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만의 보훈정책과 한국에의 시사점

        남광규,이내영 한국보훈학회 2011 한국보훈논총 Vol.10 No.2

        Taiwan's national organization for veterans is the Veterans Affairs Commission(VAC), assigned with responsibilities to assist in education assistance, employment assistance, medical care, home care and other general services. VAC’s services are based on the “ROC Veterans Assistance Act”, which was signed into effect by the president, and therein came the “Enforcement Rules of The ROC Veterans Assistance Act”,“Regulations on Employment Arrangement of Veterans”, “Regulations on Medical Care for Veterans”, “Regulations on Home-care Arrangement of Veterans”, “Implementation Regulations on Veterans Education Assistance”, and other operationaland administrative regulations. VAC's main goal is to realize the political ideal of the Taiwan government to repay Taiwan's veterans for their contributions to the country, and to maintain strong armed forces, to keep Taiwan society stable, to contribute to the economic development of the Taiwan and to upgrade their nation"s diplomacy. In addition to continuing their improvement of medicaland home care for Taiwan veterans, VAC is also designing specific programs regarding employment and educational assistance to cater to the needs of newly retired veterans. VAC assists veterans and their dependents with employment opportunities so as to enable them with a stable family life on the one hand, and help with the economy and safety of the country on the other. The main purpose of educational assistance is to assist aspiring veterans to take further studies to improve their manpower quality, strengthen their competitive conditions, and enrich national human resources. Some implications from the veterans policy of Taiwan to the veterans policy of Korea areas above, VAC'sposition and role is more higher, medical delivery system is more efficient, employ arrangement and education system is well-found than those of Korea's. 대만의 보훈조직과 보훈정책은 독립형 보훈조직의 형태로 대만은 우리나라의 보훈처 조직에 해당하는 행정원 국군퇴제역관병보도위원회(行政院 國軍退除役官兵輔導委員會)를 중심으로 조직되어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대만의 전체적인 보훈제도는 우리나라와 매유 유사한 모습을 보여 주고 있는데 이것은 대만이 우리나라와 비슷한 역사적 배경을 갖고 보훈정책에 있어서 서로 정책적인 교류도 있어 온 점이 작용하고 있다. 그렇기에 때문에 동일한 분단의 경험을 가지고 있는 역사적 배경과 한국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대만의 보훈제도를 살펴보는 것은 상당한 의미가 있다. 대만의 보훈정책을 다루고 있는 본 논문의 내용은 대만보훈제도의 내용을 보훈역사와 조직, 보훈정책사업, 보훈행정의 대상, 기념 및 추모사업 등으로 나누어 본문 각 장의 형식을 구분하고 있다. 그리고 각 장의 세부 내용에 있어서 대만 보훈정책의 일반 현황에서는 보훈제도의 연혁, 관계 법령, 보훈 조직, 보훈예산과 행정 대상을, 보훈정책 사업에서는 취업지원, 교육보조, 의료지원, 주거 시설 지원과 관련한 구체적인 4대 보훈사업, 보훈행정으로 상이보훈대상과 유가족 지원, 비상이 제대군인에 대한 지원의 내용들을 다루고 있고, 이외에 기념 및 추모사업의 내용을 소개하고 있다. 대만의 보훈정책이 우리나라의 보훈정책에 시사하는 점들은 대만의 정부기구에서 보훈조직의 위상이 높다는 점, 보훈정책에서 나타나는 보훈기관과 산업체의 협력체제, 다양한 보훈사업과 지원, 끝까지 책임지는 양로․의료지원, 보훈제도 상의 지원과 각종 지원금의 지원 등의 이중보장, 상이군인과 그 유가족에 대한 권익과 보장이 매우 총체적이고 종합적이라는 점이다. 국가의 보훈정책이 국가 안위와 장병들의 명예에 직결된다고 볼 때 대만의 보훈정책과 제도를 면밀히 검토해 좋은 점은 우리나라의 보훈정책에도 도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KCI등재

        A Comparative Study on the inter-Korean Relations and the Cross-Strait Exchanges after the 2000s

