어있어 도심 속의 역사적 장소성을 기대하고 찾은 해외 방문객들을 충분히 만족시키기에는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역사·문화자원 보존정책의 철저한 실행을 통해 전통적인 요소의 맥락적 디자인 특성들을 잘 살리면서 현대적인 요소들이 어우러지도록 잘 관리되어있는 도시 암스테르담의 사례를 통해서 지속 가능한 재생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및 범위) 연구 범위는 암스테르담 정부의 재생프로젝트로 유휴화된 지역의 역사적, 장소적 맥락성을 디자인에 반영하여 재생디자인 하여 복합문화 예술 단지로 주목받고 있는 De Hallen complex 지역과 NDSM Wharf 섬에 있는 호텔들을 선정하고 재생디자인 호텔에서 나타나는 맥락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첫째, 도시재생 및 역사적 관계성과 관련된 문헌과 참고서적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맥락적 특성의 기준을 제시한다. 둘째, 선행연구를 통한 재생디자인의 맥락적 관점을 중심으로 크게 시각적(형태적) 요소, 비시각적(의미적) 요소로 분리하여 각각의 요소에 특성들을 도출한다. 셋째, 선정된 건축물들이 가지고 있는 디자인 공간을 앞서 도출된 맥락적 요소들의 관점으로 특징을 분석틀과 함께 정리한다. 마지막으로 선정 건축물과 주변 환경들과의 관계를 고려한 장소적 지역적 특성들을 재생디자인 관점에서 재검토하여 유휴공간을 호텔로 재생 디자인할 때 맥락적 특성들을 활용하여 문화적, 예술적 가치를 높이는 방법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결과) 사례분석에 따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암스테르담의 새로운 문화지역으로 부상하고 있는 두 지역은 방치되고 있는 유휴공간을 장소가 가진 역사적 맥락성을 잘 활용하여 특성을 가진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재생 디자인함으로써 지역 경제의 회복과 활성화에 성공한 좋은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결론) 본 연구는 오랜 역사를 가진 도시들에서 증가하고 있는 재생 건축되는 호텔을 위한 디자인 방향을 제안함에 있어 맥락적 관점으로 도출한 디자인 특성들이 반영된 공간구성 예시를 활용하여 향후 노후화된 지역의 호텔산업의 재생디자인 방향과 더불어 복합문화공간과의 연계성을 통한 공간 계획의 기초연구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the impact of globalization and its active exchanges continue to increase, the hotel industry has developed for both business and leisure tourism. Due to this phenomenon, Seoul has experienced a surge in hotel construction. However, most big-name hotel brands have homogenous designs and standardized services, thereby creating challenges for foreign visitors who wish to experience the cultural history of a city through the design of the hotel space.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direction of sustainable renewable design in Amsterdam, a city that successfully harmonizes modern elements while still making good use of its traditional elements by implementing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 preservation policies. (Method) This study reflects the historical and spatial context of the idle area that was used in the Amsterdam government's regeneration project for the design and selection of the De Hallen complex and NDSM Wharf Island hotels; these spaces are now attracting attention as complex cultural and artistic complexes, and deriving contextual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regenerative design hotels. For the research, literature and reference books related to urban regeneration and historical relationships are first theoretically reviewed, and the criteria for contextual characteristics are presented. Second, through precedent research that focused on the contextual perspective of regenerative design, characteristics are derived from each element by largely dividing them into visual (physical) and non-visual (meaningful) elements. Third, the design space of the selected buildings is organized along with the analysis fram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textual elements. Lastly, by considering the relation of the given space and its environmental / regional features, the study re-examines the important contextual characteristics that can increase the cultural and artistic value of spaces through the process of regenerative design.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ase analysis, the two regions emerging as new cultural areas in Amsterdam are a good example of a successful recovery and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by redesigning neglected idle spaces into spaces that provide new experiences with characteristics by utilizing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place. (Conclusions) This study proposes design directions for hotels that are being regenerated and constructed in historical cities. We hope that using examples of design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a contextual point of view will inform basic research on spatial planning through its connection with the complex cultural space.

      • KCI등재

        링난(嶺南) 지역 박물관에서 나타나는 지역주의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 비판적 지역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

        배종정 ( Pei Congjing ),한태권 ( Han Taekwon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6

