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친일파인 자의 이름: 탈식민화와 고유명의 정치

        이혜령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1 民族文化硏究 Vol.54 No.-

        친일파청산은 최근까지 한국에서 탈식민 실천의 하나로 간주되어왔다. 어떤 의미에서 그것은 유일한 탈식민 실천이었다. 누가 친일파인가라는 담론에서 일본인 식민자들은 패전후 일본으로 돌아갔기 때문에, 친일파는 일본인 식민자들만이 아니라 식민화의 기구, 정책, 실천의 대체물 혹은 상징으로 기능해야 했다는 사실은 좀처럼 환기되지 않았다. 탈식민화의 실천은 식민자의 명단을 작성하는 일로부터 시작되지 않으며, 오히려 식민지원주민들이 자신의 동족의 이름을 기록하는 자기언급적 실천일 수밖에 없었다. 이 글은 식민자의 명단은 작성될 수 있는가, 왜 친일파는 늘어가는가, 그리고 왜 지식인이, 더 정확하게는 근대적 저자로서의 지식인이 친일파 언설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가는가라는 물음을 통해, 자기언급적 실천으로서의 탈식민화의 딜레마를 드러내고자 했다. 해방 이후 냉전과 분단, 남북의 다른 체제로의 성립과정과 관련된 새로운 그러나 혼란스러운 정치, 사회경제의 현실에 대한 해석은 식민지 경험과의 유비 속에서 이루어졌다. 예컨대, 해방 직후 남한에서 적산의 처리를 둘러싸고 부당한 이익과 부를 취한 모리배들이 제2의 친일파로 불려졌다. 친일인사들이 반탁운동을 통해 정치 무대에 다시 등장했다. 정치일정으로 친일파청산이 실패하자 친일 담론은 특정한 행위만이 아니라 사고, 심리와 규범, 태도 등 의식 전반을 문제삼는 문제로 전환되었다. 그 결과 친일파는 특정한 정치경제 세력으로 재생산되고 있거나 친일파가 늘어나는 사태로 나타났다. 친일의 편재성은 친일행위의 대표적인 친일파로 지식인을 초점화하는 결과를 낳았다. 지식인의 가장 유력한 친일행위의 증거물로 그들의 저작이 제시되었는데, 이는 근대 소유권자로서 저자라는 관념이 전제된 것이다. 최근 친일파언설은 이들 저작에 대한 전유를 통해 생산되었다. 저작은 법적 주체를 지시가능한 소유물이자, 범죄에 대한 증거물일 수 있으며, 공표된 것으로 공론장에서 전유가능한 것이기 때문이다. 임종국의 친일파에 관한 역사적 저작이 『친일문학론』인 이유, 그리고 최근 『친일인명사전』의 편찬자들이 지식인을 중요시 여긴 더 근본적인 이유는 여기에 있다. 이름과 그 증거를 명시할 수 있기에 이 책들은 실패한 법정을 역사로 대체할 수 있었다. Punishing the pro-Japanese persons has been regardes as the decolonizaion practice in Korea up to recently. However, the fact hasn't been invoked that, in a sense, it is the only decolonization pratice, in discourse of whom pro-Japanses person was, hs or she roled as the subtitutes or the symbols for institutions, policies and practices of the colonization as also as Japanes colonizers, because Japanese colonizer returned back Japan in postwar. This paper attempts to remind the followings: the fact liberation of the colonized means mearly withrawl to the colony for the colonizer, shows decolonization has nothing to do but do self-referential or self-attributional practice in a sense that the native people in ex-colony role as also the colonizer in the postcolonial times. Moreover, the number of pro-Japanese was seemed to increase after the 8.15 liberation from Japan in sepecial at South Korea where many profiteers emerged and disturbed the economy order in the course of confiscation and disposal of the enemy property. Profiteers were regarded as the second pro-Japanese, who provided the historical experience to form the moral judgement on certain property. Pro-Japnanese persons appeared in the political stage, while socialist groups and radical nationalist groups were repressed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This political and social economic situation made judicial or official punishment fail. In result, pro-Japanese persons seemed to increase after the 8.15 liberation. The discourses of pro-Japanese began to tend to target civilian behavior, psychology, attitude regarded as colonialism and intellectuals' works which had the rich description about the pro-Japanese acts and psychologies. As we know, modern intellectual as author is regared as the legal owner of his or her works and as the accused when the works are against the law, which are the objects to be possible to approprirate in of the public sphere. This is the reason that the position of intellectual as a author in the discourses of pro-Japanese groups, become to be important more and more. The Biographical Dictionary of the Pro-Japanese persons which, the editorian board said, was originated from Im Jongguk's The Pro-Japanese Literaray Theory shows very well histories and ellements the decolonization as a self-referencial pratice.