        남광규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3 평화학연구 Vol.14 No.2

        This article examines the reasons “why Cross-Strait exchanges have expanded between the Republic of China(Taiwan) and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whereas similar developments have not occurred between the two Koreas.” There are three variables that are of special importance, interactions between the Taipei and Beijing compared with Seoul and Pyongyang, domestic political factors, and the role/attitude of United States. The growth of South Korean democracy dating back to 2000, and the development of a separate Taiwanese ‘identity’ are both significant political factors. In the international sphere, the United States is similarly important in both Cross-strait exchanges and inter-Korean relations, albeit its role has been markedly different in each case. First, the Chinese and Korean case there has been a general trend in the direction of increased exchanges. Second, domestically, both Taiwan and South Korea have begun to become post-ideological societies, with a far more practical and realistic attitude to their respective ‘rivals.’ Third, Domestic political conflicts that surround Cross-Strait policy in Taiwan and North-related policy in South Korea have been intensified as a result of changes in governments following elections. Fourth, while the United States remains a crucial partner of both South Korea and Taiwan, its influence in the region is less and less diminishing. On the other h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nter-Korean and the Cross-Strait are also numerous. First of all, security issues between the two Koreas have taken precedence over other competing political and economic issues. As Cross-Strait relations advanced as a result of non-political interactions between Taiwan and the mainland, the role of security or political concerns take a back seat. Another factor that has led to instability in North-South relations is a lack of institutionalization of those relations, the two Koreas do not recognize one another diplomatically, and therefore do not maintain formal or stable links. Such issues are added to by the fact that there are two competing and antagonistic methods of dealing with the issues related to North Korea in South Korean politics; the internationalist approach that seeks to build an international consensus to deal with North Korea, and the nationalist approach that seeks to deal with North Korean related issues through North-South dialogue. Similarly in Taiwan, there are two major approaches to dealing with the mainland, the first in the ‘One China’ approach – i.e. Chinese nationalism – the second is the ‘Taiwanese identity’ approach – i.e. Taiwanese nationalism, or separatism. International relations and the role of the United States also cannot be ignored. Whereas in inter-Korean relations, the United States continues to play an important role because of North Korea’s nuclear program, it has become a more peripheral player in Cross-Strait relations.

      • KCI등재후보

        통일한국을 대비하는 보훈정책의 모색

        남광규 한국보훈학회 2012 한국보훈논총 Vol.11 No.2

        The route in the veterans policy of the unified Korea must be settled in the course of the one Korea social integration and rise up the welfare of two korean people, share with the universal values in 21th world. At that point, the liberal democracy and the market economy system will be the main social systems in the unified Korea flow through in 'globalization' of the 21th. In addition to that system, we need for some complementary sub-systems, like the political mechanism, 'consensus democracy,' and social-economic welfare system. The veterans policy of the one Korea not only incorporate into the social-welfare system, but also into the independent mechanism of social integration in the unified Korea. As we see, the condition of two Korea's veterans policy integration is very different, in those values and policies. So, the unified veterans policy in one Korea cannot be avoid the scope of 'exclusion' and 'integration' between the two Korea veterans policy. In that cases, we can make the criteria of the unified veterans policy in the one Korea through divide the historical branch point by pro and after of divided nation's era. At the same time, we need balance the state-centric views and the flow of world in the unified veterans policy in the 21th. 통일한국의 보훈정책은 남북한 사회통합 문제와 시장위기, 사회구성원의 복지에대한 욕구와 필요성을 고려할 때 ‘협의민주주의’적인 정치기제와 그에 합당한 사회경제적 복지정책을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통일한국의 보훈정책은광의로 보면 사회복지정책의 하부 영역에 속하지만 협의적으로 보면 사회복지와는별개의 독립적인 사회통합의 기제로 정립되어야 한다. 즉 통일한국의 보훈정책은정신적 통합의 기준을 제시하면서 복지적 측면도 충족시켜 주어야 하는 이상적 성격과 현실적 측면을 동시에 만족시켜야 하는 이중의 과제를 안고 있다. 특히 현재남북한 보훈정책에서 나타나고 있는 보훈가치와 보훈정책의 차이, 보훈정책의 근간이 되는 역사 인식의 대립과 이로 인해 통일 이후 보훈정책이 직면할 수밖에 없는‘배제성’의 영역을 어떻게 규정하느냐는 남북한 보훈정책 통합의 관건이 될 것이다. 역으로 남북한 보훈정책의 ‘통합성’ 영역을 최대한 높일 수 있는 합리적 정책마련이 과제가 될 수밖에 없다. 그럴 경우 현실적으로는 분단 이전과 이후를 기점으로구분해서 분단 이전의 역사에서 통합성을 찾고 분단 이후의 역사에서는 합리적 배제를 방향으로 보훈정책의 이념과 정책 집행의 기준이 정립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보훈정책이 고유하게 지닐 수밖에 없는 국가 중심의 가치와 국가 영역이줄어드는 21세기 세계의 흐름과 어떻게 조화시켜 나갈 것인가에 대한 모색도 함께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냉전기 동북아에서 한-대만관계의 변화과정과 특징 분석

