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그린 IT를 통한 친환경 자동차에 관한 연구

        김연덕(Yeon Duk Kim),한상훈(Sang Hun Han)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14 전자무역연구 Vol.12 No.3

        연구목적 : 많은 사람들은 자동차가 일상생활의 필수적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자동차가 많은 오염원을 제공하고 환경에 대한 손상을 일으킨다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 친환경 자동차는 적은 오염물질을 배출하며 지속가능한 연료자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훨씬 더 환경친화적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그린 IT를 통한 친환경 자동차에 대해서 연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친환경 자동차의 개념과 동향을 제공하고, 친환경 자동차 산업의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다. 논문구성 : 제1장은 서론부분이며 제2장은 여러 학술연구와 보고서로부터 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선행연구를 조사하였다. 제3장은 본 연구에서 이용되는 친환경 자동차의 역사와 정의에 대해서 고찰하였으며 기술개발의 현재 동향을 분석하였다. 제4장은 주요 국가의 친환경 자동차 정책을 분석하였다. 마지막 5장은 본 논문의 결론 및 시사점이다. 결과 : 친환경 자동차는 현실적으로 아직도 많은 과제를 가지고 있다. 첫째, 전기자동차의 경우 막대한 투자비에 따른 경제성 한계 문제가 존재한다. 둘째, 현대ㆍ기아 자동차와 같은 우리나라 자동차업계의 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경쟁력 확보가 필요하다. 그러나 만약 중국시장을 목표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면 친환경 자동차산업이 우리나라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부상될 것이 다. 독창성/가치 : 기존의 연구들은 단순히 친환경 자동차의 기술적인 측면에 대해서만 집중하고 있었다. 주요 선진국들의 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정책들에 대한 분석과 비교를 연구함으로써 본 논문은 우리나라 친환경 자동차 산업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Purpose : Many people think that cars are an essential part of everyday life. However, it is definite that cars provide many polluters and cause damage to our environment. Eco friendly cars are usually much more environmentally friendly because they have less pollutant emissions and use sustainable fuel resources. In this context, It is very important to study about eco friendly cars through green IT.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provides a concept and the status of eco friendly cars and contributes to development of our eco friendly car industry. Composition: The introduction is described in chapter I. The chapter II investigated the literature review of eco friendly cars from academic researches and reports. The chapter III demonstrated the definition and the history of eco friendly cars and analysed current status of technology development. The chapter IV investigated the policies of eco friendly cars in major countries. The final chapter is the conclusion and the summary of the study. Findings : There are many challenges of eco friendly cars. First, in the case of electric vehicle, there exists a problem of economic limits through the enormous investment. Secon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ompetition of our eco friendly car industry such as Hyundai and Kia's efforts. Especially, if it is successful in securing the competitiveness to Chinese market, eco friendly car industry market will become our next growth engines. Originality/Value : The previous papers merely dealt with the technical discussions on the eco friendly cars. By investigating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policies of eco friendly cars in major countries, this paper contribute the development of our eco friendly car industry.

      • 친환경자동차 소유분 자동차세의 합리적 개선방안

        오경수 한국지방세연구원 2020 한국지방세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 Vol.2020 No.24