        (연구배경 및 목적) 박물관은 전형적인 건축 유형으로서 중요한 문화건축으로 자리 잡게 되었으며, 도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배경을 전제로 하는 박물관은 현지의 지역성과의 연관성을 중요시하고 지역과 자연환경, 문화적 전통 등을 고려하여 기술과 예술을 유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링난지역 대표 박물관을 사례로 현대문화 건축의 특징을 결합하여 링난지역 박물관의 공간계획을 연구하고자 한다. 비판적 지역주의의 관점에서 출발하여 링난지역 박물관의 공간계획을 분석하여 링난지역 박물관의 건축의 공간적 특성과 건축배경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지역주의 관점을 기반으로 링난지역 당대 박물관 건축에 대해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절차를 보면 첫째, 문헌자료 및 선행연구에 대한 분석을 통해 케네스 프램프튼(Kenneth Frampton)이 제시한 지역주의 관점을 받아들여 건축 디자인에 필요한 분석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링난 박물관의 유형에 대해 분류하고 마지막으로 비판적 지역주의 관점에 근거하여 링난지역 박물관의 지역주의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링난지역 박물관을 대상으로 주로 건축의 개방성, 장소성, 구축성, 감각성 네 가지 특징을 통해 링난지역 박물관 공간계획의 지역주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링난 박물관은 건축기술과 지역적 요소를 사용함에 있어 개방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 링난지역 박물관의 장소성은 주로 거리와 방향, 위치와 같은 공간 구성요소를 통해 표현하였다. 링난지역 박물관의 구축성은 자연기후와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어서 다양한 감각 체험을 통해 전시 공간을 관람할 수 있다. (결론) 링난지역 박물관의 공간디자인은 지역 전통문화의 계승, 간소화, 재창조를 거쳐 구축되었다. 기후조건과 지형 등 자연환경을 고려하여 건축 구조를 만들고 건축자재를 선택하여 건축 특징을 살렸다. 박물관은 광부의 건축적 특색을 살려 크고 독특한 건축양식으로 그 지역에 강한 지역성을 형성하였다. 세계화라는 사회적 배경 아래 서양 모더니즘 문화에 강한 충격을 받은 지역들이 많은데, 찬란한 문화 역사를 지닌 링난지역은 동질화되지 않기 위해 노력해왔다. 이러한 배경에는 전통적이고 시대적인 특성이 있는 링난건축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museum has become an important cultural architecture as a typical architecture type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city. Museums, premised on such background, emphasized the association with the locality of the region and can combine the technology and art systematically by taking the regional and natural environment, cultural tradition, etc., into consideration.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spatial planning of the museums in Lingnan Region through a combin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cultural architecture based on the analysis of actual cases of the most typical museums in Lingnan Region. Starting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al localism, the goal is to analyze the spatial plan of the museum in Lingnan region to understan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architectural background. (Method) This study analyzed the museum architecture of Tang Dynasty in Lingnan Region comprehensively based on the perspective of regionalism. For the process of this study, first, the analytical key words necessary for architectural design were derived by adopting the 'perspective of regionalism' presented by Kenneth Frampton through analysis of literatures and preceding studies. Then, the types of the museums in Lingnan Region were classified, and finally,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ism, manifested by the museums in Lingnan Region, were analyzed based on the perspective of critical regionalism.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ism, revealed by the spatial planning of the museums in Lingnan Region, were analyzed by focusing primarily on the 4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e, i.e., the openness, place, Tectonic, and sense in the museums in Lingnan Region. (Results) The Museums in Lingnan Region exhibited an open-minded attitude towards the use of architectural technology and regional elements. The place characteristics of the museums in Lingnan Region were expressed mainly through the spatial configuration elements such as distance, direction, and position. The Tetonic of the museums in Lingnan Region was formed in a structure that could blend harmoniously with the natural climate, allowing the visitors to view the exhibition space through various sensory experiences. (Conclusion) The spatial design of the museums in Lingnan Region was formed through inheritance of local traditional culture, simplicity, and re-creation. The architectural structure was created by taking the natural environment, such as climate conditions and geography, into consideration, and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were brought out by selection of the building materials. The museums formed strong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based on grand and unique architectural mode, highlighting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miners. Many regions were heavily impacted by the Western modernism culture against the social background of globalization, and the Lingnan Region with splendid culture and history has strived to avoid assimilation. For such background, the Lingnan architecture, which retains traditional and historical characteristics, played a significant role.

      • KCI등재

        소주박물관의 공간계획에서 나타나는 지역주의적 특성에 관한 연구

        배종정 ( Pei Congjing ),한태권 ( Han Taekwon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8