        남광규 한국보훈학회 2014 한국보훈논총 Vol.13 No.3

        Following defeat in the 1st Sino-Japanese War, China went from being a state that constituted the regional order to being one that reflected and accepted it. Together with decline of China's position in Northeast Asia, Korea was eclipsed and like China was 'simutaneously peripheralized'. However, following the Second World War, China came to be the centre of both US and Soviet foreign policy in the region. The State Department was in frequent discussion with the Kuomintang of China(Chinese Nationalist Party Government) about arrangements for trusteeship in Korea. Soong Tse-ven repeatedly urged the United States to extend trusteeship over Korea and improve relations with Moscow. Kuomintang Government, in persuading a reluctant India to accept elections within South Korea alone, were crucial in making possible the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Korean War forced a rethink in US strategy and led to a reconsideration of Taiwan's potential strategic value. Republic of China was critical of established US strategy in the region, asserting the need for the establishment of a regional order. Taiwan again proposed the establishment of an anti-Communist alliance in this region, but due to differences of opinion between Taiwan and South Korea over Japan's involvement, as well as a lack of interest on the part of the United States, this 'order' or 'alliance' was established only on a non-governmental level. As a result, it initially lacked real significance. Taiwan had lost all standing regarding issues related to Korea. Taiwan was trying to demand that South Korea jettison anti-Japanese sentiments for the sake of the creation of an effective anti-Communist alliance. With the rise of Park‘ regime, relations of Taiwan and South Korea were expected to heat up. Taiwan looked favorably upon the military government in South Korea, South Korea's official anti-communism was of especial interest to Taiwan. At the same time, due to economic problems, Seoul sought aid from Japan, and therefore planned to strengthen bilateral economic ties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However, Taiwanese-South Korean relations strengthened by endeavoring for state-building through modernization and sharing the value of 'freedom' by anti-communism. And yet, as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deepened they became increasingly characterized by socio-cultural exchange, in addition to deepening economic exchanges. 본 연구는 전후 냉전기 동북아시아에서 한국과 대만간의 양자관계 흐름과 그 특징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통해 냉전기 동북아질서를 주도한 미국의 역할과는 구별되는 한국과 대만관계의 독자성과 동북아에서의 이들 관계가 갖는 의미를 조명코자 하였다. 기존문헌을 토대로 분석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2차 대전 종전을 전후해 당시 장제스가 대표하던 중국의 한반도 영향력이 어떠했는지가 확인되었다. 중국은 미국이나 소련만큼은 아니었지만 대한민국정부 수립과 신생 독립국가로 자리 잡는데 무시할 수 없는 힘을 발휘하였다. 둘째, 국민당 정부가 대만으로 넘어간 이후부터는 동북아에서의 역할과 한국과의 독자적인 관계 설정에 큰 제약이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6·25전쟁을 기화로 한국과 연대해서 국제정치적·외교적 입지 확장을 시도했지만, 이 역시 미국 주도적 동북아국제질서의 한계로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셋째, 5·16군사정변 이후부터는 정치·안보적 관계심화보다는 경제적, 사회문화적 협력과 교류확대에 주력하여 왔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그 동안의 한·대만 관계가 갖는 의미를 재조명하고, 이를 통한 향후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이승만 정부의 통일정책 내용과 평가