      • KCI등재

        <기획논문 - 기록으로 보는 3·1혁명> 3·1혁명과 친일파의 대응 양태

        이준식 ( Lee Junsik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과학연구 Vol.26 No.-

        1919년의 3·1혁명은 제국에서 민국으로의 전환을 가져온 일대사건이었다. 3·1혁명에 참여한 사람들은 일제 식민통치로부터의 해방과 완전한 자주 독립국가의 실현이라는 민족혁명의 꿈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혁명의 꿈은 민족혁명에만 그치지 않았다. 3·1혁명은 국민이 주권을 갖는 주권재민의 민주공화제가 우리 역사에서 처음 실현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3·1혁명은 민주혁명이기도 했다. 그런데 세상의 모든 혁명은 혁명에 대한 반동 곧 반(反)혁명을 수반한다. 3·1혁명도 반혁명에 직면했다. 3·1혁명이 이루려고 한 민족·민주혁명의 일차적인 반대세력은 식민통치권력이었다. 일제는 비무장의 만세시위대를 무자비한 폭력으로 진압했다. 그 와중에 수천 명이 학살되었고 수만 명이 부상을 당했다. 그러나 3·1혁명의 반대편에 선 것은 일제만이 아니었다. 일반적으로 3·1혁명을 거족적이라고 한다. 실제로 각계각층의 사람들이 3·1혁명에 참여했다. 그러나 3·1혁명에의 참여를 거부하고 나아가서는 3·1혁명에 반대한 사람들도 분명히 존재했다. 친일파가 그랬다. 3·1혁명은 민족·민주혁명을 추구한 민족운동 세력과 반민족·반민주의 길을 걸은 친일파의 분화가 본격화되는 계기로도 작용했다. 3·1혁명은 민족운동에도 새로운 전기가 되었지만 친일파에게도 일제 식민통치의 동반자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친일파는 그 기회를 현실화하기 위해 발 벗고 나섰다. 친일파는 일제의 강압에 따라 어쩔 수 없이 친일의 길을 걸은 것이 아니다. 친일파에게도 나름의 친일 논리가 있었다. 특히 일제의 식민통치 아래에서도 유력한 정치세력이 되기를 원했던 친일파의 경우는 더 그랬다. 이러한 의미에서 3·1혁명은 친일파에게도 강제병합 못지않은 일대사건이었던 것이다. 일부의 친일파는 3·1혁명으로 조성된 일제 식민통치의 위기를 자신들의 정치적 욕구를 실현할 수 있는 기회로 파악했다. 그러면서 3·1혁명 이후 일제가 추진한 친일파의 육성이라는 새로운 정책에 적극적으로 편승하려는 했다. 친일파는 각종 매체를 통해 3·1혁명에 반대한다는 뜻을 분명히 밝히는 한편 더 나아가서는 노골적으로 3·1혁명 저지를 내건 단체를 조직하는 데 앞장섰다. 기꺼이 반혁명세력이 되려고 한 것이다. 그리고 3·1혁명 이후 일제가 표방한 문화정치 아래 친일파는 참정권운동 등의 활발한 정치운동을 벌이게 되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3·1혁명은 역설적으로 반혁명세력인 친일파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는 계기로도 작용한 것이다. Every revolution in the world is accompanied by a reaction to the revolution, so-called counterrevolution. March First Revolution also faced its counterrevolution. Japanese Empire did not stand alone against the Revolution. The pro-Japanese collaborators also opposed the revolution and refused to participate in it. March First Revolution became a turning point for a National revolution in Korea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and simultaneously a political opportunity for the pro-Japanese collaborators. The pro-Japanese actively tried to make the opportunity real. They realized the crisis of Japanese rule as a chance to get their political desires in Korea. The pro-Japanese collaborators clearly stated that they opposed March First Revolution and took the head in stopping it. Under the cultural rule that had proclaimed by the Japanese Empire since the Revolution, the pro-Japanese led political movements such as suffrage movement. For this reason, March First Revolution also served as a momentum to strengthen the political power of the pro-Japanese collaborators in Korea.