        (연구배경 및 목적)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적으로 각 방면의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국가, 사회집단, 개인 사이의 관계가 더욱 자유로워졌다. 특히 정보교류가 활발해지고 교통수단이 현대화되면서 다양한 문화와 의식, 세계관이 서로 침투하고 융합되었다. 이처럼 끊임없는 교류와 통합으로 인해 세계 건축 문화는 서로 영향을 미치게 되었으며, 중국의 북방 도시와 남방 도시의 박물관 건축의 외관, 내부 기능, 공간 구성도 점차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고, 디자인 기법, 재료, 구조, 시공 기술 그리고 건축 형태에 있어서도 동질화 경향을 띠고 있다. 이러한 문화의 동질화 경향은 주로 문화의 물질적 측면에서 나타나며, 의식적 측면에서 세계 문화는 여전히 다양한 문화적 특색을 띤다. 역사 전통, 풍습 관념, 가치 관념 등의 영향으로 인해 각 민족 각 지역마다 자신들만의 독특한 건축 문화를 더욱 중요시하고 발전시키고 있다. 따라서 세계 문화가 갈수록 동일해지는 상황 하에서 본 논문은 지역주의 관점에서 소주박물관을 사례로 소주박물관의 공간계획에서 나타나는 지역주의적 특성에 관한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연구방법) 먼저 선행연구를 토대로 건축의 지역성과 관련된 개념 및 박물관 디자인을 분석한다. 다음으로 소주박물관을 대상으로 총 5개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는데, 구체적으로 소주박물관 건축디자인의 공간구성, 공간척도, 건물의 소재, 빛 및 색채, 건축의 기호를 포함한 지역주의적 특성을 연구한다. 소주 지역의 지역주의적 관점에서 현지의 자연과 문화 요소를 살펴보고, 현지의 고건축물의 특징을 연구하고 소주박물관 공간계획의 지역주의 특성 분석한다. (결과) 본 연구는 우선 소주박물관이 있는 지역의 자연과 문화적 배경 요소를 토대로 소주박물관 건물의 지역적 특성을 분석 연구했다. 또 소주박물관 건축현황에 대한 현장조사와 분석을 통해 이 박물관 공간계획에서 나타나는 지역주의적 특성을 모색했다. 요약하면 공간계획과 디자인에서 가장 먼저 고려하는 것은 건축과 지역환경의 융합이다. 공간의 척도는 주변 건물들에 호응하여 박물관이 도시 안에 잘 융합되어 가고 있다. 건축 이미지의 지역주의적 특징이 뚜렷하며 쉽게 식별할 수 있다. 현재 문화 건축 중에는 여전히 현지 전통 건축 이미지로 나타나고 있지만 전통 건축의 디자인에 의존하지 않는 건축물도 많다. 또한 건축의 전통기호는 시대의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건축의 역사적 의미, 문화적 가치를 나타낼 수 있고, 이러한 건축 전통 기호는 현대 건축에서도 충분히 참고할 수 있다. (결론) 점차 동질화되어가는 상황 속에서 박물관의 지역적 문화 특색을 추구하고 천편일률적인 건축방식을 개선하여 박물관의 미적 수준을 향상하여 관중들의 미적 수요를 충족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 도시의 문화적 특색을 보존하는 동시에 박물관의 지역특색을 부각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한다. 나아가 지역문화의 정수(精髓)를 찾아내고 시대의 흐름에 따라 현대와 전통, 지역문화와 세계문화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지역성과 시대성을 반영한 박물관 공간건축의 방법을 탐구하고자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After the Second World War, with active information sharing and the modernization of transportation networks, various cultures, ideas, and worldviews have been penetrated and merged, reinforced by current global architectural culture’s mutual influence. Thus, external and internal functions, as well as the spatial composition, of museum buildings in northern and southern Chinese cities have similar patterns, design techniques, materials, and structures, and their construction techniques and architectural forms tend to be consistent. However, global culture still has various cultural characteristics. Due to the influence of historical traditions, customs, and values, each region of each nation has paid more attention to and developed its own unique architectural culture. Therefore, as global culture is becoming increasingly similar, this thesis aims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ism in the spatial planning of the Suzhou Museum from the perspective of regionalism. (Method) First, based on advanced research, we analyze the concept and museum design related to the regionality of the building. Then, we take the Suzhou Museum as the object and divide it into five parts for analysis: the space layout, scale, materials, light and color, an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symbols. Next, we examine the local natural and cultural ele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regionalism in Suzhou,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ancient buildings, and analyze the regionalism characteristics of the museum’s space planning. (Results) This research analyzes and studies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uzhou Museum buildings based on the natural and cultural background factors in Suzhou. Additionally, through field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status of the Suzhou Museum,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its space planning are discussed. In summary, in spatial planning and design, the first thing to consider is the integration of the building and the regional environment. The spatial scale and the surrounding buildings are in harmony. The regionalism of the building image is easy to identify. Moreover, traditional architectural symbols have characteristics of that period, which can reflect the buildings’ historical significance and cultural values. These architectural traditional symbols are also referenced in modern architecture. (Conclusions) Under the context of buildings gradually converging, it is imperative to pursue the regional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museum as well as improve its architectural design and aesthetic level. Therefore, this research hopes to construct a plan that highlights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museum while retaining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ity. Then, we try to find out the essence of regional culture, conduct a systematic analysis of modernity and tradition, regional culture, and global culture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 and explore ways to reflect regional and contemporary museum space architecture.