        남광규 한국통일전략학회 2012 통일전략 Vol.12 No.2

        The Rhee, in the latter era of the Chosun Dynasty as the 'self-awared' free civil rights and republic movement and social reform movement activist, as the independence activist searching for the free democracy in the field of the U.S.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after liberating from the Japanese rule as the national foundation president established the Republic of Korea's base in the line of the anti-communism. The 'person' study on the Rhee could be named as the basis of the Rhee's regime reunification policy because his private thought and social practical movement throughout his lifelong connecting the premodern with the early present was directly reflected to the reunification between in the course of- national foundation and after-national foundation. Accordingly, the understanding the basic character of the Rhee's North reunification policy is the precondition of his hopeful independent state image through grasping the recognition of his dreamed independent image and his political line after the latter era of the Chosun Dynasty.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hat the Rhee acting as the social reformist recognizing the free civil rights thought in the latter era of the Chosun Dynasty accepted the free democracy as the civilized development in the center of the U.S. under the Japanese rule, through this we should understand his consciousness world appearing as the form of the anti-communism free democracy state after the World-War Two. On the basis of this acknowledgement, the Rhee searched for the South-North division as the self-determined line of the realistic politics after liberation, and internationally professed 'the general election of the South-North' as the peaceful reunification alternative made in the U.N.'s legitimate permission and 'the reunification alternative of the attack on the North' as the duel reunification alternative including military weapon using. This thesis was developed basing on the theory of 'one people, one state, one government' under the recognition of that Rhee's regime stated about the reunification that the South is the only legitimate government in the Korean Peninsular, and the North is the illegitimate state. Therefore, there is the theory of the restoration of the lost land that the Republic of Korea as the only legitimate regime transfer the Northern province under the USSR and communist, for realizing of this concrete method the president Rhee manifested the free general election under the guidance of the U.N. as the peaceful reunification alternative and the reunification theory of the attack on the North as the military reunification alternative's reunification policy. 이승만은 구한말 ‘자각적’ 자유민권과 공화주의운동 및 사회개혁운동, 일제 하 미국을 무대로 자유민주주의를 건국노선으로 추구했던 독립운동가로, 해방 이후에는 반공노선으로 국가수립을 주도한 건국대통령으로 대한민국의 초석을 마련했다. 전근대와 근현대로 이어진 이승만 생애 전반에 나타난 개인적 생각과 사회적 실천운동이 건국 과정과 건국 이후의 통일정책에 그대로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이승만 ‘개인’에 대한 연구가 곧 이승만 정부의 통일정책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구한말 이후 이승만이 가졌던 독립국가의 모습에 대한 인식과 그의 실천적 정치노선에 대한 이해를 통해 그가 꿈꾸었던 독립된 자주국가의 모습을 이해해야만 이승만 대북통일정책의 기본적인 성격을 이해할 수 있다. 즉, 구한말 자유 민권사상을 자각하고 이를 사회개혁운동으로 실천했던 이승만이 일제 하 미국을 중심으로 미국이 주도하는 자유민주주의를 문명사적 발전으로 받아들이고 이것이 2차 대전 종전 이후 반공자유민주주의국가의 형태로 나타난 이승만의 인식 세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이승만은 해방 이후 단정노선으로 남북 분단을 현실의 정치노선으로 추구하였고 국제적으로는 유엔의 합법적 승인을 바탕으로 하는 평화적 통일안으로 ‘남북자유총선론’을, 무력을 포함한 대결적 통일방안으로 ‘북진통일론’을 내세웠다. 통일에 대해 이승만 정부는 남한만이 한반도에서의 유일 전통의 합법정부이고 북한은 불법 정부라는 인식 하에 ‘1민족, 1국가, 1정부’만이 존재한다는 논리에 입각해 전개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이승만 정부의 통일정책은 한반도를 대표하는 유일 합법 정부인 대한민국이 소련과 공산주의자들이 불법적으로 점령하고 있는 이북 지역을 대한민국으로 편입시키는 실지회복론(失地回復論)을 바탕으로 이것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에 있어서는 평화적 통일방안으로 유엔 감시 하에 자유총선거를, 무력적 통일방안으로 북진통일론(北進統一論)을 주장했다. 이처럼 자유총선거와 북진통일을 기조로 자유와 민주주의로 북한 동포를 해방시켜야 한다는 것이 이승만정부의 기본적인 통일논리이자 원칙이었다.