        □ 연구목적 ○ 환경문제에 대한 대응 등에 힘입어 자동차 시장은 전통적인 내연기관 자동차에서부터 연료 및 동력기술의 다각화가 실현되면서 친환경자동차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빠르게 경험하고 있음 - 이러한 자동차 시장의 변화를 고려하였을 때, 장기적으로 친환경자동차의 보급확대를 위한 구매보조금과 세제지원을 점차 인하하고 자생적인 시장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음 ○ 또한, 현재 우리나라의 자동차세 과세체계는 내연기관 자동차와 非내연기관 자동차(친환경자동차) 간의 과세 불형평성이 존재하며, 동시에 친환경자동차 간에도 기종별 편차를 반영하지 않는 형평성 문제가 제기될 수 있는 구조임도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음 ○ 따라서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전기자동차와 같은 非내연기관 자동차에 대한 자동차세 과세체계의 개편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자동차 시장의 전망, 지방세로서의 자동차세 비중 및 역할 등을 고려해야 함 - 자동차세는 지방세의 기간세목으로서 세수의 신장성 및 안정성 확보가 중요하다는 점에서 친환경자동차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현행 자동차세 기준으로 자동차세 수입이 감소할 수 있음 ○ 본 연구에서는 급격히 성장하는 전기자동차 시장으로 인하여 非내연기관 자동차(친환경자동차)의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와 시장의 안정화 등에 대한 전망자료 등을 바탕으로 친환경자동차의 과세기준 개편에 대한 시의성을 검토함 ○ 또한, 친환경자동차 보급에 따른 현행 자동차세 과세체계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친환경자동차에 대한 합리적 과세기준을 설계하여 과세체계의 전환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주요내용 ○ 본 연구는 친환경자동차가 급격히 증가할 것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액세율이 적용되고 있는 친환경자동차에 대한 소유분 자동차세의 과세체계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본 연구에서는 전기자동차, 수소전기자동차 등 전통적 동력원인 내연기관(ICE, Internal Combustion Engines)을 사용하지 않는 차종을 ‘친환경자동차’로 명하고 있음 - 소유분 자동차세의 경우는 비영업용 승용자동차가 약 96%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승용자동차의 경우에만 친환경자동차가 별도의 과세체계인 정액세율이 적용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의 주요 분석대상은 비영업용 승용자동차로 한정하고 있음 ○ 전기자동차의 시장 확대에 대해서는 그 전망에 대한 예측은 조금씩 상이하지만 머지않은 미래에 신차 판매시장은 전기자동차가 내연기관 자동차를 완전히 대체할 것이며, 누적 등록대수의 비중도 높아질 것이라는 예상은 일정함 - 국제에너지기구(IEA)에서는 전기자동차와 같은 친환경자동차가 2025년 30%, 2030년 50%의 자동차 시장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 앞으로 전기자동차가 배터리 가격이 급감하면서 2040년에는 전기자동차가 신규 출시되는 경량차량(승용차 및 5톤 이하 트럭)의 54%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을 담은 블룸버그신에너지금융(Bloomberg New Energy Finance, BNEF) 보고서를 발표함 ○ 2018년 기준, 전 세계 전기자동차(BEV) 누적 판매대수는 329만대를 넘었으며, 전년대비 약 70%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음 - 2010년 이후 전기자동차의 누적 보급대수의 연평균 증가율은 104.2%임 ○ 우리나라 정부도 전기 및 수소전기를 동력기관으로 하는 친환경자동차의 보급을 확대하기 위한 정책을 활발히 펼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 모든 자동차를 친환경 자동차로 대체하고자하는 목표를 갖고 있으며, 이를 위해 다양한 보조금 지원과 세제 감면 등 적극적인 보급정책을 시행하고 있음 ○ 친환경 승용자동차의 소유분 자동차세를 경차 수준의 낮은 세액의 정액세율(10만원/연)로 설정하여 부과하는 것은 친환경자동차의 보급을 위한 적극적인 정책의 시행에 맞춰 친환경자동차에 대한 재정적 