      • KCI등재

        백화점 공용 공간의 사용자 경험(UX) 디자인 특성 연구 -MZ 세대 소비자 평가를 중심으로-

        홍기훈 ( Hong Kihun ),한태권 ( Han Taekwon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8

        (연구배경 및 목적) 산업 사회로부터 정보화 사회로 이행함에 따라, 공간 디자인의 패러다임도 변화되었다. 과거의 공간 디자인은 유형의 디자인 요소와 시각적 디자인에 집중하였다면, 최근의 공간 디자인은 공간의 사용성, 기능성, 편의성, 친환경성 등을 진작하고, 사용자들의 정서적 안정감, 행복감, 만족감을 지각시키는 무형의 디자인 요소 및 디자인과 인간의 연결·조화 등을 더욱 중시하는 경향을 보여준다(Lee, 2017). 이를 고려하면, 현재와 미래의 백화점 공용 공간은 사용자들의 개별적·개성적 니즈(needs)와 취향, 기대에 부응하면서 뜻깊은 체험과 추억을 제공하는 동시에, 인간과 공간 간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과 상호 작용이 진행되는 감성적, 정서적 장소로 진화되어야 한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와 흐름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사용자들의 니즈와 감성을 맞춤형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UX) 중심의 백화점 공간 디자인’이 요구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백화점 공용 공간의 사용자 경험 중심 디자인 특성’을 도출하고, 그에 대한 ‘MZ 세대’ 사용자들의 평가와 반응을 문헌 고찰, 현장 조사, 설문 조사의 혼합 연구 방식을 활용하여 조사·분석하였다. 첫째, 백화점 공용 공간의 의미, 기능, 특징, UX 디자인의 개념과 특징 등에 대한 문헌 고찰을 수행하였다. 둘째, 서울 소재 G백화점 명품관을 대상으로 공간 디자인 사례 조사를 진행하였다. 셋째, 백화점 공용 공간의 UX 디자인 특성과 세부 요인들을 도출하고, MZ 세대 사용자 대상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고찰을 통해, 백화점 공용공간의 UX 디자인 특성 요인으로서 연상성, 역동성, 이벤트성, 감각 자극성, 상호 작용성의 5개 요인을 도출하였다. 사용자 경험 디자인이 적용된 백화점 공용 공간은 백화점 이용 과정 및 백화점 내에서 진행되는 각종 활동, 행위들에 대한 긍정적인 기억과 감성 체험 등을 연상하도록 유도하고(연상성), 소비자들의 능동적, 자율적 활동과 필수적, 선택적 행동들을 사용자 친화적으로 수용하고 피드백하며(역동성), 다양한 유희적, 감각적 자극이나 특별 활동, 다채로운 행사들을 체험·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이벤트성), 사용자들의 오감을 자극하여 직접적·입체적 체험과 참여, 각종 활동을 촉진하며(감각 자극성), 이를 토대로 공간과 인간 사용자 간의 긴밀한 교류, 공감, 커뮤니케이션 등을 보장하고 지원할 수 있다(상호 작용성). 둘째, MZ 세대 소비자들에 대한 설문 조사 분석 결과, MZ 세대 소비자들은 백화점 공용 공간의 UX 디자인 특성에 대해 감각 자극성 > 역동성 > 상호 작용성> 연상성 > 이벤트성의 순서로 의미 있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 같은 결과를 토대로, 감각적, 감성적인 젊은 세대 소비자들의 체험과 기억, 공간과의 교감, 상호 작용 등을 질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그들의 섬세하고 능동적인 심리, 행동, 니즈, 기대 등을 선제적, 진보적, 개방적으로 반영·수용하고 피드백함으로써, 그들의 향상된 체험과 감성적, 정서적 만족을 적극 유도·촉진하는 미래 지향적 공간 경험 디자인 전략을 개발·모색할 당위성, 필요성을 최종 확인하였다. 이 같은 본 연구의 결과가 사용자 경험을 심도 있게 반영한 사용자 친화적, 사용자 중심적인 백화점 공용 공간을 구성하고 디자인하는 데 도움이 되는 유효한 이론적, 실무적 지침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The paradigm of space design has changed recently as the industrial society has switched to the information society. Whereas space design in the past focused on tangible design elements and visual design, recent space design promotes usability, functionality, convenience, and eco-friendliness of space, giving more importance to intangible design elements that perceive the emotional stability, happiness, and user satisfaction. Considering this, the common spaces of department stores require meaningful experiences and memories that conform to individual needs, tastes, and expectations of users, while simultaneously providing space for smooth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between humans and spaces. To actively respond to these demands and trends of the times, 'UX(User eXperience)-centered department store space design' capable of meeting the needs and sensibility of more users is required. (Method) This study derived UX-oriented design characteristics of public spaces in department stores' and analyzed the evaluation and reaction of MZ generation users using a mixed research method of literature review, field research, and survey. First,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on the meaning, func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UX design of public spaces. Second, a spatial design case study was conducted on the luxury hall of a G-department store in Seoul. Third, the UX design characteristics and sub-factors of public spaces were deriv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for users of the MZ generation. (Resul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ssociation, dynamism, event, sensory stimulation, and interactivity were derived as UX design characteristic factors. User experience design improves and enhances users' emotional experience, self-directed experience, unique value perception, sensory pleasure, and emotional well-being as a whole through smooth communication, connection, interaction, and sympathy between the environment and users. Based on thi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shopping satisfaction and improve brand preference and affinity for department stores. Second, to confirm the meaningful value and useful functions of UX design characteristics,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MZ generation consumers who actively pursue emotional and individual consumption and their own value experiences. The analysis showed that consumers in the MZ generation perceived the UX design characteristics of department store public spaces meaningfully in the order of sensory stimulation > dynamism > interactivity > associativity > event, but the degree of perception was rather lukewarm. (Conclusion) A future-oriented space experience design strategy that actively promotes improved experiences and satisfaction was develope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valid theoretical and practical guidelines to help construct and design user-friendly, user-centred department store public spaces.