      • KCI등재후보

        6‧25참전 비정규군 공로자 보상의 필요성과 그 의미

        남광규 한국통일전략학회 2013 통일전략 Vol.13 No.3

        6·25 비정규군 공로자로 자발적으로 결성된 유격대와 같은 경우, 전쟁기간 중 보상 및 보훈을 위한 근거 기록이 미비해 관련 법률안 마련과 보상 실시가 어려운 현실이다.「6·25전쟁 전후 비정규군 공로자 보상에 관한 법률안」이 2011년 12월 김동성 의원의 대표 발의에 의해 법제화가 진행되었으나 18대 국회 회기 만료로 자동 폐기된 상태다. 특수임무자의 경우에는 현재「특수임무수행자 보상에 관한 법률」에 따라 보상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는 점을 고려해 볼 때, 비정규군 공로자와의 형평성과 맞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6·25 비정규군 공로자 보상과 같이 보훈 사각지대를 중심으로 현 보훈체계의 문제점과 대책을 고찰해 보고, 이를 통해 나라를 위한 희생에 대한 합당한 보상보훈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비정규군 유격대원들은 전쟁 기간은 물론이고 휴전 이후에도 제대로 된 보상이나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 전투에서 공적을 세운 이들에게 주어지는 훈장은 고사하고 존재 자체가 부정됐기 때문이다. 오히려 휴전 이후엔 군 복무를 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돼 5년간 더 복무해야 했다. 유격대원들의 보상에 관한 논의는 국가인권위가 2007년 3월 12일 ‘외국군 소속 특수임무수행자에 대한 국가보상을 위한 관련 법률의 제·개정 권고’라는 제목의 결정문이 채택되면서 부터이다. 2011년 12월 한나라당 김동성 국회의원 등 14명의 대표 발의로「6·25전쟁 전후 비정규군 공로자 보상에 관한 법률안」이 발의되었다. 그러나 이 법률안은 더 이상 논의를 거치지 못한 채 2012년 5월 29일 제18대 국회 회기가 종료되면서 일괄 폐기되었다. 6·25참전 비정규군 공로자들은 국가수호의 일념으로 국가안보에 큰 기여를 한 분들이다. 그리고 오랜 세월 희생에 대한 인정이나 대가도 없이 어려운 환경을 혼자 이겨온 분들이다. 그러나 시대적 환경과 제도적 여건의 미비로 제대로 지원받지 못한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살아남은 대원들도 얼마나 더 살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 정부가 적극적으로 유격대 활동에 대한 조명과 함께 명예 회복에 나서야 할 것이다. This thesis analyses the necessity and it's meaning of compensation for irregulars contributor in the Korean War. In the case of contributors who are not regular army, like as guerrilla unit in the Korean War, it is very difficult in making the compensation legislative bill for contributors. Although the compensation legislative bill for contributors proposed by Kim Dong Sung, congressman, in December, 2011, it was annulled by congress session expiration. So, there is some necessity in proper compensation system for contributors who are not regular army in the Korean War. Irregulars, guerrilla unit, are not evaluated with fair, the duration of the war and since the Korean War Armistice. Contributors, not regular army in the Korean War, are patriotic citizens and they had to endure a long wait with no compensation or rewards from the state. What a shame that nobody was listening the voice of the not regular army in the Korean War. The Korean Government must launch for the proper evaluation and restore the activity and honor of not regular army, guerrilla units, in the Korean War.

      • KCI등재

        윤석열 정부의 대북정책·한미관계 방향과 정책적 과제

        남광규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공공정책연구소 2022 Journal of North Korea Studies Vol.8 No.1

        The direction of Yoon Seok-yeol's North Korea policy and foreign relations can be summarized as "first U.S.-South Korea relations, later inter-Korean relations," "first international cooperation after inter-Korean cooperation," and "first denuclearization after peace." At the same time, it is expected that the it will be more active on North Korean human rights issues than Moon Jae In government. The Yoon Seok-yeol administration's policy toward the U.S. is aimed at a "comprehensive strategic alliance" that expands the international role of the Korea-U.S. alliance by normalizing the Korea-U.S. alliance and restoring cooperation. This is expected to strength the Korea-U.S. economic alliance and technology alliance in the international supply chain. In order to smoothly operate the Korea-U.S. alliance, efforts to cooperate with South Korea, the U.S., and Japan are expected to be strengthened by restoring relations with Japan. If North Korea makes a high-intensity provocation, it will resume its strategy to deter the North Korea and will resume the actual joint exercise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S.. Since the Yoon Seok-yeol administration's foreign relations are likely to flow around the U.S., opposition and checks from China and Russia will be inevitable. In this regard, since a new Cold War atmosphere is likely to form in Northeast Asia, South Korea needs a high level of ability to coordinate diplomatic and security issues between the U.S., China, and the U.S. and Russia to prevent them from getting worse. In this regard, the additional THAAD deployment under the Yoon Seok-yeol administration will be the right time to proceed if North Korea resumes its nuclear test, and participation in the Quad should be strategically approached according to the timing and conditions.