지출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음 - 취득세의 경우는 감면 혜택을 위해서 특례조항을 적용하여 운용하고 있음 ○ 하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현행 과세체계를 유지한 채 정부의 친환경자동차 보급 목표를 달성한다면, 각 지방자치단체는 자동차세 세수의 감소를 우려할 수밖에 없는 상황임 - 지자체의 재정적 측면에서 친환경자동차에 대한 지원정책을 위한 단기적인 재정지출뿐 아니라 장기적 측면에서 세입 감소의 위험이 예견됨 ○ 따라서 친환경자동차에 대한 과세체계 마련은 지방자치단체의 장기적인 재정 측면을 고려하였을 때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지만 도입시점과 도입방식에 대한 접근이 중요한 문제임 ○ 분석에서는 자동차세와 친환경자동차 보급 추세를 활용하여, 현행 자동차세 과세 체계를 유지할 때 자동차세 세입의 감소가 우려되는 시기를 예측하였음 - 자동차 등록대수의 증가에 따라 2039년까지는 자동차세 세입이 증가하지만, 그 이후는 친환경자동차의 비중과 낮은 세율의 영향으로 세입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됨 - 친환경자동차의 보급을 반영하지 않을 경우를 가정한 상황과 이를 반영하지 않은 현행 자동차세 추세선과 비교하였을 때, 자동차세 세입은 2040년 약 88%, 2050년 약 66% 수준에 그침 ○ 이 예측 결과는 친환경자동차의 보급이 확대되고, 전기자동차 시장 등이 충분히 활성화되는 시기까지도 현행 자동차세 과세체계를 유지한다면 지방자치단체가 직면하게 될 재정적 문제를 보여주고 있음 ○ 친환경 승용자동차에 대한 과세체계를 수립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과 더불어 적절한 과세기준에 대한 논의를 함께 진행하였으며, 해외사례 및 자동차 제원 등의 자료를 바탕으로 친환경자동차에 적용할 수 있는 과세기준을 중량, 최고출력으로 제안하고 있음 - 중량은 동력기관의 종류와 상관없이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기준이 되며, 일본, 덴마크 등에서 과세기준으로 사용하고 있음 - 친환경자동차의 최고출력은 내연기관 자동차의 배기량과 같은 개념의 자동차 제원의 자료로써, 배기량 기준으로 변환이 가능함 ○ 세수효과의 분석은 자료의 제약으로 인하여 공차중량 과세기준은 서울시 자료만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최고출력 과세기준은 전국 자료를 활용하였음 - 서울시 기준, 공차중량 과세기준을 적용하였을 때 2020년 세입의 차액은 현행 과세체계와 비교하였을 때 약 10억원 이상의 증가가 발생함 - 전국 기준, 최고출력 과세기준을 적용하였을 때 2020년 자동차세 세입의 차액은 약 32억원의 증가를 보임 ○ 그러나 앞서 주장했던 바와 같이 새로운 과세체계는 단기적인 세입증가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측면에서 예상되는 자동차세 손실보전을 위한 대안임 - 제안한 과세기준별 표준세율(안)을 적용하였을 때 장기적인 세수 추계를 비교해보면 아래 - 표준세율(안)을 적용함으로써 우려되는 자동차세 세입의 감소를 일정부분 보전할 수 있으며, 방안에 따라 현행 과세체계의 추세를 넘어설 수도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정책제언 ○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정책적 제언은 친환경자동차에 대한 과세체계의 개편을 ‘투트랙(two track)’ 방식으로 접근하여, 장기적 관점을 바탕으로 친환경자동차에 적용할 수 있는 과세기준과 표준세율(안)을 면밀하게 검토하고 수립하되, 단기적으로 이를 도입하는 시점과 단계에 있어서는 유연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임 ○ 자동차세 과세체계 전반에 대한 개편논의가 지속된 배경인 에너지 시장 및 환경 문제 뿐 아니라 전기자동차의 보급확산이라는 자동차 시장의 변화가 함께 도래하고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가 제시하는 친환경자동차의 과세체계는 반드시 정책적 검토가 요구된다고 주장함 ○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자동차 시장의 급증 및 안정화가 도래하기 전에 미리 과세체계를 마련해놓고, 지방세특례조항을 마련하여 운영하면서 자동차 시장의 변화에 대해 유연하게 대처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음 - 특례조항을 운영하면서 자동차 시장의 변화에 대해 유연하게 대처하는 반면, 납세자에게는 점차적인 친환경자동차의 과세체계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인 도입방식으로 사료됨