      • KCI등재

        아동의 독립적 이동성 확보를 위한 커뮤니티 거리환경 특성에 관한 연구

        천타오 ( Chen Tao ),한태권 ( Han Taekw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5

        (연구배경 및 목적) 아동은 도시에서 가장 중요한 주거 집단 중 하나이다. 점점 더 많은 국가, 지방자치단체, 사회가 아동권리 협약에서 아동 우선주의 원칙을 채택하고 있다. 1996년, 제2차 유엔 인간 정착 회의는 도시계획에 아동의 근본적인 요구를 포함시키자고 제안하면서, 아동 친화적 도시를 건설하기 위한 계획을 제안했다. 2015년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는 아동이 거리를 독립적이고 안전하게 걷고, 친구들과 자유롭게 만나고, 놀 수 있다는 정의를 명확하게 하고, 아동의 일상 활동을 위한 기본 공간 단위로서 공동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러므로, 아동 친화적 커뮤니티 거리는 아동 친화적 도시를 건설하는데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론을 바탕으로 아동에 적합한 독립적 활동공간의 특성을 도출하고 이를 국외 커뮤니티 거리의 우수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검증해 봄으로써 아동친화적 도시의 건설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첫째, 문헌 분석으로 커뮤니티 거리에서 아동의 독립적 이동성과 관련된 문헌을 요약하고 분석한다. 커뮤니티 거리환경에서 아동의 독립적 이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는 사전 조사와 분석을 통해 도출된다. 둘째, 사례분석방법은 아동의 독립적 이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바탕으로 8건의 해외 사례를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본 논문은 이론적으로 아동의 자립 활동의 거리환경을 보완하고, 아동 거리환경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며, 아동 친화적인 도시 건설을 위한 제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결과) 8가지 사례 분석을 통해 첫째, 아동의 독립적 이동에 적합한 커뮤니티 거리환경을 만들기 위해 거리환경요소가 가장 많이 나타나는 요소는 안전성 요소, 접근성 요소, 흥미 유발요소, 그다음으로는 편안함 요소, 자연성 요소, 상호성 요소이다. 둘째, 커뮤니티 거리는 아동만 다니는 공간이 아니라 아동의 사회접근을 위한 중요한 통로이자 학습장소이기도 하며, 아동의 독립적 이동성에 적합한 커뮤니티의 거리환경은 아동이 안전하게 스스로 커뮤니티를 탐색하고, 이웃의 파트너와 만나 놀며, 충분히 접하고 사회실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하며, 길가에서 아동을 위해 사회 접촉, 관찰 학습, 실천과 상호작용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커뮤니티 거리에서의 아동의 독립적 이동성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첫째, 커뮤니티 거리는 공간적 성격상 아동의 권익이어야 하며, 둘째, 아동의 독립적 이동성에 적합한 커뮤니티 거리는 아동의 생존권, 발전권을 충분히 구현해야 하므로 커뮤니티 거리공간 체계는 아동의 필요에 맞게 재편되어야 하며, 셋째, 아동의 참여가 관건이자 참여의 질적 보증이며, 이러한 학습의 기회는 교실, 학교 등의 실내공간이 아니라 커뮤니티 거리공간으로 펼쳐져 아동들이 오락 활동을 누리면 서 지식을 습득하게 해야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Children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residential groups in cities. The ‘children’s best interests first principle‘ in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has been recognized by more and more countries, local governments and society. In 1996, the Second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Human Settlements put forward the initiative of building ‘child-friendly cities‘, suggesting that the fundamental needs of children should be incorporated into urban planning and construction. In 2015, the United Nation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clearly stated that children can be ‘Walk independently on the street safely, freely meet and play with friends‘ is the core planning goal of a child-friendly city, and has repeatedl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community as the basic spatial unit of children‘s daily activities in building a child-friendly city.It can be seen that child-friendly community streets are an important part of building a child-friendly c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direction for the construction of a child-friendly city by deriving the characteristics of an independent activity space suitable for children based on theory and verifying them through analysis of best practices on foreign community streets. (Method) The research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review the literature related to children‘s independent activities, and conduct summary and analysis. Secondly, through preliminary research and analysis, it is concluded that the community street environment is a key element in affecting children‘s independent activities, and in-depth research is conducte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ments for case analysis. Third, evaluate the four characteristics of street environmental factors, and propose a framework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factors. Finally, the author tries to re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street places in urban commun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ren‘s independent activities, and finally provide a theoretical reference for the establishment of children-friendly cities in China. (Results) First, the most common elements of a distance environment are safety factors, accessibility factors, interest factors, and then comfort factors, natural factors, and reciprocity factors to create a community distance environment suitable for children's independent activities. Second, community streets are not only children's places, but also important ways and learning places for children's social access, and street environments suitable for children's independent mobility should help children explore the community, play with neighboring partners, and engage in social practice. (Conclusions) To promote children's independent mobility on community streets, first, children's rights and interests should be protected in the space of the community streets, second, community distance should be adapted to children's needs, third, children's participation is the key and quality assurance.