      • KCI등재후보

        3․1혁명과 친일파의 대응 양태

        이준식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과학연구 Vol.26 No.-

        Every revolution in the world is accompanied by a reaction to the revolution,so-called counterrevolution. March First Revolution also faced its counterrevolution. Japanese Empire did not stand alone against the Revolution. The pro-Japanesecollaborators also opposed the revolution and refused to participate in it. MarchFirst Revolution became a turning point for a National revolution in Korea underJapanese colonial rule and simultaneously a political opportunity for the pro-Japanesecollaborators. The pro-Japanese actively tried to make the opportunity real. Theyrealized the crisis of Japanese rule as a chance to get their political desires in Korea. The pro-Japanese collaborators clearly stated that they opposed March FirstRevolution and took the head in stopping it. Under the cultural rule that hadproclaimed by the Japanese Empire since the Revolution, the pro-Japanese ledpolitical movements such as suffrage movement. For this reason, March FirstRevolution also served as a momentum to strengthen the political power of thepro-Japanese collaborators in Korea. 1919년의 3․1혁명은 제국에서 민국으로의 전환을 가져온 일대사건이었다. 3․1혁명에 참여한 사람들은 일제 식민통치로부터의 해방과 완전한 자주 독립국가의 실현이라는 민족혁명의 꿈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혁명의 꿈은 민족혁명에만 그치지않았다. 3․1혁명은 국민이 주권을 갖는 주권재민의 민주공화제가 우리 역사에서 처음 실현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3․1혁명은 민주혁명이기도 했다. 그런데 세상의 모든 혁명은 혁명에 대한 반동 곧 반(反)혁명을 수반한다. 3․1혁명도 반혁명에 직면했다. 3․1혁명이 이루려고 한 민족․민주혁명의 일차적인 반대세력은 식민통치권력이었다. 일제는 비무장의 만세시위대를 무자비한 폭력으로 진압했다. 그 와중에 수천 명이 학살되었고 수만 명이 부상을 당했다. 그러나 3․1혁명의 반대편에 선 것은 일제만이 아니었다. 일반적으로 3․1혁명을 거족적이라고 한다. 실제로 각계각층의 사람들이 3․1혁명에 참여했다. 그러나 3․1혁명에의 참여를 거부하고 나아가서는 3․1혁명에 반대한 사람들도 분명히 존재했다. 친일파가 그랬다. 3․1혁명은 민족․민주혁명을 추구한 민족운동 세력과 반민족․반민주의 길을 걸은 친일파의 분화가 본격화되는 계기로도 작용했다. 3․1혁명은 민족운동에도 새로운 전기가 되었지만 친일파에게도 일제 식민통치의 동반자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친일파는 그 기회를 현실화하기 위해 발 벗고 나섰다. 친일파는 일제의 강압에 따라 어쩔 수 없이 친일의 길을 걸은 것이 아니다. 친일파에게도 나름의 친일 논리가 있었다. 특히 일제의 식민통치 아래에서도 유력한 정치세력이 되기를 원했던 친일파의 경우는 더 그랬다. 이러한 의미에서 3․1혁명은친일파에게도 강제병합 못지않은 일대사건이었던 것이다. 일부의 친일파는 3․1혁명으로 조성된 일제 식민통치의 위기를 자신들의 정치적욕구를 실현할 수 있는 기회로 파악했다. 그러면서 3․1혁명 이후 일제가 추진한 친일파의 육성이라는 새로운 정책에 적극적으로 편승하려는 했다. 친일파는 각종 매체를 통해 3․1혁명에 반대한다는 뜻을 분명히 밝히는 한편 더 나아가서는 노골적으로 3․1혁명 저지를 내건 단체를 조직하는 데 앞장섰다. 기꺼이 반혁명세력이 되려고 한 것이다. 그리고 3․1혁명 이후 일제가 표방한 문화정치 아래 친일파는 참정권운동 등의 활발한 정치운동을 벌이게 되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3․1혁명은 역설적으로 반혁명세력인 친일파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는 계기로도 작용한 것이다

      • KCI등재

        3 · 1운동기 항일지하신문의 친일파 비판

        박용규(Yong-Gyu Park)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9 언론정보연구 Vol.56 No.4