      • KCI등재

        환경관여도에 따른 친환경자동차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안대천(An, Daechun),주진혁(Joo, Jinhyuk),김태석(Kim, Taeseok),이원일(Lee, Wonil) 한국상품학회 2015 商品學硏究 Vol.33 No.6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자동차에 대한 소비자의 소비행태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제품의 지각된 가치(기능적 가치, 감정적 가치, 환경적 가치)와 제품태도, 구매의도로 이어지는 구조적 인과관계를 검증하고, 특히 지각된 가치-태도 간의 인과관계에 작용하는 환경관여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에 거주하는 성인 2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친환경자동차의 지각된 가치(기능적 가치, 감정적 가치, 환경적 가치)는 제품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제품태도와 구매의도 간의 인과관계는 다양한 대상과 영역에서 입증된 바 있듯이 친환경자동차의 경우에도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친환경자동차의 경우에도 가치-태도-구 매의도로 이어지는 구조적 인과관계가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해 주는 결과이다. 셋째, 친환경자동차의 지각된 가치가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소비자들의 환경관여도 수준에 따라 다르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기능적 가치와 태도, 감정적 가치와 태도 간의 관계는 환경관여도에 따라 별다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환경적 가치가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환경관여도가 높은 집단에 크게 나타났다. 친환경자동차에 대한 소비자 반응에 작용하는 지각된 가치와 환경관여도의 역할을 규명함으로써 가치인식에 기반한 친환경제품의 이용행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혔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이론적 공헌점을 찾을 수 있다. 실무적으로는 본 연구의 결과를 고려하여 친환경자동차의 기능적 속성에 대한 이성적 판단과 정보처리에 의존하여 형성되는 가치수준을 높이기 위한 이성소구 위주의 커뮤니케이션 노력이 필요하며, 감정적 가치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마케팅 노력도 병행해야 할 것이다. 또한 친환경자동차 자체 또는 자신의 브랜드에 대하여 타깃소비자들의 자아개념에 부합하는 상징적 가치를 부여하고 이의 연상을 용이하게 커뮤니케이션 노력도 효과적일 것이 다. 환경관련 이슈에 민감한 오피니언 리더층, 파워블로거, 혁신성향이 강한 소비자들의 인구통계적 특성과 라이프스타일을 분석하여 특성에 맞는 마케팅 전략을 구사하는 방법도 고려해봄 직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value of environment-friendly-car(functional, emotional, and environmental value), produc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environment involv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value and purchase intention is also examined. The results from a sample of 288 adults in Seoul and its metropolitan area show that all the three dimensions of perceived value affect product attitude, which, in turn affects purchase intention. Themoderating effect of environment involvement is also confirmed. Consistent with previous findings, the results confirmthe direct effects of perceived value of environment-friendly car on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he effect of environment involvement is also confirmed in the context of environment-friendly-car. These findings help us broaden our knowledge on value perception-based consumption behavior of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Practically, the findings suggest that marketers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three dimensions of perceived value and appropriate marketing strategies are recommended to add value to environment-friendly cars. In addition, given the role of environment involvement in explaining the effect of perceived value, marketers also need to pay attention on how to develop and enhance symbolic values attached to their products that reflect consumers' self-concepts. For example, the marketing strategies specially focused on environment-sensitive opinion leaders, power bloggers, and those who have a very strong orientation toward innovativeness are recommended based on their demographic and psychographic characteristics.

      • KCI등재

        지각된 가치를 중심으로 한 친환경자동차의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주진혁(Joo Jin hyuk),안대천(An Dae chun),왕진(Wang Chen),황사연(Hwang Sa youn) 한국상품학회 2017 商品學硏究 Vol.35 No.1

        본 연구는 친환경자동차에 대한 소비자의 이용행태를 폭 넓게 이해하고자 친환경자동차에 대한 지각된 가치, 제품태도, 주관적 규범, 구매의도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수도권에 거주하는 성인소비자 202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친환경자동차에 대한 지각된 가치(기능적 가치, 경제적 가치, 환경적 가치) 중 기능적 가치, 환경적 가치는 제품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친환경자동차에 대한 사회적 가치는 주관적 규범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제품태도는 친환경자동차의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주관적 규범은 친환경자동차의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자동차의 지각된 가치 중 기능적 가치, 환경적 가치, 사회적 가치가 제품태도와 주관적 규범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원인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마케터는 소비자들이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는 친환경자동차의 가치요소를 파악할 필요가 있을 것이며, 그에 따른 마케팅과 커뮤니케이션활동을 진행해야 할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것처럼 기능적, 사회적, 환경적 가치가 친환경자동차의 이용행태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이러한 가치요소들을 소비자에게 잘 소구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진행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 친환경자동차의 이용행태에 영향을 주는 지각된 가치의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제품태도, 주관적 규범, 구매의도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폭을 넓혔다는데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value of environment-friendly-car(functional,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value), product attitude, subjective norms, and purchase intention. The results from a sample of 202 adults in Seoul and its metropolitan area show that the functional, environmental value dimensions of perceived value affect product attitude, and the social value dimensions of perceived value affects subjective norms. The results also confirm the direct effects of product attitude and subjective norms of environment-friendly car on purchase intention. These findings help us broaden our knowledge on value perception-based consumption behavior of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Practically, the findings suggest that marketers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three dimensions of perceived value and appropriatemarketing strategies are recommended to add value to environment-friendly cars.