      • KCI등재

        한국과 일본 전통 창호의 현대적 공간 적용에 관한 연구

        다나카미카 ( Mika Tanaka ),한태권 ( Taekwon Han ),김주연 ( Jooyun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2

        (연구배경 및 목적) 전통 주거 공간은 사람이 사는 곳이며 그 시대의 사람들의 삶에 맞는 양식으로 발달해 왔다. 집을 구성하는 요소 중에서도 창호는 건축물의 내·외관적 중요 요소 중 하나이고 시대의 흐름에 따른 특성을 가진다. 전통 창호의 공간 특성은 현대에도 계승되고 있으나, 한국과 일본의 전통 창호들의 특성이 현대 공간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비교 연구함으로써 한국과 일본 공간 디자인의 특성에 대해 도출하고 분석하는 데 본 논문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를 통해 전통 창호의 개념과 역사, 한국과 일본 각 나라의 전통 창호에 대한 특성, 공간과의 관계성을 정리하여 비교 분석한 다음, 한국과 일본의 전통 창호의 공간 특성을 도출하여 현대적 공간에서 볼 수 있는 전통 창호의 적용 유형에 따라 분석한다. 적용 유형은 크게 창호, 가구, 장식 등의 사용법을 볼 수 있었으나, 많은 현대적 공간 중 이러한 전통 창호의 요소가 현대적으로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는 카페 공간을 중심으로 사례를 선정하여 공간 특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사례 분석 결과, 한국과 일본 모두 가변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통적 공간 연출의 요소인 정서성과 조형성은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통의 계승이 중요한 면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계성은 한국보다 일본의 사례가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용 유형으로는 한국이 일본보다 더 다양한 유형으로 전통 창호를 적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사례분석을 통해서 한국과 일본 모두 전통적 공간 연출 요소라 할 수 있는 정서성과 조형성이 강조된 사례가 많았고 반면 가변성이 떨어지는 사례가 많았다. 이는 현대적용 사례에서 전통을 계승하면서 현대 생활양식에 맞게 전통 창호를 활용하고 있다고 판단되며, 한국에서는 주로 공간디자인 요소로써, 일본에서는 주로 창호로써 현대적으로 적용되고 있다고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전통 창호를 가지고 공간 특성을 정서성, 조형성, 가변성, 연계성의 4가지 요소로 카페 공간에 한정하여 연구하였고 이를 통해 각 나라의 공간 디자인의 특성을 엿볼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연구의 범위를 좀 더 확대하여 비교 분석을 통하여 두 나라의 더 많은 특성을 도출하여 한국과 일본의 공간 디자인 특성 비교 분석을 지속적으로 진행할 필요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Traditional housing spaces are spaces where people live and where they have developed based on the lifestyle of the people of the age. Among housing elements, windows are significant elements of interior and exterior structures, and they have uniqu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rends of the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Japanese space design through a comparative study on how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and Japanese windows are applied in modern spaces. (Method) First,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the concept and the history of traditional wind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windows of Korea and Japan, and their relevance with the space by reviewing books, theses, and so on. Second, through the aforementioned comparative analysis, four types of analysis elements, namely, emotionality, formativeness, connectivity, and variability, with regard to the traditional windows of Korea and Japan were derived. Third, several applications of traditional windows that can be seen in modern spaces, furniture, interiors, and decorations were found, and this study analyzed cafe spaces, which have used the abovementioned applications, based on the previously suggested spatial characteristics. (Results) According to the case analysis, both Korea and Japan had low variability. On the other hand, emotionality and formativeness were found to be high, which means that tradition has persisted. Regarding connectivity, the cases from Japan showed higher connectivity than those from Korea. In addition, with respect to applications, Korea applied traditional windows in more various forms than Japan. (Conclusion) Based on the case analysis, both Korea and Japan use traditional windows according to modern lifestyles while succeeding in maintaining tradition in modern application cases. Furthermore, traditional windows are used for interior design in Korea and for windows and doors in Japan. This study looked into the spac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windows of Korea and Japan. Howev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countries differed when cafe spaces were analyzed based on emotionality, formativeness, variability, and connectivity. In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continu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design between Korea and Japan by examining more characteristics of the two countrie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and expanding the scope of the research.