        3·1운동기에 발간된 항일지하신문들은 당시의 상황이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를 알려주는 대안매체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3·1운동기 최초의 지하신문은 천도교에 의해 발행된 〈조선독립신문〉이었다. 이후의 지하신문들은 모두 학생집단이나 청년들에 의해 발행되었다. 친일파들은 3·1운동을 반대하는 선전활동을 했고, 점차 자치파와 동화파로 조직화되어 활동했다. 항일지하신문들은 친일파들에 대해 자주 보도했다. 3·1운동 초기에 친일파들을 역적이나 주구라고 비판하거나 처단해야 할 악마라고 묘사하기도 했다. 또한 항일지하신문들은 1919년 중반 이후 친일파를 한국인의 얼굴로 일본인의 정신을 가진 존재라고 신랄하게 비판했다. 항일지하신문의 친일파 비판은 3·1운동기 조선인들의 분노를 반영한 것이었다. 또한 조선인들이 친일파의 실체를 깨닫는 데 큰 기여를 했다. Anti-Japanese underground newspapers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n alternative media during the period of the March 1st Movement when there was no means of informing people about how things were going. The first underground which came out during the period of the March 1st Movement was Joseon-dokrip Shinmoon (Korean Independence News) published by the Cheondo Church. After that, all the underground newspapers were issued by students and young men. The pro-Japanese collaborators actively engaged in anti-campaigns against the March 1st movement. And these pro-Japanese factions also started to found political organizations. Articles in these underground newspapers wrote about the pro-Japanese activists. Underground newspapers condemned the pro-Japanese faction as a traitor and hunting dog and described the pro-Japanese collaborator as a demon to be punished at the early days when the March 1st Movement happened. And underground newspapers criticized sharply the pro-Japanese faction for having the spirit of the Japanese by the face of the Korean after mid 1919. Underground newspapers’ criticism of pro-Japanese collaborator reflected the anger of the Korean people during the March 1st Movement. Underground newspaper articles about the pro-Japanese faction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having the Korean people realize the identity of them.

      • KCI등재후보

        친일지식인에대한 고등학생의역사인식

        이해영 한국역사교육학회 2010 역사교육연구 Vol.- No.11

        In history textbook, Pro-Japanese group was described national assignment to get rid of. It dosen't seem that "Banmin- law" which presented in textbook is a principle to choose Pro-Japanese group. According to Banmin- law, pro-Japanese group included a lot of soldiers, policemen and government workers. But in history textbook, they are less shown than writers and artists. There are not a clear reason to present writers and artists more then soldiers, policemen and high-ranking officials in history textbook. Maybe, I thought the textbook writers referred to the men such as Lee Kwang Su and Lee Wan Yong because they were extensively known to the public. Especially, most textbook covered Lee Kwang Su. The central figure in essay test which students made was Lee Kwang Su too. All the students criticized Lee Wan Yong entirely, on the other hand as for Lee Kwang Su it is still controversial. Many students criticized the behavior of Lee, but a few supported him and felt sympathetic. Some few students expressed their anger or sympathy about him without condition. and others made their opinion logically. Students criticized him for forgetting his role as a intellectual and for pursuing his individual secular interest. Some of them supported his masterpiece that will go down in literary history. Simultaneously, supporters after Lee expressed sadness that Lee can't but make pro-Japanese remarks in that period. 한국근현대사 교과서 속 친일파는 어떻게 서술되었는지, 그리고 학생들은 친일파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먼저, 근현대사 교과서 속 친일파는 청산해야 할 민족의 과제로 서술되었다. 그러나 교과서에 제시된 반민법은 친일파 선정기준은 아닌 듯하다. 반민법에서 제시한 친일파는 군과 경찰에 관련된 관계자가 가장 많고 일제 강점기 관료를 거친 사람은 당연범으로 분류될 정도로 확연한 범죄를 저지른 인물인데도 교과서에서는 문인들의 비중이 높았다. 어떤 선정기준으로 이들이 교과서에 들어갔는지 명확하지 않다. 이광수와 같은 친일지식인, 한일합방의 주범인 을사오적이 대중에게 널리 알려져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교과서에 수록한 듯하다. 특히, 대부분 친일파에 대한 서술은 이승만 정권의 반민특위활동 부분에 잠시 언급되지만 이광수는 3개의 교과서에 등장하면서도 2개의 단원에 걸쳐 활동이 나온다. 학생들이 작성한 논술 쓰기에서 친일파로 선정한 인물 또한 이완용과 이광수가 가장 많았다. 교과서의 영향이기도 하겠지만 이들이 친일파라는 사실은 대중에게 널리 알려진 인물들이라는 점도 학생들에게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그런데, 이완용에 대한 평가는 비판이 대부분이었으나 이광수에 대해서는 소수이긴 하지만 옹호하고자 하는 학생이 있었다. 무조건적 분노나 동정도 있었지만 주로 이광수의 문학 활동에 대해서는 비교적 논리적 근거를 제시하면서 자신의 의견을 전개하였다. 이광수를 비판한 학생들은 문학 활동은 지극히 개인적인 일인데, 이런 개인적인 욕심을 위해 민족을 저버리고, 사회적 지식인이라는 역할을 버린 채 대중을 선동해 일제의 정책에 동조하도록 하였다고 주장했다. 반면, 이광수를 옹호하는 학생은 당시 일제의 정책에 동조하지 않았다면 문인으로서 위치를 잃게 되고 오늘날 이광수의 작품을 볼 수 없을지도 모른다고 주장했다. 학생들은 이광수를 평가하면서 정서를 직접 보이기도 했다. 이광수를 비판하는 학생들은 주로 부끄러운 감정을 느낀 반면, 옹호하는 학생은 그 시대에 태어난 사람으로 어쩔 수 없었을 것이라는 안타까움을 표현했다. 이광수의 행적 중에서 평가의 논란이 되는 문학 활동에 대해서 학생들이 제대로 된 평가를 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광수의 작품을 본문이 아니더라도 보충 설명 란에라도 직접 보여주어야 한다. 이미 누군가가 해 놓은 작품의 의의나 해석이 아니라, 그의 작품을 학생에게 보여줌으로써 당시 시대적 분위기를 파악하고 친일적인 요소를 찾아보게 하는 수업도 효과적일 것이다.