      • KCI등재

        신정부의 대일정책 방향과 과제 - 북한과의 동조화를 경계해야 -

        남광규 한국통일전략학회 2017 통일전략 Vol.17 No.3

        In this text, the direction of the new government policy toward Japan is examined at three levels. First, we look at the trends of the new government policies of the two countries focusing on the issue of comfort women in the two countries. Second, the nature of Korea-Japan relations, which can be seen in the cooperation between the three countries, focusing on the North Korean policy in the security environment of Northeast Asia, is examined. Third, it is a factor of North Korea that can influence the policy of the new government of Japan. This section examines the possibility that domestic political factors related to Japan may develop as a result of inter-Korean cooperation in the new policy of the new government. The conclusion suggests the direction of desirable Japanese policy in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point that the new government should pay attention to in the Korea-Japan relationship. Renegotiation of comfort women issue is not appropriate, but it is very unlikely that Japan will renegotiate, apart from a clear line of renegotiation. The surviving comfort women are older than the middle 80s, so Japan can wait for the comfort women's death. It is a more realistic alternative to expand the empathy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hile responding to Japan's actions and remarks that undermine the consensus. Since the issue of comfort women is inherently 'unresolvable', it is realistic to revise and supplement the framework of consensus. If the new government seeks to pursue a policy of Japan based on the past problems, such as, the comfort women issue of Korea-Japan, Korea can be neglected the other existing important and urgent problems. Also, because the new government emphasizes self-reliant diplomatic routes and inter-Korean cooperation unlike the previous government, the new government can be alienated from the North Korean problems. The US-Japan alliance is more akin to the policy of North Korea than the ROK-US-Japan cooperation, and South Korea may be in a position of supportive or rejected in the ROK-US-Japan cooperation. Especially, if domestic politics surrounding, the issue of comfort women is developed in terms of the liquidation of the previous government, the policy for Japan of the new government can be a source of controversy. If the new administration's policy toward Japan is getting away from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the current issue in South Korea and Japan is used as a domestic issue for pro-Japanese debate in South Korea, the new administration's anti-Japanese policy may result in North Korea's foreign policy and its relationship with Korea-Japan rela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new government to coordinate the Korea-Japan relationship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s while maintaining the comfort women agreement.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a policy of Japan to approach with the careful separation between the past and present, the history and the reality, the concrete national interest and the abstract national interest. 본 논문에서는 신정부의 대일정책 방향을 세 가지 수준에서 살펴보고 있다. 첫째, 한일관계 차원에서 <위안부합의>를 중심한 신정부의 대일정책 접근 기조를 파악하고 있다. 둘째, 동북아 차원의 안보환경에서 대북정책을 중심한 한·미·일 3국 공조의 필요성과 실제 신정부가 추진할 수 있는 한일안보협력의 한계를 짚어보고 있다. 셋째, 위안부문제에 대한 신정부의 접근과 자주적 외교노선과 남북협력의 강화가 대일정책에 있어서는 결과적으로 남북공조의 흐름으로 전개될 수도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결론에서는 현 상황에서 바람직한 대일정책의 방향과 한일관계에서 신정부가 유의해야 할 점을 제시하고 있다. 우선 신정부의 대일정책을 가늠할 수 있는 <위안부합의>의 재협상은 적절치 않은데 위안부 할머니들의 얼마 남지 않은 여생과 함께 재협상을 통해 더 좋은 내용이 나올 가능성이 거의 없다는 점이다. 현재의 위안부합의는 미흡하지만 그래도 한일 양국이 합의할 수 있는 현실적 최대치에 근접한 내용으로 보기 때문에 합의는 유지하되 합의내용을 훼손하는 일본의 행동과 발언에 대해서 대응하면서 국제사회의 공감을 확대해 나가는 것이 보다 현실적인 대안이다. 특히, 위안부문제를 둘러싼 한국의 국내정치가 <위안부합의>를 추진한 이전 정부에 대한 청산 차원에서 전개되면 신정부의 대일정책은 오히려 내쟁의 소재가 될 수 있다. 신정부에서는 이전 정부에서 체결된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도 재검토 되거나 실제 기능을 하지 않을 가능성도 높다. 대외정책에 있어서도 신정부가 이전 정부들보다 자주적 대외노선과 남북협력을 강조하기 때문에 대북정책에서 한·미·일 공조보다 미일동맹이 기본 축이 되고 한국이 보조적이나 혹은 방기되는 위치에 처할 수도 있다. 신정부의 대일정책이 국제공조에서 멀어지고 위안부문제와 같은 현안이 국내적으로 친일논쟁의 소재로 이용되면 신정부의 대일정책은 결과적으로 북한이 원하는 방향의 한일관계와 동조하는 현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그런 점에서 신정부는 한일관계에 있어 과거와 현재, 역사와 현실을 구분해서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구체적인 국가이익과 추상적이고 국가이익을 분리해서 접근하는 대일정책을 펼쳐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