      • KCI등재

        소형 하이브리드 자동차 시장에서 소비자의 추구 가치와친환경 메시지 프레이밍(message framing)이제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희,김한구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14 마케팅관리연구 Vol.19 No.3

        오늘날 친환경 소비는 기업과 소비자, 정책적 영역에 이르기까지 그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그럼에도불구하고, 친환경 자동차 소비 시장은 정체되어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시장을 세분화하여 보다 효과적인 친환경 자동차 소비 촉진 방법을 제시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자동차에 대해 추구하는 가치와 소형 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태도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고, 가치 추구 행태에 따른 효과적인 메시지 프레이밍과 가격전략이 존재하는가에 대해 탐색해보았다. 분석결과 자동차에 대한 소비자의 경제적, 환경적 가치는 소형 하이브리드 자동차 선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자동차에 대한 사회적 가치는 소형 하이브리드 자동차 선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경제적 가치 추구 정도가 높은 사람들은 가격 프리미엄이 존재하는 경우, 환경에 대한 긍정적 메시지 프레이밍일 때(vs. 부정적 메시지 프레이밍), 해당 제품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냈다. 그러나 경제적 가치 추구 정도가낮은 사람들이나, 가격 프리미엄이 없는 상황에서는 환경에 대한 긍정적 메시지 프레이밍이 광고 제품에 미치는 호의적인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환경적 가치가 높은 사람들은 친환경 메시지 프레이밍과 가격 전략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Green consumption is an important issue in today. Despite green consumption is receiving theattention of a wide public, sales of green car still represent a small portion of whole market. Thecurrent study suggests parts of solution to this issue by examining the important role of customer value,message framing and price strategy in the compact hybrid car preference. The result of analysis reveals that customers' economic value and ecological value on cars positivelyinfluence the compact hybrid car preference. Conversely, customers’ social value on cars negativelyinfluence the compact hybrid car preference. And we also find that participants with high economic valueseeking tendency prefer the product with positive green message framing to the product with negativegreen message framing only in price premium condition, while participants with low economic valueseeking tendency does not have a preference for the product with positive or negative green messageframing in both price condition(e.g. price premium, non premium). Conversely, participants with highecological value seeking tendency are not influenced by the type of green message framing and pricestrategy. Our results have important implication for models of consumer value on green products,message framing theory, and the price strategy of compact hybrid cars.

      • KCI등재

        서비스경영시대의 친환경자동차 제품속성과 소비자 구매의도 간에서 정부지원정책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임기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8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6 No.12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development and market participation of the next generation eco - friendly vehicles is accelerating, and consumers 'interest is increasing. Also, the product attributes of environment - friendly vehicles and the government' s policy support for the next generation eco - friendly vehic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urchasing behavior of eco-friendly vehicles on the product attributes of eco-friendly vehicles. Economic, image, functionality, and service convenience have positive effects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government support policy between the product attributes of environment - friendly vehicles and the purchase intentions of environment - friendly vehicles, the government or municipal government has no control effect such as vehicle price subsidy, vehicle tax subsidy, Carbon tax support to prevent emissions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of supporting 10,000 won per ton, even if 5,000 won per ton was supported. This suggests that consumers who prefer to buy eco-friendly vehicles are more likely to have environmental factors. 본 연구의 시사점은 친환경 자동차의 제품속성 요인, 그리고 차세대 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소비자의 구매 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국내 서울 친환경자동차 소비자에 대한 웹 설문 조사 통해 밝히고자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친환경자동차의 제품속성요인과 구매의도를 검증한 결과 친환경자동차의 제품속성요인인 경제성, 이미지, 기능성 및 서비스편의성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친환경자동차의 제품속성요인과 친환경자동차 구매의도간의 정부지원정책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차량가격보조금지원이나 자동차세지원, 연료세절감지원 등은 조절효과가 없는 반면 이산화탄소 방출을 방지하는 탄소세지원은 톤당 5,000원을 지원하건 톤당 10,000원을 지원하간 조절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친환경자동차구매를 선호하는 소비자들이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면서 세제지원을 받는 것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정부나 지자체들은 단순히 차량보조금지원이나 연료세 지원보다는 탄소세지원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환율 변화의 친환경 자동차 품질 향상과 시장점유율 확대에 대한 상충효과