      • KCI등재

        대중들의 눈을 통해 본 북한의 친일파 청산과 토지개혁

        김재웅(Kim, Jae Woong)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통일인문학 Vol.81 No.-

        해방 후 북한은 “반제반봉건혁명”의 완성을 지향하였다. 이 개혁운동의 목표는 그간 기득권을 행사해온 지배층을 척결해 새로운 사회질서를 창출하는 데 있었다. “반제반봉건혁명”의 대상으로 설정된 세력은 다름 아닌 친일파와 지주 계급이었다. 당국의 문건을 집중적으로 활용한 기존 연구성과들은 토지개혁과 친일파 청산에 대한 통치 세력의 관점을 선명히 드러내는 반면, 그 개혁 조치들을 몸소 경험한 일반 대중들의 관점과 경험을 재구성하는 데 한계를 보였다. 이 연구는 바로 그러한 한계를 극복하려는 의도에서 시도되었다. 곧 필자는 해방 후 북한의 개혁 조치들을 직접 체험한 일반 대중들의 관점에 기초하여 토지개혁과 친일파 청산을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그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전달하고 있는 대표적 자료들 중 자서전·이력서류가 있다. 미군이 한국전쟁기에 탈취한 이른바 북한 관련 “노획문서” 가운데 적잖은 비중을 점하고 있는 자서전·이력서류는 역사의 현장에 있었던 이들, 곧 개혁의 주체이자 대상인 그들의 반응과 대응을 생생히 보여준다. 연구자들은 이 자료들을 통해 토지를 분여받은 농민들의 환희, 토지를 몰수당한 이들의 분노, 해방 직후 친일파 척결에 나선 일반 대중들의 심리 상태를 포착할 수 있다. After liberation, North Korea aimed to complete its anti-imperial, anti-feudal revolution, whose goal was to create a new social order by defeating the ruling class that had monopolized existing privileges. The targets of the anti-imperial, anti-feudal revolution were pro-Japanese groups and landowners. Existing research based mainly on official documents clearly showed the viewpoint of the ruling class on land reform and the liquidation of the pro-Japanese group, while its limitations were shown in reconstructing the viewpoints and experiences of the general public who personally experienced the reforms. This study attempted to overcome such limitations. The autobiography and resume documents that make up a considerable portion of the documents related to North Korea that the US military captured during the Korean War vividly show the responses and reactions of those on the ground at the time who were the beneficiaries and target of reforms. Researchers can capture the joy of the farmers receiving land and the anger of those whose land was confiscated, as well as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general public who led the liquidation of the pro-Japanese group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 KCI등재후보