      • KCI등재

        상하이 둥와이탄의 산업유산 재생에서 나타나는 지역주의적 특성에 관한 연구

        샤중쥔 ( Xia Zhongjun ),한태권 ( Han Taekw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5

        (연구배경 및 목적) 상하이(上海)는 중국 근대 공업의 요람으로서 중국 공업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양푸구(楊浦區) 정부는 2010년 상하이 엑스포가 끝나고 나서 황푸구(黄浦區)의 빈강(濱江) 공업 재생이 성공함에 따라 동와이탄 공업 지역에 대한 계획에 착수했다. 본 연구는 상하이 둥와이탄 (東外灘)의 공공 공간에서 산업 유산이 재생되는 사례를 지역주의적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향후 산업 유산 재생 설계 시 지역주의가 어떻게 반영되어야 할지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재생의 관점에서 산업유산의 적절한 보존과 개발을 도모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상하이 둥와이탄 공공공간의 상하이 조선소 공원, 상하이 수돗물 과학기술관, 상하이 동방어인부두, 상하이 빈강 창의산업원, 상하이 발전소 유적공원, 상하이 국제패션센터 등 산업유산의 재생설계를 사례연구 범위로 하여, 지역주의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지역주의 특성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상하이 둥와이탄의 공공 공간 중 상해조선소공원, 상해상수도과학기술관, 상해동방어인부두, 상해빈강창의산업단지, 상해 전기공장 유적공원, 상해국제패션센터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상하이 둥와이탄 공공 공간의 산업유산 재생 지역주의의 특성 분석을 통해서 비록 이러한 산업유산의 재생을 다른 설계사무소에서 설계하고 설계자의 관점도 다르지만, 공간의 재생을 위해 설계를 구상과 표현하는 과정에서 지역주의적 특성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즉 이러한 산업유산의 재생이 지속가능성을 갖고 성공적인 재생이 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지역주의적 논리나 특성이 반드시 반영되어야 한다는 점을 본 사례 분석을 통해 파악할 수 있었다. (결론) 상하이 둥와이탄 산업유산 재생사례의 내적 법칙을 통해서 이런 산업유산들은 원 유산을 충분히 존중하고 장소 특성을 존중하고 장소의 지역 맥과 현장 보존한 역사기억을 충분히 활용하여 지역주의에 힘입어 기본 원리를 비판성, 창조성 개발을 걸쳐 결국은 사람들에게 강렬한 지역 특색과 개방성, 다원화, 사랑받는 도시 공공 여가 공간을 만들어 냈다. 이러한 상해 둥와이탄의 산업유산에 대한 재생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첫째, 지역주의는 산업유산 재생의 성공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지역주의 이론은 지역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것으로 정지할 수 없고 단편적인 시각으로 디자인을 대할 수 없다. 둘째, 지역주의의 특성에 근거한 산업유산의 재생은 산업유산의 재생 방향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재생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지역주의 특성의 함양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산업유산의 재생과정에서 현장 환경과 결부하여 충분히 표현함으로써 산업유산의 재생 방향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산업유산의 재생효율을 높여 최적의 재생 효과를 거둘 수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Shanghai is a cradle of modern Chinese industry, contributing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Chinese industry. After the 2010 Shanghai Expo ended, the Yangpu District government launched a plan for the East Bund Industrial Area after the successful regeneration of the Bin River industry in Huangpu District. At the end of 2019, at the World Architecture Festival, known as the 'Oscar' in the architectural world, the pilot section of the Dongwetan Binjiang Public Space in Yangpo-gu, Shanghai won the 'Urban Landscape Category Award' and 'Scenery of the Year Award of the Year.' The focus of the award is to establish the design concept with industrial inheritance as the core, innovate the design method and means, fully respect the original ecological environment and architectural context, and renew the cultural value of industrial heritage in the present societ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ase of industrial heritage regeneration in public spaces in East Bund, Shanghai, to provide direction on how localism should be reflected in future industrial heritage regeneration design, and to promote proper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of industrial heritage in terms of regeneration. (Method) Based on localist theoretical studies, Shanghai Shipyard Park, Shanghai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Museum, Shanghai East Fish Wharf, Shanghai Bin River Creative Industrial Center, Shanghai Electricity Plant Analysis Park, Shanghai International Fashion Center, Shanghai Dongwaitan Public Space. (Result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heritage regeneration regionalism in Shanghai's East Bund public space, localistic characteristics appear strongly in the process of designing and expressing designs for space regeneration, although other design offices design and designers' perspectives differ. In other words, this case analysis showed that in order for regeneration of such industrial heritage to be sustainable and successful, such localistic logic or characteristics must be reflected. (Conclusions) Through the inner law of Shanghai East Bund Industrial Heritage Regeneration, these industrial heritage sites respect the original heritage, respect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and utilize the historical memory of the site, eventually create strong regional characteristics, openness, pluralization, and beloved urban public leisure. First, localism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success of industrial heritage regeneration, and localism theory cannot be stopped for local sustainability and cannot be treated with a fragmentary perspective. Second, the regeneration of industrial heritag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ism can accurately identify the regeneration direction of industrial heritage, increase the efficiency of regeneration, and fully express the cultivation of industrial heritage.