        서정석 ( Cheong-seog Seo )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구 한국환경경제학회) 2020 자원·환경경제연구 Vol.29 No.3

        본 연구는 생산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하나로서 환율이 변화할 때, 친환경 자동차의 품질 향상과 시장점유율 확대에 상충적 효과가 유발됨을 보인다. 우선 고품질의 친환경 자동차와 저품질의 내연기관 자동차로 구성된 수직적 차별화 복점 모형에서, 각 기업이 품질 수준과 가격을 순차적으로 결정하는 완전정보하의 두 단계 비협조게임을 설정한다. 그리고 각 종류의 자동차가 서로 다른 화폐를 사용하는 두 국가에서 구분되어 생산될 때, 내연기관 자동차를 생산하는 국가 화폐의 환율이 상승하여 그 자동차 생산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해지면, 생산자는 경쟁 심화를 선호하게 되고, 품질 수준 차별화 축소의 시도로부터 품질 향상 유인이 발생한다. 이때 친환경 자동차 생산 기업은 경쟁력 약화로 인해 경쟁을 회피하려고, 품질 차별화 확대를 위한 품질 수준 제고의 동기를 갖는다. 그렇지만 이 경우 친환경 자동차의 시장점유율은 위축된다. 만일 환율이 반대 방향으로 변화하면, 친환경 자동차의 점유율 확대가 기대되지만, 두 자동차의 품질 수준은 모두 저하되는 상충적 효과가 유발된다. This paper shows that when the exchange rate changes, there are conflicting effects on improving the quality and increasing market share of eco-friendly vehicles. In a vertically differentiated duopoly model consisting of high quality clean cars and low quality internal combustion engine cars, I set up a two-stage noncooperative game under perfect information that the quality levels and the prices of the cars are competitively determined. The vehicles are assumed to be produced in countries that use distinct currencies. When the exchange rate of the country that produces low quality cars rises, the producer prefers to intensify competition due to the relatively lowed cost, and the incentive for quality improvement arises from the intension of attempting to reduce the degree of differentiation of quality level. At this time, the clean car manufacturing firm tries to avoid competition due to weakened competitiveness, and increases the quality level to expand quality differentiation. However, in this case, the market share of eco-friendly vehicles shrinks. On the other hand, if the exchange rate chang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market share of eco-friendly vehicles is expected to increase, but the quality of both cars are deteriorated, causing a conflict effect.

      • 전기 자동차 경량화를 위한 에어컨 컴프레셔 모듈 안정성 분석

        김상유(Sang-yu Kim),김재열(Jae-yeol Kim),김규훈(Kyu-hoon Kim),이찬우(Chan-woo Lee),이서한(Seo-han Lee),김재근(Jae-geun Kim) 한국자동차공학회 2021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21 No.6

        현재 세계 각국에서 환경 규제로 실생활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자동차는 환경 관련 규제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 이러한 사회의 요구로 자동차 업계에서는 하이브리드 차량과 친환경 자동차의 일종인 전기 자동차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자동차 연료 소비의 약 23%는 차량의 중량과 연관되어 있어 차량의 중량을 줄이는 것은 연비향상, 이산화탄소 배출 절감과 차량의 내구수명 증가 등 많은 영향을 준다. 이와 같은 많은 장점으로 인해 친환경 자동차 개발을 위해 자동차 경량화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해결방안으로 친환경 자동차의 경량화를 위해 부품 단위에서 가벼운 소재를 적용하여 자동차 경량화를 진행하고 있다. 단순하게 가벼운 소재를 적용하는 것이 경량화를 뜻 하는게 아니라 가벼워진 만큼 단단하고 안정적으로 제작되어야 경량화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자동차의 전장부품 중 중량을 가장 크게 차지하고 있는 에어컨 컴프레셔 모듈의 가벼운 소재(A1 5XXX계열, A1 6XXX계열) 적용에 따른 안정성 분석으로 유한요소해석 소프트웨어인 ANSYS를 이용하여 구조해석을 통해 기존 소재 대비 동등 이상의 고강성과 내충격성이 확보되는지 확인하였다.