        해방 직후 남·북한의 친일파숙청 논의 연구

        이강수 전남사학회 2003 역사학연구 Vol.20 No.-

        Directly after the liberation, liquidation Discussion of pro-Japanese in the South and the North of Korea was geared to the Soviet Union and the U.S. military government's policy towards the pro-Japanese group. The U.S. military government ruled the South of Korea carried out a policy made the best use of pro-Japanese group to establish a anticommunist state. On the other hand, the Soviet military government ruled the North of Korea positively supported a vestiges of Japanese imperialism's liquidation to establish a pro-Soviet state. In result, when the South of Korea spread over liquidation Discussion of pro-Japanese group, the North of Korea practically was promoting liquidation of pro-Japanese group. A liquidation Discussion of pro-Japanese group in the South of Korea divided into two with approval or opposition over the U.N. trusteeship as its starting point. Firstly, liquidation Discussion of pro-Japanese group, when unification of parties movement developed, was discussed under the direction of deprivation pro-Japanese group of the right of casting a ballot and eligibility for election from a political point of view and socially and economically speaking, nationalization of pro-Japanese group's a land and key industries to build up a new society. But when the violent clashes between rightists and leftists over the U.N. trusteeship in the end of 1945 run to an extreme, exclusion principle of pro-Japanese group began to wobble. The upheaval of the U.N. trusteeship schematized the United States=immediately independence=the rightists=patriot and the Soviet Union=the U.N. trusteeship approval=the leftists=traitor. He was ascertained a patriot or traitor by standard changed from pro-Japanese act to the U.N. trusteeship opposition and anticommunist movement In spite of ideological warfare, discussion on pro-Japanese group category was taken concrete shape. Through approval or opposition over the U.N. trusteeship was discussed in 1946, it became to reach a social agreement for pro-Japanese group punishment. The Nationalist party(國民黨) and Korea Independence party(韓國獨立黨) organized the New Korea Definition Corporation(新韓定義社), and Kim, seung-hak(金承學), who affiliated with a State minister of the Korea provisional government(臨時政府) wrote out a list of pro-Japanese group. Democracy National Front(民主主義民族戰線) organized The Judging Committee of pro-Japanese group and national traitor. Directly after the liberation, A process for pro-Japanese group punishment was discussed and then a special court and organization was established. In succession, the South of Korea Transition Legislation Parliament(南朝鮮過渡立法議院) materialized to make a 'the law of committee of investigation for a national traitor, collaborator assistant Japan and racketeers' and 'composition of special court and the law of legal procedure'. And than the Constitutional Assembly formed a special committee of investigation and court. A liquidation discussion of pro-Japanese group in the North of Korea had fewer controversy than the South of Korea, because the North of Korea promoted the Soviet Union military government's exclusion policy of pro-Japanese group and socialism reform. After going through an election of the People Committee(人民委員會) and the North of Korea Labor Party(北朝鮮勞動黨)‘s reply for the U.S.-Soviet Joint Commission in 1947, A rule against pro-Japanese group in the North of Korea concretized. Than It became to adjust under the influence of a liquidation discussion of pro-Japanese group that the South of Korea's political force, the South of Korea Labor Party(南朝鮮勞動黨) and the South of Korea Transition Legislation Parliament progressed. But the North of Korea didn't keep within the limits, stage a purge the pro-Japanese group in practice. In 1945 October, after call the Five Province Party Convention(五道黨大會), the North of Korea settled the liquidation problem of pro-Japanese group by a law and institution. And in 1946 February, after the Temporary People Committee of the North of Korea)北朝鮮臨時人民委員會) was established, it progress steadily to form a part of democratic and socialism reform.

      • KCI등재
      • KCI등재

        해방 직후 조선공산당의 친일파와 토지문제에 대한 입장과 정치적 성격

        남광규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11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32 No.2