      • KCI등재

        안전체험관에서 체험전시유형에 따른 관람객 만족도에 관한 연구 -상하이 및 베이징 안전체험관을 중심으로-

        탕판시 ( Tang Fanxi ),한태권 ( Han Taekw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5

        (연구배경 및 목적) 2020년 초에 시작된 코로나 사태(COVID-19)는 국민의 불안을 가중시켰고, 이와 함께 재난대응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안전 체험은 재난과 안전사고의 위험을 경험함으로써 재난과 안전사고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이로써 안전지식과 기능적 시설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각종 재해, 안전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위기 상황 발생 시 생존능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는 인식이 중국에서 확산되었고, 반복적인 실천과 체험을 통한 안전교육의 중요성이 고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상하이 안전체험관과 베이징 안전체험관을 대상으로 안전체험관의 체험전시유형이 관람객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안전체험관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3장에서는 2장에서 도출된 전시내용 및 체험유형요소를 토대로 상하이 안전체험관, 베이징 안전체험관의 체험전시유형을 분석한다. 4장에서는 4장의 분석을 통해 도출한 체험전시유형을 토대로 전시체험유형에 따라 나타나는 관람객의 만족도를 분석한다. 5장은 본 연구가 안전체험관에 활용될 수 있는 분석 방법 중 하나라는 결론을 통해 제시한다. (결과) 관객 만족도가 높은 전시 내용은 위생 재해, 화재, 인지 재해 등이다. 관람객의 직접 체험에 대한 만족도는 간접 체험보다 높다. 직접 체험 중 시연 전시, 참여식, 현장 체험형 전시 전시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간접체험에서는 특수영상전시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결론) 관람객의 만족도 측면에서 본다면, 향후 안전체험관 디자인에 직접적 체험방식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직접 체험전시방식 중 현장체험형 전시의 만족도가 높았고, 간접 체험전시방식 중에는 특수영상 전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접 체험 전시 유형을 안전체험관에 적용해 비현실적인 세계를 표현함으로써 보다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장소로 사용자들의 감성을 자극하고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관람객들이 현실의 재난에 대해 더욱 깊이 느낄 수 있게 되어, 그래서 사상에 있어서 중시하고 더 열심히 피난방법을 배울 수 있을 것으로 전시유형별 만족도 조사를 통해 분석되었다. 최근 2년간 코로나 발생으로 인해 위생재난이 중요시되고 있기 때문에, 위생재난에 관련된 콘텐츠 기획들이 앞으로 더욱 많아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의 분석 방법은 안전 체험관 평가 분석 방법으로써 안전 체험관 전시 유형의 평가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COVID-19 crisis, which began in early 2020, aggravated public anxiety and simultaneously, increased the interest in disaster response. Safety experience is to effectively respond to disasters and safety accidents by experiencing the risks of disasters and safety accidents, thereby securing safety knowledge and functional facilities. Due to the various disasters and safety accidents, the necessity to secure survival ability in case of crisis is being recognized in China; the importance of safety education through repeated practice and experience is also increasing. This study presents basic data for future safety experience research by analyzing the effect of an experience exhibition type of safety experience center on visitor satisfaction for the Shanghai Safety Experience Center and Beijing Safety Experience Center. (Method) Chapter 3 analyzes the experience exhibition types of the Shanghai Safety Experience Center and Shenzhen Safety Education Base based on the exhibition contents and experience type factors derived from chapter 2. In chapter 4, based on the type of experiential exhibition derived from the analysis, we analyze visitor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exhibition experience. Chapter 5 presents the conclusion highlighting that this study provides an analysis method that can be used in a safety experience center. (Results) The contents of exhibition with high audience satisfaction included sanitation disasters, fires, and cognitive disasters. Customer satisfaction with direct experience was higher than indirect experience. Among the direct experiences, satisfaction with the demonstration exhibition, participation ceremony, and field-experience type exhibition was the highest. Regarding indirect experiences, satisfaction with the special video exhibition was the highest. (Conclusions) In terms of visitor satisfaction, the direct experience method is effective in the design of future safety experience halls. Among direct experiential exhibition methods, satisfaction with field experiential exhibition is high. Among indirect experiential exhibition methods, satisfaction with special video exhibition is high. Additionally, applying direct experience exhibition to safety experience hall in order to express the unreal world stimulates users' sensibility in a way that provides a newer experience, enabling visitors to feel more deeply about the real disaster. A satisfaction survey for each type of exhibition indicated that it is possible to focus on ideology and learn about more evacuation methods. Since sanitary disasters have become important due to the COVID-19 outbreak, more content plans related to sanitary disasters are needed in the future, which would be us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