      • KCI등재

        자동차 기업의 친환경전략: 현대자동차 사례를 중심으로

        손경우,한주희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22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Vol.11 No.6

        On January 28, 2022, a rapid change in the automobile industry can be expected due to the revision of automobile eco-friendly policies, such as the expansion of support for companies related to eco-friendly cars. The automobile industry in Korea is the one of the most important industries and has the significant effect on the backward and forward industries such as various suppliers and services. Recently, the automobile industry is in the paradigm shift due to rapid technological progress and expansion of eco-friendly policie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automobile industry to diagnose changes in the automobile industry due to various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s and to examine and analyze the eco-friendly strategies of automobile companies based on the case of Hyundai Motor.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Hyundai Motor's strategy, such as the electrification strategy, hydrogen business synergy effect, workplace carbon neutral policy, carbon neutral induction and support in the supply chain, and circulation system. This study can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re innovative,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human-centered automobile industry and future strategies for automobiles. 2022년 1월 28일 친환경차 관련 기업 지원의 확대와 같은 자동차 친환경 정책의 개정으로 인해 자동차 산업의 급격한 변화가 예상된다. 한국에서의 자동차 산업은 우리나라 대표적인 주력산업으로 다양한 공급업자, 관련 소재 및 서비스 등 전후방 산업에 파급효과가 가장 큰 산업으로 최근 급속한 기술적 진보와 친환경 정책의 확대로 인해 패러다임 전환기에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자동차 산업에 중점을 두어 다양한 외부 환경 변화에 따른 자동차 산업의 변화를 진단해보고 현대자동차 사례에 기반하여 자동차 기업의 친환경 전략을 살펴보고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전동화 전략, 수소 사업 시너지 효과, 사업장 탄소 중립 정책, 부품 공급망 탄소중립 유도 및 지원 및 순환경제를 중점으로 현대자동차의 전략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자동차의 면면에 대해 보다 기술 혁신적이고, 환경 친화적이며 그리고 인간 중심의 자동차 산업의 특성 및 미래 전략 방안에 대한 고찰을 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이산·연속선택모형을 이용한 친환경자동차에 대한 지원정책이 에너지 소비와 CO<sub>2</sub> 배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

        권오상,김용건,정재호,Gwon, O-Sang,Kim, Yong-Geon,Jeong, Jae-Ho 한국환경경제학회 2012 자원·환경경제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수송부문 $CO_2$ 배출량 저감을 목표로 하는 친환경자동차에 대한 지원정책의 효과를 예측하고 정책성공의 결정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동차 이용에서 발생하는 $CO_2$ 배출량은 자동차의 유형을 선택하는 이산선택행위와 이미 선택한 유형의 자동차를 어느 정도나 운행하는지를 결정하는 연속선택행위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이산 및 연속 선택을 결합분석하는 이산 연속선택모형을 구축한 후, 한국 소비자들의 자동차 선택 및 운행거리 자료에 적용하여 자동차의 연료효율에 따라 보조금 부과금을 차등 적용하는 정책을 시행할 때 발생하는 두 가지 선택의 변화를 동시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보조금 부과금이 도입되는 방식이나 상대적 크기에 따라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은 새로운 유형의 친환경자동차의 예상보급률이 달라지며, $CO_2$ 배출량 저감 수준에 있어서도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보조금 부과금을 적절히 선택할 경우에만 정부의 세입중립성을 유지하면서도 정책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 결과도 도출되었다. 따라서 연비에 따라 차등 적용되는 보조금 부과금 형태 정책의 성공 여부는 정책이 새로운 유형의 친환경자동차의 점유율에 실질적인 차이를 유발하도록 설계되었는지에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pplies a discrete-continuous choice model to a national survey data set of automobile uses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impacts of a bonus-malus system for new cars in Korea. Not only the impacts on the discrete choice of automobile type and class but also those on the continuous decision making of car operation ar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automobiles and individuals that determine car choice and operation are identified. The simulation based on the estimation result shows that an appropriately designed bonus-malus system can induce a reduction in energy consumption and $CO_2$ emission substantially without additional government expendi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