        This paper focuses on the Chosun Communist Party's policy toward pro-Japanese and land issues in the early Liberation Period. The researcher shows that the difference in political policy among those political strengths, left, right and moderate wings, were little. But the excessive attack route of the Chosun Communist Party's in pro-japanese and land issues in the early Liberation Period, were worsen the political situation and raised tentions between political strengths. 본 논문은 해방 직후 국내 정치세력들이 대립한 주요 이슈들의 정치적 성격을 조선공산당의 친일파문제와 토지문제에 대한 입장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다. 이를 통해 해방 직후 국내 정치세력들 사이에 존재했던 정책의 차이점들 중 좌우 정치세력 간 갈등과 대립을 증폭시킨 주된 정치적 이슈였던 친일파문제와 토지문제에 대해 조선공산당이 과도한 정치적 공세를 함으로써 정치세력 간 갈등과 대립의 골을 더 깊게 했다는 점을 말하고 있다. 이를 논증하기 위해 해방 직후 주요 국내정치세력이 추구했던 국가건설노선의 성격과 차이점을 비교하고 좌우가 극단적으로 대립하는 양상으로 논의되었던 친일파 논쟁과 토지문제를 중심으로 주로 조선공산당의 정치적 의도를 살펴보고 있다.

      • KCI등재

        인격과 스캔들-임종국의 역사서술과 민족주의

        이혜령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 民族文化硏究 Vol.56 No.-

        임종국의 친일파연구를 중심으로 한 역사서술은 광범한 영향력에도 불구하고 학계에서 충분히 논구되지 못했다. 그 이유는 그의 역사서술이 "전" 양식을 취할 만큼 이야기하기 혹은 문학적 서술방식을 배제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다 도덕적 담화이기를 거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과학적일 것을 요구받는 근대의 역사학에서 소외되었지만, 이 글은 그러한 특징이 근대성과 문명화 담론이 지배하고 있는 최근의 식민지 사회와 식민주의에 논의에 신선한 시사점을 준다고 보았다. 임종국은 "전"이나 "일화"와 같은 오랜 이야기하기 방식을 삽입하였다. 이는 "친일"이 역사적 사건인 동시에 공동체와 개인의 관계를 성찰케 하는 인격적 사건임을 보여주는 효과를 지녔다. 그에게 있어서, 식민지 사회란 식민자와 피식민자를 아우르는 공통의 성원권인 "인격"이 성립될 수 없는, 곧 도덕이 성립할 수 없는 사회로 보았다. 도덕의 부재 상태는 친일파가 갈수록 늘어나는 상황에서, 또 한편으로는 식민자의 스캔들이 어떠한 정죄의 효과도 없는 상황을 통해 이야기되는데, 이렇게 갈수록 커지는 악의 원환은 그의 역사서술을 텔로스적인 것과 무관하게 만들었다. 그의 역사서술은 자본주의 발달사나 근대 국민국가 형성사와 같은 근대적 시간의식에 입각한 텔로스를 드러낼 수 없었지만, 바로 그러한 성격 때문에 식민지 사회의 지배 이데올로기이자 제도적 실천인 근대성 내지 문명화가 도덕을 결코 대체할 수 없음을 보여주었다. 그에게 있어, 인격적 외상이야말로 식민지 지배에 의한 가장 큰 상흔이자 죄였으며, 그것은 그 무엇을 통해서도 보상되거나 대속될 수 없는 것이기에 친일파 이야기는 계속될 수밖에 없었다. Im Jongkuk was a famous historian focusing on the formative history of pro-Japanese group after publication of his major work, The pro-Japanese literary theory in 1966. However, his historical description couldn't be studied by the academic world because of writing style as like a Jeon (傳, a premodern biographical story style). Modern historians understand his writings too literary and emotional to be a scientific history. In this paper, it is argued that this feature of his own historical writings show a new understanding of the colonial society and a state of the colonized individual nowadays when the discourses of modernity and civilization prevail in studies on the colony and colonialism. His historical stories of pro-Japanese were focused on the cracks caused by pro-Japanese behaviors in personality as a collective mana that members of a society share with each other, and showed the colonial society as the deconstructive state of moral without reconstructing new moral. Im thought the colonial society cosisting of the colonizer and the colonized was a immoral. This is because that common mana collective for two group couldn't be formed in the colonial society built on nullifying personality of the colonized. Therefore, the scandal of the colonizer from the high class as like Japanese government generals to ordinary Japanese cannot have a effect as a social ritual of moral punishment. Colony is regarded as an utopia of corruption for the colonizer in which they are able to do social evil without moral shameness. It seems that Im continuously wrote only on the pro-Japanese and also posed as a exorcist exorcising evil spirits by fetching them. His historical description suggests that modernity or civilization, as one of the main ideologies justifying colonialism as well as main plot of modern historical description, couldn't be new moral being able to replace the exiting moral which was getting collapsed by the colon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